산부인과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완벽 가이드: 원인부터 진단, 한국인 맞춤 정보까지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복잡한 내분비 질환으로, 삶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생리 주기, 다모증, 여드름과 같은 증상부터 난임, 대사 이상 문제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많은 여성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안겨줍니다. 본 KRHOW.COM 기사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대한 한국 독자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질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PCOS의 정확한 정의와 원인, 다양한 증상,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방법에 이르기까지 최신 의학 정보와 국내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PCOS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데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핵심 요약

  •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한 호르몬 및 대사 질환으로, 생리 불순, 남성호르몬 과다 증상,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 형태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 PCOS의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 인슐린 저항성,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인슐린 저항성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증상은 개인마다 매우 다양하며, 월경 문제, 피부 트러블, 대사 이상, 난임 외에도 심리적 어려움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한국 여성은 서양 여성에 비해 일부 증상이 덜 뚜렷할 수 있습니다.
  • PCOS 진단은 로테르담 기준 등이 사용되며, 유사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하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병력 청취, 신체 검진, 혈액 검사, 골반 초음파 검사 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체중 관리,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은 PCOS 관리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하며, 증상 완화 및 장기 합병증 예방에 핵심적입니다.
  • 증상 조절이나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해 약물 치료(경구 피임약, 항안드로겐제, 메트포르민, 배란 유도제 등)나 최신 보조 치료(이노시톨, GLP-1 작용제 등)가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 PCOS는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자궁내막암 등의 장기적인 건강 문제 위험을 높이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한국인 PCOS 환자는 서양인과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일 수 있어, 국내 유병률, 통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정보가 중요합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의 모든 것: 정의, 원인, 증상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내분비계 질환으로,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이해는 성공적인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1. PCOS란 무엇인가?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에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으로, 주로 호르몬 불균형과 대사 이상을 특징으로 합니다1. 이는 난소 기능의 이상과 관련되어 배란 장애를 일으키고, 혈중 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아지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는 등 복합적인 양상을 보입니다. 서울대학교병원2 및 질병관리청1과 같은 권위 있는 출처에서는 PCOS를 단순한 부인과 질환이 아닌,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성 질환으로 간주하고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2. PCOS는 왜 생기나요?

PCOS의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3:

  • 호르몬 불균형: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HPO) 축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 균형이 깨지고, 이는 난소에서의 비정상적인 호르몬 생성을 유발합니다. 특히 안드로겐(남성호르몬) 과다혈증(hyperandrogenism)은 PCOS의 주요 특징 중 하나입니다3.
  • 인슐린 저항성 및 고인슐린혈증: 인슐린 저항성은 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4. 이로 인해 췌장은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되어 혈중 인슐린 농도가 높아지는 고인슐린혈증이 발생합니다4. 높은 인슐린 수치는 난소에서 안드로겐 생성을 자극하고, 간에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의 생성을 감소시켜 유리 안드로겐 수치를 더욱 높입니다4. 이는 다시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4. 이 악순환의 고리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인슐린 저항성 개선 치료(예: 메트포르민, 식단 조절, 운동)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유전적 요인: PCOS는 가족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유전적 소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3. 특정 유전자 변이가 PCOS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들이 진행 중입니다.
  • 환경적/생활습관 요인: 비만,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 만성적인 스트레스 등도 PCOS 발병 및 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힙니다5. 특히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심화시켜 PCOS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PCOS는 단일 원인이 아닌 여러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는 질환의 다양한 증상과 치료 접근의 복잡성을 설명해줍니다.

3. PCOS의 다양한 증상들

PCOS의 증상은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모든 환자에게 모든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1. 이는 PCOS 진단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특히 한국 여성의 경우 서양 여성에 비해 다모증과 같은 남성호르몬 과다 증상이 덜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6, 전형적인 서양 교과서적 증상에만 의존할 경우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에는 정상적인 사춘기 변화와 PCOS 증상이 혼동될 수 있어 진단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1.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월경 불순: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로, 월경 주기가 35일을 초과하는 희발월경, 3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무월경, 또는 불규칙한 자궁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
  • 남성호르몬 과다 징후:
    • 다모증: 얼굴, 가슴, 등, 배, 팔, 다리 등에 남성형 털(굵고 검은 털)이 증가하는 증상입니다2.
    • 여드름: 특히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성인형 여드름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2.
    • 남성형 탈모: 앞머리나 정수리 부위의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
  •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 질식 초음파 검사 시 난소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 개의 작은 난포(물혹)가 염주 모양으로 관찰되거나 난소의 부피가 증가한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7. 그러나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 소견이 있다고 해서 모두 PCOS로 진단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진단 기준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대사 증상:
    • 체중 증가 또는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 흔하게 나타나며, 체중 감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4.
    • 인슐린 저항성 징후: 목이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의 피부가 검고 두꺼워지는 흑색가시세포증(acanthosis nigricans)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이는 인슐린 저항성의 피부 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생식 문제: 만성적인 무배란으로 인해 난임 또는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8.
  • 심리적 증상: 우울증, 불안 장애, 수면 장애, 섭식 장애 등의 위험이 일반 여성에 비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9. PCOS 증상 자체로 인한 스트레스, 외모 변화, 임신에 대한 걱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증상들 중 일부만 나타날 수도 있고, 증상의 심각도도 개인마다 차이가 큽니다. 따라서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자가 진단보다는 산부인과 또는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이 첫걸음: PCOS 진단 방법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의 진단은 특정 검사 하나로 확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임상적, 생화학적, 초음파적 소견을 종합하여 내려집니다. 또한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을 배제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1. 국제 및 국내 진단 기준

PCOS 진단에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몇 가지 기준들이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주로 2003년에 개정된 로테르담 기준이 널리 사용됩니다1.

