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넛 오일과 완전 비교! 효능, 안전성, 여드름 논란 종결 (과학적 분석)

화장품 성분표의 단골손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이하 C/CT),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나요? 많은 사람들이 C/CT를 단순히 ‘코코넛 오일 유래 성분’ 정도로 알고 있거나, 심지어 코코넛 오일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에는 흔한 오해와 중요한 진실이 숨어 있습니다.

본 글의 목표는 C/CT의 모든 것 – 정의, 화학적 특성, 유래 과정부터 시작하여 피부에 미치는 다양한 효능,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성 평가, 그리고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인 여드름 유발 가능성까지 – 을 최신 연구 결과와 전문가 분석을 통해 속 시원히 파헤쳐 드리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 여러분께서 정보에 입각한 현명한 화장품 선택을 하고, 궁극적으로 건강한 피부 관리를 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코코넛 오일 등에서 유래하지만, 특정 지방산(카프릴산, 카프르산)만을 정제하여 글리세린과 결합시킨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CT)로, 코코넛 오일과는 화학적 구성 및 특성이 다릅니다.
  • C/CT는 코코넛 오일에 비해 사용감이 매우 가볍고 빠르게 흡수되며, 산화 안정성이 뛰어나고, 여드름 유발 가능성(코메도제닉 지수)이 현저히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주요 효능으로는 강력한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잠재적인 항산화 및 항균 효과, 그리고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과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다재다능함이 과학적 연구를 통해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 미국 CIR, 유럽 EFSA 등 국제 기관들은 C/CT를 안전한 성분으로 평가했으며, 여드름 유발 논란은 C/CT 자체보다는 제품 전체 제형 및 개인의 피부 타입과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 본 글은 이러한 C/CT의 모든 측면을 최신 연구와 전문가 분석을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해부하여, 소비자의 현명한 제품 선택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란 무엇인가? – 정의와 기본 특성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화장품 성분명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그 정체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단순히 ‘오일의 일종’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 속에는 흥미로운 화학적 이야기와 피부에 유익한 특성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1.1. 화학적 정의: 이름 속에 숨겨진 비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화학적 본질을 이해하려면 먼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라는 기본 구조부터 알아야 합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하나의 글리세린(Glycerin) 분자에 3개의 지방산(Fatty Acid)이 결합된 형태의 지질(Lipid)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식물성 오일이나 동물성 지방의 주성분이 바로 이 트리글리세라이드입니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글리세린에 ‘카프릴산(Caprylic Acid)’과 ‘카프르산(Capric Acid)’이라는 두 종류의 특정 지방산이 결합된 트리글리세라이드입니다. 카프릴산은 탄소 원자 8개(C8)로 이루어진 지방산이며, 카프르산은 탄소 원자 10개(C10)로 이루어진 지방산입니다. 이처럼 탄소 사슬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지방산들을 ‘중쇄 지방산(Medium-Chain Fatty Acids, MCFA)’이라고 부르며, 따라서 C/CT는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MCT)’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탄소 사슬의 길이는 지방산의 물리적 특성(예: 녹는점, 점도, 피부 흡수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1.2. 유래: 코코넛 오일로부터의 변신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주요 원료는 코코넛 오일(Coconut Oil)과 팜 커널 오일(Palm Kernel Oil)입니다. 이들 천연 오일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방산이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존재합니다. C/CT를 만드는 과정은 이러한 천연 오일에서 특정 지방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정교한 공정을 거칩니다1.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합니다:

  1. 가수분해 (Hydrolysis): 먼저 코코넛 오일이나 팜 커널 오일을 가수분해하여 글리세린과 혼합 지방산으로 분리합니다.
  2. 지방산 분리 (Fatty Acid Separation/Fractionation): 분리된 혼합 지방산 중에서 원하는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만을 선별합니다. 이 과정은 주로 ‘분별 증류(Fractional Distillation)’라는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각 지방산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사슬 길이의 지방산을 분리해내는 방식입니다.
  3.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이렇게 분리된 카프릴산과 카프르산을 다시 글리세린과 반응시켜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새로운 트리글리세라이드, 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합성합니다.
  4. 정제 (Purification): 마지막으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를 높이기 위한 정제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C/CT는 원료인 코코넛 오일과는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갖게 됩니다. 특히 코코넛 오일의 주된 단점으로 지적되는 무거운 사용감이나 높은 여드름 유발 가능성과 관련된 지방산(예: 라우르산 C12)이 상당 부분 제거되거나 비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C/CT가 코코넛 오일의 장점은 가지면서도 단점은 개선한 성분으로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1.3. 물리적 특징: 화장품에 사랑받는 이유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여러 가지 독특한 물리적 특징 덕분에 다양한 화장품에서 널리 사랑받는 성분입니다.

