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소아기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은 아동의 건강, 성장, 발달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상호 연관된 이중적 문제입니다. 1
- 기생충 감염은 영양소 흡수 방해, 장 손상 및 염증, 출혈 및 빈혈, 식욕 부진 등을 유발하여 아동의 영양 상태를 저해합니다. 1456
- 아연은 면역 기능, 신체 성장, 뇌 발달, 장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소로, 결핍 시 감염 취약성 증가, 성장 지연, 인지 및 행동 발달 장애 등을 초래합니다. 2
- 기생충 감염은 아연 흡수 불량, 손실 증가, 면역 활성화로 인한 재분배 등을 통해 아연 결핍을 심화시키며, 아연 결핍은 면역 반응과 장벽 기능을 약화시켜 기생충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저하시키는 악순환을 형성합니다.
- 정확한 진단(대변 검사, 아연 상태 평가), 적절한 기생충 치료(구충제) 및 아연 보충(식이요법, 필요시 보충제), 그리고 철저한 개인위생과 환경 관리,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통한 예방이 아동 건강 보호에 매우 중요합니다.
II. 소아 기생충 감염의 이해
A. 주요 원인 기생충: 종류 및 특성 (국내외 현황 중심)
전 세계적으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생충으로는 토양매개성 연충류(Soil-Transmitted Helminths, STHs)가 대표적입니다. 1 여기에는 회충(Ascaris lumbricoides), 편충(Trichuris trichiura), 구충(십이지장충, Ancylostoma duodenale 및 Necator americanus) 등이 포함되며, 주로 위생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1 또한, 전 세계적으로 설사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생동물인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 감염도 흔합니다. 1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토양매개성 기생충의 유병률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식품을 매개로 하는 흡충류 감염, 특히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은 민물고기 생식 습관이 있는 강 유역 주민들 사이에서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집단생활을 하는 미취학 및 학령기 아동들 사이에서 흔히 발견되는 기생충입니다. 그 외 장내 기생충 감염은 드물지만, 산발적인 발생이나 해외 유입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다음 표는 국내외적으로 아동에게 중요한 주요 기생충의 개요를 보여줍니다.
기생충 명칭 (학명, 일반명, 한국명) | 주요 전파 경로 | 흔한 증상 | 주요 영양학적 영향 | 국내 유병률/관련성 참고 |
---|---|---|---|---|
회충 (Ascaris lumbricoides, Roundworm, 회충) | 분변-구강 경로, 오염된 토양 접촉 후 손으로 음식 섭취 | 복통, 설사, 영양불량, 장폐색 (중감염 시) | 전반적인 영양 흡수 불량, 비타민 A 결핍 가능성, 성장 지연 | 국내 유병률 낮음 |
편충 (Trichuris trichiura, Whipworm, 편충) | 분변-구강 경로, 오염된 토양 접촉 후 손으로 음식 섭취 | 대부분 무증상, 만성 설사, 복통, 직장탈출증 (중감염 시) | 철 결핍성 빈혈, 성장 지연, 영양 흡수 불량 | 국내 유병률 낮음 |
구충 (십이지장충, Hookworm) | 오염된 토양 통한 피부 침투, 분변-구강 경로 | 피부 가려움증, 기침, 빈혈, 복통, 설사, 피로감 | 철 결핍성 빈혈 (주요 영향), 단백질 손실, 성장 지연 | 국내 유병률 매우 낮음 |
람블편모충 (Giardia lamblia, 지아르디아) |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 분변-구강 경로 | 설사 (지방변), 복통, 복부팽만, 흡수장애 | 지방 및 지용성 비타민 흡수 불량, 아연 흡수 저해, 체중 감소, 성장 지연 | 산발적 발생 가능 1 |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Pinworm, 요충) | 분변-구강 경로, 충란 흡입, 자가감염 | 항문 주위 가려움증 (특히 야간), 수면장애, 과민성 | 직접적인 영양 결핍은 드무나, 수면 부족 등으로 간접적 영향 가능 | 어린이집/유치원 아동에서 흔함 (2023년 0.2%, 이전 조사 2.4%) |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Chinese Liver Fluke, 간흡충/간디스토마) | 익히지 않은 민물고기 섭취 | 무증상 또는 복부 불편감, 황달, 간 기능 이상 (만성/중감염 시) | 담즙 정체로 인한 지방 흡수 불량 가능성, 만성 염증으로 인한 전신적 영향 | 국내 강 유역 중심 유행 (2023년 1.9%, 특정 지역 높은 유병률) |
II. 소아 기생충 감염의 이해 (계속)
B. 감염 부담: 유병률 및 위험 요인
전 세계적으로 수억 명의 어린이가 토양매개성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는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입니다. 1 국내에서는 2023년 조사에서 간흡충 감염률이 1.9%로 나타났으며 (2022년 3.3%에서 감소), 특정 지역에서는 여전히 높은 감염률을 보였습니다. 같은 해 영유아 대상 요충 감염률은 0.2%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생충 감염의 주요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열악한 위생 환경: 부적절한 손 씻기, 안전하지 않은 물 사용, 부적절한 분변 처리는 감염 위험을 높입니다. 1
- 연령: 어린이는 면역 체계가 발달 중이고 위생 관념이 미숙하여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 1
- 풍토 지역 거주: 특정 기생충이 유행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
