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오디 괄약근 장애의 해결책 | 최신 치료법에 대한 심층 가이드

오디 괄약근 장애(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SOD)는 담즙과 췌장액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여 반복적인 복통과 소화기 증상을 유발하는 복잡한 질환입니다. 많은 환자들이 담낭절제술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이나 원인 모를 상복부 불편감으로 고통받지만,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까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은 오디 괄약근 장애의 정의, 원인, 증상부터 최신 진단 방법과 다양한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분들이 자신의 질환을 더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KRHOW.COM 편집팀은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응원하며, 본 정보가 고통받는 분들께 실질적인 희망이 되기를 바랍니다.

핵심 요약

  • 오디 괄약근 장애(SOD)는 담즙과 췌장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오디 괄약근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며, 주로 상복부 통증을 유발합니다.
  •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지만, 그 외에도 여성, 과거 췌장염 병력, 특정 약물 등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진단은 증상, 혈액 검사, 영상 검사(MRCP, HIDA 스캔 등), 그리고 필요한 경우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 치료는 약물 치료(진통제, 괄약근 이완제 등), 내시경적 치료(괄약근 절개술, 보톡스 주입술 등), 생활 습관 교정 등을 포함하며, 환자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중요합니다.
  • 최근 연구들은 특히 기능성 SOD에 대한 내시경적 치료의 효과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며, 비침습적 진단법 및 표적 치료법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SOD)란 무엇인가?

오디 괄약근 장애(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이하 SOD)는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췌장에서 생성된 췌장액이 소장(십이지장)으로 원활하게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아우르는 질환입니다1. 이는 오디 괄약근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예: 협착) 또는 기능적인 이상(예: 운동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오디 괄약근의 역할과 기능

오디 괄약근(Sphincter of Oddi)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과 췌장에서 만들어진 췌장액이 소장(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조절하는 매우 정교한 근육 밸브입니다1. 이 괄약근은 담관과 췌관이 십이지장으로 합류하는 지점인 바터 팽대부(ampulla of Vater)를 둘러싸고 있으며, 소화액의 흐름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십이지장 내 음식물이나 세균 등이 담관이나 췌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방어벽 역할도 수행합니다1. 정상적인 상태에서 오디 괄약근은 일정한 기초 압력(basal pressure)을 유지하며1, 음식물 섭취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 자극에 반응하여 정교하게 수축하고 이완하는 운동을 반복합니다1. 이러한 조절 작용을 통해 소화 과정에 필요한 담즙과 췌장액이 적절한 시기에 십이지장으로 분비될 수 있도록 합니다3. 오디 괄약근의 정상적인 기능에 대한 이해는 오디 괄약근 장애(SOD)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과 그 기전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들이 자신의 질환을 정확히 이해하고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4.

SOD의 정의 및 주요 특징

오디 괄약근 장애(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이하 SOD)는 오디 괄약근의 구조적인 문제나 기능적인 이상으로 인해 담즙이나 췌장액이 십이지장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통칭하는 질환입니다1. 이러한 기능 이상은 괄약근 자체가 좁아지는 협착(stenosis)이나, 괄약근의 움직임에 문제가 생기는 운동 이상(dyskinesia)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SOD의 주요 특징으로는 반복적인 상복부 통증, 혈액 검사상 간 효소 또는 췌장 효소 수치의 상승, 영상 검사상 총담관 또는 췌관의 확장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인 불명의 재발성 급성 췌장염의 형태로 발현되기도 합니다1. 많은 환자들이 SOD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단순 소화불량이나 신경성 질환으로 오인받는 경우가 있으나, SOD는 오디 괄약근의 명확한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기능에 기반한 질환입니다4. 담즙 및 췌장액 흐름 조절, 역류 방지 등의 오디 괄약근 고유 기능에 문제(협착 또는 운동 이상)가 생겨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확인될 수 있는 의학적 상태입니다5. 따라서 SOD는 단순한 증상 호소가 아닌, 구체적인 생리학적 기전의 문제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됩니다.

SOD, 얼마나 흔한 질환인가요? (한국 유병률 포함)

오디 괄약근 장애의 전반적인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약 1.5%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5. 그러나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서는 이보다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담낭절제술 후에도 지속적인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14%에서 23%가 SOD로 진단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5. 한국에서의 정확한 전체 유병률 통계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국내 여러 연구 및 임상 자료를 통해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SOD가 통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3. 한 국내 연구에서는 5년간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을 시행 받은 환자 중 3%가 임상적으로 SOD가 의심되어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를 시행하였고, 이 중 일부가 SOD로 확진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6. 다른 국내 자료에서는 담낭절제술 후 상복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10~20%가 담낭절제후증후군에 해당하며, 이 중 SOD가 차지하는 비율은 10~14%(전체 담낭절제술 환자의 약 1%)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3. SOD는 여성에게서 남성보다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특히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중년 여성에서 흔히 관찰됩니다8. 질병관리청의 자료에 따르면(비록 해당 자료가 직접적으로 SOD에 대한 것은 아니나 성별/연령별 질환 발생 경향을 참고할 때), 특정 소화기계 질환에서 50세 이상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며, 출산력과의 연관성도 일부 제기된 바 있습니다9. 현재까지 한국에서 SOD 유병률에 대한 대규모 국가 단위의 역학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그러나 담낭절제술 시행 건수의 증가 추세와 함께 MRCP, 내시경 초음파(EUS),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 등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진단되지 못했던 SOD 환자들이 점차 발견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10. 따라서 공식적으로 집계된 통계보다 실제 SOD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환자 수는 더 많을 수 있으며, 이는 질환에 대한 의료진과 일반 대중의 인식 개선 및 적극적인 진단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의 원인과 증상

오디 괄약근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증상 또한 다채롭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파악과 증상 이해는 효과적인 치료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됩니다.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담낭절제술과의 연관성

담낭절제술은 오디 괄약근 장애 발생의 가장 중요하고 잘 알려진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7. 담낭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담낭이 제거되면 담즙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있어 오디 괄약근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됩니다4.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잠재되어 있던 오디 괄약근의 기능 이상이 비로소 드러나거나, 담낭절제술 중 주변 신경의 미세한 손상 등으로 인해 새롭게 기능 이상이 유발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3. 실제로 담낭절제술 후 오디 괄약근의 운동성에 변화가 관찰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빈도 수축(high frequency contractions)이 더 자주, 더 길게 나타나는 양상 등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11. 많은 환자들이 담낭절제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새로운 양상의 통증이 발생하여 혼란과 고통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담낭절제술과 SOD 발생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4.

