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입안의 짠맛은 탈수, 구강 건조증, 구강 내 문제 (잇몸 질환, 감염), 후비루, 위산 또는 담즙 역류, 영양 결핍 (특히 아연, 비타민 B12), 쇼그렌 증후군, 약물 부작용, 호르몬 변화, 신경학적 문제 등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 짠맛이 며칠 이상 지속되거나 갑자기 발생하며 다른 심각한 증상(예: 외상 후 두통, 고열, 호흡 곤란, 의식 변화)을 동반하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정확한 원인 감별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구강 검진, 혈액 검사 등 전문적인 진단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생활 습관 교정, 약물 치료, 기저 질환 관리 등 다양한 접근법이 활용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 균형 잡힌 식단 등은 일반적인 관리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목차
입안 짠맛, 언제 병원을 찾아야 할까요?
입안의 짠맛이 다음과 같은 “적신호”와 함께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머리 부상이나 외과적 시술 후 갑자기 짠맛이 느껴질 때 (뇌척수액 누출 가능성)1
- 고열, 호흡 곤란, 심한 피로감,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 등의 전신 증상을 동반할 때
- 의식 변화, 심한 두통, 어지러움, 팔다리 마비, 시력 변화 등 신경학적 증상이 함께 나타날 때
- 짠맛이 며칠 이상 지속되고 그 원인을 알 수 없을 때
-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불편감이 심할 때
경미하거나 일시적인 짠맛이라도 원인이 불분명하고 지속된다면, 정확한 원인 파악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안 짠맛의 주요 원인과 대처 방안
1. 탈수 (Dehydration)
설명 및 주요 증상: 체내 수분 부족은 침의 농도를 높여 입안에서 짠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갈증, 소변량 감소 및 색깔 변화,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3. 특히 노년층은 갈증 감각 저하, 기저 질환, 약물 복용, 요실금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탈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4.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1.5~2리터의 물을 마시는 것이 권장되며3, 충북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체중(kg)당 30밀리리터(mL)의 수분 섭취가 권장됩니다5. 가벼운 탈수는 충분한 수분 섭취로 개선될 수 있으나, 심한 탈수 증상(예: 의식 저하, 빠른 심박수, 혈압 저하)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6.
2. 구강 건조증 (Xerostomia, Dry Mouth)
설명 및 주요 증상: 침 분비 감소로 인해 입안이 건조해지면 미각 변화가 생겨 짠맛이나 금속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7. 입안의 끈적임, 음식물을 삼키거나 말하기 어려움, 혀의 작열감, 충치 발생률 증가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8. 구강 건조증은 약물 부작용(항히스타민제, 이뇨제, 항우울제 등),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방사선 치료, 노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9,2.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무설탕 껌을 씹거나 사탕을 먹어 침 분비를 자극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10. 인공 타액 제품 사용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정확한 원인 감별(복용 약물 확인, 쇼그렌 증후군이나 당뇨병 검사 등)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치과의사 또는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KCDC)9과 대한치과의사협회(KDA)11에서 구강 건조증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구강 문제 (Oral Health Issues)
3.1. 잇몸 질환 (치은염/치주염) 및 구강 출혈 (Gum Disease & Bleeding)
설명 및 주요 증상: 치은염(잇몸 염증)이나 치주염(잇몸병)이 진행되면 잇몸에서 쉽게 피가 나고, 혈액 속 철분 성분으로 인해 입안에서 짠맛이나 금속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12. 잇몸이 붉어지거나 붓고, 양치질 시 출혈이 잦으며, 구취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13.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올바른 양치질과 치실 사용 등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고 잇몸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KCDC)은 한국인의 잇몸 질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하며 관련 예방 및 관리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13.
3.2. 구강 감염 (Oral Infections – 예: 칸디다증, 헤르페스성 구내염)
설명 및 주요 증상: 구강 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은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고, 구강 환경을 변화시켜 미각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4. 예를 들어, 구강 칸디다증(아구창)은 입안에 흰색 반점, 작열감과 함께 미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15, 헤르페스성 구내염은 입술이나 구강 점막에 통증을 동반한 수포를 형성합니다16.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구강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균을 파악하고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등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면역력 저하, 특정 약물(예: 스테로이드, 항생제) 장기 사용, 틀니 사용자 등은 구강 감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15,17.
