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7개월 아기, 건강하고 안전하게 과일 먹이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세 가이드

생후 7개월은 아기가 본격적으로 새로운 맛의 세계를 탐험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달콤하고 영양이 풍부한 과일은 아기의 미각 발달과 건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언제, 어떤 과일부터, 어떻게 먹여야 할지 초보 부모님들의 고민은 깊어집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국내외 최신 의학 지침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7개월 아기에게 과일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먹이는 방법에 대한 모든 것을 상세하게 총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아기의 발달 단계에 맞는 올바른 과일 섭취법부터 알레르기 대처, 건강한 식습관 형성까지,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모든 질문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소아과학회(AAP): 이 기사의 영유아 수유, 고형식 도입 시기 및 안전 지침에 관한 권장 사항은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소아과학회(AAP)가 발표한 최신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13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KPS): 한국 아기의 이유식 시작 시기, 종류, 알레르기 관련 정보는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의 공식 권고 사항을 따릅니다.4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고형식 준비, 질식 예방, 식품 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상세 지침을 참조하였습니다.2

핵심 요약

  • 적절한 시기: 아기가 머리와 목을 잘 가누고, 받쳐주면 앉을 수 있으며, 음식에 관심을 보이는 등 발달 신호가 나타나는 6개월 이후, 즉 7개월은 과일을 시작하기 이상적인 시기입니다.
  • 최고의 첫 과일: 알레르기 위험이 낮고 소화가 쉬운 사과, 배, 바나나, 아보카도가 추천됩니다. 특히 한국의 배는 문화적으로 친숙하고 신뢰도가 높습니다.
  • 안전한 준비법: 초기에는 단단한 과일을 찌거나 삶아 부드럽게 만든 후, 으깨거나 갈아서 연두부 정도의 묽기로 제공해야 합니다. 질식 위험을 막기 위해 씨, 껍질, 단단한 심은 반드시 제거합니다.
  • 알레르기 최신 지견: 과거와 달리, 특정 과일(딸기, 토마토 등)의 도입을 무조건 늦추는 것은 알레르기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현대 의학의 정설입니다. 소량의 익힌 과일로 시작하여 3~5일간 반응을 살피며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반응적 수유의 중요성: 아기가 배고픔과 배부름의 신호를 보낼 때 이를 존중하고 반응해주는 것이 건강한 식습관 형성의 기초입니다. 억지로 먹이지 않고 아기의 주도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1부: 7개월, 왜 지금 과일을 시작해야 할까?

아기에게 과일을 소개하는 것은 단순히 간식을 추가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아기의 발달 과정에 맞춰진 과학적이고 필연적인 단계입니다. 부모가 아기의 신호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이유식을 진행할 때, 아기는 음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건강한 식습관의 첫걸음을 뗄 수 있습니다.

1.1. 아기가 보낸다, “저 준비됐어요!” 발달 신호 분석

아기가 고형식을 먹을 준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안전과 직결된 첫 번째 단계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 미국소아과학회(AAP),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같은 세계적인 보건 기구들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KPS)는 아기가 음식물을 안전하게 섭취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몇 가지 명확한 발달 신호에 대해 동의합니다.1 이러한 신호들은 보통 생후 6개월경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로 인해 7개월 아기는 과일과 같은 새로운 음식을 탐험하기에 이상적인 후보가 됩니다.

주요 발달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적인 머리 및 목 제어: 아기가 앉았을 때 머리를 똑바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2
  • 도움받아 앉기 가능: 아기용 식탁 의자에 앉혔을 때,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음식을 삼키기에 안전한 자세를 만들어 줍니다.2
  • 혀 내밀기 반사 소실: 숟가락 등으로 음식을 입에 넣어주었을 때, 혀로 음식을 밀어내기보다 오물오물 삼키려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이는 젖을 빠는 단계에서 숟가락으로 먹는 단계로 넘어가는 중요한 발달 과정입니다.2
  • 음식에 대한 관심 표현: 어른들이 식사하는 모습을 흥미롭게 쳐다보거나, 음식을 주려고 하면 입을 벌리고, 심지어 음식을 향해 손을 뻗기도 합니다.3

“7개월이라는 시점은 임의적인 숫자가 아닙니다. 이는 아기의 신경-근육계가 모유나 분유보다 복잡한 질감의 음식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발달했음을 반영하는 생물학적 이정표입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부모가 눈으로 관찰하는 이러한 외부적인 신호들이 사실은 아기 몸 내부의 성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의학적 권고에 대한 신뢰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어 줍니다.

1.2. 아기 몸속의 변화: 소화 시스템의 성장

눈에 보이는 발달 신호와 더불어, 7개월 아기의 몸속에서는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일 준비를 마치는 중요한 생리학적 변화들이 일어납니다.

  • 영양소 격차 발생: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아기의 에너지 및 미량 영양소, 특히 철분과 아연에 대한 필요량이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족되기 어려워집니다.1 따라서 이유식(보충식)은 선택이 아닌, 아기의 완전한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 됩니다.
  • 소화기관의 성숙: 생후 6-7개월이 되면 아기의 소화 시스템은 이전보다 훨씬 성숙해집니다. 주요 소화 효소들이 더 높은 농도로 분비되기 시작하고, 장 점막의 투과성이 감소합니다(신생아 시기의 ‘장 누수’ 현상이 점차 닫힘).7 이러한 변화는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이 혈류로 들어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위험을 줄여주며, 아기가 음식을 더 효율적으로 소화하도록 돕습니다.8

부모님들께 “아기가 음식에 손을 뻗는 것은 몸속 소화기관이 준비되었다는 신호입니다”라고 설명하는 것은, “6개월부터 이유식을 시작하세요”라는 단순한 규칙을 합리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생물학적 원리로 바꾸어 줍니다.

