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목발 사용, 더 이상 고통스럽고 불안하지 마세요! 올바른 목발 사용법으로 신경 손상 예방부터 안전한 보행까지 완벽 마스터

다리나 발 부상 또는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목발은 필수적인 보조 기구입니다. 목발은 손상된 부위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줄여 조직 치유를 돕고, 환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2. 하지만 많은 분들이 목발 사용법을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정확히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잘못된 목발 사용은 겨드랑이 신경 압박으로 인한 팔 저림이나 마비(목발 마비), 손목이나 어깨 통증, 근육통, 피부 쓸림, 물집 발생은 물론, 낙상으로 인한 2차 부상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3. 이러한 문제들은 회복을 지연시키고 일상생활 복귀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KRHOW.COM은 목발을 처음 사용하시거나 올바른 사용법을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모든 분들을 위해, 목발 선택부터 조절, 올바른 보행 기술, 안전 수칙 및 통증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상세히 안내하여 고통 없이 안전하고 빠른 회복을 돕고자 합니다. 올바른 목발 사용법을 익히고 꾸준히 연습한다면, 회복 기간 동안 안전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핵심 요약 – 이 글을 통해 다음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올바른 목발 종류 선택과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정확한 높이 및 손잡이 조절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목발 사용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 목발 사용 시 겨드랑이 압박을 반드시 피하고, 체중을 손과 팔로 올바르게 분산하여 지지하는 것이 신경 손상(목발 마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핵심입니다.
  • 평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 의자 사용 등 다양한 일상생활 상황에 맞는 목발 사용 기술을 숙달하면 안전한 이동성을 확보하고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미끄럼 방지 신발 착용, 주변 환경 정비, 목발 상태의 정기적인 점검 등 안전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은 예기치 않은 사고를 방지하고 성공적인 회복을 돕습니다.

제1장: 목발의 종류와 선택 – 나에게 맞는 목발은?

목발 사용에 앞서, 다양한 종류의 목발과 각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의 상태와 필요에 가장 적합한 목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발 선택은 단순한 개인의 선호도를 넘어, 의학적 상태, 예상 사용 기간, 신체 능력, 생활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4. 잘못된 목발 선택은 불편함을 넘어 안전 문제와 회복 지연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4.

1.1. 겨드랑이 목발 (Axillary Crutches / Underarm Crutches)

구조: 겨드랑이 목발은 일반적으로 겨드랑이에 닿는 패드(axilla pad), 체중을 지지하는 손잡이(handgrip),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부분, 그리고 바닥과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무 팁(rubber tip)으로 구성됩니다5.

특징: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태로, 주로 다리나 발목 부상 후 단기간 사용을 위해 처방됩니다6.

장점: 다른 유형의 목발에 비해 사용법을 배우기가 비교적 쉽고, 팔꿈치 목발보다 상체 근력이 상대적으로 덜 요구될 수 있습니다6.

단점: 가장 큰 단점은 겨드랑이 부위의 신경 및 혈관 압박 위험입니다. 목발을 겨드랑이에 직접 기대어 체중을 지지할 경우, 팔로 가는 신경(상완신경총의 일부인 요골신경 등)이 눌려 팔의 저림, 통증, 심하면 마비 증상(목발 마비, crutch palsy)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7. 또한, 장기간 사용 시 겨드랑이와 손목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발생하기 쉽고8, 팔꿈치 목발에 비해 에너지 소모가 더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9.

1.2. 팔꿈치 목발 (Forearm/Elbow Crutches / Lofstrand Crutches)

구조: 팔꿈치 목발은 팔뚝 아랫부분을 감싸는 커프(cuff), 손잡이(handgrip), 높이 조절 부분, 고무 팁으로 구성됩니다2.

특징: 주로 장기간 목발 사용이 필요하거나 활동적인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유럽 국가에서 겨드랑이 목발보다 더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10.

장점: 겨드랑이를 압박하지 않아 신경 손상 위험이 거의 없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어 허리 통증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8. 또한, 커프가 팔뚝을 지지해주므로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계단이나 고르지 않은 지면에서의 기동성이 겨드랑이 목발보다 우수합니다2.

단점: 겨드랑이 목발에 비해 사용법을 익히는 데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체중을 팔과 손목으로 지지해야 하므로 더 강한 상체 근력과 균형 능력이 요구됩니다8.

1.3. 플랫폼 목발 및 기타 유형 (Platform Crutches and Other Types)

플랫폼 목발 (Platform/Gutter Crutches):

구조: 팔뚝 전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넓은 플랫폼(또는 거터 형태)과 수직 손잡이로 구성됩니다7.

특징: 체중을 주로 팔뚝으로 지지하므로, 손목이나 손의 악력이 약한 환자(예: 류마티스 관절염, 특정 신경계 질환 환자)에게 유용합니다7.

장점: 겨드랑이 목발이나 팔꿈치 목발 사용이 어려운 경우 안정적인 체중 지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7.

단점: 다른 목발 유형에 비해 기동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덜 일반적인 형태입니다7.

핸즈프리 목발 및 무릎 스쿠터 (Hands-free Crutches and Knee Scooters):

무릎 스쿠터는 한쪽 다리에 체중 부하가 불가능할 때 목발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4. 다리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핸즈프리 목발은 기존 목발의 단점(상체 부담, 손 사용 제한, 무릎 각도 고정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운 보행)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목발은 무릎 굽힘이 자연스럽게 일어나 계단이나 경사로 보행이 용이하고, 하중이 다리 전체로 분산되어 피로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11.

1.4. 내게 맞는 목발 선택하기 (Choosing the Right Crutch for You)

가장 적합한 목발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부상 유형 및 심각도: 골절, 인대 손상, 수술 등 부상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체중 부하 제한 정도가 달라지며, 이는 목발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 예상 사용 기간: 단기간 사용에는 겨드랑이 목발이 흔히 사용되지만, 장기간 사용이 예상될 경우 팔꿈치 목발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8.
  • 상체 근력 및 균형 능력: 팔꿈치 목발은 겨드랑이 목발보다 더 많은 상체 근력과 균형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8. 플랫폼 목발은 손목 힘이 약한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10.
  • 일상생활 환경: 주로 생활하는 공간에 계단이 많은지, 활동 반경이 넓은지 등도 목발 선택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전문가의 권고: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평가하여 가장 적합한 목발을 추천해 줄 수 있습니다2.

“최고의 목발”은 없으며, 오직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목발”만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목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 1: 목발 종류별 특징 및 선택 가이드
특징 겨드랑이 목발 (Axillary) 팔꿈치 목발 (Forearm/Elbow) 플랫폼 목발 (Platform)
주요 구조 겨드랑이 패드, 손잡이 팔꿈치 커프, 손잡이 팔뚝 플랫폼, 수직 손잡이
체중 지지 부위 손, 팔 (겨드랑이 지지 절대 금지) 손, 팔뚝 팔뚝 전체
일반적 사용 대상 단기 사용자, 상체 근력 보통 장기 사용자, 활동적인 사용자, 상체 근력 양호 손목/손 악력 약한 사용자 (예: 류마티스 관절염)
장점 배우기 쉬움, 상대적으로 적은 상체 근력 요구 겨드랑이 압박 없음, 자세 유지 용이, 기동성 우수, 손 사용 비교적 자유 손목/손 부담 적음, 특정 환자군에게 안정적 지지 제공
단점 겨드랑이 신경 손상 위험, 장기 사용 시 불편, 에너지 소모 클 수 있음 초기 적응 및 연습 필요, 상대적으로 많은 상체 근력 및 균형 요구 기동성 떨어질 수 있음, 덜 일반적
선택 시 주요 고려사항 단기 사용 여부, 겨드랑이 압박 회피 능력 장기 사용 여부, 활동 수준, 상체 근력 및 균형 능력 손목/손 상태, 특정 질환 유무
정보 출처 예시 5 10 7

제2장: 정확한 목발 조절 방법 – 내 몸에 딱 맞게!

목발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정확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부정확하게 조절된 목발은 불편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세를 초래하여 목, 어깨, 허리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지어 신경 손상이나 낙상 위험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12. 목발 조절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신발이 바뀌거나 불편감이 느껴질 때마다 미세 조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13. 특히 처음 목발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정확하게 조절하고 확인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공통 준비사항: 목발을 조절할 때는 평소에 자주 신는 신발(특히 굽 높이가 일정한 것)을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펴고 바른 자세로 서서 조절해야 합니다5.

2.1. 겨드랑이 목발 조절 (Adjusting Axillary Crutches)

겨드랑이 목발은 전체 높이와 손잡이 높이, 두 가지를 조절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체 높이를 먼저 맞춘 후, 손잡이 높이를 조절합니다3.