4. 후비루 (Postnasal Drip)
설명 및 주요 증상: 코나 부비동에서 생성된 과도한 점액이 목뒤로 넘어가는 후비루는 그 자체로 짠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8. 목에 이물감이나 가래가 걸린 느낌, 잦은 헛기침, 기침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19. 감기,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축농증)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충분한 수분 섭취와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9. 근본적인 원인 질환(감기, 알레르기, 부비동염)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에 따르면 후비루는 코나 부비동에서 다량 생산된 점액이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입니다19.
5. 위산 또는 담즙 역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Bile Reflux)
설명 및 주요 증상: 위산이나 담즙이 식도나 입안으로 역류하면서 신맛, 쓴맛과 함께 짠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20.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쓰림, 속쓰림, 신물 역류, 만성 기침, 쉰 목소리 등이 있습니다21. 한국인의 식습관(맵고 짠 음식, 국물 요리 등)이 위식도 역류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과식 피하기, 자극적인 음식(커피, 탄산음료,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 제한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자주 반복되면 소화기내과 진료를 통해 제산제,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받거나 필요한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KSNM)와 아시아신경소화기학회(ANMA)의 2020년 서울 진료지침은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과 관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21.
6. 영양 결핍 (Nutritional Deficiencies)
설명 및 주요 증상: 특정 영양소의 부족은 미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연 결핍은 미각 수용체의 기능 변화를 통해 짠맛 감지 역치를 높여 미각 이상(dysgeusia)을 유발할 수 있으며22,23, 특히 한국 성인 대상 연구에서도 아연 섭취가 낮은 그룹에서 짠맛에 대한 민감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5.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은 설염(혀의 염증), 구강 작열감 등과 함께 미각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7,24.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혈액 검사를 통해 특정 영양소의 결핍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영양제를 보충하거나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무분별한 영양제 복용은 피해야 합니다.
7. 쇼그렌 증후군 (Sjögren’s Syndrome)
설명 및 주요 증상: 쇼그렌 증후군은 주로 침샘과 눈물샘을 침범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심한 구강 건조와 안구 건조를 유발합니다26. 구강 건조로 인해 미각 변화(짠맛 포함), 음식물 삼키기 어려움, 말하기 어려움, 충치 위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미각 및 후각 기능 자체가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27,28. 피로감, 관절통 등 전신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한국 쇼그렌증후군협회 최경석 회장은 메디컬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쇼그렌 증후군 진단에는 평균 6~7년이 소요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29.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쇼그렌 증후군이 의심되면 류마티스내과(자가면역질환 전문)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인공 눈물, 인공 타액, 침 분비 촉진제 등)와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둡니다.
8. 약물 부작용 (Medication Side Effects)
설명 및 주요 증상: 수백 가지가 넘는 약물이 미각 변화(짠맛, 금속 맛, 쓴맛, 미각 감퇴 등)나 구강 건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0. 흔한 예로는 일부 고혈압 약(ACE 억제제, 이뇨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화학요법제 등이 있습니다7,31.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약물(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포함) 목록을 확인하고, 새로운 약물 복용 후 짠맛이 나타났다면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임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며, 필요한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약물 변경이나 용량 조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KIDS)을 통해 의약품 부작용을 보고하고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32.
9. 호르몬 변화 (Hormonal Changes)
설명 및 주요 증상:
- 임신: 임신 중, 특히 임신 초기에는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 수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미각 이상(dysgeusia)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짠맛, 신맛, 금속 맛 등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33,34.
- 폐경기: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감소는 침 분비량 감소로 이어져 구강 건조를 유발하고, 이는 미각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35,36.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 임신: 대부분의 경우 임신 중 미각 변화는 일시적이며 임신 중기가 되거나 출산 후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33.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하고, 물을 자주 마시며, 신선한 과일이나 가벼운 신맛이 나는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걱정된다면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폐경기: 구강 건조 관리(인공 타액 사용, 충분한 수분 섭취)와 함께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여성의학과 또는 내분비내과 의사와 상담하여 호르몬 변화와 관련된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37.
