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은 우리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수면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잠 못 이루는 밤이 반복된다면, 혹은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다면, 나의 수면 상태를 객관적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수면의 질 평가 도구 중 하나가 바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입니다.본 글에서는 KRHOW.COM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수면 관리를 돕기 위해, PSQI가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PSQI 검사 결과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
- PSQI 정의: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는 지난 한 달간의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자가 보고형 설문 도구입니다.(1)
- 7가지 구성요소: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수면 시간, 습관적 수면 효율, 수면 방해, 수면제 사용, 주간 기능 장애를 평가합니다.(1)
- PSQI 점수 계산 및 해석: 각 구성요소는 0-3점, 총점은 0-21점으로 산출되며, 총점 5점 초과 시 수면의 질 저하를 시사합니다.(1)
- PSQI-K (한국판): 한국인을 대상으로 타당화된 버전으로, 국내 임상 및 연구에 활발히 사용됩니다. 절단점은 연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연구 대상 집단의 특성과 타당화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8, 21)
- 활용: 수면 문제 선별, 다양한 임상 상태에서의 수면의 질 평가, 역학 연구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활동기록계나 수면다원검사(PSG)와 같은 객관적 평가 방법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때 더욱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합니다.(1, 2)
- 중요성: PSQI는 개인의 주관적인 수면 경험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평가하여 수면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수면 문제의 조기 발견 및 관리에 기여하는 중요한 수면 검사 도구입니다.
목차
- 1.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란 무엇인가?
- 2. PSQI의 7가지 구성요소: 수면의 질을 다각도로 분석하다
- 3. PSQI 점수 계산 및 해석 방법: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4. PSQI는 얼마나 믿을만한 검사인가? (신뢰도 및 타당도)
- 5. 한국인을 위한 PSQI: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PSQI-K)
- 6. PSQI/PSQI-K는 어떻게 활용될까? (임상 및 연구 활용성)
- 7. PSQI 활용 시 고려사항: 장점과 한계점
- 8. 효과적 사용을 위한 실질적 지침 및 권고사항
- 9. 결론: 건강한 잠을 향한 여정의 동반자, PSQI
- 참고 문헌
1.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란 무엇인가?
1.1. 개발 배경 및 목적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는 1989년 David J. Buysse와 동료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평가 도구입니다1. 초기 개발 목적은 특히 정신과 질환을 가진 임상 환자군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이후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PSQI는 개인의 주관적인 수면 경험을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수면의 질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얻고자 설계되었습니다.
이전까지 수면 연구는 실험실 환경에서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에 크게 의존했으나, 이는 대규모 연구나 일상적인 임상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습니다2. PSQI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수면의 질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면 연구 및 임상 실제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2고 평가받습니다.
1.2. 핵심 특징
PSQI는 지난 한 달 동안의 수면 양상을 평가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입니다1.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문항들은 수면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합니다1. 추가적으로, 함께 자는 사람(bed partner)이 응답하는 5개 문항이 있으나, 이는 임상적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실제 점수 산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1.
PSQI의 핵심은 19개 문항의 응답을 바탕으로 7가지 구성요소를 평가하고, 각 구성요소별 점수(0-3점)를 합산하여 총점(0-21점)을 산출하는 것입니다1. 총점이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낮음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PSQI 점수 5점을 초과하면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간주합니다1. 설문 작성에는 약 5-10분이 소요되어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면 검사 방법입니다3.
1.3. 국제적 중요성 및 광범위한 활용
PSQI는 개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수면 연구 및 임상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면 평가 도구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2. 2024년까지 34,000편 이상의 동료 심사 연구에서 PSQI가 인용되었으며2, 이는 PSQI가 수면 연구 분야에서 표준적인 측정 도구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음을 보여줍니다. 56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활용되고 있으며4, 이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 간의 수면 양상을 비교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광범위한 사용은 PSQI를 통해 축적된 방대한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였고, 이는 수면 연구 분야에서 PSQI를 벤치마크 도구로 만들었으며 메타 분석 및 연구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자산이 되었습니다.
2. PSQI의 7가지 구성요소: 수면의 질을 다각도로 분석하다
2.1. 다요인 구조의 개요
PSQI는 단일 총점만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수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측면을 개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7가지 구성요소로 점수를 세분화합니다1. 이 다요인 구조는 수면 문제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개인별 맞춤형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총점이 동일하게 높은 두 사람이라도 한 명은 주로 ‘수면 잠복기’와 ‘수면 방해’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반면(불면증 유사 양상), 다른 한 명은 ‘주간 기능 장애’와 ‘수면제 사용’에서 높은 점수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PSQI 구성요소별 점수 프로파일은 단순한 ‘좋은 수면’ 대 ‘나쁜 수면’의 이분법적 분류를 넘어, 수면 문제의 핵심 영역을 식별하고 보다 정밀한 임상적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2.2. 각 구성요소 상세 분석
PSQI의 7가지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 구성요소는 특정 문항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0점에서 3점까지의 점수로 환산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영역의 어려움이 심각함을 나타냅니다.