  • 외형 및 향: 맑고 투명하며 거의 무색에 가까운 액체 상태입니다. 또한, 코코넛 오일 특유의 향이 거의 없어 다른 향료와 혼합하기 용이하며, 제품 자체의 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21.
  • 가벼운 사용감과 빠른 흡수: C/CT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피부 위에서 느껴지는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입니다. 분자 구조가 상대적으로 작고 단순하여 피부에 닿았을 때 끈적임이나 번들거림 없이 빠르게 흡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지성 피부나 복합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메이크업 제품의 밀착력을 높이는 데도 기여합니다.
  • 뛰어난 안정성: C/CT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편입니다. 특히 포화지방산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어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다른 식물성 오일에 비해 산패(산화되어 변질되는 현상)가 훨씬 느립니다. 이러한 안정성은 화장품의 유통기한을 늘리고 제품의 품질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우수한 용해도 및 분산력: 다른 오일 성분이나 지용성 활성 성분들을 잘 녹이는 용매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며, 색소나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과 같은 입자들을 제품 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스킨케어 제품부터 메이크업, 헤어케어, 바디케어 제품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vs. 코코넛 오일: 닮은 듯 다른 두 성분 전격 비교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두 성분을 혼동하거나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C/CT는 코코넛 오일을 정제하고 특정 지방산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만든 성분이므로, 코코넛 오일과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지닙니다. 이 두 성분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2.1. 성분 구성: 결정적 차이는 ‘지방산’

두 성분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와 비율입니다.

  • 코코넛 오일 (Coconut Oil): 코코넛 오일은 다양한 종류의 지방산이 혼합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탄소 12개짜리 라우르산(Lauric Acid, C12)이 약 45-5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그 외에도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C14),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 카프릴산(C8), 카프르산(C10)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라우르산은 비교적 긴 사슬 지방산에 속하며, 코코넛 오일 특유의 무거운 질감과 높은 코메도제닉(여드름 유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CT): 반면, C/CT는 코코넛 오일 등에서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이라는 두 가지 중쇄 지방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글리세린과 재결합시킨 것입니다. 즉, 라우르산을 비롯한 다른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낮거나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정제된 지방산 구성은 C/CT가 코코넛 오일과 다른 물리적 특성(예: 상온에서의 상태, 피부에서의 사용감)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예: 여드름 유발 가능성)을 갖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C/CT는 코코넛 오일의 특정 부분(주로 C8, C10 지방산)만을 활용하여 그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한 ‘맞춤형’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2. 피부 사용감 및 흡수력: 가벼움이냐, 묵직함이냐

지방산 구성의 차이는 피부에 발랐을 때 느껴지는 사용감과 흡수력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 코코넛 오일: 코코넛 오일은 특유의 진한 향과 함께 피부 위에서 다소 무겁고 기름지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분자량이 비교적 큰 지방산(특히 라우르산)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고, 때로는 피부 표면에 잔여감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부 피부 타입, 특히 지성이나 여드름성 피부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CT는 거의 무향에 가까우며, 피부에 발랐을 때 매우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합니다. 중쇄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분자량이 작고 점도가 낮아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며, 번들거림이나 끈적임이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모든 피부 타입에 두루 사용하기 좋으며, 특히 가벼운 질감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또한, 다른 활성 성분들의 피부 흡수를 돕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2.3. 여드름 유발 가능성(코메도제닉 지수) 비교: 논란의 핵심

두 성분을 비교할 때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부분은 바로 여드름 유발 가능성, 즉 코메도제닉(Comedogenic) 지수입니다.

  • 코코넛 오일: 코코넛 오일은 일반적으로 코메도제닉 지수가 4등급(5등급 만점 중)으로 평가되어, 모공을 막아 여드름이나 뾰루지를 유발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주로 라우르산의 높은 함량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CT는 코코넛 오일에서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높은 라우르산 등이 대부분 제거되었기 때문에, 비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모공을 막지 않음) 또는 코메도제닉 지수가 매우 낮은(1~2등급) 성분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코코넛 오일 사용 시 여드름 문제를 경험했던 사람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주의: C/CT의 코메도제닉 논란에 대해서는 본 글의 섹션 4.2에서 더욱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C/CT 자체는 안전성이 높지만, 제품 전체의 다른 성분과의 조합이나 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과학이 밝혀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놀라운 효능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단순히 가볍고 안정적인 오일 성분을 넘어, 피부 건강에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다재다능한 원료입니다. 과학적 연구와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밝혀진 C/CT의 주요 효능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1. 효능 1: 강력한 보습과 피부 장벽 지킴이

C/CT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은 뛰어난 보습력과 피부 장벽 보호 기능입니다.

