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수술을 받는다는 결정은, 아무리 흔한 수술이라 할지라도 모든 부모에게 엄청난 정신적, 감정적 부담입니다. 이 글은 부모님의 불안감을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통해 확신으로 바꾸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 도구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보고서의 목표는 언제 편도 절제술이 자녀의 장기적인 건강을 위해 필요하고 안전한 선택인지 부모님들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의학 가이드를 상세히 분석하고 계획하는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수술의 필요성 판단: 반복적인 심한 감염(파라다이스 기준2)이나 수면 무호흡증16과 같은 수면 중 호흡 장애는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명확한 의학적 적응증입니다.
- 면역력 저하 우려 해소: 3세 이후 편도선의 면역 기능은 다른 기관이 대체하므로, 수술 후 면역력이 영구적으로 약화된다는 걱정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111
- 방치의 숨겨진 위험: 치료되지 않은 편도 문제는 성장 지연20, 학습 및 행동 문제(ADHD 오인 가능)3, 아데노이드형 얼굴 변형9 등 장기적인 후유증을 낳을 수 있습니다.
- 수술 기법의 이해: 통증과 회복 기간을 단축시킨 PITA 수술30과 재발률이 거의 없는 전통적 절제술13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아이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회복 과정 숙지: 수술 후 5~10일 사이에 통증이 정점에 달할 수 있으며42, 출혈 발생 시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 섭취가 필수적입니다.5
이 보고서의 기반은 대한이비인후과학회1와 미국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학회(AAO-HNS)2와 같은 최고 의료 기관의 지침을 종합하고, 국내 대형 병원의 실질적인 조언5과 실제 환자 경험을 결합한 것입니다.
1부: 우리 아이의 편도 이해하기: 단순한 목감기 그 이상
1.1. 해부학과 기능
편도와 아데노이드(인두편도)는 호흡기와 소화관의 관문에 위치한 림프 조직으로, 우리 몸의 첫 번째 면역 방어선 역할을 합니다.8 구체적으로, 흔히 편도라고 불리는 구개편도(口蓋扁桃)는 목구멍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조직 덩어리이며, 아데노이드(咽頭扁桃)는 코 뒤쪽 공간에 위치합니다.7 이들의 주요 기능은 특히 생애 초기에 입과 코를 통해 침입하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이에 맞서 싸우는 것입니다.1
1.2. 자연적인 발달 주기와 비대 문제
부모님들이 이해해야 할 중요한 점은 편도가 자연적인 발달 주기를 따른다는 것입니다. 편도는 출생 시 작다가 점차 크기가 커져 10세경에 정점에 이른 후, 청소년기에 자연스럽게 위축(퇴화)됩니다.9 이는 정상적인 생리 과정입니다.
그러나 반복적인 감염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편도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편도가 이 자연적인 주기를 따르지 않고 과도하게 커지면, 더 이상 면역 자산이 아닌 기계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여 기도 폐쇄 및 관련 건강 문제를 일으킵니다.9 생리적 발달과 병적인 비대를 구별하는 것이 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첫 단계입니다.
1.3. 핵심 두려움 해소: “우리 아이 면역력이 약해지나요?”
부모님들의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편도를 제거하면 아이의 면역 체계가 영구적으로 약화될 것이라는 점입니다.11 이는 과학적 근거를 통해 해소되어야 할 오해입니다. 비록 편도가 생애 초기에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3세 이후에는 면역 체계의 다른 강력한 부분들이 성숙하여 주요 역할을 맡게 되므로 그 기능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합니다.1
“만성적이거나 재발성 편도염을 앓는 아이들의 경우, 편도는 감염에 맞서 싸우는 대신 세균의 온상이 되는 등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편도에서의 국소 면역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변하고, 더 이상 효과적인 방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12
– 국내 연구진,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감염과 편도수술의 효과 분석
많은 연구에서 편도 절제술 후 장기적인 면역 체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음을 입증했습니다.11 만성적으로 염증이 있는 림프 조직을 제거하는 것은 실제로 아이의 면역 체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수술은 중요한 기관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조직으로 인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는 부모의 결정을 보다 합리적이고 덜 과격하게 만듭니다.
