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공상의 힘: 내면세계의 구축과 확장

인류는 태초부터 환상, 이야기, 그리고 내면 풍경의 탐험에 매료되어 왔다. 이러한 매혹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고 형성하려는 근본적인 인간 욕구를 반영한다. “공상의 힘, 내면의 세계 만들기”라는 본 보고서의 주제는 이러한 힘을 의식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열망을 시사한다.

본 보고서는 상상력의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철학적 토대와 그것이 우리의 내면세계를 창조하고 함양하는 데 있어 수행하는 심오한 역할을 탐구할 것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우리가 개인의 성장과 안녕을 위해 상상력을 의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내면세계를 만든다”는 행위 자체가 수동적인 내적 상태의 경험을 넘어선 주체성과 건설적인 과정을 내포한다. 본 보고서는 상상력이 이러한 능동적 구축을 위한 주요 도구임을 탐색할 것이다. 사용자 질의에 사용된 “만들기”라는 동사는 내면세계가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축되고 함양될 수 있는 대상임을 시사한다. 감각에 즉각적으로 주어지지 않는 정신적 내용을 생성하는 능력인 상상력은 이러한 창조의 “방법”에 대한 가장 논리적인 해답이다. 이는 상상력을 내면세계의 한 특징일 뿐만 아니라 그 설계자로서 탐구하는 장을 마련한다.

II. 구성 개념의 정의: 상상력, 공상, 그리고 내적 자아

본 섹션에서는 핵심 개념에 대한 명확하고 미묘한 정의를 확립하고, 권위 있는 출처를 활용하여 견고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A. 상상력과 공상: 용어 해체

심리학적 정의

미국심리학회(APA)는 상상력(imagination)을 “직접적인 감각 데이터 없이 아이디어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능력으로, 종종 이전 감각 경험의 단편들을 새로운 종합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정의한다1. 이 정의는 상상력의 생성적이고 종합적인 본질을 강조하며, 직접적인 지각과 구별한다. 이는 기존의 정신적 재료로부터 새로움을 창조하는 상상력의 역할을 강조한다.

상상력은 경험과 학습을 통합하는 데 근본적인 인지 과정으로,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을 활용하는 복잡한 조건부 과정을 통해 새롭거나 정제된 아이디어를 생성한다2. 이는 순전히 인지적인 것뿐만 아니라 신체 및 장소와도 연결되어 있으며, 물질 및 사람들과의 관계를 포함한다2. 이는 단순한 심상을 넘어 범위를 확장한다.

심상(mental imagery)은 종종 동의어로 사용되며, 이전에 감각 지각으로 주어진 대상의 기억을 마음속에서 되살리는 과정(재생적 상상력)과 새롭고 환상적인 장면을 창조하는 것(생산적/구성적 상상력)을 모두 의미한다2.

비고츠키는 상상력을 “감정을 통해 발달된 분리 및 연합 과정을 통해 현실의 지각을 새로운 형태로 결합하는 마음의 능력”으로 정의한다3. 이는 변형적 측면과 감정의 역할을 강조한다.

철학적 관점

아리스토텔레스 : 상상력(판타시아)을 감각과 지성 사이를 매개하는 능력으로 보았으며, 우리 안에 이미지가 생겨나도록 하고, 생각, 꿈, 기억과 연결시켰다2.

임마누엘 칸트 : 생산적 상상력 (경험에 앞서 대상 표상의 원천이 되는 것)과 재생적 상상력 (과거 경험에서 파생된 표상을 생성하는 것)을 구분했다2. 칸트는 상상력을 직관의 능력으로 보았으며, 감각 데이터를 종합하고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고 여겼다4. 그의 작업은 상상력을 단순한 재생 이상으로 격상시켰다.

장 폴 사르트르 : “이미지는 의식이다”라고 주장하며, 의식 안에 존재하는 사물이 아니라 하나의 행위라고 보았다5. 이 현상학적 관점은 상상의 능동적이고 의도적인 본질을 강조한다.