  • 작동 원리: C/CT는 피부 표면에 얇고 부드러운 보호막을 형성합니다. 이 보호막은 피부 속 수분이 외부로 증발하는 것(경피수분손실,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효과적으로 막아줍니다23. 동시에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피부 장벽 강화에 기여합니다. C/CT는 피부 유연화제(Emollient)로서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만들어줍니다42.
  • 연구 결과:
    • 다양한 연구에서 C/CT를 함유한 제형이 피부의 TEWL을 감소시키고 피부 수분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예: 동물 피부 모델 또는 인체 피부 패치 테스트)
    • 특히 건성 피부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이 약화된 경우,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등 다른 지질 성분과 C/CT를 함께 사용하면 피부 장벽 회복 및 기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예: 2022년 영국 피부과 학회지 발표 연구 등)
  • 결과: 이러한 작용을 통해 C/CT는 피부를 촉촉하고 유연하게 유지하며, 건조함으로 인한 각질, 가려움, 당김 등의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2. 효능 2: 피부 노화 방패, 항산화 효과

C/CT는 직접적인 항산화 능력은 약할 수 있으나, 피부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작동 원리: 활성산소는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세포 손상, 콜라겐 분해, 염증 반응 등을 유발하여 피부 노화를 촉진합니다. 항산화 성분은 이러한 활성산소를 중화하거나 제거하여 피부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56.
  • C/CT의 역할: C/CT 자체가 강력한 항산화제는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항산화 효과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다른 항산화 성분의 안정성 및 흡수 증진: C/CT는 비타민 E(토코페롤), 비타민 C, 코엔자임 Q10 등 다른 강력한 항산화 성분들을 안정적으로 제형 내에 유지시키고, 이들 성분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돕는 전달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피부 보호막 형성: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활성산소 생성의 일부 원인을 차단하는 데 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T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항산화 성분과 함께 배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3.3. 효능 3: 피부 트러블 방어? 잠재적 항균/항진균 효과

C/CT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인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은 특정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C/CT가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건강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근거: 카프릴산과 카프르산은 미생물의 세포막을 불안정하게 만들거나 특정 효소 시스템을 방해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 2018년 Molecular Membrane Biology 리뷰 논문 등)
  • 연구 결과:
    • 실험실 연구(in vitro)에서 카프릴산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RSA 포함), 여드름균(Cutibacterium acnes, 이전 Propionibacterium acnes), 칸디다(Candida albicans)와 같은 특정 세균 및 진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예: 2015년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연구 – 카프릴산과 GTN 병용 효과)
  • 피부 적용 시 기대 효과: 이러한 항균 특성은 피부에 적용했을 때 여드름, 모낭염 등 세균이나 진균과 관련된 피부 문제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여 건강한 피부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도 기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연구가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되었거나 특정 조건 하에서의 결과이므로, C/CT를 함유한 화장품이 임상적으로 뚜렷한 여드름 치료 효과나 항생제 대체 효과를 가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보조적인 항균 효과를 통해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3.4. 효능 4: 화장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다재다능함

C/CT는 직접적인 피부 효능 외에도 화장품 자체의 품질과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재다능한 성분입니다.

  • 분산제 (Dispersing Agent) 역할: 티타늄디옥사이드나 징크옥사이드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 또는 다양한 색소 입자들이 제품 내에서 뭉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발림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효과를 내도록 합니다.
  • 용매 (Solvent) 역할: 다른 지용성 활성 성분이나 오일류, 왁스류 등을 녹여 제품에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용매로서의 기능을 합니다7.
  • 질감 개선제 (Texture Enhancer): 제품에 부드럽고 매끄러운 질감을 부여하며, 피부에 발랐을 때 실키하고 고급스러운 마무리감을 선사합니다. 끈적임이나 유분감을 줄여주어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게 합니다.
  • 안정성 기여 및 방부 효과 보조: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구조 덕분에 제품 자체의 산패를 막아 유통기한을 연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일부 항균 특성으로 인해 방부제의 효과를 보조하거나 방부제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8.

이처럼 C/CT는 다양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화장품의 효능, 안정성, 사용감을 모두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핵심적인 첨가제(Excipient)이자 동시에 피부 효능을 가진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으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습니다.