2.1.1. 전체 높이 맞추기 (Overall Height Adjustment)

목발을 양옆에 바로 세우고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상태에서, 목발의 맨 위 패드와 겨드랑이 사이에 손가락이 2~3개 정도 들어갈 수 있는 공간(약 2.5~5cm 또는 1~2인치)이 있어야 합니다3. 이 공간은 목발 사용 시 겨드랑이가 직접 압박되는 것을 막아 신경 손상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목발의 끝(고무 팁 부분)은 발의 새끼발가락으로부터 앞쪽으로 약 15cm (6인치), 그리고 옆으로 약 15cm (6인치) 지점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14. 또는 발 옆으로 12~20cm (5~8인치) 정도 떨어진 지점에 두기도 합니다3. 자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예: 발 옆 5~10cm 5 또는 2~3인치 15)가 있을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안정적인 삼각 지지 기반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2.1.2. 손잡이 높이 조절 (Handgrip Height Adjustment)

목발의 전체 높이를 맞춘 후, 팔을 편안하게 옆으로 늘어뜨렸을 때 손목뼈의 돌출된 부분(척골 경상돌기)이나 손목 주름이 오는 높이에 손잡이가 위치하도록 조절합니다1. 일부 자료에서는 엉덩이 관절(고관절) 높이에 맞추라고도 합니다1.

2.1.3. 겨드랑이 공간 및 팔꿈치 각도 확인 (Checking Armpit Space and Elbow Angle)

손잡이를 잡았을 때, 팔꿈치가 약 15~30도 정도 약간 구부러진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1. 이 각도는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팔 근육을 사용하는 데 이상적이며, 충격 흡수에도 도움이 됩니다. 팔꿈치가 너무 펴지거나 너무 많이 구부러지면 체중 지지가 어렵고 피로가 빨리 올 수 있습니다. 손잡이를 잡고 섰을 때도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의 공간(손가락 2~3개)이 유지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2.2. 팔꿈치 목발 조절 (Adjusting Forearm Crutches)

팔꿈치 목발은 손잡이 높이와 팔꿈치 커프의 위치를 조절해야 합니다.

2.2.1. 전체 높이 및 손잡이 높이 (Overall Height and Handgrip Height)

겨드랑이 목발과 마찬가지로, 팔을 자연스럽게 옆으로 늘어뜨렸을 때 손목 주름 높이에 손잡이가 오도록 전체 길이를 조절합니다16. 손잡이를 잡았을 때 팔꿈치는 약 15~30도 정도 구부러져야 합니다4. 목발 끝은 보통 발 바깥쪽으로 약 10~15cm (4~6인치) 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시킵니다6.

2.2.2. 팔꿈치 커프 위치 및 조절 (Elbow Cuff Position and Adjustment)

팔꿈치 커프의 위쪽 가장자리는 팔꿈치가 구부러지는 부분(주관절)에서 약 2.5~5cm (1~2인치) 또는 손가락 두 마디 정도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16. 커프가 너무 높으면 팔꿈치 움직임을 방해하고, 너무 낮으면 지지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커프는 팔뚝을 안정적으로 감싸되, 너무 조여서 혈액 순환을 방해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해서는 안 됩니다. 팔을 커프에 넣고 빼는 것이 비교적 자유로워야 합니다17. 일부 목발은 커프의 넓이 조절도 가능합니다18. 목발을 잘못 조절하면 너무 낮게 조절 시 몸을 앞으로 숙여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너무 높게 조절 시 어깨가 위로 치솟고 팔꿈치가 과도하게 구부러져 목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하며 목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듭니다19. 따라서 정확한 조절은 안전하고 편안한 목발 사용의 첫걸음입니다.

제3장: 올바른 자세 및 체중 지지 – 신경 손상 없이 안전하게!

목발 사용의 핵심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체중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 장시간 목발 사용에 따른 피로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겨드랑이로 체중을 지지하지 않는 것”은 목발 사용 시 가장 강조되는 안전 수칙 중 하나로,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심각한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7.

3.1. 체중 지지 기본 원칙 (Basic Principles of Weight-Bearing)

목발 사용 시 부상당한 다리에 어느 정도 체중을 실을 수 있는지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환자의 부상 종류, 수술 방법, 회복 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의료진의 지시를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해야 합니다1.

  • 완전 비체중 부하 (Non Weight-bearing, NWB): 부상당한 다리에 체중을 전혀 싣지 않아야 하며, 보행 시 항상 바닥에서 들어 올려야 합니다16.
  • 발끝 닿기 (Feather weight-bearing / Toe-touch weight-bearing, TTWB): 부상당한 다리의 발끝이나 발바닥 전체를 바닥에 가볍게 대어 균형을 잡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체중은 거의 싣지 않습니다. “발밑에 계란이 있어 깨지지 않도록 상상하라”는 비유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 부분 체중 부하 (Partial weight-bearing, PWB): 의사가 지시한 특정 비율(예: 체중의 30%, 50%)만큼만 부상당한 다리에 체중을 싣습니다16. 가정용 체중계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힘으로 딛는지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 허용되는 만큼 체중 부하 (Weight-bearing as tolerated, WBAT): 통증이 심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부상당한 다리에 싣는 체중을 늘려나갑니다3.
  • 완전 체중 부하 (Full weight-bearing, FWB): 부상당한 다리에 정상적으로 체중을 모두 실을 수 있습니다3.

3.2. 겨드랑이 압박 피하기: 신경 손상 예방 (Avoiding Armpit Pressure: Preventing Nerve Damage – “Crutch Palsy”)

목발 사용 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체중을 겨드랑이로 지탱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무의식적으로 또는 피로감 때문에 목발의 겨드랑이 패드에 기대어 체중을 지지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5. 겨드랑이에는 팔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 다발(상완신경총)과 혈관들이 지나갑니다. 목발 패드가 이 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면 요골 신경 등이 손상되어 팔과 손의 저림, 통증, 감각 이상, 근력 약화, 심지어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마비(이른바 “목발 마비” 또는 “Crutch Palsy”)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신경 손상은 회복을 더디게 하고 추가적인 치료를 필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발의 전체 높이를 정확히 조절하여, 목발 패드와 겨드랑이 사이에 항상 손가락 2~3개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겨드랑이 패드에 충분한 쿠션이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16.

3.3. 손과 팔을 이용한 올바른 체중 분산 (Correct Weight Distribution Using Hands and Arms)

체중은 겨드랑이가 아닌, 목발 손잡이를 통해 손바닥과 팔 전체로 분산시켜 지지해야 합니다1. 목발 손잡이를 단단히 잡고, 팔꿈치는 약 15~30도 정도 약간 구부린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 자세는 팔 근육(특히 삼두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체중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부 지침에서는 목발을 사용할 때 목발의 윗부분을 갈비뼈 쪽으로 가볍게 조여 몸통에 밀착시키면 안정성을 높이고 손으로 체중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3. 이는 목발이 몸에서 너무 멀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잡는 데 유리합니다.

3.4. 올바른 상체 자세 유지 (Maintaining Correct Upper Body Posture)

목발을 사용할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 어깨는 긴장을 풀고 편안하게 유지하며, 시선은 발끝이 아닌 정면 또는 진행 방향을 향해야 합니다1. 목발에 과도하게 기대거나 상체를 앞으로 너무 숙이는 자세는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자세는 특정 부위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어 허리, 어깨, 목 등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늘려 쉽게 피로해지게 만듭니다1. 올바른 자세는 균형 유지에도 중요하며,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만약 겨드랑이 부위나 손목 등에 통증이나 저림이 느껴진다면 즉시 목발 사용 방법을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세를 교정해야 합니다20.

제4장: 목발 보행법 마스터하기 – 단계별 완전 정복!

목발 보행법은 환자의 체중 부하 능력, 균형 감각, 그리고 이동하려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각 보행법은 특정 상황과 회복 단계에 맞춰져 있으며, 잘못된 보행법 선택은 불안정성을 높이거나 부상 부위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나 물리치료사로부터 정확한 지도를 받고, 자신의 상태에 맞는 보행법을 숙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1. 체중 부하 단계별 지침 (Guidelines by Weight-Bearing Status)

앞서 제3장에서 설명한 체중 부하 단계를 다시 한번 상기하고, 각 단계에 맞는 보행 원칙을 이해해야 합니다.

  • 완전 비체중 부하 (NWB): 부상당한 다리는 보행 중 항상 바닥에서 들어 올려야 합니다16.
  • 발끝 닿기 (TTWB / FWB): 균형 유지를 위해서만 발끝(또는 발바닥 전체)을 가볍게 바닥에 대고, 체중은 거의 싣지 않습니다3.
  • 부분 체중 부하 (PWB): 의사가 지시한 특정 비율만큼의 체중만 부상당한 다리에 싣습니다16.
  • 허용되는 만큼 체중 부하 (WBAT):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체중 부하를 늘립니다3.
  • 완전 체중 부하 (FWB): 부상당한 다리에 모든 체중을 실을 수 있습니다3.