가스통 바슐라르 : 상상력을 단순히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각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를 변형하는 능력… 첫 이미지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는 능력…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보았다6. 그는 상상력이 현실을 초월하는 힘과 우리의 “몽상”을 형성하는 물질적 요소(불, 물, 공기, 흙)와의 연관성을 강조했다7. 바슐라르에게 상상력은 “주요한 힘”, “새로운 이미지를 향한 열망”, “인간 정신을 위한 생성의 힘”이다6. 그는 또한 자신의 견해를 사르트르와 대조하며, 상상력을 세계의 미실현된 잠재력을 실현하는 힘, 즉 부정이 아닌 “잉여 존재”로 보았다8.

표 1: 주요 상상적 구성 개념 구분

구성 개념 핵심 정의 주요 특징 주요 심리적 기능/예시 주요 이론가/출처
생산적 상상력 즉각적인 감각 입력이나 단순한 기억 회상에서 직접 파생되지 않은 새로운 정신적 내용, 아이디어 또는 시나리오를 창조하는 능력. 새로움, 독창성, 현실 초월 가능성. 창의성, 혁신, 문제 해결, 예술적 창작. 칸트2, 바슐라르6
재생적 상상력 과거의 감각 데이터나 기억을 회상하고 재경험하는 능력. 기억 기반, 과거 지향적, 경험 재현. 기억 회상, 과거 경험의 재구성, 학습. 칸트2
공상 (Fantasy) 종종 소원 성취, 현실 도피, 또는 현실과 상당히 다른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상상력의 특정 유형. 소원 성취적, 현실 도피적, 비현실적일 수 있음, 이야기 구조를 가질 수 있음. 스트레스 해소, 욕구 충족의 대리 경험, 오락. 프로이트9, 10
백일몽 (Daydreaming) 즉각적인 과제나 환경과 관련 없는, 종종 이야기가 풍부한 자발적인 생각의 흐름. 자발적, 내러티브적, 주의 분산적, 긍정적/부정적 내용 가능. 마음 방랑, 창의적 발상, 문제 숙고, 정서적 처리. 싱어11, 12
심상 (Mental Imagery) 감각적 경험을 마음속으로 표상하거나 재현하는 능력. 시각, 청각, 운동감각 등 다양한 감각 양태를 포함. 감각적, 구체적, 의도적/비의도적 생성 가능. 시각화, 정신 연습, 기억 보조, 공간 추론. APA1, 스포츠 심리학13

역사적이고 학제적인 관점들은 상상력에 대한 이해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초기 그리스 사상에서처럼 감각 경험에 묶인 비교적 수동적인 재생 능력에서 칸트, 바슐라르, 사르트르 및 현대 인지 심리학에서처럼 역동적이고 생산적이며 심지어 현실을 형성하는 인지적, 실존적 힘으로 발전했다. 아리스토텔레스2는 상상력을 감각과 연결시켰다. 칸트2는 “생산적 상상력”이라는 중요한 구분을 도입하여 인지에서 더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했다. 바슐라르6는 이미지를 “변형”하고 “변화”시키는 능력, 단순한 재생을 넘어 능동적인 창조와 “초인간성”으로 나아가는 변형력을 더욱 강조했다. 사르트르5는 상상력을 의식 자체의 근본적인 양태로 위치시켰다. 현대 심리학1은 문제 해결, 학습 및 경험 통합에서의 역할을 인정한다. 이러한 발전 과정은 상상력의 복잡성과 인간 정신 생활에서의 핵심적인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며, 단순히 변덕스러운 능력이 아니라 핵심적인 인지 엔진으로서의 상상력을 조명한다.