  • 로테르담 기준 (Rotterdam Criteria, 2003 ESHRE/ASRM): 다음 3가지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고,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예: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쿠싱 증후군, 안드로겐 분비 종양 등)이 배제될 때 PCOS로 진단합니다1.
    1. 희발월경(oligomenorrhea) 및/또는 무배란(anovulation)
    2. 임상적(다모증, 여드름, 남성형 탈모 등) 및/또는 생화학적(혈액 검사상 남성호르몬 수치 증가) 고안드로겐혈증의 소견
    3. 초음파 검사상 다낭성 난소의 형태 (한쪽 또는 양쪽 난소에 직경 2-9mm의 난포가 12개 이상 관찰되거나 난소 부피가 10mL 이상 증가된 경우)1
  • 미국 국립보건원 기준 (NIH Criteria, 1990): 다음 2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하고, 다른 질환이 배제될 때 진단합니다3.
    1. 만성 무배란
    2. 임상적 및/또는 생화학적 고안드로겐혈증 (초음파 소견은 필수 아님)
  • 안드로겐 과다 및 PCOS 학회 기준 (Androgen Excess and PCOS Society – AES Criteria, 2006): 고안드로겐혈증(임상적 또는 생화학적)이 있으면서,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하고 다른 질환이 배제될 때 진단합니다3.
    1. 희발월경/무배란
    2.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

PCOS 진단은 단순히 증상만으로 내려지는 것이 아니며, 갑상선 기능 이상, 고프로락틴혈증, 부신 질환 등 유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내분비 질환들을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3. 따라서 PCOS가 의심될 경우, 자가 진단에 의존하기보다는 반드시 산부인과 또는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치료 계획 수립의 첫걸음입니다10.

2. PCOS 진단을 위한 검사

정확한 PCOS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집니다1: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 월경력: 초경 연령, 월경 주기의 규칙성, 기간, 양, 최근 변화 등을 자세히 확인합니다.
    • 증상 확인: 다모증, 여드름, 탈모 등의 남성호르몬 과다 증상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합니다. 다모증 평가는 페리만-갈웨이 점수(Ferriman-Gallwey score)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11.
    • 가족력: PCOS,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가족력을 확인합니다.
    • 신체 계측: 키,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BMI)를 계산하고, 허리둘레, 혈압 등을 측정합니다.
  • 혈액 검사:
    • 호르몬 검사: 총 테스토스테론, 유리 테스토스테론,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유리 안드로겐 지수(FAI), 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DHEAS), 프로락틴,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등을 측정하여 호르몬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2. LH/FSH 비율 증가는 PCOS를 시사하는 소견 중 하나이지만, 진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 대사 관련 검사: 공복 혈당, 경구 당부하 검사(OGTT), 당화혈색소(HbA1c) 등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 위험을 평가합니다2. 또한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 지질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지질혈증 여부를 확인합니다2.
  • 골반 초음파 검사 (질식 또는 복부): 난소의 형태(난포 수, 난소 크기, 난소 기질의 상태)를 관찰하여 다낭성 난소 여부를 확인하고, 자궁내막 두께를 측정하며, 다른 골반 내 질환(예: 자궁근종, 다른 종류의 난소낭종 등)을 감별합니다7. 항뮬러관 호르몬(AMH) 수치는 혈액 검사를 통해 측정되며, 난소 내 작은 난포 수를 반영하여 초음파 검사의 보조적인 지표로 연구되고 활용되기도 합니다12.

3. 청소년기 PCOS 진단의 특징

청소년기에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도 월경 불순이나 여드름 등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어 성인 여성과 동일한 기준으로 PCOS를 진단하는 데 어려움이 따릅니다1. 예를 들어, 초경 후 1~2년 동안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이 미성숙하여 배란이 불규칙하고 생리 주기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소년 PCOS 진단에는 보다 신중한 접근과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청소년기 PCOS 진단을 위해 로테르담 기준 3가지를 모두 만족하거나, 고안드로겐혈증이 혈액 검사로 명확히 확인된 경우에 진단하는 것을 권고하기도 합니다113. 청소년기 PCOS 진단은 장기적인 건강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성장 및 발달 과정을 충분히 고려한 전문가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PCOS 관리의 핵심: 건강한 생활습관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관리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확립하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입니다14. 이는 PCOS 증상 완화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4.

1. 체중 관리: PCOS 개선의 가장 중요한 열쇠

과체중 또는 비만인 PCOS 환자에게 체중 관리는 치료의 첫 단추이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강조됩니다. 전체 체중의 단 5-10%만 감량하더라도 인슐린 저항성 개선, 혈중 안드로겐 수치 감소, 월경 주기 규칙성 회복, 배란 기능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5. 체중 감량은 단순히 미용적인 측면을 넘어, PCOS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개선하는 치료적 접근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환자 스스로 적극적으로 건강 관리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습니다15. 대한비만학회에서도 PCOS 환자의 비만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16.

2. PCOS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식단 전략

PCOS 환자를 위한 식단 관리는 혈당 및 인슐린 수치를 안정시키고, 체중을 조절하며, 만성 염증을 줄이는 데 목표를 둡니다. 특정 ‘PCOS 식단’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원칙과 함께 한국인의 식문화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합니다417.

  • 균형 잡힌 식단 및 규칙적인 식사: 전체적인 칼로리 섭취량을 조절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영양 균형을 맞추며,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 저혈당 지수(Low Glycemic Index, Low GI) 식품 선택: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저혈당 지수 식품(예: 통곡물, 대부분의 채소, 일부 과일)을 선택하고,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고혈당 지수 식품(예: 흰쌀밥, 흰빵, 설탕이 많이 든 음식, 단 음료)은 피하는 것이 인슐린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4.
  • 충분한 식이섬유 섭취: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며, 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통곡물(현미, 잡곡 등), 채소, 과일, 콩류 등을 통해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4. PCOS 환자는 하루 35g 이상의 식이섬유 섭취가 권장되기도 합니다4.
  • 건강한 지방 섭취: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등푸른 생선(고등어, 연어 등), 올리브유, 아보카도, 견과류, 씨앗류 등 불포화지방을 섭취하고, 포화지방(동물성 지방, 버터 등)과 트랜스지방(마가린, 쇼트닝, 가공 과자류)은 제한해야 합니다4.
  • 적절한 단백질 섭취: 단백질은 포만감을 유지하고 근육량 보존에 중요하며 혈당 안정에도 기여합니다. 살코기, 생선, 닭가슴살, 계란, 두부, 콩류 등을 통해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합니다1.
  • 가공식품 및 당류 제한: 설탕, 액상과당, 정제된 곡물로 만든 가공식품, 단 음료 등의 섭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1. 이러한 식품은 혈당을 급격히 올리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한국 특화 식품 고려: 콩류(두부, 된장, 청국장 등), 등푸른 생선, 견과류(일부에서는 땅콩 제외 권고18), 유기농 채소 등이 PCOS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18. 민들레차도 일부에서 언급된 바 있습니다18.
  • 항염증 식단 원칙 적용: 많은 권장 식품들이 항염증 효과와 관련이 깊습니다4.
  • 수분 섭취: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은 신진대사 유지에 중요합니다19.
  • 유제품 관련: 일부 연구에서는 유제품 섭취와 여드름 발생 간의 연관성을 제시하기도 하며20, 개인에 따라 유제품 제한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19, 칼슘 섭취 등 다른 영양적 측면도 고려해야 하므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PCOS 환자를 위한 식단 가이드 예시입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사 또는 영양사)와 상담하여 맞춤형 식단을 계획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구분 권장 식품 (예시) 피해야 할 식품/제한 식품 (예시)
곡류 현미, 잡곡밥, 통밀빵, 귀리, 퀴노아 흰쌀밥, 흰빵, 면류 (정제 밀가루), 시리얼 (설탕 함유량 높은 것)
채소 잎채소 (시금치, 케일 등),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파프리카, 버섯, 토마토 등 (다양한 색깔의 채소) 감자튀김, 당근(과량 섭취 시 혈당 주의)21
과일 베리류 (딸기, 블루베리 등), 사과, 배 등 혈당 지수가 낮은 과일 (적당량) 과일주스, 말린 과일 (당 함량 높음), 혈당 지수 높은 과일 (과량 섭취 시)
단백질 등푸른 생선 (고등어, 연어, 참치), 닭가슴살, 살코기, 계란, 두부, 콩류 붉은 육류 (과다 섭취), 가공육 (소시지, 햄 등)
지방 올리브유, 아보카도, 견과류 (호두, 아몬드 등, 땅콩은 일부 주의18), 씨앗류 (아마씨, 치아씨드 등) 트랜스지방 (마가린, 쇼트닝, 과자류), 포화지방 (버터, 동물성 지방 과다 섭취)
유제품 저지방 또는 무지방 우유, 플레인 요거트 (적당량, 개인에 따라 유제품 제한 고려19) 가당 요거트, 아이스크림, 고지방 유제품
음료 물, 허브차 (민들레차 등18) 탄산음료, 가당 주스, 커피믹스, 과도한 알코올
기타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튀김류, 설탕/시럽이 많이 첨가된 음식

