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소아 고환 염전증: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의 중요성 및 대처 방안

소아 고환 염전증은 응급 처치가 필수적인 비뇨기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고환으로 향하는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하며, 주로 신생아기와 사춘기 전후의 남아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소아 고환 염전증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응급 처치 및 수술적 치료, 그리고 장기적인 예후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조기 발견과 시기적절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이 정보를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필요한 경우 올바르게 대처하는 데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핵심 요약

  • 고환 염전은 정삭이 꼬여 고환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응급 비뇨기 질환입니다1.
  • 주로 신생아기와 사춘기(12-18세)에 호발하며, 미국에서는 25세 미만 남성 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합니다2.
  • “종 고리 변형(Bell Clapper Deformity)”이 가장 흔한 해부학적 원인이며, 남성의 약 12%에서 발견됩니다3 2.
  • 청소년기에는 갑작스러운 극심한 음낭 통증, 부종, 오심/구토가 주요 증상이며1 4, 신생아는 통증 없이 단단하고 변색된 음낭 종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 5.
  • 컬러 도플러 초음파가 핵심 진단 도구이지만, 임상적 의심이 높으면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이 우선됩니다2 4.
  • 증상 발생 후 4-6시간 내 수술 시 고환 구제율이 90-100%로 가장 높으며, “시간이 곧 고환이다(Time is Testis)”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합니다1.
  • 치료는 주로 수술적 정복 및 고환고정술이며, 반대편 고환에 대한 예방적 고정술도 함께 시행됩니다1 2.
  • 치료가 지연되면 고환 위축, 생식능력 저하 등의 장기적인 합병증 위험이 높아집니다4.

1. 서론: 소아 비뇨기 응급 질환으로서의 고환 염전

고환 염전(Testicular Torsion)은 응급 비뇨기 질환으로, 고환으로 연결되는 정삭(spermatic cord)이 꼬이면서 고환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1. 이는 주로 신생아기와 사춘기 전후의 소아 및 청소년 남성에게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로, 미국에서는 25세 미만 남성 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환 손실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2. 고환 염전은 발생 후 수 시간 내에 신속한 진단과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환의 영구적인 괴사로 이어질 수 있어, “시간이 곧 고환이다(Time is Testis)”라는 개념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1.

고환 염전이 ‘응급 비뇨기 질환’으로 분류되는 것은 단순한 의학적 표현을 넘어, 의료 시스템과 대중 인식 전반에 걸친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의미를 내포합니다4. 이는 응급실에서의 신속한 진료 프로토콜 구축, 비뇨의학과 전문의와의 빠른 협진, 그리고 즉각적인 수술실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치료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고환 염전이 여전히 고환 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있다는 사실은2, 환자와 보호자의 증상 인지 지연, 진단 과정에서의 어려움, 또는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적 비효율성 등 다각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소아 고환 염전의 정의, 원인, 다양한 임상 양상, 진단 방법, 응급 처치 및 수술적 치료, 그리고 장기적인 예후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조기 발견과 시기적절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2. 고환 염전의 이해: 정의, 기전 및 원인

2.1. 병태생리: 정삭 꼬임과 혈류 차단의 기전

고환 염전은 고환을 지지하고 혈액을 공급하는 정삭이 비틀리면서 발생합니다4. 정삭에는 고환동맥, 정맥, 신경, 림프관 및 정관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구조물이 꼬이면 먼저 압력이 낮은 정맥 혈류가 차단되어 고환 내 혈액이 정체되고 부종과 울혈이 발생합니다1. 이러한 정맥 폐쇄가 지속되면 고환 내 압력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동맥 혈류까지 차단되고, 이는 고환 조직의 허혈(ischemia)을 유발합니다2. 허혈 상태가 수 시간 이상 지속되면 고환 세포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입어 괴사(infarction)에 이르게 됩니다1. 일반적으로 정삭이 720도 이상 꼬이면 고환 동맥 혈류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6, 꼬임의 정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손상의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맥 혈류 차단이 동맥 혈류 차단에 선행하여 발생하는 이러한 순차적인 혈관 손상 기전은2, 초기 음낭 부종의 원인이 되며 이후 급격한 조직 손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설명해줍니다. 이는 부분적인 염전이나 간헐적인 염전이라 할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초기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 일부 동맥 혈류가 관찰되더라도 지속적인 정맥 울혈은 이미 고환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완전한 허혈로 진행될 위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5. 따라서 증상 발생 시 신속한 개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2.2. 병인론: 고환 염전은 왜 발생하는가?

