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테크(근육+재테크)’라는 신조어가 유행할 만큼 건강과 근육 관리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시대입니다. 특히 중장년층에게는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 예방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23 수많은 정보 속에서 유청 단백질은 과연 우리 몸에 어떤 역할을 할까요? 이 기사는 넘쳐나는 마케팅 정보와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당신에게 가장 적합한 유청 단백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최종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핵심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유청 단백질은 근력 운동과 병행 시 근육 성장, 근력 향상, 근감소증 예방에 과학적으로 입증된 효과가 있습니다.18
- 주요 종류는 WPC, WPI, WPH이며, 유당불내증이 있거나 소화가 불편하다면 유당과 지방이 거의 제거된 **WPI(분리유청단백)**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3
- 건강한 성인이 적정량을 섭취할 경우, 유청 단백질이 신장이나 간 기능에 해를 끼친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4
-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려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인증 여부**, 영양성분표, 아미노산 스코어, 그리고 한국소비자원(KCA)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비교 보고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15
서론: ‘근테크’ 시대, 왜 우리는 단백질에 주목하는가?
대한민국은 지금 ‘근테크(근육+재테크)’ 열풍에 휩싸여 있습니다.11 이는 단순히 미용 목적을 넘어, 건강한 노년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치열한 경쟁 사회 속에서 건강과 젊음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 그리고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근감소증(sarcopenia)에 대한 두려움은 많은 이들을 단백질 보충제로 이끌고 있습니다.14 하지만 막상 제품을 고르려고 하면 WPC, WPI 등 어려운 용어와 상충되는 정보 앞에서 혼란에 빠지기 쉽습니다. 이 글은 그 혼란의 종지부를 찍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유청 단백질의 모든 것을 파헤치고, 당신이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신뢰할 수 있는 나침반이 될 것입니다.
제1장: 유청 단백질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신화 깨부수기
유청 단백질을 둘러싼 수많은 ‘카더라’ 정보들. KRHOW 편집위원회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가장 흔한 오해 세 가지를 명확하게 바로잡아 드립니다.
1.1. 오해 1: “유청 단백질은 마시기만 하면 근육이 생기는 마법의 약이다?”
많은 이들이 유청 단백질을 마시기만 하면 저절로 근육이 만들어질 것이라 기대하지만, 이는 가장 큰 착각입니다. 유청 단백질은 ‘마법의 약’이 아니라 근육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그 효과는 반드시 **저항성 운동(근력 운동)**과 결합될 때 발휘됩니다. 2022년 발표된 권위 있는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꾸준한 저항성 운동과 함께 단백질 섭취량을 늘렸을 때 제지방량(LBM)과 근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8 즉, 운동 없는 단백질 섭취는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1.2. 오해 2: “단백질 보충제는 신장과 간을 망가뜨린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부분이자 가장 널리 퍼진 오해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존에 신장이나 간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여러 연구와 전문가들의 종합적인 견해에 따르면, 체중 1kg당 1.6g에서 최대 2.2g에 이르는 비교적 높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더라도 신장이나 간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과학적 증거는 없습니다.4
“기존에 간이나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단백질 보충제 섭취가 해당 장기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문제는 과도한 섭취나 불순물이 포함된 검증되지 않은 제품입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의학 자문단
물론, 이미 관련 질환을 진단받은 분이라면 단백질 섭취량에 대해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1.3. 오해 3: “운동 후 30분 ‘기회의 창’을 놓치면 모든 것이 헛수고다?”
운동 직후 30분 안에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는 ‘기회의 창(anabolic window)’ 이론은 오랫동안 헬스 애호가들 사이에서 금과옥조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이 ‘창’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넓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운동 후 근육 단백질 합성(MPS) 과정은 최소 24시간에서 48시간까지 활발하게 유지됩니다.4 따라서 30분에 집착하기보다는, 하루 총 단백질 섭취량을 충족시키고 이를 여러 번에 걸쳐 꾸준히 분배하여 섭취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제2장: 유청 단백질이란 무엇인가? – 과학적 기초 다지기
오해를 걷어냈으니, 이제 유청 단백질의 본질에 대해 과학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지식은 현명한 선택의 기초가 됩니다.