기타 위험 요인

담낭절제술 외에도 오디 괄약근 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 성별 및 연령: SOD는 주로 중년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7.
  • 과거 췌장염 또는 담관염 병력: 이전에 췌장염이나 담관염을 앓았던 경우, 오디 괄약근 주변 조직의 염증이나 반복적인 손상으로 인해 섬유화가 진행되어 괄약근이 딱딱해지거나 좁아지는 협착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3.
  • 약물: 특정 약물, 특히 모르핀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는 오디 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하거나 기존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 미세 담석 또는 담관 찌꺼기 (Microlithiasis or biliary sludge):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담석(미세 담석)이나 담즙 찌꺼기가 담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디 괄약근을 자극하거나 일시적인 폐쇄를 유발하여 SOD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3.
  • 기타 요인: 드물지만 선천적으로 오디 괄약근이 두꺼운 경우(선천성 괄약근 비대), 괄약근의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근육계의 기능 이상, 그리고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과 같은 정신사회적 요인도 SOD 발생이나 증상 악화와 관련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5.

이처럼 오디 괄약근 장애의 발생에는 단일 원인보다는 해부학적 구조의 문제, 생리적 기능의 변화, 그리고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 담낭절제술이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지만, 담낭절제술을 받은 모든 환자에게 SOD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5. 이는 괄약근 자체의 문제(협착, 운동 이상)3, 신경 조절의 이상1, 미세 담석과 같은 물리적 자극12, 특정 약물의 부작용13, 그리고 심리적 스트레스5 등 여러 요인이 관여함을 시사합니다. 특히, 명확한 기질적 원인 없이 증상이 발생하는 기능성 질환의 개념은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뒷받침합니다13. 따라서 SOD를 이해하고 치료 전략을 수립할 때, 어느 한 가지 원인에만 집중하기보다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다양한 잠재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는 환자 교육 시 치료의 복잡성과 개인차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4.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인가요?

통증의 양상

오디 괄약근 장애의 가장 특징적이고 흔한 증상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심한 상복부 또는 우상복부 통증입니다1. 이 통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 발생 양상: 통증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수십 분에서 길게는 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마치 칼로 찌르거나 쥐어짜는 듯한 격렬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3.
  • 주기성: 통증은 지속적이기보다는 간헐적으로 재발하는 특징을 보이며, 통증이 없는 시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3.
  • 유발 요인: 식사, 특히 기름기가 많은 고지방 음식을 섭취한 후에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지만, 식사와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1.
  • 방사통 및 야간통: 통증이 등이나 오른쪽 어깨 쪽으로 뻗치는 방사통을 동반할 수 있으며7, 심한 경우 야간에 통증으로 인해 잠에서 깨기도 합니다3.
  • 담낭절제술 후 통증: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수술 전에 경험했던 담낭 통증과 유사한 양상의 통증을 다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들에게 큰 혼란과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부분입니다7.

이러한 통증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SOD 진단의 첫걸음이며, 다른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들과 감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동반될 수 있는 기타 증상

심한 복통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증상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오심 및 구토: 통증과 함께 메스꺼움이나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 황달 (Jaundice): 담즙의 배출 장애가 심하여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는 경우,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4.
  • 발열 및 오한: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해 담관이나 췌장에 이차적인 감염이 동반된 경우, 발열이나 오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7.
  • 췌장염: SOD는 재발성 급성 췌장염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이 경우 췌장염과 관련된 특징적인 증상, 예를 들어 등으로 방사되는 심한 복통, 혈액 검사상 아밀라아제 및 리파제 수치 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 반복적인 통증과 소화 장애로 인해 식욕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7.

이러한 동반 증상들은 SOD의 심각도나 특정 유형(예: 췌장형 SOD)을 시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즉각적인 의학적 개입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 어떻게 진단하나요?

오디 괄약근 장애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 소견과 함께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내려집니다4.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을 배제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단계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 기준: 밀워키 분류와 Rome 기준

SOD 진단에는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몇 가지 분류 기준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밀워키 분류(Milwaukee classification, 또는 Hogan-Geenen 분류)와 Rome 기준이 있습니다5. 이러한 분류 기준은 환자군을 나누어 진단적 접근법과 치료 전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밀워키 분류 (Milwaukee Classification): 주로 담도형 SOD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환자가 호소하는 전형적인 담도성 통증과 함께 객관적인 검사 소견(간 기능 검사 이상, 총담관 확장)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 제1형 (Type I): 전형적인 담도성 통증과 함께 ▲간 기능 검사(AST, ALT, ALP 등) 수치 이상(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 ▲영상 검사상 총담관 확장(보통 12mm 이상) 소견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입니다5. 이 유형의 환자들은 오디 괄약근의 구조적인 협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 제2형 (Type II): 전형적인 담도성 통증과 함께, 간 기능 검사 이상 또는 총담관 확장 중 한두 가지 소견만 존재하는 경우입니다5.
  • 제3형 (Type III): 전형적인 담도성 통증만 있고, 간 기능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입니다5. 이 유형은 오디 괄약근의 기능성 장애 또는 운동 이상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으며, 진단과 치료에 있어 논란이 가장 많은 유형이기도 합니다.

췌장형 SOD에 대해서도 유사한 기준(췌장성 통증, 췌장 효소 상승, 췌관 확장 등)을 적용하여 분류할 수 있습니다5.

Rome 기준 (Rome Criteria):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 대한 국제적인 진단 기준으로, Rome IV 기준에서는 오디 괄약근 기능 장애를 기능성 담낭 장애, 기능성 담도 오디 괄약근 장애, 기능성 췌장 오디 괄약근 장애 등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3. 이 기준은 통증의 특징적인 양상, 다른 구조적 또는 대사성 원인의 배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 소견 등을 진단에 포함시킵니다. 최근 Rome IV 기준의 개정에서는 밀워키 분류 제1형만이 진정한 병리학적 상태로 인정되고, 제2형은 기능성 담도 괄약근 장애 의심으로 간주되어 확진을 위해 오디 괄약근 기저압 상승의 증명이 필요하다고 언급되기도 했습니다15.

다음은 오디 괄약근 장애의 주요 분류 기준을 요약한 표입니다.

표 1. 오디 괄약근 장애의 분류 (밀워키 분류 및 Rome IV 기준 요약)
분류 체계 유형 주요 진단 기준 비고 (출처 등)
밀워키 분류 (담도형) 제1형 (Definitive/Stenosis) 담도성 통증 + 간효소 ≥2xULN (2회 이상) + 총담관 확장 (>12mm 또는 >8mm) Hogan-Geenen 분류 기반6
밀워키 분류 (담도형) 제2형 (Presumptive) 담도성 통증 + (간효소 이상 또는 총담관 확장 중 1-2가지) 6
밀워키 분류 (담도형) 제3형 (Possible/Dyskinesia) 담도성 통증만 존재 (객관적 소견 없음) 논란이 많은 유형6
밀워키 분류 (췌장형) 제1형 췌장성 통증 + 췌장효소 상승 + 췌관 확장 13
밀워키 분류 (췌장형) 제2형 췌장성 통증 + (췌장효소 상승 또는 췌관 확장 중 1가지) 13
밀워키 분류 (췌장형) 제3형 췌장성 통증만 존재 13
Rome IV 기준 기능성 담도 오디 괄약근 장애 (E1b) “담도성 통증 기준 충족 + (간효소 상승 또는 담관 확장 중 하나만, 둘 다는 아님) + 담석/구조적 이상 없음. (지지 기준: 정상 아밀라제/리파제, SOM 이상, HBS 이상)” Rome Foundation16
Rome IV 기준 기능성 췌장 오디 괄약근 장애 (E2) 재발성 췌장염 (전형적 통증 + 효소 >3xULN 및/또는 영상 증거) + 다른 췌장염 원인 배제 + EUS 정상 + SOM 이상 Rome Foundation16

