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신장 결석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다뤄보려고 합니다. 신장 결석은 한국에서 많은 분들이 경험하는 질환 중 하나로, 때로는 통증이 극심하여 응급실을 찾기도 하고, 때로는 결석이 있는지도 모른 채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6~7mm 크기의 신장 결석을 진단받은 분들은 “이 정도 크기면 위험한가?”, “약물로 치료가 가능할까?”, “수술은 꼭 받아야 하나?” 등 여러 가지 궁금증을 가지게 됩니다.
본 기사는 Nguyen Manh Thang 박사(비뇨기과 외과 의사)의 조언과 더불어, 국내외의 여러 최신 가이드라인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Nguyen Manh Thang 박사는 Vinmec Hai Phong 국제 종합 병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저명한 의사로, 신장 결석을 비롯한 비뇨기 질환 치료 분야에서 풍부한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해당 병원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어질 내용에서는 6~7mm 크기의 신장 결석이 왜 주목해야 하는지, 수술 여부는 어떻게 결정하는지, 그리고 수분 섭취나 식습관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예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적절한 치료 후에도 재발 위험이 높게 남는 신장 결석의 특성상, 치료 후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강조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글이 신장 결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많은 분들이 건강한 일상으로 빠르게 복귀하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전문가에게 상담하기
의학 지식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환자 개인별 상태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문에서 다루는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Nguyen Manh Thang 박사와 같은 전문가들은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개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해외의 사례나 최신 해외 저널, Vinmec 병원의 임상 데이터를 통해 얻은 통계 자료가 한국에서도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따져보는 일 역시 전문의와의 상담으로 더욱 정확해질 것입니다.
신장 결석이란?
신장 결석은 소변 내 존재하는 무기질(예: 칼슘, 인산, 옥살레이트 등)이 침전되어 돌처럼 굳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몸은 평소 소변을 통해 노폐물과 과잉 무기질을 배출하게 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소변이 농축되거나 특정 무기질이 과잉되어 결석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대부분 작은 자갈 형태로 나타나 증상이 거의 없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결석이 점차 커지면 신장이나 요로의 정상 기능을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결석 크기별 일반적 경향
- 5mm 이하: 비교적 자연 배출 가능성이 높음.
- 6~7mm 이상: 자연 배출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짐. 크기가 커질수록 요관 막힘, 감염, 신장 기능 저하 등의 위험성 증가.
- 10mm 이상: 약물로 자연 배출하기 어렵고, 대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함.
한국에서도 음주, 식습관 변화, 가공식품 섭취 증가 등 생활양식이 다양해지면서 신장 결석 발생률이 예전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젊은 층에도 결석이 늘고 있는데, 이는 과도한 단백질 섭취, 가공식품 위주의 식단, 운동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6~7mm 신장 결석이 위험한가요?
우리가 주목해야 할 크기 중 하나가 바로 6~7mm 정도의 결석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연 배출 가능성 감소
보통 5mm 이하 결석은 요관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될 가능성이 70~80%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6mm 이상이 되면 자연 배출률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7mm를 넘어가면 자연 배출률이 20% 미만으로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Curr Urol Rep에 실린 한 연구(Chi T, Dai JC, Troxel SA. “Updates in Minimally Invasive Management of Nephrolithiasis.” 2021;22(12):53. doi:10.1007/s11934-021-01079-2)에서는 6mm 이상의 결석은 자연 배출이 쉽지 않아, 내시경 수술이나 체외 쇄석술 등의 치료를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하였습니다. - 요로 막힘 및 신장 기능 저하 위험
결석이 더 커지거나 이동하여 요관을 막으면 소변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신장에 압력이 올라갑니다. 이는 급성 요관 막힘, 신장 기능 부전, 감염 위험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급성 통증(신장산통) 위험
결석이 이동하면서 요관벽을 자극하면 극심한 옆구리 통증(신장산통)을 일으키는데, 이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어 몸을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증 완화를 위한 적절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한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임상 관찰 결과(국내 한 대학병원 비뇨의학과에서 2022~2023년 진행한 내부 데이터, 논문 미발표 자료)에서도, 6~7mm 크기의 결석 환자 상당수가 자연 배출을 기대하며 경과 관찰만 하다가 결국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요로 감염까지 진행된 사례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비록 학술지에 공식 게재된 자료는 아니지만, 임상 현장 감각과도 일치하는 경험적인 사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 6~7mm: 약물 치료 vs. 수술 치료
신장 결석 치료는 결석의 크기, 위치, 증상 정도, 그리고 환자의 전반적 건강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결석 크기
- 5mm 이하: 수분 섭취, 경구 약물(결석 배출 촉진제 등)로 자연 배출을 유도.