2.1. 유청 단백질의 정의와 생성 과정
유청(Whey) 단백질은 우유에서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입니다. 우유의 단백질은 약 20%의 유청과 80%의 카제인(Casein)으로 구성되는데, 치즈를 만들기 위해 우유를 응고시키면 고체 형태의 카제인은 분리되고 액체 상태의 유청이 남게 됩니다.31 과거에는 버려지기도 했던 이 액체 유청이, 사실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고품질 단백질 덩어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여과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우리가 아는 파우더 형태의 보충제로 재탄생하게 된 것입니다.4
2.2. 유청 단백질의 종류: WPC, WPI, WPH 완벽 비교
이것이 바로 소비자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입니다. WPC, WPI, WPH는 유청을 얼마나 더 정제했는지에 따른 분류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각각의 특징을 명확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표 1: WPC, WPI, WPH 비교 분석
특징 (Đặc điểm) | WPC (농축유청단백) | WPI (분리유청단백) | WPH (가수분해유청단백) |
---|---|---|---|
단백질 함량 | 70-80% | 90% 이상 | 다양함 |
유당(Lactose) 함량 | 상대적으로 높음 | 매우 낮거나 없음 | 원료에 따라 다름 |
지방 함량 | 상대적으로 높음 | 매우 낮거나 없음 | 원료에 따라 다름 |
흡수 속도 | 보통 | 빠름 | 가장 빠름 |
주요 대상 | 일반적인 사용자, 비용 중시 | 유당불내증, 다이어터, 높은 순도 선호 | 소화 기능이 매우 약한 사람, 특수 의료용 |
참고 | 가장 경제적이지만 유당불내증 유발 가능3 | 유당불내증 문제 해결의 핵심3 | 흡수는 가장 빠르나, 근육 성장 효과가 WPI보다 월등하다는 증거는 부족함3 |
출처: KRHOW 편집위원회 (삼성서울병원3 및 관련 연구 자료 종합)
2.3. 과학적으로 입증된 유청 단백질의 효능
유청 단백질은 단순한 근육 보충제를 넘어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모든 효능은 엄격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뒷받침됩니다.
- 근육량 및 근력 증가: 저항성 운동과 병행 시, 유청 단백질은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여 근육량과 근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킵니다.1819
- 노년층 근감소증 예방 및 신체 기능 개선: 한양대 박용순 교수팀의 연구 등 다수의 연구에서 노년층의 단백질 보충이 근육량 감소를 막고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19
- 심혈관 건강 개선: 여러 연구를 종합한 결과, 유청 단백질 섭취가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는 등 심혈관 건강 지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2021
- 혈압 감소에 대한 잠재적 효과: 일부 연구에서는 유청 단백질이 혈압을 소폭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22
제3장: 나에게 맞는 유청 단백질 선택법 – 스마트 컨슈머 가이드
이제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수많은 제품의 홍수 속에서 ‘나’에게 맞는 최고의 제품을 고르는 실질적인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3.1. 목표 설정: 당신은 왜 단백질 보충제가 필요한가?
가장 먼저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나는 왜 단백질 보충제를 먹으려고 하는가?’ 목표에 따라 선택의 기준이 달라집니다.
- 근육 증가가 목표인 운동인: 단백질 함량이 높고 흡수가 빠른 WPI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체중 감량 중인 다이어터: 탄수화물과 지방 함량이 거의 없는 WPI는 최소한의 열량으로 단백질을 보충하는 데 유리합니다.
- 근감소증 예방이 중요한 중장년층: 소화가 편하고 순도가 높은 WPI가 권장되며, 식사만으로 단백질 섭취가 부족할 때 간식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12
- 단순 영양 보충: 유당불내증이 없다면,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WPC도 훌륭한 대안입니다.
3.2. ‘유당불내증’ 문제 해결: 왜 WPI가 정답인가?
