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눈 비비기, 정말 괜찮을까요? 안과 의사가 경고하는 위험성과 올바른 눈 건강 관리법

우리도 모르게 눈을 비비는 습관,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습니다. 피곤할 때, 눈이 가려울 때, 혹은 단순히 버릇처럼 눈으로 손이 향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 사소해 보이는 행동이 실제로는 우리 눈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안과 전문의의 경고를 바탕으로 눈을 비비는 다양한 원인부터 시작하여, 눈 비비기가 야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점들, 그리고 소중한 우리 눈을 건강하게 지키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처법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KRHOW.COM은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눈을 위한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눈을 비비는 행동은 피로, 안구 건조증, 알레르기 반응, 이물질 유입, 스트레스, 수면 부족, 심지어 무의식적인 습관 등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1, 2, 3, 4, 5
  • 눈 비비기는 각막 손상(찰과상, 미란, 원추각막 등), 안구 감염(결막염, 다래끼 등)을 유발하거나 기존 안질환(녹내장, 고도근시로 인한 망막박리 위험)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다크서클이나 눈가 주름 같은 미용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1, 2, 6, 7, 8, 9
  • 눈이 가렵거나 불편할 때는 비비는 대신 원인에 따라 인공눈물 사용, 냉찜질, 알레르기 치료, 이물질 제거 등 안전한 방법으로 대처해야 하며, 손을 청결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특히 어린이의 눈 비비는 습관은 각막이 약하고 시력 발달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더욱 주의 깊은 관찰과 지도가 필요하며,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한 안과 검진이 권장됩니다.
  • 눈 비비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원인 해결이 우선이며, 행동 수정 요법이나 스트레스 관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한 증상이나 시력 변화 시에는 반드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10

1. 눈, 왜 자꾸 비비게 될까요?

눈을 비비는 행동은 우리 생활 속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반응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행동 뒤에는 다양한 생리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피로와 수면 부족: 장시간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 독서 등으로 눈이 피로해지면 눈 근육이 긴장하고 건조해지면서 비비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됩니다. 5 수면이 부족할 때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구 건조증: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 안구 표면이 건조해지면 뻑뻑함, 이물감, 작열감 등과 함께 가려움을 느껴 눈을 비비게 됩니다. 1, 9
  • 알레르기 반응: 꽃가루,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특정 화장품 성분 등 다양한 알레르겐(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눈에 접촉하면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가려움, 충혈,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이는 눈을 비비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1, 3, 4
  • 외부 이물질: 먼지, 모래, 속눈썹, 작은 벌레 등이 눈에 들어가면 자극감과 함께 반사적으로 눈을 비비게 됩니다. 4
  • 스트레스 및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심할 때, 혹은 집중하거나 생각에 잠길 때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비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 1
  • 단순 습관: 특별한 원인 없이 어릴 때부터 형성된 습관으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비기도 합니다. 1, 2

이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눈을 비비게 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오히려 눈 건강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눈 비비기, 정확히 어떤 문제를 일으킬까요?

순간의 가려움이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심코 눈을 비비는 행동은 생각보다 심각한 안과적 문제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 눈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각막은 매우 섬세하고 약한 조직이기 때문입니다. 눈을 비비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압력과 마찰, 그리고 손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다양한 안구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거나 기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1. 각막 손상: 찰과상부터 시력 저하까지

눈을 비빌 때 가장 직접적으로 손상받기 쉬운 부위는 각막입니다. 각막은 안구의 가장 앞쪽에 있는 투명한 막으로, 빛을 통과시켜 망막에 상을 맺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6 손이나 손톱, 혹은 눈꺼풀 안쪽에 있던 작은 이물질 등에 의해 각막 표면이 긁히거나 벗겨지는 각막찰과상(Corneal Abrasion)이나 각막미란(Corneal Eros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6, 7, 8 이러한 손상은 심한 통증, 눈물 흘림, 빛 번짐, 시력 저하 등을 동반하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성 각막미란으로 진행되거나 세균 감염으로 이어져 각막염(Keratitis), 심한 경우 각막궤양(Corneal Ulcer)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1, 6, 8 반복적인 각막 손상과 염증은 결국 각막혼탁(Corneal Opacity)을 남겨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1, 6