- 식습관: 익히지 않거나 덜 익힌 민물고기를 섭취하는 것은 간흡충 감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 사회경제적 상태: 빈곤, 과밀한 주거 환경 등은 기생충 감염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1
C. 유해 기전: 기생충이 아동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기생충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아동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감염은 경미한 경우 증상이 없거나 가벼울 수 있지만, 감염된 기생충의 종류, 감염 정도(체내 기생충 수), 숙주의 면역 반응 및 기존 영양 상태에 따라 질병의 심각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편충증의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심하게 감염되면 위장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벼운 회충 감염은 일반적으로 병적이거나 흡수 장애를 일으키지 않지만 치료 시 감염 초기 아동에게 성장 이점을 제공한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기생충 감염 관리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 영양소 흡수 방해 및 경쟁: 기생충은 장 점막을 손상시켜 영양소 흡수를 위한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영양소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1 일부 기생충은 숙주와 직접적으로 영양소를 경쟁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회충은 비타민 A를 두고 경쟁할 수 있으며 1, 람블편모충은 담즙과 아르기닌과 같은 영양소를 이용하거나 격리하여 숙주가 활용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1 람블편모충은 또한 이당류 분해 효소 결핍을 유발하여 탄수화물 흡수를 더욱 방해할 수 있습니다. 1 장 점막 손상은 “새는 장 증후군(leaky gut syndrome)”으로 이어져,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입자나 독성 물질이 혈류로 유입되어 면역 반응을 유발하고 영양 결핍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장 염증 및 손상: 기생충의 존재는 장내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4 만성적인 염증은 융모 위축, 샘와(crypt) 증식, 장 투과성 증가(“새는 장 증후군”)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4, 이는 영양소 흡수를 더욱 저해하고 전신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장내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만성 염증은 성장 부진 및 신경 발달 장애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 출혈 및 빈혈 (예: 구충 감염): 구충은 장 점막에 부착하여 혈액을 섭취함으로써 만성적인 혈액 손실을 유발합니다. 5 이는 특히 감염된 기생충 수가 많거나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아동에게 철 결핍성 빈혈을 초래합니다. 5 심한 경우 하루 9.0 mL의 혈액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기생충의 직접적인 혈액 섭취와 부착 부위 주변의 누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5 구충은 단백분해효소, 히알루로니다제와 같은 효소를 분비하여 조직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항응고 펩타이드를 분비하여 부착 부위에서 혈액이 계속 흐르도록 합니다. 5 아메리카구충(십이지장충의 일종)은 혈액을 빨아 철 결핍성 빈혈을 일으킵니다. 5 혈액 손실과 함께 단백질 손실도 발생하여 저알부민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 식욕 부진 (Anorexia): 기생충 감염은 식욕 부진을 유발하여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6 이는 장내 선충류가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주요 기전으로 간주됩니다. 7 식욕 부진의 정확한 기전은 복잡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나 기생충의 직접적인 영향 등이 관여할 수 있습니다.
D. 임상 증상 및 건강 문제 (영양 문제 외)
기생충 감염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흔한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오심, 구토, 복부 팽만감, 피로 등이 있습니다. 특정 기생충에 따라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요충 감염 시에는 항문 가려움증 (특히 야간), 일부 연충류 감염 시 유충의 체내 이행 과정에서 기침이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영양학적 문제로는 성장 지연, 발육 부진(wasting), 저체중, 특정 미량영양소(철, 비타민 A, 아연 등) 결핍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회충 감염은 성장 지연과, 람블편모충 감염은 성장 지연, 발육 부진, 저체중과 연관성이 보고되었습니다. 1 인지 및 발달 문제로는 인지 기능 저하, 학업 성취도 저하, 발달 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회충에 의한 장폐색, 편충에 의한 직장탈출증, 간흡충에 의한 담관염이나 담낭염, 구충 감염에 의한 심한 빈혈로 인한 심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III. 아연: 성장기 아동을 위한 필수 미량영양소
아연은 성장기 아동의 건강과 발달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소로, 신체 내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연의 중요성은 세포 수준에서부터 면역 체계, 신체 성장, 뇌 기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납니다.