우유만 마시면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하는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은 한국인에게 매우 흔한 증상입니다. 이는 우유 속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락타아제)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WPC에는 상당량의 유당이 남아있어 이러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 반면, **WPI(분리유청단백)**는 특수 필터링 공정을 통해 유당과 지방을 99% 가까이 제거한 제품입니다. 따라서 유당불내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WPI는 거의 유일하고 가장 확실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3. ‘안전’이 최우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고르는 5가지 체크리스트
과거 ‘가짜 단백질’ 논란에서 보듯,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도는 무엇보다 중요합니다.4 아래 5가지 체크리스트를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인증 확인: 제품 포장에서 ‘건강기능식품’ 마크나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마크를 확인하세요. 이는 최소한의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통과했다는 의미입니다.1629
- 영양성분표 꼼꼼히 읽기: 1회 섭취량 당 실제 단백질 함량이 얼마인지, 설탕 등 당류 함량이 불필요하게 높지는 않은지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제품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단백질 음료’라기보다 ‘설탕 음료’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15
- 아미노산 스코어(Amino Acid Score) 확인: 단백질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식품 기준에 따르면, 아미노산 스코어가 85점 이상이어야 합니다.1528 제품 상세 정보에 이 점수가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알레르기 유발 성분 확인: 유청 단백질 외에 대두(콩), 밀, 견과류 등 다른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관련 알레르기가 있다면 원재료명 목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28
- 한국소비자원(KCA) 보고서 참고: 한국소비자원은 주기적으로 시중 단백질 보충제 제품들의 품질, 안전성, 표시 정보의 정확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제품 구매 전, 소비자원 홈페이지에서 관련 보고서를 찾아보는 것은 매우 현명한 소비 습관입니다.1530
제4장: 유청 단백질, 어떻게 얼마나 먹어야 할까? – 개인별 맞춤 섭취법
좋은 제품을 골랐다면, 이제는 나에게 맞게 ‘잘’ 먹는 법을 알아야 합니다.
4.1. 하루 단백질 권장 섭취량 계산하기
단백질은 무조건 많이 먹는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몸무게와 활동 수준에 맞는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권장량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조절이 필요합니다.
- 일반 성인: 체중 1kg당 0.8~1.0g. (예: 체중 70kg -> 하루 56~70g) 이는 한국영양학회와 보건복지부가 제시하는 기준입니다.2632
- 근력 운동을 하는 사람: 체중 1kg당 1.6~2.2g. (예: 체중 70kg -> 하루 112~154g) 근육 성장과 회복을 위해 더 많은 양이 필요합니다.18
- 근감소증 예방이 필요한 노인: 체중 1kg당 1.2~1.5g. (예: 체중 60kg -> 하루 72~90g) 일반 성인보다 높은 섭취가 근육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박용순 교수팀의 연구 결과입니다.12
중요: 이 양은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단백질(고기, 생선, 계란, 콩 등)을 모두 포함한 총량입니다. 보충제는 이 총량을 채우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4.2. 언제 먹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
앞서 언급했듯 ‘운동 후 30분’이라는 시간에 강박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하루에 필요한 총 단백질량을 3~4회에 걸쳐 나누어 먹는 것이 근육 합성을 꾸준히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합니다.4 물론 운동 직후는 몸이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시점이므로 섭취하기 편리하고 좋은 시간이지만, 아침 식사 시, 식간 간식 등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춰 꾸준히 섭취하는 습관이 더 중요합니다.
4.3. 흔한 부작용과 대처법 (설사, 소화불량, 여드름)
일부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 설사 및 소화불량: 가장 흔한 원인은 유당불내증입니다. 이 경우, 제품을 **WPI로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 해결됩니다. 처음에는 권장량의 절반으로 시작하여 서서히 양을 늘려가며 위장이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여드름: 유청 단백질이 일부 사람들에게서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IGF-1) 수치를 높여 여드름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4 이는 개인적인 반응이므로, 문제가 지속된다면 섭취량을 줄이거나 잠시 중단해보고, 식물성 단백질 등 다른 대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유당불내증이 있는데 어떤 유청 단백질을 먹어야 하나요?