2.2. 원추각막: 각막 변형으로 인한 시력 손실의 위험

눈을 자주, 그리고 세게 비비는 습관은 ‘원추각막(Keratoconus)’이라는 심각한 진행성 안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2, 6, 11, 13, 15 원추각막은 정상적으로는 둥근 공 모양을 유지해야 할 각막의 중심부 또는 주변부가 점차 얇아지고 돌출되어 원뿔 모양으로 변형되는 질환입니다. 12, 17 이러한 각막의 구조적 변형은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초점을 맺지 못하게 만들어 부정난시(Irregular Astigmatism)를 유발하고, 이는 일반적인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는 교정이 어려운 심각한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2, 21, 25

눈 비비기와 원추각막의 연관성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속적인 물리적 마찰이 각막 조직의 콜라겐 결합을 약화시키고 각막의 구조적 안정성을 손상시켜 변형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5, 25 특히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만성적인 가려움증으로 인해 눈을 자주 비비는 사람들에게서 원추각막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었습니다. 11, 14, 20 유전적 소인도 원추각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적 요인, 특히 눈 비비는 습관이 질환의 발현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2, 14

원추각막은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진행됨에 따라 시력 저하, 빛 번짐, 눈부심, 단안 복시(한쪽 눈으로 볼 때 사물이 둘로 보이는 현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2, 16, 17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원추각막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21, 22 따라서 이유 없이 시력이 계속 저하되거나 안경으로 잘 교정되지 않는 난시가 있다면, 특히 눈을 자주 비비는 습관이 있다면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8, 23, 26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예: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 특수 콘택트렌즈 착용 등)를 받으면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시력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2, 17

2.3. 안구 감염: 세균과 바이러스의 침투 경로

눈을 비비는 행위는 손에 있는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눈으로 직접 옮기는 결과를 초래하여 각종 안구 감염의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1, 3, 4, 6, 8, 19, 24 우리 손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물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수많은 미생물의 온상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으로 눈을 만지거나 비비면 눈의 방어막이 손상되면서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29, 35

가장 흔한 안구 감염으로는 결막염(Conjunctivitis)이 있습니다.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자위를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으로, 눈 비비기를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염증이 발생하여 충혈, 가려움, 눈곱, 이물감,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9, 30, 37 원인균에 따라 세균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결막염 등으로 나뉘며, 특히 아데노바이러스 등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해 주의해야 합니다. 38 알레르기성 결막염 역시 가려움증으로 인해 눈을 심하게 비비게 되고, 이는 이차적인 세균 감염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28, 31, 33

눈꺼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인 다래끼(맥립종, Hordeolum)나 눈꺼풀염(Blepharitis)도 눈 비비기와 관련이 깊습니다. 8, 9 손의 세균이 눈꺼풀의 기름샘이나 속눈썹 모낭에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39 또한, 눈을 비비는 과정에서 각막에 생긴 미세한 상처를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각막염이나 각막궤양과 같은 더 심각한 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1, 4, 6 특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의 경우, 렌즈를 만지기 전 손을 깨끗이 씻지 않거나 오염된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을 비비면 감염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32, 35 따라서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가급적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7, 34

2.4. 기존 안질환의 악화: 녹내장과 망막박리의 그림자

눈을 비비는 습관은 이미 가지고 있는 특정 안질환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녹내장 환자와 고도근시 환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녹내장(Glaucoma)은 안압 상승 등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가 점차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40, 41 눈을 세게 비비면 일시적으로 안압이 크게 상승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안압 상승은 이미 약해져 있는 시신경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어 손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1, 2, 7, 25, 42, 43 따라서 녹내장 진단을 받았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눈을 비비는 행동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 안구가 정상보다 앞뒤로 길어지면서 망막이 얇아지고 변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39, 44, 45 눈을 비비는 물리적인 힘은 이렇게 약해진 망막에 충격을 주어 망막 열공(Retinal Tear)이나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9, 46, 47 망막 박리는 즉각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응급한 안질환이므로, 고도근시 환자는 눈 비비는 습관을 반드시 교정해야 합니다. 48, 49