1.3. 미각 교육의 골든타임: 새로운 맛과의 첫 만남

초기 이유식 시기는 단순히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미래의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미각 교육’의 결정적인 시기입니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아기의 맛 경험은 이미 엄마 뱃속의 양수를 통해 시작되며, 출생 후에는 모유를 통해 계속됩니다.9 엄마가 섭취하는 음식의 맛과 향이 모유에 반영되어, 아기가 나중에 고형식을 더 쉽게 받아들이도록 돕는 ‘맛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9, 10 과일의 자연스러운 단맛과 다채로운 질감을 포함하여 다양한 맛을 일찍부터 경험하게 하는 것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food neophobia)을 줄이고 평생의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9

“당신은 지금 아기에게 단순히 밥을 먹이는 것이 아닙니다. 아기의 ‘미각’을 가르치고 있는 것입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이 시기는 아기의 미각을 훈련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의 창입니다. 과일을 주는 것은 비타민을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기를 위한 ‘맛의 도서관’을 만들어주는 행위입니다.

2부: 과일이 주는 핵심 영양학적 이점

과일은 ‘몸에 좋다’는 막연한 인식을 넘어, 7개월 아기의 성장 단계에 필수적인 구체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영양학적 가치를 지닙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과일이 아기에게 제공하는 핵심적인 이점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2.1. 비타민 C와 철분의 완벽한 시너지

이것은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하고 실용적인 영양학적 이점 중 하나입니다.

  • 철분의 중요성: 아기가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철분 저장량은 생후 6개월경부터 고갈되기 시작하며, 특히 완모 아기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보충해주는 것은 아기의 인지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철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5, 12
  • 흡수율을 높이는 비밀: 과일에 풍부한 비타민 C는 식물성 식품(철분 강화 시리얼, 콩, 녹색 잎채소 등)에 포함된 비헴철(non-heme iron)의 흡수율을 극적으로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11, 13 화학적으로 비타민 C는 흡수가 어려운 3가 철(Fe³⁺)을 체내 흡수가 용이한 2가 철(Fe²⁺) 형태로 전환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14, 15
  • 실제 적용법: 가장 효과적인 영양 전략은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예: 사과, 배 퓌레)을 철분이 강화된 이유식(예: 철분 강화 오트밀, 렌틸콩 퓌레)과 한 끼 식사에 함께 제공하는 것입니다.13, 16, 17

과일은 독립적인 식품군일 뿐만 아니라, 아기의 몸이 다른 중요한 영양소를 더 잘 흡수하도록 돕는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사과에는 비타민 C가 많아요”라고 말하는 대신, “아기의 철분 강화 오트밀에 사과 퓌레 몇 스푼을 추가하는 것은 단순히 맛을 좋게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사과 속 비타민 C는 오트밀의 철분이라는 자물쇠를 여는 ‘열쇠’처럼 작용하여 아기의 몸이 철분을 훨씬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해줍니다.” 와 같이 구체적인 비유를 통해 설명하면 부모가 식품 조합의 가치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2. 건강한 장을 위한 식이섬유와 프리바이오틱스

과일은 아기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 즉 ‘장내 정원’을 가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프리바이오틱스의 공급원: 사과와 같은 과일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일종인 펙틴(pect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훌륭한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합니다.18
  • 프리바이오틱스의 역할: 프리바이오틱스는 소화되지 않은 채 장까지 도달하여,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이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같은 장내 유익균(프로바이오틱스)의 ‘먹이’가 되어줍니다.19, 20
  • 장기적인 이점: 영유아기의 건강한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면역 체계 발달과 전반적인 건강의 기초가 됩니다.20 펙틴은 이러한 유익균의 성장을 돕고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19, 21

아기에게 과일을 먹이는 것은 아기의 장을 위해 일찍부터 ‘정원 가꾸기’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아기의 장을 새로운 정원이라고 상상해보세요. 유익균은 건강한 식물의 씨앗입니다. 사과와 배에 든 프리바이오틱스 식이섬유는 이 ‘좋은 식물’들이 무성하게 자라 ‘잡초'(유해균)를 압도하도록 돕는 특별한 비료와 같습니다.” 이 비유는 과일의 이점을 더욱 구체화하고 초기 영양 선택의 장기적인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3. 폴리페놀과 항산화 물질의 힘

이 기사의 과학적 깊이를 더하기 위해, 식물성 화합물의 이점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합니다.

폴리페놀(Polyphenols)은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로, 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22 이러한 화합물들은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아기의 건강과 장내 미생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23, 24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단은 여러 장기적인 건강상의 이점과 관련이 있습니다.22

7개월 아기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이러한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KRHOW의 기사가 최신 영양 과학을 반영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임을 보여줍니다. 이는 과일의 이점이 단순히 비타민과 미네랄 목록을 넘어선다는 ‘통곡물 식품(whole food)’의 메시지를 강화합니다.

3부: 한국 부모를 위한 실전 가이드

이 장에서는 과학적 원리들을 한국의 부모님들이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행동 지침으로 전환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공하는 이 글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3.1. 첫 과일 선택: 한국의 제철 과일과 안전성 기반 접근

한국 부모님들의 실제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시합니다.

