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야간 호흡곤란: 수면무호흡증, 심부전, 천식의 숨겨진 증상. 전문의가 알려주는 원인과 해결책

밤마다 숨이 답답하고 막히는 느낌은 단순한 피로나 스트레스 때문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몸, 특히 심장이나 폐가 보내는 중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으며,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부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또는 조절되지 않는 천식의 숨겨진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단순한 증상 나열을 넘어, 각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깊이 파고들어, 국내외 최고 권위의 의료 기관들이 제시하는 최신 진단 기준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치료 전략을 종합적으로 제시합니다. 독자 여러분이 겪는 밤의 공포를 이해하고,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건강하고 평온한 밤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KRHOW 편집위원회의 목표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대한심부전학회(KSHF) & 대한수면학회: 이 기사의 심부전 및 수면무호흡증 진단과 치료에 관한 권장 사항은 대한심부전학회와 대한수면학회가 발표한 공식 진료지침에 근거합니다.
  • 세계천식기구(GINA)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KAAACI): 야간 천식 증상 및 관리 전략은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GINA와 국내 KAAACI의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 질병관리청(KDCA) &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국내 유병률 통계 및 건강보험 적용 기준 등 공신력 있는 데이터는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공식 발표 자료를 인용하였습니다.

핵심 요약

  • 밤마다 숨이 답답한 것은 단순 피로가 아닌, 심부전, 수면무호흡증, 천식 등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원인에 따라 증상에 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심부전은 누웠을 때 숨이 찬 증상(기좌호흡)이, 수면무호흡증은 코골이와 무호흡 관찰이, 천식은 밤에 심해지는 기침과 쌕쌕거림이 특징입니다.
  • 이 글은 각 질환의 특징, 진단 방법, 그리고 대한심부전학회, 대한수면학회, 세계천식기구(GINA) 등 국내외 최고 권위 기관의 최신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치료법을 총정리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수면다원검사는 2018년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진단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1부: 심장에서의 메아리: “혹시 나도?” 밤마다 숨 막히는 공포, 당신 혼자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깊은 밤, 모두가 잠든 고요 속에서 갑자기 숨이 막혀 잠에서 깨어난 경험이 있으신가요? 심장은 미친 듯이 뛰고, 공기를 빨아들이려 애쓰지만 가슴은 답답하기만 합니다. 이런 끔찍한 경험은 단순한 악몽이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밤마다 겪는 현실적인 공포이며, 때로는 곁에서 잠든 배우자의 숨소리가 불규칙하거나 갑자기 멈추는 것을 들으며 밤새 불안에 떨게 만들기도 합니다.16 다음 날 아침, 몸은 천근만근 무겁고, 머리는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하며, 하루 종일 이어지는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로 업무는 물론 일상생활마저 위협받습니다.12

만약 이 이야기가 당신의 이야기처럼 들린다면,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의 데이터에 따르면 수면장애와 심혈관 질환으로 고통받는 한국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14 당신이 느끼는 그 두려움과 불편함은 실제적인 건강 문제의 신호이며, 절대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중요한 경고입니다.

2부: 가려진 진실: 왜 베개를 바꾸고, 영양제를 먹어도 소용이 없었을까?

밤의 호흡 곤란을 해결하기 위해 더 높은 베개를 베어보거나, 인터넷에서 좋다는 건강 보조 식품을 섭취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숙면에 도움이 된다는 이완 운동을 따라 해보기도 했을 것입니다.26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노력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합니다. 왜일까요?

문제는 베개나 일시적인 스트레스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야간 호흡 곤란은 우리 몸속 깊은 곳, 즉 심장, 폐, 혹은 기도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증상’입니다. 이는 마치 화재경보기가 울리는 것과 같습니다. 경보기를 끄는 것(단순한 대증요법)이 아니라, 불이 난 곳(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우리가 진짜 싸워야 할 ‘적’은 밤잠을 설치게 하는 불편함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오해와 무지입니다.

3부: 불변의 기본 원칙: 야간 호흡곤란의 3대 주범과 그 외 원인들

야간 호흡곤란은 주로 세 가지 주요 질환 그룹에서 비롯됩니다. 각 질환은 특징적인 증상과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진단의 첫걸음입니다.