2.5. 미용적 문제: 다크서클과 눈가 주름

눈 건강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눈 비비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눈 주위 피부는 우리 몸에서 가장 얇고 예민한 부위 중 하나로, 반복적인 마찰에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1, 50

흔히 ‘다크서클(Dark Circles)’이라고 불리는 눈 밑 어두움은 눈 비비기로 인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18, 24, 39 눈을 비비면 눈 주위 미세 혈관이 확장되거나 손상되어 혈액이 정체되거나 색소 침착이 발생하여 눈 밑이 어두워 보일 수 있습니다. 51, 52, 56, 59

또한, 반복적인 눈 비비기는 눈가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잔주름을 유발하거나 깊어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6, 9 심한 경우,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근육(안검거근)의 기능이 약해지거나 눈꺼풀 피부가 늘어져 눈꺼풀이 처지는 안검하수(Ptosis)가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53, 54, 55, 57, 58, 60 이러한 미용적 문제들은 실제 나이보다 더 피곤해 보이거나 나이 들어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3. 눈이 가렵거나 불편할 때, 비비지 않고 어떻게 안전하게 대처할까요?

눈이 가렵거나 이물감이 느껴질 때 무심코 눈을 비비는 대신, 원인에 따른 적절하고 안전한 대처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눈을 비비지 않고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3.1. 원인별 대처법

  • 안구 건조증: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눈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대처법입니다. 24, 50 인공눈물은 방부제 유무, 주요 성분(히알루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므로, 안과 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1 실내에서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고,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여 눈물층이 마르지 않도록 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62
  • 알레르기 반응: 알레르기로 인한 가려움증에는 항히스타민 점안액이나 비만세포 안정제 점안액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0, 40, 63, 66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단기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3 가장 중요한 것은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입니다. 꽃가루나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삼가거나 보호 안경을 착용하고, 집먼지진드기 제거를 위해 침구류를 자주 세탁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32, 64, 65 눈이 가려울 때는 냉찜질을 하면 일시적으로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3
  • 이물질 유입: 눈에 먼지나 작은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는 절대 손으로 직접 비비거나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깨끗한 생리식염수나 인공눈물을 충분히 흘려보내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10 만약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즉시 안과를 방문하여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 눈의 피로: 장시간 근거리 작업으로 인한 눈의 피로는 ’20-20-20 규칙'(20분 작업 후 20초 동안 20피트(약 6미터) 떨어진 곳 바라보기)을 실천하여 눈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35, 67 눈 주변을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눈을 직접 누르지 않도록 주의) 온찜질을 하는 것도 혈액 순환을 도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면은 눈의 피로를 푸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62, 68

3.2. 공통적인 안전 대처법

어떤 원인이든 눈에 불편함이 있을 때는 눈을 직접 만지기보다는 깨끗한 티슈나 손수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4 가장 중요한 것은 손을 자주, 그리고 깨끗하게 씻어 손을 통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69, 70

4. 어린이와 청소년의 눈 비비기, 더 위험할까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어린이나 청소년의 눈 비비는 습관은 성인보다 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들의 각막은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유연하여 물리적인 힘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6, 9, 71 지속적인 눈 비비기는 난시나 근시의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시력 발달에 중요한 시기에 약시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72, 73, 74, 75

부모는 자녀가 눈을 자주 비비는 것을 발견하면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 알레르기, 시력 이상(굴절 이상), 안구 건조, 혹은 단순 습관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76 아이에게 눈을 비비는 행동이 왜 좋지 않은지 눈높이에 맞춰 설명해주고, 눈이 가렵거나 불편할 때는 비비는 대신 부모에게 알리거나 눈을 깜빡이는 등 다른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77, 80

5. 눈 비비는 습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눈 비비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구 건조증이나 알레르기가 원인이라면 해당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나 심리적인 요인이 크다면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특정 상황(예: 컴퓨터 작업 시, 책 읽을 때)에서만 눈을 비빈다면 작업 환경을 개선하거나 의식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 습관이라면 인지행동치료의 원리를 응용하여 자신이 눈을 비비는 순간을 인지하고 다른 행동으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0

6. 언제 안과에 방문해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눈 비비는 습관과 관련하여 반드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1, 10, 20, 30, 37, 49, 63, 64, 78

