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가 잘 크고 있는지, 혹시 평균보다 작거나 크지는 않은지 걱정하는 것은 모든 부모님의 자연스러운 마음입니다. 특히 만 5세는 유아기를 지나 아동기로 들어서는 중요한 시기이기에 아이의 성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집니다. 이 글은 막연한 불안감을 덜어드리고, 국가 공인 데이터를 통해 우리 아이의 체중을 정확히 확인하며, 나아가 전문가처럼 체계적으로 성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만 5세(60개월) 남아의 표준(중위값) 체중은 18.4kg입니다. 이 기준은 질병관리청의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따른 공식 데이터입니다.2
- 단 한 번의 체중 측정값보다 중요한 것은 성장 곡선을 따르는 ‘성장 속도’입니다. 꾸준한 추세가 아이의 건강 상태를 더 잘 보여줍니다.
- 성장 곡선이 두 개 이상의 백분위수 곡선을 하향 이탈하거나, 만 3세 이후 연간 키 성장률이 4cm 미만일 경우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8
- 이 글은 정보 제공용이며, 아이의 성장에 대한 최종적인 의학적 판단은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는 걸까? 부모님들의 가장 큰 고민
자녀의 성장은 모든 부모에게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우리 아이가 잘 먹고, 잘 자고, 건강하게 크고 있을까?”라는 질문은 매일 머릿속을 맴돕니다. 특히 또래 아이들과 비교하며 우리 아이의 키나 몸무게가 평균에 맞는지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러한 궁금증과 걱정은 아이에 대한 깊은 사랑의 표현이지만, 때로는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 불필요한 불안감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 기사는 부모님들이 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을 통해 아이의 성장을 이해하고, 자신감을 갖고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핵심 기준: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란 무엇인가?
우리 아이의 체중을 이야기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는 바로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참고용 자료가 아니라, 우리나라 아이들의 표준 성장 패턴을 보여주는 국가 공인 지표입니다.
질병관리청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만든 국가 표준
현재 사용되는 성장도표는 2017년 12월, 질병관리청(KDCA)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KPS)가 공동으로 연구하고 발표한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입니다.29 이는 국내 소아청소년의 신체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만든 가장 권위 있는 자료입니다. 이 연구에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의 문진수 교수를 비롯한 국내 최고 소아청소년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신뢰도를 높였습니다.10
왜 2017년도 자료를 사용할까?
혹시 ‘2017년 자료는 너무 오래된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성장도표는 2007년 이후 10년 만에 개정된 최신 버전입니다.17 10년간 아이들의 영양 상태 개선과 서구화된 생활 습관으로 인한 체형 변화, 소아 비만율 증가 등을 반영하여 현대 한국 아이들의 성장 현실을 가장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업데이트된 것입니다.16 따라서 2017년 성장도표는 현재 우리 아이들의 성장을 평가하는 가장 정확하고 유효한 기준입니다.
만 5세 (60개월) 남아 체중, 백분위로 확인하기
성장도표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백분위수(Percentile)’입니다. 이는 같은 성별과 나이의 아이들 100명을 줄 세웠을 때, 우리 아이가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아이가 체중 백분위수에서 75번째라면, 100명 중 74명의 아이보다 몸무게가 많이 나간다는 의미입니다.
성장도표 백분위수, 어떻게 읽어야 할까?
백분위수 그래프를 읽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안내하는 것처럼 다음 5단계만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우리 아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7
- 1단계: 그래프의 가로축(X축)에서 아이의 나이(개월 수)를 찾습니다.
- 2단계: 그래프의 세로축(Y축)에서 아이의 체중(kg)을 찾습니다.
- 3단계: 나이와 체중이 만나는 지점을 그래프 위에 표시합니다.
- 4단계: 표시된 점이 어떤 백분위수 곡선에 가장 가까운지 확인합니다.
- 5단계: 가장 가까운 곡선의 백분위수가 바로 우리 아이의 현재 체중 백분위수입니다.
[표] 만 5세(60개월) 남아 연령별 체중 백분위수 (단위: kg)
아래 표는 질병관리청의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서 만 5세(정확히 60개월) 남자아이의 체중 백분위수 데이터를 보기 쉽게 정리한 것입니다.2
백분위수 (Percentile) | 체중 (kg) | 간단한 해석 |
---|---|---|
3rd | 15.0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3번째로 가벼움 |
5th | 15.4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5번째로 가벼움 (저체중 기준) |
10th | 16.1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10번째로 가벼움 |
25th | 17.1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25번째로 가벼움 |
50th (중위수) | 18.4 | 가장 표준적인 체중 (평균) |
75th | 19.8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25번째로 무거움 |
90th | 21.3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10번째로 무거움 |
95th | 22.6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5번째로 무거움 (과체중/비만 기준) |
97th | 23.6 | 같은 나이 남아 100명 중 3번째로 무거움 |
일반적으로 5백분위수 미만은 저체중, 85백분위수 이상은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은 비만으로 간주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반드시 키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16
숫자보다 중요한 ‘성장 속도’: 전문가처럼 확인하는 법
많은 부모님들이 현재 아이의 체중이 몇 kg인지, 백분위수가 몇인지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은 단 한 번 측정한 수치보다 ‘성장 속도’와 ‘성장 곡선의 패턴’이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왜 성장 속도가 더 중요할까?