추천하는 첫 과일 목록

알레르기 위험이 낮고 소화가 용이한 과일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바나나는 알레르기 반응 위험이 낮고 맛이 순해 아기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어 이상적인 첫 과일로 추천됩니다.25, 26, 27 부드러운 질감과 건강한 지방을 함유한 아보카도 역시 훌륭한 선택입니다.

특히 한국적 맥락에서 배(梨)는 단순한 과일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예로부터 기침을 완화하는 민간요법에 사용되는 등 문화적으로 친숙하고 신뢰도가 높아 부모님들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과일입니다.28 이 기사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친숙성을 적극 활용하고자 합니다.

부모님들이 장을 볼 때 빠르고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정보 표를 제공합니다.

표 1: 7개월 아기를 위한 첫 과일 추천 (한국 제철 기준)

과일명 (Korean Name) 국내 제철 (Peak Season in Korea) 주요 영양소 (Key Nutrients) 알레르기 위험도 (Allergy Risk) 조리법 제안 (Preparation Suggestion)
사과 (Apple) 11월경29 펙틴, 비타민 C, 식이섬유30 낮음 찌거나 삶아서 갈아주기 (퓌레)
배 (Pear) 9월경29 식이섬유, 칼륨, 항산화 물질 낮음 찌거나 삶아서 갈아주기 (퓌레)
바나나 (Banana) 연중 수입 칼륨, 비타민 B6, 마그네슘31, 32 낮음 익은 것 그대로 으깨기
아보카도 (Avocado) 연중 수입 단일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낮음 익은 것 그대로 으깨기
자두 (Plum) 7~8월33 식이섬유, 비타민 A & C33 낮음 익혀서 껍질 제거 후 갈아주기

*이 표는 한국 시장에서 장을 보는 부모의 현실에 직접적으로 부합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영양학적 조언과 실제 생활을 연결합니다.

3.2. 좋은 과일 고르기와 손질법

장보기부터 주방에서의 준비까지, 부모를 위한 실용적인 조언이 중요합니다.

  • 과일 고르기: 아기에게 적합한 잘 익은 과일을 고르는 법을 안내합니다. 예를 들어, 아보카도는 가볍게 눌렀을 때 살짝 들어가는 것을 고르고,34, 35 한국 배 품종 중에서는 석세포가 적고 단맛이 더 강한 ‘신고(申告)’나 ‘황금배(黃金梨)’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36, 37 구체적인 품종을 제안하는 것은 깊은 이해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상당한 부가 가치를 제공합니다. 부모는 단순히 ‘배’를 살 수도 있지만, 덜 시고 단맛이 강한 품종을 추천해주면 아기가 처음 맛볼 때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초기 손질: 흐르는 깨끗한 물에 과일을 깨끗이 씻는 것을 강조합니다. 초기 단계에 과일을 익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박사는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셀룰로오스 섬유가 파괴되어 과일이 부드러워지고 소화하기 쉬워지며, 일부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38, 27

3.3. 조리 및 수유 안전 수칙 마스터하기

이 부분은 부모들의 가장 큰 두 가지 걱정거리인 ‘질식’과 ‘식품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음식 묽기 조절 단계별 가이드

7개월 (중기 이유식): 음식의 질감은 부드럽지만 초기 미음보다는 약간 더 되직해야 합니다. ‘연두부’나 되직한 요거트 정도의 묽기가 적절합니다.39, 40 이 시기의 아기는 혀를 사용해 음식을 입안에서 굴리고 잇몸으로 으깨는 연습을 시작합니다.2 “숟가락 위에서 형태를 유지하지만, 아기의 혀와 입천장 사이에서 쉽게 으깨져야 합니다”와 같은 시각적인 묘사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점진적인 질감 상향: 전문가들은 나중에 생길 수 있는 섭식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음식의 질감을 점진적으로 높여나갈 것을 강조합니다. 생후 10개월 이후까지 덩어리 있는 음식의 도입을 미루면, 아이가 다양한 질감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40, 41

최적의 질식 예방 절차

미국 CDC와 AAP의 상세한 조언을 종합하여 부모를 안심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2

  • 사과처럼 단단한 과일은 매우 부드러워질 때까지 익힙니다.
  • 씨, 단단한 심, 질긴 껍질은 반드시 제거합니다.
  • 믹서로 갈거나 체에 걸러 매우 부드럽게 만듭니다.
  • 향후 핑거푸드(8~9개월경)를 줄 때는, 기도를 막을 수 있는 둥근 모양(통포도 등)을 피하고 아기가 잡기 좋은 크기로 작게 잘라줍니다.
  • 식사 중에는 항상 아기를 지켜보고, 등을 똑바로 세운 자세로 앉혀야 합니다.

표 2: 질식 예방을 위한 안전한 과일 조리 가이드

과일 (Fruit) 위험한 형태 (Hazardous Form) 7개월 아기에게 안전한 형태 (Safe Form for 7 Months) 8-9개월 이후 안전한 형태 (Safe Form for 8-9+ Months)
사과/배 (Apple/Pear) 단단한 조각, 둥근 슬라이스 곱게 간 퓌레, 되직하게 으깬 것 부드럽게 익혀 작게 썬 조각; 얇은 슬라이스
바나나 (Banana) 두껍게 자른 둥근 조각 푹 익은 것을 으깬 것 작게 썬 조각; 길고 부드러운 스틱 모양
포도/딸기 (Grapes/Strawberries) 통째로 권장하지 않음 (초기) 길이로 4등분 (포도); 얇게 슬라이스 (딸기)