2부: 경고 신호: 수술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때
이 부분은 부모님을 위한 핵심적인 진단 부분으로, 복잡한 임상 지침을 가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전환합니다. 의사의 임의적인 결정이 아닌 명확한 의학적 기준인 ‘수술 적응증(適應症)’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1
2.1. 적응증 1: 반복적인 심한 감염 주기
수술을 고려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재발성 편도염이 아이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입니다. 특히 미국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학회(AAO-HNS)와 같은 국제 지침에서는 강력한 근거 기반으로 ‘파라다이스 기준(Paradise Criteria)’을 제시했습니다.2
- 빈도: 지난 1년간 최소 7회, 또는 지난 2년간 매년 5회, 또는 지난 3년간 매년 3회의 편도염 발생.
- 심각성: 각 편도염은 의료 기록에 남아야 하며, 38.3°C 이상의 발열, 경부 림프절 비대/압통, 편도 삼출물(고름), 또는 A군 연쇄상구균 양성 반응 중 하나 이상을 동반해야 합니다.
국내 자료에서는 종종 “1년에 3-4회” 또는 “6회”와 같이 더 단순한 기준을 사용하기도 합니다.11 부모님은 이러한 기준을 일반적인 지침으로 삼아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 더 엄격한 기준에 따라 공식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2. 적응증 2: 수면 중 호흡 장애(SDB)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이는 과거의 감염을 대체하여 현재 소아 편도 절제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 되었습니다.16 부모님은 밤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징후를 관찰해야 합니다:
- 크고 잦은 코골이: 가끔씩 가볍게 코를 고는 것이 아닌, 매일 밤 크고 규칙적인 코골이 소리.10
- 목격된 무호흡: 아이가 숨을 쉬는 동안 잠시 멈췄다가 헐떡이거나 컥컥거리는 소리를 내며 호흡을 재개함.16
- 불안정한 수면: 숨을 쉬기 위해 자주 뒤척이거나, 구르거나, 비정상적인 자세(예: 앉아서 자기, 머리를 과도하게 뒤로 젖히기)로 잠.19
- 만성적인 구강 호흡: 코가 막혀 밤낮으로 입으로 숨을 쉼.8
2.3. ‘조용한’ 후유증: 코골이가 단순한 소음이 아닌 이유
이 부분은 행동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성을 강조함으로써 수술의 ‘안전성’ 측면을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성장 저하: 인과 관계는 명확합니다. 수면 중 호흡 장애(SDB/OSA)는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분절시킵니다. 이는 성장 호르몬이 최대로 분비되는 깊은 수면 단계를 방해합니다. 결과적으로 아이는 키가 덜 크거나 체중이 늘지 않을 수 있습니다.20 다행히 서울대학교병원의 연구에 따르면 수술을 통해 아이들이 키 성장을 현저하게 ‘따라잡을’ 수 있다는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22
- 행동 및 학습 문제: 수면의 질 저하는 주간 졸음으로 이어집니다. 소아의 경우 이는 과잉 행동, 집중력 저하, 행동 문제로 나타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3
- 안면 발달: ‘아데노이드형 얼굴(adenoid facies)’은 만성적인 구강 호흡으로 인한 장기적인 얼굴 구조 변화로, 긴 얼굴, 벌어진 입, 좁은 구개궁, 치과적 문제를 특징으로 합니다.9 6세 이전의 수술은 이러한 발달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3
2.4. 기타 중요한 적응증
“우리 아이가 자주 아파요”와 같은 모호한 불만에서 “우리 아이는 지난 Y개월 동안 X번의 발열 기록이 있습니다”와 같이 데이터에 기반한 대화로 전환하는 데 구체적인 도구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부모의 우려와 임상적 증거 사이의 소통 격차를 줄여 더 효과적인 상담으로 이어집니다.
표 1: 편도 관련 문제에 대한 부모 관찰 체크리스트
증상 유형 | 관찰할 구체적인 징후 | 날짜 및 메모 |
---|---|---|
목 감염 |
|
|
수면의 질 |
|
|
주간 행동 |
|
|
기타 문제 |
|
3부: 결정 과정: 전문적인 진단과 상담
의사 결정 과정은 단일 선택이 아닌 합리적인 단계의 연속입니다. 이 가이드는 부모님들이 압도감을 줄이면서 각 단계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1. 의사와의 상담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만날 때, 부모님은 2부의 체크리스트 정보를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의사는 상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목과 코의 신체 검사를 시행할 것입니다.13
3.2. 진단 도구: 단순한 시각적 검사 이상
- 신체 검사: 의사는 편도(주로 브로드스키 척도와 같은 척도 사용)와 아데노이드의 크기를 평가합니다.13
-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 PSG): 이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진단의 황금 표준입니다.26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AAO-HNS 가이드라인은 특정 경우에 PSG 시행을 강력히 권고합니다3:
- 2세 미만의 소아.