상상력과 공상은 종종 혼용되지만, 핵심적인 차이점이 드러난다. 상상력은 정신적 이미지와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더 넓은 능력인 반면, 공상은 종종 특정하고 현실 도피적이거나 소원 성취적인 이야기 내용을 가리킨다. 이러한 상상적 산물에 어떻게 참여하는지에 따라 심리적 영향이 달라진다.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상상력은 연결과 성장을 촉진하는 반면, 수동적이고 현실 도피적인 공상은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10. 10은 공상(“우리를 분리시키고… 우리 자신의 창조 세계로 도피하게 하며… 연결로부터 고립됨”)과 상상력(“용기와 창의력이 필요하며, 진정한 자아의 일부를 제공하고… 세상을 형성하는 데 참여하도록 초대함”)을 명시적으로 대조한다. 이러한 구분은 이후에 논의될 힘과 잠재적인 함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백일몽11은 그 성격과 통제력에 따라 건설적이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B. 내면세계: 주관적 현실의 지도 그리기

심리학적 개념화

내면세계는 개인의 생각, 감정, 기억, 신념, 가치, 욕망, 두려움, 자기 인식 등을 포괄하는 사적이고 주관적인 영역이다14. 이는 “무의식적 저장소”15이자 “사적인, 정신적인, 자아의 세계”이다16. 내면세계는 경험과 그 경험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통해 형성된다16. 17은 오토 컨버그의 대상관계 이론을 강조하며, 내면세계는 내면화된 대상관계로부터 구축되어 외부 현실을 인지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내적 자아”는 존재의 핵심, 진정한 자아이다15. 그 구성 요소에는 감정, 직관, 가치, 신념, 성격, 생각, 환상, 영성, 욕망, 목적 등이 포함된다. 1818은 생생한 심상 및 더 나은 감정 식별과 연결되는, 내부에서 생성된 감각에 깊이 관여하는 경향성을 특징으로 하는 “‘내향적 집중’ 인지 스타일”을 논의한다18.

자기 이해, 정체성, 안녕에서의 중요성

잘 정돈된 내면세계는 정신적 안정과 “함몰 웅덩이 증상”(외부 모습이 내부의 공허함을 숨기는 상태)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19. 내적 자아를 알고 연결하는 것은 정신적, 신체적, 영적 건강에 필수적이며, 감정을 다루고, 자기 인식을 유지하며, 명확성, 가치, 목적을 갖고,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15. 내면세계는 “선택과 가치가 결정되는 중심부”이며 “고독과 성찰”을 필요로 한다20. 심리적 문제는 이 내면세계 안에서 “자신이 되고 싶거나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방식과 자신이 행동하거나 느끼는 방식 사이의 불연속성”에서 발생할 수 있다16. 내면세계의 통합성은 필수적이며, 발달 과정에서의 트라우마 등으로 인한 붕괴는 해리 및 왜곡된 현실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21. 아동의 내면세계는 상상력, 취약성, 말로 표현되지 않는 욕구로 가득 차 있으며, 정서적 안정은 건강한 발달에 가장 중요하다22.

내면세계는 밀폐된 용기가 아니라 외부 현실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그에 의해 형성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인 역동적인 인터페이스이다. 그 구조와 건강은 초기 관계의 질과 지속적인 경험에 의해 깊은 영향을 받는다17. 17 (컨버그)은 대상관계를 통해 내면세계와 외부 현실의 상호작용을 명시적으로 논의한다. 19 (“내면에 질서가 없다면 사람은 누구나 이런 경험을 하게 된다”)은 내적 질서를 삶을 경험하는 방식과 연결한다. 21는 외부 트라우마(경계 침해)가 내면세계의 통합성을 어떻게 붕괴시키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15은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 사이의 갈등과 균형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는 정적인 내적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인 대화와 상호 영향을 시사한다.