3.1. 심장이 보내는 경고: 심부전과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의료 정보원들에 따르면, 심부전 환자들은 특징적으로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 PND)’과 ‘기좌호흡(Orthopnea)’을 경험합니다.27 PND는 잠자리에 든 후 1~2시간 뒤에 갑자기 숨이 차서 잠에서 깨는 증상으로, 환자는 숨을 쉬기 위해 급하게 일어나 앉거나 창문을 열어야 합니다. 기좌호흡은 누우면 숨이 차고 앉으면 편안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대한심부전학회는 2022년 진료지침을 통해, 설명되지 않는 호흡곤란, 특히 누웠을 때 악화되는 증상은 심부전의 핵심적인 임상 징후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1 그 기전은 낮 동안 다리에 고여 있던 체액이 누운 자세에서 폐로 이동하여 폐울혈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2

– 대한심부전학회(KSHF) 2022년 진료지침

3.2. 기도가 막히는 위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목젖 주변의 숨길)가 반복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혀 호흡이 멈추는 질환입니다.10 질병관리청(KDCA)에 따르면, 주요 증상으로는 시끄러운 코골이, 배우자에 의해 목격되는 무호흡, 숨이 막히거나 헐떡이며 잠에서 깨는 것, 아침 두통, 그리고 극심한 주간 졸음 등이 있습니다.3 이는 미국수면의학회(AASM)의 진단 기준과도 일치합니다.4

특히 주목할 점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의 통계에 따르면 2018년 7월부터 수면다원검사에 건강보험이 적용된 이후, OSA 진단 환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입니다.5 이는 과거에는 인지하지 못했거나 비용 부담으로 진단을 망설였던 잠재적 환자가 매우 많았음을 시사합니다.

3.3. 밤에 더 심해지는 기침과 답답함: 야간 천식

천식은 만성적인 기도 염증 질환으로, 특정 자극에 의해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림(천명)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병입니다. 세계천식기구(GINA)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천식 증상은 여러 이유로 밤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6 이는 폐 기능의 일주기 리듬, 수면 중 염증 반응의 증가, 그리고 침실 내의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알레르겐 노출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1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KAAACI) 역시 야간 증상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천식이 잘 관리되고 있지 않다는 신호일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7

3.4. 그 외 가능한 원인들: 위식도 역류질환(GERD)과 불안장애

때로는 다른 원인들이 호흡곤란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미국소화기학회(AGA)의 지침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질환(GERD)이 있는 경우, 밤에 누웠을 때 위산이 식도를 넘어 기도를 자극하여 만성 기침이나 기관지 경련을 일으켜 숨 막히는 느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8 또한, 야간 공황발작은 심장이 빨리 뛰고 숨이 가빠지는 등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여, 마치 질식할 것 같은 극심한 공포를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38 하지만 이러한 원인들은 심장이나 폐 질환과 같은 주요 원인들이 배제된 후에 고려되어야 합니다.

4부: 이상과 현실의 다리: 내 증상은 어디에 해당할까? 정확한 진단을 위한 첫걸음

자신의 증상이 어떤 원인에 가까운지 아는 것은 올바른 진료과를 선택하고 의사와의 상담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1. 증상 자가 점검표: 심부전 vs 수면무호흡증 vs 천식

다음 표는 세 가지 주요 원인의 특징적인 증상을 비교한 것입니다. 자신의 경험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을 확인해 보세요.

증상 심부전 수면무호흡증(OSA) 야간 천식
누우면 숨이 참 (기좌호흡) 매우 흔함 드묾 있을 수 있음
자다가 숨이 차서 깸 (PND) 매우 흔함 있을 수 있음 드묾
심한 코골이 관련 적음 매우 흔함 관련 적음
수면 중 무호흡 관찰됨 드묾 매우 흔함 드묾
아침 두통 및 주간 졸음 있을 수 있음 매우 흔함 관련 적음
밤에 심해지는 기침, 쌕쌕거림 있을 수 있음(심장성 천식) 드묾 매우 흔함

4.2. 어느 과로 가야 할까? 진료과 선택 가이드

많은 환자들이 어느 병원을 찾아가야 할지 막막해합니다.2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료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순환기내과 (심장내과): 누웠을 때 숨이 차고 다리가 붓거나, 기존에 심장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 이비인후과 또는 신경과 (수면 클리닉): 심한 코골이와 무호흡이 주된 증상이고, 비만하거나 주간 졸음이 심한 경우.
  • 호흡기내과: 기침과 쌕쌕거림이 주된 증상이고, 알레르기 비염 등 관련 병력이 있는 경우.

