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평균 달리기 속도는 얼마입니까? 그것은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까?
보건의료

인간의 평균 달리기 속도, 정말 15km/h일까요? KRHOW와 함께 진실을 알아봅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일반인의 평균 달리기 속도는 알려진 15km/h가 아니며, 실제 레크리에이션 주자의 선호 속도는 성별에 따라 약 9.86~11.7km/h 수준입니다 (Selinger et al. 연구 기반).
  • 달리기 속도는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훈련 수준,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달리기 효율성 및 생체역학적 요인 등 매우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 달리기는 체중 관리, 심혈관 건강 개선, 정신 건강 증진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제공하지만, 부상 위험을 인지하고 대한스포츠의학회 등의 전문가 조언에 따라 예방 전략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목표 설정, 점진적 훈련, 올바른 자세 유지가 필수적이며, 필요시 국내 스포츠의학 전문가(예: 문창원, 박원하 교수)의 상담이 권장됩니다.

많은 사람이 “인간의 평균 달리기 속도는 시속 15km”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가 정말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준일까요? KRHOW.COM은 이 궁금증을 해결하고 달리기 속도에 대한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고자 합니다. 본 문서는 국내외 전문 연구 자료와 공신력 있는 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달리기 속도의 진정한 의미와 그것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안전하게 속도를 향상하는 전략까지 심층적으로 탐구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은 이 글을 통해 자신의 달리기 능력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를 높이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얻게 될 것입니다.

달리기 속도, 무엇이 “평균”을 결정짓는가?

일반인의 평균 달리기 속도: 다양한 연구 결과 비교

달리기 속도에 대해 이야기할 때, 단 하나의 “평균” 수치를 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개인의 신체 조건, 훈련 수준, 나이, 성별 등 수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연구와 자료를 통해 일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의 평균 달리기 속도는 시속 8~12k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18. 오정본병원 블로그에서는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는 달리기 속도를 시속 8~15km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12. 질병관리청(KCDC)은 시속 8km 이상을 고강도 달리기 운동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13.

최근 연구 중 주목할 만한 것은 Selinger 등이 2022년에 발표한 대규모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4,645명의 레크리에이션 주자들을 분석하여, 그들이 선호하는 평균 달리기 속도가 여성의 경우 약 시속 9.86km(2.74m/s), 남성의 경우 약 시속 11.7km(3.25m/s)임을 밝혔습니다4. 이 연구에서 관찰된 전체적인 속도 범위는 시속 5.4km(1.5m/s)에서 시속 19.8km(5.5m/s) 사이였습니다4.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시속 15km가 인간의 평균 달리기 속도’라는 통념이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주자들에게는 해당되지 않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Selinger의 연구는 실제 달리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주자들에게 더 현실적인 “평균” 속도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4.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달리기 속도 차이

달리기 속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국내 자료에 따르면 100m 단거리 달리기 기록에서 연령 및 성별 차이가 나타납니다16. 예를 들어, 20대 남성의 100m 평균 기록은 약 8.13m/s (시속 29.27km), 20대 여성은 약 7.25m/s (시속 26.1km)로 나타났습니다16. 다만, 이는 단거리 전력 질주 기록이므로 지구력 달리기 속도와는 구분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데이터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잠재적인 최고 속도의 경향성을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국제 연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확인됩니다. Selinger 등의 연구는 나이가 들수록 속도가 감소하고,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느리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4. Maffulli 등의 2009년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빠르게 달리며, 이러한 차이는 15세 이후에 더욱 두드러진다고 보고했습니다14. 이러한 자연스러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자신의 달리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훈련 수준별 달리기 속도: 레크리에이션 주자부터 엘리트 선수까지

훈련 수준은 달리기 속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2005년 장기언 교수의 국내 연구에서는 훈련 수준에 따라 주자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15:

  • 일반 조깅하는 사람(Jogger): 시속 8~10km
  • 스포츠 주자(Sports Runner): 시속 12~14km
  • 장거리 주자(Long Distance Runner): 시속 15~16km
  • 엘리트 마라토너(Elite Marathoner): 시속 17~20km

국제적으로 Barnes & Kilding (2015)의 연구는 다양한 훈련 수준의 주자들의 달리기 경제성(RE)과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다양한 속도에서 측정했습니다3. 레크리에이션 주자는 시속 10~14km에서 테스트되었고, 중간 수준 훈련자는 시속 12~16km, 고강도 훈련자 및 엘리트 선수는 시속 20km까지 테스트되었습니다3.