식품 안전: 조리 및 보관

위생: 손 씻기, 조리도구 및 과일 세척 등 엄격한 위생 규칙을 강조해야 합니다.1, 42, 43

보관: 직접 만든 과일 퓌레는 냉장 보관 시 1~2일, 냉동 보관 시 최대 1~3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습니다.44, 45 얼음 트레이에 얼리면 소분하기 편리하다는 등의 실용적인 팁을 제공합니다.46

시판 제품: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판 이유식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기준을 준수해야 하지만, 부모는 포장 상태와 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47, 48, 49

4부: 과일 알레르기, 근거 중심의 현대적 접근

이 주제는 다소 상충되고 계속 발전하는 조언들을 신중하게 종합해야 하는 가장 복잡한 부분입니다. KRHOW는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명확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4.1. 패러다임의 전환: ‘회피’에서 ‘조기 도입’으로

“과거에는 딸기나 토마토, 감귤류, 키위 같은 과일은 알레르기 우려로 인해 돌 이후에 시작하라고 권장되곤 했습니다.25 하지만, 최근 대규모 국제 연구들에 따르면 생후 4-6개월 이후에 알레르기 유발 가능 식품의 도입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이 식품 알레르기를 예방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50, 51 오히려 땅콩이나 계란과 같은 특정 식품을 조기에 도입하는 것이 예방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52, 53, 54

– 유럽 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 및 미국소아과학회(AAP) 지침 요약55

이 기사는 혼란스러워하는 부모들을 위한 과학적 ‘통역사’ 역할을 해야 합니다. 부모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을 존중하면서, “하지만 최근 대규모 국제 연구들에 따르면…”과 같이 근거에 기반한 최신 정보로 부드럽게 안내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4.2. ‘주의가 필요한’ 과일의 현실적 도입 가이드

한국에서는 딸기와 토마토가 잠재적 알레르기 유발 식품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25, 56, 57 딸기의 ‘Fra a 1’이나 토마토의 ‘Sola l 4’와 같은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은 자작나무 꽃가루의 ‘Bet v 1’ 단백질과 교차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8, 59, 60

따라서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절차를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1. 한 번에 한 가지씩: 새로운 음식은 한 번에 한 가지만 소개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3~5일간 기다립니다. 이는 모든 의학 지침에서 일관되게 권장하는 사항입니다.2, 61
  2. 소량으로 시작: 처음에는 아주 적은 양(예: 1/2 티스푼)으로 시작합니다.
  3. 익혀서 제공: 열을 가하면 일부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이 변성되어 반응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익혀서 주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62, 63, 64

표 3: 알레르기 고위험군 과일의 안전한 도입 방법

과일 (Fruit) 잠재적 알레르기 원인 (Potential Allergen) 1단계: 첫 시도 (First Attempt) 2단계: 관찰 기간 (Observation Period) 3단계: 점진적 증량 (Gradual Increase) 의사 상담이 필요한 경우 (When to Consult a Doctor)
딸기 (Strawberry) Fra a 1 단백질, 자작나무 꽃가루와 교차 반응58 익혀서 으깬 딸기 1/2 티스푼 3~5일간 증상 관찰 반응이 없으면 1 티스푼으로 늘리고, 몇 차례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량 가족력이 있거나 아기가 심한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경우
토마토 (Tomato) Sola l 4 단백질, 자작나무 꽃가루와 교차 반응59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익혀서 으깬 토마토 1/2 티스푼 3~5일간 증상 관찰 반응이 없으면 1 티스푼으로 늘리고, 몇 차례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량 가족력이 있거나 아기가 심한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경우
키위 (Kiwi) 액티니딘(Actinidin) 등 다양한 단백질 (신맛이 덜한) 골드키위를 익혀서 으깬 것 1/2 티스푼 3~5일간 증상 관찰 반응이 없으면 1 티스푼으로 늘리고, 몇 차례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량 가족력이 있거나 아기가 심한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경우

4.3. 알레르기 반응의 식별과 대처

알레르기 반응의 명확한 증상을 목록으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피부 반응(두드러기, 발진, 입 주위 붉어짐), 소화기 문제(구토, 설사), 호흡기 증상(쌕쌕거림, 기침) 등이 있습니다.63, 65 대부분의 반응은 경미하지만, 호흡 곤란, 얼굴이나 혀의 부종 등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설명하고 즉시 응급 의료 지원을 받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5부: 반응적 수유 – 음식과 건강한 관계 맺기

이 부분은 기사를 단순한 수유 가이드에서 포괄적인 육아 지침서로 격상시킵니다. 음식과의 긍정적인 관계는 이 시기에 형성됩니다.

5.1. 아기의 신호등 읽기: 배고픔과 배부름

WHO, AAP 등은 생후 6-12개월 아기의 배고픔과 배부름 신호를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1, 66, 67, 68, 69

  • 배고픔 신호 (녹색 불): 숟가락 쪽으로 몸을 기울인다, 입을 벌린다, 음식을 보고 흥분하거나 손을 뻗는다.
  • 배부름 신호 (빨간 불): 고개를 돌린다, 입을 굳게 다문다, 숟가락을 밀어낸다, 칭얼거리거나 다른 곳에 집중한다.