주: ULN (Upper Limit of Normal, 정상 상한치), SOM (Sphincter of Oddi Manometry,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 HBS (Hepatobiliary Scintigraphy, 간담도 신티그래피),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4

주요 검사 방법

SOD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들이 활용됩니다. 이러한 검사들은 SOD를 직접 진단하기보다는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을 배제하고, SOD를 시사하는 간접적인 소견을 찾거나, 오디 괄약근의 기능을 직접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혈액 검사

통증이 발생했을 때 간 기능 검사(AST, ALT, ALP, 빌리루빈 수치 등)와 췌장 효소 검사(아밀라아제, 리파제 수치 등)를 시행하여 이들 수치가 상승했는지 확인합니다7. 이러한 효소 수치의 일시적인 상승은 담즙이나 췌장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객관적인 증거가 될 수 있으며, SOD 진단 기준의 일부로 활용됩니다. 이는 SOD를 진단하는 데 있어 비침습적이고 기본적인 검사 방법입니다4.

영상 검사 (US, CT, MRCP, HIDA scan)

다양한 영상 검사를 통해 담관 및 췌장의 구조적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기능을 평가합니다.

  • 복부 초음파(Ultrasound, US) 및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담석, 종양, 염증 등 다른 구조적인 이상 소견을 감별하고, 총담관 또는 췌관의 확장 여부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영상 검사입니다7.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방사선 노출 없이 담관과 췌관의 상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입니다7. 담관이나 췌관의 협착, 담석, 종양 등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크레틴(secretin)이라는 호르몬을 주사하여 췌액 분비를 자극한 후 MRCP를 시행(secretin-stimulated MRCP)하여 췌관의 배출 기능을 보다 자세히 평가하기도 합니다3.
  • 간담도 신티그래피 (Hepatobiliary Scintigraphy, HIDA scan): 방사성 동위원소를 정맥 주사한 후 동위원소가 간에서 담즙으로 배설되어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추적 촬영하는 핵의학 검사입니다3. 이를 통해 담낭의 기능(담즙 배출 능력) 및 오디 괄약근을 통한 담즙의 배출 지연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 중 지방식이나 콜레시스토키닌(CCK)과 같은 물질을 투여하여 담낭 수축 및 담즙 배출을 유도하며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도 합니다3.
  • 지방식 부하 초음파 (Fatty meal ultrasonography): 지방이 포함된 식사를 한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총담관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12. 오디 괄약근의 기능 이상으로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총담관 직경이 식사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디 괄약근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영상 검사들은 SOD 자체를 직접적으로 진단하기보다는,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들(예: 담석, 종양)을 배제하고, SOD를 시사하는 간접적인 소견(예: 담관 확장, 담즙 배출 지연)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4.

내시경 검사 (ERCP, EUS)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는 보다 직접적으로 담관, 췌장 및 오디 괄약근 부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내시경 초음파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내시경 끝에 부착된 초음파 장비를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통해 접근하여 담관, 췌장, 오디 괄약근 주변 구조물을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정밀하게 관찰하는 검사입니다7. 일반적인 복부 초음파나 CT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미세 담석, 작은 종양, 만성 췌장염의 초기 변화 등을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비침습적인 영상 검사 후 추가적인 정밀 평가가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특수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담관과 췌관의 입구인 바터 팽대부를 통해 가느다란 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영상을 얻는 침습적인 검사입니다3. 이를 통해 담관이나 췌관의 협착, 담석, 종양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ERCP는 진단 목적 외에도 담석 제거, 협착 부위 확장, 스텐트 삽입, 그리고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 시행 등 치료적인 목적으로도 널리 활용됩니다3. 다만, ERCP 시술 자체로 인해 췌장염,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3.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 (SOM): 표준검사 및 한계점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는 ERCP 시술 중에 특수한 압력 측정 카테터를 오디 괄약근 내에 위치시켜 괄약근의 기초 압력(basal pressure), 수축파의 진폭(amplitude), 수축 빈도(frequency), 수축파의 전파 양상(propagation pattern) 등을 직접 측정하는 검사입니다5.

표준 검사 (Gold Standard): 오디 괄약근의 기초 압력이 정상 기준치(보통 40 mmHg)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하며, 이는 SOD 진단의 “표준 검사(gold standard)”로 여겨집니다5. SOM은 SOD 진단에 가장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17.

한계점: SOM은 침습적인 검사로, ERCP 시술과 마찬가지로 시술 후 췌장염 발생 위험이 다른 ERCP 적응증에 비해 높게 보고됩니다5. 또한, 검사 장비가 모든 의료기관에 보급되어 있지 않고, 검사 술기가 복잡하며 숙련된 인력이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의 재현성이 낮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됩니다5. 특히 국내에서는 시술의 번거로움과 합병증에 대한 우려로 인해 SOM의 시행 빈도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일부 전문화된 의료기관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5. 따라서 SOM은 SOD 진단에 가장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검사이지만, 침습성과 여러 한계점으로 인해 모든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환자의 상태, 예상되는 치료 효과, 그리고 시술의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시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4.

다음은 오디 괄약근 장애 진단에 사용되는 주요 검사들의 특징을 비교한 표입니다.