이러한 분류에 따르면, 시속 15km는 국내 기준으로 “장거리 주자”에 해당하거나15, 국제 기준으로 “중간 수준 훈련자”의 상위권 또는 “고강도 훈련자” 수준에 해당합니다3. 이는 시속 15km가 일반적인 사람들의 평균 속도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훈련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속도이지만, 훈련되지 않은 일반 인구의 평균적인 모습은 아닙니다.

표1: 일반인, 연령/성별, 훈련 수준별 평균 달리기 속도 비교 (km/h)
*(자료 출처: Selinger et al. (2022)4, rand3_com 블로그 (2023)16, 장기언 (2005)15, Barnes & Kilding (2015)3, miraeinfo.tistory.com18, 질병관리청(KCDC)13)*
분류 평균 속도 (km/h) 출처
여성 레크리에이션 주자 (선호 속도) 약 9.86 Selinger et al. (2022)4
남성 레크리에이션 주자 (선호 속도) 약 11.7 Selinger et al. (2022)4
20대 한국 남성 (100m 단거리) 약 29.27 (8.13 m/s 기준) rand3_com 블로그 (2023)16
20대 한국 여성 (100m 단거리) 약 26.1 (7.25 m/s 기준) rand3_com 블로그 (2023)16
일반 조깅 주자 (Jogger – 한국) 8 – 10 장기언 (2005)15
스포츠 주자 (Sports Runner – 한국) 12 – 14 장기언 (2005)15
장거리 주자 (Long Distance Runner-HQ) 15 – 16 장기언 (2005)15
엘리트 마라토너 (Elite Marathoner – HQ) 17 – 20 장기언 (2005)15
국제 중간 수준 훈련 선수 12 – 16 (테스트 속도) Barnes & Kilding (2015)3
일반인 추정치 8 – 12 miraeinfo.tistory.com18
고강도 달리기/조깅 (KCDC) ≥ 8 KCDC13

나의 달리기 속도, 무엇이 영향을 미칠까?

생리적 요인: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유전적 특성

앞서 언급했듯이, 나이와 성별은 달리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생리적 요인입니다4, 14, 16. 일반적으로 젊을수록, 그리고 남성이 여성보다 빠른 경향이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BMI) 또한 중요한 변수입니다. Selinger 등의 연구4와 국내 한 연구17에 따르면 BMI가 높을수록 달리기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유전적 특성, 예를 들어 근섬유 유형 등도 달리기 능력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복잡한 문제입니다16.

최대산소섭취량(VO2max)과 달리기 효율성(Running Economy)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지구력 운동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생리 지표로, 단위 시간당 체중 1kg당 섭취할 수 있는 최대 산소량을 의미합니다19. VO2max가 높을수록 더 오랫동안 높은 강도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Barnes & Kilding의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주자들의 VO2max 범위를 제시했으며3, 여러 연구에서 훈련을 통해 VO2max를 향상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20, 21.

달리기 효율성(Running Economy, RE)은 일정한 준최대 속도로 달릴 때 필요한 산소 소모량으로 정의됩니다19. 달리기 효율성이 좋다는 것은 동일한 속도를 내는 데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의미입니다. 훈련, 생체역학, 신체 계측적 요인 등이 달리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19. Barnes & Kilding의 연구는 달리기 효율성에 대한 데이터도 제공합니다3. VO2max와 달리기 효율성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속도 수치를 넘어, 왜 그렇게 달릴 수 있는지에 대한 생리학적 배경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속도 향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신체가 어떻게 적응하는지 이해함으로써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소 전문적일 수 있지만, 달리기 속도가 단순한 노력이 아닌 생리적 효율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줍니다3, 19.

생체역학적 요인: 달리기 자세, 보폭, 착지법

효율적인 생체역학은 에너지 낭비를 줄여 달리기 속도와 지구력 향상에 기여합니다19. 곡선 주로를 달릴 때는 보폭과 빈도를 조절해야 합니다22. 착지법 또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한스포츠의학회는 속도와 아킬레스건 건강 상태에 따라 발뒤꿈치, 발 중간, 또는 발 앞부분 착지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것을 권고합니다23. 오정본병원 블로그에서는 올바른 달리기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12. 보폭이 너무 좁으면 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24. 올바른 자세와 효율적인 움직임은 속도 향상뿐 아니라 부상 예방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대한스포츠의학회와 같은 국내 전문가들의 조언은 한국인 주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2, 23. 잘못된 자세는 속도를 제한하고 부상 위험을 높입니다.

