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를 뽑은 후 피가 나는 것은 많은 사람이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간단한 자가 관리로 지혈이 가능하지만, 올바른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KRHOW.com 편집위원회에서 발치 후 출혈의 원인부터 가장 효과적인 응급 대처법, 그리고 즉시 치과에 연락해야 할 위험 신호까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모든 정보를 총정리하여 제공합니다. 독자 여러분이 안심하고 성공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글의 목표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서울대학교치과병원(SNUDH) 및 대한치과의사협회(KDA): 이 기사의 핵심적인 응급 처치법과 주의사항은 대한민국 최고 권위 기관들의 환자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612
- Cleveland Clinic 및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 회복 과정 및 환자 관리 지침은 세계적인 의료 기관의 권장 사항을 참조하여 신뢰도를 높였습니다.1718
- Cochrane Review 및 학술 연구: 항응고제 복용 환자 관리 등 전문적인 내용과 특정 치료법의 과학적 근거는 Cochrane 체계적 문헌 고찰 및 PubMed에 등재된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합니다.814
핵심 요약
- 발치 후 약간의 출혈은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지혈법은 깨끗한 거즈를 발치 부위에 직접 대고 1~2시간 동안 꾸준히 압박하는 것입니다.
- 발치 후 첫 48시간 동안 볼 바깥쪽에 냉찜질을 하면 부기를 줄이고 지혈에 도움이 됩니다.
- 혈병(피떡)을 보호하기 위해 흡연, 빨대 사용, 침 뱉기 등은 절대 금물입니다. 이는 고통스러운 ‘건성 발치와(드라이 소켓)’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거즈로 압박해도 피가 멎지 않고 쏟아져 나오거나, 2~3일 후 통증이 급격히 심해진다면 즉시 치과 의사에게 연락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왜 발치 후에 피가 날까요? 정상적인 치유 과정 이해하기
치아를 뽑고 나면 해당 부위에 빈 공간, 즉 발치와(extraction socket)가 남게 됩니다. 우리 몸은 이 공간을 치유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과정을 시작하는데, 그 첫 단계가 바로 혈병(blood clot)의 형성입니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에 따르면, 이 혈병은 단순한 피딱지가 아니라, 노출된 뼈와 신경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드레싱’ 역할을 합니다.18 또한 새로운 조직이 자라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기 때문에 성공적인 회복에 필수적입니다.17 따라서 발치 후 약간의 출혈이 발생하는 것은 이 중요한 혈병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이며, 보통은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발치 후 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흔한 일이라고 설명하며 환자들을 안심시킵니다.10
발치 후 출혈, 집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응급 대처법 (단계별 가이드)
대부분의 발치 후 출혈은 가정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대처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등 국내외 권위 있는 기관에서 권장하는 단계별 지침입니다.
1단계: 압박 지혈 –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은 발치 부위를 직접 압박하는 것입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SNUDH)의 지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시행해야 합니다.6 먼저 깨끗한 멸균 거즈를 두툼하게 접어 발치 부위에 직접 올립니다. 옆이 아닌, 정확히 뽑은 자리 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후 위아래 치아를 꽉 물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압력을 가합니다. 이 상태를 최소 1~2시간 동안 유지해야 합니다.4 이 시간 동안에는 말을 하거나, 입을 움직이거나, 거즈를 확인하는 행동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어떠한 방해 요인도 혈액 응고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2단계: 냉찜질 – 부기와 출혈을 동시에 잡는 법
냉찜질은 부기와 출혈을 동시에 관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대한치과의사협회(KDA) 소속 송정현 원장은 냉찜질의 과학적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차가운 온도는 볼 주변의 미세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혈관이 수축하면 상처 부위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지혈 과정을 돕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습니다.”21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얼음주머니나 냉동 채소 팩을 얇은 수건에 싸서 발치한 쪽 뺨에 대는 것을 권장합니다. 약 15~20분간 찜질한 후,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15~20분간 휴식하는 주기를 발치 후 첫 48시간 동안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17
보조 요법: 녹차 티백 사용, 과학적 근거는?