4.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정말 안전할까? 안전성 논란 집중 탐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그 효능만큼이나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높습니다. 특히 ‘코코넛 오일 유래’라는 점 때문에 여드름 유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국제적인 안전성 평가 결과와 주요 논란의 핵심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4.1. 국제 기관들의 평가: CIR, EFSA는 ‘안전’ 판정

C/CT의 안전성은 공신력 있는 여러 국제 기관들의 검토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 미국 화장품 원료 검토 위원회 (Cosmetic Ingredient Review, CIR): CIR은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미국의 독립적인 전문가 위원회입니다. CIR은 2001년 및 2017년 개정된 평가를 통해 C/CT가 현재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식과 농도에서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9. 보고서에 따르면, C/CT는 급성 경구 독성이 낮고,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감작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또한, FDA(미국 식품의약국)는 C/CT의 구성 지방산인 카프릴산과 카프르산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로 분류하고 있습니다3.
  • 유럽 식품안전청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EFSA는 카프릴산과 카프르산을 포함한 지방산(E 570)을 식품 첨가물로서 재평가한 결과, 현재의 사용 수준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10. 이는 C/CT가 경구 섭취 시에도 안전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일일섭취허용량(ADI)은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음(Not Specified)’으로 평가되었습니다.
  • 유럽 연합 (European Union, EU): 유럽 연합의 화장품 규제 데이터베이스인 CosIng에 따르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유럽 내에서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이 정식 허가되었으며, 주로 피부컨디셔닝제(수분차단제) 및 착향제로 분류됩니다11.

이러한 국제 기관들의 평가는 C/CT가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성분임을 뒷받침합니다.

4.2. 최대 논란: 여드름 유발(코메도제닉) 진실 공방

C/CT와 관련하여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는 바로 ‘여드름 유발 가능성’, 즉 코메도제닉(comedogenic) 여부입니다. 많은 소비자들이 C/CT가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모공을 막고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 ‘괜찮다’는 주장 (비코메도제닉 또는 낮은 코메도제닉):
    • 근거 1 (화학적 조성): C/CT는 코코넛 오일에서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라우르산(Lauric acid, C12)과 같은 특정 긴 사슬 지방산이 대부분 제거되거나 함량이 매우 낮습니다. 대신 모공을 막을 가능성이 낮은 중쇄 지방산(카프릴산 C8, 카프르산 C1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근거 2 (물리적 특성): C/CT는 코코넛 오일보다 훨씬 가볍고 묽은 질감을 가지며 피부에 빠르게 흡수됩니다. 이는 모공을 막을 가능성을 줄여줍니다2.
    • 전문가 의견: Paula’s Choice와 같은 일부 화장품 전문가 그룹 및 피부과 의사들은 C/CT를 비코메도제닉 성분으로 분류하거나, 코메도제닉 지수가 매우 낮다고 평가합니다.
  • ‘조심해야 한다’는 주장 (잠재적 코메도제닉):
    • 근거 1 (모든 오일의 가능성): 이론적으로 모든 오일이나 지방산 성분은 피부 표면에 막을 형성하므로,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특정 피부 타입에서는 모공을 막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근거 2 (개인차 및 경험): 일부 사용자들은 C/CT 함유 제품 사용 후 여드름이나 뾰루지를 경험했다고 보고하기도 합니다1213. 이는 코코넛 유래 성분에 대한 개인적인 민감 반응이거나, C/CT 자체가 아닌 제품 내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 또는 제품의 전체적인 제형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인식: 특히 한국에서는 화장품 성분의 여드름 유발 가능성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C/CT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 KRHOW의 과학적 결론 및 가이드라인:
    • 결론: 현재까지의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볼 때,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자체는 코코넛 오일에 비해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며, 대부분의 경우 비코메도제닉 또는 낮은 코메도제닉 성분으로 간주됩니다.
    • 중요 고려사항: 하지만 ‘여드름 유발’ 여부는 단순히 한 가지 성분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제품 전체 제형: C/CT와 함께 배합된 다른 성분들(예: 다른 오일, 왁스, 실리콘, 유화제 등)이 모공 막힘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피부 타입 및 상태: 지성 피부, 여드름성 피부, 모공이 쉽게 막히는 피부 타입은 다른 피부 타입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피부 장벽 손상 여부나 현재 피부 상태도 중요합니다.
      • 사용량 및 사용 방법: 아무리 안전한 성분이라도 과도하게 사용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최종 사용자 가이드:
      • 일반적으로 C/CT는 대부분의 피부 타입에 안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특히 극지성 피부, 심한 여드름성 피부, 또는 코코넛 유래 성분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C/CT 함유 제품 사용 전 반드시 소량으로 패치 테스트(예: 귀 뒤, 팔 안쪽)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제품 선택 시 ‘논코메도제닉 테스트 완료(Non-comedogenic tested)’ 표시가 있는 제품을 고려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만약 특정 제품 사용 후 여드름이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한다면, C/CT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보다는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3. 기타 주의사항: 코코넛 알러지와 환경 문제