10. 신경학적 원인 (Neurological Causes)
설명 및 주요 증상: 드물지만, 뇌척수액(CSF)이 코나 귀를 통해 누출되어 목뒤로 넘어가면서 지속적인 짠맛이나 금속 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38. 이는 주로 머리 부상, 두개저 수술, 또는 자발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자세에 따라 변하는 두통(일어설 때 심해지고 누우면 완화됨), 맑은 콧물(주로 한쪽)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1. 한국 연구에서도 뇌척수액 비루 환자에게서 짠맛을 동반한 후비루 증상이 관찰된 바 있습니다39.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뇌척수액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특히 머리 부상이나 코/뇌 수술 후 맑은 콧물과 함께 짠맛이 느껴진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신경외과 또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감염(뇌수막염 등)의 위험이 있는 심각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11. 기타 가능한 원인 (Other Potential Causes)
설명 및 주요 증상:
- COVID-19 후유증: 일부 COVID-19 감염 후 미각 또는 후각 변화가 지속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짠맛을 포함한 다양한 미각 이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40. COVID-19 치료제인 팍스로비드(Paxlovid)의 부작용으로도 미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1.
- 신부전 (Kidney Failure): 만성 신부전 환자는 체내 노폐물 축적, 요독증, 아연 결핍 등으로 인해 미각 변화(주로 금속 맛이나 쓴맛, 또는 짠맛 감지 이상)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12,42.
- 화학 요법 (Chemotherapy): 암 치료를 위한 화학 요법은 구강 점막 손상(구내염)과 함께 미각 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미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43.
대처 방안/병원 방문 시점: 위와 같은 특정 상황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관련된 증상 변화(짠맛 포함)에 대해 주치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평가와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안 짠맛, 어떻게 진단하고 관리하나요?
진단: 입안 짠맛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의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습니다:
- 병력 청취: 증상(언제부터, 얼마나 자주, 어떤 상황에서 심해지는지 등), 과거 병력, 복용 중인 약물, 생활 습관(식습관, 음주, 흡연 등)에 대해 자세히 문진합니다.
- 신체 검진: 구강 및 인후두 검진을 통해 염증, 감염, 건조 상태, 치주 질환 등을 확인하고, 필요시 코와 귀 검진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검사:
- 혈액 검사: 영양 결핍(아연, 비타민 B12 등), 당뇨병, 신장 기능 이상, 자가면역질환(예: 쇼그렌 증후군 항체 검사) 등을 확인합니다9.
- 타액 분비율 검사: 구강 건조증의 정도를 평가합니다.
- 미각 검사: 특정 맛에 대한 감지 역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영상 검사 (CT, MRI): 부비동 질환, 뇌척수액 누출, 또는 기타 신경학적 문제가 의심될 때 시행합니다.
- 내시경 검사: 위식도 역류 질환이 의심될 경우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코 질환이 의심될 경우 비강 내시경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조직 검사: 드물게 구강 내 병변이 의심될 경우 시행합니다.
일반적인 관리 및 치료: 입안 짠맛의 관리는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원인 질환 치료: 각 원인 질환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예: 감염 치료, 역류 질환 약물 치료, 쇼그렌 증후군 관리 등)를 받습니다.
- 생활 습관 교정:
- 수분 섭취: 탈수나 구강 건조가 원인인 경우 충분한 물을 마십니다.
- 구강 위생: 규칙적인 양치질과 치실 사용, 정기적인 치과 검진으로 구강 건강을 유지합니다.
- 식단 조절: 자극적인 음식(맵고 짠 음식, 산성 음식)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합니다.
- 금연 및 절주: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구강 건강에 해롭고 미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약물 조절: 약물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변경이나 용량 조절을 고려합니다.
- 증상 완화: 구강 건조증에는 인공 타액이나 침 분비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면책 조항: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의학적 상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항상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건강 관리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이 웹사이트에서 읽은 내용 때문에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무시하거나尋하는 것을 지연시키지 마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FAQ)
1. 입안에서 짠맛이 나는 것은 언제 걱정해야 하나요?
만약 짠맛이 머리 부상 후 갑자기 나타나거나, 고열, 호흡 곤란,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 또는 팔다리 마비나 시력 변화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짠맛이 며칠 이상 지속되면서 뚜렷한 원인을 알 수 없거나, 잇몸 출혈이 심하거나, 눈과 입이 심하게 마르는 등 다른 걱정스러운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입안의 짠맛을 가라앉히는 자가 관리 방법이 있나요?
3. 입안의 짠맛이 특정 음식과 관련이 있나요?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일시적으로 입안에 짠맛이 남을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음식(예: 매우 맵거나 산도가 높은 음식)은 위식도 역류 질환(GERD)과 같은 기존 질환을 악화시켜 간접적으로 미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20. 음식 알레르기가 직접적으로 짠맛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구강 내 다른 반응을 일으킬 수는 있습니다.