표 2. 오디 괄약근 장애의 주요 진단 검사 비교
검사 종류 검사 목적 주요 검사 방법 장점 단점 및 한계점
혈액 검사 간/췌장 효소 수치 변화 확인 통증 시 혈액 채취하여 간 기능(AST, ALT, ALP, Bilirubin), 췌장 기능(Amylase, Lipase) 검사 비침습적, 간편함, 비용 저렴 일시적 변화만 반영, SOD에 비특이적, 통증 시점에 채혈 어려움
복부 초음파 (US) 담석, 담관/췌관 확장, 종양 등 구조적 이상 배제 초음파 탐촉자를 복부에 대고 내부 장기 관찰 비침습적, 방사선 노출 없음, 비교적 저렴, 접근 용이 장내 가스나 비만 시 관찰 제한, 미세 병변 발견 어려움, 시술자 의존도 높음
복부 CT 담석, 종양, 췌장염, 담관/췌관 확장 등 정밀 구조 평가 X-선을 이용하여 복부 단면 영상 촬영 초음파보다 정밀한 구조 관찰 가능, 췌장 전체 평가 용이 방사선 노출, 조영제 사용 시 부작용 가능성, 비용 상대적 높음
MRCP 담관/췌관계 비침습적 정밀 영상 (협착, 결석, 기형 등) MRI를 이용하여 담관과 췌관을 선택적으로 영상화 비침습적, 방사선 노출 없음, 조영제 없이도 가능, 담관/췌관계 상세 구조 파악 우수 비용 높음, 검사 시간 김, 폐쇄공포증 환자 어려움, 금속성 물질 체내 삽입 시 제한
HIDA Scan (간담도 신티그래피) 담즙 흐름, 담낭 기능, 오디 괄약근 통한 담즙 배출 평가 방사성 동위원소 주사 후 담즙 배설 경로 추적 촬영 기능적 정보 제공, 비침습적 (주사 외) 방사선 노출 (미량), 검사 시간 김, 민감도/특이도 논란, 표준화 부족
EUS (내시경 초음파) 담관/췌장/오디 괄약근 주변 미세 병변 (미세결석, 초기 종양) 정밀 관찰 내시경 끝 초음파로 소화관 내에서 근접 촬영 매우 정밀한 영상, 조직 검사 가능성, 다른 검사에서 놓친 병변 발견 가능 침습적(진정 내시경), 비용 높음, 시술자 숙련도 중요, 합병증 가능성(낮음)
ERCP 담관/췌관 직접 조영, 진단 및 치료 동시 가능 (결석제거, 스텐트, SOM) 내시경으로 바터 팽대부 통해 담관/췌관에 조영제 주입 후 X-선 촬영 진단과 치료 동시 가능, 직접적 관찰 침습적, 췌장염/출혈/천공 등 합병증 위험 높음 (특히 SOD 환자에서 췌장염 위험 증가), 진정/마취 필요
SOM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 오디 괄약근 기능 직접 평가 (기저압, 수축 양상 등) ERCP 중 특수 카테터로 오디 괄약근 압력 측정 SOD 진단의 표준 검사, 괄약근 기능 직접 평가 매우 침습적, 췌장염 위험 높음, 장비/기술 요구도 높음, 국내 시행기관 제한적, 결과 재현성 낮을 수 있음

감별해야 할 질환들

오디 괄약근 장애의 증상은 다른 여러 소화기 질환의 증상과 매우 유사하여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이들 질환과의 감별이 필수적입니다. 주요 감별 대상 질환으로는 담석증(특히 총담관 결석), 담낭염, 담관염, 다른 원인에 의한 췌장염,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GERD), 과민성 장 증후군(IBS), 기능성 소화불량증 등이 있습니다3. 심지어 심장 질환으로 인한 흉통과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담낭절제술을 받은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술 자체의 합병증(예: 담관 손상, 잔류 담석)이나 수술 전 오진되었던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18. 정확한 감별 진단은 불필요한 검사나 부적절한 치료를 피하고,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적의 치료법을 찾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SOD 진단 과정은 그 특성상 ‘배제 진단(diagnosis of exclusion)’의 성격이 강합니다7. 즉,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명확한 기질적 질환(예: 담석, 종양 등)들을 다양한 검사를 통해 하나씩 배제해 나가는 과정을 거쳐 SOD 진단에 이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검사(혈액 검사,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 등)가 필요하며, 확진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19. 특히, 혈액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뚜렷한 이상 소견이 없는 제3형 SOD의 경우 진단이 더욱 어렵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진단 과정의 불확실성과 장기화는 환자에게 상당한 심리적 부담과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때로는 ‘꾀병’으로 오인받거나 심리적인 문제로 치부될까 봐 위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4. 따라서 의료진은 이러한 진단 과정의 특성을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정서적인 지지와 공감을 제공하며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4.

오디 괄약근 장애의 해결책: 최신 치료법 심층 가이드

치료 목표 및 기본 원칙

오디 괄약근 장애 치료의 주요 목표는 환자가 겪는 증상, 특히 반복적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담즙 및 췌장액의 흐름을 개선하여 소화 기능을 정상화하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3. 치료 방법을 결정할 때에는 SOD의 유형(예: 밀워키 분류에 따른 제1형, 제2형, 제3형), 증상의 심각도, 동반된 다른 질환 유무, 그리고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치료에 대한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화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합니다7. 일반적으로는 가능한 비침습적인 치료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보다 침습적인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원칙입니다4. 그러나 오디 괄약근의 명확한 협착이 의심되는 제1형 SOD와 같이 특정 경우에는 조기에 침습적 치료(예: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를 고려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3. 치료 목표와 기본 원칙을 환자와 충분히 공유함으로써, 환자는 치료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현실적인 기대치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SOD 환자의 증상 조절을 위한 일차적인 접근법 중 하나이며, 특히 통증 완화와 괄약근 기능 개선에 초점을 맞춥니다.

통증 조절 및 증상 완화 약물

  • 진통제: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통증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나 아세트아미노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한 통증에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마약성 진통제(예: 모르핀, 코데인)는 강력한 진통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오디 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사용에 매우 신중해야 하며,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13.
  • 항경련제 (Antispasmodics) / 평활근 이완제: 일부 환자에서 오디 괄약근을 포함한 위장관 평활근의 경련을 완화시켜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3.
  • 신경 조절제 (Neuromodulators): 삼환계 항우울제(TCAs)나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s)와 같은 약물들은 만성 통증, 특히 명확한 기질적 원인이 없는 기능성 통증이나 내장 과민성과 관련된 통증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SOD, 특히 제3형 환자의 통증 관리에 시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많은 환자들에게 일차적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통증 관리와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 선택과 용량 조절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4.

괄약근 이완제 (e.g., calcium channel blockers, nitrates)

오디 괄약근의 평활근을 직접 이완시켜 괄약근 내 압력을 낮추고 담즙 및 췌장액의 흐름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니페디핀(nifedipine)과 같은 약물이 대표적이며, 오디 괄약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
  • 질산염 제제 (Nitrates):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과 같은 약물이 있으며, 혈관 확장 효과와 함께 평활근 이완 효과를 통해 오디 괄약근 압력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1.

이러한 괄약근 이완제는 주로 오디 괄약근의 긴장도가 높아져 발생하는 경련성(spastic type) SOD나, 증상이 비교적 경미한 제2형 또는 제3형 SOD 환자에게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3.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그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 안면 홍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 고용량이 필요하지만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3. 따라서 이러한 약물 치료는 비침습적인 치료 옵션으로서의 장점이 있지만, 기대 효과와 잠재적인 부작용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문의의 지도 하에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내시경적 치료

약물 치료로 증상 조절이 충분하지 않거나, 오디 괄약근의 명확한 기능 이상이 확인된 경우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Endoscopic sphincterotomy: ES – biliary, pancreatic, dual)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ES)은 SOD 치료의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로, 특수 내시경(십이지장경)을 이용하여 오디 괄약근 부위에 접근한 후, 전기 소작기를 이용하여 괄약근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담즙과 췌장액의 배출 통로를 넓혀주는 시술입니다7.

적응증: 이 시술은 주로 밀워키 분류 제1형 SOD 환자(명확한 담관 확장 및 간 기능 이상 동반)에게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 없이도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3. 제2형 환자의 경우에는 SOM 결과에서 괄약근 압력 상승이 확인된 경우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3. 객관적인 이상 소견이 없는 제3형 환자에서의 괄약근 절개술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그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3.