  • 눈 비비기로 인해 심한 통증이나 이물감이 느껴질 때
  •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나 빛 번짐,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때
  • 충혈이 지속되거나 눈곱, 분비물이 많아질 때
  • 눈을 비비는 습관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하거나 조절되지 않을 때
  • 어린이가 눈을 자주 비비면서 시력 저하가 의심되거나 다른 이상 행동을 보일 때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눈에 심한 통증, 갑작스러운 시력 변화, 번쩍이는 불빛, 다량의 분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 의사의 처방 없이 안약을 임의로 장기간 사용하지 마십시오. 일부 안약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렌즈 소독 및 관리 지침을 철저히 따르고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으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FAQ)

Q. 눈을 비비면 정말로 시력이 나빠지나요?

A. 네, 그럴 수 있습니다. 눈을 자주 세게 비비면 각막에 미세한 손상을 주거나 각막 모양을 변형시켜 난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10, 27, 71 심한 경우 원추각막과 같은 질환으로 진행되어 심각한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12, 15 또한, 기존의 고도근시 환자가 눈을 비비면 망막 박리의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49

Q.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데 눈 비비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A.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눈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11 우선 피부과 및 안과 진료를 통해 아토피와 동반된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히스타민 점안액 사용, 실내 환경 관리(집먼지진드기 제거 등), 피부 보습 등을 통해 가려움증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63 아이의 경우 손톱을 짧게 깎아주고, 가려울 때 눈을 비비는 대신 냉찜질을 하거나 부모에게 알리도록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눈 비비기로 생긴 다크서클, 없앨 수 있나요?

A. 눈 비비기로 인해 생긴 다크서클은 원인과 상태에 따라 개선 가능성이 다릅니다. 혈관 확장이나 일시적인 색소 침착이라면 눈 비비는 습관을 교정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미백 기능성 아이크림 등을 사용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51, 52 하지만 만성적인 자극으로 인한 깊은 색소 침착이나 피부 구조의 변화가 동반된 경우에는 완전히 없애기 어려울 수 있으며,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법(예: 레이저 치료, 필러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59 가장 중요한 것은 다크서클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눈 비비는 습관을 먼저 중단하는 것입니다.

Q.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A. 인공눈물은 안구 건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사용 빈도와 종류 선택에 주의해야 합니다. 61 방부제가 포함된 인공눈물을 너무 자주(하루 6회 이상) 사용하면 방부제 성분이 각막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61 따라서 장기간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방부제가 없는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또한, 개인의 눈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인공눈물의 성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안과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아이가 밤에 잘 때 자기도 모르게 눈을 비비는 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비는 것은 아이에게 가려움증이나 불편함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72, 76 먼저 낮 동안 아이의 눈 상태를 관찰하고, 알레르기나 안구 건조증 등의 원인이 있는지 안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잠들기 전 알레르기 약을 복용하거나 항히스타민 점안액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실내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적절한 습도를 맞춰주며, 아이의 손톱을 짧게 깎아주어 비비더라도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심한 경우 수면 중 아이에게 헐렁한 장갑을 끼우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 해결이 중요합니다.

결론

눈을 비비는 행동은 일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사소한 습관처럼 보일 수 있지만, 오늘 살펴본 바와 같이 각막 손상, 원추각막, 안구 감염, 기존 안질환 악화, 심지어 미용적인 문제까지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나 특정 안질환을 가진 사람에게는 그 위험성이 더욱 큽니다. 따라서 눈이 가렵거나 불편할 때는 무심코 비비기보다는 원인에 맞는 안전한 대처법을 실천하고, 손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눈 비비는 습관이 조절되지 않거나 눈에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안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소중한 우리 눈 건강, 작은 습관의 변화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별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눈 건강에 관한 문제나 우려 사항이 있을 경우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10