“‘내향적 집중’ 인지 스타일”18이라는 개념은 개인의 내면세계의 풍요로움과 접근성이 내적 감각과 심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여하는 특성 같은 경향과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스타일은 정서적 인식을 촉진한다. 1818은 심상이 이 광범위한 인지 스타일의 일부라고 제안한다. 이 스타일은 감정 식별/설명 장애(alexithymia)와 부정적으로 연관되고 내수용성 주의(interoceptive attention)와 긍정적으로 연관된다. 이는 자신의 내적 상태(신체적 및 정신적 모두)에 더 잘 적응하는 개인이 더 발달되고 접근 가능한 내면세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상상력(특히 생생한 심상)이 이러한 적응의 핵심 구성 요소임을 의미한다. 이는 상상력의 능력과 내적 탐구를 위해 그것을 사용하는 경향성을 연결한다.

III. 상상력의 다면적 힘: 인지적, 정서적, 신경학적 토대

본 섹션에서는 연구 증거를 바탕으로 상상력의 다양한 이점과 기능을 자세히 설명한다.

A. 인지 엔진: 사고의 촉매제로서의 상상력

창의성과 혁신의 연료 공급

상상력은 기존 지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1. 이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는 능력이다23. 창의적인 개인은 종종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이 높은데, 이는 기본 모드 네트워크(DMN)와 인지 통제 시스템 간의 기능적 연결성 증가와 관련되어 상상적 사고를 촉진한다24. “멍때리기 효과” 또는 백일몽은 뇌가 새로운 연결을 만들도록 하여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 (백일몽 효과 ②창의력 향상)은 백일몽 중에 뇌가 관련 없어 보이는 개념들을 새롭게 연결하는 능력이 향상된다고 말한다.

한국적 맥락에서,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은 상상력과 창의성을 21세기 성공의 필수 요소로 강조하며, “천재”(창의적이고 유희적인)와 단순한 “모범생”을 구분했다25.

문제 해결 및 학습 능력 향상

상상력은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12 (백일몽 효과 ③솔루션 발견)은 백일몽이 각성 상태의 뇌가 놓친 해결책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한다. 상상력을 통한 정신적 시뮬레이션은 가상적인 시행착오를 가능하게 하여 계획 및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된다12. 행동을 상상하는 것(정신 연습)은 실제 연습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오며 유사한 뇌 영역을 활성화한다13. 이는 스포츠 훈련에 사용된다13. 학습 후 백일몽은 이 상태 동안 해마(기억 영역)가 활성화되므로 기억 통합과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다12.

기억 및 미래 지향적 사고(예측)에서의 역할

상상력은 일화 기억(과거 사건 회상) 및 일화적 미래 사고(미래 사건 상상)와 깊이 얽혀 있으며, 종종 DMN 및 해마와 같은 신경 기질을 공유한다2. DMN은 과거 회상 및 미래 상상을 포함한 자기 생성적 사고 중에 활성화된다26. 증거는 상상력이 예술적 또는 “창의적”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학습, 기억 통합, 문제 해결 및 미래 계획에 필수적인 핵심 인지 과정임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지능과의 연관성27은 이를 더욱 뒷받침한다.

13 (보는 것과 상상하는 것의 뇌 활성화 유사성), 12 (백일몽 중 기억 통합), 28 (멍때리기를 통한 문제 해결), 2 (경험과 학습 통합), 26 (기억 및 미래 사고에서의 DMN), 그리고 27/27 (백일몽과 지능)는 모두 상상력을 다재다능하고 필수적인 인지 도구로 묘사한다. 이는 즉각적인 감각 입력과 독립적으로 정보를 정신적으로 조작하는 능력이며, 고차원적 사고에 중요하다.

백일몽이나 “멍때리기”와 같은 비집중 상태의 기간12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 아니라, 특히 창의성과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 처리에 중요하다. 이는 “주의 잔류”28 개념과 관련이 있는데, 뇌는 주의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더라도 중요한 작업을 계속 처리한다. 28은 갑작스러운 휴식과 “멍때리기”가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명시적으로 논의하는데, 이는 뇌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이고 강렬한 집중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의 잔류” 개념은 뇌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반의식적으로 문제에 대해 계속 작업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1229/29은 또한 백일몽이 뇌가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연결하도록 하여 창의적인 돌파구로 이어지는 방법을 강조한다. 이는 생산성을 위해 지속적인 집중 노력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도전한다.