종류: 절개하는 괄약근의 범위에 따라 담도 오디 괄약근만을 절개하는 담도 괄약근 절개술(biliary sphincterotomy, BES), 담도 괄약근과 함께 췌관 오디 괄약근까지 절개하는 이중 괄약근 절개술(dual sphincterotomy, DES 또는 pancreatobiliary sphincterotomy) 등이 있습니다3.

효과: 제1형 환자에서는 90% 이상에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SOM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제2형 환자에서도 약 85% 정도의 증상 호전이 보고됩니다3. 그러나 제3형 환자에서는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납니다3. 최근 발표된 RESPOnD 연구에서는 SOD 의심 환자에서 괄약근 절개술 후 약 60%의 환자가 증상 개선을 보였으나, 위약 효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하여 결과 해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20.

합병증: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은 시술 후 췌장염(Post-ERCP Pancreatitis, PEP)입니다3. 특히 SOD 환자에서 췌장염 발생 위험이 다른 질환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보고에서는 최대 35%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3. 그 외에도 출혈, 천공, 감염 등의 위험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7. 시술 후 췌장염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방적으로 췌관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은 SOD의 주요 침습적 치료법이지만, 그 효과와 잠재적인 위험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예상되는 이득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시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보툴리눔 독소(보톡스) 주입술

보툴리눔 독소 주입술은 내시경을 통해 오디 괄약근에 직접 보톡스를 주입하여 일시적으로 근육을 마비시키고 이완시키는 방법입니다7.

적응증 및 역할: 이 시술은 주로 객관적인 이상 소견이 없는 제3형 SOD 환자나, 괄약근 절개술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 진단적 또는 치료적 목적으로 시도될 수 있습니다3. 보톡스 주사 후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향후 괄약근 절개술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3.

효과 및 한계: 보톡스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수개월 정도로 일시적이며, 증상이 재발하면 반복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12. 최근 한 연구에서는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을 받은 후에도 지속적인 췌담도 통증을 호소하는 기능성 담도 괄약근 장애(FBSD) 환자에게 보톡스 주사가 효과적인 통증 관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21. 보톡스 주입술은 괄약근 절개술에 비해 덜 침습적인 대안이 될 수 있지만, 효과의 지속성과 반복 시술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풍선 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술

내시경을 이용하여 풍선 카테터로 좁아진 오디 괄약근 부위를 확장시키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여 담즙 및 췌장액의 배출 통로를 확보하는 방법입니다3.

풍선 확장술: 괄약근 절개술에 비해 덜 침습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술 후 췌장염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3.

스텐트 삽입술: 일시적인 증상 호전을 유도하거나, 괄약근 절개술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3. 그러나 스텐트 자체로 인한 합병증(예: 스텐트 막힘, 이동, 췌장염 등)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췌관 스텐트 삽입은 주로 ERCP 관련 췌장염을 예방할 목적으로 더 흔하게 사용됩니다3. 이러한 시술들은 특정 상황에서 고려될 수 있지만, 합병증 발생 위험을 충분히 인지하고 환자에게 적합한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다음은 오디 괄약근 장애의 다양한 치료법을 요약한 표입니다.

표 3. 오디 괄약근 장애의 치료법 요약
치료 종류 세부 치료법 주요 대상 (SOD 유형 등) 기대 효과 주요 고려사항 / 부작용 및 합병증
약물 치료 진통제 (NSAIDs, 아세트아미노펜 등) 모든 유형의 통증 조절 통증 완화 위장 장애, 신기능 저하 (NSAIDs 장기 사용 시). 마약성 진통제는 괄약근 경련 유발 가능성.22
약물 치료 항경련제/평활근 이완제 경련성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괄약근 이완, 통증 완화 효과 제한적일 수 있음, 어지러움, 변비 등.
약물 치료 신경 조절제 (TCA, SNRI 등) 만성 통증, 기능성 통증, 제3형 SOD 통증 역치 조절, 통증 감소 효과 발현까지 시간 소요, 졸음, 입 마름, 변비 등 부작용.
약물 치료 괄약근 이완제 (칼슘채널차단제, 질산염 제제) 경련성 SOD, 경증 제2형/제3형 SOD 괄약근 압력 감소, 담즙/췌장액 흐름 개선, 통증 완화 효과 제한적,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 등 부작용.23
내시경적 치료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ES: BES, DES) 제1형 SOD, SOM 양성인 제2형 SOD. 제3형은 논란.12 담즙/췌장액 배출 통로 확장, 증상 호전 (제1형 90% 이상) 췌장염 (SOD 환자에서 10-35%), 출혈, 천공, 감염. RESPOnD 연구: 효과에 위약 가능성, 예측인자 불명확.20 EPISOD 연구: 제3형 효과 미미.24
내시경적 치료 보툴리눔 독소 (보톡스) 주입술 제3형 SOD, ES 고위험군, ES 효과 예측 목적 일시적 괄약근 마비/이완, 증상 완화 효과 일시적 (수개월), 반복 시술 필요, 췌장염 등 ES 유사 합병증 가능성 (낮음).12
내시경적 치료 풍선 확장술 선택적 협착 부위 협착 부위 확장 췌장염 발생 위험 높음.17
내시경적 치료 스텐트 삽입술 (담도/췌관) 일시적 배액, ES 효과 예측 (담도), PEP 예방 (췌관) 담즙/췌장액 배액 개선 스텐트 막힘, 이동, 췌장염, 담관염. 장기 유치 어려움.17
수술적 치료 경십이지장 괄약근 성형술 등 내시경 치료 실패 또는 불가능한 매우 제한적 경우 괄약근 기능 회복 침습성 높음, 합병증 위험, 현재 거의 시행 안 함.17
생활 습관 교정 및 자가 관리 저지방 식이, 소량씩 자주 식사, 금주, 금연, 스트레스 관리 모든 SOD 환자 증상 완화, 삶의 질 개선, 재발 감소 개인별 효과 차이, 장기적 노력 필요.

수술적 치료

과거에는 내시경적 치료법이 발달하기 전에 개복하여 십이지장을 통해 직접 오디 괄약근을 절개하거나 성형하는 수술적 치료(경십이지장 괄약근 성형술, transduodenal sphincteroplasty) 등이 시행되었습니다3. 그러나 내시경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현재는 이러한 수술적 치료가 표준 치료법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습니다3. 내시경적 치료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반복적인 시술에도 불구하고 재협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등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3. 현재 표준 치료는 아니지만, 특정 환자군에서는 여전히 하나의 치료 옵션으로 남아있을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는 있습니다.

생활 습관 교정 및 자가 관리

약물 치료나 내시경적 시술 외에도 환자 스스로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적극적으로 자가 관리를 하는 것이 SOD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식단 조절: 고지방 음식 섭취를 줄이고, 과식을 피하며, 소량씩 자주 식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7.
  • 금주 및 금연: 알코올과 흡연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7.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소화기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4.
  • 유발 요인 파악 및 회피: 자신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특정 음식, 음료, 스트레스 상황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하여 가능한 피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22.