  • 코코넛 알러지: 매우 드물지만 코코넛 자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C/CT는 고도로 정제된 성분이므로 코코넛의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이 거의 제거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극도로 민감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확실하지 않다면 사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경 영향: C/CT의 주원료인 코코넛 오일과 팜 커널 오일의 생산 과정에서 지속가능성 및 환경 문제가 제기되기도 합니다1. 특히 팜유 산업은 열대우림 파괴와 생물 다양성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받고 있습니다. 소비자로서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원료를 사용하는 브랜드를 선택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C/CT의 생분해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입니다.

5. 내 피부를 위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활용법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그 우수한 특성 덕분에 매우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활용됩니다. 내 피부 타입에 맞춰 C/CT가 함유된 제품을 현명하게 선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5.1. 어떤 화장품에서 만날 수 있나? (다양한 예시)

C/CT는 거의 모든 유형의 화장품에서 발견될 수 있을 만큼 널리 사용되는 성분입니다53.

  • 스킨케어 제품:
    • 보습 크림 및 로션: 가장 대표적인 활용 분야입니다. 피부에 수분 보호막을 형성하고 유연성을 부여합니다.
    • 페이스 오일: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식물성 오일과 혼합되어 가벼우면서도 효과적인 보습을 제공합니다.
    • 세럼 및 앰플: 활성 성분의 흡수를 돕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더합니다.
    •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밤: 메이크업과 피부 노폐물을 부드럽게 녹여내는 역할을 하며, 세안 후에도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차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의 분산성을 높이고 발림성을 개선합니다.
    • 아이 크림: 연약한 눈가 피부에 자극 없이 부드러운 보습을 제공합니다.
  • 메이크업 제품:
    • 파운데이션, BB크림, 쿠션: 피부 밀착력을 높이고 균일한 발림성을 제공하며,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합니다56.
    •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입술을 촉촉하고 부드럽게 하며, 색소 분산을 돕습니다.
    • 크림 타입 블러셔 및 아이섀도우: 부드러운 질감과 발림성을 부여합니다.
  • 바디 및 헤어 케어 제품:
    • 바디 로션 및 크림, 바디 오일: 전신 피부에 보습과 영양을 공급합니다.
    • 마사지 오일: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마사지 효과를 높입니다.
    • 헤어 에센스 및 컨디셔너: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줍니다4.

5.2. 내 피부 타입, C/CT와 궁합은? (피부 타입별 맞춤 팁)

C/CT는 대부분의 피부 타입에 잘 맞지만, 자신의 피부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성 피부: C/CT의 풍부한 보습력과 피부 장벽 보호 효과는 건성 피부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피부 속 수분 증발을 막아 건조함을 완화하고, 피부를 오랫동안 촉촉하고 유연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등 다른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과 함께 배합된 제품을 선택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지성 및 복합성 피부: C/CT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인 가벼운 사용감과 빠른 흡수력은 지성 및 복합성 피부에게 매력적입니다. 번들거리거나 모공을 막을 부담이 적어, 기존의 무거운 오일 성분이 부담스러웠던 경우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여드름 유발 논란(섹션 4.2 참고)을 인지하고, 제품 전체의 다른 성분 구성(특히 다른 오일이나 실리콘 성분)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일프리’를 선호하지만 적절한 유분 공급이 필요한 경우 C/CT 함유 제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민감성 피부: C/CT는 일반적으로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매우 낮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어 민감성 피부도 비교적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화장품 성분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귀 뒤나 팔 안쪽 등에 소량으로 패치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 여드름성 피부: C/CT 자체는 코코넛 오일에 비해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여전히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습니다(섹션 4.2 참고). 따라서 여드름성 피부는 C/CT 함유 제품 선택 시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C/CT 외에 다른 잠재적 여드름 유발 성분(예: 특정 식물성 오일, 일부 실리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등)이 함께 배합되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논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테스트를 완료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5.3. 화장품 성분표 읽기: C/CT 똑똑하게 찾아내기

화장품 성분표에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현명한 제품 선택의 첫걸음입니다.