거즈 압박 후에도 피가 약간 스며 나오는 경우, 일부 치과 지침에서는 티백 사용을 제안합니다. 이는 단순한 민간요법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2025년 ‘약학 및 바이오연관과학 저널(Journal of Pharmacy and Bioallied Sciences)’에 실린 문헌 고찰에 따르면, 홍차나 일부 녹차에는 탄닌산(tannic acid)이라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0 탄닌은 수렴(astringent) 작용을 하여 조직과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홍차 티백을 따뜻한 물에 적셨다가 가볍게 짜낸 후, 식혀서 발치 부위에 올리고 약 30분간 물고 있으면 됩니다.13
절대 피해야 할 행동들: 치유를 방해하는 7가지 실수
성공적인 회복은 무엇을 하느냐만큼 무엇을 하지 않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다음은 혈병을 탈락시키거나 치유를 방해할 수 있는 행동들입니다.
- 흡연 및 전자담배 사용: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니코틴과 담배 연기 속 화학물질은 혈관을 수축시켜 상처 부위로 가는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줄입니다. 이는 치유를 늦출 뿐만 아니라,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건성 발치와(dry socket)’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17
- 빨대 사용: 빨대를 빠는 행위는 구강 내에 음압을 발생시켜 혈병을 발치와에서 쉽게 떨어져 나가게 할 수 있습니다.17
- 침 뱉기 또는 강한 가글: 구강 건강 재단(Oral Health Foundation)은 이 행위 역시 빨대 사용과 마찬가지로 혈병을 탈락시킬 수 있는 강한 힘을 유발한다고 경고합니다.11
- 음주: 알코올은 혈관을 확장시켜 재출혈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치유 과정을 방해하고 처방된 진통제와 위험한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32
- 격렬한 신체 활동: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위는 심박수와 혈압을 높여 상처에 압력을 가하고 재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7
- 뜨겁고, 딱딱하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높은 온도는 혈병을 녹일 수 있으며, 딱딱하거나 부스러기가 많은 음식은 상처에 기계적 손상을 주거나 발치와에 끼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6
- 혀나 손가락으로 상처 부위 건드리기: 이는 세균을 상처에 옮기고 혈병을 탈락시킬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25
특별 관리 대상: 항응고제/항혈소판제 복용 환자를 위한 주의사항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발치 전 반드시 담당 내과 의사 및 치과 의사와 상의하여 약물 조절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임의로 약을 중단하는 것은 생명을 위협하는 혈전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2017년 PLoS One 학술지 발표, 메타 분석 연구8
와파린(Warfarin),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아스피린(Aspirin) 및 리바록사반(Rivaroxaban)과 같은 신세대 경구용 항응고제(NOACs)는 혈전 생성을 막아 뇌졸중이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중요한 약물입니다. 하지만 이 약물들은 발치와 같은 침습적 시술 후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9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절대 의사의 지시 없이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미국흉부학회(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의 가이드라인과 같은 여러 연구에서는 INR 수치가 안전 범위(보통 3.5 미만) 내에 있고 국소 지혈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면 와파린 복용을 지속하면서 발치를 진행할 수 있다고 권고합니다.16 출혈 위험은 다소 증가할 수 있으나, 국소 지혈제 사용 등으로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는 것이 여러 메타 분석 연구의 결론입니다. 따라서 환자는 반드시 자신의 병력을 의료진에게 정확히 알리고,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위험 신호: 언제 즉시 치과 의사에게 연락하거나 응급실에 가야 하나요?
대부분의 출혈은 통제 가능하지만, 다음과 같은 ‘적신호’가 나타나면 즉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클리블랜드 클리닉과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의 지침을 종합한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177
- 깨끗한 새 거즈를 물고 30~60분간 강하게 압박해도 피가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거즈를 흠뻑 적실 때
- 입안에서 지속적으로 큰 혈병(피떡)이 형성되었다가 뱉어져 나올 때
- 발치 후 3~4일째에 통증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훨씬 더 심해질 때 (이는 ‘건성 발치와’의 특징적인 증상일 수 있습니다7)
- 부기가 빠르게 퍼져나가 삼키거나 숨쉬기 어려울 때
- 38°C 이상의 고열이 나거나 발치 부위에서 노란색 또는 흰색의 고름이 나올 때
자주 묻는 질문 (FAQ)
피가 얼마나 나는 것이 정상인가요?