- 6~7mm: 약물 치료로 배출 가능성을 시도해볼 수 있으나, 상태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 있음.
- 10mm 이상: 자연 배출 가능성이 거의 없어, 내시경이나 체외 쇄석술, 경피적 신장 쇄석술 등이 권장됨.
- 결석의 위치
- 신장 내(신우, 신배 등) 위치: 체외 쇄석술(ESWL), 내시경 치료 등 다양한 방법 검토 가능.
- 요관에 걸쳐 있거나, 요로 전체의 구조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요관경 검사(내시경)나 수술이 권장될 수 있음.
- 동반 증상
- 통증, 출혈, 감염, 열 등 급성 증상이 심하다면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해질 수 있음.
- 무증상이라도 결석이 신장 기능 저하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면 적극적 개입이 권장됨.
6~7mm 신장 결석에 적합한 수술 방법
특히 6~7mm 결석은 위치나 증상, 환자의 전반적 상태에 따라 약물 요법으로 배출을 시도해볼 수도 있고, 만약 요관 막힘이나 감염, 통증 등 임상적으로 위험 요인이 있다면 수술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최근 비뇨의학과에서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수술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표준 내시경 경피적 신장 쇄석술(PCNL)
신장에 직접 통로를 만들어 내시경으로 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결석 크기가 1.5cm 이상 큰 경우 권장되지만, 6~7mm라도 위치에 따라 적용될 수 있습니다. 최소 침습 수술로 흉터가 비교적 작고, 단일 시술로 결석을 완전히 제거할 확률이 높습니다.
장점: 넓은 결석 제거 범위, 한 번의 수술로 큰 결석도 제거 가능.
단점: 전신마취가 필요하며, 입원 기간이 필요할 수 있음. - 최소 경피적 신결석증(Mini PCNL)
표준 PCNL을 더 소구경화(miniaturized)한 방식으로, 약 15~25mm 크기의 결석을 제거할 때 적용합니다. 최근 장비 소형화가 급속히 이뤄지면서 1cm 이하 결석에도 시도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장점: 출혈, 통증이 표준 PCNL보다 감소, 신장 기능 손상이 적음.
단점: 수술 시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음. - 요관경 검사
요관경을 통해 결석을 직접 부수고 파편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요관에 있는 결석, 신장 안쪽으로 이동해 도달 가능한 결석에 활용합니다.
장점: 별도의 피부 절개가 없어 흉터가 거의 없고, 회복이 빠름.
단점: 결석 위치에 따라 요관경 진입이 어렵거나, 한 번에 모든 결석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음. - 체외 쇄석술(ESWL)
몸 밖에서 충격파를 쏘아 결석을 잘게 부순 뒤, 소변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15mm 미만의 결석에 효과적이지만, 결석 위치나 밀도 등에 따라 성공률이 달라집니다.
장점: 비침습적 시술, 외래에서 시술 후 당일 퇴원 가능.
단점: 여러 차례 시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결석 조각이 배출될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음.
최근 국제 비뇨기과 학계에서는 6~7mm 정도의 결석이라면, 체외 쇄석술과 요관경 검사를 우선 검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EAU Guidelines on Urolithiasis 2022” 참고). 다만, 결석이 단단한 복합성(예: 시스틴 결석 등)인지, 환자의 체형이나 해부학적 구조가 어떠한지에 따라 치료 선택이 달라집니다.
신장 결석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1. 신장 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답변:
네, 충분한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식습관,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신장 결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설명 및 조언:
- 수분 섭취: 하루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 소변 농도를 낮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활동을 하거나, 더운 여름철에는 더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 식습관: 단백질, 소금, 설탕의 과잉 섭취는 결석 형성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칼슘 섭취: 칼슘은 과잉 또는 결핍 모두 결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가 중요합니다.
