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합성 약물이란? 정의, 특징 및 건강에 미치는 치명적 부작용 총정리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며 복잡한 공중 보건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합성 약물(Synthetic Drugs), 또는 신종 향정신성 물질(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의 급격한 확산입니다1. 이러한 물질들은 기존 마약류의 화학 구조를 변형하여 법적 규제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주로 제조되며1, 인터넷 등을 통해 쉽게 유통되어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1. 이 글에서는 합성 약물의 정확한 정의와 주요 특징, 천연 약물과의 차이점, 그리고 인체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독자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핵심 요약

  • 합성 약물은 기존 마약류의 화학 구조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화학 구조로 인공적으로 제조된 물질로, 법적 규제 회피와 강력한 효과를 목적으로 합니다12.
  • 대부분의 합성 약물은 안전성 평가 없이 불법 제조되어 성분, 순도, 함량이 불분명하며, 예측 불가능하고 치명적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23.
  • 합성 약물은 천연 약물보다 인체 내 대사가 어렵고, 더 강력하며 예측 불가능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어 극히 위험합니다4.
  • 지속적인 화학 구조 변경으로 새로운 변종이 끊임없이 등장하여 기존 검출 방법이나 규제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렵습니다13.
  • 합성 약물의 위험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극적인 예방 및 대응 전략이 개인과 사회 전체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5.

1. 서론 (Introduction)

합성 약물의 부상과 공중 보건 문제 제기 (Emergence of Synthetic Drugs and Public Health Concerns)

현대 사회는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는 새롭고 복잡한 공중 보건 문제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6. 그중 하나가 바로 합성 약물(Synthetic Drugs)의 급격한 확산입니다1. 합성 약물은 종종 신종 향정신성 물질(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이라는 용어로도 지칭되며, 전 세계적으로 그 종류와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1. 이러한 물질들은 주로 기존 마약류의 화학 구조를 변형하여 법적 규제를 회피하려는 목적으로 제조되며,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유통 경로를 통해 쉽게 접근 가능해지면서 확산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1. 합성 약물의 등장은 단순히 새로운 종류의 약물이 추가되는 것을 넘어, 기존의 마약 문제와는 다른 차원의 심각한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합니다7.

합성 약물이 야기하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그 성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입니다3. 대부분의 합성 약물은 정식적인 임상 시험이나 안전성 평가를 거치지 않은 채 불법적으로 제조 및 유통되므로, 정확한 화학적 조성, 순도, 함량 등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2.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무엇을 얼마나 투약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게 만들어 예측 불가능하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위험을 높입니다2. 실제로 많은 국가에서 합성 약물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중독, 정신 질환, 장기 손상, 심지어 사망에 이르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공중 보건 시스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특히, 이러한 물질의 화학 구조가 끊임없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검출 방법으로는 식별이 어렵고, 새로운 변종이 등장할 때마다 그 유해성을 평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됩니다3.

이처럼 합성 약물은 그 불확실성과 예측 불가능성 자체가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며, 기존의 마약 통제 및 예방 전략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7. 본 보고서는 이러한 합성 약물의 정의와 주요 특징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종류의 합성 약물을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5. 더 나아가, 합성 약물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광범위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약리학적, 독성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대한민국 내 합성 약물 현황과 법적 규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입니다5. 이를 통해 합성 약물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5.

2. 합성 약물의 이해 (Understanding Synthetic Drugs)

합성 약물의 정의 및 핵심 특징 (Definition and Key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Drugs)

합성 약물이란 일반적으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실험실 환경에서 인공적으로 제조된 약물을 총칭합니다2. 이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을 단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만드는 천연 약물 또는 반합성 약물과는 구별되는 개념입니다8. 합성 약물은 주로 기존의 천연 마약류나 향정신성 의약품의 화학 구조를 변경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화학 구조를 설계하여 만들어집니다9.

합성 약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천연 약물의 효과 모방 또는 강화 목적: 많은 합성 약물은 마리화나, 코카인, 아편 등 기존 천연 약물의 정신 활성 효과를 모방하거나 더욱 강력하게 만들려는 의도로 설계됩니다2.
  • 화학 구조의 다양성 및 지속적 변형: 제조자들은 법적 규제를 피하거나 새로운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기존 약물의 분자 구조를 끊임없이 변형시킵니다2. 이로 인해 수많은 종류의 합성 약물이 빠르게 등장하고 사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 성분 및 순도의 불확실성: 불법적으로 제조되는 합성 약물은 제조 과정에 대한 통제가 거의 없어 최종 생산물의 정확한 성분, 순도, 함량 등이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2. 이는 동일한 이름으로 판매되는 약물이라도 실제 내용물은 매우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예측하지 못한 강력한 효과나 독성에 노출될 위험을 높입니다3.

이러한 특징들은 합성 약물이 사용자뿐만 아니라 공중 보건 시스템 전체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근본적인 이유로 작용합니다7. 특히 화학 구조의 지속적인 변형은 규제 당국이 새로운 물질을 식별하고 통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며3, 의료진이 중독 증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정보 부족 문제를 야기합니다3.

천연 약물과의 비교: 주요 차이점 (Comparison with Natural Drugs: Key Differences)

합성 약물과 천연 약물은 기원, 생산 방식, 화학적 조성 등 여러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8. 천연 약물은 양귀비에서 추출하는 아편, 코카 잎에서 얻는 코카인, 대마초 등과 같이 자연에서 산출되는 물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간단한 가공을 거쳐 약으로 사용됩니다10. 반면, 합성 약물은 실험실에서 화학적 합성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의약품 또는 불법 약물을 의미합니다2. 천연 약물은 그 기원이 되는 식물이나 유기체에 의해 생합성된 비교적 잘 알려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1. 물론 천연물에도 다양한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고, 알려지지 않은 성분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지만11, 오랜 사용 역사나 연구를 통해 주된 약리 작용과 독성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편입니다.

이에 반해 합성 약물, 특히 불법적으로 제조되는 신종 향정신성 물질(NPS)의 경우, 그 화학 구조가 매우 다양하고 새롭게 변형되는 경우가 많아 주성분조차 명확히 알려지지 않거나 여러 물질이 혼합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2. 더욱이, 인체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학 구조의 합성 약물을 인식하고 대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천연 약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4. 이러한 대사 과정의 차이는 합성 약물이 천연 약물을 모방하여 유사한 수용체에 작용하더라도 그 효과의 강도, 지속 시간, 독성 프로파일이 현저히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4. 이는 사용자가 의도했던 효과와는 전혀 다른, 훨씬 강력하거나 위험한 결과를 경험할 수 있는 “약물동태학적 룰렛(pharmacokinetic roulette)”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4.

다음 표는 천연 약물과 합성 약물의 주요 차이점을 요약한 것입니다.

표 1: 천연 약물과 합성 약물의 주요 차이점
특징 천연 약물 (Natural Drugs) 합성 약물 (Synthetic Drugs)
기원 자연 산출물 (식물, 미생물 등)10 실험실에서 인공 화학물로부터 합성2
생산 방식 자연물 채취 후 그대로 사용 또는 간단한 가공10 복잡한 화학 반응을 통한 인공 합성10
화학 조성 식물/유기체 유래 천연 화합물2 인간이 만든 인공 화학 화합물2
주성분 명확성 비교적 잘 알려진 주성분 (경우에 따라 혼합물)11 불분명하거나 지속적으로 변형되는 주성분, 불순물 함유 가능성 높음2
법적 규제 일관성 전통적 마약류의 경우 비교적 명확한 규제 신종 물질의 경우 규제 회피 목적으로 지속적 변형, 법적 공백 발생 가능2
잠재적 독성 예측성 오랜 사용 경험과 연구로 독성 정보 비교적 축적 신규 화합물의 경우 독성 정보 부족,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 위험 높음1
인체 내 대사 비교적 잘 알려진 대사 경로 인체가 인식하기 어려운 새로운 화학 구조로 대사 지연 또는 독성 대사체 생성 가능성4

이러한 차이점들은 합성 약물이 천연 약물에 비해 잠재적으로 더 큰 위험성을 내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7. 특히, 불법 합성 약물은 사용자를 속이거나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위험성은 더욱 증폭됩니다7. 예를 들어, 특정 약물의 외형을 모방하거나2, 기존 약물과 유사한 효과를 내도록 화학 구조를 미세하게 변경하여 법망을 피하려는 시도12 등은 사용자를 기만하고 안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에 대한 KRHOW.COM의 다른 글을 참고하십시오.