4.2. 기본 평지 보행 (Basic Walking on Flat Surfaces)

가장 일반적인 평지 보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1:

  1. 양쪽 목발을 어깨너비 또는 약간 넓게 벌려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만들며, 자신의 보폭에 맞게 적절한 거리만큼 앞으로 동시에 내딛습니다3. 목발을 너무 멀리 짚으면 균형을 잃기 쉽습니다1.
  2. 체중을 양손으로 목발 손잡이에 단단히 지지하면서, 부상당한 다리를 목발 사이 또는 목발과 같은 지점까지 앞으로 옮깁니다 (체중 부하 지시에 따라).
  3. 그 다음, 건강한 다리를 부상당한 다리 앞 또는 목발 앞까지 옮깁니다.
  4. 이 과정을 반복하여 보행합니다.
  5. 보행 시 시선은 발이 아닌 정면을 향하고, 상체는 곧게 유지합니다.

4.3. 다양한 보행 기술 (Various Gait Techniques)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보행 기술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각 보행법의 명칭이나 세부 설명은 자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유사합니다.

4.3.1. 2점 보행 (2-Point Gait)

방법: 한쪽 목발과 그 반대쪽 다리가 하나의 단위가 되어 동시에 앞으로 나아갑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목발과 왼쪽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가고, 그 다음 왼쪽 목발과 오른쪽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방식입니다10.

적용: 양쪽 다리에 어느 정도 체중 부하가 가능하고(PWB 또는 WBAT), 비교적 빠른 속도와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어느 정도의 균형 감각과 협응력이 요구됩니다10.

장점: 3점 보행이나 4점 보행보다 빠르고, 정상 보행과 유사한 리듬을 가집니다21.

단점: 다른 보행법에 비해 안정성이 다소 낮을 수 있어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10.

4.3.2. 3점 보행 (3-Point Gait)

방법:

  • 완전 비체중 부하(NWB) 시: 부상당한 다리는 바닥에 닿지 않도록 계속 들고 있습니다. 양쪽 목발을 먼저 앞으로 내딛고, 체중을 목발에 실으면서 건강한 다리를 목발이 있는 지점까지 또는 목발을 지나 앞으로 옮깁니다2.
  • 부분 체중 부하(PWB) 시: 양쪽 목발과 부상당한 다리를 함께 앞으로 내딛습니다 (이때 부상당한 다리에는 허용된 만큼의 체중만 싣습니다). 그 다음, 건강한 다리를 앞으로 옮겨 목발과 부상당한 다리를 지나도록 합니다16.

적용: 한쪽 다리에 체중을 전혀 실을 수 없거나(NWB), 부분적으로만 실을 수 있을 때(PWB) 가장 기본적이고 흔하게 사용되는 보행법입니다16.

장점: NWB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며, PWB 시 부상 부위를 보호하면서 점진적인 체중 부하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4.3.3. 4점 보행 (4-Point Gait)

방법: 네 개의 지지점(양 목발과 양 다리)이 각각 순차적으로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 (1)오른쪽 목발 → (2)왼쪽 다리 → (3)왼쪽 목발 → (4)오른쪽 다리 순서로 이동합니다. 보행 중 항상 세 개의 지지점이 바닥에 닿아 있어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10.

적용: 양쪽 다리에 모두 체중 부하가 가능하지만, 근력 약화, 협응력 부족, 균형 문제 등으로 인해 매우 안정적인 보행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예: 양측 하지 약화, 뇌졸중 후 초기 보행 훈련 등)10.

장점: 모든 목발 보행법 중 가장 안정적입니다10.

단점: 보행 속도가 가장 느립니다10.

4.3.4. 스윙투/스윙스루 보행 (Swing-to/Swing-through Gait)

스윙투 (Swing-to Gait / Step-to Gait): 양쪽 목발을 동시에 앞으로 내딛고, 체중을 목발에 실으면서 양쪽 다리(또는 건강한 다리만)를 들어 올려 목발이 있는 지점까지만 옮깁니다10.

스윙스루 (Swing-through Gait / Step-through Gait): 양쪽 목발을 동시에 앞으로 내딛고, 체중을 목발에 실으면서 양쪽 다리(또는 건강한 다리만)를 들어 올려 목발이 있는 지점을 지나 앞으로 내딛습니다1.

적용: 주로 양쪽 하지에 체중 부하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제한적인 경우(예: 하반신 마비 환자의 일부), 또는 NWB 상태에서 비교적 빠른 이동이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보행법은 상당한 상체 근력과 뛰어난 균형 감각, 그리고 충분한 연습을 필요로 합니다2.

장점: NWB 상태에서 3점 보행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단점: 높은 수준의 신체 능력이 요구되며, 낙상 위험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습니다.

4.4. 한쪽 목발 사용법 (Using One Crutch)

회복이 진행되어 어느 정도 체중 부하가 가능해지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한쪽 목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발 위치: 부상당한 다리의 반대편 손으로 목발을 잡습니다16. 예를 들어 왼쪽 다리가 아프면 오른쪽 손으로 목발을 잡습니다. 이는 보행 시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팔과 다리가 교차로 움직이는 것)과 유사하여 균형을 잡는 데 더 유리하기 때문입니다22. 보행 방법: 목발과 부상당한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그 다음 건강한 다리가 앞으로 나아갑니다3. 이때 목발에 체중을 적절히 실어 부상당한 다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줍니다. 적용: 균형 감각에 약간의 문제가 있거나, 근력이 다소 약하거나, 부상 부위에 경미한 통증이 남아 있을 때, 또는 양쪽 목발 사용에서 지팡이 사용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4. 각 보행법은 환자의 회복 단계와 기능적 능력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자신에게 어떤 체중 부하가 허용되는지, 어떤 보행법이 적절한지에 대해 항상 의료 전문가와 상의하고, 안전하게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 2: 체중 부하 단계별 권장 보행법
체중 부하 상태 (Weight-Bearing Status) 권장 보행법 (Recommended Gait Pattern(s)) 보행 순서 요약 (Gait Sequence Summary) 주요 특징 및 주의점 (Key Features & Precautions)
완전 비체중 부하 (NWB) 3점 보행 (3-Point), 스윙투/스루 (Swing-to/through) (3점) 양 목발 → 건강한 다리 (아픈 다리 들고)
(스윙) 양 목발 → 양 다리(또는 건강한 다리) 목발까지/지나서 (아픈 다리 들고)
부상 다리 절대 사용 금지. 상체 근력 및 균형 요구. 스윙 보행은 더 많은 연습 필요.
발끝 닿기 (TTWB/FWB) 3점 보행 (3-Point) 양 목발 + 아픈 다리 (발끝만 살짝) → 건강한 다리 아픈 다리에 체중 거의 싣지 않음 (균형만). “계란” 비유 기억.
부분 체중 부하 (PWB) (예: 25%, 50%) 3점 보행 (3-Point), 2점 보행 (2-Point), 4점 보행 (4-Point) (3점) 양 목발 + 아픈 다리 (부분 체중) → 건강한 다리
(2점) 한쪽 목발+반대편 다리 동시 → 다른 쪽 목발+반대편 다리 동시
(4점) 목발→다리→목발→다리 순차적
의사 지시 체중 준수. 2점/4점은 양다리 모두 체중 지지 가능 시. 4점은 안정성 높으나 느림.
허용되는 만큼 체중 부하 (WBAT) 2점 보행 (2-Point), 3점 보행 (3-Point), 4점 보행 (4-Point), 한쪽 목발 사용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 체중 증가. 다양한 보행법 시도 가능. 통증 발생 시 이전 단계로. 무리 금지.
완전 체중 부하 (FWB) 한쪽 목발 사용 또는 목발 없이 보행 준비 (한쪽 목발) 목발+아픈 다리 → 건강한 다리 점차 목발 의존도 줄임. 균형 및 근력 회복 중요.
정보 출처 예시 10 10 3

제5장: 일상생활 속 목발 사용 기술 – 불편함 최소화!

목발 사용은 단순히 평지를 걷는 것 이상으로, 의자에 앉고 일어서기, 계단 오르내리기, 문 통과하기 등 다양한 일상생활 동작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제2장(정확한 목발 조절), 제3장(올바른 자세 및 체중 지지), 제4장(목발 보행법)에서 배운 기본 원리들을 실제 상황에 응용하는 것입니다. 각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절차를 숙지하고 반복 연습하는 것이 안전사고 예방에 매우 중요합니다.

5.1. 의자에서 안전하게 앉고 일어서기 (Safely Sitting Down and Standing Up from a Chair)

의자를 사용할 때는 팔걸이가 있고 등받이가 있는 튼튼한 의자를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2. 회전하거나 바퀴가 달린 의자는 불안정하므로 피해야 합니다23.