참고 문헌

  1. Virginia Lasik. 눈 비비기가 왜 위험한가요? [인터넷]. Virginia Lasik;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rginia-lasik.com/ko/the-dangers-of-eye-rubbing/
  2. Primal Pictures. Why you shouldn’t rub your eyes, according to anatomy [인터넷]. Primal Pictures;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rimalpictures.com/blogs/why-you-shouldnt-rub-your-eyes/
  3. Barraquer. Rubbing your eyes: a dangerous habit for your eye health [인터넷]. Barraquer;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arraquer.com/en/news/rubbing-eyes-dangerous-habit-eye-health
  4. 헬스조선. 가려워서 비볐는데… 눈에 있던 먼지가 ‘이 문제’ 일으킨다 [인터넷]. 헬스조선; 2024년 1월 30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013002298
  5. 한국경제. [사이언스] (왜 그럴까요?) ‘졸음과 눈의 관계’ [인터넷]. 한국경제; 1999년 10월 4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nkyung.com/article/1999100403181
  6. 헬스조선. 눈 비비지 말라고 하는 ‘의학적’ 이유 [인터넷]. 헬스조선; 2019년 4월 29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042901651
  7. Atlantic Eye Institute. Why You Shouldn’t Rub Your Eyes [인터넷]. Atlantic Eye Institut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tlanticeyeinstitute.com/why-you-shouldnt-rub-your-eyes/
  8. 솔직한 안과 #9. 습관적으로 눈 비비면 절대 안 되는 이유!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FqbUbZoFaH0 (접속 불가)
  9. 헬스조선. 무심코 눈 비비다가 생기는 병 4 [인터넷]. 헬스조선; 2020년 12월 23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122301887
  10. 하이닥. 눈 비비면 시력이 떨어지나요? | 건강Q&A [인터넷]. 하이닥;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575092
  11. Sharma N, Rao K, Maharana PK, et al. Atopic triad (allergic rhinitis, eczema, and asthma) and eye rubbing as risk factors for keratoconus. Int J Community Med Public Health. 2021;8(5):2547-2553. doi:10.18203/2394-6040.ijcmph2021166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jcmph.com/index.php/ijcmph/article/download/8008/4887/31349 (대안 링크: https://www.ijcmph.com/index.php/ijcmph/article/view/8008)
  12.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What Is Keratoconus? [인터넷]. AAO; 2023년 7월 27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ao.org/eye-health/diseases/what-is-keratoconus
  13.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Can Eye Rubbing Cause Keratoconus? [인터넷]. AAO; 2022년 9월 29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ao.org/eye-health/ask-ophthalmologist-q/can-my-excessive-eye-rubbing-cause-keratoconus-2
  14. Hashemi H, Heydarian S, Hooshmand E, et al.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Keratocon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rnea. 2020;39(2):263-270. doi:10.1097/ICO.0000000000002150. PMID: 31498247.
  15. Bawazeer AM, SZA Gayyed, F Al-Swailem. The correlation between keratoconus and eye rubbing: a review. Int J Ophthalmol. 2019;12(11):1787-1791. doi:10.18240/ijo.2019.11.19. PMID: 31741868. (PMC 링크: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848869/)
  16. 옵틱위클리. 눈 비비기… ‘일단 참으세요’ [인터넷]. 옵틱위클리; 2023년 9월 1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opticweekly.com/m/view.php?idx=17327
  17. 수연세안과. 원추각막, 각막확장증! 그 원인과 치료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9년 8월 17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uyonsei3/221622294049
  18. 화성안과 대표원장 이제명. 눈 비비면 안되는 이유!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1월 10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jamcebak/222980282432
  19. BGN밝은눈안과 강남. 눈비비기를 자주 한다면? 주의해야할 사항! [인터넷]. 네이버 포스트; 2021년 7월 5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1644134&memberNo=42799419
  20. 잘보는안과 김무현 원장. 눈을 비비면 안되는 이유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YW3nFRyQrr8 (접속 불가)
  21. 김 H, 김 M. 한국인 원추각막 환자의 임상 양상. 대한안과학회지. 2012;53(6):839-84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35jkos/jkos-53-839.pdf