–>

합성 약물 제조 및 화학적 특성 (Manufacturing and Chemical Properties of Synthetic Drugs)

합성 약물의 제조는 주로 실험실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여러 단계의 정밀한 화학 반응을 거쳐 목표하는 분자 구조를 가진 최종 약물을 얻는 과정을 포함합니다9. 합법적인 의약품 개발의 경우, 각 반응 단계에서 수율과 순도를 철저히 관리하여 원하는 구조적 특성과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약물을 확보하지만9, 불법 합성 약물의 제조 환경은 이러한 통제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최종 생산물에는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부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약물의 효과와 독성에 예측 불가능한 영향을 미칩니다7.

불법 합성 약물 제조자들은 종종 규제 당국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기존에 알려진 약물의 분자 구조를 의도적으로 변경합니다2. 이러한 화학 구조의 미세한 변형은 새로운 향정신성 효과를 나타내거나 기존 약물보다 훨씬 강력한 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법적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끊임없이 새로운 화학 구조의 물질이 등장하는 것은 합성 약물 시장의 주요 특징 중 하나입니다2.

합성 약물은 대부분 특정 생체 내 수용체, 예를 들어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도파민 수용체, 세로토닌 수용체 등에 작용하여 정신 활성 효과를 나타냅니다8. 제조자들은 목표 수용체에 대한 결합력을 높이거나 특정 약리 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화학 구조를 설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과정은 과학적 근거나 안전성 검증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의도한 효과 외에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7.

합법적인 의약품 개발에서는 약물의 용해도, 안정성, 생체 이용률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면밀히 평가하여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투여될 수 있도록 합니다9. 하지만 불법 합성 약물의 경우 이러한 기본적인 특성조차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동일한 이름으로 유통되는 약물이라도 실제 흡수율이나 체내 분포, 작용 시간 등이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약물의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과다복용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2. 결국, 합성 약물의 제조 과정과 화학적 특성의 불확실성은 그 자체로 심각한 공중 보건상의 위협이며, 사용자는 매번 어떤 물질, 어떤 농도의 약물을 투여받는지 알 수 없는 위험한 도박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2.

3. 주요 합성 약물 분류 및 종류 (Major Classifications and Types of Synthetic Drugs)

신종 향정신성 물질(NPS) 개요 (Overview of New Psychoactive Substances – NPS)

신종 향정신성 물질(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은 기존의 국제 마약 통제 협약(예: 1961년 마약 단일 협약 또는 1971년 향정신성 물질에 관한 협약)의 규제를 받지 않으면서, 남용될 경우 공중 보건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합니다1. 여기서 “신종(new)”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새로운 발명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최근 시장에 새롭게 등장하여 남용되기 시작한 물질들을 포괄합니다1. NPS는 종종 “합법적 마약(legal highs)”, “배스 솔트(bath salts)”, “연구용 화학물질(research chemicals)”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주로 기존 불법 약물의 효과를 모방하거나 화학 구조를 변경하여 법적 규제를 회피할 목적으로 제조됩니다1.

국제적으로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와 유럽마약감시센터(EMCDDA)와 같은 기관들이 NPS의 출현을 모니터링하고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UNODC는 NPS를 주로 약리 효과 그룹(예: 흥분제, 환각제 등)과 화학 구조 그룹(예: 합성 카티논, 펜타닐 유사체 등)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10. EMCDDA 역시 NPS를 모체 화합물 및 작용 기전에 따라 합성 칸나비노이드, 합성 카티논, 신종 합성 오피오이드 등 7가지 주요 범주로 나누어 감시하고 있습니다5. 이러한 국제기구의 노력은 빠르게 변화하는 NPS 시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국제적 공동 대응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PS의 핵심적인 특징은 규제 회피를 위한 끊임없는 화학 구조 변형, 그로 인한 성분 및 효과의 불확실성, 그리고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입니다1. 제조자들은 기존 규제 약물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며, 이는 마치 규제 당국과 불법 제조자 간의 “화학적 군비 경쟁”과 같은 양상을 띤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많은 NPS는 그 약리 작용, 독성, 장기적 영향 등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거의 없어 사용자는 심각한 건강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됩니다1.

주요 카테고리별 상세 설명 (Detailed Description by Major Categories):

NPS를 포함한 합성 약물은 그 화학적 구조와 약리 작용에 따라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각 카테고리 내에서도 수많은 개별 물질이 존재하며, 이는 불법 제조자들이 규제를 피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화학 구조를 변형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마치 화학적 “군비 경쟁”과 같아서, 규제 당국이 하나의 물질을 통제하면 유사한 효과를 내는 새로운 변종이 즉시 등장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약물들이 종종 잘못 표시되거나 다른 물질과 혼합되어 유통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합성 칸나비노이드로 판매되는 제품에 실제로는 치명적인 합성 오피오이드가 소량 첨가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정확히 어떤 물질, 또는 어떤 물질들의 조합을 섭취하는지 전혀 알지 못한 채 심각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2.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 약물군의 고유한 위험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합성 칸나비노이드 (Synthetic Cannabinoids) (예: K2, Spice)

정의 및 작용 기전: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천연 대마의 주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의 효과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인공 화합물입니다. 이들은 주로 뇌의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특히 CB1 수용체에 작용하여 정신 활성 효과를 나타냅니다2. 그러나 대부분의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THC보다 CB1 수용체에 훨씬 강력하게 결합하며, 천연 대마에는 존재하여 THC의 일부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칸나비디올(CBD)과 같은 성분이 결여되어 있어 THC보다 훨씬 예측 불가능하고 위험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2.

화학적 특징: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매우 다양한 화학 구조를 가지며, 주요 구조 그룹으로는 나프토일인돌(naphthoylindoles), 페닐아세틸인돌(phenylacetylindoles), 아다만틸인돌(adamantylindoles) 등이 있습니다8. 이러한 구조적 다양성은 제조자들이 규제를 회피하고 새로운 효과를 찾으려는 시도의 결과입니다.

대표 물질: 초기에는 JWH-018, JWH-250 등이 널리 유통되었으나8,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5F-MDMB-PICA, MDMB-4en-PINACA, ADB-BUTINACA 등 새로운 변종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11. 이들은 종종 “스파이스(Spice)”, “K2” 등의 이름으로 허브 혼합물 형태로 위장되어 판매됩니다2.

합성 카티논 (Synthetic Cathinones) (예: Bath Salts, Flakka, MDPV)

정의 및 작용 기전: 합성 카티논은 중추신경 흥분제인 천연 카티논(khat 식물에 존재)의 화학 구조를 변형하여 만든 합성 약물입니다. 이들은 주로 코카인이나 암페타민과 유사한 흥분 효과를 나타내며, 뇌 내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농도를 증가시킨다2.

화학적 특징: 화학적으로 베타-케톤(β-ketone) 구조를 가진 암페타민 유사체로 볼 수 있습니다12. 메틸렌디옥시피로발레론(MDPV)과 같은 일부 합성 카티논은 코카인보다 10배 이상 강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2.

대표 물질: 메틸렌디옥시피로발레론(MDPV), 메페드론(mephedrone), 알파-PVP(α-PVP, 일명 “Flakka”)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배스 솔트(bath salts)”, “플랜트 푸드(plant food)” 등의 이름으로 위장되어 판매되기도 합니다2.