구성요소 1: 주관적 수면의 질 (Subjective Sleep Quality)
설명: 개인이 인지하는 전반적인 수면의 만족도입니다.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6번 문항(“지난 한 달 동안, 귀하의 전반적인 수면의 질은 어떠했습니까?”)312.
구성요소 2: 수면 잠복기 (Sleep Latency)
설명: 잠자리에 누워 실제 잠이 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2번 문항(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분))과 5a번 문항(3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한 빈도)1.
구성요소 3: 수면 시간 (Sleep Duration)
설명: 하룻밤 동안 실제로 잠을 잔 총 시간입니다.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4번 문항(실제 수면 시간)1.
구성요소 4: 습관적 수면 효율 (Habitual Sleep Efficiency)
설명: 총 누워있는 시간 중 실제 잠을 잔 시간의 비율입니다. ((총 수면 시간 / 총 누워있는 시간) x 100%로 계산).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1번 문항(잠자리에 드는 시간), 3번 문항(일어나는 시간), 4번 문항(실제 수면 시간)1.
구성요소 5: 수면 방해 (Sleep Disturbances)
설명: 다양한 수면 방해 요인의 발생 빈도입니다.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5b번부터 5j번 문항 (예: 밤이나 새벽에 깸, 화장실 이용, 호흡 불편, 코골이나 심한 기침, 너무 춥거나 더움, 악몽, 통증, 기타 이유)1.
구성요소 6: 수면제 사용 (Use of Sleeping Medication)
설명: 수면을 돕기 위해 약물(처방약 또는 일반의약품)을 복용한 빈도입니다.
구성요소 7: 주간 기능 장애 (Daytime Dysfunction)
설명: 수면 부족으로 인한 주간 졸림 및 일상생활 수행의 어려움 정도입니다.
기여 문항: PSQI 원본 설문지의 8번 문항(깨어있기 어려움)과 9번 문항(일에 대한 열의 유지의 어려움)312.
구성요소 명칭 | PSQI 원본 문항 번호(들) | 채점 논리 요약 |
---|---|---|
주관적 수면의 질 | 6 (PSQI-K 6) | 문항 6의 응답에 따라 직접 채점 (0-3점) |
수면 잠복기 | 2, 5a | 문항 2(분) 점수화 + 문항 5a 점수화 후, 합산 점수를 다시 0-3점으로 변환 |
수면 시간 | 4 (PSQI-K 4) | 문항 4의 응답(시간)에 따라 직접 채점 (0-3점) |
습관적 수면 효율 | 1, 3, 4 (PSQI-K 1,3,4) | (실제 수면 시간 / 총 누워있는 시간) x 100% 계산 후, 효율 구간에 따라 채점 (0-3점) |
수면 방해 | 5b-5j (PSQI-K 5b-5j) | 9개 항목 점수 합산 후, 합산 점수 구간에 따라 채점 (0-3점) |
수면제 사용 | 7 (PSQI-K 7) | 문항 7의 응답에 따라 직접 채점 (0-3점) |
주간 기능 장애 | 8, 9 (PSQI-K 8,9) | 문항 8 점수 + 문항 9 점수 합산 후, 합산 점수 구간에 따라 채점 (0-3점) |
주: PSQI 원본 문항 번호는 Buysse 등의 원본 논문1 및 공식 설문지12를 기준으로 하며, PSQI-K 문항 번호는 한국판 설문지20를 기준으로 함. |
(표 1은 원본 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며, 각 구성요소와 기여 문항은 주로 Buysse 등 (1989)1 및 PSQI 원본 설문지12에서 참조되었습니다.)
3. PSQI 점수 계산 및 해석 방법: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3.1. 개별 구성요소 점수(0-3점 척도) 단계별 계산법
PSQI의 타당성과 연구 간 비교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PSQI 구성요소 점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각 구성요소는 0점에서 3점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3점은 가장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냅니다1. 세부적인 PSQI 점수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11:
- 구성요소 1 (주관적 수면의 질 – 원본 Q6): 응답자가 자신의 전반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한 문항의 응답에 따라 직접 점수를 부여합니다. “매우 좋음”은 0점, “꽤 좋음”은 1점, “꽤 나쁨”은 2점, “매우 나쁨”은 3점으로 채점합니다6.