발치 후 첫 24시간 동안 침에 피가 약간 섞여 나오거나 스며 나오는 것은 완전히 정상입니다. 하지만 입안에 피가 고이거나 쏟아져 나오는 활성 출혈(active bleeding)은 정상이 아니므로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11
언제부터 소금물 가글을 시작할 수 있나요?
발치 후 최소 24시간이 지난 후에 시작해야 합니다. 너무 일찍 가글을 하면 혈병이 떨어져 나갈 수 있습니다. 24시간 후에는 따뜻한 물 한 컵에 소금 반 티스푼을 녹여 부드럽게 입안을 헹구는 것이 좋으며, 절대 세게 뱉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11
처음 며칠 동안 무엇을 먹어야 하나요?
죽, 차가운 수프, 요거트, 스크램블 에그, 스무디와 같이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딱딱하거나, 바삭하거나, 맵고 뜨거운 음식은 상처를 자극하고 회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17
실밥은 언제 제거하나요?
만약 치과 의사가 녹지 않는 실(비흡수성 봉합사)로 상처를 봉합했다면, 보통 7일에서 10일 후에 치과에 다시 방문하여 실밥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는 치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7
결론
발치 후 출혈은 대부분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이며, 올바른 자가 관리로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① 거즈를 이용한 꾸준한 압박, ② 냉찜질, ③ 혈병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 습관 관리, ④ 위험 신호의 인지입니다. 이 글에서 제공된 정보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지침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의 상태는 다르므로, 가장 정확하고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시술을 진행한 치과 의사가 제공한 개인별 맞춤 지침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저하지 말고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참고 문헌
- 연합뉴스. (2023, 7월 20일). 작년 국민 10명 중 4.7명이 치과 진료…치은염·치주질환 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0052800530
- 치의신보. (2024, 1월). 지난해 치과의원 보험 임플란트 심사 1조870억 원. https://dailydental.co.kr/mobile/article.html?no=134004
- 세마 병원컨설팅. (2023, 7월 26일). 치과는 급여 진료로 돈을 얼마나 벌까? (지역별/연령별 소비자 분석). https://semaconsulting.co.kr/trend/?bmode=view&idx=16893319
- 상동21세기치과. 발치 후 주의사항. http://www.21cdent.com/sub/notice.php?boardid=notice&mode=view&idx=76&sk=&sw=&offset=50&category=
- 강남레옹치과. (2022, 11월 24일). 사랑니 뽑고 나서 지혈이 안돼요 / 사랑니 발치 지혈 방법. https://www.gangnamdental.co.kr/condata/139
-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발치 후 주의사항. https://www.snudhgw.org/gw/bbs/B0000037/view.do?nttId=580
- 서울대학교병원. (n.d.). N의학정보 – 건성 치조와.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REAT&medid=BB000040
- Shi, Q., et al. (2017). Post-operative Bleeding Risk in Dental Surgery for Patients on Oral Anticoagulant Therapy: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PLoS One*, 12(2), e0171531.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296357/
- Shi, Q., et al. (2017). Post-operative Bleeding Risk in Dental Surgery for Patients on Oral Anticoagulant Therapy: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PubMed*, PMID: 28228727. https://pubmed.ncbi.nlm.nih.gov/28228727/
- Royal Devon and Exeter Hospital. Advice on managing post-extraction bleeding. https://www.royaldevon.nhs.uk/services/salaried-dental-service/emergency-dental-service/advice-on-managing-post-extraction-bleeding/
- Oral Health Foundation. What to do following an extraction. https://www.dentalhealth.org/what-to-do-following-an-extraction
- 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상식 FAQ. https://kda.or.kr/kda/kdaFaq/faq_list.kda
- Oral Surgery Hawaii. 수술 후 지시사항: 치아 발치 후. https://www.oralsurgeryhawaii.com/instructions/extractions-kr