A. 아동 발달에 있어 아연의 다면적 역할
- 면역 체계 강화: 아연은 T-림프구, 자연살해세포(NK cell) 등 면역 세포의 정상적인 발달과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8 다양한 면역 기능을 조절하며, 염증이나 손상 시 호흡기 세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8 또한, 항산화 방어 기전에도 관여하여 활성산소종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아연 보충이 유아의 감염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8
- 성장 및 발달 (신체 및 세포 수준): 아연은 DNA와 RNA 합성, 세포 분열 및 분화에 필수적이므로 성장의 기본 요소입니다. 8 뼈 성장과 발달에도 관여하며 8,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을 포함한 성장 호르몬의 합성과 작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또한, 상처 치유 과정에도 필요합니다. 아연은 약 100여 개의 효소를 활성화하여 신체 구성 요소 생성 및 에너지 생산에 관여하는 수많은 생화학 반응에 참여합니다.
- 뇌 발달 및 인지 기능: 아연은 뇌에 미량 존재하는 금속으로, 신경 전달, 시냅스 가소성, 신경 신호 전달 등 뇌의 구조와 기능에 기여합니다. 9 특히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뇌 영역인 해마에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9 신경 세포 이동 및 시냅스 형성 과정에도 관여합니다. 아연 결핍은 인지 발달 지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신경심리학적 기능, 활동 수준 또는 운동 발달의 결손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지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9
- 장 건강 및 통합성 유지: 아연은 장 세포와 장 점막의 통합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 8 특히 설사 발생 시 또는 회복기에 장 점막 재생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연의 이러한 다각적인 역할은 성장, 면역, 인지라는 아동 발달의 핵심 축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DNA 및 RNA 합성에 대한 아연의 영향은 신체 성장뿐만 아니라 면역 세포 증식 및 뇌 세포 발달에도 근본적입니다. 따라서 이 단일 미량영양소의 결핍은 아동의 신체적 성장, 면역 회복력, 인지 잠재력을 동시에 저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는 아동에서 아연의 주요 기능과 결핍 시 나타나는 결과를 요약한 것입니다.
신체 시스템/기능 | 아연의 주요 역할 | 아연 결핍 시 흔한 증상 |
---|---|---|
면역 체계 | 면역 세포 발달 및 기능 (T세포, B세포, NK세포), 사이토카인 조절, 항산화 방어 | 감염 빈도 및 중증도 증가 (설사, 폐렴 등), 면역 기능 저하 |
신체 성장 및 발달 | DNA/RNA 합성, 세포 분열 및 성장, 성장 호르몬 활성, 뼈 성장, 상처 치유 | 성장 지연, 발육 부진 (stunting), 왜소증 (심한 경우) |
뇌 및 인지 발달 | 신경 전달, 시냅스 가소성, 신경 세포 이동, 해마 기능 유지, 학습 및 기억 | 학습 장애, 주의력 결핍, 기억력 저하, 인지 능력 저하, 활동 저하, 행동 지연, 우울감 |
장 건강 | 장 점막 세포 유지 및 재생, 장벽 기능 | 설사 발생률 및 지속 기간 증가, 장 투과성 변화 가능성 |
피부 및 감각 기능 | 피부 통합성 유지, 미각 및 후각 세포 기능 | 피부염 (말단피부염 등), 탈모, 식욕 부진, 미각/후각 소실 |
자료: 1, 2, 5, 6, 8, 9, 10, 11, 12, 13 (상세 내용은 각 항목 참조) |
B. 아연 결핍의 원인과 기전
아연 결핍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히 섭취 부족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 식이 섭취 부족 및 생체이용률 저하: 아연이 풍부한 식품의 섭취가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8 동물성 식품(육류, 생선, 유제품)은 아연 함량이 높고 생체이용률도 좋지만, 저소득층에게는 접근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8 반면, 식물성 식품(통곡물, 견과류, 콩류)에 함유된 피틴산염(phytate)은 아연과 결합하여 흡수를 방해하므로 생체이용률이 낮습니다. 8 정제된 도시형 식단은 상대적으로 아연 생체이용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 피틴산염의 문제는 단순히 아연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흡수 가능한 형태의 아연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는 특히 식물성 식품 위주의 식단을 따르는 인구나 채식주의 아동에게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3
- 요구량 증가 및 손실 증가: 급성장기(영아기, 청소년기), 임신기, 수유기에는 아연 요구량이 증가합니다. 2 잦거나 만성적인 설사는 아연 손실을 증가시킵니다. 8 기생충 감염은 아연 흡수를 방해하거나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14 특정 의학적 상태(예: 흡수장애 증후군, 만성 질환)도 아연 결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C. 아연 결핍의 광범위한 영향
아연 결핍은 아동의 건강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성장 지연 및 발육 부진: 심각한 아연 결핍뿐만 아니라 경증에서 중등도의 아연 결핍도 성장 지연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8 이는 신장 성장의 감소로 이어지며, 심한 경우 왜소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0
- 면역 기능 저하 및 감염 취약성 증가: 아연 결핍은 면역 기능을 손상시켜 설사, 폐렴, 말라리아와 같은 감염병의 위험, 중증도 및 지속 기간을 증가시킵니다. 2 폐렴과 설사는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영양실조(종종 아연 결핍 포함)가 주요 기저 요인입니다. 8
- 인지, 행동 및 신경 발달 장애: 학습 장애, 주의력 감소, 기억력 문제, 인지 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8 행동 문제로는 활동 저하, 행동 지연, 우울감, 충동성 증가, 과잉 행동, 정서 불안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9 운동 발달 지연도 보고됩니다. 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및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같은 신경 발달 장애와의 잠재적 연관성도 제기됩니다.