  22. Park YM, Lee JS, Lee JE, et al. The Clinical Features and Visual Outcome of Keratoconus in Korea: A 10-Year Multicenter Stud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0):1480-620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kos.org/upload/pdf/14806207.pdf (내용 확인 필요, 링크는 일반적인 저널 PDF형태)
  23. 글로리서울안과. 안과 의사가 눈을 비비지 말라고 하는 이유‼️ #눈비비는습관 #실명 #short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kVdujNlG7mM (접속 불가)
  24. 에스엠퓨처. 눈 비비는 습관 눈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인터넷]. 에스엠퓨처;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smfuture.kr/article/%EC%B9%BC%EB%9F%BC%EB%88%88%EA%B1%B4%EA%B0%95%EC%A0%95%EB%B3%B4/2/450/
  25. McMonnies CW. Pathogenesis and complications of chronic eye rubbing in ocular and systemic disease. Clin Exp Optom. 2019;102(4):337-344. doi:10.1111/cxo.12920. PMID: 31343437.
  26. University of Utah Health. Rubbing Your Eyes Is Bad [인터넷]. University of Utah Health; 2024년 7월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care.utah.edu/the-scope/health-library/all/2024/07/rubbing-your-eyes-bad
  27. 한국일보. 눈을 자꾸 비비면 시력이 떨어질 수 있나요? [인터넷]. 한국일보; 2015년 7월 1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7120973673617
  28. Reddy JC, Basu S. Vernal Keratoconjunctivitis: A Systematic Review. J Ophthalmic Vis Res. 2023;18(4):439-451. doi:10.18502/jovr.v18i4.14025. PMID: 37841919.
  29. Azari AA, Barney NP. Conjunctivitis: A Systematic Review. JAMA. 2013;310(16):1721-1729. doi:10.1001/jama.2013.280318. PMID: 24150468.
  30. 서울삼성안과의원. [성남안과] 눈 가려움, 충혈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비면 큰일나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4월 25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eoulsamsungoph/223426714409
  31. 천안김안과 신불당의원. ‘아이가 눈을 자주 비벼요’ 가장 흔한 원인, 알레르기성 결막염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0년 5월 11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eonankimeye/221956023727?viewType=pc
  32. 헬스경향. 눈 비비는 행동, 미세먼지 많은 날엔 더 위험? [인터넷]. 헬스경향; 2019년 3월 28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37
  33. 헬스조선. 알레르기 비염 앓는 아이 70%, 눈에도 알레르기 증상 생겨 [인터넷]. 헬스조선; 2012년 9월 26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2092503310&ref=no_ref
  34.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정보] 눈가려움, 재채기, 코막힘 알레르기 증상일까? 다양한 알레르기 종류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4월 4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kahp_blog/223405239254
  35. 헬스조선. 나도 모르게 건강 망치고 있었던 생활습관 4가지 [인터넷]. 헬스조선; 2018년 11월 15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8111402770&catid=
  36. 서울아산병원. 눈물흘림증 | 질환백과 | 의료정보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ancer.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775
  37. 한겨레. 안구질환 유발하는 미세먼지…마스크를 눈에다 쓸 수도 없고 [인터넷]. 한겨레; 2018년 4월 6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839394.html
  38.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덥고 습한 여름철, 전염성 강한 유행성 결막염 [인터넷]. 건강매거진;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cmcsungmo.or.kr/page/health/magazine/detail/398?p=1&s=5&q=%7B%7D
  39. 잠실 삼성안과. 눈 비비는 습관, 실명 일으킬 수 있어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4월 2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amseye/223423151111?viewType=pc
  40. 세브란스병원 안과 배형원 교수. 녹내장을 예방하려면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czNEq6LzXHc (접속 불가)
  41. Kim KE, Kim JM, Park KH, et al. Intraocular Pressure Fluctuation: Is It Importa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3):203-209. doi:10.3341/jkos.2018.59.3.203. PMID: 29692370.
  42. Grieshaber MC, Mozaffarieh M, Flammer J. Bilateral Glaucomatous Optic Neuropathy Caused by Eye Rubbing. Klin Monbl Augenheilkd. 2015;232(10):1191-1193. doi:10.1055/s-0035-1545983. PMID: 26474110.