- 비만, 다운 증후군, 두개안면기형 또는 신경근육 질환과 같은 동반 질환이 있는 소아.
- 수술의 필요성이 불확실하거나, 신체 검사 결과와 보고된 증상의 심각성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때.
국내 의료 기관에서도 호흡 장애 지수(RDI) 및 산소 포화도 수준과 같은 지표를 기반으로 치료법을 결정하기 위해 수면 연구를 활용합니다.28
3.3. ‘경과 관찰’ 전략
이를 행동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유효하고 증거에 기반한 임상 전략으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AO-HNS는 감염 빈도가 파라다이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경과 관찰을 강력히 권고합니다.3 이 전략은 많은 어린이들이 편도가 자연적으로 위축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개선되기 때문에 적절합니다.5 ‘경과 관찰’을 공식적이고 권장되는 전략으로 강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부모의 신중한 본능을 확인시켜주고, 의사를 단순한 외과 의사가 아닌 관찰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여 신뢰를 구축합니다.
4부: 부모를 위한 수술 기법 안내
이 부분은 한국 부모님들이 주로 선택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영역을 다루기 때문에 특히 명확해야 합니다.
4.1. 전통적 편도 절제술 (피막 외 절제술)
- 방법: 편도의 외부 피막을 포함한 전체 편도를 아래 근육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합니다.13 이 방법은 주로 전기 소작기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5
- 장점: 완전한 제거는 편도 재발 가능성이 거의 없음을 의미하며, 만성 편도염이나 편도 결석과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합니다.
- 단점: 근육층이 노출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더 심하고, 더 길고 제한적인 회복 과정이 필요합니다.30
4.2. PITA (전동 피막내 편도 절제술)
- 방법: 미세절삭기(microdebrider)라는 장비를 사용하여 편도 조직의 대부분을 피막 내부에서 제거하고, 피막 자체는 목 근육을 덮는 보호막으로 남겨둡니다.30
- 장점: 수술 후 통증이 현저히 적고, 출혈 위험이 낮으며, 회복이 훨씬 빠릅니다. 아이들은 보통 몇 주가 아닌 며칠 내에 정상적인 식단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21 이것이 PITA가 인기를 끄는 주된 이유입니다.
- 단점: 주요 단점은 편도 조직이 일부 남아있기 때문에 재발의 위험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21 PITA는 주로 재발성 감염이 아닌 폐쇄성 증상에 사용됩니다.36
4.3. 기타 기법
통증과 출혈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코블레이터(고주파 사용)와 같은 다른 방법들도 간단히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8
직관적인 비교 표는 부모님들이 이러한 장단점을 명확하게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는 “지금 당장 아이의 통증이 가장 큰 걱정이니 PITA가 더 나아 보입니다. 의사 선생님, 재발률에 대한 경험은 어떠신가요?”와 같이 더 깊이 있는 질문을 할 수 있게 되어, 더 높은 수준의 대화를 촉진합니다.