B. 정서적 안식처와 힘: 정서 조절에서의 상상력의 역할

스트레스 감소 및 불안 완화

백일몽과 공상은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일시적인 도피를 제공하여 정신적 이완을 가능하게 한다. 3029은 백일몽 중에 신체가 알파파 상태에 있어 평온함을 촉진한다고 말한다. 프로이트는 공상을 현실의 고통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기제로 개념화했다9. “멍때리기”는 뇌에 휴식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28.

정서적 회복탄력성 및 대처 기제 구축

상상력은 안전한 공간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와 정서적 반응을 정신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하여 정서 지능과 회복탄력성을 키운다10. 아동은 상상 놀이를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대처 기술을 개발한다31. 긍정적인 결과를 상상하거나 도전을 성공적으로 헤쳐나가는 것을 상상하면 자신감을 키우고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31. 32은 긍정적인 자기 대화(긍정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상상적 행위)를 회복탄력성과 연결한다.

수동적인 현실 도피를 넘어, 상상력은 적극적인 정서 조절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도망치는 것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구축하고, 대처 기제를 연습하며, 어려운 상황을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33는 상상 속의 자유가 “위로와 해방감”을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31는 상상 놀이가 아동이 감정과 반응을 실험하여 정서 지능을 키우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32은 회복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해 자신을 위한 긍정적인 “이야기하기”를 만드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상상력의 능동적이고 건설적인 사용은 단순한 수동적 위축과 구별되며 심리적 힘을 구축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상상력이 정서적 안녕에 기여하는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는 즉각적인 스트레스 요인이나 압도적인 감정으로부터 심리적 거리를 만드는 능력이다. 이 거리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감소된 정서적 반응성을 가능하게 한다. 9 (프로이트)은 공상이 고통으로부터 거리를 만든다고 암시한다. 29은 공상(환상/백일몽)이 뇌가 쉬고 스트레스 상황을 “잊도록” 돕는다고 제안한다. 34는 “공상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창조성을 길러 준다”고 직접적으로 말하며, 30분의 탈출을 제공한다. 이러한 거리두기는 인지 시스템이 재평가하거나 단순히 급성 스트레스 반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C. 뇌의 상상 네트워크: 신경학적 토대

기본 모드 네트워크 (DMN)

DMN은 내측 전전두피질, 후대상피질, 하두정소엽, 해마 등을 포함하는 뇌 영역 네트워크로, 외부 과제에 집중하지 않을 때 내성적, 자기 참조적 사고, 마음 방랑, 백일몽, 기억 회상, 미래 상상 중에 가장 활발하다24. DMN은 내부 정신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창의적 사고와 공상 처리 모두에 관여한다26. 비정상적인 DMN 활동은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정신분열증,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장애와 관련이 있다35.

상상력의 기타 신경 상관물

해마(Hippocampus)는 기억 인출과 새로운 상상 시나리오 구성(일화적 시뮬레이션)에 필수적이다12. 전전두피질(PFC)은 인지 통제, 계획, 작업 기억에 관여하며, 특히 목표 지향적 상상력과 창의성에서 상상된 내용을 안내하고 조작하는 데 필수적이다2. 신경정신분석학적 관점은 피질하(예: SEEKING 시스템) 및 피질 중앙선 구조가 상호작용하여 정서적 추동력이 DMN의 자기 참조 처리 내에서 “감정 복합체”(융) 또는 “무의식적 환상”(클라인)으로 조직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26. 행동을 상상하면 실제 실행과 유사하게 운동 피질 영역이 활성화된다13.