주: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사 또는 영양사)와 상담하여 맞춤형 식단을 계획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3. 운동: PCOS 증상 완화 및 건강 증진 효과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PCOS 환자의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체중 관리를 도우며,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고, 기분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4.

  • 운동 종류: 유산소 운동(예: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과 저항성 운동(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4. 유산소 운동은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칼로리 소모를 도우며, 근력 운동은 근육량을 늘려 기초대사량을 높이고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운동 강도 및 시간: 일반적으로 주당 150분 이상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 또는 주당 75분 이상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과 함께, 주 2회 이상 주요 근육군을 포함하는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1. 하루 30분 걷기 또는 10분씩 3회 걷기와 같이 나누어 실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21.
  • 지속성 및 즐거움: 운동은 단기적인 목표 달성보다는 장기적인 생활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하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22. 처음부터 너무 거창한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을 늘리는 것(예: 계단 이용, 짧은 거리 걷기)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강도와 시간을 늘려나가는 것이 좋습니다22.

운동 계획은 개인의 체력 수준과 건강 상태,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의사, 운동 전문가 등)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의학적 도움 받기: PCOS 치료 옵션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증상 조절이 어렵거나, 난임, 심한 다모증, 심리적 문제 등 특정 문제 해결이 필요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병행될 수 있습니다. PCOS 치료는 환자의 주된 증상, 임신 계획 여부, 동반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맞춤형으로 진행됩니다2.

1. 증상에 따른 맞춤 치료

PCOS 치료는 환자가 현재 가장 불편하게 느끼거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불규칙한 월경 주기를 개선하고 싶은 경우, 다모증이나 여드름과 같은 피부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경우, 또는 임신을 원하는 경우 등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치료 접근법이 달라집니다2. 서울대학교병원2 등 주요 의료기관에서는 이러한 개별화된 치료 전략을 강조하며, 환자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목표를 설정합니다.

2. 약물 치료

PCOS의 여러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들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경구 피임약 (Oral Contraceptives – OCPs): 복합 경구 피임약은 PCOS 환자에게 가장 흔히 처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 복합제는 월경 주기를 규칙적으로 만들고, 자궁내막을 보호하여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을 줄이며7, 혈중 안드로겐 수치를 낮춰 여드름과 다모증 개선에도 도움을 줍니다723. 피임 목적 외에도 이러한 치료적 이점 때문에 PCOS 환자에게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만성 무배란으로 인한 자궁내막의 지속적인 에스트로겐 노출은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높이므로7, 주기적인 프로게스틴 투여나 경구 피임약 복용은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항안드로겐제 (Anti-androgens):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Cyproterone acetate; 한국에서는 주로 다른 약물과 복합된 형태로 사용) 등이 있으며, 주로 경구 피임약과 함께 사용되어 다모증이나 탈모 증상 개선에 쓰입니다2.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임신 중에는 금기입니다.
  • 메트포르민 (Metformin):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 특히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PCOS 환자, 또는 내당능 장애나 제2형 당뇨병이 동반된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24. 월경 주기 개선, 배란 유도 효과, 체중 감소 효과도 일부 보고되고 있습니다24.
  • 배란 유도제: 임신을 원하는 PCOS 여성에게 배란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클로미펜(Clomiphene citrate)이나 레트로졸(Letrozole)과 같은 경구 배란 유도제가 일차적으로 사용되며2, 이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생식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s) 주사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기타 국소 치료제: 여드름이나 다모증, 탈모에 대한 국소 치료(예: 여드름 연고, 미녹시딜 국소 도포2 등)가 약물 치료와 병행될 수 있습니다.

3. 최신 및 보조 치료 동향

PCOS 관리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과 보조 요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일부는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이노시톨 (Inositol – Myo-inositol, D-chiro-inositol): 이노시톨은 비타민 B군의 일종으로, 인슐린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고 난소 기능을 정상화하며 대사 지표를 호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 보충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2425. 미오-이노시톨과 D-키로-이노시톨의 적절한 비율(보통 40:1)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며24, 권장 용량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PCOS 환자에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특히 한국인과 같이 인슐린 저항성이 심하지 않은 PCOS 환자군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326. 따라서 이노시톨 복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태에 따른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이노시톨 사용에 대한 근거가 아직 제한적이고 결론적이지 않다고 언급하기도 합니다24.
  • GLP-1 수용체 작용제 (GLP-1 Receptor Agonists): 주로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GLP-1 수용체 작용제(예: 리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등)가 PCOS 환자의 체중 감량 및 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습니다1527. 특히 비만한 PCOS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으나28, PCOS 치료에 대한 공식적인 적응증은 아니며,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 비용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29.
  •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이 PCOS의 병태생리와 관련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나오면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건강 개선을 통해 염증 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 호르몬 균형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3031.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어 보조적인 관리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32.
  • 기타 보충제: 비타민 D 결핍은 PCOS 환자에게 흔하게 관찰되며, 비타민 D 보충이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및 난포 성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4.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 감소 및 지질 프로파일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고4, N-아세틸시스테인(NAC)과 같은 항산화제, 크롬, 마그네슘 등도 PCOS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433. 하지만 이러한 보충제 사용은 반드시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상의 후 결정해야 합니다.
  •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일부 난임 환자에게 복강경하 난소 천공술(Laparoscopic Ovarian Drilling, LOD)이 배란 유도를 위해 고려될 수 있습니다9. 또한, 고도 비만 환자에게는 비만대사 수술이 장기적인 체중 감량 및 대사 개선, PCOS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9.

