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부모님들이 철분제를 꾸준히 챙겨 먹여도 아이의 창백한 얼굴, 식욕 부진, 잦은 보챔이 나아지지 않아 애를 태웁니다. 실제로 서울대학교병원 자료에 따르면, 특히 1세 영아의 철결핍성 빈혈 진단율이 크게 증가하는 등 소아 빈혈은 한국에서 무시할 수 없는 건강 문제입니다.1 놀랍게도, 문제의 원인은 우리가 옳다고 믿었던 ‘매일’ 철분을 보충하는 습관 그 자체에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철분 흡수를 조절하는 ‘헤파시딘(Hepcidin)’이라는 호르몬 때문입니다. 이 기사는 ‘란셋(The Lancet)’과 같은 세계 최고 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최신 연구들을 바탕으로 헤파시딘의 비밀을 파헤치고, 철분 흡수율을 최대 40~50%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과학적인 복용법을 제시합니다.6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최적의 시간: 철분제 복용의 황금 시간대는 체내 헤파시딘 농도가 가장 낮은 아침 공복 상태입니다.
- 흔한 오해: 매일 철분제를 복용하면 헤파시딘 수치가 높아져 다음 날의 철분 흡수율이 오히려 크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
- 혁신적 해법: 이틀에 한 번씩 ‘격일’로 철분제를 복용하면 헤파시딘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올 충분한 시간(48시간)을 주어, 매번의 복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섭취 공식: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항상 비타민 C(예: 소량의 오렌지 주스)와 함께 섭취하고, 우유나 칼슘 보충제와는 최소 2시간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3
- 가장 중요한 원칙: 아이의 철분제 복용량이나 복용 주기를 변경하기 전에는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여 안전성과 적합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제1부: 왜 우리 아이는 철분제를 먹어도 빈혈일까? ‘헤파시딘’의 역할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빈혈 개선을 위해 노력하지만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철분 부족과 식욕 부진, 수면 장애, 잦은 보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고민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2 그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가 미처 몰랐던 몸속의 정교한 조절 메커니즘에 있습니다.
1.1. 헤파시딘이란 무엇인가: 우리 몸의 ‘철분 조절 문지기’
헤파시딘은 간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우리 몸의 철분 수치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5 이를 우리 몸의 ‘철분 조절 문지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체내 철분이 충분하면 헤파시딘 수치가 올라가고, 이 문지기는 장에서 혈액으로 철분이 들어오는 문(페로포르틴 채널)을 닫아버립니다. 반대로 철분이 부족하면 헤파시딘 수치가 낮아져 문을 활짝 열고 철분 흡수를 촉진합니다.
1.2. 헤파시딘의 일주기 리듬: 아침이 ‘황금 시간대’인 과학적 이유
헤파시딘은 하루 동안 일정한 리듬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가장 농도가 낮고, 오후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저녁에 최고조에 달합니다.15 이것이 바로 ‘아침 공복에 철분제를 먹으라’는 전통적인 조언 뒤에 숨겨진 과학적 근거입니다. 단순히 위가 비어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 몸의 철분 흡수 문이 가장 활짝 열려있는 시간이 바로 아침이기 때문입니다.
1.3. 가장 큰 문제: 철분제가 스스로 헤파시딘을 높인다
여기서부터 문제가 복잡해집니다. 역설적이게도, 철분제를 복용하는 행위 자체가 간을 자극하여 헤파시딘을 대량으로 분비하게 만듭니다. 특히 60mg 이상의 고용량 철분을 섭취했을 때 헤파시딘 수치는 급격히 치솟아, 이후 24시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5 그 결과는 치명적입니다. 다음 날 아침, 같은 시간에 또다시 철분제를 먹이면 전날 높아진 헤파시딘 때문에 우리 몸의 ‘철분 문지기’가 문을 굳게 닫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의 모레티(Moretti) 박사 연구팀이 국제 저명 학술지 ‘블러드(Blood)’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다음 날 복용한 철분제의 흡수율은 무려 35~45%까지 감소할 수 있습니다.5 이것이 바로 매일 꾸준히 철분제를 먹여도 빈혈 수치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경구 철분 보충제는 헤파시딘을 증가시켜, 매일 또는 하루 두 번 복용 시 철분 흡수를 감소시킵니다.”
– 디에고 모레티 박사(Dr. Diego Moretti) 외, Blood (2015)5
제2부: 해법은 ‘격일 복용’: 흡수율은 높이고 부작용은 줄이는 최신 전략
과학자들은 헤파시딘의 이러한 특성을 역이용하여 철분 흡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바로 ‘격일 복용 요법(alternate-day supplementation)’입니다.