2.2.1. “종 고리 변형” (Bell Clapper Deformity): 해부학적 소인

고환 염전의 가장 중요한 해부학적 원인으로는 “종 고리 변형” (Bell Clapper Deformity, BCD)이 꼽힙니다4. 이는 고환을 둘러싸는 고환초막(tunica vaginalis)이 정상적으로는 고환 후면에 부착되어 고환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과 달리, 정삭의 높은 부위까지 고환초막이 완전히 둘러싸는 선천성 기형입니다. 이로 인해 고환이 음낭 내에서 종(bell) 안의 종추(clapper)처럼 자유롭게 움직이고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염전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합니다4 7. BCD는 남성의 약 12%에서 발견되며2, 상당수에서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BCD의 높은 유병률과 양측성 발현 빈도는 일측성 고환 염전으로 수술 시 반대편 고환에 대한 예방적 고환고정술을 시행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됩니다2. 이는 단순한 예방 조치를 넘어, 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인 치료 접근법으로, 반대편 고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염전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BCD 자체는 증상이 없어8 “침묵의 위험인자”로 작용합니다9. 이는 급성 염전 발생 전이나 우연히 발견되기 전까지는 예방이 어렵다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고환 염전의 가족력 등 BCD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증상이 없는 BCD에 대한 선별 검사나 예방적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재한 실정입니다10. 이는 임상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예방적 수술의 이점과 위험 및 비용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2.2.2. 기타 유발 요인 및 계기

BCD와 같은 해부학적 소인이 있는 개인에게 고환 염전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격렬한 운동, 경미한 외상, 갑작스러운 몸의 움직임(예: 갑자기 몸을 굽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위), 사춘기 동안의 급격한 고환 성장(고환 무게 및 이동성 증가 유발), 그리고 차가운 온도(고환올림근 수축 자극 가능성)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4. 또한, 고환 염전은 수면 중이나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잠복고환(cryptorchidism) 역시 고환이 정상적으로 하강하여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염전의 위험인자로 간주됩니다4.

사춘기 동안의 급격한 고환 성장과 관련된 염전 발생률 증가는11 이 시기의 해부학적 변화가 기저의 BCD를 가진 개인의 취약성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인식 개선 캠페인의 필요성을 제기합니다12. 또한, 추운 날씨와 고환올림근 반사 사이의 연관성은13 특정 기후나 계절에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생리학적 유발 요인을 암시합니다. 비록 이를 직접적으로 예방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발생 양상을 파악하거나 추운 시기에 증상 발생 시 의심의 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3. 발생 빈도 및 호발 연령

고환 염전은 주로 25세 미만의 남성에게 발생하며, 발생 빈도는 약 4,000명당 1명꼴로 보고됩니다2. 특징적으로 두 개의 연령대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이봉성 분포(bimodal distribution)를 보이는데, 첫 번째 정점은 신생아기이며4, 두 번째 정점은 사춘기 및 청소년기(일반적으로 12-18세)입니다1. 신생아 고환 염전은 전체 사례의 약 12%를 차지하며14, 신생아기 염전 중 약 70%는 출생 전에, 30%는 출생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국내 연구에서도 청소년기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이봉성 분포가 확인되었습니다15.

이러한 이봉성 연령 분포는 각기 다른 병태생리학적 기전이나 유발 요인이 작용함을 시사합니다. 신생아 고환 염전은 고환 하강 후 음낭 내 고정이 아직 불완전하여 발생하는 고환초막외 염전(extravaginal torsion)이 흔한 반면2, 청소년기 고환 염전은 주로 BCD로 인해 고환초막 내에서 발생하는 고환초막내 염전(intravaginal torsion)입니다2. 이러한 기전의 차이는 원인 이해뿐만 아니라 관리 접근법이나 예후 예측(예: 신생아 고환 염전의 낮은 구제율2)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청소년기에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1 이 시기의 활발한 신체 활동, 급격한 성장, 호르몬 변화 등이 BCD와 결합하여 염전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이는 이 연령대에 대한 교육 및 인식 개선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16.

3. 위험 신호 인지: 임상 양상과 조기 경고 신호

3.1. 연장아 및 청소년의 전형적인 증상

연장아 및 청소년에서 고환 염전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극심하고 지속적인 일측성 음낭 통증입니다1. 이 통증은 종종 “벼락 통증(thunder-clap pain)”으로 묘사되며17, 하복부나 서혜부로 방사될 수 있습니다1. 통증과 함께 해당 부위 음낭의 현저한 부종, 발적(붉어짐), 그리고 심한 압통이 동반됩니다1. 오심과 구토는 매우 흔한 전신 증상으로, 환자의 약 90%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초기에는 발열이 드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일부 환자들은 이전에 유사하지만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던 통증 경험을 보고하기도 합니다5.