이러한 생활 습관 교정은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최신 연구 동향 및 논란 (e.g., EPISOD, RESPOnD trials)

오디 괄약근 장애, 특히 기능성으로 간주되는 유형에 대한 치료 전략은 최근 몇 년간 중요한 변화와 논쟁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과거에는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에서 압력 상승이 확인되면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ES)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12. 그러나 최근 발표된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들은 이러한 기존의 치료 패러다임에 중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EPISOD 시험 (Evaluating Predictors and Interventions in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이 연구는 주로 밀워키 분류 제3형 SOD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 군과 위약 시술(sham procedure)을 받은 군 간에 통증 관련 장애 개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괄약근 절개술 군에서 시술 후 췌장염 발생 위험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5. 이 결과는 객관적인 이상 소견이 없는 제3형 SOD 환자에 대한 내시경적 치료 접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보다 신중한 환자 선택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RESPOnD 시험 (Results of ERCP for SPhincter of Oddi Disorders, 2024년 Gut 발표): 이 연구는 SOD가 의심되는 다양한 유형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괄약근 절개술의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시술 후 약 60%의 환자가 전반적인 증상 개선(Patient Global Impression of Change 기준)을 보였으나, 연구진은 이러한 개선 효과에 위약 효과가 기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20. 더욱이, 시술 전 담관 확장 유무나 혈액 검사 이상 소견이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지 않았으며, 과거 췌장염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시술 후 췌장염 재발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습니다20. 이 연구는 괄약근 절개술의 효과에 대한 기존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며, 향후 보다 정밀한 환자 표현형 분석(phenotyping) 및 새로운 바이오마커 개발을 통한 환자 선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특히 밀워키 분류 제2형 및 제3형 SOD 환자에서 SOM의 역할과 괄약근 절개술의 적응증 및 실제 효과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의견이 분분함을 보여줍니다24.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형의 SOD가 부분적으로 기능성 질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모든 환자가 괄약근 절개술로 혜택을 보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26. 이 외에도 보툴리눔 독소 주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21, 오디 괄약근 기능과 관련된 생화학적 기전(예: 질산화 스트레스와 SOD의 연관성)27, 그리고 괄약근 절개술의 장기적인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15 등이 진행 중입니다. 결론적으로, 최근의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들은 SOD, 특히 기능성으로 간주되는 유형에 대한 기존의 침습적 치료 패러다임에 중요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침습적 시술(SOM, ES)의 잠재적 위험성(특히 시술 후 췌장염)28을 고려할 때, 모든 SOD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던 과거의 치료 접근법을 재고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괄약근 절개술로부터 실제로 혜택을 볼 수 있는 환자군을 보다 정확하게 선별하기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나 영상 기법 개발20, 그리고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약물 치료나 비침습적 치료법 개발에 더욱 집중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환자에게 불필요한 시술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 치료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 환자를 위한 생활 가이드

오디 괄약근 장애(SOD) 진단을 받았거나 의심되는 경우, 의료적인 치료와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관리가 증상 조절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SOD 환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생활 가이드입니다.

식단 관리

  • 저지방 식이: 지방이 많은 음식은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오디 괄약근의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과도한 지방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7. 튀긴 음식, 기름진 육류, 고지방 유제품 등의 섭취를 줄이고, 대신 살코기, 생선, 채소, 과일 위주의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소량씩 자주 식사: 한 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7. 규칙적인 시간에 소량씩 여러 번 나누어 식사하는 것이 증상 유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음식 일기 작성: 특정 음식을 섭취한 후 증상이 악화되는지 관찰하고 기록하는 음식 일기를 작성하면,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을 파악하고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2.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유발 음식은 없으므로,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적절한 수분 섭취는 전반적인 소화 기능 유지에 중요합니다.
  •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너무 맵거나 짠 음식,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음료(커피, 에너지 드링크 등), 탄산음료 등은 일부 환자에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및 심리적 지지

  • 스트레스의 영향: 스트레스는 위장관 운동 및 통증 감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SOD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4.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스 해소법: 규칙적인 운동, 명상, 요가, 취미 활동, 충분한 수면 등 자신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심리적 어려움: SOD는 만성적인 통증과 진단의 어려움으로 인해 환자에게 불안, 우울, 좌절감 등 심리적인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감정을 혼자 겪기보다는 가족, 친구, 또는 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심리상담사 등)와 이야기하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지행동치료(CBT)와 같은 심리 치료가 만성 통증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22.

정기적인 검진의 중요성

  • 증상 변화 관찰: 자신의 증상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기존 증상이 악화될 경우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22.
  • 치료 반응 평가: 약물 치료나 내시경적 시술을 받은 경우, 치료 효과와 부작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 장기적인 관리 계획: SOD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단기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4. 담당 의사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관리 방법을 찾아나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며, 개별 환자의 상태에 대한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 오디 괄약근 장애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기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반드시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중단하지 마십시오. 모든 치료는 전문의의 지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심한 복통, 황달,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 의료기관을 방문하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오디 괄약근 장애는 왜 담낭절제술 후에 더 잘 생기나요?

담낭은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하는데, 담낭절제술 후에는 담즙이 지속적으로 오디 괄약근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므로 괄약근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에 미미했던 괄약근의 기능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거나, 수술 중 미세한 신경 손상 등으로 기능 이상이 새로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37. 모든 담낭절제술 환자에게 SOD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로 진단받으면 평생 약을 먹어야 하나요?

반드시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는 SOD의 유형, 증상의 심각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떤 환자들은 약물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잘 조절될 수 있으며, 때로는 단기간의 약물 치료 후 호전되기도 합니다13. 내시경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생활 습관 교정만으로도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기적인 치료 계획은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ES)은 안전한가요? 부작용은 없나요?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는 시술이지만, 모든 침습적 시술과 마찬가지로 합병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가장 흔하고 주의해야 할 합병증은 시술 후 췌장염이며, SOD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다른 경우보다 다소 높게 보고됩니다 (일부 보고에서는 최대 35%까지)3. 그 외 출혈, 천공, 감염 등의 위험도 있습니다7. 시술의 이점과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하며, 숙련된 의료진에게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에 좋은 음식이나 피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고지방 식이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권장됩니다7. 튀긴 음식, 기름진 육류 등을 줄이고, 저지방 고섬유질 식단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자주 식사하는 것도 좋습니다7. 하지만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음식 일기를 작성하여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을 파악하고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입니다22. 특정 음식을 극단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가 정말 오디 괄약근 장애 증상을 악화시키나요?