  • 성분명 확인: 화장품 전성분표에는 일반적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또는 영문명 ‘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 표기됩니다7.
  • 위치 확인 (함량 추정): 화장품 전성분은 함량이 높은 순서대로 기재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C/CT가 성분 목록의 앞부분에 위치할수록 해당 제품에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단, 1% 이하로 사용된 성분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기재될 수 있습니다.)
  • 함께 쓰인 성분 보기 (시너지 효과 예측): C/CT와 함께 어떤 성분들이 배합되었는지 살펴보면 제품의 주요 효능과 특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보습 강화: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부틸렌글라이콜, 세라마이드, 판테놀 등과 함께 있다면 보습 효과가 더욱 강조된 제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항산화 효과: 토코페롤(비타민 E), 아스코빅애씨드(비타민 C), 녹차추출물, 코엔자임 Q10 등 항산화 성분과 함께 있다면 피부 보호 및 노화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진정 효과: 병풀추출물, 알란토인, 마데카소사이드,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등 진정 성분과 함께 있다면 민감한 피부를 위한 제품일 수 있습니다.

성분표를 꼼꼼히 읽는 습관은 내 피부에 맞는 좋은 제품을 선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결론: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현명하게 알고 쓰자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단순히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한 성분’이라는 한정된 설명을 넘어, 과학적으로 그 효능(뛰어난 보습력, 피부 장벽 강화, 잠재적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등)과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검증된 매우 똑똑하고 다재다능한 현대 화장품의 핵심 원료 중 하나입니다.

피부에 부담 없는 가벼운 사용감과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은 C/CT가 스킨케어부터 메이크업, 바디 및 헤어 케어 제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특히 코코넛 오일의 단점(무거운 사용감, 높은 여드름 유발 가능성)은 효과적으로 보완하면서도 유익한 특성은 유지하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여드름 유발 논란과 관련하여, 현재까지의 과학적 근거는 C/CT 자체의 직접적인 위험성은 낮다는 점에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화장품의 효과와 안전성은 단일 성분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품 전체의 포뮬러, 다른 성분과의 조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 개인의 고유한 피부 타입과 상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최종 제언: 본 글에서 제공된 정확하고 균형 잡힌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의 피부 타입과 고민에 가장 잘 맞는 제품을 현명하게 선택함으로써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식 습득은 더욱 만족스러운 뷰티 라이프를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입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 궁금증 완벽 해결

Q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모든 피부 타입에 정말 안전한가요?

네, 국제적인 안전성 평가(예: 미국 CIR9)에서 매우 안전한 성분으로 평가받았으며, 일반적으로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매우 낮아 대부분의 피부 타입(민감성 피부 포함)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극히 드물게 코코넛 자체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나 특정 제품의 전체적인 제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처음 사용하는 제품은 항상 귀 뒤나 팔 안쪽에 소량으로 패치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극지성 피부나 심한 여드름성 피부를 가지신 분들은 본문 4.2 섹션의 여드름 유발 논란 관련 내용을 참고하여 신중히 접근하시길 권장합니다.

Q2: 코코넛 오일과 정확히 뭐가 다른 건가요? 핵심만 알려주세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했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방산 구성의 차이: C/CT는 주로 탄소 사슬 길이가 짧은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으로 정제된 반면, 코코넛 오일은 탄소 사슬 길이가 더 긴 라우르산(C12)을 다량 함유합니다.
  2. 사용감 및 흡수력: 이 구성 차이로 인해 C/CT는 코코넛 오일보다 훨씬 가볍고 빠르게 흡수되며, 끈적임이 적습니다.
  3. 여드름 유발 가능성: C/CT는 코코넛 오일에 비해 코메도제닉 지수가 현저히 낮아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적습니다.
  4. 안정성: C/CT는 화학적으로 더 안정되어 산패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간단히 말해, C/CT는 코코넛 오일의 장점은 취하면서 단점(무거움, 여드름 유발 가능성)은 개선한 성분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Q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여드름을 유발한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과학적으로 볼 때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 자체가 직접적으로 여드름을 유발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많은 전문가 그룹과 연구에서 C/CT는 비코메도제닉(모공을 막지 않는) 성분으로 분류되거나 코메도제닉 지수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됩니다2.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이 C/CT 함유 제품 사용 후 여드름을 경험했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제품 내 다른 성분: C/CT 외에 함께 배합된 다른 성분(예: 특정 오일, 실리콘, 유화제 등)이 여드름을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 개인의 피부 민감도 및 상태: 모든 사람의 피부는 다르며, 특정 성분에 대한 반응도 개인차가 큽니다. 또한, 피부 장벽이 손상되었거나 특정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제품의 전체적인 제형: 단일 성분보다는 제품 전체의 포뮬러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큽니다.