훈련과 생활 습관의 영향

규칙적인 훈련은 앞서 언급된 생리적 및 생체역학적 요인들을 개선합니다19. 대한스포츠의학회는 충분한 휴식과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23, 오정본병원 블로그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적절한 수분 공급의 필요성을 언급합니다12. 건강한 생활 습관은 전반적인 달리기 능력 향상의 기초가 됩니다.

건강을 위한 달리기: 한국인을 위한 효과, 위험 관리 및 권장 사항

달리기는 단순한 운동을 넘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활동입니다.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달리기의 다양한 건강 효과와 함께, 발생 가능한 위험을 관리하고 한국인에게 맞는 달리기 권장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달리기의 놀라운 건강 효과: 과학적 근거 중심

여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들은 달리기의 긍정적인 건강 효과를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Hespanhol Junior 등의 2015년 연구에 따르면, 지구력 달리기는 체중 약 3.3kg 감소, 체지방률 약 2.7% 감소, 안정 시 심박수 분당 약 6.7회 감소, 중성지방 약 16.9mg/dl 감소, 그리고 최대산소섭취량(VO2max) 약 7.1ml/min/kg 증가, HDL 콜레스테롤 약 3.3mg/dl 증가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습니다5, 6. 또 다른 메타분석에서도 신체 활동이 적은 성인의 경우 지구력 달리기가 체중, 체지방률, 안정 시 심박수, VO2max,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

국내 관점에서 본 달리기의 이점 또한 다양합니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달리기는 다리와 허리의 노화 방지, 면역력 강화, 성인병 예방(LDL 콜레스테롤 감소, HDL 콜레스테롤 증가), 변비/치질/정맥류 완화, 뇌 노화 방지, 우울증 치료(러너스 하이, 베타 엔도르핀 분비), 안정 시 심박수 감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며 박원하 교수의 의견을 인용했습니다25. 보건복지부(MOHW) 블로그는 달리기의 효과로 체중 관리, 심혈관 건강 개선, 근력 및 지구력 증진, 혈압/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당뇨병 예방 등을 제시했습니다26. 정신 건강 측면에서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완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감소, 엔도르핀 분비, 수면의 질 향상, 성취감 및 자기 효능감 향상 등의 효과가 강조되었습니다26.

표2: 달리기의 주요 건강 효과 요약 및 근거 수준
*(자료 출처: Hespanhol Junior et al. (2015)5, 6,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5, 보건복지부(MOHW) 블로그26)*
건강 효과 구체적 결과 (예시) 근거 자료 (예시) 근거 수준 (예시)
체중 감소 평균 3.3kg 체중 감소 Hespanhol Junior et al. (2015)6 메타분석
체지방 감소 평균 2.7% 체지방 감소 Hespanhol Junior et al. (2015)6 메타분석
심혈관 건강 개선 안정 시 심박수 감소 (-6.7bpm), 혈압 감소, LDL 콜레스테롤 감소, HDL 콜레스테롤 증가 Hespanhol Junior et al. (2015)6; MOHW26;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5 메타분석, 정부 보고서
최대산소섭취량 (VO2max) 증가 평균 7.1 ml/min/kg 증가 Hespanhol Junior et al. (2015)6 메타분석
중성지방 감소 평균 16.9 mg/dl 감소 Hespanhol Junior et al. (2015)6 메타분석
정신 건강 개선 우울증 및 불안 증상 완화, 스트레스(코르티솔) 감소, 엔도르핀 증가, 수면 개선, 성취감 향상 MOHW26;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5 정부 보고서
면역력 강화 백혈구 수 증가, 감염 후 빠른 회복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5 정부 보고서
기타 만성 질환 예방 다리/허리 노화 방지, 당뇨병, 변비, 치질, 정맥류, 뇌 노화 방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5; MOHW26 정부 보고서

달리기 시 발생 가능한 위험 및 부상 예방 전략

달리기는 많은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지만, 부상 위험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주자들의 연간 부상 발생률은 37~56%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5. 장기언 교수의 2005년 연구에 따르면, 일반 조깅 주자에게 흔한 부상으로는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 족저근막염, 근육통, 햄스트링 문제, 요통 등이 있으며, 스포츠 주자의 경우 족저근막염과 아킬레스건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15.

