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적절한 수분 섭취는 매우 중요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소아과 의사가 총정리한 연령별 어린이 물 섭취량 가이드 (AAP & 한국영양학회 최신 기준)

우리 아이가 하루에 물을 얼마나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에 넘쳐나지만, 부모님들은 오히려 혼란스러움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1 ‘맘 카페’의 검증되지 않은 정보와 화려한 포장으로 유혹하는 어린이 음료수 사이에서, 우리 아이의 평생 건강을 위한 올바른 수분 섭취 원칙을 지키기란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러한 부모님들의 고충에 깊이 공감하며, 더 이상의 혼란을 끝내고자 이 글을 준비했습니다. 본 가이드는 미국소아과학회(AAP)와 한국영양학회의 최신 지침을 포함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적 근거들을 총정리하여, 우리 아이의 연령에 맞는 가장 정확하고 실용적인 물 섭취 해법을 제시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미국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이 기사의 연령별 음료 권장 사항 및 수분 섭취 지침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AAP의 공식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11
  • 한국영양학회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한국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총 수분 섭취량 기준은 한국영양학회의 연구 데이터를 참조했습니다.5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MOHW) & 질병관리청 (KDCA): 정부의 공식적인 영유아 식생활 지침과 한국 어린이의 당류 섭취 현황에 대한 통계 자료를 반영하여 내용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1522
  • 한국소비자원 (Korea Consumer Agency): 시중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음료수’의 실체적인 당 함량 데이터는 한국소비자원의 공식 품질 비교 시험 결과를 인용했습니다.9

핵심 요약

  • 6개월 미만 영아: 모유나 분유만으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므로, 추가적인 물 섭취는 필요 없으며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 6~12개월 영아: 이유식 시작과 함께 하루 120~240ml의 물을 컵으로 마시는 연습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린이 음료수’의 함정: 대부분의 어린이 음료수는 콜라 못지않은 다량의 설탕을 함유하고 있어, 비만과 충치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물이 항상 최선의 선택입니다.9
  • 물의 중요성: 충분한 수분 섭취는 아이의 두뇌 발달, 집중력, 신체 기능 유지에 필수적이며 변비 예방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3
  • 실용적인 해결책: 아이가 물 마시기를 거부할 경우, 물병에 스티커를 붙여주거나,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얼려주는 등 재미있는 방법들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16

왜 ‘어린이 음료수’가 아이의 숨은 적일까요?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가 물을 마시지 않을 때, “아무것도 마시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는 생각으로 어린이 음료수를 선택합니다. 하지만 이는 건강을 위한 타협이 아니라, 오히려 아이의 건강을 해치는 위험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충격적인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는 일부 어린이 음료수는 엄청난 양의 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9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로 포장된 이 음료들은 사실상 ‘설탕물’과 다름없으며, 소아 비만, 충치, 잘못된 식습관 형성의 주범이 됩니다.8

음료 100ml당 당 함량 비교 (한국소비자원 자료 기반)9
음료 종류 100ml당 평균 당 함량 (g) 참고
콜라 약 11g
오렌지 주스 (과일주스) 약 10g
어린이 음료 A (혼합음료) 약 13g 콜라보다 높은 수치
어린이 음료 B (과채음료) 약 9g 과일주스와 비슷한 수치

이처럼 ‘비타민 보충’ 등의 문구로 포장된 어린이 음료의 실체는 아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설탕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소아과학회(AAP)는 한목소리로 가공 음료의 섭취를 강력히 제한하고, 물과 우유를 아이들의 주된 음료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11

물이 아이의 두뇌와 신체 발달에 중요한 과학적 이유

물은 단순히 갈증을 해소하는 것을 넘어, 우리 아이의 성장과 발달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인체의 약 60%는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영유아의 경우 그 비율이 더 높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한 과학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3

  • 두뇌 기능 최적화: 뇌의 약 75%는 물로 구성됩니다. 가벼운 탈수 상태만으로도 아이의 집중력, 기억력,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신체 기능 유지: 물은 체온을 조절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영양소를 온몸으로 운반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 에너지 공급 및 변비 예방: 충분한 수분은 아이들이 활기차게 활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유지하게 해줍니다. 또한, 물은 장 운동을 촉진하여 어린이 변비 예방 및 완화에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 건강한 신장 기능: 물은 신장이 혈액 속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걸러내고 소변으로 배출하도록 돕습니다. 만성적인 수분 부족은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간과하지만, 아이의 짜증이나 집중력 부족의 원인이 단순히 수분 부족인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한 수분 공급은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의 시작점입니다.”

