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소아 경련은 흔한 신경학적 문제이며, 대한민국 어린이 신경 질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 직장 디아제팜은 특정 상황에서 소아 급성 경련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응급 처치 약물입니다.
- 정확한 용량과 올바른 투여 방법을 숙지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경련 발생 시 응급 처치와 함께 특정 경고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부모와 보호자가 소아 경련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소아 경련이란 무엇인가?
경련은 뇌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이고 과도한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신체 변화입니다. 아이들에게 경련이 발생하면 부모는 크게 놀라고 걱정하게 됩니다. 경련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양상 또한 다양합니다.
소아 경련의 일반적 원인
소아 경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고열로 인한 열성 경련입니다3. 그 외에도 뇌전증(간질), 뇌 감염(뇌염, 뇌수막염), 두부 외상, 대사 이상, 뇌종양, 선천성 뇌 기형 등이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4.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소아에서 흔한 경련의 종류와 증상
소아 경련은 증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종류마다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므로, 부모님들은 이를 잘 관찰하여 의료진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열성 경련 (Febrile Seizures): 주로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이들에게 고열과 함께 발생합니다. 전신이 뻣뻣해지거나 떨리는 증상을 보이며, 대부분 수 분 내에 저절로 멈춥니다3.
- 전신 강직-간대 발작 (Tonic-clonic Seizures): 갑자기 의식을 잃고 몸이 뻣뻣해진 후(강직기), 팔다리가 규칙적으로 떨리는(간대기) 양상을 보입니다. 침을 흘리거나 소변을 지릴 수도 있습니다4.
- 소발작 (Absence Seizures): 하던 행동을 갑자기 멈추고 멍하니 앞을 바라보며, 수 초에서 수십 초간 반응이 없습니다. 발작 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 정상으로 돌아옵니다4.
- 근간대성 발작 (Myoclonic Seizures): 특정 근육이나 전신 근육이 짧고 빠르게 움찔거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마치 전기에 감전된 듯한 모습이며, 의식은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4.
- 무긴장 발작 (Atonic Seizures): 갑자기 근육의 힘이 빠지면서 쓰러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매우 짧게 나타납니다4.
경련 발생 시 아이의 상태(의식, 호흡, 피부색, 눈동자 움직임, 팔다리 움직임 등)를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해두면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4.
직장 디아제팜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직장 디아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로, 뇌의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 세포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디아제팜은 뇌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BA)의 작용을 강화시켜 경련을 멈추게 합니다5. 직장으로 투여하는 방식은 약물이 직장 점막을 통해 빠르게 흡수되어 신속하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6. 특히 아이가 경련 중이어서 입으로 약을 먹이기 어렵거나, 정맥 주사로를 확보하기 어려운 응급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7.
직장 디아제팜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
직장 디아제팜은 소아의 급성 경련을 조절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임상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약물 투여 후 비교적 빠르게 혈중 농도에 도달하여(약 1.5시간 이내)8 경련을 멈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생체이용률은 정맥 주사 대비 약 90%에 달합니다8. 여러 연구에서 직장 디아제팜이 대부분의 경련을 수 분 내에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9. 이는 신경학적 손상을 최소화해야 하는 응급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다른 치료법과의 효과 및 편의성 비교
직장 디아제팜 외에도 미다졸람(볼 점막 또는 비강 투여)이나 로라제팜 같은 다른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들이 급성 경련 치료에 사용됩니다. 최근 연구들에서는 특히 볼 점막으로 투여하는 미다졸람이 직장 디아제팜과 유사하거나 더 빠른 효과를 보이며, 환자나 보호자의 수용도가 높다는 결과도 있습니다7. 미다졸람은 특히 공공장소 등에서 직장 투여가 어려울 때 편리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첫 발작 후 1시간 이내 재발 방지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7. 로라제팜 정맥 주사는 병원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며, 디아제팜보다 작용 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10. 일부 연구에서는 직장 로라제팜이 직장 디아제팜보다 경련 중단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시하기도 합니다10. 하지만 직장 디아제팜은 여전히 가정이나 병원 도착 전 응급 처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보호자가 사용법을 잘 숙지하고 있을 때 유용합니다7. 어떤 약물을 선택할지는 아이의 상태, 약물의 가용성, 비용,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담당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소아를 위한 직장 디아제팜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법
직장 디아제팜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량과 올바른 투여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든 과정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연령 및 체중별 정확한 용량
디아제팜 직장 투여 용량은 아이의 연령과 체중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용량은 다음과 같으나, 실제 투여 용량은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5. 약물은 미리 정해진 용량으로 포장된 주사기 형태로 제공되므로, 계산된 용량에서 가장 가까운 높은 용량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8. 한국의 경우, 일부 자료에서 0.5mg/kg (최대 20mg) 용량이 언급되기도 합니다11.