4.3. 의사에게 무엇을 말해야 할까?

진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 정보를 미리 준비해가세요.

  1. 증상은 언제 시작되었나요?
  2. 얼마나 자주 발생하나요? (매일, 일주일에 몇 번 등)
  3. 정확히 어떤 느낌인가요? (가슴이 답답함, 숨을 깊게 못 쉼, 질식감 등)
  4. 숨쉬기 위해 일어나 앉아야만 편안해지나요?
  5. 배우자나 가족이 당신의 코골이나 수면 중 호흡 정지를 들은 적이 있나요?
  6.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약물(영양제 포함) 목록.
  7. 본인과 직계 가족의 관련 병력(심장병, 고혈압, 당뇨, 천식 등).

4.4. 핵심 진단 검사들: 수면다원검사(PSG)와 건강보험 적용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표준 검사(gold standard)’는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입니다.54 이 검사는 하룻밤 동안 병원에서 잠을 자면서 뇌파, 눈 움직임, 근육 긴장도, 심전도, 호흡 양상, 혈중 산소포화도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수면의 질과 호흡 장애 여부를 평가합니다.

“가장 중요한 정보는 2018년 7월부터 수면다원검사가 국민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환자의 본인 부담금이 크게 줄어들면서, 이전보다 훨씬 많은 환자들이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5 이 정보는 치료를 향한 첫걸음을 내딛는 데 있어 매우 실질적이고 중요한 부분입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발표 자료 기반 분석

5부: 포괄적 실행 계획: 원인별 최신 치료 전략

정확한 진단이 내려졌다면, 다음은 각 원인에 맞는 체계적인 치료를 시작할 차례입니다. 모든 치료 전략은 국내외 최고 권위 기관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

진단명이 ‘심부전’인 경우:

대한심부전학회(KSHF) 진료지침에 따라, 치료는 주로 약물 요법과 생활 습관 관리로 이루어집니다.1 폐에 찬 물을 빼주는 이뇨제, 심장의 부담을 덜어주는 베타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I) 등이 핵심적인 약물입니다. 저염식, 규칙적인 체중 측정 등 철저한 생활 습관 관리도 약물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진단명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인 경우:

중등도 이상의 OSA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표준 치료법은 ‘지속적 상기도 양압기(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치료입니다.49 CPAP은 잠자는 동안 마스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장치입니다. 이와 함께 체중 감량은 가장 중요한 생활 습관 개선 중 하나이며, 실제로 체중 감량만으로도 무호흡 지수가 크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20 음주와 수면제는 상기도 근육을 이완시켜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구강 내 장치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한방 치료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

일부 환자분들은 침이나 한약과 같은 한방 치료를 고려하기도 합니다.10 실제로 일부 연구에서는 비염 등 관련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합니다. 하지만 명확히 해야 할 점은, 현재 대한수면학회 및 국제적인 진료지침에서 한방 치료는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일차적인 표준 치료법으로 권고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한방 치료는 핵심적인 문제인 물리적 기도 폐쇄를 해결하기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에 머무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진단명이 ‘천식’인 경우:

치료의 핵심은 기도의 만성 염증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GINA6와 KAAACI7 가이드라인 모두 흡입용 스테로이드(ICS)를 기본 치료제로 권고합니다. 증상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LABA)가 포함된 복합제를 사용하며, 환자 스스로 증상을 관리하고 악화 시 대처할 수 있도록 ‘천식 행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KRHOW가 주목하는 국내 수면의학 전문가

양광익 교수
현 대한수면학회 회장,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신경과11
양광익 교수는 대한민국 수면의학 분야를 이끄는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으로, 수면무호흡증을 포함한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학회장으로서 국내 수면의학의 표준을 정립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12

6부: 권한 부여와 새로운 비전: 위험 신호를 생명의 기회로

밤마다 찾아오는 호흡곤란은 저주가 아니라, 우리 몸이 보내는 소중한 ‘경고 신호’입니다. 이는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하기 전에13 심각한 질병을 미리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더 이상 밤의 공포 속에 홀로 있지 마십시오. 당신의 증상은 실제이며 중요합니다. 이 글의 정보를 바탕으로 오늘 바로 전문의와 상담을 시작하세요. 당신의 건강과 평온한 밤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밤에 숨이 막히는 증상으로 어느 병원에 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누웠을 때 숨이 차고 다리가 붓는다면 순환기내과(심장내과),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이 동반된다면 이비인후과 또는 신경과의 수면 클리닉, 밤에 심해지는 기침과 쌕쌕거림이 주 증상이라면 호흡기내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PSG) 비용이 비싸지 않나요?