표 2: 직접 비교: 전통적 편도 절제술 대 PITA
특징 | 전통적 편도 절제술 | PITA (피막내 절제술) |
---|---|---|
주요 목표 | 폐쇄 및 감염 모두 치료 | 주로 폐쇄 치료 |
수술 후 통증 | 많음 | 적음 |
출혈 위험 | 더 높음 | 더 낮음 |
회복 기간 | 2-3주 | 약 1주 |
식단 제한 | 엄격함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 | 정상 식단으로 빠르게 복귀 |
재발 위험 | 거의 없음 | 통계적으로 더 높을 수 있음 |
5부: 수술 전 행동 계획: 순조로운 과정을 위한 준비
5.1. 체크리스트: 한 달 전
- 수술 일정을 잡되, 방학과 같은 인기 있는 시기는 몇 달 전에 예약이 마감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1
- 아이가 마취에 충분히 건강한지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흉부 엑스레이, 심전도 등 필요한 모든 수술 전 검사를 완료합니다.5
- 의료진에게 아이가 앓고 있는 모든 잠재적인 건강 상태와 복용 중인 약물을 알립니다.5
5.2. 전날 밤: 최종 준비
마취 안전을 위해 자정부터(또는 병원의 지시에 따라) 엄격하게 금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5
5.3. 입원 기간 탐색
5.4. 마취에 대한 안심
“전신 마취에 대한 불안이 부모의 주요 걱정거리임을 인정해야 합니다.11 하지만 실제 수술 시간은 매우 짧고(보통 20-40분), 이는 마취 시간도 짧다는 것을 의미합니다.40 현대의 마취 약물은 과거에 사용되던 것보다 훨씬 안전하며, 기억 상실과 같은 합병증 위험은 미미합니다.11”
– KRHOW 편집위원회
병원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자격 있는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상주하는지 여부임을 강조합니다.8
6부: 중요한 14일간의 회복: 상세한 일일 가이드
이 부분은 가정에서의 간호 지침서 역할을 하므로 매우 실질적이어야 합니다.
6.1. 통증 관리: 현실적인 타임라인
통증은 예상되는 부분이며, 보통 어린아이보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나 성인에게서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39
- 통증의 경과: 통증은 수술 직후에 나타나지만, 딱지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5일에서 10일 사이에 정점에 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42 이는 부모님들이 초반에 호전되다가 다시 악화되는 통증에 당황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해두어야 할 중요한 기대치입니다.
- 약물 요법:
6.2. 회복 식단: “청신호 / 적신호”
- 청신호 (안전하고 부드러운 음식):
- 적신호 (피해야 할 음식):
6.3. 합병증 모니터링: 출혈이 최우선 관심사
수술 후 출혈이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발생률 0.5-10%)임을 설명합니다.12
행동 계획: 신선하고 선명한 붉은 피가 보이면 부모는 즉시 아이를 응급실로 데려가야 합니다. 입안에 소량의 피가 보이는 것만으로도 뒤쪽에 더 큰 혈전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1
6.4. 기타 정상적이지만 걱정스러운 징후들
- 흰색 딱지: 수술 부위는 두껍고 흰색 또는 약간 노란색의 막으로 덮일 것입니다. 이것이 고름이나 감염이 아니라, 피부의 딱지처럼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임을 부모에게 안심시켜야 합니다.1
- 구취(입 냄새): 이는 매우 흔하며, 치유 중인 조직과 끼인 음식물 찌꺼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목 부위가 아물면서 사라질 것입니다.43
- 귀 통증(방사통): 목과 신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귀에 통증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귀 감염이 아닌 연관통입니다.7
- 목소리 변화: 목 안의 공간이 변했기 때문에 목소리가 다르게 들리거나 코맹맹이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통 일시적이며 몇 주에서 한 달 내에 정상으로 돌아옵니다.43
일일 로드맵을 제공하면 회복 과정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부모의 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표 3: 14일 회복 일정 예시
날짜 | 예상 통증 수준 (1-10) | 식단 제안 | 활동 | 주요 이정표 및 경고 |
---|---|---|---|---|
1-3일 | 5-7 | 아이스크림, 차가운 우유만 | 집에서 조용히 휴식 | 일차 출혈 모니터링. |
4-6일 | 6-8 (정점!) | 부드러운 죽, 요구르트 추가 | 등교 금지, 가벼운 활동 |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 |
7-10일 | 4-6 | 부드러운 생선, 스크램블 에그 추가 | 여전히 휴식, 뛰는 것 피하기 | 딱지가 떨어지기 시작, 이차 출혈 모니터링. |
11-14일 | 2-4 | 점차 더 부드러운 음식 추가 | 등교 가능, 운동은 금지 | 통증이 현저히 감소. |
7부: 장기적인 전망: 숙면의 이점
7.1. 긍정적인 변화들
서울대학교병원 연구의 강력한 결과를 다시 한번 상기시킵니다: 수면 중 호흡 장애/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수술은 특히 이전에 성장 지연이나 심각한 수면 장애를 겪었던 어린이들의 키 성장에 상당한 개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22
이를 삶의 질 향상과 연결합니다: 더 나은 학업 성취도, 행동 문제 해결, 주간 에너지 개선.3
7.2. 기대치 관리
PITA 환자의 경우, 회복 과정은 더 쉽지만 편도가 재발할 작지만 실제적인 가능성이 있음을 부모에게 부드럽게 상기시킵니다. 이비인후과 의사와의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2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어린이, 특히 비만인 어린이의 경우 수술이 완전한 치료법이 아닐 수 있으며, 일부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하여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3
자주 묻는 질문 (FAQ)
Q: 예상 비용은 얼마이며 보험 적용이 되나요?