- 기타 증상: 피부 질환/병변(예: 심한 결핍 시 말단피부염, 피부염) 8, 식욕 부진, 미각 변화(미각 저하), 후각 소실 8, 탈모, 체중 감소 10, 심한 경우 성적 성숙 지연(성선기능 저하증) 10, 상처 치유 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IV. 악순환의 고리: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의 상호작용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한 가지 문제가 다른 문제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형성합니다. 이 두 가지 건강 문제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복합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A. 기생충 감염이 아연 수치를 고갈시키는 기전
기생충 감염은 여러 경로를 통해 체내 아연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흡수 불량: 람블편모충이나 토양매개성 연충과 같은 기생충에 의한 장 손상 및 염증은 아연을 포함한 영양소의 장 흡수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14 특히 람블편모충 감염은 혈청 아연 수치를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4 기생충은 장내 환경을 변화시켜 아연 흡수를 더욱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손실 증가: 기생충 감염의 흔한 증상인 만성 또는 빈번한 설사는 대변을 통한 아연 손실을 증가시킵니다. 8
- 영양소 경쟁/격리: 일부 기생충은 숙주의 아연을 직접 이용하거나 격리하여 아동이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습니다. 람블편모충이 영양소를 이용하고 격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1, 아연도 여기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면역 활성화: 감염 및 염증 반응(기생충에 대한 면역 반응) 동안 아연은 혈장에서 간 및 기타 면역 세포로 재분배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총 체내 아연량이 급격히 고갈되지 않더라도 측정 가능한 혈청 아연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14 만성 장 염증은 기생충 감염과 그에 대한 신체 반응이 아연 흡수 불량 및 재분배를 유발하는 공통 경로이며 4, 이 염증 자체도 성장과 신경 발달에 전신적인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 아연 결핍이 기생충에 대한 방어력을 약화시키는 기전
아연 결핍은 신체의 방어 체계를 약화시켜 기생충 감염에 더 취약하게 만듭니다.
- 면역 반응 손상: 아연 결핍은 기생충 감염을 퇴치하거나 통제하는 데 필요한 면역 체계의 다양한 측면(세포 매개 면역, 항체 생산, 사이토카인 조절 등)을 손상시킵니다. 2 이로 인해 새로운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고, 기생충 부담이 높아지며, 감염이 장기화되거나 더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 장벽 기능 약화: 아연은 장 점막의 통합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8 아연 결핍은 장벽 기능을 손상시켜 기생충이 침입하거나 손상을 일으키기 쉽게 만들고, 이차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C. 아동 건강 및 발달에 대한 상승적 영향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의 복합적인 영향은 각 문제의 개별적인 영향을 합한 것보다 더 큽니다. 두 가지 상태 모두 성장 지연, 인지 장애, 신체적 안녕 감소에 기여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과 미래 잠재력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하향 악순환을 만듭니다. 이러한 “악순환”은 한 가지 문제만 해결하고 다른 문제를 고려하지 않으면 최적의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 예를 들어, 기저 아연 결핍이 교정되지 않으면 기생충 감염 치료만으로는 영양 상태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성장 부진이나 반복적인 감염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아동을 진단할 때,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청 아연 수치는 급성 감염이나 염증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14, 실제 기저 결핍 진단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괄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V. 진단, 치료 및 관리 전략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A. 문제 식별: 진단 접근법
1. 기생충 감염 진단
- 대변 검사 (충란 및 기생충 검사): 많은 장내 기생충(예: 토양매개성 연충류, 람블편모충) 진단의 주요 방법입니다. 질병관리청은 대변 검체 전처리 시 기존 물-에테르 침전법 대신 자체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특정 기생충 검사: 요충 진단을 위한 스카치테이프 검사, 간흡충 진단을 위한 혈청학적 검사 또는 영상 검사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국내 지침: 질병관리청의 기생충 검출 프로토콜을 따릅니다.