아닙니다. 2018년 7월부터 수면다원검사가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5 이로 인해 과거에 비해 환자의 본인 부담금이 약 20%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여, 비용 부담 없이 정확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Q3: 체중 감량만으로도 수면무호흡증이 나을 수 있나요?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비만이 원인인 경우, 체중 감량은 기도 주변의 지방을 줄여 기도 공간을 확보하는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20 연구에 따르면 10%의 체중 감량만으로도 무호흡-저호흡 지수(AHI)를 20-30%가량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등도 이상의 환자에게는 양압기(CPAP)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대한심부전학회. (2022). 2022 심부전 진료지침.
  2. 밤마다 심해지는 호흡곤란 | 건강Q&A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922148
  3. “답답하고 숨이 차요” 호흡곤란의 원인과 증상은? [증상백과]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115
  4. Kapur VK, Auckley DH, Chowdhuri S,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3):479-504. PMID: 28162150.
  5. 국민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수면무호흡증 관련 진료 현황 – Journal of Sleep Medicin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jsm.org/journal/view.php?viewtype=pubreader&number=286
  6.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2023). GINA 2023 Pocket Guid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23/07/GINA-2023-Pocket-Guide-WMS.pdf
  7.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진료지침 가이드라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llergy.or.kr/content/member/guide.php
  8. Yadlapati R, Vaezi MF, Vela MF, et al. AGA Clinical Practice Updat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xtraesophageal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Expert Review. Gastroenterology. 2023;165(1):261-270.
  9.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위한 양압기 처방 및 치료 – Journal of Rhinolog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rhinology.org/upload/pdf/jr-2020-00319.pdf
  10.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의 한방치료 – 충청타임즈.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403990
  11. 순천향대 천안병원 양광익 교수 대한수면학회장 취임 – 뉴시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40108_0002584172
  12.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 syndrome) | 비급여 정보 포털 – 국민건강보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nhis.or.kr/nbinfo/wbhfaa06200m29.do?mode=view&articleNo=11000127&title=%EC%88%98%EB%A9%B4%EB%AC%B4%ED%98%B8%ED%9D%A1%EC%A6%9D%28Sleep+apnea+syndrome%29
  13. [건강톡톡] 자다가 컥! 숨 막히는 수면무호흡증, 증상 및 진단은?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424
  14. 헬스 트렌드 – 국민건강보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his.or.kr/magazin/160/html/style/pdf/sub1.pdf
  15. 국민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수면무호흡증 관련 진료 현황 – Journal of Sleep Medicin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jsm.org/journal/view.php?viewtype=pubreader&number=286
  16. “남편이 자다가 숨을 안 쉬어요”…노화의 이유 이거였어? [건강!톡] – 한국경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061022827
  17. 자다가 숨길 막히는 ‘수면 무호흡증’, 언제 병원 찾아야 하나 [인터뷰]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326
  18.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 건강이야기 | 헬스 – 서울아산병원 뉴스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amc.seoul.kr/news/con/detail.do?cntId=7784
  19. 무시할 수 없는 잠재적 위협 ‘수면무호흡증’ – 헬스경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71410
  20. 밤새 호흡 멈춰 산소 부족 상태… 뇌·심장에 치명적 –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70501992
  21. www.cctimes.k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403990#:~:text=%EC%BD%94%EA%B3%A8%EC%9D%B4%EC%99%80%20%EC%88%98%EB%A9%B4%20%EB%AC%B4%ED%98%B8%ED%9D%A1%EC%A6%9D%EC%9D%98%20%ED%95%9C%EB%B0%A9%20%EC%B9%98%EB%A3%8C%EB%A1%9C%EB%8A%94,%EB%B3%91%ED%96%89%ED%95%B4%EC%95%BC%20%ED%95%A0%20%EC%88%98%EB%8F%84%20%EC%9E%88%EC%8A%B5%EB%8B%88%EB%8B%A4.
  22.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의 한방치료 – 충청타임즈.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403990
  23. 밤의 불청객, 수면 무호흡증 – 산청 동의보감한의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ongbon.com/?kboard_content_redirect=79
  24. “수술 대신 한방요법만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 | 서울신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eoul.co.kr/news/society/health-medical/2014/08/04/20140804500188
  25.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 숨편한세상 한의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oomclinic.com/snoring/sleep_apnea.php