- 구성요소 2 (수면 잠복기 – 원본 Q2, Q5a):
- 원본 Q2(“잠드는 데 보통 몇 분이 걸립니까?”)의 응답을 점수로 변환합니다: 15분 이하는 0점, 16-30분은 1점, 31-60분은 2점, 60분 초과는 3점.
- 원본 Q5a(“지난 한 달 동안, 3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한 적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의 응답 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지난 한 달 동안 없었음”은 0점, “일주일에 1번 미만”은 1점, “일주일에 1-2번”은 2점, “일주일에 3번 이상”은 3점.
- 위의 두 점수를 합산합니다. 합산된 점수가 0점이면 최종 구성요소 점수는 0점, 1-2점이면 1점, 3-4점이면 2점, 5-6점이면 3점으로 채점합니다6.
- 구성요소 3 (수면 시간 – 원본 Q4): 원본 Q4(“실제로 밤에 몇 시간이나 주무십니까?”)의 응답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7시간 초과는 0점, 6시간 초과-7시간 이하는 1점, 5시간 초과-6시간 이하는 2점, 5시간 이하는 3점으로 채점합니다6.
- 구성요소 4 (습관적 수면 효율 – 원본 Q1, Q3, Q4):
- 원본 Q1(보통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Q3(보통 일어나는 시간)의 응답을 이용하여 총 누워있는 시간(분 또는 시간)을 계산합니다.
- 원본 Q4(실제 수면 시간)를 총 누워있는 시간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수면 효율(%)을 계산합니다.
- 계산된 수면 효율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85% 초과는 0점, 75%-84%는 1점, 65%-74%는 2점, 65% 미만은 3점으로 채점합니다6.
- 구성요소 5 (수면 방해 – 원본 Q5b-j):
- 원본 Q5b부터 Q5j까지 9개 항목 각각에 대해 응답 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없었음”=0, “주 1회 미만”=1, “주 1-2회”=2, “주 3회 이상”=3).
- 이 9개 항목의 점수를 모두 합산합니다. 합산된 점수가 0점이면 최종 구성요소 점수는 0점, 1-9점이면 1점, 10-18점이면 2점, 19-27점이면 3점으로 채점합니다6.
- 구성요소 6 (수면제 사용 – 원본 Q7): 원본 Q7(“잠들기 위해 수면제(처방약 또는 일반약)를 얼마나 자주 복용했습니까?”)의 응답 빈도에 따라 직접 점수를 부여합니다: “없었음”=0, “주 1회 미만”=1, “주 1-2회”=2, “주 3회 이상”=36.
- 구성요소 7 (주간 기능 장애 – 원본 Q8, Q9):
- 원본 Q8(“운전, 식사, 사회 활동 중 깨어 있기 어려웠던 적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의 응답 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없었음”=0, “주 1회 미만”=1, “주 1-2회”=2, “주 3회 이상”=3).
- 원본 Q9(“일에 대한 열의를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문제였습니까?”)의 응답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전혀 문제 없었음”=0, “아주 약간 문제 있었음”=1, “다소 문제 있었음”=2, “매우 큰 문제였음”=3).
- 위의 두 점수를 합산합니다. 합산된 점수가 0점이면 최종 구성요소 점수는 0점, 1-2점이면 1점, 3-4점이면 2점, 5-6점이면 3점으로 채점합니다6.
이러한 구성요소 채점 방식에서 단순 합산이 아닌 재부호화된 합산 규칙(예: 수면 잠복기, 수면 방해, 주간 기능 장애)을 사용하는 것은 각기 다른 수면 변수들의 임상적 중요성을 반영하려는 의도적인 정신측정학적 설계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면 잠복기’는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어려움을 결합하는데11, 이는 두 측면 모두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수면 방해’는 여러 잠재적 문제를 합산하지만 최종 구성요소 점수는 3점으로 제한되는데, 이는 특정 지점까지 여러 방해 요인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그 이상의 단순한 숫자보다 이 구성요소의 전체 점수 기여도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11 상세히 기술된 미묘한 채점 방식은 모든 “나쁜” 응답을 단순히 합산하는 것보다 정교하며 임상 현실을 반영하고자 합니다.
3.2. PSQI 총점(0-21점 척도)의 산출 및 의미
7가지 구성요소 각각의 점수(0-3점)를 모두 합산하여 PSQI 총점을 산출합니다1. PSQI 총점은 0점에서 21점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난 한 달간의 전반적인 수면의 질이 낮음을 의미합니다1. 이 총점은 개인의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단일 정량적 지표로 요약하여 제공하며, PSQI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결과입니다.