  43. 한길안과병원. 최진영 부원장 소개 영상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RhErLCLNOIc (접속 불가)
  44. 성가롤로병원. 카메라 필름과 같은 역할… ‘망막’ 건강 해치는 습관은? [인터넷]. 성가롤로병원 건강정보;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tcarollo.or.kr/0401/6019
  45. 대한안과학회. 안과 질환 정보 [인터넷]. 대한안과학회;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ophthalmology.org/content/reference/faq_list.html
  46. The Eye Associates. The Seasonality of Retinal Detachment: Peaks, Troughs, and Global Trends. Cureus. 2024;16(3):e55537. doi:10.7759/cureus.55537. PMID: 38645711.
  47. Papadia M, Compera M, Sartini F, et al. Risk Factors for Retinal Detachment: A Case–Control Study. J Clin Med. 2022;11(8):2249. doi:10.3390/jcm11082249. PMID: 35456338.
  48. 서울대학교병원 건강TV. 안과 갈 응급 신호! #건강톡톡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shorts/ozhkuSqmeMQ (접속 불가)
  4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 곽지용 교수. 무심코 비빈 눈 때문에 수술 필요할 수 있다? 망막 박리를 부르는 잘못된 습관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cNksrF2zTAQ (접속 불가)
  50. 성가롤로병원. 찬바람 부니 간지러운 눈…긁지 말고 ‘이렇게’ 해결 [인터넷]. 성가롤로병원 건강정보;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tcarollo.or.kr/0401/6013
  51. 하이닥. 다크서클, 정말 피곤해서 생기는 건가요? [인터넷]. 네이버 포스트; 2022년 12월 26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053363&memberNo=5266975&searchKeyword=%EB%8B%A4%ED%81%AC%20
  52. 폴라초이스. 다크서클의 다양한 원인과 효과적인 개선 방법 | 뷰티 어드바이스 [인터넷]. 폴라초이스 공식 온라인몰;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aulaschoice.co.kr/expert-advice/beauty-advice-021.html
  53. 서울아산병원 안과. 안검하수(눈꺼풀쳐짐) | 안과 질환 백과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ph.amc.seoul.kr/asan/depts/oph/K/bbsDetail.do?menuId=1266&contentId=153319
  54. 대한안과학회. 한국인에서 안검하수의 원인별 분류.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8):1291-129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kos.org/upload/pdf/Kjo2046-08-02.pdf
  55. 헬스조선. 젊은층도 안검하수… 눈 자주 비벼 눈꺼풀 근육 약해진 탓 [인터넷]. 헬스조선; 2018년 6월 18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8061502299
  56. Alsaedy S, Eleiwe RAM, Abass M. The Frequency of Periorbital Hyperpigmentation Risk Factors. Cureus. 2024;16(3):e55733. doi:10.7759/cureus.55733. PMID: 39924458. (PMC 링크: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07928/)
  57. Allen RC, Saylor MA, Nerad JA. Minimally Invasive Levator Advancement: A Practical Approach to Eyelid Ptosis Repair. Arch Facial Plast Surg. 2010;12(2):83-89. doi:10.1001/archfacial.2010.6. PMID: 20231507.
  58. Har-Shai Y, Glickman R, Glickman N, et 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Upper Eyelid Ptosis: A Study of Identical Twins. Aesthet Surg J. 2015;35(3):235-240. doi:10.1093/asj/sju050. PMID: 25834339.
  59. Sarkar R, Ranjan R, Garg S, et al. Periorbital Hyperpigment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 Cutan Aesthet Surg. 2016;9(1):4-11. doi:10.4103/0974-2077.178534. PMID: 27057468.
  60. Ezra DG, Kousoulides L, Keren S, et al. Floppy eyelid, an under-diagnosed syndrome: a review of pathogenesis, diagnosis and management. Br J Ophthalmol. 2022;106(3):304-310. doi:10.1136/bjophthalmol-2020-318378. PMID: 33568320.
  61.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 [대한안과학회] 인공눈물, 잘못 쓰면 오히려 독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outube.com/watch?v=qWH8Xh4waCA&pp=ygUKI-y5tOu5hOyYqA%3D%3D (접속 불가)
  62. 나에게만보이는별. 미세먼지로부터 눈 지키는 눈건강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3월 23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naby_hj/223052232014?viewType=pc
  63. 헬스조선. 가려운 눈, 비비지 않고 가라앉히려면… [인터넷]. 헬스조선; 2021년 7월 1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71200795
  64. 헬스조선. 여름만 되면 속수무책인 알레르기 결막염… 눈 관리 대체 어떻게? [인터넷]. 헬스조선; 2024년 5월 24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052401063