다음 표는 PCOS 보조 및 최신 치료법에 대한 요약입니다.

치료법 (Therapy) 주요 효과 (Main Effects) 주요 근거/연구 (Key Evidence/Studies) 한국인 고려사항 (Considerations for Koreans)
이노시톨 (Inositol)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배란 기능 개선, 대사 지표 개선 24 (체계적 문헌 고찰), 34 인슐린 저항성 정도에 따라 효과 차이 가능성26. 백인에 비해 인슐린 저항성 유병률이 낮을 수 있는 한국인 특성 고려 필요3. 전문가 상담 후 개인 맞춤형 사용 권장.
GLP-1 수용체 작용제 체중 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 심혈관 위험 감소 15 (체계적 문헌 고찰), 35 (리뷰), 36 주로 비만한 PCOS 환자에게 고려. PCOS에 대한 공식 적응증은 아니므로 오프라벨 사용. 장기적 효과 및 안전성 연구 필요. 한국인 대상 연구37도 진행 중.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장내 미생물 균형 개선, 염증 감소, 인슐린 저항성 및 호르몬 불균형 개선 가능성 30 (체계적 문헌 고찰), 31, 32 보조적 관리 방법으로 고려. 효과에 대한 근거는 아직 축적 중. 균주 및 용량에 따른 효과 차이 가능성. 한국인 대상 연구 필요.
비타민 D 인슐린 저항성 개선, 염증 감소, 난포 성숙 및 배란 기능 개선 가능성 4, 33 PCOS 환자에서 비타민 D 결핍이 흔하게 관찰됨. 혈중 농도 검사 후 필요시 보충. 한국인에서도 비타민 D 부족이 흔함.
오메가-3 지방산 염증 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 지질 프로파일 개선, 안드로겐 수치 감소 가능성 4, 33 등푸른 생선, 견과류, 씨앗류 등 식품으로 섭취하거나 보충제 형태로 복용.

주: 위에 언급된 치료법들은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하며, 자가 치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PCOS, 장기적인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단순히 생리 불순이나 피부 트러블을 넘어, 전신적인 대사 이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장기적인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38. PCOS를 진단받았다면 단기적인 증상 조절뿐 아니라 평생 건강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합니다.

1. PCOS와 관련된 장기 건강 문제

PCOS 환자는 다음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은 PCOS의 핵심 병태생리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현저히 증가합니다239. PCOS 환자의 약 17.3%에서 내당능장애가 관찰된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3.
  • 심혈관 질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의 유병률이 높으며, 이는 죽상경화증을 진행시켜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2. 특히 한국인 PCOS 여성에서도 비만 여부와 관계없이 심뇌혈관 질환 위험 증가가 보고되었습니다40.
  • 자궁내막암: 만성적인 무배란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프로게스테론의 균형 작용(자궁내막 보호 작용)이 부족해지면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자궁내막증식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741.
  • 수면 무호흡증: 비만과 관련된 경우가 많으며, PCOS 환자에서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얕아지는 수면 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2.
  • 정신 건강 문제: 우울증,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수면 장애, 섭식 장애 등의 정신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9. 한국인 PCO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수면 장애의 위험 증가가 보고되었습니다4344. 이는 PCOS 증상으로 인한 스트레스, 사회적 위축감, 호르몬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임신 합병증: PCOS 여성이 임신할 경우 임신성 당뇨병, 임신중독증(전자간증), 조산, 유산 등의 위험이 일반 산모에 비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45.
  • 기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등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정기 검진의 중요성

PCOS는 만성 질환으로 평생 관리가 필요하므로, 위에서 언급된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수적입니다1. 검진 항목 및 주기는 개인의 연령, 증상, 위험 요인, 동반 질환 등에 따라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될 수 있는 검진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압 측정
  • 체질량 지수(BMI) 및 허리둘레 측정
  • 공복 혈당 및 당화혈색소 검사 (당뇨병 선별)
  • 지질 프로파일 검사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 자궁내막암 선별을 위한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 (필요시 자궁 초음파 및 자궁내막 조직검사)
  • 우울증 및 불안 선별 검사
  • 수면 무호흡증 선별 검사 (특히 비만하거나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과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PCOS와 관련된 장기적인 건강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인 PCOS 환자를 위한 맞춤 정보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인종 및 지역에 따라 유병률, 임상 양상, 동반 질환 등에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양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한국인 환자에게 특화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국내 PCOS 유병률 및 통계

국내 PCOS 유병률은 적용하는 진단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가임기 여성의 약 4.9%에서 15% 사이로 보고되고 있습니다1. 2003년 로테르담 기준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10.4%까지 보고되기도 했으며45, 국내 의과대학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NIH 기준 적용 시 4.9%의 유병률을 보였습니다45.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10대 PCOS 환자 수가 2015년 대비 2019년에 1.5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4647.

한국인 PCOS 환자는 서양인 PCOS 환자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점을 보입니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 PCOS 환자는 서양인에 비해 비만 유병률(BMI ≥25 kg/m²)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한 연구에서 25.6%45), 정상 체중이거나 마른 체형이라도 인슐린 저항성이나 대사 증후군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며, 심뇌혈관 질환 위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40. 10~30대 PCOS 환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1.9%로, 동일 연령대 일반 여성의 2.8배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45. 또한, 다모증과 같은 남성호르몬 과다의 임상적 발현이 서양인보다 덜 뚜렷할 수 있다는 특징도 보고되었습니다6. 이러한 인종적, 지역적 차이는 PCOS의 진단 기준 적용, 관리 전략 수립, 합병증 예방 등에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비만하지 않은 한국인 PCOS 환자에게는 체중 감량보다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을 위한 다른 접근법(예: 식단 조절, 특정 약물)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는 한국인 PCOS 관련 주요 통계 및 특징을 요약한 것입니다.