연령군 | 체중 범위 (kg) | 계산된 용량 (mg/kg) | 실제 투여 용량 (mg) |
---|---|---|---|
2 – 5세 | 6 – 10 kg | 0.5 mg/kg | 5 mg |
11 – 15 kg | 0.5 mg/kg | 7.5 mg | |
16 – 20 kg | 0.5 mg/kg | 10 mg | |
21 – 25 kg | 0.5 mg/kg | 12.5 mg | |
26 – 30 kg | 0.5 mg/kg | 15 mg | |
31 – 35 kg | 0.5 mg/kg | 17.5 mg | |
36 – 44 kg | 0.5 mg/kg | 20 mg | |
6 – 11세 | 10 – 16 kg | 0.3 mg/kg | 5 mg |
17 – 25 kg | 0.3 mg/kg | 7.5 mg | |
26 – 33 kg | 0.3 mg/kg | 10 mg | |
34 – 41 kg | 0.3 mg/kg | 12.5 mg | |
42 – 50 kg | 0.3 mg/kg | 15 mg | |
51 – 58 kg | 0.3 mg/kg | 17.5 mg | |
59 – 74 kg | 0.3 mg/kg | 20 mg | |
12세 이상 | 14 – 25 kg | 0.2 mg/kg | 5 mg |
26 – 37 kg | 0.2 mg/kg | 7.5 mg | |
38 – 50 kg | 0.2 mg/kg | 10 mg | |
51 – 62 kg | 0.2 mg/kg | 12.5 mg | |
63 – 75 kg | 0.2 mg/kg | 15 mg | |
76 – 87 kg | 0.2 mg/kg | 17.5 mg | |
88 – 111 kg | 0.2 mg/kg | 20 mg |
출처: Mayo Clinic5, FDA Diastat Label8. 주의: 위 표는 참고용이며, 실제 용량은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대한민국 내 특정 제품의 사용 가능한 용량 단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약 준비 및 실행 단계
직장 디아제팜 투여는 응급 상황에서 이루어지므로, 보호자는 침착하게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12513:
- 침착함 유지 및 손 씻기: 가장 중요합니다. 당황하면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깨끗하게 손을 씻습니다.
- 약물 확인: 의사가 처방한 약물명, 용량, 유효기간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특정 제품(예: Diastat® AcuDial™)의 경우, 용량 표시창과 녹색 “준비 완료” 밴드를 확인해야 합니다5.
- 아이 준비: 아이를 옆으로 눕히고 위쪽 다리의 무릎을 가슴 쪽으로 구부리게 합니다. 이 자세는 직장 노출을 돕고, 구토 시 질식을 예방합니다13.
- 약물 주사기 뚜껑 제거: 조심스럽게 주사기 팁의 보호 캡을 제거합니다.
- 윤활 (필요시): 일부 제품에는 윤활제가 포함되어 있거나, 수용성 윤활제(예: K-Y 젤리)를 주사기 팁에 소량 바르면 삽입이 더 쉽고 아이에게 불편함을 덜 줄 수 있습니다5. 바셀린과 같은 석유 기반 윤활제는 약물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직장 내 삽입: 한 손으로 아이의 엉덩이 한쪽을 살짝 들어 항문을 노출시킵니다. 다른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천천히 주사기 팁을 아이의 직장 안으로 삽입합니다. 삽입 깊이는 제품 설명서에 명시된 대로 따릅니다 (예: Diastat의 경우 소아용 팁 길이는 약 4.4cm).
- 약물 주입: 주사기 팁이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면,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주사기 안의 약물을 모두 주입합니다.
- 주사기 제거 및 자세 유지: 약물을 모두 주입한 후, 아이의 양쪽 엉덩이를 몇 초간(약 3-5초) 모아준 상태에서 천천히 주사기를 빼냅니다.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몇 분간 아이의 엉덩이를 계속 모아줍니다.
- 시간 기록 및 아이 관찰: 약물 투여 시간을 정확히 기록하고, 아이의 호흡, 피부색, 의식 수준, 경련 양상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합니다5.
- 주사기 폐기: 사용한 주사기는 재사용하지 않고 의료 폐기물 처리 지침에 따라 안전하게 폐기합니다.
정확한 투여 방법은 제품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구체적인 교육을 받고 제품 설명서를 숙지해야 합니다.
아이 경련 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아이가 경련을 일으킬 때 당황하지 않고 올바르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경련 시 응급 처치 요령입니다:
- 해야 할 일:
- 침착함을 유지합니다.
- 아이를 안전한 바닥에 옆으로 눕히고, 주변의 위험한 물건을 치웁니다.