따라서 ‘C/CT 때문에 여드름이 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특정 제품 사용 후 트러블이 발생했다면, 전성분을 확인하고 다른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4.2 섹션을 참고해 주십시오.)

Q4: C/CT가 함유된 좋은 화장품은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 함유 제품을 선택할 때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면 도움이 됩니다:

  1. 전성분 확인: C/CT 외에도 자신의 피부 타입이나 고민에 맞지 않는 다른 성분(예: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알코올, 향료, 높은 코메도제닉 지수의 다른 오일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2. 피부 타입 고려: 건성 피부라면 C/CT와 함께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등 보습 성분이 강화된 제품을, 지성 피부라면 가볍고 산뜻한 제형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문 5.2 섹션 참고)
  3. 브랜드 신뢰도 및 제품 후기: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제품인지, 다른 사용자들의 후기는 어떤지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논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표시: 특히 여드름이나 모공 막힘이 우려된다면, 논코메도제닉 테스트를 완료했거나 해당 표시가 있는 제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단, 이 표시가 모든 사람에게 절대적으로 여드름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5. 패치 테스트: 새로운 제품은 언제나 사용 전 소량으로 귀 뒤나 팔 안쪽 등에 패치 테스트를 하여 자신의 피부에 잘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5: 먹는 MCT 오일과 화장품의 C/CT는 같은 건가요?

먹는 MCT(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과 화장품에 사용되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는 화학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둘 다 코코넛 오일 등에서 유래한 중쇄 지방산(주로 카프릴산 C8, 카프르산 C10)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정제 수준 및 순도: 화장품용 C/CT는 피부 적용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높은 순도로 정제되고,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불순물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반면, 식용 MCT 오일은 식품 섭취 기준에 맞춰 생산됩니다.
  • 첨가물: 각 용도에 따라 미량의 다른 성분이나 안정제 등이 첨가될 수 있습니다.
  • 생산 공정 및 규제 기준: 화장품 원료와 식품 원료는 각각 다른 규제 기준과 생산 공정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C/CT를 섭취하거나, 식용 MCT 오일을 직접 피부에 바르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각 제품은 본래의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Q6: C/CT의 항균 효과가 여드름 치료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나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CT)의 구성 성분인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은 일부 연구에서 여드름의 원인균 중 하나인 Cutibacterium acnes (이전 Propionibacterium acnes)를 포함한 특정 세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보인다는 결과가 있습니다1415. 이러한 연구 결과는 C/CT가 피부의 건강한 미생물 환경을 유지하고, 여드름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잠재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6.

하지만 현재까지 C/CT 자체를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할 만큼 강력하고 직접적인 임상적 증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여드름은 호르몬, 유전,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피부 질환이므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살리실산(BHA), 벤조일퍼옥사이드, 레티노이드 등 과학적으로 검증된 여드름 치료 성분을 사용하거나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C/CT는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통해 여드름 관리 과정을 보조하거나, 항균 특성을 통해 추가적인 피부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주된 치료 수단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면책 조항 (Disclaimer)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의학적 진단, 치료 또는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특정 질환이나 건강 상태에 대한 질문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건강 관리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본문에 언급된 특정 제품이나 치료법에 대한 추천은 KRHOW.COM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닐 수 있습니다.

KRHOW.COM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정보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존하기 전에 항상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문헌