A: 비용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지만, 한 자료에 따르면 약 30만 원에서 60만 원 사이입니다. 이 시술은 일반적으로 국민건강보험과 추가적인 실비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31
Q: 올바른 병원과 의사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A: 주요 고려 요소는 (1) 자격 있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의 상주 여부, (2) 잠재적인 출혈 합병증을 처리할 수 있는 24시간 응급 서비스가 있는 병원, (3) PITA와 전통적 방식과 같은 다양한 수술 방법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의사입니다.8
Q: 아이의 목소리가 영구적으로 변하나요?
A: 목의 공명 공간 변화로 인해 일시적으로 목소리가 다르게 들릴 것입니다. 이는 보통 한 달 정도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43
Q: 수술 후 끔찍한 입 냄새는 왜 나는 건가요?
A: 이는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입니다. 수술 부위에 형성된 흰색 딱지가 음식 찌꺼기와 세균을 머금어 심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목이 아물면서 사라집니다.43
결론
이는 가볍게 내릴 결정은 아니지만, 불필요하게 두려워할 필요도 없는 결정입니다. 재발성 감염이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삶의 질과 성장에 심각한 영향을 받는 아이들에게 편도 절제술은 입증되고 안전하며 종종 삶을 바꾸는 시술입니다.
마지막 메시지는 부모님들이 이 가이드를 의료팀과 협력하고, 정보에 입각한 질문을 하며, 자녀의 건강, 성장, 장기적인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자신감 있는 결정을 내리는 도구로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입니다.
참고 문헌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l.or.kr/info/sub03_05.php
- CG-SURG-30 Tonsillectomy for Children with or without Adenoidectom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nthem.com/medpolicies/abcbs/active/gl_pw_c148461.html
- AAO-HNS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pdat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ntnet.org/wp-content/uploads/2021/04/tonsillectomy_in_children_miniseminar_slides_updated_final_published_feb_2019.pptx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 Effective Health Care Program,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effectivehealthcare.ahrq.gov/sites/default/files/pdf/aao-guidelines-tonsillectomy-2019.pdf
- 편도절제술(Tonsillectomy ) | 검사/시술/수술 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07
- 건강이야기 > 뉴스룸 > 병원안내(뉴스룸) | 강북삼성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ain.kbsmc.co.kr/main/contents.do?proc_type=view&a_num=93644322&b_num=4890
- 암교육센터 | 삼성서울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39&DP_CODE=CIC&searchKey=L&est=L&ds_code=D0003443
- 우리 아이 코골이와 잦은 코감기, 편도·아데노이드 수술로 해결 – 건강매거진 > 건강정보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cmcseoul.or.kr/page/health/magazine/detail/586?p=1&s=5&q=%7B%7D
- 수원 이비인후과 우리 아이 편도 아데노이드 수술이 필요하다면? > 건강정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w-ent.co.kr/bbs/board.php?bo_table=healtInfo&wr_id=84
- “코 골고 산만한 아이, ‘편도’ 먼저 살펴야” 이비인후과 의사 김영효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851
- 어린이 편도선 수술 득실 따져보니 – 복지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bokjiro.go.kr/ssis-tbu/cms/pc/news/news/5217886.html
-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감염과 편도수술의 효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epository.nhimc.or.kr/bitstream/2023.oak/109/2/2016-20-016.pdf
- 소아 편도선염 및 아데노이드의 진단과 치료 – 임상이비인후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cohns.org/download/download_pdf?pid=jcohns-10-2-135
- AAO–HNS Guidelines for Tonsillectom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AF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1/0901/p566.html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ntnet.org/quality-practice/quality-products/clinical-practice-guidelines/tonsillectomy-in-children-update/
- 편도 비대 [tonsillar hypertrophy]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29
- Indications of pediatric tonsillectomy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3978809/
- The pediatric indications for tonsillectomy and adenotonsillectomy: Race/ethnicity, age, and gender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16961/