- 목과 가슴 주변의 옷을 느슨하게 하여 호흡을 편하게 해줍니다.
- 경련 시간과 양상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났는지, 몸의 어느 부분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등).
- 의사의 지시가 있었다면, 정해진 시간에 직장 디아제팜을 투여합니다.
- 하지 말아야 할 일13:
- 아이를 억지로 붙잡거나 움직임을 막으려고 하지 마십시오. 골절 등 부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 입안에 손가락이나 다른 물건을 넣지 마십시오. 혀를 깨물거나 질식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경련 중에 물이나 약을 억지로 먹이려고 하지 마십시오.
- 아이를 세게 흔들거나 때리는 등의 자극을 주지 마십시오.
경련이 멈춘 후에도 아이가 완전히 의식을 회복할 때까지 옆에서 지켜봐야 합니다.
발생 가능한 부작용 및 대처법
직장 디아제팜은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지만, 일부 아이들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졸음, 어지러움, 피로감, 운동 조정 능력 저하 등입니다5.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일시적이며 약효가 사라지면서 호전됩니다.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호흡 억제(느리거나 얕은 호흡)나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고용량 사용 시 또는 다른 중추신경 억제제와 함께 사용할 때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5. 하지만 권장 용량의 직장 디아제팜 사용 시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수준의 호흡 억제 위험은 비교적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4. 만약 아이가 약물 투여 후 호흡이 매우 느려지거나 피부색이 창백해지는 등 이상 반응을 보이면 즉시 응급 의료기관에 연락해야 합니다. 부모님들은 약물 사용 전 의사로부터 가능한 부작용과 대처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약물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당연하며15, 이에 대해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 즉시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가야 하나요?
직장 디아제팜을 투여했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가야 합니다516111317:
-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약물 투여 후에도 5-10분 이내에 멈추지 않거나 다시 시작될 때.
- 하루에 여러 차례 경련을 반복하고, 경련 사이에 의식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때 (경련 중첩 상태).
- 경련의 양상이 평소와 매우 다를 때.
- 호흡 곤란, 청색증(피부나 입술이 파랗게 변함) 등 호흡기 문제가 나타날 때.
- 경련 중 머리나 다른 부위에 심한 외상을 입었을 때.
- 고열과 함께 목이 뻣뻣해지거나, 구토, 발진 등 뇌수막염이나 뇌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동반될 때.
-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에게 경련이 발생했을 때 (열이 있더라도).
- 아이가 처음으로 경련을 경험했을 때.
- 보호자가 아이의 상태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될 때.
기억하십시오: 아이의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119에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하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Q&A)
직장 디아제팜을 경련 시에만 사용해도 중독될 수 있나요?
직장 디아제팜은 주로 급성 경련을 멈추기 위한 응급 약물로 간헐적으로 사용됩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필요시에만 사용한다면 중독의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규칙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합니다5.
직장 디아제팜을 매일 경련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아니요, 직장 디아제팜은 일반적으로 매일 경련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이 아닙니다. 급성 경련 발생 시 응급 처치로 사용됩니다. 다만, 일부 반복적인 열성 경련의 경우 의사가 특정 상황에서 예방적으로 사용하도록 처방할 수도 있습니다5. 예방 목적의 사용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약물 투여 직후 아이가 대변을 보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약물 투여 직후 아이가 대변을 보면 약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즉시 담당 의사에게 연락하여 추가 투여 여부 등 다음 조치에 대한 지시를 받아야 합니다.
직장 디아제팜은 어떻게 보관해야 하나요?
대부분의 직장 디아제팜 제품은 실온에서 빛을 피해 보관하도록 권장됩니다. 정확한 보관 방법은 제품 설명서를 참고하고, 의사나 약사의 지시에 따르십시오. 아이들 손이 닿지 않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을 위한 조언
자녀의 경련을 경험하는 것은 부모에게 매우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를 알고 준비한다면 위기 상황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의사의 지시를 철저히 따르십시오: 약물 용량, 투여 방법, 보관법 등 모든 사항은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따라야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의사나 약사에게 문의하십시오.
- 경련 관리 계획(Seizure Action Plan)을 세우십시오: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자녀를 위한 구체적인 경련 관리 계획을 세우십시오. 이 계획에는 언제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지, 응급 상황 시 연락처, 병원 방문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으십시오: 대한소아신경학회(KPNS)4, 대한뇌전증학회(KES)18와 같은 전문 기관의 웹사이트나 자료를 참고하십시오. 필요하다면 환아 부모 지원 그룹에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침착함을 유지하십시오: 아이가 경련을 할 때 부모가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 아이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미리 응급 처치법을 숙지하고 연습해두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결론
소아 경련은 부모에게 큰 불안감을 줄 수 있지만, 직장 디아제팜과 같은 응급 약물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급성 경련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약물을 사용하고, 올바른 투여 방법과 응급 상황 대처법을 숙지하는 것입니다. 부모님의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참고 문헌
- Kim SJ, Lee DY, Kim SY. Current status of pediatric neurologic disorder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3;46(3):221-228. Available from: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RGF0YS9QREZEYXRhLzExMTlqa21hL2prbWEtNDYtMjIxLnBkZg==&filename=amttYS00Ni0yMjEucGRm [Accessed 2025 May 11].