3.3. PSQI 점수 해석: 임상적 절단점 및 유의성 (표준 >5점)
PSQI 점수 해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은 5점입니다. 총점이 5점을 초과하면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음” 또는 유의미한 수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1. 이 절단점은 초기 타당화 연구에서 수면 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를 식별하는 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인 결과에 기반합니다1. 원 연구에서는 이 절단점이 환자의 최대 89%를 정확하게 식별했으며, 민감도(실제 질환이 있는 사람을 질환이 있다고 올바르게 식별할 확률) 90%, 특이도(질환이 없는 사람을 질환이 없다고 올바르게 식별할 확률) 87%를 나타냈습니다1.
일부 자료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해석 기준을 제공하기도 합니다3:
- 0–5점: 좋은 수면의 질 (유의미한 수면 방해 없음)3
- 6–10점: 경미한 수면 어려움 (경도 손상, 관찰 권고)314
- 11–15점: 중등도 수면 어려움 (임상적 평가 권고)3
- 16–21점: 심각한 수면 어려움 (즉각적인 임상적 중재 권고)3
5점 초과라는 절단점은 선별 및 초기 평가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세분화된 점수 구간3은 심각도에 대한 단계적인 이해를 제공하여 임상적 의사 결정 및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 유용할 수 있지만, 주요하게 검증된 절단점은 5점 초과입니다. 표준 절단점인 5점 초과가 널리 사용되지만, 이 절단점의 예측력과 최적값은 다양한 인구 집단 및 특정 수면 장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이는 문맥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PSQI-K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 인구 집단에 대한 타당화 연구 결과를 참조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예를 들어, 한 자료7는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우울증, 불안에 대한 양성예측도(PPV) 및 음성예측도(NPV) 값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보여줍니다 (예: 불면증 PPV 85%, 수면 무호흡 관련 장애 PPV 75%). 초기 타당화 연구에서 5점 초과 절단점이 수면 시작/유지 장애 환자의 84%, 과도한 주간 졸림 장애 환자의 89%를 성공적으로 식별했다고 언급합니다17. 어떤 절단점을 사용하든, 그 의미는 해당 절단점이 어떤 기준으로 설정되었는지 (예: 특정 임상 진단, 객관적 수면 지표)와 해당 연구 대상 인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파트 A: 표준 PSQI 총점 해석 | ||||
---|---|---|---|---|
점수 범위 | 해석 | 주요 출처/근거 | ||
0-5점 | 좋은 수면의 질 | Buysse 등, 19891 | ||
>5점 | 나쁜 수면의 질 (수면 문제 시사) | Buysse 등, 19891 | ||
세부 분류 | ||||
6-10점 | 경미한 수면 어려움 | PsychDB6 | ||
11-15점 | 중등도 수면 어려움 (임상 평가 권고) | PsychDB6 | ||
16-21점 | 심각한 수면 어려움 (즉각적 중재 권고) | PsychDB6 | ||
파트 B: 한국 연구에서 논의된 PSQI-K 총점 절단점 | ||||
절단값 | 연구 (저자, 연도) | 보고된 민감도 | 보고된 특이도 | 연구 대상 인구 |
>5점 | 다수 연구에서 일반적 기준으로 사용 | – | – | 일반 성인, 청소년 등15 |
≥6점 | Kim SY 등 (2023)21 | 0.93 | 0.84 | 건강검진 참여 한국 성인 (Fitbit 기준) |
8.5점 | Sohn 등 (2012)8 | 0.943 | 0.844 | 수면장애 환자군(불면증, 기면증) 및 정상 대조군 |
4. PSQI는 얼마나 믿을만한 검사인가? (신뢰도 및 타당도)
어떤 평가 도구든 그 PSQI 신뢰도와 PSQI 타당도가 확보되어야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SQI는 여러 연구를 통해 그 정신측정학적 우수성이 검증되었습니다.
4.1. 내적 일관성 및 동질성
PSQI의 내적 일관성은 일반적으로 크론바흐 알파(α) 계수를 통해 평가됩니다. Buysse 등(1989)의 원 개발 연구에서는 PSQI 총점의 내적 일관성이 우수하다고 보고했으며, 크론바흐 α 계수는 0.83이었습니다1. 다른 여러 연구에서도 PSQI의 크론바흐 α 값은 대체로 0.70에서 0.85 사이로 나타났으며16, 이는 PSQI 문항들이 일관되게 동일한 구성개념(즉, 수면의 질)을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에서는 0.68에서 0.81 사이의 값을 보이기도 했습니다10. 일반적으로 크론바흐 α 값이 0.70 이상이면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간주됩니다. 다양한 인구 집단에서 크론바흐 α 값의 변동은 PSQI의 내적 구조와 동질성이 연구 대상 표본의 특정 특성에 의해 미묘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2. 검사-재검사 신뢰도 (시간에 따른 안정성)
원 개발 연구에서는 PSQI가 시간에 따른 높은 안정성, 즉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인다고 보고했으며, 상관계수(r)는 0.85였습니다1. 이는 개인의 수면의 질에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서로 다른 시점에 동일한 개인에게 PSQI를 시행했을 때 일관된 점수를 산출함을 의미하며,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도구의 중요한 요건입니다.