2. 아연 상태 평가
- 임상 평가: 병력 청취(식이력, 반복 감염, 설사, 이식증과 같은 위험 요인), 신체 검진(성장 지표, 피부 변화, 탈모 등)이 중요합니다. 10
- 생화학적 검사: 혈청/혈장 아연 농도 측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급성 질환, 염증, 채혈 시간, 공복 상태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0 일반적으로 혈청 아연 농도가 70 µg/dL (또는 12 µmol/L) 미만일 때 결핍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 임신 중이거나 경구 피임약 복용 시 혈중 아연 농도가 약간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지표: 모발 아연 농도, 효소 활성도 측정 등은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아연 보충에 대한 반응이 때때로 진단적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B. 기생충 퇴치: 치료 프로토콜
기생충 감염 치료는 원인 기생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적절한 구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 구충제 치료:
- 요충, 회충, 편충, 십이지장충(구충): 알벤다졸(albendazole) 또는 메벤다졸(mebendazole)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알벤다졸은 일반적으로 400 mg 단회 투여합니다. 요충의 경우, 새로 부화한 충체를 제거하기 위해 7일 후 또는 2-3주 후 추가 투여가 권장됩니다. 2세 미만 소아에게는 의학적 감독 하에 치료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메벤다졸의 용법은 다양합니다. 질병관리청 지침에 따르면 편충증 치료 시 알벤다졸 400mg 1일 1회 또는 메벤다졸 500mg 1일 1회 또는 100mg 1일 2회, 3-7일간 투여할 수 있습니다.
-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프라지콴텔(praziquantel)이 선택 약제입니다.
- 람블편모충 (Giardia lamblia):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또는 티니다졸(tinidazole)이 일반적인 치료제입니다.
- 가족 및 접촉자 동시 치료: 요충과 같이 전염성이 높은 기생충의 경우, 재감염을 막기 위해 가족 구성원이나 밀접 접촉자를 함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국내 지침: 질병관리청 또는 대한소아과학회 등의 전문가 권고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지역이나 자원 부족 환경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집단 투약(예방적 구충)을 권고하기도 하지만,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기생충에 대해 개별 진단 후 치료하는 접근법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요충의 경우 어린이집 등 특정 집단 환경에서는 접촉자들에 대한 경험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C. 아연 수치 회복
아연 결핍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식이 요법과 필요한 경우 보충제 사용을 고려합니다.
1. 식이 중재: 식품을 통한 아연 섭취 최적화
- 아연이 풍부한 식품 섭취를 장려합니다.
- 국내 상황 고려: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연 풍부 식품(예: 살코기, 조개류, 간; 굴, 꽃게, 꼬막)을 강조합니다.
- 흡수율 향상 전략: 콩류나 곡물을 물에 담그거나 발효시키면 피틴산염 함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아연 보충제: 시기 및 방법
- WHO/UNICEF 지침: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KDRIs):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권장섭취량이 다릅니다. (아래 표 3 참조) 과다 섭취는 구리 결핍이나 다른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한섭취량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미국 FDA는 성인의 경우 하루 40mg 이상의 아연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 보충제 사용 적응증: 진단된 아연 결핍, 심각한 영양실조, 만성 설사, 특정 의학적 상태(예: 말단피부염), 또는 위험도 평가에 따른 의사의 권고 시. 10
- 아연 보충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의 지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3 다른 미량 영양소 결핍(특히 철 결핍)이 흔히 동반되므로, 아연 결핍 환자는 다른 미량 영양소 결핍 여부도 평가하고 함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구충제를 투여하는 것만으로는 아연이나 철분 결핍과 같은 심각한 영양 결핍 상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포괄적인 관리 계획에는 완전한 회복과 성장 따라잡기를 위해 구충제 치료와 함께 영양 평가 및 지원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연령군 | 평균필요량 (EAR) | 권장섭취량 (RDA) | 충분섭취량 (AI) | 상한섭취량 (UL) |
---|---|---|---|---|
0–5개월 | — | — | 2.0 | 4 |
6–11개월 | 2.5 | 3.0 | — | 5 |