항목 (Item) 통계/내용 (Statistic/Content) 출처 (Source Snippet ID)
유병률 (로테르담 기준) 가임기 여성의 약 10.4% ~ 15% 1
유병률 (NIH 기준, 국내 의대 여학생 대상) 4.9% 45
10대 환자 증가 추세 (2015년 대비 2019년) 1.5배 증가 4647
대사증후군 유병률 (10-30대 PCOS 환자) 11.9% (동일 연령대 일반 여성의 2.8배) 45
내당능장애 유병률 (PCOS 환자, 한 연구 결과) 17.3% 3
비만 유병률 (BMI ≥25 kg/m², 한 연구) 서양 여성에 비해 낮은 편 (25.6%) 45
다모증 발현 빈도 서양 여성에 비해 낮은 편 648
심뇌혈관 질환 위험 증가 (비만 여부와 관계없이) 40
정신 건강 문제 위험 (우울, 불안, 수면 장애 등) 증가 4344

주: 위 통계는 특정 연구 결과에 기반하며, 연구 대상 및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국내 전문가 의견 및 관련 학회 정보

국내에서도 다수의 산부인과 및 내분비내과 전문의들이 PCOS 연구와 진료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성연아 교수는 한국인 PCOS 환자의 유전체 연구 및 임상 특징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국내 PCOS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36. 또한 대림성모병원 허인석 과장49, 서울대학교병원2, 서울아산병원50, 삼성서울병원51 등 주요 병원의 의료진들이 PCOS 환자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련 학회로는 대한산부인과학회252, 대한내분비학회353, 대한비만학회916, 대한생식의학회54, 대한보조생식학회55 등이 있으며, 이들 학회에서는 PCOS 관련 연구 발표, 학술대회 개최, 진료 지침 개발 및 보급 등을 통해 국내 PCOS 진료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전문가 및 학회의 최신 정보와 권고 사항을 참고하는 것은 PCOS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3. 환자 지원 그룹 및 커뮤니티

PCOS는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어려움을 동반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 간의 정보 공유와 정서적 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국내에는 네이버 카페56, 블로그57 등을 중심으로 PCOS 환자들이 경험을 나누고 서로 지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에서는 치료 경험, 생활 관리 노하우, 식단 정보, 운동 방법, 정서적 어려움 극복 방법 등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줍니다.

이러한 국내 환자 커뮤니티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과 더불어, 필요한 경우 국제적인 환자 지원 단체(예: PCOS Challenge58, myPCOSteam59)의 정보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외 정보의 경우 국내 의료 시스템 및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 지원 그룹이나 커뮤니티 활동은 PCOS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의학적인 진단과 치료를 대체할 수는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모든 의학 정보, 치료법, 보충제 등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나 특정 상황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습니다. 어떠한 건강 문제나 의학적 상태에 대한 진단,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의사, 한의사 등)와 직접 상담하십시오.
  • 의사 또는 기타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무시하거나, 본 웹사이트에서 얻은 정보 때문에 그러한 조언을 구하는 것을 미루지 마십시오. 응급 상황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의사에게 연락하거나 119에 전화하십시오.
  • 식이요법, 운동 계획, 또는 보충제 섭취를 시작하거나 변경하기 전에는 항상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건강 관리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특히 임신 중이거나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의사와 환자 간의 관계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KRHOW.COM은 제공된 정보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PCOS 진단을 받으면 평생 약을 먹어야 하나요?

PCOS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는 개인의 증상, 건강 상태, 임신 계획 여부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집니다2. 생활 습관 개선(식단 조절, 규칙적인 운동, 체중 관리)만으로도 증상이 잘 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14. 약물 치료는 생리 불순, 다모증, 여드름, 난임, 인슐린 저항성 등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구 피임약은 생리 주기를 규칙적으로 만들고 남성호르몬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지만7, 임신을 계획하는 시기에는 중단해야 합니다. 메트포르민은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24. 중요한 것은 정기적으로 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상태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고,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 여부와 기간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PCOS는 만성 질환이므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며, 약물 치료 외에도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가 핵심입니다.

PCOS가 있으면 임신이 불가능한가요?

PCOS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PCOS는 배란 장애를 유발하여 난임의 흔한 원인이 되기는 하지만8, 많은 PCOS 여성들이 성공적으로 임신하고 건강한 아이를 출산합니다. PCOS로 인한 난임의 경우, 생활 습관 개선(특히 체중 감량15)을 통해 자연 배란이 회복되기도 하며, 필요한 경우 클로미펜이나 레트로졸과 같은 경구 배란 유도제를 사용하거나2, 생식선자극호르몬 주사, 또는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과 같은 보조생식술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PCOS 진단을 받았다면 임신 계획 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미리 상담하여 배란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임신 가능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또한, PCOS 여성은 임신 중 임신성 당뇨병이나 임신중독증의 위험이 다소 높을 수 있으므로45, 임신 기간 동안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COS에 좋다고 하는 특정 음식이나 영양제가 정말 효과가 있나요?

PCOS 관리에 있어 “특정 음식 하나”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식단의 질과 균형입니다. 저혈당 지수 식품, 통곡물, 채소, 건강한 지방, 적절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균형 잡힌 식단이 인슐린 저항성 개선과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4. 이노시톨24, 비타민 D4, 오메가-3 지방산4 등 일부 영양제가 PCOS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과학적 근거가 아직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노시톨은 일부 PCOS 환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심하지 않은 한국인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326. 따라서 특정 음식이나 영양제에 의존하기보다는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이며, 보충제 섭취를 고려한다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태와 필요에 맞는지, 안전한지, 그리고 적절한 용량은 얼마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 판단으로 무분별하게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도 PCOS에 영향을 미치나요? 스트레스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PCOS 증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데,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식욕을 증가시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PCOS 자체가 여러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동반하므로9, 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상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COS 관리에는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에 매우 효과적이며4, 요가, 명상, 심호흡과 같은 이완 요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건강한 취미 활동을 즐기는 것도 스트레스 관리에 긍정적입니다. 만약 스트레스나 우울감, 불안감이 심하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심리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십시오. 이는 PCOS 관리의 전반적인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PCOS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현재까지 PCOS를 완전히 “완치”하는 개념의 치료법은 없습니다. PCOS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성 질환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3. 하지만 이는 절망적인 이야기가 아닙니다. 비록 완치는 어렵더라도, PCOS는 생활 습관 개선, 적절한 약물 치료,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14.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는 PCOS 관리의 핵심이며, 이를 통해 많은 여성들이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15. 중요한 것은 PCOS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단기적인 치료에만 집중하기보다는 평생 건강을 위한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입니다. 의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관리 전략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가임기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와 적극적인 관리가 있다면 충분히 증상을 조절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 살펴보았듯이, PCOS는 호르몬 불균형, 인슐린 저항성,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생리 불순, 다모증, 여드름, 난임, 대사 이상 등 개인마다 다른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진단 기준과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개별 맞춤형 관리 계획의 시작점이 됩니다.