합성 오피오이드 (Synthetic Opioids) (예: Fentanyl 및 그 유사체)

정의 및 작용 기전: 합성 오피오이드는 모르핀, 헤로인과 같은 천연 또는 반합성 오피오이드의 효과를 모방하도록 실험실에서 완전히 합성된 약물입니다. 이들은 주로 뇌와 척수의 μ-오피오이드 수용체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진통 효과와 함께 다행감을 유발합니다2.

화학적 특징 및 강력한 효능: 펜타닐(Fentanyl)은 모르핀보다 50~100배, 헤로인보다 30~50배 강력한 효능을 지닌 대표적인 합성 오피오이드입니다2. 카르펜타닐(Carfentanil)과 같은 일부 펜타닐 유사체는 모르핀보다 수천 배에서 만 배 이상 강력한 효능을 나타내기도 합니다13. 이러한 극도의 강력함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치명적인 과다복용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대표 물질: 펜타닐 및 그 다양한 유사체(예: 아세틸펜타닐, 푸라닐펜타닐, 카르펜타닐)가 가장 문제가 되며, 이 외에도 U-47700, 브로르핀(Brorphine), 이소토니타젠(Isotonitazene)과 같은 비펜타닐 계열 신종 합성 오피오이드도 등장하고 있습니다2. 이들은 종종 헤로인이나 다른 약물에 혼합되어 사용자도 모르게 투여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합니다2.

신종 벤조디아제핀 (Novel Benzodiazepines) (예: Etizolam, Flubromazolam, Clonazolam)

정의 및 작용 기전: 신종 벤조디아제핀은 디아제팜(Valium), 알프라졸람(Xanax) 등 기존의 처방용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효과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합성 약물입니다. 이들은 뇌의 GABA-A 수용체에 작용하여 중추신경계를 억제함으로써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효과를 나타냅니다8.

화학적 특징 및 규제 현황: 이들은 기존 벤조디아제핀의 화학 구조를 약간 변형한 형태로, 종종 “디자이너 벤조디아제핀”으로 불리며 규제를 회피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집니다8. 클로나졸람(Clonazolam), 플루브로마졸람(Flubromazolam), 디클라제팜(Diclazepam) 등이 NPS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8.

위험성: 처방용 벤조디아제핀과 유사한 위험성(의존성, 금단 증상, 과다복용 시 호흡 억제 등)을 가지지만, 불법적으로 제조되어 순도나 함량이 불분명하고 다른 약물과 혼합될 가능성이 있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펜에틸아민 계열 (Phenethylamines) (예: 2C-series, NBOMe series)

정의 및 작용 기전: 펜에틸아민 계열 합성 약물은 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 MDMA(엑스터시) 등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가지며, 주로 흥분 효과나 환각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뇌의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시스템에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8.

화학적 특징: 분자 내 방향족 고리에 치환기가 있는 형태(예: 2C 계열, DOx 계열)와 그렇지 않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8. NBOMe 계열(예: 25I-NBOMe)은 매우 강력한 환각제로 알려져 있습니다8.

대표 물질: 2C-B, 2C-I, 25I-NBOMe, PMMA (파라메톡시메스암페타민)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가 NPS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기타 주목할 만한 합성 약물

이 외에도 PCP(펜시클리딘) 유사체인 3-MeO-PCP나 디페니딘(Diphenidine)과 같은 해리성 마취제 계열의 NPS14, 아미노인단(Aminoindanes), 트립타민(Tryptamines) 계열 등 다양한 화학 구조와 약리 작용을 가진 합성 약물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습니다10.

표 2: 주요 합성 약물 분류, 대표 예시 및 주요 작용
분류 (Classification) 대표 예시 (Representative Examples) 주요 작용 기전 (Primary Mechanism of Action) 일반적 효과 (General Effects)
합성 칸나비노이드 K2, Spice, JWH-018, ADB-BUTINACA 칸나비노이드 CB1/CB2 수용체 작용제 (Agonist)2 THC 유사 효과 (다행감, 지각 변화), 강력한 정신 활성, 환각2
합성 카티논 배스 솔트, MDPV, 메페드론, α-PVP (Flakka)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5 강력한 흥분, 다행감, 공감각 증가, 환각2
합성 오피오이드 펜타닐, 카르펜타닐, U-47700, 브로르핀 μ-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2 강력한 진통, 다행감, 호흡 억제2
신종 벤조디아제핀 에티졸람, 플루브로마졸람, 클로나졸람 GABA-A 수용체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8 항불안, 진정, 수면, 근이완, 항경련8
펜에틸아민 계열 2C-B, 25I-NBOMe, PMMA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시스템 조절 (물질에 따라 다양)8 흥분, 환각, 공감각 증가 (물질에 따라 다양)8
기타 (해리성 물질 등) 3-MeO-PCP, 디페니딘 NMDA 수용체 길항제 등 (물질에 따라 다양)14 해리, 환각, 진통, 마취 (물질에 따라 다양)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합성 약물이 존재하며, 각각의 약물군은 고유한 화학적 특성과 약리 작용, 그리고 그에 따른 위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성분과 순도의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한 효과, 심각한 건강상의 부작용이라는 위험을 공유합니다.

4. 합성 약물의 건강상 부작용: 총론 (Health Side Effects of Synthetic Drugs: General Overview)

합성 약물은 그 종류와 화학 구조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인체에 심각하고 광범위한 부작용을 유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단순히 일시적인 불편함을 넘어 생명을 위협하거나 영구적인 손상을 남길 수 있으며, 신체적, 정신적 측면 모두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인 신체적 및 정신적 부작용 (Comm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ide Effects)

합성 약물 사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신체적 증상으로는 심박수 및 혈압의 급격한 증가, 메스꺼움과 구토, 어지러움, 발한, 근육 경련, 심한 경우 발작이나 호흡 곤란 등이 있습니다1. 정신적으로는 극도의 불안감, 편집증, 혼란, 환각(환시, 환청), 초조함, 공격성 증가와 같은 증상이 흔하게 나타나며, 심한 경우 현실감을 상실하는 정신병적 상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2. 이러한 증상들은 약물의 종류나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많은 합성 약물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위험 신호입니다.

중독 및 의존성의 위험 (Risks of Addiction and Dependence)

대부분의 합성 약물은 뇌의 보상 시스템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강한 심리적, 신체적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 특히 펜타닐과 같은 합성 오피오이드나 일부 합성 카티논,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매우 높은 중독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줄였을 때 나타나는 금단 증상 또한 심각할 수 있으며, 두통, 극심한 불안, 우울, 불면, 근육통, 구토, 설사, 심한 갈망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사용자를 극심한 고통에 빠뜨리고 다시 약물을 찾게 만드는 악순환을 유발합니다13. 이러한 강력한 중독성은 합성 약물 문제의 핵심적인 측면 중 하나입니다.

과다복용의 위험과 치명적 결과 (Risks of Overdose and Fatal Outcomes)

합성 약물, 특히 펜타닐과 같은 합성 오피오이드나 일부 고효능 합성 칸나비노이드, 합성 카티논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치명적인 과다복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2. 이는 이들 약물이 기존 약물보다 훨씬 강력한 효능을 가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불법 제조 과정에서 순도나 함량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자가 정확한 양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과다복용 시에는 심각한 호흡 억제, 의식 소실, 혈압 급강하, 심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의료적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2. 실제로 많은 국가에서 합성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급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다복용의 위험은 사용자가 의도한 효과를 얻기 위한 용량과 치명적인 용량 사이의 간격, 즉 “안전역(therapeutic index)”이 매우 좁거나 아예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더욱 증폭됩니다. 불법 제조된 약물은 효능이 매우 강력하고 용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안전한’ 사용량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합니다.