  65. 동아일보. 꽃가루-미세먼지 ‘잔인한 4월’…눈 건강 지키는 꿀팁 [인터넷]. 동아일보; 2025년 4월 15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50415/131419519/2
  66. 매경헬스. [건강365] ‘알레르기 결막염’, 어떻게 대처할까 [인터넷]. 매경헬스; 2019년 5월 2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mkhealth.co.kr/news/view.php?idx=MKH190522005
  67. 동아일보. 스마트폰 많이 봐서 눈 아프면…이렇게 해보세요 [인터넷]. 동아일보; 2022년 7월 18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20718/114512652/2
  68. SNU닥터톡톡 차덕선 원장. 눈 비비면 안 되는 이유 5가지 #실명 #결막염 #다크서클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hFXwGHUJ0mA (접속 불가)
  69.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눈 건강 지키는 예방 및 운동법 [인터넷].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년 11월 15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68916
  70. 헬스경향. 가렵고·붓고·뻑뻑하고…반갑지 않은 봄철 안과질환 3 [인터넷]. 헬스경향; 2018년 3월 27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34786
  71. 헬스조선. 눈 비비면 정말 시력 안좋아질까? [인터넷]. 헬스조선; 2021년 7월 1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70101110
  72. 아이조아한의원 평촌점. 어린이 눈비비기 멈추지 않는다면 이유가 뭘까?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5월 18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lgtb/223106432455
  73. 대한의사협회지. 학생 근시의 예방과 치료. J Korean Med Assoc. 2007;50(3):259-26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0-259.pdf
  74. 헬스조선. “어린이 근시, 햇빛 적게 보는 게 원인” [인터넷]. 헬스조선; 2016년 7월 19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71901918
  75.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우리 아이 눈 건강에 좋은 생활습관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6년 4월 27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cmcseoul/220693653438
  76. 닥터나우. 아기가 먼지나 이물질로 눈을 비비면 어떤 증상을 보일까요? [인터넷]. 닥터나우;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c846ef7cc25b47759405e0797016a4e1
  77. 보건복지부. 유아 보건교육 (부모용 책자) [인터넷].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2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korea.kr/expertWeb/resources/files/data/document_file/2012/%EC%9C%A0%EC%95%84_%EB%B3%B4%EA%B1%B4%EA%B5%90%EC%9C%A1(%EB%B6%80%EB%AA%A8%EC%9A%A9%EC%B1%85%EC%9E%90).pdf
  78. 닥터나우. “갑자기 눈이 빨갛게 충혈됐다면?” 눈 충혈 원인과 의심 질환 4가지 정리 [인터넷]. 닥터나우;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d454f9361e954dce951439c0e915cc14
  79. 국립재활원. 눈건강 < 예방과 건강관리 |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인터넷]. 국립재활원;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ph&menu_cd=03_05
  80. 질병관리청. 이달의 건강정보 – 상세내용 | 국가건강정보포털 [인터넷]. 질병관리청; [2025년 5월 20일 확인]. (눈 건강 팁 원문 출처, 원본 글의 [574-578]에 해당).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ntcnInfo/healthSourc/thtimtCntnts/thtimtCntntsView.do?thtimt_cntnts_sn=31
  81.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눈 건강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인터넷].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4년 2월 28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936044
  82. 질병관리청. (카드뉴스) 눈 건강 이렇게 지켜요 [인터넷]. 질병관리청; 2017년 1월 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21&list_no=127700&seq=199
  83.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과 이은지교수. [건강강좌​] 녹내장과 살아가기(21.08.26) [인터넷]. YouTube;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BuIA9hx2n7k (접속 불가)
  84. 헬스앤라이프. 눈 건강 지키는 생활습관 5가지 [인터넷]. 네이버 포스트; 2018년 4월 12일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277270&memberNo=5266975
  85. Sharma N, Singh P, Rapu D, et al. (PDF) Atopic triad (allergic rhinitis, eczema, and asthma) and eye rubbing as risk factors for keratocon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Gate; 2021년 4월 [2025년 5월 20일 확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0692835_Atopic_triad_allergic_rhinitis_eczema_and_asthma_and_eye_rubbing_as_risk_factors_for_keratoconus_a_systematic_review_and_meta-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