  26. 445. 죽음을 부르는 수면무호흡증&코골이, 무시하지 말고 빨리 해결하세요!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AKT28WvHr5U
  27.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 Sleep Founda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leepfoundation.org/sleep-apnea/paroxysmal-nocturnal-dyspnea
  28.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viveresearch.org/blog/paroxysmal-nocturnal-dyspnea/
  29.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Definition, symptoms, and treatment – Medical News Toda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paroxysmal-nocturnal-dyspnea
  30. Dyspnea, Orthopnea, and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 Clinical Methods – NCBI.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13/
  31. 수면 무호흡증(Sleep apnea)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80
  32. GINA At-A-Glance Asthma Management Referenc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16/01/GINA_AtAGlance_2014.pdf
  33. POCKET GUIDE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16/01/GINA_Pocket_2015.pdf
  34. GINA Pocket Guide 2023.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23/07/GINA-2023-Pocket-Guide-WMS.pdf
  35. GINA Pocket Guide 2020 Front Cover 5.5×8.5.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20/04/Main-pocket-guide_2020_04_03-final-wms.pdf
  36. AGA Clinical Practice Updat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xtraesophageal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Expert Review | Request PDF – ResearchGat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0033735_AGA_Clinical_Practice_Update_on_the_Diagnosis_and_Management_of_Extraesophageal_Gastroesophageal_Reflux_Disease_Expert_Review
  37. GERD-related chronic cough: Possible mechanism, diagnosis and treatment – Frontier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hysiology/articles/10.3389/fphys.2022.1005404/full
  38. 숨이차고 가슴이 답답한 이유는 이 4가지에 해당합니다 – 불안장애 3편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Y4FmVE9Mv78&pp=ygUQI-uNlOybjOuLteuLte2VtA%3D%3D
  39. 폐에 문제 없는데…호흡곤란 잦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122001437
  40. 수면클리닉에 방문하는 한국인 환자들의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위험요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jkna.org/upload/pdf/jkna-37-4-352.pdf
  41. 최근 6년새 수면무호흡증 환자 194%↑…진료비 6배 증가 – 청년의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4223
  42.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 경북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nuh.kr/content/04information/06_02.asp?sh_d_buseo=&sh_d_body_self=&sh_d_disease=&p_keyword=&sh_name_sort1=%E3%85%8B&sh_name_sort2=%E3%85%8C&sh_d_num=149
  43. 수면장애 절반 이상은 ‘여성’…10·30대만 남성이 더 많아 – 의협신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104
  44. 5년 내 사망률 50% 심부전, 중증도 줄이기 위해 조기 치료 중요 – 후생신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whosaeng.com/151611
  45. 심장내과 암보다 더 치명! 심부전 증상과 예방법 – 검단탑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tophospital.co.kr/m/health_info/column.html?bmain=view&uid=22
  46. 5년 새 심장질환진료비 38.5% 증가…환자는 20.8% 늘어 – 청년의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1009
  47.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 ‘심장질환’ ① 심부전 – 정책브리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96724
  48. 『심장기능상실(심부전)』80세 이상 환자 전체 평균보다 14배 많아 – 보건복지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200&bid=0027&act=view&list_no=305192&tag=&nPage=812
  49. 조기치료 기회 놓치면 치명적…심부전, 10대부터 관리 필수 – 헬스경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71451
  50. 대한수면의학회/대한수면호흡학회 진료지침.
  51. 가이드라인에 따른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수술적 치료 상담 1000 성균관의대 삼성창원병원 최우리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l.or.kr/webzine/126/sub1.html
  52. 수면호흡장애(총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cohns.org/download/download_pdf?pid=jcohns-16-2-187
  53.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 KoreaMed Synaps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RGF0YS9QREZEYXRhLzExMTlqa21hL2prbWEtNDctNjc5LnBkZg==&filename=amttYS00Ny02NzkucGRm
  54. 수면무호흡증의 임상적 진단검사방법과 수면다원검사의 최신급여기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jkma.org/journal/view.php?number=3136&viewtype=pubreader
  55.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jcsm.aasm.org/doi/10.5664/jcsm.6506
  56. Standards & Guidelines (New) –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 Association for Sleep Clinicians and Researcher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asm.org/standards-guidelines/