앉기:

  1. 의자 바로 앞까지 뒤로 다가가, 건강한 다리의 종아리 뒤쪽으로 의자 가장자리가 느껴질 때까지 접근합니다1.
  2. 부상당한 다리는 앞으로 약간 내밀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거나, 체중 부하 지시에 따라 가볍게 둡니다1.
  3. 양쪽 목발을 부상당한 다리 쪽 손(또는 건강한 다리 쪽 손, 자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상당한 쪽에 모아 잡는 것이 더 안정적일 수 있음)으로 손잡이를 함께 모아 잡습니다1.
  4. 다른 쪽 손(자유로운 손)으로 의자 팔걸이나 좌석의 옆면을 잡습니다1.
  5. 건강한 다리와 팔에 체중을 지지하면서 천천히 몸을 낮추어 의자에 앉습니다24.
  6. 앉은 후에는 목발이 넘어지지 않도록 의자 옆에 안전하게 둡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목발을 거꾸로(팁이 위로 향하게) 세워두면 잘 넘어지지 않는다고 조언합니다25.

일어서기:

  1. 의자 가장자리 앞쪽으로 엉덩이를 옮겨 건강한 다리의 발바닥이 바닥에 완전히 닿도록 합니다1. 부상당한 다리는 앞으로 내밉니다.
  2. 앉을 때와 마찬가지로 양쪽 목발을 한 손으로 모아 잡고, 다른 손은 의자 팔걸이를 잡습니다.
  3. 건강한 다리와 팔에 힘을 주어 몸을 앞으로 살짝 숙이면서 일어섭니다24.
  4. 완전히 일어서서 균형을 잡은 후, 목발을 하나씩 양쪽 겨드랑이(또는 팔꿈치)에 위치시킵니다.

5.2. 계단 오르내리기 (Navigating Stairs)

계단은 목발 사용자에게 가장 어렵고 위험한 구간 중 하나입니다.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반드시 보조자의 도움을 받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3. 기본 원칙:라갈 때는 강한 다리 먼저 (Up with the good), 려갈 때는 픈 다리(또는 목발) 먼저 (Down with the bad/crutches).”1 이 원칙은 신체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부상당한 다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1.

5.2.1. 난간 사용 시 (Using a Handrail)

가능하면 항상 난간을 이용합니다. 난간이 있는 쪽으로 몸을 돌려 난간을 한 손으로 단단히 잡습니다1. 다른 쪽 팔 밑에는 양쪽 목발을 함께 모아 잡거나, T자 형태로 만들어 잡습니다. (일부 팔꿈치 목발은 한 팔에 두 개를 모두 걸 수 있도록 설계되기도 합니다26.)

오르기:

  1. 난간과 목발에 체중을 지지하면서, 건강한 다리를 먼저 위 계단으로 올립니다.
  2. 그 다음, 부상당한 다리와 목발을 같은 계단으로 함께 올립니다24.

내리기:

  1. 난간을 잡은 손을 먼저 아래로 옮겨 잡습니다.
  2. 목발을 먼저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24.
  3. 그 다음, 부상당한 다리를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 (체중 부하 지시에 따라).
  4. 마지막으로 건강한 다리를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

5.2.2. 난간 미사용 시 (Without a Handrail)

양쪽 목발을 각각의 팔 밑에 정상적으로 위치시키고 사용합니다1. 이 방법은 더 많은 근력과 균형 능력을 요구하므로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오르기:

  1. 계단 가까이 다가섭니다.
  2. 체중을 양 목발에 단단히 싣고, 건강한 다리를 먼저 위 계단으로 올립니다.
  3. 그 다음, 부상당한 다리와 양쪽 목발을 동시에 같은 계단으로 올립니다24.

내리기:

  1. 계단 가장자리 가까이 섭니다.
  2. 양쪽 목발을 먼저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
  3. 그 다음, 부상당한 다리를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 (체중 부하 지시에 따라)24.
  4. 마지막으로 건강한 다리를 아래 계단으로 내립니다.

주의사항: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항상 한 번에 한 계단씩 천천히 이동하고, 매 계단마다 균형을 완전히 잡은 후 다음 동작으로 넘어갑니다1. 계단 폭이 좁거나 가파른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계단 이용이 너무 어렵거나 불안정하다고 느껴지면, 무리하지 말고 앉아서 한 칸씩 엉덩이로 오르내리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1.

5.3. 경사로 및 고르지 않은 지면 보행 (Walking on Ramps, Slopes, and Uneven Ground)

경사로나 고르지 않은 지면은 평지보다 균형을 잡기 어렵고 미끄러질 위험이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 지침: 항상 작은 보폭으로 천천히 걷고, 목발 끝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닿는지 확인합니다3. 미끄럼 방지 기능이 좋은 신발을 착용하고, 목발 고무 팁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사로 오르기: 목발을 평소보다 약간 짧게 잡는 느낌으로, 또는 목발을 몸에 더 가깝게 위치시킵니다. 상체를 약간 앞으로 기울이고, 건강한 다리에 더 많은 힘을 주면서 짧은 보폭으로 한 걸음씩 올라갑니다. 목발을 먼저 옮기고, 그 다음 부상당한 다리, 건강한 다리 순으로 옮기거나, 목발과 부상당한 다리를 함께 옮기고 건강한 다리를 옮깁니다 (마치 계단을 오르듯이)27. 경사로에서는 다리 신전근의 힘과 관절의 움직임이 계단보다는 덜 필요할 수 있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28.

경사로 내려가기: 목발을 평소보다 약간 길게 잡는 느낌으로, 또는 목발을 몸보다 약간 앞에 위치시킵니다. 상체를 약간 뒤로 유지하거나 수직으로 세우고, 무릎을 살짝 구부려 충격을 흡수하며 짧은 보폭으로 내려갑니다. 목발과 부상당한 다리를 먼저 아래로 내리고, 그 다음 건강한 다리를 옮깁니다 (마치 계단을 내려가듯이)27.

고르지 않은 지면 (예: 자갈길, 잔디밭 등): 목발 끝이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지점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짚습니다. 매우 천천히 이동하며, 한 걸음 한 걸음 균형을 확인합니다. 지면이 너무 불규칙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다른 길로 돌아가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현명합니다3.

5.4. 문 통과 및 좁은 공간 이동하기 (Navigating Doors and Narrow Spaces)

문은 종류(미닫이, 여닫이 – 미는 문/당기는 문)에 따라 다른 전략이 필요하며, 좁은 공간에서는 목발과 몸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는 문 (Push Door): 문 옆으로 비스듬히 다가가, 문을 밀어서 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합니다. 한쪽 어깨나 몸통으로 문을 가볍게 밀면서, 목발과 함께 천천히 통과합니다23.

당기는 문 (Pull Door): 문 옆에 서서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습니다. 한 손으로 문손잡이를 잡고 문을 자신 쪽으로 완전히 당겨 엽니다. 문이 다시 닫히지 않도록, 문과 가장 가까운 쪽 목발의 끝을 문 안쪽 바닥에 대어 문을 고정시키는 ‘도어스톱’처럼 활용합니다23. 목발로 문을 받친 상태에서 몸을 돌려 문을 통과한 후, 목발을 회수합니다. 자동으로 닫히는 문(도어 클로저가 설치된 문)의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하며, 문이 닫히는 속도를 예측하고 신속하지만 안전하게 통과해야 합니다29.

좁은 공간 (예: 좁은 복도, 가구 사이): 이동하기 전에 주변 환경을 정리하여 가능한 넓은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30. 목발을 몸에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고, 보폭을 줄여 매우 작은 걸음으로 천천히 이동합니다30. 필요하다면, 한쪽 목발을 먼저 앞으로 옮기고 몸을 이동시킨 후 다른 쪽 목발을 옮기는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지지점만 변경하며 이동할 수 있습니다. 몸을 옆으로 돌려 통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균형을 잃지 않도록 벽이나 안정된 구조물에 가볍게 기대는 것도 방법입니다. 일상생활에서의 목발 사용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동작이 어색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각 상황에 맞는 올바른 기술을 배우고 꾸준히 연습하면 점차 자신감을 갖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항상 서두르지 말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필요한 경우 주저하지 말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제6장: 안전 제일: 목발 사용 시 주의사항 및 안전 수칙 – 낙상 없이 안심하고!

목발 사용 중에는 예기치 않은 사고, 특히 낙상의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따라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주변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목발 자체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목발 사용으로 인한 2차 부상을 예방하고, 회복 기간 동안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6.1. 일반 안전 수칙 (General Safety Tips: Footwear, Environment Check)

신발 선택: 목발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발에 잘 맞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낮은 굽의 신발을 착용해야 합니다1. 운동화나 고무 바닥의 편안한 신발이 좋습니다. 슬리퍼, 샌들, 하이힐, 바닥이 매끄러운 구두 등은 미끄러지거나 벗겨지기 쉬워 매우 위험하므로 절대 착용해서는 안 됩니다. 맨발로 목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발을 보호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3.