4.3. 기준 타당도: 객관적 및 주관적 수면 측정치와의 상관관계
기준 타당도는 PSQI가 이미 확립된 다른 수면 측정치 또는 관련 구성개념과 얼마나 잘 상관되는지를 평가합니다. 원 개발 연구에서는 PSQI가 수면 장애가 있는 대상자와 양호한 수면자를 구별하는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기준 타당도를 확인했습니다1. 수면다원검사(PSG)와의 비교 분석은 다양한 대상자 그룹에서 객관적인 수면의 질 측정치와의 일치성을 보여주며 PSQI의 타당성을 더욱 뒷받침했습니다4. 그러나 PSQI와 객관적 수면 측정치 간의 관계는 다소 복잡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PSQI가 수면일지에서 기록된 수면 효율(r=0.53), 불면증 심각도 지수(ISI)(r=0.63)와 중등도의 수렴 타당도를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17.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PSQI 총점이나 엡워스 졸림 척도(ESS) 점수 모두 PSG 측정치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8. 이러한 결과들은 PSQI가 주로 수면의 주관적 경험을 포착하며, 이것이 항상 객관적인 생리학적 측정치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Buysse 박사는 “수면 실험실 데이터는 노인이 젊은 성인보다 일반적으로 수면의 질이 나쁘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PSQI 결과는 그들의 자가 보고된 수면의 질이 상당히 유사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불일치는 수면 인식과 생리학적 데이터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핵심적인 통찰을 강조한다”고 지적했습니다2. 이는 PSG와 같은 객관적 데이터와 PSQI와 같은 주관적 데이터가 서로 다른 측면을 측정하며, 각각 그 자체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PSG는 생리적 과정을, PSQI는 개인의 인식과 수면 만족도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4.4. 구성 타당도: 요인 구조 및 판별 능력
PSQI의 요인 구조(factor structure)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최적 요인 수가 1개에서 3개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고 보고했습니다10. 일반적으로 단일 요인 모델은 적합도가 낮으며, 현재는 2요인 또는 3요인 모델이 더 적절한 것으로 간주됩니다1. 이러한 다요인 모델(예: ‘수면 효율성’, ‘주간 기능 장애’, ‘수면의 질 인식’ 등)은 PSQI의 7가지 구성요소가 실제로는 더 적은 수의 근본적인 수면 차원으로 그룹화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수면제 사용’과 ‘주간 기능 장애’ 구성요소가 낮은 요인 부하량을 보이기도 했는데1, 이는 해당 구성요소들이 다른 구성요소들과 비교적 독립적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4.5. 수면 문제 식별에서의 민감도 및 특이도
민감도(sensitivity, 수면 문제가 있는 사람을 정확히 ‘수면 문제 있음’으로 찾아내는 능력)와 특이도(specificity, 수면 문제가 없는 사람을 정확히 ‘수면 문제 없음’으로 가려내는 능력)는 선별 도구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PSQI 원 개발 연구에서 총점 5점 초과를 절단점으로 사용했을 때, 민감도 90%, 특이도 87%를 보였습니다1. 불면증 진단에 있어 PSQI는 양성예측도(PPV) 85%, 음성예측도(NPV) 90%를 나타냈습니다7.
5. 한국인을 위한 PSQI: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PSQI-K)
PSQI는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타당화 과정을 거친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등(2012)의 연구를 통해 PSQI-K 신뢰도와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8, 이는 한국인 사용자들에게 PSQI를 적용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PSQI-K는 원본과 유사하게 7개 구성요소에 걸쳐 19개 문항(채점 가능한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8. 한국어판 설문지는 대한수면연구학회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20.
5.1. PSQI-K의 정신측정학적 특성
Sohn 등(2012)의 연구에서 PSQI-K 총점의 내적 일관성(크론바흐 α)은 0.84로 높게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0.65였습니다8. 타당도 측면에서 Sohn 등(2012)은 불면증 및 기면증 환자군의 PSQI-K 총점 및 구성요소 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양호한 수면자와 불량한 수면자를 구별하는 능력을 뒷받침한다고 밝혔습니다8. 최근 Kim SY 등(2023)의 연구에서는 PSQI-K 점수가 Fitbit 수면 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기준 타당도를 지지했으며, 요인 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분산의 48.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1. 이러한 결과들은 전반적으로 PSQI-K가 한국 인구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데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임을 지지합니다14.