수유는 양방향 대화와 같습니다. 아기는 신호를 통해 ‘말하고’, 부모는 적절하게 반응함으로써 ‘듣습니다’. 이는 아기와의 신뢰를 쌓고 아기 스스로 섭취량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5.2. 이유식의 심리학: 자율성 길러주기

‘아기 주도 이유식(Baby-Led Weaning, BLW)’의 핵심 원칙인 자율성, 스스로 먹기, 질감 탐색 등은 숟가락으로 떠먹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70, 71, 72, 73 아기가 음식을 만져보고, 다른 손에 숟가락을 쥐게 하고, 언제 배가 부른지를 스스로 결정하게 하는 것은 아기에게 주도권을 부여하고 식사 시간을 더욱 긍정적인 경험으로 만듭니다.72

‘아기 주도’는 단순히 방법론이 아닌, 철학입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유식을 진행하는 많은 한국 부모님들은 BLW를 완전히 다른 접근법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두 방식의 장점을 통합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퓌레 한 숟가락을 떠서 아기 입 가까이 가져간 후, 아기가 다음 숟가락을 위해 입을 벌릴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아기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게 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퓌레를 먹이는 동안, 아기 의자 트레이 위에 부드럽게 찐 배 조각을 놓아두어 아기가 만지고 탐색하게 해주세요.” 이는 현대 심리학적 원칙을 전통적인 틀에 통합하여 부모가 더 쉽게 접근하고 덜 두려워하게 만듭니다.

6부: 흔한 걱정거리와 궁금증 해결

이 마지막 섹션에서는 부모들이 가질 만한 질문과 걱정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답변하여, 이 기사가 진정한 ‘궁극의 가이드’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도록 합니다.

6.1. 설탕 문제: 자연의 단맛과 건강의 균형

통과일 vs. 과일 주스: AAP, WHO, KPS의 지침을 인용하여, 12개월 미만 아기에게 과일 주스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명확하고 단호한 권고를 제시해야 합니다.3, 74, 75 주스는 식이섬유가 부족하고 농축된 당의 공급원이며, 더 영양가 높은 모유나 이유식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합니다.76

과일과 구강 건강: 과일의 당은 천연당이지만, 빈번하게 섭취할 경우 충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76, 77 다음과 같은 간단한 예방 조언을 제공합니다.

  • 과일은 간식으로 계속 주기보다 주된 식사 시간에 함께 제공합니다.
  • 과일을 먹은 후에는 깨끗하고 젖은 거즈나 손수건으로 아기의 잇몸과 치아를 닦아줍니다.
  • 절대로 물 이외의 것이 담긴 젖병을 물고 잠들게 하지 않습니다.3

과일 당, 식욕, 그리고 비만: 통과일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당의 흡수를 조절하고 포만감을 주어, 주스나 가공식품의 ‘유리당(free sugars)’과는 매우 다르다는 개념을 소개합니다.78 유아기 과일 섭취는 비만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를 안심시킵니다.78 과일의 단맛 때문에 아기가 채소를 거부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태도로 반복적으로 노출하는 원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79

6.2. 문제 해결: 아기가 과일을 거부할 때

식사를 거부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압박감이 적은 전략들을 제공합니다.

  • 압박 금지: 억지로 먹이거나, 보상으로 유인하거나,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습니다. 긍정적인 식사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1, 80, 81, 82
  • 반복적 노출: 아기가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이기까지는 10~15번의 시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72
  • 혼합 시도: 거부하는 과일을 소량으로 아기가 좋아하는 다른 음식(예: 바나나에 아보카도 약간)과 섞어봅니다.80
  • 모델링: 부모가 같은 과일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최고의 교육입니다.74

이러한 전략들은 국내의 저명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박사나44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83, 84와 같은 전문가들의 조언과도 일치하며, 질병관리청85 및 보건복지부86, 87의 공식 지침과도 맥을 같이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7개월 아기, 딸기 먹어도 되나요?

네, 먹여도 괜찮지만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돌 이후를 권장했지만, 최신 지침에 따르면 알레르기 예방을 위해 도입을 늦출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딸기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소량(1/2 티스푼)을 익혀서 으깨어 주고 3~5일간 피부 발진,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없는지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아기에게 심한 아토피 피부염이 있거나 가족 중에 심한 알레르기 병력이 있다면 의사와 먼저 상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유식용 과일은 꼭 익혀서 줘야 하나요?

초기 단계에서는 그렇습니다. 특히 사과나 배처럼 단단한 과일은 익히는 과정에서 섬유질이 부드러워져 아기가 소화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가열은 일부 잠재적인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활성을 감소시켜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7 바나나나 아보카도처럼 원래 부드러운 과일은 잘 익었다면 익히지 않고 그대로 으깨서 줘도 괜찮습니다.

아기가 과일만 먹고 다른 이유식은 거부해요. 어떻게 하죠?

흔히 있는 일이며, 너무 걱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과일을 식사 마지막에 ‘디저트’처럼 제공하거나, 거부하는 채소 퓌레에 좋아하는 과일 퓌레를 아주 소량 섞어 익숙한 맛으로 시작해보세요. 식사 시간을 즐겁고 긍정적인 경험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억지로 먹이려 하면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꾸준하고 일관되게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고 부모가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입니다.74

과일 퓌레를 만들고 남은 것은 어떻게 보관해야 하나요?