- Kim MY, Lee JE, Park HR. Quality of Life and Nursing Manage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4;10(2):225-234. Available from: https://www.e-chnr.org/upload/pdf/jkachn-10-225.pdf [Accessed 2025 May 11].
- BC Epilepsy Society. 어린이 간질 환자 돌보기 (Providing Childcare to Children with Epilepsy) [Internet]. BC Epilepsy Society;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bcepilepsy.com/files/Korean-Providing_Childcare_to_Children_with_Epilepsy.pdf
- 대한소아신경학회. 경련성 질환 – 일반인 [Internet]. 대한소아신경학회;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cns.or.kr/bbs/disease/view/30
- Mayo Clinic. Diazepam (rectal route) [Internet].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updated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diazepam-rectal-route/description/drg-20072190
- Children’s Healthcare of Atlanta. Diazepam rectal gel (Diastat) teaching sheet [Internet]. Children’s Healthcare of Atlanta; [updated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choa.org/-/media/Files/Childrens/teaching-sheets/diazepam-rectal-gel-diastat.pdf?la=en&hash=BAAE02A160F4F34C6706B93AD99D15A2AE83F1CF
- Armijo JA, Herranz JL, Arteaga R, Valdizan EM. Management protocols for status epilepticus in the pediatric emergency room: systematic review article. J Pediatr (Rio J). 2013;89(3):225-32. Available from: https://www.scielo.br/j/jped/a/xcvXrtjVF7CZHc35GrgZ6Jr/ [Accessed 2025 May 11].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iastat (diazepam rectal gel) Label [Internet]. Valeant Pharmaceuticals North America LLC; 2016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16/020648s014lbl.pdf
- Almohaimeed SA. Safety and Efficacy of Buccal Midazolam Compared to Rectal Diazepam for the Acute Treatment of Seizures in Children: A Meta-Analysis. Philipp J Intern Med. 2018;56(2):78-84. Available from: https://ejournals.ph/article.php?id=25593 [Accessed 2025 May 11].
- Appleton R, Macleod S, Martland T. Drug management for acute tonic-clonic convulsions including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3):CD001905. DOI: 10.1002/14651858.CD001905.pub2. (참고: 원본 문서의 AJHR 링크 대신 Cochrane Review를 사용했습니다.)
- Barunlab (네이버 블로그 작성자). 소아 : 열성 경련(febrile seizure) – Core review + Practical guide [Internet]. Naver Blog; 2019 May 14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m.blog.naver.com/barunlab/221536516579
- HealthLinkBC. 열성경련 [Internet]. HealthLinkBC; [updated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linkbc.ca/sites/default/files/documents/healthfiles/hfile112-k.pdf
- 대한소아신경학회. 경련성 질환 – 일반인 (상세) [Internet]. 대한소아신경학회;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cns.or.kr/bbs/disease/view/30 (참고: 이 링크는 ref-4와 동일합니다.)
- Kim HD, Lee JS, Kim JS, et al. Effect of Diazepam for Prevention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in the Same Febrile Illness. J Korean Child Neurol Soc. 1993;1(2):97-103. Available from: https://www.annchildneurol.org/upload/pdf/JKCNS-1-2-97.pdf [Accessed 2025 May 11].
- Vasisht N, Gever LN, inventors; AcelRx Pharmaceuticals, Inc., assigne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 using oral transmucosal dosage forms. Korean Patent KR20100052516A. 2010 May 24. Available from: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100052516A/en [Accessed 2025 May 11].
- Glauser T, Shinnar S, Gloss D,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 Treatment of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and Adults: Report of the Guideline Committee of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Epilepsy Curr. 2016;16(1):48-6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49120/ [Accessed 2025 May 11].
- 서울아산병원 건강플러스. 우리아이 열나면 경련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열성경련에 대처하는 법 [Internet]. 서울아산병원; [updated date unknown,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news.amc.seoul.kr/news/con/detail.do?cntId=6483
- 대한뇌전증학회. 뇌전증 약물치료지침 [Internet]. 대한뇌전증학회; 2015 [cited 2025 May 11]. Available from: https://www.kes.or.kr/file/info/kes_guideline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