5.2. PSQI-K의 최적 절단점 논의
PSQI-K 해석 시 중요한 절단점은 연구에 따라 다소 다르게 제시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원본 PSQI의 5점 초과 기준이 초기 기준으로 고려됩니다8. Sohn 등(2012)의 연구에서는 8.5점을 최적 절단점으로 제안했으며, 이때 민감도 0.943, 특이도 0.844를 보였습니다8. Kim SY 등(2023)의 연구에서는 Fitbit을 사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적 절단점을 6점 이상(민감도 0.93, 특이도 0.84)으로 제안했습니다21.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5점 초과를 사용했습니다15. 이처럼 한국 연구에서 PSQI-K 최적 절단값의 변동은 표본 특성과 타당화 기준이 절단점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PSQI-K 점수를 특정 연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할 때, 해당 연구에서 어떤 절단점을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것은 결과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3. 한국에서의 PSQI-K 활용 시 고려사항
PSQI-K는 한국인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수면 장애를 선별하는 데 유용하지만14, 이것이 진단 도구가 아닌 선별 도구임을 이해해야 합니다3. 높은 점수가 나왔다면 전문가와의 상담 등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증된 특정 버전과 절단점 논의를 포함하여 한국적 맥락에서의 해석의 미묘한 차이에 유의해야 합니다. 특정 한국 타당화 연구(Sohn 등8, Kim SY 등21)가 수행되었고 서로 다른 최적 절단점을 논의했다는 사실은 원본 PSQI의 5점 초과 절단점을 단순히 적용하는 것이 모든 한국 상황에서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 (저자, 연도) | 표본 특성 (N, 유형, 연령 범위) | 크론바흐 α (내적 일관성) | 검사-재검사 신뢰도 (보고된 경우) | 주요 타당도 결과 | 제안된 PSQI-K 최적 절단점 | 해당 절단점에서의 민감도 | 해당 절단점에서의 특이도 |
---|---|---|---|---|---|---|---|
Sohn SI, Kim DH, Lee MY, & Cho YW (2012)8 | N=394 (불면증 환자 211, 기면증 환자 50, 정상 대조군 133), 평균 연령 불면증 44.5세, 기면증 28.5세, 대조군 36.9세 | 0.84 (총점) | r = 0.65 (총점) | 불면증 및 기면증 환자군 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음. PSG 변수와 일부 상관관계. 2개 요인 구조가 최적으로 제안됨. | 8.5점 | 0.943 | 0.844 |
Kim SY, Lee HJ, Lee DW, Jung HY, & Kang SG (2023)21 | N=268 (건강검진센터 방문 성인), 평균 연령 47.6세 | 0.61 (총점) | 보고되지 않음 | Fitbit 수면 효율, 총 수면 시간, 각성 횟수와 음의 상관관계. 요인 분석 결과 3개 요인이 수면의 질 분산의 48.2% 설명. | ≥6점 | 0.93 (Fitbit 기준) | 0.84 (Fitbit 기준) |
6. PSQI/PSQI-K는 어떻게 활용될까? (임상 및 연구 활용성)
6.1. 다양한 인구 집단에서의 수면 기능 장애 선별 도구로서의 역할
PSQI는 임상 및 비임상 표본, 다양한 직업군(의료 전문가, 교대 근무자, 군인 등),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수면 기능 장애를 선별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1. 56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6. 간결하고 사용하기 쉬워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선별 도구로 실용적입니다1. PSQI가 널리 채택되고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었다는 사실2은 수면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를 용이하게 합니다.
6.2. 특정 임상 상태에서의 수면의 질 평가
PSQI는 임상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1. 불면증8, 정신과적 장애(우울증, 불안)1, 암10, 외상성 뇌 손상, 신장 이식, 요양원 거주자, 임산부17, 그리고 노인 환자6 등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사용됩니다. PSQI는 다양한 의학적 및 정신과적 상태와 흔히 동반되거나 악화되는 수면 장애를 정량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6.3. 역학 연구, 산업 보건 및 공중 보건 사업에서의 역할
PSQI는 일반 인구 표본에서 수면의 질과 그 결정 요인을 조사하는 수많은 연구에 사용되었습니다1. 예를 들어, 독일 지역사회 표본 연구에서는 PSQI 5점 초과의 불량한 수면 유병률이 36%로 나타났습니다1. 또한, 다양한 직업군에서 수면의 질과 그것이 피로, 인지 수행능력,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산업 보건 연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PSQI 기반 역학 및 산업 보건 연구 데이터는 수면 위생을 개선하고 인구 수준에서 불량한 수면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기 위한 공중 보건 정책 및 직장 중재를 알리는 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6.4. 다른 수면 평가 방식과의 상보적 사용
PSQI는 수면 일지3, 활동기록계(actigraphy)와 같은 도구와 함께 사용됩니다. PSQI는 주관적이지만, 수면다원검사(PSG)는 객관적인 실험실 기반 측정법입니다2. PSQI 점수는 종종 수면 일지 데이터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18. 그러나 PSQI가 항상 PSG와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17. 주관적인 PSQI를 객관적인 측정이나 일일 기록과 결합하면 보다 포괄적인 수면 평가가 가능합니다.