4. 스트레스가 입안 짠맛의 원인이 될 수 있나요?
스트레스는 침 분비를 감소시켜 구강 건조를 유발할 수 있으며9,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짠맛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는 위식도 역류 질환과 같은 특정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 자체가 지속적인 짠맛의 유일한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는 흔치 않으므로, 다른 의학적 원인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입안의 짠맛은 때로는 가볍게 넘길 수 있는 현상이지만, 다양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탈수와 같은 단순한 원인부터 쇼그렌 증후군, 신경학적 문제와 같은 복잡한 의학적 상태에 이르기까지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지속되거나 다른 우려되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자가 진단에 의존하기보다는 반드시 의사 또는 치과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구강 및 전신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더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청(KCDC) 또는 담당 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참고 문헌
- Cedars-Sinai. Cerebrospinal Fluid Leak. [인터넷]. Cedars-Sinai.org;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edars-sinai.org/health-library/diseases-and-conditions/c/cerebrospinal-fluid-leak.html
- 강원장. 입안에 짠맛이 느껴지는 이유 5가지와 해결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leaders1q/222768584919
- 질병관리청. 탈수.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5월 [2025년 2월 18일 최종수정;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510
- 질병관리청. 탈수.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2월 18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551
- 충북대학교병원. 탈수 예방 및 관리. [인터넷]. 충북대학교병원;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uh.chungbuk.ac.kr/client/board/view.asp?db=health&sidx=216
- Mayo Clinic. Dehydration. [인터넷]. MayoClinic.org;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dehydration/symptoms-causes/syc-20354086
- Everyday Health. Salty Taste in Mouth: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인터넷]. EverydayHealth.com; 2025년 1월 8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verydayhealth.com/wellness/salty-taste-in-mouth/
- American Dental Association. Xerostomia (Dry Mouth). [인터넷]. ADA.org; 2023년 4월 24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da.org/resources/ada-library/oral-health-topics/xerostomia
- 질병관리청. 구강건조증.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4월 7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704
- Mayo Clinic. Dry mouth treatment: Tips for controlling dry mouth. [인터넷]. MayoClinic.org;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dry-mouth/expert-answers/dry-mouth/faq-20058424
- 대한치과의사협회. 구강건조증과 구취.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17;55(7):82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a.or.kr/kda/kdaJournalOpen/kdaJournalOpenCont1/journal_detail_view.kda?journal_key=119&journal_sub_key=828
- 하이닥. 입에서 쇠 맛 난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인터넷]. 하이닥;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695
- 질병관리청. 잇몸병(치주질환).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2025년 4월 3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716
- 질병관리청. 구내염.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85
- 서울아산병원. 구강 칸디다증.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9
- MedlinePlus. Herpetic stomatitis. [인터넷].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1383.htm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reatment of Candidiasis. [인터넷]. CDC.gov;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candidiasis/treatment/index.html
- MedicalNewsToday. Salty taste in mouth: Causes, treatment, and when to contact a doctor. [인터넷]. MedicalNewsToday.com; 2024년 1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21202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후비루 증후군. [인터넷].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l.or.kr/info/sub02_07.php
- WebMD. Heartburn: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 [인터넷]. WebMD.com; 2023년 10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ebmd.com/heartburn-gerd/understanding-heartburn-basics
- Jung HK, Tae CH, et al. 2020 Seoul Consensu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21;27(4):457-481. doi:10.5056/jnm20197. PMID: 34503289. (Korean J Med. 2022 Apr 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number=25789&viewtype=pubreader
- Abdin O, Doty RL, Osman AS, et al. Gustatory Dysfunction: Prevalence, Associated Factors,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a Chemosensory Clinic. Diagnostics (Basel). 2024 Jan 19;14(2):223. doi: 10.3390/diagnostics14020223. PMID: 38275782; PMCID: PMC1081361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13619/