주변 환경 점검 및 정비: 집안이나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서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모든 장애물을 사전에 제거하거나 안전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바닥에 깔린 작은 러그나 매트, 늘어진 전선이나 케이블, 문턱, 어질러진 물건 등이 포함됩니다1. 가구를 재배치하여 통로를 넓게 확보하고,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이 쉽게 닿는 곳에 보관합니다25. 욕실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깔고, 필요하다면 샤워 의자나 변기 보조 손잡이 등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25.

조명 확보: 이동하는 공간은 항상 밝게 유지해야 합니다. 어두운 곳에서는 목발 사용을 피하고, 특히 밤에 화장실 등을 가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에는 야간등을 설치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1.

젖거나 미끄러운 바닥 주의: 물기나 기름기 등으로 젖어 있거나, 얼음, 눈, 낙엽 등으로 덮여 미끄러운 바닥은 낙상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곳에서는 가능한 한 이동을 피하고, 부득이하게 지나가야 할 경우에는 평소보다 훨씬 작은 보폭으로 매우 천천히 이동해야 합니다1. 특히, 목발의 고무 팁이 젖은 상태로 타일이나 마루 같은 실내 바닥을 짚으면 매우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들어온 후에는 목발 팁의 물기를 닦아내는 것이 좋습니다32.

6.2. 낙상 예방 전략 (Fall Prevention Strategies)

  • 천천히, 그리고 신중하게: 항상 주변 환경을 잘 살피고,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그리고 신중하게 움직여야 합니다1.
  • 시선 처리: 걸을 때는 발이나 목발 끝을 내려다보기보다는, 고개를 들고 진행 방향의 정면을 바라보는 것이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33.
  • 피로 관리: 목발 사용은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쉽게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 피로감을 느끼면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즉시 안전한 곳에 앉아 충분히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1.
  • 방향 전환: 방향을 바꿀 때는 부상당한 다리나 건강한 다리를 축으로 하여 몸을 급하게 비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신, 여러 번의 작은 발걸음(또는 홉)으로 천천히 원을 그리며 도는 것이 안전합니다16.
  • 도움 요청: 불안정하거나 위험하다고 느껴지는 상황에서는 주저하지 말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3.

6.3. 목발 관련 통증 및 불편감 관리 (Managing Crutch-Related Pain and Discomfort)

장기간 목발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부위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드랑이 통증 및 저림: 이는 대부분 잘못된 자세, 즉 체중을 겨드랑이에 직접 싣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제3장에서 강조했듯이, 목발 패드와 겨드랑이 사이에 항상 공간을 유지하고 체중은 손과 팔로 지지해야 합니다. 만약 겨드랑이에 통증, 저림, 또는 감각 이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목발 사용 자세를 교정하고, 목발 높이가 제대로 조절되었는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의사나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신경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1. 겨드랑이 패드에 추가적인 쿠션(예: ErgoPAD34, Crutch Pillows35)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올바른 자세와 체중 지지입니다.

손, 손목 통증 및 물집: 목발 손잡이를 계속 잡고 체중을 지지하다 보면 손바닥이나 손목에 통증이 생기거나 물집이 잡힐 수 있습니다.

  • 예방 및 관리: 손잡이 높이가 손목에 맞게 정확히 조절되었는지, 팔꿈치 각도가 적절한지 확인합니다 (제2장 참조). 손잡이에 부드러운 패딩(폼, 젤, 천 테이프 등)을 감싸거나, 패딩 처리된 장갑을 착용하여 압력을 분산시키고 마찰을 줄입니다1. 다양한 종류의 교체용 손잡이 패드(폼, 젤 소재 등)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35. 손목을 과도하게 꺾거나 긴장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틈틈이 손목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12. 피부가 약한 경우, 물집 방지 테이프를 미리 붙이는 것도 방법입니다.

팔꿈치 커프 부위 피부 마찰 및 자극 (팔꿈치 목발 사용 시): 팔꿈치 목발의 커프가 팔뚝에 지속적으로 마찰되면서 피부가 쓸리거나 자극받을 수 있습니다.

  • 예방 및 관리: 커프 위치가 팔꿈치 바로 아래 적절한 곳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제2장 참조). 커프 안쪽에 부드러운 패드(예: 네오프렌 소재 커버36, Elasto-Gel 패드37)를 덧대거나, 헐렁하고 부드러운 소재의 긴소매 옷을 착용하여 직접적인 마찰을 줄입니다. 커프가 너무 조이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기타 부위 통증 (허리, 어깨 등): 목발 사용 시 부자연스러운 자세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허리나 어깨 등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9. 항상 올바른 상체 자세(허리 펴고, 어깨 긴장 풀기)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목발에 너무 의존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올바른 자세 교정 및 관련 근육 강화, 스트레칭 운동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4. 목발 점검 및 관리 (Crutch Inspection and Maintenance)

목발은 안전과 직결되는 보조기구이므로, 사용 전후로 항상 상태를 점검하고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 고무 팁 (Ferrules/Rubber Tips): 목발의 가장 중요한 안전 부품 중 하나입니다. 바닥과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무 팁이 닳거나, 갈라지거나, 찢어지거나, 딱딱해지지 않았는지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16. 마모되거나 손상된 고무 팁은 즉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교체용 팁은 의료기기 판매점이나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일부 고성능 고무 팁은 다양한 지형(진흙, 얼음, 눈)에서도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38.
  • 겨드랑이 패드 및 손잡이 패딩: 패드가 찢어지거나, 쿠션이 납작해지거나,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16. 손상된 패드는 불편감을 유발하고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35.
  • 나사, 볼트, 높이 조절 버튼/핀: 목발의 각 연결 부위 나사나 볼트가 헐거워지지 않았는지, 높이 조절 버튼이나 핀이 제대로 작동하고 단단히 고정되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시 조여줍니다16.
  • 목발 몸체 (프레임): 목발의 몸체에 균열이나 휘어짐 등의 손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17.
  • 청결 유지: 목발 손잡이나 패드, 고무 팁 등은 정기적으로 닦아서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특히 고무 팁 바닥에 낀 흙이나 작은 돌멩이 등 이물질은 제거해야 합니다18.

목발의 안전은 사용자의 주의 깊은 사용 습관, 안전한 환경 조성, 그리고 목발 자체의 양호한 상태 유지라는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충족될 때 확보될 수 있습니다.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소홀히 하면 낙상이나 추가 부상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목발을 사용해야 합니다.

표 3: 상황별 안전 수칙 요약
상황 (Situation) 주요 위험 요소 (Key Risks) 핵심 안전 수칙 (Core Safety Rules) 추가 팁 (Additional Tips)
젖거나 미끄러운 바닥 (Wet/Slippery Surfaces) 낙상, 미끄러짐 매우 작은 보폭으로 천천히 이동, 목발 고무 팁 상태 확인, 가능하면 피하기 외부에서 들어온 후 목발 팁 물기 제거32. 고성능 미끄럼 방지 팁 고려38.
어두운 곳/야간 이동 (Dark Areas/Night Movement) 장애물 인지 불가, 낙상 밝은 조명 확보, 야간등 설치, 익숙한 경로로만 이동 손전등 휴대 또는 헤드램프 사용 고려.
계단 (Stairs) 낙상, 균형 잃음 “””올건내아”” 원칙 준수, 난간 사용, 한 번에 한 계단씩, 천천히, 보조자 도움 받기, 자신 없으면 앉아서 이동 또는 엘리베이터 사용” 계단 가장자리에 너무 가깝게 서지 않기, 목발 팁이 계단에 완전히 놓이는지 확인39.
고르지 않은 지면/경사로 (Uneven Ground/Ramps) 발목 삠, 낙상, 균형 잃음 작은 보폭, 천천히, 목발 안정적 지지 확인, 시선은 진행 방향, 경사로에서는 몸의 중심 조절 지면 상태 미리 파악, 너무 위험하면 우회하거나 도움 요청.
문 통과 (Navigating Doors) 문에 부딪힘, 균형 잃음, 손가락 끼임 문 종류(미는/당기는)에 따라 전략 사용, 목발로 문 고정, 천천히 통과 자동문 주의, 회전문 사용 자제23.
좁은 공간 (Narrow Spaces) 목발 걸림, 몸 부딪힘, 낙상 통로 확보, 목발 몸에 가깝게, 작은 보폭, 천천히, 필요시 옆으로 이동 주변 물건 정리, 가구 재배치 고려30.
정보 출처 예시 3 1 39