네, 스트레스는 위장관 운동 및 통증 감각에 영향을 미쳐 오디 괄약근 장애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45. 만성적인 통증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기도 하며,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칙적인 생활, 적절한 수면, 명상, 요가, 취미활동 등 자신에게 맞는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오디 괄약근 장애(SOD)는 여전히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복잡한 질환입니다4. 현재까지의 이해에 따르면, SOD는 다양한 원인과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환자마다 나타나는 증상과 중증도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이로 인해 진단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며, 치료 역시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개별화되어야 합니다4. 과거에는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SOM)를 통해 괄약근 압력 상승이 확인되면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ES)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EPISOD 및 RESPOnD와 같은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들은, 특히 객관적인 이상 소견이 뚜렷하지 않은 기능성 유형의 SOD(밀워키 분류 제2형 및 제3형) 환자에서 괄약근 절개술의 효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2025. 이러한 연구들은 침습적 시술의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할 때, 보다 정밀한 환자 선별과 비침습적 치료법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SOD 치료는 보다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진단법 개발, SOD의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예: 괄약근 경련, 염증, 신경 조절 이상, 질산화 스트레스27 등)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치료법 개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그리고 내시경 치료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SOD를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는 진단과 치료 과정이 길고 어려울 수 있으며, 때로는 좌절감을 느낄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의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SOD에 대한 이해와 치료법 또한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려는 의지입니다. 담당 의사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증상과 치료 과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질문하며 치료 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소화기내과, 통증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보다 포괄적인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생활 습관 교정과 스트레스 관리 또한 증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자신에게 맞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찾아 꾸준히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비록 완치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오디 괄약근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분들에게 더 나은 진단과 치료법이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가 의심되거나 진단받은 경우, 담도 및 췌장 질환 또는 위장관 운동 질환을 전문으로 하는 소화기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대학병원이나 규모가 큰 종합병원에는 해당 분야의 전문 의료진과 필요한 검사 장비(예: 내시경 초음파, MRCP, 오디 괄약근 내압검사 등)를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자 개인의 상태와 거주 지역 등을 고려하여 담당 주치의와 상의 후 적절한 의료기관을 안내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정 병원이나 의료진을 직접적으로 추천하는 것은 의료법 및 윤리적 문제로 인해 본 자료에서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오디 괄약근 장애만을 위한 국내 공식 환우회 정보는 현재까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담낭 및 담도 질환, 췌장 질환, 또는 만성 통증 관련 환우회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정서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희귀난치성질환 관련 연합회나 지원센터29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문의해 볼 수도 있습니다. 환우회나 지원 그룹에 참여할 때에는 제공되는 정보의 의학적 정확성을 반드시 주치의와 확인하고, 개인 정보 보호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진과 긴밀히 협력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접근 방식입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Sphincter of Oddi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Dysfunction. Frontiers in Nutrition. 201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nutrition/articles/10.3389/fnut.2017.00001/full
  2. What is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Gut. 1988;30(6):753-761.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ut.bmj.com/content/gutjnl/30/6/753.full.pdf
  3. 김재선, 이상수, 이동기, 박주경, 류지곤, 김용태, 윤용범. 담낭절제술 후 증후군과 오디 괄약근 기능이상의 치료적 접근. 대한췌담도학회지. 2018;23(4):150-163.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pbt.org/upload/pdf/kpba-23-4-150.pdf
  4. Toouli J.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Managing the patient with chronic biliary pain. World J Gastroenterol. 2006;12(24):3793-379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jgnet.com/1007-9327/full/v12/i24/3793.htm (또한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087924/ 에서도 확인 가능)
  5. Hogan WJ, Geenen JE. Biliary dyskinesia. Endoscopy. 1988;20 Suppl 1:179-83. (밀워키 분류 원전, 표1의 Hogan-Geenen 분류 기반으로 인용됨)
  6. 김효정, 박효진, 이상수, 서동완, 이성구, 김명환. 담도성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제 3형 오디괄약근 기능이상 1예.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4;10(2):149-154.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nmjournal.org/journal/download_pdf.php?spage=149&volume=10&number=2
  7.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Cedars-Sinai.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edars-sinai.org/health-library/diseases-and-conditions/s/sphincter-of-oddi-dysfunction.html
  8.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Wikipedia.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n.wikipedia.org/wiki/Sphincter_of_Oddi_dysfunction
  9. 직장탈출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684
  10. 최명규. 담낭 절제술 후 증후군. 대한내과학회지. 2003;46(1):56-59.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1119JKMA/jkma-46-56.pdf (MRCP, EUS, SOM 등의 진단 기술 발전 언급)
  11. 이돈행, 박정호, 이오영, 등. 담낭절제술 후 오디씨 괄약근 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7;13(1):61-6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nmjournal.org/journal/download_pdf.php?spage=61&volume=13&number=1
  12. Afghani E, Lo SK, Covington PS, Cash BD, Pandol SJ. Sphincter of Oddi Function and Dysfunction. Am J Gastroenterol. 2017;112(3):401-409. (HIDA scan, fatty meal US, botox, balloon dilation 등 언급, 실제 .docx 내의 인용번호와 다를 수 있으나 내용상 부합)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359299/ (본문에서 11번으로 인용된 PMC4087924와 내용이 유사하여 대표적 최신 리뷰로 대체 인용)
  13.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Empendium.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mpendium.com/mcmtextbook/chapter/B31.II.6.1.
  14. AIDS로 인한 담관 협착. MSD 매뉴얼 일반인용.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EA%B0%84-%EB%B0%8F-%EB%8B%B4%EB%82%AD-%EC%9E%A5%EC%95%A0/%EB%8B%B4%EB%82%AD-%EB%B0%8F-%EB%8B%B4%EA%B4%80-%EC%A7%88%ED%99%98/aids%EB%A1%9C-%EC%9D%B8%ED%95%9C-%EB%8B%B4%EA%B4%80-%ED%98%91%EC%B0%A9 (황달 증상에 대한 일반적인 참고)
  15. Talukdar R. Update on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A Review. J Clin Transl Hepatol. 2021;9(6):921-928.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xiahepublishing.com/2310-8819/JCTH-2021-00167 (Rome IV 개정 및 장기 효과 연구 언급)
  16. Rome IV Criteria. Rome Foundation.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heromefoundation.org/rome-iv/rome-iv-criteria/ (Pathway.md는 이의 계산기 버전 https://www.pathway.md/calculators/rome-iv-diagnostic-criteria-for-functional-biliary-sphincter-of-oddi-disorde-recjPb3Xi7gCUns9q)
  17. 이태희, 이상우, 박찬국 등. 췌장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6):333-342.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pdf/10.4166/kjg.2009.53.6.333 (또한 https://pdfs.semanticscholar.org/6149/24ec7cc2e6774f0034c9a2113a8036557a4f.pdf 에서도 확인 가능)
  18. 네이버 블로그. 담낭절제 후 증후군과 SOD의 치료적 접근. [인터넷]. 2022년 12월 16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i-doctor/222957478042?viewType=pc (또한 https://blog.naver.com/i-doctor/222957478042 에서도 확인 가능)
  19.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What helps you?. Mayo Clinic Connect.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nnect.mayoclinic.org/discussion/i-have-sphincter-of-oddi-dysfuncfion-it-causes-severe-upper-abdominal-pain/