성분 불명확성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성 (Unpredictability due to Unknown Composition)

합성 약물의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그 내용물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2. 불법 실험실에서 제조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불순물이나 유독성 화학물질이 혼입될 수 있으며4, 때로는 더욱 강력한 효과를 내거나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알려지지 않은 다른 물질이 첨가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휘발유와 같은 극도로 유독한 물질이 포함된 사례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4. 또한, 동일한 이름이나 포장으로 판매되는 제품이라도 제조 배치마다 실제 활성 성분의 종류나 농도가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5. 이러한 성분 및 함량의 불확실성은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만들며, 사용자는 매번 어떤 위험에 노출될지 모르는 “러시안 룰렛”과 같은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더욱이, 사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여러 종류의 합성 약물이나 합성 약물과 전통적 마약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위험성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압수된 합성 대마초 샘플의 상당수가 다른 종류의 합성 대마초나 일반 대마초와 혼합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11, 펜타닐이 헤로인이나 코카인에 섞여 유통되는 사례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2. 이러한 다중 약물 사용은 각 약물의 독성이 상승적으로 작용하거나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을 일으켜 훨씬 더 심각하고 복잡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응급 의료진의 진단과 치료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1. 결국, 합성 약물의 위험성은 개별 물질의 독성뿐만 아니라, 불법 시장의 특성상 발생하는 성분의 불명확성과 다중 약물 사용의 가능성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크게 증폭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주요 합성 약물군별 건강상 부작용: 각론 (Health Side Effects by Major Synthetic Drug Class: Specifics)

합성 약물은 그 종류에 따라 고유한 약리 작용과 부작용 프로파일을 나타냅니다. 각 약물군이 인체 주요 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그 위험성을 정확히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합성 칸나비노이드의 부작용 (Side Effects of Synthetic Cannabinoids)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천연 THC보다 훨씬 강력하고 예측 불가능한 효과를 나타내며,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단기적 영향: 사용 직후 빠른 심박수(빈맥), 혈압 상승, 메스꺼움, 구토, 극심한 초조감, 혼란, 생생한 환각, 공황 발작 등이 흔하게 나타납니다2. 일부 사용자는 극도의 불안감이나 편집증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장기적 영향: 반복적인 사용은 강력한 중독으로 이어지며, 사용 중단 시 두통, 불안, 우울, 과민성 등의 금단 증상을 유발합니다2. 장기 사용자는 천연 대마 사용자보다 훨씬 심각한 정신병적 증상(예: 조현병 유사 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높으며5, 주의력, 학습 능력, 기억력 등 인지 기능의 영구적인 손상 가능성도 제기됩니다8. 주요 신체 기관에 미치는 영향: 뇌에 가장 심각한 영향 중 하나는 정신병적 증상의 발현 또는 악화입니다15. 이는 합성 칸나비노이드가 CB1 수용체에 매우 강력하게 결합하고, 천연 대마에 존재하는 CBD(정신병 완화 효과가 있을 수 있음)가 없기 때문으로 설명됩니다5. 또한 불안, 섬망, 발작, 인지 기능 저하, 감정 처리 장애 등 다양한 신경학적 문제가 보고됩니다15. 심혈관계에는 빈맥, 고혈압이 매우 흔한 부작용이며, 심한 경우 심방세동, 심실세동과 같은 치명적인 부정맥, 심근경색, 심정지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215.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심각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들이 다수 보고되었습니다15. 신장에는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이 합성 칸나비노이드 사용과 관련된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216. 급성 세뇨관 괴사(Acute Tubular Necrosis, ATN)나 급성 간질성 신염(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IN)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투석 치료가 필요하거나 만성 신장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16. 간 손상 가능성도 일부 연구에서 언급되나15, 상대적으로 보고가 적습니다. 기타 호흡곤란, 근육 경련, 그리고 세포 수준에서는 산화 스트레스 증가, 염증 반응 촉진,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등이 관찰되어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5. 이처럼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다방면에 걸쳐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며, 특히 정신과적 문제와 심혈관계 및 신장 손상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부작용입니다.

합성 카티논의 부작용 (Side Effects of Synthetic Cathinones)

합성 카티논은 강력한 중추신경 흥분제로, 코카인이나 암페타민보다 훨씬 강력한 효과와 함께 치명적인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 영향: 사용 시 극도의 흥분, 다행감과 함께 심한 불안, 편집증, 공황 발작, 환각(특히 벌레가 기어 다니는 듯한 환촉), 섬망, 공격적인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 신체적으로는 빈맥, 고혈압, 흉통, 과도한 발한, 불면증, 근육 경련, 고열 등이 동반됩니다12. 이러한 증상들은 종종 “흥분성 섬망(excited delirium)” 상태로 이어져 응급 상황을 초래합니다. 장기적 영향: 반복 사용 시 강력한 중독에 빠지기 쉽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뇌 손상(뇌부종 등), 골격근이 녹아내리는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그리고 이로 인한 급성 신부전,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2. 주요 신체 기관에 미치는 영향: 뇌에는 정신병적 증상, 편집증, 환각, 극도의 공격성이 주요 신경정신과적 문제입니다12. 기억 상실, 발작, 의식 저하 등도 보고됩니다12. 심혈관계에는 빈맥과 고혈압은 거의 모든 사용자에게 나타나며, 심근염, 심부전, 치명적인 부정맥, 말초 혈관의 심한 수축으로 인한 조직 괴사 위험도 있습니다12. 신장에는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해 근육 세포에서 유리된 미오글로빈이 신세뇨관을 막아 급성 신부전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17. 이는 합성 카티논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간 기능 검사 수치 이상이나 급성 간부전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12. 기타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고열, 심각한 탈수, 전해질 불균형, 근육의 지속적인 긴장 및 경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7. 합성 카티논의 위험성은 그 강력한 흥분 작용과 예측 불가능한 정신과적 부작용, 그리고 횡문근융해증과 같은 치명적인 전신 합병증 유발 가능성에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서로 연쇄적으로 작용하여(예: 고열 및 근육 활동 증가 → 횡문근융해증 → 신부전), 사용자를 매우 위험한 상태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합성 오피오이드의 부작용 (Side Effects of Synthetic Opioids)

펜타닐과 그 유사체로 대표되는 합성 오피오이드는 극소량으로도 강력한 효과와 함께 치명적인 부작용을 나타냅니다. 단기적 영향: 사용 시 강렬한 다행감, 졸음, 진정, 메스꺼움, 구토, 변비, 혼란 상태 등이 나타납니다2. 가장 위험한 단기 부작용은 호흡 중추 억제로 인한 호흡 횟수 감소 및 깊이 저하이며, 심한 경우 호흡 정지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213. 장기적 영향: 반복 사용은 매우 빠르고 강력한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유발합니다. 금단 증상은 근육통, 뼈 통증, 불면, 설사, 구토, 오한, 통제 불가능한 다리 움직임, 극심한 약물 갈망 등으로 매우 고통스럽습니다13. 장기적으로는 호흡 억제로 인한 만성적인 저산소증이 뇌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2, 장기 기능 부전, 면역력 저하, 내분비계 교란(특히 성호르몬 생성 억제로 인한 성기능 장애, 불임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82. 주요 신체 기관에 미치는 영향: 뇌에 가장 심각한 위험은 호흡 억제로 인한 뇌의 저산소성 손상입니다2. 이는 혼수 상태, 영구적인 인지 장애, 심지어 식물인간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 또한 뇌의 통증 및 보상 경로에 손상을 주어 만성적인 통증 민감도 증가나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억 상실, 섬망, 판단력 저하도 흔합니다. 심혈관계에는 서맥(느린 맥박), 저혈압이 흔하며, 고용량에서는 부정맥이나 심정지 위험도 있습니다19. 호흡기계에는 심각한 호흡 억제가 가장 특징적이고 치명적인 부작용입니다13.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폐렴과 같은 호흡기 감염의 위험도 높입니다. 간에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성분)이 포함된 일부 처방용 오피오이드의 장기 과다 복용은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20, 펜타닐과 같은 순수 합성 오피오이드 자체의 직접적인 간 독성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됩니다. 신장에는 만성적인 사용은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탈수를 유발하여 신장 기능을 저하시키고, 드물게 급성 신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20. 합성 오피오이드의 가장 큰 위험은 극도로 강력한 효능으로 인한 과다복용 및 호흡 정지 위험입니다. 미국에서는 펜타닐 및 그 유사체가 약물 과다복용 사망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꼽힐 만큼 그 파괴력이 심각합니다2.