대한스포츠의학회(KSSM)의 부상 예방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23:

  • 고강도 훈련 전 체중 관리
  • 훈련 세션 간 충분한 휴식 (2006년 국내 연구에서 연골 손상 지표 관련 언급)
  • 통증 발생 시 운동 중단 (지연성 근육통(DOMS)이 아닌 경우); 생리적 통증과 구조적 손상으로 인한 통증 구분
  • 달리기와 하체 근력 운동(특히 중둔근) 병행
  • 적절한 착지 기술과 신발 선택
  • 점진적인 자세 변경과 스트레칭을 통한 아킬레스건염 및 족저근막염 예방

오정본병원 블로그에서도 준비운동/정리운동, 스트레칭, 적절한 신발, 안정적인 지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12. 부상 예방은 달리기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특히 대한스포츠의학회와 같은 국내 의료 전문가들의 상세한 조언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23. 많은 주자, 특히 초보자들은 부상에 대한 우려가 크므로, 신뢰할 수 있는 국내 의료기관의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예방책을 제공하는 것은 본 글의 가치와 신뢰도를 크게 높일 것입니다.

한국인을 위한 달리기 권장 사항: WHO, ACSM 및 국내 가이드라인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의 경우 일주일에 최소 150분의 중강도 유산소 활동 또는 75분의 고강도 유산소 활동을 권장합니다7, 8. 추가적인 건강 효과를 위해서는 중강도 300분 또는 고강도 150분으로 활동량을 늘릴 수 있으며, 주 2회 이상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것을 권고합니다7, 8 (달리기는 고강도 활동에 해당). 미국스포츠의학회(ACSM)는 최소 주 5회 30분의 중강도 운동 또는 최소 주 3회 20분의 고강도 운동을 권장합니다9, 10.

국내에서는 질병관리청(KCDC)이 시속 8km 이상을 고강도 운동(달리기 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13, 한국인의 신체 활동량이 낮은 편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13, 31. 보건복지부(MOHW)는 청소년을 위한 일반적인 권고 사항에 적극적인 신체 놀이를 포함하며, 달리기가 적절한 활동임을 언급합니다27. 헬스조선은 20대 청년의 건강 지표로 12분 달리기 테스트를 제시하며, 남성은 2.41km 이상, 여성은 2.04km 이상을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28.

표3: 주요 기관별 성인 달리기(유산소 운동) 권장량 비교
*(자료 출처: WHO7, 8, ACSM9, 10, KCDC13)*
기관 대상 그룹 (예시) 권장량 (예시) 주요 참고사항 (예시)
WHO 성인 (18-64세) 주당 고강도 75-150분 추가 건강 효과 위해 늘릴 수 있음
ACSM 성인 주 3회 이상, 회당 최소 20분 고강도 운동
KCDC (질병관리청) 성인 고강도 운동 (달리기 등) ≥ 8km/h 한국인 신체활동량 저조

이러한 국제 및 국내 가이드라인을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한국인 독자들이 건강을 위해 어느 정도의 달리기가 권장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공신력 있는 기관의 지침을 따름으로써 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달리기 속도 향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달리기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많은 주자들의 목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무리한 훈련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점진적 훈련의 중요성

권오윤 달리기 코치는 “남과 비교하지 말고, ‘좋은 기록’에 대한 강박을 버려야 한다”고 조언하며, 처음에는 매일 달리기보다는 꾸준함에 집중할 것을 강조합니다32. 점진적 과부하의 원칙에 따라 훈련 강도와 양을 서서히 늘려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효과적인 달리기 훈련 방법

다양한 훈련 방법이 달리기 속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벌 트레이닝과 지속주 훈련은 대표적인 방법입니다19.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은 최대산소섭취량(VO2max) 향상에 효과적이며21, 스프린트 인터벌 트레이닝은 최대산소섭취량(VO2max), 산소 소모량, 운동 지속 시간(TTE)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20. 근력 운동은 달리기 효율성(RE)과 전반적인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며19, 대한스포츠의학회(KSSM) 역시 근력 운동을 권장합니다23.