직접 만든 과일 퓌레는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서 1~2일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더 오래 보관하려면 이유식용 얼음 트레이에 소분하여 얼린 후, 얼린 큐브들을 냉동용 지퍼백에 옮겨 담아 최대 1~3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습니다.44, 45 이렇게 하면 필요할 때마다 한두 개씩 꺼내 중탕이나 전자레인지로 데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7개월 아기에게 과일을 소개하는 것은 영양 공급을 넘어, 아기의 미각을 발달시키고 평생의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핵심은 아기의 발달 신호에 귀 기울이고, 알레르기 위험이 낮은 안전한 과일부터 시작하며, 질식 위험을 막기 위해 질감을 세심하게 조절하는 것입니다. 특히 철분 흡수를 돕기 위해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을 철분 강화 이유식과 함께 제공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영양 전략입니다. 최신 의학 지침은 알레르기가 우려되는 과일의 도입을 무조건 미루기보다는, 소량을 주의 깊게 시도하며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것을 권장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억지로 먹이지 않고 아기의 배고픔과 배부름 신호를 존중하는 ‘반응적 수유’를 통해 식사 시간을 긍정적이고 즐거운 소통의 시간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KRHOW는 이 종합 가이드가 부모님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아기의 건강한 이유식 여정을 시작하는 데 든든한 동반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infant-and-young-child-feeding
  2. When, What, and How to Introduce Solid Foods | Infant and Toddler …,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cdc.gov/infant-toddler-nutrition/foods-and-drinks/when-what-and-how-to-introduce-solid-foods.html
  3. Starting Solid Foods – HealthyChildren.org,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ages-stages/baby/feeding-nutrition/Pages/Starting-Solid-Foods.aspx
  4. 이유식의 시작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A&gubun=&page=1&number=8815&mode=view&keyfield=&key=
  5. Infant Feeding Guide |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chop.edu/primary-care/infant-feeding-guide
  6. [신생아]이유식의 시작 – 아기에게 어떤 음식을 주어야 합니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A&gubun=&page=1&number=8817&mode=view&keyfield=&key=
  7. An Integrative Approach to Feeding Your Baby: Starting Solids and Baby-Led Weaning (Baby-Led Solids)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fammed.wisc.edu/files/webfm-uploads/documents/outreach/im/handout_baby-led_weaning.pdf
  8. Infant Digestion – Synergea Family Health Centr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synergea.ca/infant-digestion/
  9. Flavor Perception in Human Infants: Development and Functional Significance – PMC, accessed Aug 13,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202923/
  10. The Flavor World of Infants – faculty.washington.edu, accessed Aug 13, 2025, http://faculty.washington.edu/jul2/Readings/infantstaste.pdf
  11. Vitamin C – Health Professional Fact Sheet – NIH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accessed Aug 13, 2025, https://ods.od.nih.gov/factsheets/VitaminC-HealthProfessional/
  12. Anemia: Iron Deficiency –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conditions/anemia-iron-deficiency
  13. Iron and vitamin C: the perfect pair – Nutrition,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canr.msu.edu/news/iron_and_vitamin_c_the_perfect_pair
  14. Vitamin C For Iron Absorption: How Does It Work? – Performance Lab,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performancelab.com/blogs/multi/vitamin-c-for-iron-absorption
  15. Interaction of vitamin C and iron – PubMed, accessed Aug 13, 2025, https://pubmed.ncbi.nlm.nih.gov/6940487/
  16. Using Vitamin C with Iron: Enhancing Absorption and Other Benefits – ResearchGat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87401005_Using_Vitamin_C_with_Iron_Enhancing_Absorption_and_Other_Benefits
  17. Iron needs of babies and children | Caring for kids – Canadian Paediatric Society, accessed Aug 13, 2025, https://caringforkids.cps.ca/handouts/healthy-living/iron_needs_of_babies_and_children
  18. 7 Nutritious Fruits You’ll Want to Eat During Pregnancy – Healthlin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healthline.com/health/pregnancy/best-fruits-to-eat
  19. Fruit Waste Pectin in Enhancing the Establishment of Probiotic Bacteria – ResearchGat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7438425_Fruit_Waste_Pectin_in_Enhancing_the_Establishment_of_Probiotic_Bacteria
  20.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Sugar and Fiber with Infant Gut Microbiome Colonization at 6 Mo of Age, accessed Aug 13,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08822/
  21. Dietary fiber pectin: challenges and potential anti-inflammatory benefits for preterms and newborns – ResearchGat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7530116_Dietary_fiber_pectin_challenges_and_potential_anti-inflammatory_benefits_for_preterms_and_newborns
  22. Healthy Foods High in Polyphenols – WebMD,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webmd.com/diet/foods-high-in-polyphenols
  23. Polyphenol exposure of mothers and infants assessed by LC–MS/MS based biomonitoring in breast milk, accessed Aug 13,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99372/
  24. Polyphenol metabolites in human milk: Potential role in support of healthy infant development, a narrative review | medRxiv,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5.02.04.25321667v1.full-text