신종 벤조디아제핀의 부작용 (Side Effects of Novel Benzodiazepines)

신종 벤조디아제핀은 처방용 벤조디아제핀과 유사한 효과를 내지만, 불법 제조로 인한 순도 및 함량 불확실성, 다른 약물과의 혼합 가능성 등으로 인해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 영향: 과도한 진정, 졸음, 비틀거림(운동실조), 어눌한 말투, 단기 기억 상실 등이 나타납니다8. 고용량 또는 알코올이나 다른 중추신경억제제와 병용 시 심각한 호흡 억제나 의식 소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1. 장기적 영향: 반복 사용 시 의존성이 생기며, 갑자기 중단하면 불안, 불면, 초조, 심한 경우 발작과 같은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1. 장기 사용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일부 사용자에게서는 오히려 공격성, 충동성, 자살 경향 증가와 같은 모순 반응(paradoxical reaction)이 나타나기도 합니다21. 기타: 근이완 작용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증가하며, 저혈압, 성기능 장애(성욕 감퇴, 발기부전) 등이 보고됩니다21. 임신 초기 사용 시 자연 유산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21. 신종 벤조디아제핀은 종종 처방약으로 위장하거나 다른 약물과 혼합되어 유통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얼마나 복용하는지 알기 어려워 과다복용이나 위험한 상호작용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펜에틸아민 계열의 부작용 (Side Effects of Phenethylamines)

펜에틸아민 계열은 매우 다양한 화학 구조와 효과를 가진 광범위한 약물군으로, 흥분제부터 강력한 환각제까지 포함합니다. 단기적 영향: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환각, 정신 상태 변화, 흥분, 심계항진, 고혈압, 불안, 불면, 동공 확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8. 25I-NBOMe와 같은 NBOMe 계열 약물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강렬한 환각과 함께 심각한 신체적 부작용(혈관 수축, 발작, 고열)을 유발하며, 사망 사례도 다수 보고되었습니다22. 3,4-MDPHP와 같은 일부 물질은 공격적인 행동, 의식 소실, 혼수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23. 장기적 영향: 일부 펜에틸아민 계열 약물은 의존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신경 독성으로 인한 뇌세포 손상, 산화 스트레스 증가, 세포 사멸 유도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23. 장기간 사용 시 정신병적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임산부에게는 사용이 금기시되며, 기존에 조울증이나 조현병과 같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증상을 급격히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8. 펜에틸아민 계열 약물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변종이 계속 등장하고 있어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 강력한 정신 활성 효과와 함께 예측 불가능한 신경계 및 심혈관계 부작용을 동반할 위험이 크다.

이처럼 각 합성 약물군은 고유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하고 다면적인 위협을 가합니다. 특히, 기존에 특정 질환(예: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합성 약물을 사용할 경우, 해당 질환이 급격히 악화되거나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훨씬 커진다8. 예를 들어, 천식 환자가 합성 오피오이드를 사용하면 호흡 억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고, 조현병 환자가 합성 칸나비노이드를 사용하면 정신병적 증상이 극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 약물의 위험성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더욱 증폭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표 3: 주요 합성 약물군별 건강상 부작용 요약
약물군 (Drug Class) 구분 (Type of Effect) 세부 부작용 (Specific Side Effects)
합성 칸나비노이드 단기 빠른 심박수, 고혈압, 구토, 초조, 혼란, 환각, 공황 발작2
장기 중독, 금단 증상, 정신병 (천연 대마보다 심각)25, 인지 기능 장애8
정신병, 불안, 섬망, 발작, 인지 손상, 감정 처리 장애15
심혈관계 빈맥,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 심정지215
신장 급성 신손상 (AKI)216, 급성 세뇨관 괴사 (ATN)16
합성 카티논 단기 흥분, 환각, 편집증, 공황 발작, 섬망, 공격성2, 빈맥, 고혈압, 흉통12
장기 중독, 뇌 손상 (뇌부종), 횡문근융해증, 신부전, 심부전, 사망2
정신병, 편집증, 환각, 공격성, 기억 상실, 발작1217
심혈관계 빈맥, 고혈압, 심근염, 심부전, 말초 혈관 수축12
신장 급성 신부전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이차적 손상 포함)217
합성 오피오이드 단기 극도의 행복감, 졸음, 메스꺼움, 변비, 혼란2, 호흡 억제, 의식 불명13
장기 중독, 금단 증상13, 저산소증으로 인한 영구적 뇌 손상, 장기 부전, 면역력 약화, 내분비계 교란218
저산소성 뇌 손상, 혼수, 통증/보상 경로 손상, 기억 상실, 섬망2
호흡기계 심각한 호흡 억제, 수면 무호흡 증후군, 폐렴 위험 증가13
간/신장 간 손상 (아세트아미노펜 복합제)20, 신장 기능 저하, 급성 신손상20
신종 벤조디아제핀 단기 과도한 진정, 졸음, 운동실조, 어눌한 말투, 기억 상실8, 호흡 억제 (병용 시)24
장기 의존성, 금단 증상 (발작 가능), 인지 기능 저하, 모순 반응 (공격성 증가)21
펜에틸아민 계열 단기/장기 환각, 흥분, 심계항진, 고혈압, 불안, 불면8, 신경 독성23, 의존성 가능성 (물질에 따라 매우 다양)22

6. 대한민국 내 합성 약물 현황 및 법적 규제 (Synthetic Drugs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Legal Regulations)

국내 유통 및 남용 동향 (Domestic Distribution and Abuse Trends)

과거 마약 청정국으로 불리던 대한민국 역시 더 이상 합성 약물을 포함한 신종마약류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도 신종마약류의 밀반입 및 유통, 남용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합성 대마(synthetic cannabinoids)와 알킬 니트라이트(alkyl nitrites)와 같은 물질의 검출 건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마약 시장의 변화를 시사합니다11.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보고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신종 향정신성 물질(NPS) 압수 건수는 20배 이상 증가했으며, 그중에서도 합성 대마가 가장 빠르게 확산하는 종류로 나타났습니다11. 2021년에는 압수된 합성 대마 건수가 전년 대비 400% 이상 증가하는 등 심각한 확산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신종마약류의 주요 유통 경로 중 하나는 인터넷, SNS, 다크웹 등 온라인 플랫폼입니다25. 익명성이 보장되고 접근이 용이한 온라인 환경은 불법 마약류 거래의 온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가 이러한 경로를 통해 신종마약류에 쉽게 노출될 위험이 큽니다. 실제로 국내 신종마약류 관련 범죄자 중 30대 이하 젊은 층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25,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예방 교육과 온라인 감시 강화의 필요성이 절실합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여러 종류의 약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압수된 합성 대마초 샘플의 상당수가 다른 종류의 합성 대마초나 일반 대마초와 혼합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11, 이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더욱 강력하고 예측 불가능한 효과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다중 약물 사용 패턴은 중독 증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온라인을 통한 유통 확대와 젊은 층의 노출 증가는 국내 마약 문제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단속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이버 공간에서의 감시 강화, 국제 공조를 통한 해외 유입 차단, 그리고 변화하는 마약 사용 패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맞춤형 대응 전략이 요구됩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의 및 규제 (Definitions and Regulations under the Narcotics Control Act)

대한민국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마약류관리법)을 통해 마약류의 오남용으로 인한 보건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적정한 관리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 법에서 “마약류”란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및 대마를 총칭합니다26.