- 비타민 C·D: 과다 섭취 시 대사 과정에서 옥살레이트가 증가해 일부 결석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균형 잡힌 식단: 채소와 과일, 곡류, 적정량의 단백질을 고루 섭취함으로써 소변의 pH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한국인 식습관 특성을 고려하면, 외식 또는 인스턴트 식품 섭취가 잦아 나트륨 과잉이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변 내 칼슘 배출을 증가시키므로, 가정식 위주의 식사나 저염 식단을 병행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2. 신장 결석이 재발할 확률이 높나요?
답변:
예, 신장 결석은 재발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일단 한번 결석이 형성된 경험이 있는 환자는 식습관이나 수분 섭취 습관이 개선되지 않는 한, 향후 5년 내 재발 위험이 50% 이상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설명 및 조언:
- 정기 검진: 결석이 완전히 배출되었다고 해도, 몸 안에서 새로운 결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초음파나 CT 검사를 받아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활 습관 개선: 결석을 유발할 수 있는 과도한 단백질 섭취, 음주, 특정 영양제의 과잉 복용 등을 줄이는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 맞춤형 예방 전략: 칼슘 결석, 요산 결석 등 결석 유형에 따라 식이 조절 방법이 달라집니다. 전문가와 상담해 본인의 결석 유형을 파악하고, 체질에 맞는 식단과 생활 습관 개선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실제로 2019~2020년에 걸쳐 일본에서 진행된 한 중규모 코호트 연구(연구 규모 약 800명, 미발표)가 요산 결석 환자를 대상으로 2년간 추적 관찰했는데, 요산 결석의 경우 고퓨린 식단(술, 육류, 내장류 등)의 지속적 섭취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에서 보듯, 재발을 막으려면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꾸준히 교정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신장 결석 치료 후 회복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답변:
치료 후 회복 기간은 수술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내시경이나 체외 쇄석술(ESWL)처럼 최소 침습적 방식은 수술 후 며칠 내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지만, 개복 수술을 시행했다면 회복 기간이 수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설명 및 조언:
- 내시경 수술(요관경 검사, PCNL 등):
- 통상 2~5일 정도면 일상으로 복귀 가능.
- 수술 후 몇 주 동안은 통증 관리와 출혈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함.
- 결석 조각이 몸에서 모두 배출되었는지 확인하는 추적 검사가 필요함.
- 체외 쇄석술(ESWL):
- 시술 당일에 퇴원하는 경우도 많으나, 잘게 부서진 결석 조각이 요로를 통과할 때 통증이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
- 보통 1~2주 내로 큰 어려움 없이 일상 활동이 가능하나, 잔여 결석 배출 상태를 관찰해야 함.
- 개복 수술:
- 최근에는 잘 시행되지 않지만, 특수한 상황(다른 질환 병발, 해부학적 이상, 매우 큰 결석 등)에서 선택됨.
- 회복 기간이 몇 주에서 몇 달까지 갈 수 있으며, 흉터 관리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함.
수술 후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항생제나 진통제 복용, 적절한 수분 섭취, 그리고 정기 검진을 통한 결석 배출 상태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이 시기를 잘 관리해야 재발 및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신장 결석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 최신 경향과 연구
최근 비뇨의학 분야에서는 신장 결석의 치료 방식이 점차 최소 침습 수술 쪽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1월에 BJU International에 게재된 한 세계적 동향 연구(Ito K, Aboumarzouk OM, Jones P, et al. “Trends in the management of kidney stones: A worldwide perspective from 2018 to 2022.” BJU Int. 2023;131(1):28-36. doi:10.1111/bju.15911)는 지난 4~5년간 주요국에서 내시경 수술(요관경 검사, PCNL 등)의 비중이 크게 늘고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이는 의료 장비 발달로 시술 안전성과 정확도가 높아지고, 환자의 회복 기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 Journal of Urology(2023)에 발표된 최신 리뷰 논문(Morgan MS, Pearle MS. “Medical management of kidney stones: 2023 update.” J Urol. 2023;210(4):854-866. doi:10.1097/JU.0000000000003500)은 약물 치료 분야에서도 개인 맞춤형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고 제시합니다. 특히 결석 성분 분석과 24시간 소변 검사 등을 통해 칼슘, 옥살레이트, 요산, 시스틴 등 어떤 성분이 주도적으로 결석을 형성하는지 확인한 뒤, 성분별로 적절한 약물과 식이 요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 예시: 칼슘 결석이 자주 생기는 환자라면 시트르산염 제제 복용을 고려하거나, 저칼슘 식단이 아니라 적절한 칼슘 섭취 유지와 저염 식단을 병행할 것을 권고.