- Sumanth, K. N., et al. (2018). Interventions for treating post-extraction bleeding.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3), CD011930. https://pubmed.ncbi.nlm.nih.gov/29502332/
- Sumanth, K. N., et al. (2018). Interventions for treating post‐extraction bleeding. *PubMed Central*, PMCID: PMC649426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494262/
- Morais, E. F., et al. (2021). Risk of postoperative bleeding following dental extractions in patients on antithrombotic treatment. *Medicina Oral, Patología Oral y Cirugía Bucal*, 26(6), e736-e74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589605/
- Cleveland Clinic. (2022, 2월 2일). Tooth Extraction: Surgery & Healing.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treatments/22120-tooth-extraction
- American Dental Association. Extractions. https://www.mouthhealthy.org/all-topics-a-z/extractions
- 정진희쇼. (2022, 10월 28일). 턱교정수술 [정진희쇼, 우리 시대 최고의 스페셜리스트를 찾아서]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최진영 [Video]. YouTube. https://m.youtube.com/watch?v=G0br4Ut3zCo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이종호 교수. https://dentsci.snu.ac.kr/snu__professor/%EC%9D%B4%EC%A2%85%ED%98%B8/
- 대한치과의사협회. (n.d.). 치과상식 FAQ – 사랑니 발치 후 냉찜질. https://www.kda.or.kr/kda/kdaFaq/faq_list.kda?search_column=all&search_keyword=%EC%82%AC%EB%9E%91%EB%8B%88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n.d.). 발치.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713
- Aspen Dental. How to stop bleeding after a tooth extraction. https://www.aspendental.com/dental-care-resources/how-to-stop-bleeding-after-a-tooth-extraction/
- Facial & Oral Surgery Associates. After Multiple Teeth Extraction. https://www.facial-oralsurgery.com/surgical-instructions/multiple-extractions/
- Canyon Oral & Facial Surgery. Post-Operative Instructions: Wisdom Teeth Removal. https://www.canyonofs.com/instructions-wisdom-teeth-removal/
- 국민건강보험. (2022, 9월). 감기보다 흔해진 치주질환의 현주소. https://www.nhis.or.kr/static/alim/paper/oldpaper/202209/sub/05.html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 최근 10년간 건강보험 치과 진료 경향. https://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517/2/%EC%B5%9C%EA%B7%BC%2010%EB%85%84%EA%B0%84%20%EA%B1%B4%EA%B0%95%EB%B3%B4%ED%97%98%20%EC%B9%98%EA%B3%BC%20%EC%A7%84%EB%A3%8C%20%EA%B2%BD%ED%96%A5.pdf
- 닥터나우. (2023, 7월 13일). 혈병 떨어져나가면 출혈이 나는게 일반적인가요?. https://doctornow.co.kr/content/qna/dc47c0b07c5d47c886ac40038da8b3d8
- 치과위생사 예솔. (2021, 10월 27일). 치위생사가 알려주는 발치 후 주의사항!(사랑니발치, 발치교정 충치 발치) [Video]. YouTube. https://m.youtube.com/watch?v=MX1375yMa3c
- Jadhav, P. A., et al. (2025). Tea Bags for Controlling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Extraction of Teeth: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Pharmacy and Bioallied Sciences*.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156675/ (Note: Simulated future date as per source doc)
- eDental Perth. Post-Care After Tooth Extraction: Do Tea Bags Stop Bleeding?. https://www.edentalperth.net.au/tooth-extraction-tea-bag-stop-bleeding/
- Gentle Dental. Do’s and Don’ts After Tooth Extraction for Quick Recovery. https://www.gentledental.com/resources/articles/dos-donts-after-tooth-extraction
- 오늘안치과. (2020, 12월 29일). 사랑니 발치 후 주의사항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hkTWMtttqm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