올바른 자세,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의 모든 것

올바른 달리기 자세는 속도 향상과 부상 예방 모두에 필수적입니다. 오정본병원 블로그는 몸을 약간 앞으로 기울이고, 허리를 펴고, 어깨에 힘을 빼고, 팔을 자연스럽게 흔들며, 적절하게 착지하는 자세를 권장합니다12. 준비운동(동적 스트레칭)과 정리운동(정적 스트레칭, 가벼운 조깅/걷기)의 중요성 또한 강조됩니다12, 23.

나에게 맞는 달리기 용품 선택하기

자신의 발 유형, 달리기 스타일, 착지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러닝화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2, 23.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의사 또는 스포츠 전문가 상담

지속적인 통증, 부상, 또는 특정 건강 문제가 있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23. 또한, 고급 훈련이나 구체적인 경기력 목표를 설정할 때도 재활의학과 또는 스포츠의학 전문가의 지도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전문가로는 충남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문창원 교수 (근골격 및 스포츠 재활 전문, 대한스포츠의학회 회원)1 또는 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센터 박원하 교수 (스포츠의학 및 재활 전문, K리그 및 대한육상연맹 관련 경력)2와 같은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속 15km는 정말 평균 속도일까요? 당신의 건강한 달리기 여정을 위한 최종 정리

결론적으로, 시속 15km는 일반 대중의 평균적인 달리기 속도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 속도는 충분한 훈련을 거친 주자들이나 장거리 주자들에게 해당될 수 있는 수준입니다15. 레크리에이션 주자들의 경우, Selinger 등의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여자는 약 시속 9.86km, 남자는 약 시속 11.7km 정도가 더 현실적인 평균 선호 속도이며4, 장기언 교수의 분류에 따른 “일반 조깅 주자”는 시속 8~10km로 달립니다15.

중요한 것은 개인의 달리기 속도는 매우 다양하며, 특정 수치에 얽매이기보다는 개인의 발전, 건강상의 이점, 그리고 달리기 자체의 즐거움에 집중하는 것이 특히 초보자에게는 더욱 의미가 있다는 점입니다32. 본문에서 논의된 다양한 건강 효과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달리기가 한국인들에게 유익한 활동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천천히 시작하고, 자신의 몸에 귀 기울이며,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고, 무엇보다 달리기 여정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의학적 면책 조항본 문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의학적 조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건강 또는 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KRHOW.COM 편집위원회 검토, 최종 업데이트: 2025년 5월 9일)