제7장: 목발 사용자를 위한 추가 정보 –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목발 사용은 단순히 걷는 방법을 익히는 것 외에도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적응을 필요로 합니다. 물건을 안전하게 운반하거나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요령, 목발 사용 기간과 점진적인 중단 방법,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물리치료사의 역할과 목발 사용이 어려울 경우의 대안까지 알아두면 회복 과정을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7.1. 물건 운반 및 바닥의 물건 줍기 (Carrying Items and Picking Up Objects from the Floor)

목발을 사용하면 양손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것이 큰 어려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건 운반 요령:

  • 가방 활용: 가장 좋은 방법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낭(백팩), 허리에 차는 가방(패니팩/웨이스트 파우치), 또는 어깨에 걸치는 크로스백 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1.
  • 주머니 및 목걸이 활용: 가볍고 작은 물건은 옷 주머니에 넣거나, 수건이나 가벼운 옷가지처럼 목에 걸 수 있는 물건은 목에 걸어 옮길 수도 있습니다40.
  • 한 번에 조금씩: 한 번에 너무 많은 물건이나 무거운 물건을 옮기려고 하지 말고, 여러 번에 나누어 옮기거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음료 및 음식: 음료는 뚜껑이 있는 밀폐 용기(텀블러, 트래블 머그 등)에 담아 가방에 넣어 운반하고, 음식은 플라스틱 용기 등에 담아 옮기는 것이 좋습니다40.
  • 주의사항: 한 손으로 목발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물건을 드는 것은 균형을 잃을 위험이 크므로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41. 부득이한 경우, 매우 가벼운 물건에 한해 잠시 한쪽 목발에 의지하고 빠르게 옮기는 것을 시도해 볼 수 있으나,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 사용자는 세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으로 가벼운 물건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목발 손잡이를 지지하는 방법을 연습하기도 합니다40.

바닥의 물건 줍기:

  • 도움 요청: 가장 안전한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는 것입니다.
  • 집게(Reacher/Grabber Tool) 사용: 손이 닿지 않는 곳의 물건을 집거나 허리를 숙이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도구인 집게는 목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집게를 사용하면 허리를 굽히거나 균형을 잃을 위험 없이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안전하게 주울 수 있습니다23. 일부 집게는 목발이나 보행기에 부착할 수 있는 클립이 함께 제공되기도 합니다42.
  • 안전하게 몸 낮추기 (주의 필요): 부득이하게 직접 주워야 할 경우, 주변에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는 가구(튼튼한 의자, 벽 등)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한 손으로 목발을 단단히 잡고 가구에 기대면서, 건강한 다리와 자유로운 손을 이용하여 천천히 몸을 낮춥니다. 이때 부상당한 다리는 체중 부하 지시에 따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합니다. 물건을 집은 후에는 마찬가지로 주변 지지물을 이용하여 천천히 일어섭니다. 이 방법은 균형을 잃을 위험이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하며, 충분한 연습과 안전 확보 후에 시도해야 합니다43.
  • 골퍼스 리프트 (Golfer’s Lift) 응용: 매우 가벼운 물건(예: 종이 한 장, 열쇠)을 주울 때는 한쪽 다리(건강한 다리)로 지탱하고 허리가 아닌 고관절을 접으면서 몸을 숙여 줍는 골퍼스 리프트 자세를 응용할 수 있습니다44. 이때 한 손은 목발이나 주변 지지물로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7.2. 목발 사용 기간 및 점진적 사용 중단 (Duration of Crutch Use and Gradual Weaning)

목발 사용 기간: 목발을 얼마나 오래 사용해야 하는지는 부상의 종류와 심각도, 수술 방법, 개인의 회복 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반드시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16. 스스로 판단하여 너무 일찍 목발 사용을 중단하면 재손상이나 회복 지연의 위험이 있으므로, 의료진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 일반적으로 발목 골절 등의 경우 2주에서 6주 이상 목발을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45.

점진적 사용 중단 (Weaning Off Crutches): 회복이 진행됨에 따라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는 체중 부하 단계를 점진적으로 늘리도록 지시하며, 이에 맞춰 목발 의존도를 서서히 줄여나가게 됩니다46. 일반적으로 양쪽 목발 사용에서 한쪽 목발 사용으로 전환하고, 그 후 목발 없이 걷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한쪽 목발을 사용할 때는 부상당한 다리의 반대편 손으로 잡습니다46. 체중 부하를 늘리거나 목발 개수를 줄이는 과정에서 통증이나 불편감이 심해지면, 무리하지 말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 안정을 취한 후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이때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46. 목발 없이 독립적으로 보행하기 위해서는 부상당한 다리의 근력, 관절 가동 범위, 균형 감각 등이 충분히 회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재활 운동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47.

7.3. 물리치료사의 역할과 중요성 (The Role and Importance of a Physiotherapist)

목발 사용과 관련된 재활 과정에서 물리치료사는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전문적인 지도 및 교육: 물리치료사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가장 적합한 목발을 선택하고, 신체에 맞게 정확히 조절하는 방법을 교육합니다1. 또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행법(평지, 계단, 경사로 등)을 교육하고, 일상생활 동작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 재활 운동 처방 및 진행: 부상 부위의 기능 회복을 위한 맞춤형 재활 운동(근력 강화, 관절 가동 범위 회복, 균형 훈련 등)을 처방하고 지도하여, 환자가 최대한 빠르고 안전하게 기능적 독립을 회복하도록 돕습니다2.
  • 통증 관리 및 합병증 예방: 목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이나 불편감을 관리하고,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합병증(예: 목발 마비, 관절 구축)을 예방하기 위한 조언과 치료를 제공합니다.
  • 진행 상황 평가 및 조언: 환자의 회복 과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맞춰 목발 사용 방법이나 재활 계획을 조절하며, 목발 사용 중단 시점 등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목발 사용 중 궁금한 점이나 어려움이 발생하면 주저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올바른 지도를 받는 것이 성공적인 재활의 지름길입니다2.

7.4. 목발 사용이 어려운 경우: 대체 보조기 (When Crutches Are Difficult: Alternative Aids)

모든 환자가 목발을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목발 사용이 부적합하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7: 상체 근력이 매우 약한 경우, 심각한 균형 장애가 있는 경우, 양쪽 다리에 모두 심한 부상이 있는 경우, 인지 기능 저하로 목발 사용법을 이해하고 따르기 어려운 경우, 고령으로 인해 목발 사용에 필요한 전반적인 신체 기능이 저하된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대체 보행 보조기를 고려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가장 적합한 보조기를 선택해야 합니다7:

  • 보행기 (Walker): 목발보다 지지 기반이 넓어 안정성이 높으며, 상체 근력이 약한 경우에도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퀴 유무, 팔 지지대 형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48.
  • 무릎 스쿠터 (Knee Scooter / Knee Walker): 한쪽 다리에 체중 부하가 불가능할 때 유용하며, 목발과 달리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릎을 스쿠터 패드에 올려놓고 건강한 다리로 밀면서 이동합니다49.
  • 휠체어 (Wheelchair): 장거리 이동이 필요하거나, 서 있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경우, 또는 상지 기능에도 제한이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수동 휠체어와 전동 휠체어가 있습니다50.
  • 지팡이 (Cane): 목발보다는 지지력이 약하지만, 균형 유지에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회복 후반기에 목발에서 벗어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51.

각 보행 보조기는 고유의 장단점과 적응증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와 추천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52.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 지침서의 정보는 일반적인 참고자료이며, 개인의 의학적 상태를 진단하거나 치료 계획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 목발 사용 중 심한 통증, 팔다리 저림, 감각 이상 등 예기치 않은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십시오.
  • 특히 낙상 경험이 있거나 균형 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위험한 활동(예: 미끄러운 바닥 보행, 가파른 계단 이용)을 시도하지 마십시오.
  • 본인의 상태에 맞지 않는 무리한 목발 사용은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추가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상 전문가의 지시에 따르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목발 사용 시 가장 흔한 실수는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A: 목발 사용 시 가장 흔한 실수로는 겨드랑이로 체중을 직접 지지하는 것, 목발 높이를 잘못 조절하는 것, 미끄럽거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 그리고 주변 환경의 위험 요소를 간과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실수는 통증, 신경 손상, 낙상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에게 정확한 목발 조절 방법과 사용법을 교육받고,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에 손가락 2~3개 정도의 공간을 항상 유지하며 체중은 손과 팔로 지지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1. 또한, 바닥이 미끄럽지 않고 발에 잘 맞는 편안한 신발을 착용하고3, 집안의 작은 러그나 전선 등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장애물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목발 때문에 겨드랑이나 손목이 너무 아픈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겨드랑이 통증이나 저림은 대부분 체중을 겨드랑이에 직접 싣기 때문에 발생하는 신경 압박 증상일 수 있습니다7. 즉시 목발 사용 자세를 점검하여 손과 팔로 체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목발 패드와 겨드랑이 사이에 적절한 공간(손가락 2-3개)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3. 손목 통증은 손잡이 높이가 맞지 않거나, 손잡이를 너무 꽉 쥐거나, 손목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잡이 높이를 손목 주름 높이에 맞추고 팔꿈치가 15-30도 정도 구부러지도록 조절하십시오1. 손잡이에 부드러운 패딩을 추가하거나 패딩 처리된 장갑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5. 통증이나 저림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반드시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신경 손상 여부 등을 확인한 후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Q3: 계단 오르내리기가 너무 무섭고 어려운데, 안전한 요령이 있나요?