“한 시점의 측정값은 아이의 성장이라는 긴 영화의 ‘스틸 사진’ 한 장에 불과합니다. 진정한 이야기는 여러 장의 사진을 이어 붙였을 때 보이는 ‘흐름’, 즉 성장 곡선에 담겨 있습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꾸준히 10백분위수를 따라 성장하고 있다면, 비록 작은 편에 속하더라도 자신만의 성장 패턴을 잘 유지하고 있으므로 건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50백분위수였던 아이가 갑자기 25백분위수로 떨어졌다면, 현재 체중이 평균 범위에 있더라도 성장 속도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경고 신호: 연간 성장률 4cm 미만
성장 속도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임상적 ‘경고 신호’가 있습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지침에 따르면, 만 3세부터 사춘기 이전까지의 아동이 1년간 키가 4cm 미만으로 자란다면 성장 장애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의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8 이는 체중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성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부모를 위한 체크리스트
성장도표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최종적인 판단은 전문가의 몫입니다. 다음은 병원 방문을 고려해봐야 할 상황을 정리한 체크리스트입니다. 아래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우리 아이가 저체중 또는 과체중으로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만약 아이가 5백분위수 미만의 저체중이거나 85백분위수 이상의 과체중(또는 95백분위수 이상의 비만)으로 나온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입니다. 의사는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식습관, 활동량, 그리고 키와 체중의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개인에 맞는 관리 계획을 세워줄 것입니다. 부모가 임의로 식사량을 급격히 늘리거나 줄이는 것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Q2: 세계보건기구(WHO) 성장 기준과 한국 성장도표는 다른가요?
좋은 질문입니다. 두 기준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2017년 한국 성장도표는 만 3세(36개월) 미만의 영유아에 대해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성장 표준을 그대로 적용했습니다.12 WHO 성장 표준은 모유 수유를 하며 최적의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전 세계적으로 영유아의 ‘표준적인 성장’의 기준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14 하지만 3세 이상 아동에 대해서는 한국 아동들의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아이들의 고유한 성장 특성을 더 잘 반영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두 기준은 상호 보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건강한 성장을 위한 부모의 역할
만 5세 남자아이의 표준 체중은 18.4kg이지만, 이 숫자 하나에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가 자신만의 성장 곡선을 따라 꾸준히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부모의 역할은 아이를 다른 아이와 비교하며 불안해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하고, 즐겁게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며, 아이의 성장에 우려되는 점이 있을 때 전문가와 손잡고 해결해 나가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는 것입니다. 성장도표를 현명하게 활용하여 우리 아이의 건강한 미래를 응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 [성장상식] 나이에 따른 평균 키와 몸무게 – 청정선한의원. (n.d.).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cjsclinic.com/bbs/board.php?bo_table=pds&wr_id=56
- 질병관리청. (n.d.). 소아청소년성장도표.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30400
- 남원시육아종합지원센터. (n.d.). 영유아성장도표.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namwonscc.or.kr/parent/child_chart.asp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n.d.).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25~36개월).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4
- 공공데이터포털. (2017). 질병관리청_소아청소년 성장도표_20171229.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data.go.kr/data/15076588/fileData.do
- 삼성서울병원. (n.d.). 청소년의 성장, 나는 잘 크고 있는 걸까?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m/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28312&CONT_CLS_CD=001021005006&CONT_ID=3794
- 용인세브란스병원. (n.d.). 어린이 성장발달.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yi.severance.healthcare/health/lifecare/children/percentile.do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소아의 성장평가 및 성장장애의 진단.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50(12), 1201-1205. Retrieved from https://www.e-cep.org/upload/pdf/2003461201-20071202210702.PDF
- 질병관리본부. (2018).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개발. *Public Health Weekly Report, 11*(25). Retrieved from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34&list_no=121891&seq=1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n.d.). 위원회 명단.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pediatrics.or.kr/about/page6.php
- 대한의사협회지. (2009). 소아청소년 비만의 개요: 진단, 역학 및 중요성. Retrieved from https://jkma.org/journal/view.php?viewtype=pubreader&number=3235
- 진천군육아종합지원센터. (n.d.). 영유아성장도표.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jcicare.or.kr/m2/sub3_2.asp
- de Onis, M., Onyango, A. W., Borghi, E., Siyam, A., Nishida, C., & Siekmann, J. (2007). WHO Child Growth Standards based on length/height, weight and age. *Acta Paediatrica*, 95, 76-85. https://pubmed.ncbi.nlm.nih.gov/16817681/
- World Health Organization. (n.d.). Child growth standards.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who.int/tools/child-growth-standards
-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 Using the WHO Growth Standards.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cdc.gov/growth-chart-training/hcp/training/who-child-growth-standards-training.html
- Metamedic. (n.d.). [부록] 소아의 성장곡선(성장도표).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metamedic.co.kr/content/64dc90829bc43606d0f2689e
- 메디포뉴스. (2017). 2017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개정 내용은? Retrieved August 13, 2025, from https://www.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3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