7. PSQI 활용 시 고려사항: 장점과 한계점
7.1. 장점
- 간결성 및 시행 용이성: 작성에 5-10분밖에 걸리지 않아3 사용이 간편하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3.
- 포괄적 평가: 수면의 여러 차원을 평가하며4, 2024년까지 34,000건 이상의 동료 심사 연구에서 인용될 정도로2 널리 인정받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도구입니다.
- 광범위한 사용 및 검증: 다양한 환경에서 총점의 우수한 신뢰도는 PSQI를 실용적인 측정 도구로 만듭니다1.
- 국제적 활용성: 56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국제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6.
7.2. 한계점
- 주관성: 자가 보고는 응답자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거나, 보거나 쓰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부정확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6.
- 선별 도구이지 진단 도구가 아님: PSQI는 수면의 질을 선별하지만 특정 장애를 정확히 찾아내지는 못합니다3. 숙련된 수면 임상의의 임상 면담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17.
- 동반 질환의 잠재적 영향: PSQI는 우울증, 불안, 인지된 스트레스와 상당한 중복을 보였습니다17.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인구에서 해석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17.
- 해석의 문화적 미묘함 및 회상 기간: PSQI는 명시된 기간(월간 평가)에 대해서만 검증되었으므로, 이를 변경하면 타당성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4.
8. 효과적 사용을 위한 실질적 지침 및 권고사항
8.1. PSQI/PSQI-K 시행 및 채점 모범 사례
응답자가 질문이 “지난 한 달”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도록 보장해야 합니다1.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검증된 버전(원본 또는 PSQI-K)을 수정 없이 사용해야 합니다4. 채점 지침을 꼼꼼하게 따르고11, 특히 수면 효율 계산 시 계산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 가능한 채점 시트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1.
8.2. 결과 및 개별 구성요소 프로파일의 맥락적 해석
총점은 7가지 구성요소 점수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1. 높은 총점은 경고 신호이지만, 구성요소 프로파일은 수면 문제의 성격을 드러냅니다. 인구 집단을 고려해야 하며, 절단점과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 PSQI-K 절단점8). 동반 질환도 고려해야 합니다17. 구성요소 점수의 패턴을 분석하면 총점 단독보다 더 풍부한 진단적 가설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면 잠복기’와 ‘수면 방해’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면서 ‘수면 시간’이 비교적 정상이라면 불면증 표현형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8.3. 추가적인 포괄적 수면 평가가 필요한 경우
PSQI 총점이 5점 초과(또는 관련 PSQI-K 절단점)이면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1. 지속적인 증상, 중등도에서 중증의 점수3, 또는 특정 패턴은 수면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보다 포괄적인 평가(예: 임상 면담, PSG, 활동기록계)를 받아야 합니다3. PSQI는 선별 도구이므로, 양성 선별 결과는 후속 조치가 필요합니다. 만약 점 PSQI 점수가 높고 평소 수면의 질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전문적인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결론: 건강한 잠을 향한 여정의 동반자, PSQI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 및 한국판 PSQI-K는 수면의 질에 대한 표준화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타당한 주관적 측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면 평가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2. 이는 다양한 인구 집단 및 임상 조건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를 촉진하고, 수면 문제에 대한 선별을 개선했으며, 수면 및 수면 장애의 다면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1. PSQI와 같은 자가 보고 도구는 주관적 경험을 포착하는 데 여전히 중요하지만, 웨어러블 기술을 포함한 객관적인 측정 방법으로 점점 더 보완되고 있습니다2. PSQI의 강점은 포괄성과 실용성의 균형에 있으며, 이는 수면 건강 개선에 전념하는 임상의와 연구자에게 귀중한 수면 검사 도구가 됩니다. PSQI는 “수면 연구를 지도에 올리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2.
만약 PSQI 검사 결과나 평소 수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수면 전문가 또는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3.
참고 문헌
-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2):193-213. doi:10.1016/0165-1781(89)90070-6. PMID: 2748771.