마약: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2호에 따르면, “마약”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 가. 양귀비, 아편, 코카 잎[엽]
  • 나. 양귀비, 아편 또는 코카 잎에서 추출되는 모든 알칼로이드 및 그와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예: 코카인, 헤로인, 모르핀, 코데인, 옥시코돈 등)26
  • 다. 가목 및 나목에 규정된 것 외에 그와 동일하게 남용되거나 해독(害毒) 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화학적 합성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예: 펜타닐, 메타돈, 카르펜타닐 등)26
  • 라. 가목부터 다목까지에 열거된 것을 함유하는 혼합물질 또는 혼합제제 (일부 예외 있음)

여기서 “화학적 합성품”이라는 용어는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합성 약물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펜타닐과 같은 강력한 합성 오피오이드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향정신성의약품: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3호에 따르면, “향정신성의약품”은 인간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위해가 있다고 인정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그 분류는 오용 또는 남용 우려, 의료용 사용 여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의 정도에 따라 여러 군으로 나뉜다26.

  • 가목: 오용·남용 우려가 심하고 의료용으로 쓰이지 아니하며 안전성이 결여되어 심한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예: LSD)
  • 나목: 오용·남용 우려가 심하고 매우 제한된 의료용으로만 쓰이며 심한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예: 메트암페타민(필로폰), MDMA(엑스터시), 케타민)
  • 다목: 가목·나목보다 오용·남용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며 심한 정신적 의존성 등을 일으키는 약물 (예: 바르비탈, 플루니트라제팜)
  • 라목: 다목보다 오용·남용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며 신체적·정신적 의존성 우려가 적은 약물 (예: 졸피뎀)
  • 마목: 가목부터 라목까지에 열거된 것을 함유하는 혼합물질 또는 혼합제제 (일부 예외 있음)

다수의 합성 약물, 특히 신종 향정신성 물질(NPS)이 이 분류에 해당하며, 그 위험성에 따라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진다. 임시마약류 지정 제도: 마약류관리법 제5조의2는 아직 마약류로 지정되지 않은 물질 중 오용 또는 남용으로 인한 보건상의 위해가 우려되어 긴급히 마약류에 준하여 취급·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물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임시마약류”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26. 임시마약류는 그 중추신경계 작용 또는 의존성 유발 가능성에 따라 1군과 2군으로 구분됩니다. 이 제도는 새롭게 등장하는 신종 합성 약물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국민 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이처럼 대한민국의 마약류관리법은 합성 약물을 포함한 다양한 마약류를 그 특성과 위험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정의와 규제 범위를 명확히 하여 불법적인 제조, 유통, 사용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습니다. 특히, ADHD 치료제(메틸페니데이트 성분)나 식욕억제제(펜터민 성분)와 같이 의료용으로 사용되지만 오남용될 경우 마약류와 유사한 중독 및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합성 의약품들도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엄격한 관리하에 있습니다27. 이러한 의료용 마약류의 오남용이 실제 불법 마약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27, 이는 합법적으로 제조된 합성 약물이라 할지라도 오용 및 남용될 경우 심각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특히 청소년층에서 ‘공부 잘하는 약’이나 ‘다이어트 약’ 등으로 오인되어 쉽게 접근하고 남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표 4: 대한민국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상 관련 약물 분류 및 정의
법적 분류 (Legal Category) 정의 (Definition) 포함되는 합성 약물 예시 (Examples of Synthetic Drugs Covered) 주요 법적 근거 (Key Legal Reference)
마약 (Narcotics) 양귀비, 아편, 코카 잎에서 추출되는 알칼로이드 및 그와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 또는 그와 동일하게 남용/해독 우려가 있는 화학적 합성품26 펜타닐, 메타돈, 카르펜타닐26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2호
향정신성의약품 (Psychotropic Substances) 인간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오용/남용 시 인체에 심각한 위해가 인정되는 물질 (위험도에 따라 가~마목으로 분류)28 LSD, 메트암페타민(필로폰), MDMA(엑스터시), 케타민, 졸피뎀, 신종 벤조디아제핀 계열, 합성 카티논 계열, 펜에틸아민 계열 다수26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3호
임시마약류 (Temporary Narcotics) 마약류가 아니지만 오용/남용으로 인한 보건상 위해가 우려되어 긴급히 마약류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물질 (1군, 2군으로 구분)26 새롭게 등장하는 다수의 신종 합성 약물 (예: 특정 합성 칸나비노이드, 특정 신종 벤조디아제핀 등 지정 당시 규제 공백 상태인 물질) 마약류관리법 제5조의2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역할 및 정보 제공 (Role of MFDS and Information Provision)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신종마약류를 포함한 마약류의 안전 관리 및 규제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식약처는 국내외 신종마약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들 물질의 유해성을 평가하여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신종마약류에 대한 유해성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이를 관련 기관 및 대중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식약처는 매년 ‘신종마약류 유해성 정보지’를 발간하여 새롭게 등장하거나 국제적으로 통제되는 신종마약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약리 작용, 독성 및 부작용, 의존성 및 남용 가능성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아 배포합니다29. 이 정보지는 검찰, 경찰, 관세청 등 법 집행기관의 마약류 조사 및 단속 업무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교육 및 홍보 자료로도 사용되어 신종마약류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하는 데 기여합니다29. 예를 들어, 2021년 정보지에는 클로나졸람, 이소토니타젠, MDMB-4en-PINACA 등 8종의 신종마약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으며14, 2022년 정보지에는 브로르핀 등이 포함되었습니다29.

또한, 식약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의료용 마약류의 제조, 수입, 유통, 사용 등 전 과정을 추적 관리함으로써 오남용을 방지하고 있으며28, 마약류 정보 포털사이트를 통해 마약류 정책, 관련 법규, 통계 자료, 교육 자료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마약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28. 식약처는 국내 유관기관(법무부, 검찰청, 경찰청, 관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신종마약류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불법 마약류의 국내 유입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공동 대응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29. 더 나아가, KAIST와 같은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뇌 오가노이드 기술 등을 활용한 마약류 연구를 추진하여 약물 중독 기전 규명, 금단 증상 연구, 재활 방법 개발 등 과학적 근거 마련에도 힘쓰고 있습니다30. 이처럼 식약처는 신종 합성 약물을 포함한 마약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적 평가, 정보 제공, 규제 강화, 기관 간 협력, 연구 개발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국민 보건을 보호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합성 약물은 예측 불가능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극소량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이나 SNS를 통해 유통되는 출처 불명의 약물은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성분과 순도를 알 수 없어 매우 위험합니다.
  • 호기심으로라도 합성 약물을 시도하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약물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의사,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십시오. 익명으로 상담 가능한 기관도 있습니다.
  • 주변 사람이 약물 문제로 힘들어한다면 비난하기보다 치료와 회복을 위한 지지와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합성 약물이란 정확히 무엇이며, 천연 마약과 어떻게 다른가요?

합성 약물은 실험실에서 화학적 합성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질로, 자연에서 얻는 천연 마약(예: 아편, 대마초)과는 기원과 제조 방식이 다릅니다2. 합성 약물은 종종 천연 마약의 효과를 모방하거나 더 강력하게 만들도록 설계되지만, 화학 구조가 계속 변형되어 성분과 순도가 불분명하고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 위험이 훨씬 큽니다24.

가장 위험한 합성 약물 종류는 무엇이고, 왜 그렇게 위험한가요?

모든 합성 약물은 위험하지만, 특히 펜타닐과 같은 합성 오피오이드는 극소량으로도 호흡 정지를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213. 합성 칸나비노이드(K2, 스파이스)는 강력한 정신병적 증상과 심장 및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215, 합성 카티논(배스 솔트)은 극도의 흥분, 공격성, 심각한 신체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212. 이들 약물은 효능이 매우 강력하고, 불법 제조로 인해 함량이 일정하지 않아 과다복용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합성 약물은 얼마나 쉽게 중독될 수 있나요? 중독 및 금단 증상은 어떤가요?