  1. From Nature With Love. MCT Oil (Caprylic Capric Triglycerides).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fromnaturewithlove.com/SOAP/product.asp?product_id=OILMCT6040DE865.
  2. Paula’s Choice Research Team. Caprylic/Capric Triglyceride. Paula’s Choice Ingredient Dictionary.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paulaschoice.co.kr/ingredients/ingredient-caprylic-capric-triglyceride.html.
  3. CosmeticsInfo.org. Caprylic/Capric Triglyceride.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cosmeticsinfo.org/ingredient/caprylic-capric-triglyceride/.
  4. 허브누리.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MCT).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herbnoori.com/index.html?branduid=168203.
  5. Vinmec International Hospital. What Is Caprylic/Capric Triglyceride and Is It Safe?.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vinmec.com/en/blog/what-is-capryliccapric-triglyceride-and-is-it-safe-en/.
  6. Rajale RN. (2022, Feb 6). Capric Triglyceride: The Ubiquitous Ingredient In Beauty Products. Enclaire Website. Accessed May 12, 2025. https://enclaire.in/article/capric-triglyceride-the-ubiquitous-ingredient-in-beauty-products.
  7. 대한화장품협회. 성분 사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검색. Accessed May 12, 2025. https://kcia.or.kr/cid/search/ingd_word.php?sw=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8. 허브누리 블로그. (2022, April 13). 피부 자극 없는 화장품 재료,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Naver Blog. Accessed May 12, 2025. https://blog.naver.com/herbnoori/222699495329.
  9. Cosmetic Ingredient Review Expert Panel. (2017). Amended Safety Assessment of Triglycerides as Used in Cosmetics. Cosmetic Ingredient Review.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cir-safety.org/sites/default/files/triglycerides.pdf.
  10. EFSA Panel on Food Additives and Nutrient Sources added to Food (ANS). (2017). Re-evaluation of fatty acids (E 570) as food additives. EFSA Journal, 15(5), e04785. doi: 10.2903/j.efsa.2017.4785. PMID: 32625491.
  11. European Commission. CosIng – Cosmetics Ingredients database. Caprylic/Capric Triglyceride (CAS 73398-61-5 / 65381-09-1) 검색. Accessed May 12, 2025. https://ec.europa.eu/growth/tools-databases/cosing/.
  12. 정단비 기자. (2020, May 13). [성분 연구소] 낯선 화장품 성분, 이건 뭐지? ‘카프릴릭/카프트리글리세라이드’. 데일리팝.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44573.
  13. 뷰티박스 (Beautbox17). (2018, May 25). [화장품 성분 사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Naver Blog. Accessed May 12, 2025. https://blog.naver.com/beautbox17/221284037428.
  14. Raad I, Hanna H, Jiang Y, et al. (2015). Rapid and complete eradication of biofilms form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using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glyceryl trinitrate and caprylic acid.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9(4), 2185–2190. doi: 10.1128/AAC.05171-14. PMID: 25561341.
  15. Yoon BK, Jackman JA, Valle-González ER, Cho NJ. (2018). Antimicrobial lipids: destabilizing bacterial membranes. Molecular Membrane Biology, 35(1), 1–15. doi: 10.1080/09687688.2018.1467264. PMID: 29745278.
  16. Environmental Working Group. Caprylic/Capric Triglyceride. EWG Skin Deep® Cosmetics Database.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ewg.org/skindeep/ingredients/701059-CAPRYLIC_CAPRIC_TRIGLYCERIDE/.
  17. Daniels R, Knie U. (2024). Influence of Ethanol on Skin Penetration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Drugs from a Cream Formulation. Pharmaceutics, 16(3), 350. doi: 10.3390/pharmaceutics16030350. PMID: 38543539.
  18. Danby SG, Andrew PV, Kay LJ, et al. (2022). Enhancement of stratum corneum lipid structure improves skin barrier function and protects against irritation in adults with dry, eczema-prone skin.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86(5), 875–886. doi: 10.1111/bjd.21869. PMID: 36102100.
  19. Calina D, Docea AO, Slatineanu SM, et al. (2024). Antioxidants in Cosmetics: Current Trends in Clinical Evidence and Safety. Applied Sciences, 14(6), 2571. doi: 10.3390/app14062571.
  20. Baumann L. Caprylic/Capric Triglyceride for Skin Care. Skin Type Solutions Blog. Accessed May 12, 2025. https://skintypesolutions.com/blogs/skincare/caprylic-capric-triglyceride.
  21. D’Alessandro L. (Date unknown). Caprylic Triglyceride Might Be Hard to Pronounce, But This Hero Hydrator Is in Just About Every Product. IPSY Blog.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ipsy.com/blog/caprylic-capric-triglyceride-in-skincare.
  22. Masksheets.com Blog. (Date unknown). Ingredient Focus #7: Caprylic/Capric Triglycerides.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masksheets.com/ko/blogs/all/ingredient-focus-7-caprylic-capric-triglycerides.
  23. COOS.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Accessed May 12, 2025. https://coos.kr/ingredients/%EC%B9%B4%ED%94%84%EB%A6%B4%EB%A6%AD%2F%EC%B9%B4%ED%94%84%EB%A6%AD%ED%8A%B8%EB%9D%BC%EC%9D%B4%EA%B8%80%EB%A6%AC%EC%84%B8%EB%9D%BC%EC%9D%B4%EB%93%9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