- 고객참여 > 수면장애 아이들, 편도선 수술해야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mh.go.kr/ncmh/board/boardView.do;jsessionid=30D6P9BeFglRaaDh58A4S36NILb6y1nQDsetGKtaNRY3mOp2lJvB1lp073uagAFZ.mohwwas2_servlet_engine1?no=660&fno=39&bn=newsView&menu_cd=02_06_01&bno=&pageIndex=&search_item=&search_content=
- 심한 코골이 입을 항상 벌리고 있는 아이 편도-아데노이드 비대 때문일 수 있다⁉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_IEmhQID1uY
- 우리 아이 심한 코골이, 놔두면 저절로 없어진다? ‘편도-아데노이드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o.co.kr/news/view.php?idx=100965
- www.medicalworldnews.co.k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worldnews.co.kr/skin/news/basic/view_pop.php?v_idx=1510954526
- 서울대병원 “편도·아데노이드 수술 어린이, 키 커진다” – 더메디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themedical.kr/news/articleView.html?idxno=684
- 어린이코골이 편도 수술 기준 4가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56937
- Indications fo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12172229/
- The Indications of Tonsillectomy Among Pediatric Patients: Our Nine-Year Retrospective Review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8107208/
- The Indications of Tonsillectomy Among Pediatric Patients: Our Nine-Year Retrospective Review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25620/
- ‘코골이치료’, 편도수술은 얼마나 효과 있을까? – eMD Medical New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don.co.kr/mobile/article.html?no=24665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 IDS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dsociety.org/practice-guideline/tonsillectomy-in-children/
- 건강이야기 > 뉴스룸 > 병원안내(뉴스룸) | 강북삼성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ain.kbsmc.co.kr/sns/naver/logout.jsp?prepage=%2Fmain%2Fcontents.do%3Fproc_type%3Dview%26a_num%3D93644322%26b_num%3D5505%26prepage%3D%252Fmain%252Fcontents.do%253Fv_page%253D37%2526%2526a_num%253D93644322
- 소아편도 – 하나이비인후과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anaent.co.kr/neck/neck02_02.html?type=B&sub_tp=1
- 수액클리닉 | 부산이비인후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ument.kr/sum.php?Neck=1
- Powered Intracapsular Tonsillectomy Is a Safe Alternative to Traditional Tonsillectomy – ENTtoda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nttoday.org/article/powered-intracapsular-tonsillectomy-safe-alternative-traditional-tonsillectomy/
-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jorl.org/journal/view.php?number=8102
- The safety and efficacy of powered intracapsular tonsillectomy in children: A meta-analysis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9068049/
- 다인이비인후과병원,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에 PITA수술 시행 – 메디포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06607
- 편도 제거 수술 – 광명서울아산이비인후과 & 수면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asanentcenter.com/m/board/view.asp?B_CATEGORY=0&B_CODE=B_COUNSEL&tID=109&sID=129&IDX=4182&gotopage=1&search_category=&searchstring=
- 편도염과 편도수술 – 암교육센터 | 삼성서울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44&DP_CODE=CIC&searchKey=Y&est=Y&ds_code=D0003443
- 소아 편도 및 아데노이드 수술 – 양한모이비인후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yangent.net/Module/CMS/CMS.asp?Srno=27686
- 편도 수술의 모든 것_피타(PITA)수술 [이비인후과 허성재 교수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u9jdXaG-D-c&pp=ygUQI-2XiOyEseyerOq1kOyImA%3D%3D
- 편도선 수술은 아이들도 많이 하는데 통증은 어느정도 인가요?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opsQOV7i7ZM
- 치과의사의 편도제거수술 후기, 편도수술에 대한 오해와 진실. (얼마나 아픈가? 수술 후 미각변화? 면역력 저하?!)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0G-5-SRW6B0&t=206s
- 아이 코골이 때문에 수술까지 받아야 하나요? 소아 편도아데노이드 수술 알려줄게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CjpqSPNp9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