1–2세 | 2.5 | 3.0 | — | 7 |
3–5세 | 3.5 | 4.0 | — | 10 |
6–8세 | 4.5 | 5.0 | — | 13 |
9–11세 (남) | 6.0 | 7.0 | — | 18 |
9–11세 (여) | 5.5 | 6.0 | — | 18 |
12–14세 (남) | 8.0 | 9.0 | — | 27 |
12–14세 (여) | 7.0 | 8.0 | — | 27 |
15–18세 (남) | 8.5 | 10.0 | — | 30 |
15–18세 (여) | 7.0 | 8.0 | — | 30 |
주: 위 표의 값은 한국영양학회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미국 NIH 13, DoctorNow 14,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15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정확한 연령별 상세 수치는 해당 기관의 최신 발표 자료를 확인해야 합니다. 상한섭취량(UL)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
식품군 | 구체적인 식품 예시 | 상대적 아연 함량 | 생체이용률/흡수 관련 참고사항 |
---|---|---|---|
붉은 살코기 |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 높음 | 동물성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생체이용률이 높음 |
가금류 | 닭고기, 칠면조고기 | 중간 | 동물성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생체이용률이 높음 |
해산물 | 굴, 게, 바닷가재, 생선 (정어리, 연어 등) | 매우 높음 (특히 굴) | 굴은 아연 함량이 매우 높아 소량으로도 권장량 충족 가능 |
유제품 및 계란 | 우유, 치즈, 요거트, 계란 | 중간 | 동물성 공급원 |
콩류 및 견과류 | 렌틸콩, 병아리콩, 검은콩, 아몬드, 호박씨, 참깨 | 중간 | 식물성 피틴산염이 아연 흡수를 저해할 수 있음. 물에 담그거나, 발아시키거나, 발효시키면 피틴산염 함량 감소 및 아연 흡수율 향상 가능. |
통곡물 | 현미, 귀리, 퀴노아, 통밀빵 | 보통 | 피틴산염 함유. 정제되지 않은 곡물 선택. |
아연 강화 식품 | 일부 아침 식사용 시리얼, 영유아용 조제분유, 아기용 고기 | 다양함 | 제품 라벨 확인 필요. |
자료: WHO 8, PMC 9 및 기타 영양 정보 종합. |
VI. 예방: 아동 건강 보호
아동의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을 예방하는 것은 장기적인 건강을 위한 가장 지속 가능한 전략입니다.
A. 기생충 감염 예방
- 개인 위생 습관:
- 화장실 사용 후, 음식 준비 및 식사 전, 외출 후에는 반드시 비누와 물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 손톱을 짧고 깨끗하게 유지하며, 손톱을 물어뜯거나 손가락을 빠는 습관을 교정해야 합니다.
- 식품 안전 및 안전한 물:
- 과일과 채소는 생으로 먹기 전에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 육류와 생선은 기생충을 사멸시키기 위해 완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합니다 (특히 간흡충 예방을 위해 민물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함).
- 안전한 식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환경 위생:
- 사람의 분변을 안전하게 처리하여 토양과 물 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 놀이터와 생활 공간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어린이집과 같은 단체 생활 시설에서는 장난감을 정기적으로 세척하고 소독해야 합니다.
- 가정 내 요충 감염자가 있을 경우, 의류와 침구를 자주 세탁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스팀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 구충 (예방화학요법):
- 토양매개성 기생충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WHO가 아동을 포함한 위험군에게 정기적인 예방적 구충제 복용을 권고합니다.
- 그러나 국내는 토양매개성 기생충 유병률이 낮아 모든 아동에게 일괄적으로 권고되지는 않습니다. 일부에서는 예방 목적으로 봄, 가을에 구충제를 복용하기도 하지만, 특정 위험 요인이 없는 한 모든 아동에게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생충 예방을 위한 위생 수칙은 병원성 기생충 전파를 막기 위한 표적화된 접근(손 씻기, 식품 안전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살균 환경 조성은 다른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B. 적절한 아연 영양 확보
- 아연 풍부 식단 장려:
- 아연 흡수율 향상 전략:
- 곡물이나 콩류를 물에 담그거나, 싹을 틔우거나, 발효시키는 등의 식품 가공 방법은 피틴산염 함량을 줄여 아연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11
- 유기산(과일의 구연산 등)이 풍부한 식품이나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아연 공급원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흡수 저해 요인 인지:
국내 식문화 특성을 고려한 예방 전략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민물고기 생식으로 인한 간흡충 감염 위험과 같이 특정 지역의 식습관과 관련된 위험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예방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연이 풍부한 식품을 권장할 때도 한국인의 일반적인 식단 패턴을 고려해야 합니다.