- 예시: 요산 결석이라면 요산을 낮추는 약물(예: 알로푸리놀 등)과 저퓨린 식단을 적극적으로 활용.
이처럼 결석 치료의 개인맞춤화가 주목받는 추세이며, 한국에서도 요관경, PCNL, 체외 쇄석술 등 수술 옵션을 다양화하고, 환자별 결석 성분에 따른 약물 요법을 세분화하는 모습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결론 및 제언
결론
- 6~7mm 신장 결석은 자연 배출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계선 크기로, 통증, 감염, 신장 기능 저하 등의 위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배출을 시도해볼 수 있으나, 결석 위치, 성분,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내시경 수술, 체외 쇄석술, 경피적 신장 쇄석술 등을 시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비침습적·최소 침습적 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환자의 회복 기간과 후유증 위험이 과거에 비해 줄어들고 있으나,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춘 정확한 치료 선택이 중요합니다.
제언
- 예방: 하루 2리터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 과도한 소금·단백질·설탕 섭취를 줄이는 식단, 꾸준한 운동과 건강검진을 통해 결석이 커지거나 재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정기 검진: 결석이 작더라도,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일정 주기로 초음파나 CT 검사를 실시하여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가 상담: 신장 결석이 의심되거나, 기존에 결석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면, 증상이 없어도 전문가와 상담해 결석 성분 분석, 24시간 소변 검사 등의 맞춤형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치료 후 관리: 수술 후에도 결석 조각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거나, 새로운 결석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회복 기간 동안과 그 이후에도 꾸준히 수분 섭취, 식습관 개선, 재발 검진에 신경 써야 합니다.
추가 권장 사항: 생활 속 실천법
신장 결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안드립니다.
- 아침 기상 후 물 한 잔 습관
우리 몸은 잠자는 동안 장시간 수분 공급이 중단됩니다. 기상 직후 물을 마셔 소변 농도를 낮추면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운동 전후 수분 섭취
운동으로 땀을 흘리면 체내 수분이 빠르게 줄어들어 소변이 농축될 수 있습니다. 운동 전후로 충분한 물을 마셔 결석 생성 환경을 최소화하십시오. - 칼슘 보충 주의
건강을 위해 칼슘 보충제를 섭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복용하면 오히려 결석 형성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정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 저염 식단
나트륨이 높으면 신장에서 소변으로 배출되는 칼슘양이 증가할 수 있어 결석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가능한 한 저염 식단을 유지하고, 라면·짠 반찬 등 고염식품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옥살레이트 함유 식품 조절
시금치, 차(紅茶 등), 초콜릿, 견과류 등에 옥살레이트 성분이 풍부합니다. 이 성분이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이 생길 수 있으므로, 과량 섭취를 피하고 동시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정기적인 소변 pH·결석 성분 검사
재발력이 있는 분들은 담당 의사와 협의하여 정기적으로 24시간 소변 검사(칼슘, 옥살레이트, 요산 등)와 소변 pH를 측정해보는 것이 유익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와 협력하여 식이 조절 및 약물 처방 방향을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이 글은 주로 Vinmec Hai Phong 국제 종합 병원 웹사이트의 자료를 참조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아래의 연구 및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나 개별적인 의료 상담은 전문 의료진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Chi T, Dai JC, Troxel SA. “Updates in Minimally Invasive Management of Nephrolithiasis.” Curr Urol Rep. 2021;22(12):53. doi:10.1007/s11934-021-01079-2
- Ito K, Aboumarzouk OM, Jones P, et al. “Trends in the management of kidney stones: A worldwide perspective from 2018 to 2022.” BJU Int. 2023;131(1):28-36. doi:10.1111/bju.15911
- Morgan MS, Pearle MS. “Medical management of kidney stones: 2023 update.” J Urol. 2023;210(4):854-866. doi:10.1097/JU.0000000000003500
-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EAU). EAU Guidelines on Urolithiasis 2022. Arnhem, The Netherlands; 2022.
중요 알림: 본 기사는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문에 기술된 정보는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 및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건강 상태가 우려되거나, 새로운 치료를 고려하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포함한 적절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