PCOS 관리의 핵심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입니다.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호르몬 균형을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의학적 치료가 병행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PCOS는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자궁내막암 등 장기적인 건강 문제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한 예방과 조기 발견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한국인 PCOS 환자의 경우, 서양인과는 다른 임상적 특징을 보일 수 있으므로 국내 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정보 습득이 중요합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PCOS를 비롯한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해 신뢰할 수 있고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한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PCOS 진단이 절망이 아닌, 건강한 삶을 향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질병관리청. 다낭성 난소 증후군.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971 (2025년 5월 25일 접속).
  2. 서울대학교병원.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N의학정보. http://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3 (2025년 5월 25일 접속).
  3. 성연아.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J Korean Endocr Soc. 2007;22(4):252-259.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RGF0YS9QREZEYXRhLzAwMDhKS0VTL2prZXMtMjItMjUyLnBkZg==&filename=amtlcy0yMi0yNTIucGRm (2025년 5월 25일 접속).
  4. Barrea L, Arnone A, Annunziata G, et al. The Role of Lifestyle Interventions in PCOS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Nutrients. 2025;17(2):310. doi:10.3390/nu17020310. https://www.mdpi.com/2072-6643/17/2/310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https://pubmed.ncbi.nlm.nih.gov/39861440/ 에서도 확인 가능)
  5. 대한산부인과학회. 다낭성난소증후군과 치료지침 (환자설명용). 불임 클리닉(여성) – 카페. https://cafe.daum.net/cjobgy/FBaX/82 (2025년 5월 25일 접속). (원문 출처: 대한산부인과학회)
  6. 성연아. [다낭난소증후군 명의] 이대목동병원 성연아 교수 “생리불순 여성은 꼭 검사를”. 헬스조선 블로그. https://blog.naver.com/h-chosun/223753574802 (2025년 5월 25일 접속).
  7. LETHER – 렛허. 다낭성난소증후군과 함께 살아가기(feat. 피임약 야즈 치료 후기). https://lether.kr/special/%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EA%B3%BC-%ED%95%A8%EA%BB%98-%EC%82%B4%EC%95%84%EA%B0%80%EA%B8%B0feat-%ED%94%BC%EC%9E%84%EC%95%BD-%EC%95%BC%EC%A6%88-%EC%B9%98%EB%A3%8C-%EC%9B%84%EA%B8%B0/ (2025년 5월 25일 접속).
  8. 하이닥. 난임 원인 ‘다낭성 난소증후군’…개선 위한 생활습관은?.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14 (2025년 5월 25일 접속).
  9. 대한비만학회. [PCOS]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와 관련된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대한 새로운 치료적 접근법. 네이버 블로그 (beanalogue). https://blog.naver.com/beanalogue/221266159883?viewType=pc (2025년 5월 25일 접속). (원문: 대한비만학회 학술대회 자료 등)
  10. 이영아. 다낭난소증후군의 진단. 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2018;11(3): (통권 40호). https://www.endocrinology.or.kr/webzine/201803/sub1.html (2025년 5월 25일 접속).
  1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월경이 불규칙하고 털이 많아요 – 다낭성 난소 증후군. 건강정보.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media/card.do?mode=view&articleNo=67362&title=%EC%9B%94%EA%B2%BD%EC%9D%B4+%EB%B6%88%EA%B7%9C%EC%B9%99%ED%95%98%EA%B3%A0+%ED%84%B8%EC%9D%B4+%EB%A7%8E%EC%95%84%EC%9A%94+-+%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 (2025년 5월 25일 접속).
  12. 대한내분비학회. 다낭난소증후군의 최신 치료지침. J Korean Diabetes. 2015;16(3):194-200.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78jkd/jkd-16-194.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13.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청소년기의 다낭성 난소증후군.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2008;13(1):21-26. https://e-apem.org/upload/pdf/jkspe-13-21.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14. Facts About Fertility. Metabolic Implications & Nutritional Management of PCOS: A Review of Research. https://www.factsaboutfertility.org/metabolic-implications-nutritional-management-of-pcos-a-review-of-research/ (2025년 5월 25일 접속).
  15. Hosseini S, Ghelich R, Gaskari A, et al. Effect of Weight Loss Interventions on the Symptomatic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Med. 2024;13(12):3504. doi:10.3390/jcm13123504. https://pubmed.ncbi.nlm.nih.gov/39496172/ (2025년 5월 25일 접속).
  16.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2. https://general.kosso.or.kr/html/user/core/view/reaction/main/kosso/inc/data/guideline2022_vol8.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2018년 요약본 확인 가능)
  17. Kazemi M, McBreairty LE, Zello GA, et al. Dietary Patterns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dv Nutr. 2022;13(1):117-130. doi:10.1093/advances/nmab10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43565/ (2025년 5월 25일 접속).
  18. 산부인과 의사 정인. 다낭성난소증후군 좋은 음식, 식이요법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nginomc/221022711404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유튜브 영상블로그 글 참고)
  19. Johns Hopkins Medicine. PCOS Diet.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wellness-and-prevention/pcos-diet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미국 보훈부 자료Healthline 자료 참고)
  20. 마인성형외과. 유제품과 여드름: 우유, 치즈가 정말 문제일까?. https://mineps.com/blog/%EC%9C%A0%EC%A0%9C%ED%92%88%EA%B3%BC-%EC%97%AC%EB%93%9C%EB%A6%84-%EC%9A%B0%EC%9C%A0-%EC%B9%98%EC%A6%88%EA%B0%80-%EC%A0%95%EB%A7%90-%EB%AC%B8%EC%A0%9C%EC%9D%BC%EA%B9%8C/ (2025년 5월 25일 접속).
  21. 뉴트리몰. 다낭성난소증후군 다이어트 방법. https://newtreemall.co.kr/magazine/view?id=custom_bbs2&seq=144416 (2025년 5월 25일 접속).
  22. 자윤한의원. 다낭성 난소증후군, 어떤 생활관리가 필요할까요?. http://i-jayoon.co.kr/mobile/introduce/introduce_5.asp?mode=view&idx=10685&page=49&seritemidx=&artistidx=&serboardsort=&search=1&searchstr=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유튜브 영상 참고)
  23. 나를 지키는 여성건강. 다낭 난소 증후군에서 피임약 쓰는 게 의미가 있나요?.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timmy87/222988100232 (2025년 5월 25일 접속).
  24. Teede H, Tay C, Laven J, et al. Inositol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Inform the 2023 Update of the International Evidence-based PCOS Guidelines. J Clin Endocrinol Metab. 2024;109(4):1011-1022. doi:10.1210/clinem/dgad726. https://pubmed.ncbi.nlm.nih.gov/38163998/ (2025년 5월 25일 접속).