건강 문제 | 예방 범주 | 구체적인 예방 조치 | 간략한 이론적 근거/설명 |
---|---|---|---|
기생충 감염 | 개인 위생 | 비누로 손 철저히 씻기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외출 후) | 분변-구강 경로 전파 감소 |
식품 및 물 안전 | 육류/생선 완전히 익혀 먹기, 과일/채소 깨끗이 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 기생충 유충/알 사멸, 오염된 식품/물 섭취 방지 | |
환경 위생 | 안전한 분변 처리, 청결한 생활/놀이 환경 유지, 의류/침구류 정기 세탁/소독 (필요시) | 토양/물 오염 방지, 환경 내 기생충 알/유충 감소 | |
아연 결핍 | 식이 전략 | 아연 풍부 식품(육류, 해산물, 콩류 등) 포함된 균형 잡힌 식단 섭취 | 필수 미량영양소의 적절한 섭취 보장 |
흡수율 향상 | 콩류/곡물 불리기/발아/발효, 비타민 C 풍부 식품과 함께 섭취 | 피틴산염 감소, 아연 생체이용률 증가 | |
보충제 (예방적) | 위험군(예: 특정 질환, 심한 식이 제한)의 경우 의학적 조언에 따라 아연 보충제 고려 | 잠재적인 식이 부족분 해결 | |
자료: PMC 9,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3 및 관련 예방 지침 종합. |
결론
소아기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은 개별적으로도, 그리고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아동의 성장, 면역 기능, 인지 발달 및 전반적인 건강에 상당한 위협을 가합니다. 1 이러한 문제들이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장기적이고 비가역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 감염과 영양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는 적절하고 포괄적인 관리, 그리고 강력한 예방 조치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은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므로, 한 가지 측면만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예: 영양 지원 없는 구충 치료 또는 그 반대)는 불충분할 수 있습니다. 1 부모, 보호자 및 의료 전문가는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의 증상 및 위험 요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아야 합니다. 질병관리청의 기생충 관리 지침이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과 같은 국가 지침을 준수하고, 정확한 진단, 치료 및 개인 맞춤형 조언(특히 보충제 사용 관련)을 위해 의료 전문가와 적극적으로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보호자가 이러한 건강 문제에 대해 잘 알고 대처할 수 있도록 건강 정보 이해 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본 보고서가 그러한 노력에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궁극적으로 아동 건강에 대한 투자는 개인과 사회 전체에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줍니다. 위생 개선, 건강 교육 강화, 특히 취약 계층을 위한 영양 프로그램과 같은 지속적인 공중 보건 노력은 이러한 흔한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비록 위협은 심각하지만, 지식과 통합적인 노력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크게 완화하고 아동들이 더 건강한 미래를 맞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건강 정보이며, 개별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 아동에게 기생충 감염이나 아연 결핍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경우,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 또는 관련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구충제나 아연 보충제의 사용은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권장 용법과 용량을 준수해야 합니다. 임의적인 판단으로 약물을 사용하거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우리 아이가 기생충에 감염된 것 같은데, 어떤 증상을 주의 깊게 봐야 하나요?
A: 아동의 기생충 감염 증상은 감염된 기생충의 종류와 감염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원인 모를 복통, 설사, 변비, 오심, 구토, 복부 팽만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요충 감염의 경우 특히 밤에 항문 주위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수면 장애를 겪을 수 있습니다. 회충이나 구충과 같은 일부 연충류 감염 시에는 유충이 체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침이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성장 지연, 피로감, 창백해 보이는 얼굴(빈혈 증상) 등도 기생충 감염과 관련될 수 있는 신호입니다. 15 아이가 이러한 증상을 보이거나, 어린이집/유치원 등 단체생활 환경에서 기생충 감염이 유행하는 경우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아연이 부족하면 아이에게 어떤 장기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A: 아연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소이므로, 결핍 시 다양한 장기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성장 지연과 발육 부진입니다. 810 아연은 세포 성장과 분열, 뼈 발달에 중요하기 때문에 만성적인 아연 결핍은 아이의 키 성장과 전반적인 신체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역 기능 저하로 이어져 폐렴, 설사 등 감염성 질환에 더 자주 걸리고 심하게 앓을 수 있습니다. 28 인지 발달과 뇌 기능에도 아연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결핍 시 학습 장애, 주의력 감소, 기억력 문제 등 인지 능력 저하와 연관될 수 있으며, 활동 저하나 행동 지연과 같은 행동 문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9 심한 경우 성적 성숙 지연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10 따라서 아연 결핍이 의심되거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전문가의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Q3: 기생충약은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꼭 먹여야 하나요?
A: 과거 우리나라의 위생 환경이 좋지 않았을 때는 토양매개성 기생충 감염률이 높아 정기적인 구충제 복용이 권장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토양매개성 기생충 유병률은 매우 낮아져 모든 아동에게 일괄적으로 예방적 구충제 복용을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요충과 같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아동들 사이에서 쉽게 전파될 수 있는 기생충의 경우, 감염이 확인되거나 의심될 때 치료 목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간흡충과 같이 특정 식품(익히지 않은 민물고기) 섭취와 관련된 기생충은 해당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정 위험 요인이 없거나 의심되는 증상이 없는 건강한 아동에게 예방 목적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복용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는 아동의 생활 환경, 식습관, 증상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충제 복용 여부와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Q4: 아이의 아연 섭취를 늘리기 위한 가장 좋은 음식은 무엇인가요?