– 미국소아과학회(AAP) 건강한 수분 섭취 가이드라인13

연령별 권장 물 섭취량: AAP와 한국영양학회 기준 완벽 비교 분석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그래서, 얼마나 마셔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세계적인 기준인 미국소아과학회(AAP)의 권장 사항과 한국 어린이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영양학회(KNS)의 기준을 함께 분석했습니다.115 중요한 점은, 한국영양학회의 ‘총 수분 섭취량’은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까지 모두 더한 양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마셔야 하는 물의 양’은 이보다 적습니다.

0-6개월: 물, 정말 필요 없을까요?

결론: 네, 필요 없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에게 필요한 모든 수분과 영양은 모유 또는 분유를 통해 완벽하게 공급됩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모유나 분유 수유량이 줄어들 수 있고, 드물지만 ‘물 중독(Water intoxication)’의 위험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물 섭취를 제한할 것을 권고합니다.18 물 중독은 아기의 미성숙한 신장이 과도한 물을 처리하지 못해 체내 나트륨 농도가 위험할 정도로 낮아지는 상태입니다.

6-12개월: 물 마시기 첫걸음

언제부터: 이유식을 시작하는 생후 6개월경부터 물을 주기 시작합니다.
얼마나: 미국소아과학회(AAP)는 이 시기 아기에게 하루에 120ml에서 240ml(종이컵 1잔~2잔)의 물을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11 이는 이유식과 함께, 그리고 간식 시간에 소량씩 나누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떻게: 젖병이 아닌 컵(빨대컵, 스파우트컵 등)을 사용하여 물 마시는 습관을 처음부터 들이는 것이 치아 건강과 올바른 구강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1세 이상: 본격적인 물 마시기 습관 형성

돌이 지나면 아이들은 우유 섭취량이 줄고 일반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물의 중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아이들은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활동량이 많은 아이들은 더 많은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연령별 하루 수분 섭취 가이드라인

연령별 수분 섭취 권장 사항 (AAP & KNS 기준 종합)115
연령 총 수분 필요량/일 (KNS 기준) 권장 음료 및 섭취량 (AAP 기준) 주스 제한량 피해야 할 음료
6-12개월 약 800ml 물 (120-240ml), 모유/분유 불필요 가당음료(어린이음료, 탄산음료 등), 카페인 음료, 무가당/저칼로리 감미료 음료
1-2세 약 1,100ml 물 (240-960ml), 전유 (480-720ml) 최대 120ml (100% 과일주스)
3-5세 약 1,400ml 물 (240-1,200ml), 저지방/무지방유 (최대 480ml) 최대 120ml (100% 과일주스)
6세 이상 1,500ml 이상 필요에 따라 물 섭취, 저지방/무지방유 최대 240ml (100% 과일주스)

*총 수분 필요량은 음식에 포함된 모든 수분을 포함한 양이며, 개인의 활동량, 날씨,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모님들의 가장 흔한 질문 TOP 5

Q1: 물 대신 보리차나 옥수수수염차를 줘도 괜찮나요?

답변: 네, 설탕이나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한 보리차나 옥수수수염차는 물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총 수분 섭취량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5 많은 한인 가정에서 친숙하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물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차가 물을 완전히 대체하기보다는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아이가 맹물의 맛에 익숙해지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Q2: 우리 아이가 물을 절대로 안 마셔요. 어떻게 하죠?

답변: 아이가 물 마시기를 거부하는 것은 많은 부모님들이 겪는 흔한 어려움입니다.4 이때 강요하기보다는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라델피아 아동병원(CHOP)과 같은 전문 기관들은 다음과 같은 창의적인 방법들을 제안합니다.2116

  • 재미있는 컵과 빨대: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그려진 컵이나 재미있는 모양의 빨대를 사용해보세요.
  • 맛있는 물 만들기: 물에 레몬, 라임, 오이, 딸기 등 신선한 과일 조각을 넣어 향을 더해주세요.
  • 얼음 놀이: 다양한 모양의 얼음틀로 얼음을 얼려주거나, 과일 조각을 넣어 함께 얼려주면 아이가 재미를 느낍니다.
  • 스티커 차트: 물 한 컵을 마실 때마다 스티커를 붙여주고, 목표를 달성하면 작은 보상을 해주는 것도 좋은 동기부여가 됩니다.
  • 부모가 모범 보이기: 부모님이 즐겁게 물을 마시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입니다.