  25. 산부인과 전문의 체리쉬.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의 이노시톨(inositol) 효능.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herish2013/220898622408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유튜브 영상, 블로그 글 참고)
  26. 김반달 약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영양제 이노시톨 어떤 경우에 효과 있을까.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bandal2580/222483488789 (2025년 5월 25일 접속).
  27. Al-Qahtani S, Rivas AM, Germeyer A, et al. The Potential Role of Glucagon-Like Peptide-1 (GLP-1) Agonists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Int J Mol Sci. 2024;25(12):6397. doi:10.3390/ijms25126397. https://pubmed.ncbi.nlm.nih.gov/40007927/ (2025년 5월 25일 접속).
  28. Data Bridge Market Research.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치료 시장 수요 및 2029년까지 예측. https://www.databridgemarketresearch.com/ko/reports/global-polycystic-ovarian-syndrome-pcos-treatment-market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글로벌인포메이션 자료 참고)
  29. KB자산운용. 당뇨, 비만에 이은 GLP-1의 무한한 확장성 (비만치료제 4부). https://m.kbam.co.kr/board/view/608?srchTxt=&srchSel=&ctgry=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히트뉴스 기사 참고)
  30. Hong Y, Kim H, Kim JY, et al. Probiotics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A Perspective for Management in Adolescents with Obesity. Nutrients. 2023;15(14):3202. doi:10.3390/nu1514320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84396/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PubMed 자료 참고)
  31. Illiano E, VerMilyea M, Lee M, et al. Effectiveness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in Managing Insulin Resistance and Hormonal Imbalanc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Nutrients. 2024;16(22):3916. doi:10.3390/nu16223916. https://www.mdpi.com/2072-6643/16/22/3916 (2025년 5월 25일 접속).
  32. Santamaria C, Coricovac D, Gantu C, et al. Probiotic supplement for the treatment of polycystic ovarian syndrome. Front Med (Lausanne). 2024;11:1420927. doi:10.3389/fmed.2024.1420927. https://pubmed.ncbi.nlm.nih.gov/39719172/ (2025년 5월 25일 접속).
  33. Khatun S, Begum S, Islam A, et al. Nutritional Manage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A Review. Biomed Pharmacol J. 2025;18(1). https://biomedpharmajournal.org/vol18no1/nutritional-management-of-polycystic-ovary-syndrome-pcos-a-review/ (2025년 5월 25일 접속).
  34. Facchinetti F, Orrù B, Grandi G, Unfer V. High Doses of D-Chiro-Inositol Alone Induce a PCO-Like Syndrome and Other Alterations in Mouse Ovaries. J Ovarian Res. 2021;14(1):73. doi:10.1186/s13048-021-00821-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198710/ (2025년 5월 25일 접속).
  35. Hui L, Xu L, Tao M, et al. Unravelling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Its Comorbiditie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3;38(41):e338.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3384b7f5bded56f97ecd42904f0c5d65 (2025년 5월 25일 접속).
  36. BMJ Medicine. Polycystic ovary syndrome: pathophysiology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https://bmjmedicine.bmj.com/content/2/1/e000548 (2025년 5월 25일 접속).
  37. Lee SR, Kim H, Kim Y, et al. Effectiveness of adding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on diabetes complications and mortality among basal insulin-treated people with type 2 diabetes: A real-world Korean study. Diabetes Obes Metab. 2024;26(12):4001-4011. doi:10.1111/dom.15794. https://pubmed.ncbi.nlm.nih.gov/40117955 (2025년 5월 25일 접속).
  38. 헬스조선. 월경 잘 안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 OO 위험 높인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20902016 (2025년 5월 25일 접속).
  39. 대한산부인과학회.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내과적 진단과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2006;49(1):34-44. https://www.ekjm.org/upload/067004356.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40. Kim JJ, Choi YM, Choung SH, et al. Risk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is increased in Kore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nationwide cohort study. Fertil Steril. 2024;121(3):538-546. doi:10.1016/j.fertnstert.2023.12.016. https://pubmed.ncbi.nlm.nih.gov/38212642/ (2025년 5월 25일 접속).
  41.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월경이상 클리닉.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B/1526/1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건강바이블 자료 참고)
  42. Women’s Health.gov. Polycystic ovary syndrome. https://www.womenshealth.gov/a-z-topics/polycystic-ovary-syndrome (2025년 5월 25일 접속).
  43. Lee H, Kim Y, Lee I, et al. Risk of Mental Disorder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a Korean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Int J Womens Health. 2024;16:1077-1087. doi:10.2147/IJWH.S490673.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2147/IJWH.S490673 (2025년 5월 25일 접속).
  44. Kim YJ, Lee H, Lee I, et al. Risk of Mental Disorder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a Korean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40061289/ (2025년 5월 25일 접속).
  45.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4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리법’.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941477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국가건강정보포털 뉴스레터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참고)
  46. YTN. 10대 여성 ‘다낭성난소증후군’ 발병률 증가…검진 필수. https://www.ytn.co.kr/_ln/0105_202104081355070228 (2025년 5월 25일 접속).
  4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 166번 게시물 (원자료 확인 필요). https://opendata.hira.or.kr/or/ora/selectPubRsrcTaskList.do%3BHIRAOD_SESSION=60NaNdxYiBTqdZO1ff7aw8e57hvkUTBrkHf8qc8rl-cIrYhdkpnz!394547161!NONE?pageIndex=166 (2025년 5월 25일 접속). (사용자 제공 링크이나, 실제 내용 확인 및 직접 인용은 원자료 접근 후 가능함)