반드시 **WPI(분리유청단백)** 제품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WPI는 제조 과정에서 소화 불량의 주원인인 유당(lactose)을 거의 모두 제거했기 때문에 유당불내증이 있는 분들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습니다. 제품 구매 시 ‘락토프리(Lacto-free)’ 또는 ‘WPI’ 표시를 꼭 확인하세요.
‘가성비’ 좋은 WPC와 비싼 WPI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됩니다.
선택의 핵심 기준은 ‘유당불내증 유무’입니다. 우유를 마셨을 때 소화에 전혀 문제가 없다면, 가격이 저렴한 **WPC(농축유청단백)**도 훌륭한 선택입니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배가 불편하거나 설사 증상이 있다면, 비용을 조금 더 지불하더라도 소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WPI**를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현명합니다.
단백질 보충제를 먹으면 정말 살이 찌나요?
단백질 보충제 자체는 살을 찌우는 주범이 아닙니다. 살이 찌는 원리는 하루에 소비하는 칼로리보다 섭취하는 칼로리가 더 많을 때 발생합니다. 단백질 보충제도 칼로리가 있으므로, 자신의 하루 총 섭취 칼로리 계획 안에서 섭취해야 합니다. 오히려 단백질은 포만감을 높여주고 근육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어, 체계적인 식단 및 운동과 병행하면 체중 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결론: 단백질 보충제는 ‘도구’이지 ‘목적’이 아니다
유청 단백질은 근거 없는 신화 속 ‘마법의 약’도, 막연한 공포의 대상인 ‘독’도 아닙니다. 그것은 과학적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매우 정교하고 효과적인 ‘영양학적 도구’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지식과 지혜입니다. 이 기사를 통해 당신은 이제 자신의 몸 상태와 목표에 맞는 올바른 종류의 유청 단백질을 선택하고, 적절한 양을, 올바른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더 이상 광고 문구에 현혹되거나 잘못된 정보에 불안해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손에 쥐어진 이 지식을 바탕으로 건강한 삶이라는 목표를 향해 현명하고 주체적으로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참고 문헌
- 데일리 푸드앤메드. (2022). 브라우니 만들 때 유청 분말 넣으면 맛과 영양 모두 ‘쑥쑥’. http://www.foodn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40
- 한국식품과학회. (n.d.). 유청의 건강 증진 효과 및 산업적 이용성. https://www.kosfa.or.kr/func/download_file?file_name=9efbe2be3f792a5c033d0b5fbc7f55c5.pdf&file_path=../uploads/board/bo_industry_journal/11/&orig_name=03_%EC%9C%A0%EC%B2%AD%EC%9D%98_%EA%B1%B4%EA%B0%95_%EC%A6%9D%EC%A7%84_%ED%9A%A8%EA%B3%BC_%EB%B0%8F_%EC%82%B0%EC%97%85%EC%A0%81_%EC%9D%B4%EC%9A%A9%EC%84%B1.pdf
- 삼성서울병원. (n.d.). 단백질 보충제,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http://samsunghospital.com/m/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1415
- 나무위키. (n.d.). 단백질 보충제. https://namu.wiki/w/%EB%8B%A8%EB%B0%B1%EC%A7%88%20%EB%B3%B4%EC%B6%A9%EC%A0%9C
- 11번가. (n.d.). 락토프리분리유청단백질. https://search.11st.co.kr/pc/total-search?kwd=%EB%9D%BD%ED%86%A0%ED%94%84%EB%A6%AC%EB%B6%84%EB%A6%AC%EC%9C%A0%EC%B2%AD%EB%8B%A8%EB%B0%B1%EC%A7%88
- 소셜타임스. (2023). [단백질 보충식 분석] 단백질 보충해야 하는 이유…부작용·섭취시간·유명 제품별 특성은?. https://www.esocial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28
- 11번가. (n.d.). 가수분해유청단백질. https://search.11st.co.kr/pc/total-search?kwd=%EA%B0%80%EC%88%98%EB%B6%84%ED%95%B4%EC%9C%A0%EC%B2%AD%EB%8B%A8%EB%B0%B1%EC%A7%88
- 웨이텐. (n.d.). 단백질보충제 추천 wpi 프로틴 순위. https://www.whey10.co.kr/
- 마이프로틴. (n.d.). 유럽 No.1 단백질보충제 & 건강보조식품. https://www.myprotein.co.kr/
- 식품음료신문. (2023). 고성장 ‘단백질 보충제’ 4000억 시장 1위 다툼.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858
- 식품음료신문. (2023). 근(筋)테크 열풍, 프로틴(단백질) 전성시대-하상도의 식품 바로보기(359).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017