많은 합성 약물, 특히 합성 오피오이드, 합성 카티논, 일부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뇌의 보상회로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매우 빠르게 강력한 심리적, 신체적 의존성을 유발합니다2. 약물 사용을 중단하면 극심한 불안, 우울, 불면, 근육통, 구토, 설사, 참을 수 없는 갈망감 등 매우 고통스러운 금단 증상이 나타나 다시 약물을 찾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기 쉽습니다13.

실수로 합성 약물을 복용했거나 주변 사람이 복용한 것 같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즉시 119에 연락하여 응급 의료 지원을 요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환자의 의식 상태, 호흡, 복용한 약물(알고 있다면 포장지 등)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환자를 혼자 두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옮긴 후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상태를 관찰하며 지시에 따르십시오. 섣부른 자가 치료나 구토 유도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합성 약물 문제에 대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

한국 정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합성 약물을 포함한 마약류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습니다26. 신종마약류를 신속히 임시마약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26, 국내외 유통 및 남용 동향을 감시하고 있습니다11. 또한, 온라인 불법 유통 단속 강화25, 국제 공조, 유해성 정보 제공29, 연구 개발 지원30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합성 약물 사용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는 무엇을 할 수 있나요?

개인은 합성 약물의 위험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숙지하고 절대 호기심으로라도 시도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적으로는 청소년 대상 예방 교육 강화27, 약물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중독자에 대한 치료 및 재활 지원 확대31, 건강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교육 및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향상27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불법 약물 유통에 대한 적극적인 신고와 감시도 중요합니다.

결론

합성 약물의 위험성 요약 및 경고 (Summary of Risks and Warnings about Synthetic Drugs)

본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합성 약물은 그 정의에서부터 제조 과정, 화학적 특성, 그리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들 약물의 핵심적인 위험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 예측 불가능성입니다. 합성 약물, 특히 불법적으로 제조되는 신종 향정신성 물질(NPS)은 그 성분, 순도, 함량이 불분명하고 지속적으로 변형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얼마나 투여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2. 이는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만들어 매 사용을 위험한 도박으로 만듭니다.

둘째, 강력한 독성 및 부작용입니다. 많은 합성 약물은 천연 약물의 효과를 모방하거나 강화하도록 설계되지만, 그 과정에서 인체에 훨씬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43. 심혈관계, 신경계, 정신계, 신장, 간 등 주요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각, 정신병, 발작, 심정지, 뇌 손상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2.

셋째, 높은 중독성 및 의존성입니다. 다수의 합성 약물은 뇌의 보상회로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심리적, 신체적 의존성을 유발하며, 금단 증상 또한 매우 고통스러워 약물 사용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만듭니다2.

넷째,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 위험입니다. 특히 펜타닐과 같은 초강력 합성 오피오이드는 극소량으로도 호흡을 억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다른 약물에 혼입되어 사용자도 모르게 투여되는 경우가 많아 그 위험성이 더욱 크다2.

이러한 개인적 건강 위험 외에도, 합성 약물의 확산은 공중 보건 시스템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마약 관련 범죄 증가로 이어져 사회 전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됩니다32. 따라서 합성 약물의 위험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절실히 요구됩니다.

예방, 교육 및 대응 전략의 중요성 (Importance of Prevention, Education, and Response Strategies)

합성 약물로 인한 복잡하고 심각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단순히 약물 사용자를 처벌하는 것을 넘어 예방, 교육, 치료, 재활, 연구, 법 집행, 국제 협력 등 모든 측면을 포괄해야 합니다.

다층적 예방 전략:

  • 대국민 교육 및 인식 개선: 합성 약물의 실체와 그 위험성에 대한 정확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모든 연령층, 특히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27. 학교, 지역사회, 미디어를 활용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 캠페인이 필요합니다.
  • 조기 발견 및 개입 시스템 강화: 약물 사용 위험군을 조기에 식별하고 적절한 지원 및 개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 가정, 지역사회, 의료기관 간의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전문가 교육 및 역량 강화:

  • 의료진 대상: 신종마약류로 인한 중독 증상의 특징, 응급 처치 방법, 효과적인 치료 프로토콜 등에 대한 전문 교육을 강화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의료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33.
  • 법 집행기관 대상: 새롭게 등장하는 신종마약류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기술과 장비를 확충하고, 관련 전문 인력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합니다34.

연구 개발 투자:

  • 신종마약류의 정확한 약리·독성 기전을 규명하고, 인체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 투자를 확대해야 합니다.
  • 또한, 현장에서 신속하게 신종마약류를 탐지할 수 있는 첨단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30.
  • 한국인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중독 치료법 및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중요합니다.

법적·제도적 대응 강화:

  • 임시마약류 지정 제도와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마약 시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고도화해야 합니다.
  • 온라인을 통한 불법 마약류 유통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차단하기 위한 기술적, 법적 수단을 강화하고, 관련 국제 공조를 확대해야 합니다25.

국제 협력 강화: UNODC, EMCDDA, 인터폴 등 국제기구 및 개별 국가들과의 긴밀한 정보 공유와 수사 공조를 통해 신종마약류의 국제적 확산에 공동으로 대응해야 합니다1.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확대 및 중독자 사회 복귀 지원:

  • 약물 중독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중독자들이 전문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35.
  • 중독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해소하고, 이들이 건강하게 사회에 복귀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직업 재활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합성 약물의 문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법 제조자들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화학 구조의 물질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유통 방식 또한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적 군비 경쟁”과 “디지털 밀매”의 양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중 보건 시스템 역시 정체되지 않고 민첩하게 적응해 나가야 합니다. 새로운 위협에 대한 신속한 정보 수집 및 전파, 의료 및 법 집행 전문가들에 대한 최신 교육, 그리고 개입 전략의 유연한 조정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더 나아가, 약물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공급 측면의 통제와 더불어 수요 측면의 문제 해결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스트레스, 정신 건강 문제, 사회경제적 어려움, 소외감 등 약물 사용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합니다27. 정신 건강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건강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교육하며,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개인과 지역사회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통합적인 접근이 장기적으로 약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합성 약물의 위협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심각하고 복잡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증거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며, 사회 모든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예방, 치료, 재활, 규제가 조화된 포괄적이고 적응력 있는 전략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교육 및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특정 개인의 건강 상태나 치료 방법에 대한 결정은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참고 문헌