Q3: 100% 과일 주스는 괜찮지 않나요?

답변: 100% 과일 주스에도 약간의 비타민이 있지만, 과일을 통째로 먹을 때 얻을 수 있는 식이섬유는 부족하고 당분은 높습니다. AAP는 주스를 ‘마시는’ 것보다 과일을 ‘먹는’ 것이 항상 더 낫다고 강조합니다.11 주스는 권장 연령별 제한량을 엄격히 지키고, 물로 희석해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Q4: 운동 후에 스포츠음료를 주는 것은 어떤가요?

답변: 대부분의 아이들은 일상적인 신체 활동 후에 스포츠음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포츠음료는 장시간 격렬한 운동을 하는 청소년 선수들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일반적인 아이들에게는 불필요한 설탕과 칼로리를 제공할 뿐입니다. 운동 후 수분 보충은 물이 가장 좋습니다.13

Q5: 초코우유나 딸기우유 같은 가향우유는 어떤가요?

답변: 가향우유 역시 상당한 양의 첨가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이가 흰 우유를 전혀 마시지 않는 경우에 가끔 대안이 될 수는 있지만, 주된 음료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가능한 한 첨가당이 없는 플레인 우유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입니다.11

우리 아이, 혹시 탈수 상태일까요? 위험 신호와 대처법

특히 덥고 활동적인 날이나, 아이가 아플 때(열, 구토, 설사)는 탈수 위험이 커집니다. 부모님들이 알아두어야 할 탈수의 초기 증상과 즉시 병원에 가야 할 위험 신호는 다음과 같습니다.7

탈수 초기 증상 체크리스트

  •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소변량이 매우 적고 색이 진한 노란색일 때
  • 입과 혀가 마르고 끈적끈적할 때
  • 울 때 눈물이 나지 않을 때
  • 평소보다 기운이 없고 더 보채거나 짜증을 낼 때
  • 눈이 쑥 들어가 보일 때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한 위험 신호

  • 아이가 심하게 처지거나 잠만 자려고 할 때
  • 계속해서 구토하거나 어떤 것도 마시지 못할 때
  • 차가운 손발, 창백한 피부색
  • 빠른 심박수나 호흡

가벼운 탈수 증상이 보일 때는 경구수액(ORS)을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주스나 탄산음료는 설사나 구토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대 주어서는 안 됩니다.7

자주 묻는 질문 (FAQ)

생후 6개월 이전 아기에게 물을 주면 왜 안 되나요?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완벽한 수분과 영양을 공급받습니다. 이 시기에 물을 추가로 마시면, 아기의 작은 위가 물로 채워져 정작 중요한 모유/분유 섭취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아기의 미성숙한 신장이 과도한 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체내 전해질 균형이 깨지는 ‘물 중독’이라는 심각한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18

저희 아이는 물을 너무 안 마시는데, 혹시 건강에 문제가 생길까요?

만성적인 수분 부족은 변비, 피로감, 집중력 저하, 심한 경우 신장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7 하지만 아이가 마시는 물의 양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아이가 하루에 4~6회 이상 옅은 색의 소변을 보고, 활기차게 잘 놀며, 입술이 촉촉하다면 일반적으로 수분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 마시기를 거부한다면, 이 기사에서 제안한 다양한 창의적인 방법들을 시도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21