- Takeda M, Sawamura T, et al. Zinc deficiency enhances salt preference through altered peripheral and central taste processing mechanisms. J Oral Biosci. 2025 May;67(2):S1354-161X(25)00023-0. doi: 10.1016/j.job.2025.03.002. PMID: 39921163.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9921163/
- Hamza OIA, De Lacerda VGF, et al. Oral manifestations of vitamin B12 deficiency associated with pernicious anemia: A case report. Cureus. 2024 Jun 15;16(6):e62494. doi: 10.7759/cureus.62494. PMCID: PMC1125422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54220/
- Kim MJ, Kim JH, et al. Comparison of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with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based on zinc nutritional status in two rural populations in Korea. Nutr Res Pract. 2013 Feb;7(1):43-50. doi: 10.4162/nrp.2013.7.1.43. PMCID: PMC354244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542444/
- Price EJ, Rauz S, et al. British Society for Rheumatology guideline on management of adult Sjögren’s syndrome. Rheumatology (Oxford). 2024 Apr 16;64(2):409-434. doi: 10.1093/rheumatology/kead336. PMID: 3741045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ademic.oup.com/rheumatology/article/64/2/409/7645909
- Wotjarska M, Slebioda Z, et al. Smell and Taste Function and Their Disturbances in Sjögren’s Syndrome. J Clin Med. 2022 Oct;11(19):5860. doi: 10.3390/jcm11195860. PMCID: PMC956446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64460/
- 대한류마티스학회. 쇠그렌증후군. [인터넷]. KOBIO Registry; 2014년 6월 24일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bio.or.kr/board/view.html?num=468&start=30&code=edu&comm=&key=&keyword=&comm_type=
- 메디칼타임즈. 쇼그렌증후군 환우, ‘자리끼’란 말을 아시나요?. [인터넷]. Medical Times; 2017년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1111231
- University of Calgary. Drug-Induced Distortion of Taste and Smell. [인터넷].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Pearl of the Week;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umming.ucalgary.ca/sites/default/files/teams/127/pearl-ofthe-week/Drug-Induced%20Dysgeusia.pdf
-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ysgeusia. [인터넷]. ENTHealth.org; 2020년 4월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nthealth.org/conditions/dysgeusia/
-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인터넷].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rugsafe.or.kr/ko/
- 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 Dysgeusia Symptoms and Remedies. [인터넷]. 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mericanpregnancy.org/healthy-pregnancy/health-nutrition/dysgeusia-symptoms-and-remedies/
- BabyCenter. Metallic taste in mouth during pregnancy (dysgeusia). [인터넷]. BabyCenter.com; 2021년 2월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abycenter.com/pregnancy/your-body/metallic-taste-during-pregnancy_20004810
- American Dental Association. Women’s Hormones and Dental Health. [인터넷]. MouthHealthy.org;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uthhealthy.org/en/az-topics/h/hormones
- Pérez-López FR, Chedraui P, et al. Oral Manifestations in Menopause—A Scoping Review. Medicina (Kaunas). 2024 May;61(5):837. doi: 10.3390/medicina61050837. PMID: 38790126; PMCID: PMC1112404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dpi.com/1648-9144/61/5/837
- 네이버 블로그 (Bác sĩ nha khoa). 폐경기 여성 구강건강의 적신호, 구강작열감증후군과 구강건조증.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dlfpomd/222613115904?viewType=pc
- Mayo Clinic. CSF leak (Cerebrospinal fluid leak) – Symptoms and causes. [인터넷]. MayoClinic.org;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csf-leak/symptoms-causes/syc-20522246
- Lee DH, Kim SW, et al. 뇌척수액 비루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Journal of Korean Skull Base Society. 2004;14(2):44-4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ksbs.org/journal/download_pdf.php?spage=44&volume=14&number=2
- 닥터톡. 입에서 짠맛이? 코로나 후유증 의심. [인터넷]. Doctalk.co.kr;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octalk.co.kr/counsel/view/c-t0dB1Kb-1dsAIn0-ct0c
- 질병관리청,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치료제(팍스로비드) Q&A. [인터넷]. 질병관리청/대한의사협회;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cdcnewsletter.or.kr/sample/cardnews/images/cardnews145/1_covid19_medicine_q&a.pdf
- Yulianto E, Lusiana, et al. Taste Disorders in Chronic Kidney Disease: A Narrative Review. Turkish Journal of Nephrology. 2023;32(4):305-315. doi: 10.5152/turkjnephrol.2023.2322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urkjnephrol.org/Content/files/sayilar/439/305-315.pdf
- 대한종양내과학회. 암치료 부작용의 길라잡이 구내염 바로 알기. [인터넷]. 대한종양내과학회; 2009년 6월 [인용일: 2025년 5월 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smo.or.kr/file/book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