2.1. ‘격일 요법’의 과학적 근거: 48시간의 재설정
핵심은 ‘시간’에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철분 섭취로 인해 급증했던 헤파시딘 농도는 24시간 후에도 여전히 높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48시간이 지나면 다시 기준선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 즉, 하루를 건너뛰고 이틀에 한 번씩 철분제를 복용하면, 우리 몸은 높아졌던 헤파시딘 수치를 완전히 ‘리셋’할 충분한 시간을 갖게 됩니다. 이는 매번 복용하는 철분이 마치 첫날처럼 최적의 조건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만들어, 부정적인 헤파시딘의 고리를 끊어내는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2.2. 연구 결과가 말해주는 것: 흡수율과 부작용의 놀라운 개선
격일 복용법의 효과는 여러 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저명한 의학 학술지 ‘란셋 헤마톨로지(The Lancet Haematology)’에 발표된 스토펠(Stoffel) 박사의 획기적인 연구는 철결핍성 빈혈이 있는 여성에게 격일로 철분제를 투여했을 때, 매일 투여한 그룹보다 총 흡수된 철분의 양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음을 보여주었습니다.7 또 다른 연구에서는 격일 요법이 철분 흡수율을 최대 40~50%까지 증가시켰다고 보고했습니다.6 더욱 고무적인 사실은, 격일 복용이 메스꺼움, 복통과 같은 위장관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점입니다.722 이는 많은 아이들이 철분제 복용을 힘들어하는 주된 원인을 해결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3. 소아 적용 시 주의사항: 의사와의 상담이 필수적인 이유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므로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격일 요법에 대한 대부분의 혁신적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헤파시딘의 생물학적 원리는 소아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이지만, 아이의 몸은 성장과 대사 과정에서 성인과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24 따라서 부모가 임의로 아이의 철분제 복용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먼저 상담해야 합니다. 의사는 아이의 빈혈 정도, 체중, 약물에 대한 내약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복용 계획을 수립해 줄 것입니다.
제3부: 철분 보충 효과를 극대화하는 실전 가이드
올바른 복용법을 아는 것만으로도 철분 보충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입니다.
3.1. 무엇과 함께, 무엇을 피해야 할까? (Feat. 비타민 C와 칼슘)
철분 흡수의 가장 친한 친구는 비타민 C입니다. 철분제를 소량의 오렌지 주스나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과 함께 먹으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3 반면, 철분의 최대 적은 칼슘입니다. 우유, 치즈,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이나 칼슘 보충제는 철분 흡수를 심각하게 방해합니다.4 따라서 철분제는 유제품이나 칼슘제와 최소 2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복용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의 많은 아이들이 1세 이후 생우유를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철분 흡수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장내 미세 출혈을 유발하여 철 결핍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8
3.2. 우리 아이, 언제부터 얼마나 보충해야 할까?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권고)
철분 보충 시기와 용량은 아이의 수유 방식과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국제적인 표준으로 널리 인용되는 미국 소아과학회(AAP)는 모유만 먹는 아기의 경우, 생후 4개월부터 하루에 체중 1kg당 1mg의 철분을 보충할 것을 권장합니다.16 한국에서는 국가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통해 생후 12개월 경에 빈혈 검사를 시행하는 등 철분 결핍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10 정확한 보충 시기와 용량은 아이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13의 지침에 따라 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3.3. 흔한 부작용 대처법 (변비, 치아 착색 등)
철분제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몇 가지 흔한 부작용과 대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3
- 변비: 아이에게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게 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치아 착색: 액상 철분제로 인해 치아가 일시적으로 검게 변할 수 있습니다. 복용 후 물로 입을 헹구거나 깨끗한 가제로 치아를 닦아주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검은 변: 철분제를 먹으면 아기의 변이 검은색이나 짙은 녹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흡수되지 않고 남은 철분이 배출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이 기사를 읽고 아이의 철분제를 바로 격일 복용으로 바꿔도 될까요?
절대 안 됩니다. 이 기사에서 소개된 격일 복용법은 매우 유망한 최신 전략이지만, 대부분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습니다. 아이의 복용법을 변경하기 전에는 반드시 담당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여 아이의 상태에 맞는 안전하고 정확한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Q. 철분제는 꼭 아침 공복에 먹여야 하나요? 아이가 힘들어해요.
아침 공복이 흡수율 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위장 장애로 힘들어한다면, 소량의 음식과 함께 복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우유나 유제품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이 또한 의사와 상담하여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Q. 철분제를 먹고 아기 변이 까맣게 변했는데, 괜찮은 건가요?
네, 매우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몸에 흡수되지 않고 남은 철분이 변으로 배출되면서 공기와 만나 산화되어 검은색을 띠게 됩니다. 이는 철분제가 제대로 복용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 철분제와 종합 비타민을 같이 먹여도 되나요?
종합 비타민에 칼슘이나 아연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칼슘과 아연은 철분과 흡수 경로가 겹쳐 서로 경쟁하기 때문에 함께 복용하면 철분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성분표를 확인하고, 칼슘이 포함된 경우 철분제와 최소 2시간 간격을 두고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현명한 부모를 위한 과학적 철분 관리
아이의 철분 보충은 단순히 ‘매일 챙겨 먹이는’ 행위를 넘어, 우리 몸의 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의 세 가지 핵심을 기억하십시오: 첫째, 철분 복용의 최적 시간은 헤파시딘 수치가 가장 낮은 아침 공복입니다. 둘째, 매일 복용보다 ‘격일 복용’이 흡수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더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셋째, 비타민 C와는 함께, 칼슘과는 반드시 떨어져서 복용하는 원칙을 지키십시오.