결론: 물 한 잔으로 시작하는 우리 아이 평생 건강

치열한 경쟁 사회와 수많은 육아 정보 속에서 우리 아이를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은 때로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하지만 수분 섭취의 기본 원칙은 매우 명확하고 단순합니다: 순수한 물이 최고의 선택입니다. 화려한 광고와 달콤한 맛으로 유혹하는 ‘어린이 음료수’와의 타협은 아이의 장기적인 건강을 위한 투자가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올바른 물 마시기 습관은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건강 선물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아이와 함께 즐겁게 물 마시는 시간을 가지며, 아이의 평생 건강을 위한 튼튼한 주춧돌을 놓아주시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정유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2025년 8월 13일 접속). 물은 언제부터 얼마나 먹일까? 모유수유, 이유식, 분유, 완전모유수유, 수분, 소아과.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mLEp8H2w3o&pp=0gcJCfwAo7VqN5tD
  2. 마더케이몰. (2025년 8월 13일 접속). 아기 물먹는 시기! 언제부터, 어떻게 먹여야할까?. https://m.motherkmall.co.kr/article/%EB%A7%A4%EA%B1%B0%EC%A7%84/8/76756/
  3. 마더케이몰. (2025년 8월 13일 접속). 아기 물먹는 시기! 언제부터, 어떻게 먹여야할까?. https://motherkmall.co.kr/article/%EB%A7%A4%EA%B1%B0%EC%A7%84/8/76756/#:~:text=%EC%95%84%EA%B8%B0%EB%93%A4%EC%9D%B4%20%EB%AC%BC%EC%9D%84%20%EB%A8%B9%EA%B8%B0,%EC%A0%95%EB%8F%84%EC%9D%98%20%EB%AC%BC%EB%A7%8C%20%EB%A8%B9%EC%9D%B4%EB%A9%B4%20%EB%8F%BC%EC%9A%94.
  4.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물 적게 먹는 아이, 효과적인 수분 섭취 요령. https://www.youtube.com/watch?v=5_Cauu6Q6b8
  5. 차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소아 수분 섭취물 안 마시는 우리 아이 …. http://chamc.co.kr/media/magazineOld_detail.cha?num=252&page=7162
  6. 닥터나우. (2025년 8월 13일 접속). 8개월 아기의 이유식과 물 섭취량에 대해. https://doctornow.co.kr/content/qna/ab8228d572d14a198abcda9ba949e66d
  7.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2025년 8월 13일 접속). Dehydration: Giving Liquids at Home.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conditions/dehydration
  8. SBS 8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음료로 섭취한 당’ 10대 가장 높았다…”수분 보충 물로”.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YxrT05Vf3Bc
  9. 한국소비자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어린이음료』 품질비교 시험결과. https://www.kca.go.kr/smartconsumer/board/download.do?menukey=7301&fno=10021696&bid=00000146&did=1002646435
  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Yearly Trend of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s://www.e-jkfn.org/journal/view.html?volume=50&number=8&spage=858
  11. HealthyChildren.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Recommended Drinks for Children Age 5 & Younger.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y-living/nutrition/Pages/recommended-drinks-for-young-children-ages-0-5.aspx
  12. AAP Publications. (2025년 8월 13일 접속). New recommendations encourage kids to drink water, pasteurized milk. https://publications.aap.org/aapnews/news/31250/New-recommendations-encourage-kids-to-drink-water
  13. HealthyChildren.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Choose Water for Healthy Hydration.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y-living/nutrition/Pages/Choose-Water-for-Healthy-Hydration.aspx
  14.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식이영양(소아/청소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3
  15. 보건복지부. (2025년 8월 13일 접속). 영유아를 위한 식생활지침.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09&list_no=224044&seq=8
  16. Children’s Hospital of Orange County. (2025년 8월 13일 접속). How Much Water Should Kids Drink?. https://choc.org/urology/water-intake-for-children/
  17.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년 8월 13일 접속).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해요! 정부,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발표. https://www.mfds.go.kr/brd/m_99/down.do?brd_id=ntc0021&seq=45237&data_tp=A&file_seq=2
  18.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신생아]이유식의 시작.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A&gubun=D&page=1&number=8821&mode=view&keyfield=&key=
  19.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육아정보. https://www.pediatrics.or.kr/bbs/?code=infantcare&category=A
  20.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소아청소년과 > 의료진소개. https://www.snubh.org/dh/module/drIntroduce.do?DP_CD=PED&MENU_ID=002
  21.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2025년 8월 13일 접속). How to Keep Kids Hydrated. https://www.chop.edu/news/health-tip/how-keep-kids-hydrated
  22.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6.10.화.조간] 수분은 음료보다 물로 채우세요.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7936&act=view
  23.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식이영양(영유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