  20. Cotton PB, Durkalski V, RomaDone P, et al. Sphincterotomy for biliary sphincter of Oddi disorder and idiopathic acute recurrent pancreatitis: the RESPOnD longitudinal cohort. Gut. 2024 Sep 6:gutjnl-2024-332686.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ut.bmj.com/cgi/content/short/gutjnl-2024-332686v1?rss=1 (또한 전문 https://gut.bmj.com/content/gutjnl/early/2024/09/06/gutjnl-2024-332686.full.pdf 에서 확인 가능)
  21. Barakat MT, Banerjee S,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type II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PTU-10 Botulinum toxin injection in the management of type II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Gut 2021;70(Suppl 4):A46.2.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ut.bmj.com/content/70/Suppl_4/A46.2
  22. Biliary Sphincter Disorders (former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Guts Charity UK.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utscharity.org.uk/advice-and-information/conditions/biliary-sphincter-disorders-former-sphincter-of-oddi-dysfunction/
  23. Linder JD, Klapow JC, Linder DA, Wilcox CM.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Am J Gastroenterol. 2003;98(11):2450-2455.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096116/ (또한 https://www.ncbi.nlm.nih.gov/articles/PMC3096116/ 에서도 확인 가능)
  24. Petersen BT. Recent Research on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Gastroenterol Hepatol (N Y). 2015;11(1):40-42.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302492/ (또한 https://www.ncbi.nlm.nih.gov/articles/PMC4302492/ 에서도 확인 가능)
  25. Cotton PB, Durkalski V, Romagnuolo J, et al. Effect of endoscopic sphincterotomy for suspected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on pain-related disability: a randomized trial. JAMA. 2014;311(20):2101-9. (EPISOD 시험 원전)
  26. El Chafic AH, Fogel EL, Sherman S, et al. Wide disparities in attitudes and practices regarding Type II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a survey of expert U.S. endoscopists. Endosc Int Open. 2016;4(8):E876-E881.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025319/
  27. Lazaridis N, Tsiompanidis A, Karaolanis G, et al. Reassessing the role of nitric oxide in the pathogenesis of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World J Gastroenterol. 2024;30(16):2257-2265.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82319/
  28. Adverse events of ERCP. ASGE.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sge.org/docs/default-source/education/practice_guidelines/adverse_events_ercp.pdf
  29. [인물 포커스] 신경내분비종양환우회 황원재 회장. 방사선의학 웹진.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rmwebzine.re.kr/aview.php?aid=2237
  30. 네이버 블로그. 오디괄약근 기능장애에 대한 한약치료의 효과. [인터넷]. 2021년 10월 14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hanaroma71/222537765935
  31. 네이버 블로그. 오디괄약근 기능장애에 대한 한약치료의 효과 및 기전. [인터넷]. 2023년 05월 02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hanaroma71/223090359178
  32. 오디괄약근 기능이상(Sphincter of Oddi Dysfunction)의 치료. 대한췌담도학회지. 2003;8(2):129-134.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jpbt.org/upload/pdf/kpba-8-2-129.pdf
  33. Corazziari E, Shaffer EA, Hogan WJ, Sherman S, Toouli J. Functional disorders of the biliary tract and pancreas. Gut. 1999;45 Suppl 2:II48-II54. (Biliary Dyskinesia PubMed 인용은 12095476 이나, 내용상 Rome 기준 관련으로 대체).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10457045/
  34. Maldonado M, Matalon S, Levstik M, et al.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A Perplexing Presentation. Cureus. 2017;9(1):e95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216223/
  35. 김재규, 최규용, 이준성 등. 한국인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의 증상관찰, 아형분류 및 이에 대한 시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2;8(2):131-139.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nmjournal.org/journal/download_pdf.php?spage=131&volume=8&number=2
  36. 네이버 블로그. 담낭절제 후 증후군의 원인. [인터넷]. 2022년 12월 06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doctor/222949786709
  37. 이강문, 박흥준, 김홍수 등. 특발성 재발성 췌장염의 진단에서 Secretin MRCP의 유용성. 대한소화기학회지. 2000;42(1):1-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g.or.kr/journal/download_pdf.php?spage=1&volume=42&number=1
  38. 네이버 블로그. 오디괄약근 기능장애(Sphincter of Oddi, SOD). [인터넷]. 2020년 06월 16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onginsuranc/222001462964
  39. 이창균, 윤영빈, 장재혁 등. 담낭 운동 이상증. 대한췌담도학회지. 2018;23(3):89-97.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pbt.org/journal/view.php?doi=10.15279/kpba.2018.23.3.89
  40. Biliary Colic: What It Is, Symptoms & Treatment. Cleveland Clinic.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symptoms/biliary-colic
  41. 고광현, 곽금연, 이종균 등.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아의 재발 급성 췌장염 1예. 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2008;11(2):193-198.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21kjpgn/kjpgn-11-193.pdf
  42. 췌장암의 증상.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45&DP_CODE=CIC&MENU_ID=004027015&searchKey=P&hsts=%3F%3F%3F&hste=%3F&est=P&ds_code=D0004007 (췌장 관련 증상 일반 참고)
  43. Al-Mulhim AA. Right Upper Quadrant Pain with Normal Hepatobiliary Ultrasound. Saudi J Gastroenterol. 2012;18(4):248-251.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pplications.emro.who.int/imemrf/Saudi_J_Gastroenterol/Saudi_J_Gastroenterol_2012_18_4_248_251.pdf
  44. 담낭염.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20
  45. 담관염.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21
  46. 담석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30
  47. Kalaitzakis E, Webster GJ. Endoscopic Management of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Diagnostics (Basel). 2024;14(9):933.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989922/
  48. Kim YS, Kim TH, Park SH, et al. Sphincter of Oddi Manometry: Reproducibility of Measurements and Effect of Sphincterotomy in the EPISOD Study.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6;22(1):109-116.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nmjournal.org/journal/view.html?doi=10.5056/jnm15123
  49. Schmidt S, Schmidt T, Ghods M, et al. Biliary Dyskinesia – Is It Real? An Updated Review of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Visc Med. 2024;40(2):109-116.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967721/
  50. HIDA Scan: What It Is, Purpose, Procedure & Results. Cleveland Clinic.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agnostics/17099-hida-scan
  51. Khan MA, Tompson SW, Qureshi W, et al. FREQUENCY AND CONTRIBUTING FACTORS FOR ACUTE PANCREATITIS AFT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IN PATIENTS WITH. Professional Med J. 2015;22(08):1039-1044.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afmj.org/PAFMJ/article/download/947/788
  52. Ford AC, Moayyedi P, Chey WD, et al. Sphincterotomy for people with biliary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22;9(9):CD008010.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78606/
  53. Endoscopic Sphincterotomy. Practical Gastro. [인터넷]. 2023년 01월 27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racticalgastro.com/2023/01/27/endoscopic-sphincterotomy/
  54. Кобесов Н. В. Роль большого дуоденального сосочка в патогенезе постхолецистэктом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и его эндоскопическая коррекция [диссертация]. [인터넷]. 2003.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astroscan.ru/literature/images03/kobesov-nv-diss.pdf
  55. 췌장담도. 대한소화기학회. [인터넷].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gastrokorea.org/material/index.php?sub=6
  56. 담관염, 담석증이 흔한 원인, 내시경적 담즙 배액술로 치료 가능해. 건국대학교병원 보도자료. [인터넷]. 2021년 02월 18일. [2025년 05월 3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uh.ac.kr/intro/newdata/view.do?bbs_no=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