A: 계단은 목발 사용자에게 가장 어려운 구간 중 하나이므로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올라갈 때는 건강한 다리 먼저, 내려갈 때는 아픈 다리(또는 목발) 먼저”입니다1. 가능하면 항상 난간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목발을 사용하거나 양쪽 목발을 모아 잡습니다. 한 번에 한 계단씩 천천히 이동하고, 각 계단에서 완전히 균형을 잡은 후에 다음 동작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반드시 보조자의 도움을 받거나, 계단 이용이 너무 불안정하다고 느껴지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앉아서 한 칸씩 엉덩이로 이동하는 것이 더 안전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1.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게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Q4: 목발은 언제까지 사용해야 하고, 언제쯤 한쪽 목발만 사용하거나 목발 없이 걸을 수 있나요?

A: 목발 사용 기간과 목발 의존도를 줄이는 시기는 개인의 부상 종류, 심각도, 수술 방법, 나이, 전반적인 건강 상태 및 회복 속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결정은 반드시 담당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16. 일반적으로 회복이 진행됨에 따라 완전 비체중 부하에서 부분 체중 부하, 완전 체중 부하 순으로 점진적으로 체중 지지를 늘려가게 됩니다46. 의사의 허락 하에 양쪽 목발에서 한쪽 목발(부상당한 다리의 반대편 손으로 사용)로 전환하고, 그 후 목발 없이 걷는 연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자가 판단으로 너무 일찍 목발 사용을 중단하면 부상 부위가 다시 악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1,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를 따르고 정기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5: 목발을 짚고 물건을 옮기거나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것이 너무 불편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A: 목발 사용 시 양손이 자유롭지 않아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따릅니다. 물건을 운반할 때는 배낭, 크로스백, 허리 가방 등을 사용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1. 가벼운 물건은 옷 주머니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주울 때는 가능한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직접 주워야 한다면, 손이 길게 늘어나는 ‘집게(reacher/grabber tool)’를 사용하는 것이 허리를 숙이거나 균형을 잃을 위험 없이 물건을 집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23. 부득이하게 몸을 낮춰야 할 경우에는 주변에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는 의자나 벽을 이용하고, 한 손으로는 지지물을 잡고 다른 한 손과 건강한 다리에 체중을 실어 매우 천천히 움직여야 합니다. 이 방법은 낙상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와 연습이 필요합니다43.

결론: 안전하고 효과적인 목발 사용으로 건강한 일상 복귀를!

지금까지 목발의 종류와 선택부터 정확한 조절 방법, 올바른 자세 및 체중 지지, 다양한 상황에서의 보행 기술, 그리고 안전 수칙 및 추가 정보에 이르기까지 목발 사용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지침서에서 다룬 핵심 원칙들을 다시 한번 요약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목발 사용을 위한 마음가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핵심 원칙 재확인:

  • 정확한 조절: 목발은 자신의 신체에 맞게 정확히 조절되어야 합니다12.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의 적절한 공간 확보, 손잡이 높이, 팔꿈치 각도 등은 안전과 편안함의 기본입니다.
  • 올바른 체중 지지: 체중은 반드시 목발 손잡이를 통해 손과 팔로 지지해야 하며, 겨드랑이로 지지하는 것은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절대 금물입니다7.
  • 상황별 기술 숙달: 평지 보행뿐만 아니라 의자 사용, 계단 오르내리기, 문 통과 등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 맞는 기술을 충분히 연습하고 숙달해야 합니다.
  • 안전 수칙 생활화: 미끄럼 방지 신발 착용, 주변 환경 정비, 목발 상태 정기 점검 등 안전 수칙을 항상 염두에 두고 생활화하는 것이 낙상 및 추가 부상 예방의 핵심입니다.

목발 사용은 처음에는 어색하고 힘들 수 있지만, 꾸준한 연습과 올바른 방법 숙지를 통해 점차 익숙해지고 자신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회복 과정에서 목발은 여러분의 든든한 지원군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당부:

목발 사용 중 통증이 심해지거나, 팔이나 손에 저림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그 외 어떤 문제라도 발생하면 주저하지 말고 즉시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십시오. 전문가의 도움은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고 안전한 회복을 이끄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2. 회복은 개인마다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조급해하지 말고, 자신의 몸 상태에 귀 기울이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꾸준히 재활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올바른 목발 사용법을 익히고 실천한다면, 부상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회복하여 건강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지침서가 여러분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목발 사용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Cleveland Clinic. How To Use Crutches Correctly [인터넷]. Cleveland (OH): Cleveland Clinic; 2022년 5월 20일 최종 업데이트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treatments/15543-how-to-use-crutches.
  2. Williams and Locke Physiotherapists Inc. How to Use Crutches | A Guide to Recovery With Crutches [인터넷]. Johannesburg (ZA): Williams and Locke Physiotherapists Inc.;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illiamslockephysio.co.za/how-to-use-crutches/.
  3. MyHealth Alberta. Physiotherapy: How to use crutches [인터넷]. Edmonton (CA-AB): Alberta Health Services; 2023년 7월 1일 최종 업데이트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health.alberta.ca/Health/Pages/conditions.aspx?hwid=custom.ab_physio_crutches_inst.
  4. Access Rehabilitation Equipment. Top tips on Crutches Everyone Should Know [인터넷]. Scoresby (AU): Access Rehabilitation Equipment; 2018년 7월 19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ccessrehabequip.com.au/blog/57-top-tips-on-crutches-everyone-should-know.
  5. 조인트러브정형외과. 목발보행법 및 올바른 사용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5년 2월 28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jointluv/223733678367.
  6. MedCart. The Different Types of Crutches and How to Use Them [인터넷]. Sydney (AU): MedCart;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dcart.com.au/blog/the-different-types-of-crutches-and-how-to-use-them/.
  7. MD Searchlight. Crutches [인터넷]. MD Searchlight;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dsearchlight.com/rehabilitation/crutches/.
  8. Performance Health. How To Choose & Use Crutches [인터넷]. Warrenville (IL): Performance Health;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erformancehealth.com/articles/how-to-choose-fit–use-the-best-crutches-for-you.
  9. WalkEasy.com. Forearm crutches vs. underarm crutches: we have a verdict! [인터넷]. Delray Beach (FL): WalkEasy.com; 2017년 8월 16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alkeasy.com/blog/walkeasy/forearm-vs-underarm-crutches.
  10. Physiopedia. Crutches [인터넷]. Physiopedia; 2024년 5월 12일 최종 수정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hysio-pedia.com/Crutches?lang=en.
  11. 서강테크. 기존 목발의 문제를 해결하는 핸즈프리 목발의 혁신적인 설계 [인터넷]. 서강테크;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ogangtech.com/contents/transfers/65.
  12. 튼튼에스병원. 올바른 목발 사용법, 계단 오르내리기 알려드려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9월 1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teunsw/222872063365.
  13. Twin Cities Orthopedics. Crutches 101: Everything You Need to Know [인터넷]. Golden Valley (MN): Twin Cities Orthopedics; 2017년 1월 2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comn.com/crutches-101-everything-you-need-to-know/.
  14. 척척척추·관절병원. 목발 사용법, 준비자세부터 보행법까지 알기 쉬운 목발 사용 가이드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9년 8월 30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ukspinehp/221636228044.
  15. Harborview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Washington. Crutch Walking (Korean) [인터넷].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Medical Center; 2019년 10월;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online.s.uw.edu/sites/default/files/record_pdfs/Crutch-Walking-KO.pdf.
  16. Safer Care Victoria. Using crutches [인터넷]. Melbourne (AU): Victorian Agency for Health Information; 2019년 6월;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afercare.vic.gov.au/sites/default/files/2019-06/Using%20crutches.pdf.
  17. NHS Lanarkshire. Walking Aids – Elbow Crutches [인터넷]. Hamilton (GB-SCT): NHS Lanarkshire; 2024년 1월 23일 최종 업데이트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hslanarkshire.scot.nhs.uk/services/physiotherapy-msk/walking-aids-elbow-crutches/.
  18.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Axillary (Underarm) Crutches [인터넷]. Victoria (CA-BC): Government of British Columbia; (날짜 정보 없음, forearm_crutches.pdf 파일 참조);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ov.bc.ca/assets/gov/people/seniors/health-safety/pdf/forearm_crutches.pdf. (주: 해당 URL은 팔꿈치 목발 문서이나, 원본 목록에서 겨드랑이 목발에 해당하는 번호로 참조되었을 수 있어 확인 필요. 본 목록에서는 겨드랑이 목발 조절 파트에서 인용됨.)
  19. PhysioMotion. How to set up your crutches correctly [인터넷]. London (GB): PhysioMotion Ltd; 2016년 12월 9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hysiomotion.co.uk/resources/how-to-set-up-your-crutches-correctly/.
  20. 닥터나우. 목발 사용으로 엄지손가락과 겨드랑이 통증, 치료 방법은? [인터넷]. 닥터나우 Q&A; (날짜 정보 없음, 콘텐츠 ID 576b4ecff52a4f43bf403eb4611f2e20);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576b4ecff52a4f43bf403eb4611f2e20.
  21. 하우헬스. 운동치료, 목발(Crutch) 사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0년 6월 2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owhealth/90091342620?viewType=pc.
  22. Mayo Clinic. Tips for choosing and using canes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24년 2월 24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healthy-aging/in-depth/canes/art-20548206.
  23. Saint Luke’s Health System. Using Crutches: Sitting, Standing, Through Doors [인터넷]. Kansas City (MO): Saint Luke’s Health System;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aintlukeskc.org/health-library/using-crutches-sitting-standing-through-doors.
  24. RegisteredNurseRN. Using Crutches NWB: Sitting and standing [비디오]. YouTube; 2016년 5월 10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0KLNUpUBZog. (주: 원본 URL이 googleusercontent로 제공됨)
  25.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AAOS). How To Use Crutches, Canes, and Walkers [인터넷]. Rosemont (IL): AAOS; 2020년 6월 검토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rthoinfo.aaos.org/en/recovery/how-to-use-crutches-canes-and-walkers/.
  26.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Forearm Crutches (Elbow Crutches) [인터넷]. Victoria (CA-BC): Government of British Columbia; 2018년 1월 (추정);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2.gov.bc.ca/assets/gov/people/seniors/health-safety/pdf/forearm_crutches.pdf.
  27.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Crutch Walking [인터넷]. Columbus (OH):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conditions/health-library/crutch-walking.
  28. Ketels M, et al. A Survey of Ramp and Stair Use by Older Adults [인터넷]. ShareOK (University of Oklahoma Libraries); 2007년 5월;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hareok.org/bitstreams/e14373d7-d868-41cd-afbd-3434836852ae/download. (주: 원본 파일명 ‘download’)
  29. Peninsula Health. Using crutches – how to get in and out of a door [비디오]. YouTube; 2014년 1월 20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outube.com/watch?v=ydYZIc3Nx6k. (주: 원본 URL이 googleusercontent로 제공됨)
  30. Chicago Private Nursing. Guide to Using Walkers & Crutches Safely [인터넷]. Chicago (IL): Chicago Private Nursing; 2025년 4월 2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hicagoprivatenursing.com/2025/04/25/safe-mobility-after-surgery-a-guide-to-using-walkers-and-crutches-at-home/.
  31. Healthline. How to Use Crutches: On Flat Ground, Stairs, and More [인터넷]. San Francisco (CA): Healthline Media; 2019년 10월 29일 최종 업데이트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how-to-use-crutches.
  32. MedlinePlus. Crutches and children – proper fit and safety tips [인터넷]. Bethesda (MD):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2년 9월 20일 최종 업데이트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640.htm.
  33. Merck Manual Professional Version. How To Fit and Walk With Underarm Crutches [인터넷]. Rahway (NJ): Merck & Co., Inc.; 2022년 7월 최종 수정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injuries-poisoning/how-to-do-casting-procedures/how-to-fit-and-walk-with-underarm-crutches.
  34. Ergoactives. Ergopad (Universal for Underarm Crutches) [인터넷]. Miami (FL): Ergoactives;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rgoactives.com/products/ergopad-soft-ergonomic-double-layer-foam-pad-with-lateral-cushioned-support-universal-for-underarm-crutches.
  35. Vitality Medical. Crutch Pads & Cushions | Armpit – Hand Grips [인터넷]. Salt Lake City (UT): Vitality Medical;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talitymedical.com/crutch-pads-cushions.html.
  36. Ubuy Martinique. Forearm Crutches Pads(x4 Units), Elastic Crutches Martinique [인터넷].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buy.mq/en/product/JMBYG0GLM-antdvao-forearm-crutches-pads-elastic-crutches-padding-for-the-elbow-for-open-cuff-crutches-shock-resistant-increases-walking-comfort-forearm.
  37. Elastogel Therapy Products. Elasto-Gel Crutch-Mate II Forearm Crutch Pads [인터넷]. Salina (KS): Southwest Technologies, Inc.;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lastogels.com/product/elasto-gel-crutch-mate-ii-forearm-crutch-pads/.
  38. Cool Crutches. High Performance Reinforced Ferrules [인터넷]. London (GB): Cool Crutches;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olcrutches.com/products/high-performance-reinforced-ferrules.
  39. Washington University Orthopedics. Crutch Training | Instructions on How to Use Crutches [인터넷]. St. Louis (MO): Washington University Physicians;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ortho.wustl.edu/content/Education/3628/Patient-Education/Educational-Materials/How-to-Fit-and-Use-Crutches.aspx.
  40. Life Beyond 4 Limbs. Ten Ways to Carry Things When Using Crutches to Walk [인터넷].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lifebeyond4limbs.com/ten-ways-to-carry-things-when-using-crutches-to-walk/.
  41. Reddit r/mobilityaids. how can i hold things with forearm crutches? [인터넷]. Reddit; 2024년 (추정, 원본 게시물 1년 전);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ddit.com/r/mobilityaids/comments/1gnb9vz/how_can_i_hold_things_with_forearm_crutches/.
  42. Minerva Health & Care. Ultimate Guide to the Helping Hand Classic Pro Reacher Grabber 35” [인터넷]. Cardiff (GB): Minerva Health & Care; 2023년 11월 14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inervahealthinc.com/blogs/blog/ultimate-guide-to-the-helping-hand-classic-pro-reacher-grabber-35.
  43. Therapy Tasha. How to get up and down from the floor with crutches [비디오]. YouTube; 2020년 12월 30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PT2_ZhnW_cI. (주: 원본 URL이 googleusercontent로 제공됨)
  44. 정형외과 의학블로그. 앞으로 숙일 때 허리통증, 허리가 아파도 안전하게 바닥에서 물건 줍는 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10월 13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nghghh/223232504908?viewType=pc.
  45. 닥터나우. 발목 골절 후 걷기 시도, 목발 사용은 얼마나 해야하나요? 재활치료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인터넷]. 닥터나우 Q&A; (날짜 정보 없음, 콘텐츠 ID e064462aa4964e2fa57c01ff617e38ed);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e064462aa4964e2fa57c01ff617e38ed.
  46. PatientPop. [Crutch Weaning Information, 문서 ID 323835] [인터넷]. PatientPop;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a1s3.patientpop.com/assets/docs/323835.pdf. (주: 원본 파일명 323835.pdf. 구체적인 문서명 및 발행처 정보는 PDF 내부 확인 필요.)
  47. 김지범 정형외과 전문의. 발과 발목 수술 전 알아야 할 사항 6. 목발떼고 걸으라구요? 어떻게 걸어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6월 1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jibeom81/222773650947.
  48. Home HHM eWF. The Ultimate Guide to Walking Aids: Canes, Walkers, and More [인터넷].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hmewf.com/blog/the-ultimate-guide-to-walking-aids/.
  49. Bayshore Medical Supply. The Complete Guide to Knee walkers and Knee Scooters [인터넷]. Pasadena (TX): Bayshore Medical Supply; 2019년 11월 25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ayshoremedicalsupply.net/the-complete-guide-to-knee-walkers-and-knee-scooters/.
  50. Jetstar Airways. 여행 시 보조 장치 휴대 [인터넷]. Jetstar Airways Pty Ltd;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etstar.com/kr/ko/help/articles/travelling-with-assistive-devices.
  51. Reid Health. How and when to use crutches, canes, or walkers [인터넷]. Richmond (IN): Reid Health; 2019년 10월 21일 게시됨;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idhealth.org/blog/when-and-how-to-use-crutches-canes-or-walkers.
  52. Mobility Shop. Forearm Platform Trough Crutches Instruction Manual [인터넷]. Willersey (GB): Mobility Shop; 2023년 1월 (추정); 2025년 5월 21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bilityshop.co.uk/wp/wp-content/uploads/2023/01/Forearm-Platform-Trough-Crutches-User-Manual.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