  25. 다솜홈서비스-인천본사, accessed Aug 13, 2025, https://dasomhappy.kr/kr/?folder=bbs&page=view&board_id=center_04&idx=19901
  26. 초기 이유식 언제부터? 추천 재료, 시작 시점, 이유식 뱉는 아이 대처법까지! – 육아크루,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ugacrew.com/crewletter/baby-food
  27. [매일아이] 과일은 어떻게 먹일까,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aeili.com/mobile/cms/contents/contentsView.do?categoryCd1=3&categoryCd2=7&categoryCd3=1&idx=775&reCome=1&gubn=0
  28. 아기첫과일 “배” > 배 이야기 | 사단법인 한국배연합회, accessed Aug 13, 2025, https://kpear.co.kr/bbs/board.php?bo_table=ke0301&wr_id=43
  29. 2025년 제철 과일 달력 – 성수 희희마트 – 농사펀드,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ffd.co.kr/198/?idx=239
  30. 사과의 영양학적 가치 | 농사로, accessed Aug 13, 2025, https://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menuId=PS03797&sSeCode=374011&cntntsNo=101973&totalSearchYn=Y
  31. 영양정보 – 스미후루코리아,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sumifru.co.kr/official.php/home/info/2169
  32. 국가표준식품성분표 – 바나나, 생것 – 램프쿡, accessed Aug 13, 2025, http://www.lampcook.com/food/food_nutrition_view.php?idx_no=1330
  33. 더위 물리치는 새콤달콤한 건강 여름과일 7가지 – 정책브리핑,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75460
  34. 잘 익은 아보카도 고르기 – NEW ZEALAND AVOCADO, accessed Aug 13, 2025, https://nzavocado.com/kr/%EC%9E%98-%EC%9D%B5%EC%9D%80-%EC%95%84%EB%B3%B4%EC%B9%B4%EB%8F%84-%EA%B3%A0%EB%A5%B4%EA%B8%B0/
  35. 완벽한 아보카도를 고르는 방법: 아보카도를 자르지 않고도 익었는지 알 수 있는 비결!, accessed Aug 13, 2025, https://citymagazine.si/ko/%EC%99%84%EB%B2%BD%ED%95%9C-%EC%95%84%EB%B3%B4%EC%B9%B4%EB%8F%84%EB%A5%BC-%EA%B3%A0%EB%A5%B4%EB%8A%94-%EB%B0%A9%EB%B2%95-%EC%95%84%EB%B3%B4%EC%B9%B4%EB%8F%84%EB%A5%BC-%EC%9E%90%EB%A5%B4%EC%A7%80/
  36. 맛좋은 우리배 배(倍)로 즐기기 – 농사로,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menuId=PS03797&sSeCode=374012&cntntsNo=102068&totalSearchYn=Y
  37. 한가위 ‘햇사과 & 햇배’ 추천 품종 및 좋은 품질 고르는 TIP – 소믈리에타임즈,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sommelier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25
  38. #424 이유식 할 때 채소와 과일을 익혀 먹는 이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삐뽀삐뽀119소아과저자)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fVfxvoUDBYI
  39. [매일아이] 중기 이유식 진행 시, 유의사항,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aeili.com/cms/contents/contentsView.do?idx=5533&categoryCd1=3&categoryCd2=7&categoryCd3=2&reCome=1&gubn=
  40. 구세산부인과, accessed Aug 13, 2025, http://guse.co.kr/html/course04.php
  41. Nutrition Information for Infants – MyPlate.gov,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yplate.gov/life-stages/infants
  42. 식약처(MFDS)400.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맞춤형 안전점검 실시!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IsBPdZodWDk
  43. 이유식 초기에는 꿀, 콘시럽 주지 마세요! – 정책브리핑,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697085
  44. 삐뽀삐뽀 119 이유식(전면개정판)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이 전하는 건강한 아가 밥상 – MissyShop |, accessed Aug 13, 2025, https://kmarket365.com/m/prod_detail.asp?prod_code=yuni0619e
  45. 아기 이유식 보관 방법은? – 닥터나우, accessed Aug 13, 2025, https://doctornow.co.kr/content/qna/796778118572492c975070225ac2dda4
  46. 초기이유식 퓨레 만들기 모음 둘째맘의 초간단 비법 (한달 간식 걱정 없어유)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ZsskDnSWWHg
  47. 『영유아 이유식』 안전실태조사 결과 – 한국소비자원,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kca.go.kr/smartconsumer/board/download.do?menukey=7301&fno=10037504&bid=00000146&did=1003447270
  48. 통합검색 – 식품의약품안전처,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fds.go.kr/search/search.do?startCount=0&realQuery=%EB%B0%B0%EC%8B%9D&sort=RANK&range=A&startDate=&endDate=&writer=&searchField=&detailCheck=0&detailCollection=&collection=total_search&detailRange=&ext=ALL&totalCount=0&stopQuery=&necQuery=&selectCollectionCheck=total_search&selectCollection=total_search&query=%EC%82%B4%EA%B7%A0%EC%A0%9C%ED%92%88&necQuery=&stopQuery=&detailRange=ALL&searchField=ALL
  49. “시판 이유식 불안한데”…식약처 추천 레시피는 어때요? – Daum, accessed Aug 13, 2025, https://v.daum.net/v/20231001180109863
  50. Solid Foods in Infancy – Pediatrics – MSD Manual Professional Edition,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sdmanuals.com/professional/pediatrics/care-of-newborns-and-infants/solid-foods-in-infancy
  51. When Should Babies Start Solids? How About Allergenic Foods? | AAP Journal Blogs, accessed Aug 13, 2025, https://publications.aap.org/journal-blogs/blog/23284/When-Should-Babies-Start-Solids-How-About
  52. #341 이유식 시작, 분유수유아도 6개월부터-식품알레르기 예방도 #미국소아과학회 #소아과 #알러지 #유니세프 #영국보건서비스 (정유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FABM, IBCLC)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hlmC3YYcY-I
  53. #340 이유식 시작하기 전에 꼭 알아둘 최근에 바뀐 4가지 이유식 지침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소아청소년과전문의, 삐뽀삐뽀119소아과저자)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HMM_IdFEOg4
  54. Egg introduction during complementary feeding according to allergic risk: not just for peanuts! – PMC, accessed Aug 13,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035467/