  48. 유앤그린여성한의원. 한국형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은 좀 달라야한다. https://you-green.com/%EC%97%AC%EC%84%B1%ED%95%9C%EC%9D%98%ED%95%99-%EA%B0%95%EC%9D%98%EB%A1%9D/%ED%95%9C%EA%B5%AD%ED%98%95-%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EC%A7%84%EB%8B%A8%EC%9D%80-%EC%A2%80-%EB%8B%AC%EB%9D%BC%EC%95%BC%ED%95%9C%EB%8B%A4-%EB%8C%80/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다른 페이지관련 블로그 참고)
  49. 대림성모병원. [Dr. talk talk] 산부인과 허인석 과장 인터뷰.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ppydrh/222447335864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병원 홈페이지 참고)
  50. 서울아산병원. 다낭성 난소 증후군.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3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슈도모나스 감염질환백과 목록 참고)
  51. 삼성서울병원. 불규칙한 생리 주기, 다낭난소증후군이 그 원인? 다낭난소증후군 진단 기준과 치료법까지 /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김성은 교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ohhappysmc/223452165796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병원 건강정보건강정보 메인 참고)
  52. 대한산부인과학회. 불임 검사 및 치료. https://www.ksog.org/bbs/skin/brief/download.php?code=brief&number=2547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제61차 연수강좌, 제103차 학술대회, 제57차 연수강좌 참고)
  53. 대한내분비학회. 2022년 개원의 연수강좌 Q&A. https://endocrinology.or.kr/workshop/202202/qna/?code=202202&gubun=3&category=E (2025년 5월 25일 접속). (또한 Endocrine Week 2018, 소식지 No.24 참고)
  54. 대한생식의학회. 한국인 여성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발생 위험도와 Catechol-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과. https://www.ksfs.or.kr/thesis/files/3302097.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55. 대한보조생식학회. 제 1차 다낭성 난소증후군 심포지움 프로그램. https://kosar.org/assets/conference/Symposium/download/program.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56. 네이버 블로그 (a0024018). 20대 생리불순 다낭성난소증후군 3년의 기록:: 치료법(극복법), 비만, 피임약,검사(초음파),다이어트 후기!. https://blog.naver.com/a0024018/221628860479 (2025년 5월 25일 접속).
  57. 산부인과 전문의 체리쉬.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요~.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herish2013/221040174486?viewType=pc (2025년 5월 25일 접속).
  58. PCOS Challenge. PCOS Support – Join PCOS Challenge. https://m.pcoschallenge.org/pcos-support/ (2025년 5월 25일 접속).
  59. myPCOSteam. myPCOSteam: PCOS Support Online | PCOS Social Network. https://www.mypcosteam.com/ (2025년 5월 25일 접속).
  60.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진료질환정보(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3 (2025년 5월 25일 접속).
  6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ian syndrome]. 건강정보.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607&title=%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5BPolycystic+ovarian+syndrome%5D (2025년 5월 25일 접속).
  62. 오늘 하루도 즐거운 날.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polycystic ovarian syndrome)의 발병원인/기전과 치료이해: 클로미펜(clomiphen)의 원리 등.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aytoday_life/221698029858 (2025년 5월 25일 접속).
  63. 대한비만학회. 다낭성 난소증후군과 비만. J Obes Metab Syndr. 2000;9(1):19-26. https://www.jomes.org/journal/download_pdf.php?spage=19&volume=9&number=1 (2025년 5월 25일 접속).
  64. 중앙일보. “생리불순 환자 60%는 PCOS, 난임·당뇨병·고혈압으로 이어져”. https://www.joongang.co.kr/article/19198765 (2025년 5월 25일 접속).
  65.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질병예방센터. 다낭성 난소 증후군. 국민건강지식센터. https://hqcenter.snu.ac.kr/archives/jiphyunjeon/%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 (2025년 5월 25일 접속).
  66. 경상북도. 다낭성 난소 증후군, 증상부터 관리법까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yeongbuk_official/223870750136?fromRss=true&trackingCode=rss (2025년 5월 25일 접속).
  67. Ginekol Pol. Prevalence and diagnosi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in Poland and worldwide. https://journals.viamedica.pl/ginekologia_polska/article/view/98849 (2025년 5월 25일 접속).
  68. 해피문데이. 여성건강 블로그 |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ttps://happymoonday.com/blog/85/ (2025년 5월 25일 접속).
  69. 힐스칼프. 여성탈모-다낭성난소증후군(PCOS). https://healscalp.co.kr/%EC%97%AC%EC%84%B1%ED%83%88%EB%AA%A8-%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pcos/ (2025년 5월 25일 접속).
  70. Kordowitzki P, Wieczorek E, Zoledziewska J, et al. Effect of Dietary Regimen on the Develop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A Narrative Review. Nutrients. 2023;15(20):4440. doi:10.3390/nu15204440.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595043/ (2025년 5월 25일 접속).
  71. 미라클 통합기능의학 센터.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https://healbody.co.kr/%EB%8B%A4%EB%82%AD%EC%84%B1%EB%82%9C%EC%86%8C%EC%A6%9D%ED%9B%84%EA%B5%B0pcos/ (2025년 5월 25일 접속).
  72.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생리불순이 자주 나타난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의심되니 병원에 가보세요!.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blood_info/222594982717 (2025년 5월 25일 접속).
  73. 차병원. 난임 시술 전 먹어야 하는 음식과 영양제. CHA매거진. https://m.chamc.co.kr/media/magazine_youtube.cha?idx=401 (2025년 5월 25일 접속).
  74. RISS. 대구.경북 지역 한국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임상 양상.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33c97b30b98070cc85d2949c297615a (2025년 5월 25일 접속).
  75. 한국의약학연구소.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임상 연구 고찰.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2215857678948.pdf (2025년 5월 25일 접속).
  76. RISS. 최신임상강좌 : 다낭성 난소 증후군.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b7fb82bc50be211ffe0bdc3ef48d419 (2025년 5월 25일 접속).
  77. 헬스케어N. 커피 원두 성분, 다낭성 난소증후군 女의 콜레스테롤중성지방 수치 ↓. https://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477966 (2025년 5월 25일 접속).
  78. 인하대학교병원. 건강 칼럼 – 다낭성 난소 증후군, 증상부터 관리법까지 알려드립니다!. https://health.inha.ac.kr/bbs/health/2693/150762/artclView.do?layout=unknown (2025년 5월 25일 접속).
  79. Papadakis G, George M, Jivraj N, et al. Metabolic syndrom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Diabet Med. 2019;36(2):167-177. doi:10.1111/dme.13856. https://pubmed.ncbi.nlm.nih.gov/30339316/ (2025년 5월 25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