DMN은 과거 경험, 미래 가능성 및 상상적 시나리오를 위한 시뮬레이터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며, 내부 정신 내용을 생성하고 탐색하는 데 전념하는 핵심 신경 시스템으로 보인다. “휴식” 중의 활동은 뇌가 본질적으로 내부 탐색을 지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536은 내성적 상태 동안의 DMN 활동을 정의한다. 26 (신경행동학적 관점)는 DMN을 “내부적으로 구성된 가상 시나리오”를 탐색하기 위한 “내향적 SEEKING 활동”과 연결하며, 이것이 상상력의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26은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DMN을 REM 수면 및 꿈과 연결한다. 이는 DMN을 수동적인 “기본값”이 아니라 내부 경험의 능동적인 생성자로 위치시킨다.

DMN과 같은 특정 네트워크가 중요하지만, 상상적 인지에는 기억(해마), 인지 통제(PFC), 감정(변연계) 및 감각 처리에 관련된 영역을 포함한 여러 뇌 영역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포함된다. 창의성, 즉 상상력의 핵심 산출물은 특히 DMN과 실행 통제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의 유연한 결합에 의존한다24. 2424은 창의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개인에서 DN과 인지 통제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26는 피질-변연계 중앙선 구조를 설명한다. 13은 상상된 움직임에 운동 피질이 관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산된 활동은 상상력이 단일하고 고립된 모듈의 산물이 아니라 복잡하고 통합적인 뇌 기능임을 시사한다.