이 기사의 정보는 최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지식 참고용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 한 명 한 명은 모두 다르다는 사실입니다. 아이의 건강 상태, 체중, 병력에 가장 적합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위해서는, 이 기사를 저장하거나 인쇄하여 다음번 진료 시 담당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함께 논의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참고 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빈혈.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93
- Anyone with experience of low iron in babies?. Reddi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ddit.com/r/AttachmentParenting/comments/153ecxd/anyone_with_experience_of_low_iron_in_babies/
- When should you take iron supplements for children?. Vinme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vinmec.com/eng/blog/what-time-of-day-should-children-take-iron-en
- Iron needs of babies and children. Canadian Paediatric Societ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aringforkids.cps.ca/handouts/healthy-living/iron_needs_of_babies_and_children
- Moretti D, Goede JS, Zeder C, et al. Oral iron supplements increase hepcidin and decrease iron absorption from daily or twice-daily doses in iron-depleted young women. Blood. 2015;126(17):1981-1989. doi:10.1182/blood-2015-05-642223
- Stoffel NU, von Siebenthal HK, Moretti D, Zimmermann MB. Iron absorption from supplements is greater with alternate day than with consecutive day dosing in iron-deficient anemic women. Haematologica. 2020;105(5):1232-1239. doi:10.3324/haematol.2019.220830
- Stoffel NU, Zeder C, Brittenham GM, Moretti D, Zimmermann MB. Iron absorption from oral iron supplements given on consecutive versus alternate days and as single morning doses versus twice-daily split dosing in iron-depleted women: two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Lancet Haematol. 2017;4(11):e524-e533. doi:10.1016/S2352-3026(17)30182-5
- Yoon HS. Iron Deficiency Ane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ean Med Assoc. 2011;54(7):725-729. doi:10.5124/jkma.2011.54.7.725
- Moretti D, Goede JS, Zeder C, et al. Oral iron supplements increase hepcidin and decrease iron absorption from daily or twice-daily doses in iron-depleted young women. Acino EduDo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cinoedudoc.com/wp-content/uploads/2025/06/Oral-iron-absorption.pdf
- Lee JA. Iron Deficiency Anemia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Evaluation and Management. CPHO(Clinical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2022;29(2):59-64. https://www.cpho.or.kr/journal/view.html?uid=594&&vmd=Full
-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ABM Clinical Protocol #29: Iron, Zinc,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During Breastfeeding.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bfmed.org/assets/DOCUMENTS/PROTOCOLS/29-iron-zinc-and-vitamin-d-protocol-korean.pdf
- 질병관리청. 식이영양(영유아).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2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ediatrics.or.kr/
-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
- Ganz T, Nemeth E. Hepcidin in the diagnosis of iron disorders.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15;2015:29-35. doi:10.1182/asheducation-2015.1.29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Where We Stand: Vitamin D & Iron Supplements for Babies. HealthyChildren.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ages-stages/baby/feeding-nutrition/Pages/Vitamin-Iron-Supplements.aspx
- 삼성서울병원. 철 결핍성 빈혈. 암교육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443&DP_CODE=CIC&searchKey=V&est=V&ds_code=D0003789
- Kim Y, Lee S, Kim H. Anemia Prevalence Trends, 2012–2021.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16:1152-1163.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656&vmd=Full
- Kim Y, Lee S. Anemia Prevalence Trends, 2013–202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17:918-927.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823&vmd=Full
- Gulec S, Anderson GJ, Collins JF. Nutritional Modulation of Hepcidin in the Treatment of Various Anemic States. Nutrients. 2023;15(24):5113. doi:10.3390/nu15245113
- Bregman DB, Morris D, Koch TA, He A, Goodnough LT. Diurnal Rhythm Rather Than Dietary Iron Mediates Daily Hepcidin Variations. Am J Hematol. 2013;88(7):561-5. doi:10.1002/ajh.23454
- Das P, Kumar N, Verma S, Singh D, Kumar A, Rungta S. A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al Study of Oral Iron Supplementation Comparing Daily Dose with Alternate Day Regimen Using Hepcidin as a Biomarker in Iron Deficiency Anemia. Indian J Hematol Blood Transfus. 2020;36(4):653-659. doi:10.1007/s12288-020-01292-6
- Stoffel NU, Zeder C, Brittenham GM, et al. Alternate day versus consecutive day oral iron supplementation in iron-depleted wome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BMC Med. 2023;21(1):449. doi:10.1186/s12916-023-03153-6
- Simard-Tremblay E. Optimum Frequency and Timing of Oral Iron Administration for Childhood Restless Leg Syndrome/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ClinicalTrials.gov.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dn.clinicaltrials.gov/large-docs/27/NCT04610827/Prot_SAP_000.pdf
- Zhang R, Wu Y, Yang J, Li Y, Wang X, Han X. Daily versus intermittent iron supplementation among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A meta-analysis. Front Pediatr. 2024;12:1358983. doi:10.3389/fped.2024.1358983
- 베이비뉴스. 철분과 비타민 D 부족하면, 우리 아이에게는 어떤 일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