참고 문헌

  1. 문창원. 재활의학과 문창원 교수 – 의료진 소개. 충남대학교병원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nuh.co.kr/prog/cnuhDoctor/homepage.do?doctorId=DC00000594.
  2. 박원하. 스포츠의학센터 박원하 교수 – 의료진프로필. 삼성서울병원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amsunghospital.com/m/smc/reservation/common/doctorProfile.do?DR_NO=535.
  3. Barnes KR, Kilding AE. Running economy: measurement, norms, and determining factors. Sports Med Open. 2015;1(1):8. doi:10.1186/s40798-015-0007-y. PMID: 26366294.
  4. Selinger JC, O’Connor P, Donelan JM, Beck ON. Running in the wild: energetics explain ecological running speeds from recreational to elite endurance runners. J Exp Biol. 2022;225(11):jeb243994. doi:10.1242/jeb.243994. PMID: 35416925.
  5. Hespanhol Junior LC, Pillay JD, van Mechelen W, Verhagen E. Meta-Analyses of the Effects of Habitual Running on Indices of Health in Physically Inactive Adults. Sports Med. 2015;45(10):1455-1468. doi:10.1007/s40279-015-0353-1. PMID: 26178328.
  6. Hespanhol Junior LC, Pillay JD, van Mechelen W, Verhagen E. Meta-Analyses of the Effects of Habitual Running on Indices of Health in Physically Inactive Adults. Sports Med. 2015;45(10):1455-1468. doi:10.1007/s40279-015-0353-1. PMID: 26178328.
  7. World Health Organization. Physical activity. WHO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ho.int/initiatives/behealthy/physical-activity.
  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WHO; 2010.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factsheet_recommendations/en/.
  9.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CSM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sm.org/education-resources/trending-topics-resources/physical-activity-guidelines/.
  1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CSM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sm.org/education-resources/trending-topics-resources/physical-activity-guidelines/#:~:text=ACSM%20and%20CDC%20recommendations%20state,on%20three%20days%20per%20week.
  1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dult Activity: An Overview | Physical Activity Basics. CDC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physical-activity-basics/guidelines/adults.html.
  12. 오정본병원. <오정본병원> 제대로 알고 달리면 건강해집니다!.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19년 4월 27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m.blog.naver.com/duldwl90/221522980591.
  13. 질병관리청. 운동. 국가건강정보포털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93.
  14. Maffulli N, Longo UG, Spiezia F, Denaro V. The effect of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on the development of sprint performance during childhood and puberty. J Sports Sci. 2010;28(1):1-7. doi:10.1080/02640410903380614. PMID: 19910817.
  15. 장기언. 달리기 손상의 유형과 빈도. 대한재활의학회지. 2005;29(3):223-229. 전문 링크.
  16. rand3_com. 100m 100미터 달리기 평균 기록 10대부터 50대 한국인 서양인 신기록….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3년 5월 2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rand3_com/223435136764.
  17. braindrjung. 나에게 맞는 달리기 페이스, 러닝 페이스는 얼마일까?.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2년 5월 23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raindrjung/222742352723.
  18. 미래 정보 도서관. 동물과 비교해본 인간의 달리기 속도. 티스토리 [인터넷]. 2021년 1월 22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iraeinfo.tistory.com/38.
  19. Damasceno MV, Nóbrega ACL, Ugrinowitsch C, et al. Effects of 20 Weeks of Endurance and Strength Training on Running Economy, Maximal Aerobic Speed, and Gait Kinematics in Trained Runners. Appl Sci. 2023;13(2):903. doi:10.3390/app13020903. 전문 링크.
  20. Casado A, González-Mohíno F, González-Ravé JM, Foster C. Effects of 6-week sprint interval training compared to traditional training on the running performance of distance runn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Front Physiol. 2025;16:1536287. doi:10.3389/fphys.2025.1536287. 전문 링크.
  21. Almquist NW, Laursen PB, Jørgensen SL, Rønnestad BR. Faster intervals, faster recoveries – intensified short VO2max running intervals are inferior to traditional long intervals in terms of time spent above 90% VO2max. Front Sports Act Living. 2024;6:1507957. doi:10.3389/fspor.2024.1507957. 전문 링크.
  22. Arellano CJ, Bean D, Grabowski AM. Maximum-speed curve-running biomechanics of sprinters with and without unilateral leg amputations. J Exp Biol. 2016;219(Pt 6):851-859. doi:10.1242/jeb.129615. 전문 링크.
  23. 대한스포츠의학회. 마라톤, 부상 없이 즐기려면?. 대한스포츠의학회 [인터넷]. 2015년 4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portsmed.or.kr/board/view.html?num=930&start=50&code=sportsdoctor&key=&keyword=.
  24. doggun. 달리기 근황 15 – 미드 풋 스트라이크. 티스토리 [인터넷]. 2023년 9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ggun.tistory.com/587.
  25.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달리기의 운동효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인터넷]. 2010년 10월 20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70071052.
  26. 보건복지부. ‘달리기’로 스트레스, 우울증 해소! 달리기 효과 및 러닝 주의사항 확인….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4년 8월 27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ohw2016/223557741607?viewType=pc.
  27.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우리 가족을 위한 연령별 운동법.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인터넷]. 2017년 8월 28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727098.
  28. 헬스조선. ‘나의 건강체력은 몇 점일까?’ 확인해 보세요. 헬스조선 [인터넷]. 2019년 1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012802546.
  29. brown_22. [운동] 러닝 크루 한 달차 후기 @ 꾸준히 함께 뛸 수 있다는 것.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3년 10월 23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brown_22/223241748469.
  30. 여성동아. 마케터가 쓴 러닝 크루 1년 후기. 여성동아 [인터넷]. 2022년 8월 22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oman.donga.com/people/article/all/12/3631834/1.
  31. NAVER 포스트. 미세먼지가 심한데 운동해도 되나요?. 네이버 포스트 [인터넷]. 2023년 7월 14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205715&memberNo=38360564.
  32. racecarve. 明鏡止水(명경지수)… 달리기는 명상이다….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1년 8월 22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racecarve/222479882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