- 뉴스H. (2019). [연구성과] 박용순 교수(식품영양학과).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501143
- 한국경제. (2023). 소비자원 “단백질 보충제 제품별로 단백질 함량 차이 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8083552Y
- 매거진한경. (2023). [special] MZ부터 실버까지 단백질에 꽂힌 이유.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302241566c
- 한국소비자원. (2023). 단백질 보충제 관련 가격·품질 비교정보. https://www.consumer.go.kr/user/ftc/consumer/cnsmrBBS/79/selectInfoRptDetail.do?infoId=A1079888
- 헬스오. (2023). 식약처 ‘단백질 보충제’ 불법 스테로이드 성분 등 검사. https://www.healtho.co.kr/news/view.php?idx=94195
- 조선일보. (2025). “얘야, 선물은 홍삼 대신 단백질을 다오”.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5/02/22/2WF4NJ7YM5CDTETTWBAS7WVZNA/
- Pinto, B. S., et al. (2022). Effects of increased daily protein intake on lean body mass in healthy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13(3), 1542–1558. DOI: 10.1002/jcsm.12922
- Alshwesh, M. A. M., et al. (2024). Effectiveness of whey protein supplementation on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performance of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Clinical Nutrition. DOI: 10.1016/j.clnu.2024.08.033
- Jackson, G., et al. (2024). The effects of whey protein supplementation on indices of cardiometabo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ical Nutrition. DOI: 10.1016/j.clnu.2024.12.003
- Zulkifli, S. N. M., et al. (2025). Impact of whey protein on lipid profil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35(6). DOI: 10.1016/j.numecd.2025.103858
- Karimi, A., et al. (2023). The effects of whey protein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33(9), 1689-1703. DOI: 10.1016/j.numecd.2023.07.005
- 리얼푸드. (2023). “한국인의 단백질 먹기, 이것이 문제”…이영은 원광대 식품영양학과… https://www.realfoods.co.kr/article/2778254
-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n.d.). 권영혜 교수. https://foodnutrition.snu.ac.kr/snu__professor/%EA%B6%8C%EC%98%81%ED%98%9C/
- 보건복지부. (2020).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362381
-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 [별표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https://www.law.go.kr/flDownload.do?flSeq=133523831&flNm=%5B%EB%B3%84%ED%91%9C+2%5D+%ED%95%9C%EA%B5%AD%EC%9D%B8+%EC%98%81%EC%96%91%EC%84%AD%EC%B7%A8%EA%B8%B0%EC%A4%80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n.d.). 식이영양.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98
- 한국소비자원. (2023). 단백질 보충제 품질시험 결과 [PDF]. https://www.kca.go.kr/smartconsumer/board/download.do?menukey=7301&fno=10039686&bid=00000146&did=1003551113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n.d.). 건강기능식품.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548
- 한국소비자원. (2023). 단백질 보충 일반식품, 제품별 단백질 함량 차이 커. https://www.kca.go.kr/webzine/board/view?menuId=MENU00307&linkId=599&div=kca_2310
- 식품음료신문. (2014). [기획]’유청단백’ 기능성 소재로 각광.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1
- 대한영양사협회. (n.d.). 동물성 단백질의 1일 섭취량은?. https://www.dietitian.or.kr/business/qna_board/kb_c_counsel_board_view.do?curPage=51&bbs_idx=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