참고 문헌

  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magination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ictionary.apa.org/imagination.
  2. Wikipedia. Imagination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n.wikipedia.org/wiki/Imagination.
  3. Taylor & Francis Online. Exploring the Impact of Imagination on Children’s Creative Writing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131752.2025.2483093?src=.
  4. Riss4u.net. 칸트 [순수이성비판]에서의 상상력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imgsvr.riss4u.net/contents2/td_contents3/08950/575/08950575.pdf.
  5. 위키백과. 상상력 (사르트르)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C%83%81%EB%A0%A5_(%EC%82%AC%EB%A5%B4%ED%8A%B8%EB%A5%B4).
  6. S&F_scienzaefilosofia.it. Gaston Bachelard’s Philosophy of Imagination: An Introduction [인터넷]. 2018년 3월 27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cienzaefilosofia.com/2018/03/27/gaston-bachelards-philosophy-of-imagination-an-introduction/.
  7. 네이버 블로그. 가스통 바슐라르, 상상력의 철학으로 [인터넷]. 2018년 10월 12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onwj823/221371314407?viewType=pc.
  8. Richard Kearney. Bachelard often praised imagination for its power of meta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richardmkearney.com/wp-content/uploads/2014/06/introduction2.pdf.
  9. 정신의학신문. [Doctor’s mail] 요즘 이상한 생각이 들어 걱정입니다 [인터넷]. 2022년 8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3073.
  10. Lindsay Braman. Escaping Fantasy to Engage Imagination: The Role of Play in …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lindsaybraman.com/fantasy-imagination-mental-health/.
  11. Coach Training EDU. W2C: How Intentional Daydreaming Builds Creativity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achtrainingedu.com/blog/intentional-daydreaming/.
  12. 네이버 블로그. 백일몽, 단 10분 만에 생산성 향상시키는 법 [인터넷]. 2024년 1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learning-crew/223335969679.
  13. 네이버 블로그. 상상의 효과 [인터넷]. 2019년 4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rattention/221521297411?viewType=pc.
  14. 정신의학신문. 나는 누구인가? – 자아, 자기, 사람은 나와 같은 건가 다른 건가? [인터넷]. 2021년 7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2124.
  15. Verywell Mi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Inner Self’? [인터넷]. 2022년 10월 21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erywellmind.com/tension-between-inner-self-and-outer-self-4171297.
  16. Center for Studies of the Person. Inner World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enterfortheperson.org/inner-world/.
  17. 네이버 블로그. 내면세계와 외부현실 [인터넷]. 2020년 4월 1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cl1113/221884570969?viewType=pc.
  18. Holmes EA, Mathews A. Mental imagery as part of an ‘inwardly focused’ cognitive style. J Exp Psychol Gen. 2024 Apr 25. doi: 10.1037/xge0001603. Epub ahead of print. PMID: 39222775.
  19. 브런치스토리. <내면세계의 질서와 영적성장> [인터넷]. 2019년 3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runch.co.kr/@futureshaper/151.
  20. 폴 스티븐스. 내면세계의 질서와 영적 성장. IVP; 2018.
  21. Sar V. Parallel-Distinct Structures of Internal World and External Reality: Disavowing and Re-Claiming the Self-Identity in the Aftermath of Trauma-Generated Dissociation. Front Psychol. 2017;8:94. doi:10.3389/fpsyg.2017.00094. PMID: 28261102.
  22. Fraiberg S. The Inner World of the Child. Bull Menninger Clin. 1985 Sep;49(5):469-81. PMID: 40334776.
  23. 액트앤비(Act&Be). The power of imagination(상상력의 힘) [인터넷]. 2021년 1월 28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tandbe.tistory.com/entry/The-power-of-imagination%EC%83%81%EC%83%81%EB%A0%A5%EC%9D%98-%ED%9E%98.
  24. Beaty RE, Thakral PP, Mesulam M, Schacter DL. Brain networks of the imaginative mind. Proc Natl Acad Sci U S A. 2018 Jan 30;115(5):E1087-E1096. doi:10.1073/pnas.1713336115. PMID: 29339481.
  25. 여성동아. 21세기 이끌 천재의 조건 & 상상력 키우기 [인터넷]. 2009년 2월 24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oman.donga.com/people/article/all/12/137691/1.
  26. Scerri M. The “Instinct” of Imagination. A Neuro-Ethological Approach to the Evolution of Fictional Cognition. Front Psychol. 2019;10:50. doi:10.3389/fpsyg.2019.00050. PMID: 30761040.
  27. Psychology Today. Imagination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asics/imagination.
  28. YouTube. [성공예감] [역발상 경제] ‘멍 때리기’ 효과,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MTbh2djAYHQ.
  29. 항암온열치료포럼 – 티스토리. 공상의 긍정적 효과 5가지 [인터넷]. 2022년 8월 19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yperthermia.tistory.com/1432.
  30. Walden University. Why Daydreaming Might Be Good for You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aldenu.edu/online-bachelors-programs/bs-in-psychology/resource/why-daydreaming-might-be-good-for-you.
  31. The Imagine Project. Nurturing Minds: The Crucial Role of Imagination in a Child’s Mental Health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heimagineproject.org/nurturing-minds-the-crucial-role-of-imagination-in-a-childs-mental-health/.
  32. 브런치스토리. 회복탄력성 지수 최상위권자가 말하는 <회복탄력성> [인터넷]. 2020년 9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runch.co.kr/@niuniu1314/48.
  33. 브런치스토리. #17_백일몽 [인터넷]. 2018년 11월 2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runch.co.kr/@@fLvj/22.
  34. 국립정신건강센터. 고객참여 > 나도 탈진증후군? – 직장인의 스트레스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mh.go.kr/ncmh/board/boardView.do?no=942&fno=39&bn=newsView&menu_cd=02_06_01.
  35. 네이버 블로그.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마커스 라이클 박사의 연구 결과에 대한 … [인터넷]. 2023년 10월 14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yeonse77/223236323685.
  36. 싸이엄쓰 – 티스토리. 기본 모드 네트워크(DMN) [인터넷]. 2021년 4월 13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su42th.tistory.com/entry/%EA%B8%B0%EB%B3%B8-%EB%AA%A8%EB%93%9C-%EB%84%A4%ED%8A%B8%EC%9B%8C%ED%81%ACD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