  55. Complementary Feeding: A Position Paper by the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ESPG – ESPGHAN,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espghan.org/dam/jcr:3d960daa-e2f3-499f-9df9-2da682976cec/2017%20Complementary_Feeding__A_Position_Paper_by_the.21.pdf
  56. 6개월 아기, 딸기 먹이고 온몸 두드러기 증상, 괜찮을까요? – 닥터나우, accessed Aug 13, 2025, https://doctornow.co.kr/content/qna/958d46566cdc497db1530a6db7df0de4
  57. “우리 아이 이유식 똑똑하게 먹이려면”…식약처 ‘꿀팁’ – 뉴시스, accessed Aug 13, 2025,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40412_0002696924
  58. Response of the Major Allergen Fra a 1.01 in Strawberry to Cold – J-Stag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jstage.jst.go.jp/article/hortj/89/2/89_UTD-131/_html/-char/en
  59. Effect of tomato variety, cultivation, climate and processing on Sola l 4, an allergen from Solanum lycopersicum | PLOS One, accessed Aug 13, 2025,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197971
  60. Identification of Sola l 4 as Bet v 1 homologous pathogenesis related-10 allergen in tomato fruits – PubMed, accessed Aug 13, 2025, https://pubmed.ncbi.nlm.nih.gov/24510486/
  61. 이유기보충식(이유식)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accessed Aug 13, 2025,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70
  62. [미국 이유식] 8개월 아기 토마토 파스타/밀가루 테스트/ 토마토 먹이는 방법/ 토마토 이유식/ 파스타 이유식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m.youtube.com/watch?v=HdTGCaaOm7s&pp=ygUPIzIwMjMwMzI27KO87J28
  63. Apple Allergy Frequency, Symptoms, and Foods to Avoid – Verywell Health,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verywellhealth.com/apple-allergy-symptoms-and-possible-treatments-1323906
  64. Expression Profiling of Strawberry Allergen Fra a during Fruit Ripening Controlled by Exogenous Auxin – MDPI,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dpi.com/1422-0067/18/6/1186
  65. 소아의 식품알레르기 – Food Allergy in Children – KoreaMed Synapse, accessed Aug 13, 2025,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2-1090.pdf
  66. A 3-Step Approach to Responsive Feeding During Infancy and Beyond | SBM,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sbm.org/healthy-living/a-3-step-approach-to-responsive-feeding-during-infancy-and-beyond
  67. Overview of Responsive Feeding | Gerber Medical, accessed Aug 13, 2025, https://medical.gerber.com/topics/overview-of-responsive-feeding
  68. Healthy habits that last a lifetime: How to practice responsive feeding, accessed Aug 13, 2025, https://magazine.medlineplus.gov/article/healthy-habits-that-last-a-lifetime-how-to-practice-responsive-feeding
  69. Nurturing young children through responsive feeding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ccessed Aug 13, 2025,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367886/9789240070301-eng.pdf
  70. 아이주도 이유식? 이거 하나만 기억하자. – 브런치, accessed Aug 13, 2025, https://brunch.co.kr/@sujeongkim4r6a/51
  71. 22화 이유식 혁명, 아이 주도 이유식 ”엄마를 해방시켜라!” – 브런치, accessed Aug 13, 2025, https://brunch.co.kr/@@4i8H/29
  72. Infant Food and Feeding – AAP,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aap.org/en/patient-care/healthy-active-living-for-families/infant-food-and-feeding/
  73. 자기주도 이유식& 유아식 하지마세요 I 절대 안하는게 더 나은 이유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m.youtube.com/watch?v=1Tu9QCHETNY&pp=ygUNI-ydtOycoOyLneykkQ%3D%3D
  74. Feeding Guide for the First Year | Johns Hopkins Medicin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wellness-and-prevention/feeding-guide-for-the-first-year
  75. #513 과일주스 먹일 수 있는 시기와 권고 시기, 개정된 내용입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삐뽀삐뽀119소아과저자) – YouTube,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0MLM1ruh0Qc
  76. 우리아이 치아건강 위협하는 과일주스 – 헬스경향, accessed Aug 13, 2025, http://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90
  77. 아이들의 충치 예방을 돕는 5가지 방법,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vietnam.vn/ko/5-cach-giup-tre-phong-sau-rang
  78. 과일 통한 당 섭취 ..소아청소년 시기 ‘비만위험’ 줄여 – 메디팜헬스뉴스,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28633
  79. 아기가 과일 말고는 아무것도 안 먹으려고 해요 : r/toddlers – Reddit,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reddit.com/r/toddlers/comments/oy4agx/toddler_wont_eat_anything_but_fruit/?tl=ko
  80. 13개월 아기가 밥을 거부할 때 대처 방법은? – 닥터나우, accessed Aug 13, 2025, https://doctornow.co.kr/content/qna/0c8ff011f43f4170a0abb4dc4cd4a91a
  81. 삐뽀삐뽀 119 소아과 (개정13판) | 하정훈 – 알라딘,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7637759
  82. 삐뽀삐뽀 119 이유식 | 삐뽀삐뽀 시리즈 | 하정훈 – 알라딘,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4853398
  83. 의료진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snubh.org/medical/drIntroduce.do?sDpCd=PED&sDpCdDtl=PGN&sDrSid=1000987&sDrStfNo=01168&sDpTp=
  84. 분당서울대 양혜란 교수, 유럽소아소화기영양학회 젊은연구자상 – 후생신보, accessed Aug 13, 2025, http://www.whosaeng.com/110673
  85. 식이영양(소아/청소년)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accessed Aug 13, 2025,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3
  86. 영유아를 위한 식생활지침,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09&list_no=224044&seq=8
  87. Untitled – 보건복지부, accessed Aug 13, 2025,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19&list_no=335650&seq=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