- Technical.ly. Pitt’s top licensed IP? A 35-year-old sleep research tool [인터넷]. Technical.ly; 2024년 2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echnical.ly/civic-news/psqi-sleep-study-research-innovation/.
- Australian Medical Procedures Pty Ltd (AMPsych).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ssess Your Sleep Quality [인터넷]. AMPsych;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psych.com.au/insomnia/pittsburgh-sleep-quality-index-psqi/.
- University of Pittsburgh, Center for Sleep and Circadian Scienc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터넷]. University of Pittsburgh;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leep.pitt.edu/psqi.
- Mauri M, Lanza G, Garbarino S, Bellone M, GELFContinuous PSG Group, Ferri R, 등.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brief review. Occup Med (Lond). 2024;75(1):14-19. doi:10.1093/occmed/kqae003. PMID: 38451145.
- PsychDB.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터넷]. PsychDB; 2021년 10월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sychdb.com/_media/sleep/2-insomnia-disorder/the_pittsburgh_sleep_quality_index_psqi.pdf.
- The Kingsley Clinic.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Your Guide to Better Sleep Health [인터넷]. The Kingsley Clinic;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hekingsleyclinic.com/resources/pittsburgh-sleep-quality-index-your-guide-to-better-sleep-health/.
-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 Korean Med Sci. 2012;27(9):1058-1063. doi:10.3346/jkms.2012.27.9.1058. PMID: 22969258.
- Naver Blog – IM Psych Insight. 수면의 질 평가를 위한 지수, 척도 –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PSQI-K) [인터넷]. Naver Blog; 2020년 9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impt_insight/222092166128.
- Cole JC, Motivala SJ, Dimsdale JE, Ancoli-Israel S, Loredo JS, Levin M, 등.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pplied to cancer patient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J Pain Symptom Manage. 2024;50(2):263-271. doi:10.1080/07357907.2024.2446941. 전문 링크.
- University of Pittsburgh, Department of Psychiatry. PSQI Scoring Document [인터넷]. University of Pittsburgh;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leep.pitt.edu/sites/default/files/assets/Instrument%20Materials/Exhibit%20A-PSQI%20scoring.pdf.
- University of Pittsburgh, Department of Psychiatry. PSQI Instrument [인터넷]. University of Pittsburgh;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leep.pitt.edu/sites/default/files/assets/Instrument%20Materials/PSQI-Instrument.pdf.
- Good Medicin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터넷]. Good Medicine;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oodmedicine.org.uk/files/assessment,%20pittsburgh%20psqi.pdf.
- Nightly. 불면증 자가 진단 &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란? [인터넷]. Nightly;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ightly.so/ko/sleep-lab/articles/345/%EB%B6%88%EB%A9%B4%EC%A6%9D-%EC%9E%90%EA%B0%80-%EC%A7%84%EB%8B%A8-%ED%94%BC%EC%B8%A0%EB%B2%84%EA%B7%B8-%EC%88%98%EB%A9%B4%EC%9D%98-%EC%A7%88-%EC%A7%80%EC%88%98PSQI%EB%9E%80.
- Seo WS, Sung HM, Lee SY, Kim SY.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Associated Factors in Middle-schoo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21;30(4):353-362. doi:10.12934/jkpmhn.2021.30.4.353. PMCID: PMC8650888.
- Backhaus J, Junghanns K, Broocks A, Riemann D, Hohagen F.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 primary insomnia and control subjects. J Psychosom Res. 2002;53(3):737-40. doi:10.1016/s0022-3999(02)00330-6. PMID: 12217446.
- Hsieh SY, Tsai MC, Chen CH, Chang YL, Lee CY.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SQI in U.S. College Students. J Med Internet Res. 2016;18(7):e198. doi:10.2196/jmir.5685. PMID: 27449580.
- Buysse DJ, Ancoli-Israel S, Edinger JD, Lichstein KL, Morin CM. Recommendations for a standard research assessment of insomnia. Sleep. 2006;29(9):1155-73. doi:10.1093/sleep/29.9.1155. PMID: 17040009.
- Park JW, Kim SY, Lee SH, Kim DE, Kim HJ, Kim JB.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대한신경과학회지. 2020;38(4):343-349. doi:10.17340/jkna.2020.4.10. 전문 링크.
- The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인터넷].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날짜 정보 없음,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oodsleep.or.kr/upload/file/PSQI-K.pdf.
- Kim SY, Lee HJ, Lee DW, Jung HY, Kang SG.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using Fitbit devices: a cross-sectional analysis. Korean J Fam Med. 2023;44(5):277-284. doi:10.4082/kjfm.23.0166. PMID: 3777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