  57.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Management and Long-term Care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699173/
  58.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 APT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pta.org/patient-care/evidence-based-practice-resources/cpgs/clinical-practice-guideline-for-diagnostic-testing-for-adult-obstructive-sleep-apnea-an-american-academy-of-sleep-medicine-clinical-practice-guideline
  59.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8162150/
  60. 대한수면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leepmed.or.kr/content/about/greeting.html
  61. 순천향대 천안병원 양광익 교수 대한수면학회장 취임 – 뉴시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40108_0002584172
  62. 임원진 – 대한수면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leepmed.or.kr/content/about/executive.html
  63.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의료진 양광익 교수 프로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chmc.ac.kr/cheonan/doctr/home.do?key=2945&doctrNo=905
  64. 순천향대천안병원 양광익 교수, 대한수면학회 회장 취임 – 후생신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whosaeng.com/149383
  65. 수면 클리닉 – 삼성서울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REHNS&MENU_ID=001030028
  66. sleepbridge 연구책임자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주은연 more – 대한수면연구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leepnet.or.kr/research/view?idx=31&page=&search_keyword=
  67. 삼성서울병원 주은연 교수 신간 ‘매일 숙면’ 펴내 – 후생신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whosaeng.com/151554
  68. [명의가 사는 법] 매일 숙면하는 법 알려 주는 명의 삼성서울병원 주은연 교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ikunk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0087
  69. 신경과 주은연 교수 – 의료진프로필 – 삼성서울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amsunghospital.com/m/smc/reservation/common/doctorProfile.do?DR_NO=343
  70. 나이 들수록 점점 더 못자는 이유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주은연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Ys4dW1fUHDQ
  71. 호흡기내과 – 진료과 |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m/reservation/meddept/IMR/mainDoctor.do
  72. 이진우 교수 –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m/blog/01081/philosophy.do
  73. 학력/경력 | 이진우 교수 블로그 –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blog/01081/career.do?hsp_cd=
  74. 심부전과 표준치료 약물에 대한 이해 – 약학정보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ommon.health.kr/shared/healthkr/pharmreview/Pharmacotherapy%20Today_%20%EC%8B%AC%EB%B6%80%EC%A0%84%EA%B3%BC%20%ED%91%9C%EC%A4%80%EC%B9%98%EB%A3%8C%20%EC%95%BD%EB%AC%BC%EC%97%90%20%EB%8C%80%ED%95%9C%20%EC%9D%B4%ED%95%B4_%EC%B5%9C%EC%A2%85%EB%B3%B8(0).pdf
  75. 대한심부전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shf.or.kr/news/news_01.php?boardid=ksnotice&mode=view&idx=75&sk=&sw=&offset=&category=
  76. 만성 심부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jim.org/func/download.php?filename=66eM7ISx7Ius67aA7KCE7KeE66OM7KeA7LmoKOuMgO2VnOyLrOu2gOyghO2Vme2ajCkucGRm&path=L2hvbWUvdmlydHVhbC9rYWltL2h0ZG9jcy91cGxvYWQvZ3VpZGVsaW5lLzE1ODc2NDE4NzMucGRm
  77. 심부전 진료지침.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hfs.or.kr/uploaded/board/kspatientdata/_c2fc1eacbe3440d3e11d18be6b6e8fd20.pdf
  78. 연세의대 강석민 교수 대한심부전학회 회장 취임 – 후생신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whosaeng.com/134810
  79. 진료지침 가이드라인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llergy.or.kr/content/member/guide.php
  80. 천식 치료의 실제 – 한국 천식 진료지침 2015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kjm.org/upload/kjm-90-4-298.pdf
  81. 한국 성인 천식의 진료지침.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kjm.org/upload/42847539.pdf
  82. Update on Asthma Management Guidelines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482852/
  83. New Treatment Guidelines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Published by –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cgcdn.gi.org/wp-content/uploads/2013/03/03052013_ACG_Press_Release_New_GERD_Guideline.pdf
  84. ACG Clinical Guidelin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PMC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754510/
  85. 밤에 심한 호흡곤란은 왜 발생할까요? – 닥터나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octornow.co.kr/content/qna/3e4db3d53675485896b08d924c3fa4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