A: 아연은 다양한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아연 함량이 높고 체내 흡수율도 좋은 대표적인 식품은 동물성 식품입니다. 붉은 살코기(소고기, 돼지고기), 가금류(닭고기, 오리고기), 간, 달걀 등이 좋은 공급원입니다. 8 특히 굴은 아연 함량이 매우 높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선과 같은 해산물에도 아연이 풍부합니다. 식물성 식품 중에서는 콩류(렌틸콩, 병아리콩 등), 견과류(호두, 아몬드 등), 씨앗류(호박씨, 참깨 등), 통곡물(현미, 귀리 등)에도 아연이 함유되어 있지만, 식물성 식품에 함유된 피틴산염은 아연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8 콩류나 곡물을 물에 담그거나 발효시키면 피틴산염 함량을 줄여 아연 흡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1 아이의 식단에 이러한 식품들을 다양하게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유식을 하는 영유아나 편식이 심한 아동, 채식 위주의 식단을 하는 아동의 경우 아연 섭취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3
Q5: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을 동시에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기생충 감염과 아연 결핍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1,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예방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기생충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가 기본입니다.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외출 후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이 씻고, 손톱을 짧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둘째, 안전한 식품 섭취가 중요합니다. 채소와 과일은 깨끗이 씻어 먹고, 육류와 생선(특히 민물고기)은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합니다. 안전한 물을 마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셋째, 청결한 환경 유지가 필요합니다. 생활 공간과 놀이터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아연 결핍 예방을 위해서는 아연이 풍부한 식품을 포함한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와 같은 육류, 굴을 포함한 해산물, 달걀, 유제품 등 동물성 식품과 함께 콩류, 견과류, 통곡물 등 식물성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도록 합니다. 8 필요한 경우 아연 흡수율을 높이는 조리법(예: 콩류 불리기)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1
이처럼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기생충 감염 위험을 줄이고 충분한 아연을 섭취함으로써 두 가지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면책 조항- Bắt buộc phải có phần này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 and Nutritional Status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Old: A Systematic Review [인터넷]. ResearchGate;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5393000_Intestinal_Parasitic_Infection_and_Nutritional_Status_in_Children_under_Five_Years_Old_A_Systematic_Review
- Kim JY, Lee SM, Bae JY, et al. A Survey of Zinc Deficiency in Korean Children. Clin Exp Pediatr. 2005;48(12):1336-1342. [인터넷].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지); 2005년 12월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e-cep.org/upload/pdf/2005481202-20070301113901.PDF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아연이 부족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인터넷].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B&gubun=&page=1&number=8679&mode=view&keyfield=&key=
- Semba RD,PLATESI K, G نشان. Undernutrition and Intestinal Infections in Children: A Narrative Review. Nutrients. 2025;17(9):1479. [인터넷]. MDPI; 2025년 5월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mdpi.com/2072-6643/17/9/1479
- Gopalsamy PD, Al-Jardani S. Hookworm. [Updated 2023 Aug 8]. In: StatPearls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6648/
- Unlimit Health. Nutrition and parasitic infections [인터넷]. Unlimit Health;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unlimithealth.org/ntds/nutrition-and-parasitic-infections/
- Stephenson LS, Holland CV, Cooper ES. Malnutrition and parasitic helminth infection. Parasitology. 2000;121 Suppl:S73-92. [인터넷]. ResearchGate;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11951939_Malnutrition_and_parasitic_helminth_infection
- World Health Organization. Zinc supplementation to improve treatment outcomes among children with pneumonia [인터넷]. WHO;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who.int/tools/elena/bbc/zinc-pneumonia-children
- Black MM. Zinc deficiency and child development. Am J Clin Nutr. 1998;68(2 Suppl):464S-469S. [인터넷]. PMC;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137936/
-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건강정보: 아연결핍증 [zinc deficiency] [인터넷].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81
- Alarcon K, Kjar TAN, Vitalis D, et al.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with Intestinal Parasites from a Tropical Area of Bolivia: Emphasis on Zinc and Iron Status. J Trop Pediatr. 2015;61(4):283-90. [인터넷]. ResearchGate;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4007441_Nutritional_Status_of_Children_with_Intestinal_Parasites_from_a_Tropical_Area_of_Bolivia_Emphasis_on_Zinc_and_Iron_Status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식이영양(소아/청소년) [인터넷]. 질병관리청;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3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Zinc – Health Professional Fact Sheet [인터넷]. NIH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ods.od.nih.gov/factsheets/Zinc-HealthProfessional/
- 닥터나우.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아연! 아연의 효능, 하루 권장량, 아연이 풍부한 음식은? [인터넷]. 닥터나우;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4730d6b7942d4361a9370a074a4ce2f6
-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건강검진후관리 | 건강관리 | 영양과건강 | 영양섭취가이드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검색일: 2025년 5월 21일]. 제공처: https://health.amc.seoul.kr/health/maintain/guid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