  1. UNODC Early warning advisory (EWA) on new psychoactive substances (NPS). [인터넷]. UNODC;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rugsandalcohol.ie/37117
  2. Synthetic Drugs: Lab-Made Marijuana, Opioids and Stimulants. [인터넷]. Hazelden Betty Ford Foundation;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zeldenbettyford.org/articles/synthetic-and-designer-drugs
  3. NPS – New Psychoactive Substances – UNODC Synthetic Drug Strategy. [인터넷]. UNODC;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theticdrugs.unodc.org/uploads/syntheticdrugs/res/library/earlywarning_html/NPS_-_New_psychoactive_substances_leaflet.pdf
  4.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rganic and Synthetic Drugs? [인터넷]. Skywood Recovery;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kywoodrecovery.com/resources/what-is-the-difference-between-organic-and-synthetic-drugs/
  5. Novel psychoactive substances: What educators need to know.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19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704356/
  6. [제약/시장 및 산업 정보] 천연물의약품? 합성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성분별 의약품 구분).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 생각하는 개발자; 2017년 02월 23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eng_lit/220943026034
  7. [기말 8강] 천연 및 합성 의약품.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 I AM SCIENCE; 2016년 12월 03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iamscience/220877865097
  8. Synthetic drug. [인터넷]. Wikipedia; 2024년 05월 15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n.wikipedia.org/wiki/Synthetic_drug
  9. 신약 개발의 모든 것: 약물 설계부터 임상 응용까지. [인터넷]. 잡학서고; 2023년 10월 25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klibrarykor.com/3057/
  10. NPS Data Visualisations. [인터넷]. UNODC;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nodc.org/LSS/Page/NPS/DataVisualisations
  11. Drug trend report 2017–2021 in Korea.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22년 08월 08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75821/
  12. The Toxicology of Bath Salts: A Review of Synthetic Cathinones.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13년 01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550219/
  13. Fentanyl DrugFacts. [인터넷].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NIDA); 2021년 06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ida.nih.gov/publications/drugfacts/fentanyl
  14.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종마약류 유해성 정보지. [인터넷].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년 03월 29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fds.go.kr/brd/99/down.do?brd_id=ntc0021&seq=45513&data_tp=A&file_seq=2
  15. The synthetic cannabinoids menace: a review of health risks and toxicity.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23년 12월 22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85485/
  16. Toxicity of Synthetic Cannabinoids in K2/Spice: A Systematic Review. [인터넷]. MDPI; 2023년 07월 01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dpi.com/2076-3425/13/7/990
  17. Bath Salts’ Effects on the Body. [인터넷]. DrugFreeCT.org;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rugfreect.org/illicit-drugs/bath-salts/effects-on-the-body/
  18. Fairfax 카운티 청소년의 약물 사용 동향. [인터넷]. Fairfax County Public Schools;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cps.edu/sites/default/files/media/forms/YouthSubstanceUseTrends-Korean.pdf
  19. Fentanyl. [인터넷].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4년 03월 06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59275/
  20. Physical Health Risks of Opioid Use: Short- and Long-Term Consequences. [인터넷]. Lake County Indiana;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lakecountyin.gov/departments/health/nursing-clinic/prevention/opioids/physical-health-risks-of-opioid-use-short-and-long-term-consequences
  21. 벤조디아제핀 (r414 판). [인터넷]. 나무위키; 2024년 05월 19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mu.wiki/w/%EB%B2%A4%EC%A1%B0%EB%94%94%EC%95%84%EC%A0%9C%ED%95%80?rev=414
  22. Acute Effects of the Psychedelic Phenethylamine 25I-NBOMe in C57BL/6J Male Mice.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24년 05월 07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943083/
  23. Effects of the Phenethylamine 2-Cl-4,5-MDMA and the Synthetic Cathinone 3,4-MDPHP in Adolescent Rats: Focus on Sex Differences.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22년 10월 13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98216/
  24. Benzodiazepine Toxicity. [인터넷].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4년 02월 20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2238/
  25. Current Status and Control Policies of Crimes Related to New Psychoactive Substances. [인터넷]. KICJ Research Reports; 2017년 12월 30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icj.re.kr/board.es?mid=a20201000000&bid=0029&list_no=12441&act=view
  26. 마약류중독자 > 마약류중독자 알아보기 > 마약류중독의 이해 > 마약류의 종류 및 용어 등. [인터넷].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asylaw.go.kr/MOB/CsmInfoRetrieve.laf?csmSeq=1964&ccfNo=1&cciNo=1&cnpClsNo=1
  27. 청소년 약물 오·남용 실태 및 예방을 위한 정책 과제. [인터넷].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년 04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yci.or.kr/fileup/issuepaper/IssuePaper_2023%EB%85%84%204%ED%98%B8.pdf
  28. 마약류 정보. [인터넷].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fds.go.kr/wpge/m_736/de010114l001.do
  29. 2022년 신종마약류 유해성 정보지. [인터넷].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년 12월 27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fds.go.kr/brd/m_739/view.do?seq=7&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원문 링크: https://www.mfds.go.kr/brd/99/down.do?brd_id=ntc0021&seq=46488&data_tp=A&file_seq=2)
  30. KAIST-식약처, 신종마약에 공동 대응. [인터넷]. 헬로디디; 2023년 07월 18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147
  31. A Path Analysis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Norms on Substance Use Severity: Focusing on People Who Use Cannabis, Narcotics, and Psychotropic Substances in South Korea.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24년 04월 30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765169/
  32. 교정 리포트. [인터넷]. 월간교정 2022년 7월호 Vol.573; 2022년 07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webzine.com/vol573/sub_2_03.html
  33. Synthetic Cathinones (‘Bath Salts’): Legal and Health Care Challenges. [인터넷]. PMC (PubMed Central); 2012년 10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474442/
  34. 국과수, 신종 마약 ‘천사의 가루’ 세계 최초 검출 성공 / SBS. [인터넷]. YouTube (SBS News 채널); 2018년 11월 15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BoUXfHGUdwA (실제 링크 확인 필요, 원본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example – 사용자가 제공한 링크가 작동하지 않아 예시 URL로 대체함)
  35. Acute Kidney Injury (AKI) in Young Synthetic Cannabinoids Abusers. [인터넷]. MDPI; 2022년 08월 11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dpi.com/2227-9059/10/8/1936
  36. Synthetic Cathinones Induce Developmental Arrest, Reduce Reproductive Capacity, and Shorten Lifespan in the C. elegans Model. [인터넷]. MDPI; 2024년 01월 17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dpi.com/2039-4713/15/1/33
  37. Opioid(오피오이드) 진통제의 종류, 아편유사제의 부작용.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 대전 제일 정형외과 병원; 2022년 07월 04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ttjointdj/222798909446?viewType=pc
  38. Opioids: What They Are, Side Effects & Disorders. [인터넷]. Cleveland Clinic; 2022년 02월 28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rugs/21127-opioids
  39. 명문펜타닐패취50μg/h Myungmoon Fentanyl Pacth 50μg/h 의약품 정보. [인터넷]. 약학정보원;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3013000034
  40. KoreaMed Synapse. [인터넷].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042736
  41. 개요 및 세계 마약류 현황. [인터넷].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2022년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drugfree.or.kr/drug_bbs/data/board/drug5/file/1/2022_%EB%A7%88%EC%95%BD%EB%A5%98_%EB%B2%94%EC%A3%84%EB%B0%B1%EC%84%9C_1%EC%9E%A5.pdf
  42. 신종 마약류 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인터넷]. Korea Science; 2023년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2319151131062.page?&lang=ko
  43. 국과수, 세계 최초 신종 마약 ‘천사의 가루’ 화학구조 규명했다. [인터넷]. 공생공사닷컴; 2018년 11월 15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public25.com/news/articleView.html?idxno=18672
  44. Synthetic Drug Facts. [인터넷]. Syracuse University Department of Public Safety;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ps.syr.edu/public-information/synthetic-drug-facts/
  45. Perioperative care for drug abusers in the opioid crisis era. [인터넷].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23년 05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kma.org/upload/pdf/jkma-2023-66-5-314.pdf
  46. 벤조디아제핀. [인터넷]. 나무위키; 2024년 05월 19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mu.wiki/w/%EB%B2%A4%EC%A1%B0%EB%94%94%EC%95%84%EC%A0%9C%ED%95%80
  47. Benzodiazepines. [인터넷].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4년 02월 20일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70159/
  48. 향정신성의약품. [인터넷]. 마약전문로펌 TS파트너스;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reanlaw.net/sub/pages/characteristic3
  49. 합성 마리화나. [인터넷]. MSD 매뉴얼 – 일반인용;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ED%8A%B9%EB%B3%84-%EC%A3%BC%EC%A0%9C/%EB%B6%88%EB%B2%95-%EC%95%BD%EB%AC%BC-%EB%B0%8F-%EC%A4%91%EB%8F%85%EC%84%B1-%EB%AC%BC%EC%A7%88/%ED%95%A9%EC%84%B1-%EB%A7%88%EB%A6%AC%ED%99%94%EB%82%98
  50. [Table], Synthetic Cannabinoids (“K2”/“Spice”). [인터넷]. Facing Addiction in America – NCBI Bookshelf; 2016년 11월 [2025년 05월 2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24847/table/appd.t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