오심 및 구토 증상의 높은 발생 빈도는17 고환 염전을 다른 음낭 통증 원인, 특히 부고환염과 감별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부고환염에서는 이러한 전신 증상이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기 때문입니다17. 또한, 통증이 “벼락 치듯” 갑자기 극심하게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이지만1, 일부 환자에서는 통증이 서서히 진행되거나 심지어 경미하게 나타날 수도 있어4 18 진단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는 극심한 통증이 없다고 해서 고환 염전을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다양한 통증 양상에 대한 이해와 높은 의심 지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3.2. 신생아 고환 염전: 비전형적이고 종종 침묵하는 양상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고환 염전(출생 전 또는 출생 직후 발생)은 연장아나 청소년과는 다른 임상 양상을 보입니다. 통증은 대개 없거나 평가하기 어렵습니다5. 가장 흔한 소견은 부모가 기저귀를 갈거나 신생아 검진 시 의사가 발견하는 단단하고, 붓고, 종종 변색된(붉거나 어둡거나 검은색) 음낭 종물입니다1. 빛 투과 검사(transillumination)는 일반적으로 음성입니다. 출생 전에 발생한 염전은 대부분 출생 시 이미 고환이 구제 불가능한 상태(“소실 고환, vanished testis”)인 경우가 많다14. 출생 후 발생한 염전이라도 매우 조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구제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입니다2.

신생아 고환 염전이 통상적으로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점은5 부모의 세심한 관찰과 정기적인 신생아 검진이 조기 발견에 매우 중요함을 의미합니다. 통증을 호소하는 연장아와 달리, 신생아는 신체적 변화를 통해 이상을 표현하므로 보호자의 역할이 결정적입니다. 또한, 신생아 고환 염전의 상당수가 출생 전에 발생하고2 이로 인해 해당 고환의 구제율이 매우 낮다는 사실은14, 많은 신생아 염전 사례에서 치료의 초점이 급성기 구제보다는 진단 확정, 괴사된 고환 처리, 그리고 반대편 고환의 예방적 고정에 맞추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3. 간헐적 염전 및 자연 정복: “경고성 통증”

일부 환자들은 갑작스러운 고환 통증이 수 분에서 수 시간 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양상은 간헐적 염전(intermittent torsion)과 자연 정복(spontaneous detorsion)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고성 통증”은 결코 무시되어서는 안 되는데, 이는 기저에 BCD와 같은 해부학적 소인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이고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완전 염전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음을 시사하기 때문입니다8. 완전 염전을 예방하기 위해 종종 고환고정술과 같은 수술적 개입이 필요합니다19.

간헐적 염전 에피소드가 저절로 해결된다 하더라도, 반복적인 허혈 손상은 장기적으로 고환 기능에 미세하지만 누적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요하고 지속적인 염전 발생 전에라도 잠재적으로 고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한 번이라도 확인된 간헐적 염전 에피소드 후에는 선택적 고환고정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왔다 갔다 하는 통증”의 중요성에 대한 환자 및 부모 교육은19 매우 중요합니다. 통증이 저절로 사라지면 무시하기 쉽지만, 이러한 증상은 비뇨의학적 평가가 필요한 중요한 경고 신호입니다.

3.4. 부모와 환자의 인식: 즉각적인 의료기관 방문을 위한 핵심 신호

부모와 환자(특히 증상 표현을 부끄러워할 수 있는 청소년20)가 갑작스럽고 심한 음낭 통증이나 부종을 잠재적인 응급 상황으로 인지하고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1. “괜찮아지겠지 기다려보자”는 태도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생식기 관련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이20 시기적절한 치료를 방해하는 중요한 수정 가능한 요인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치료 지연과 나쁜 예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터놓고 이야기하는 것을 정상화하고 질환의 시간적 위급성을 강조하는 맞춤형 건강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표 1: 연령별 고환 염전 증상 및 주요 진단 단서21 22 23 24
연령군 전형적인 통증 양상 동반 증상 (오심/구토, 복통 등) 주요 신체 검진 소견 (부종 특징, 고환 위치, 고환올림근 반사) 흔한 부모/환자 관찰 소견
신생아 통증 없거나 불명확5 잘 안 먹고 보챔25 단단하고 변색된(붉거나 검은색) 음낭 종괴, 부종5 기저귀 교체 시 음낭 이상 발견1
학령기 전/초 소아 갑작스러운 심한 음낭 통증, 복통으로 오인 가능1 오심/구토 가능성 있음 음낭 부종 및 압통, 고환올림근 반사 소실 가능성 아이가 아파하며 보챔, 음낭 만지기를 거부
청소년/젊은 성인 갑작스럽고 극심한 일측성 음낭 통증 (“벼락 통증”)26 오심/구토 (매우 흔함, 최대 90%)4, 하복부 방사통1 음낭 부종, 발적, 심한 압통, 고환이 위로 당겨 올라가거나 수평으로 위치 (high-riding, horizontal lie)4, 고환올림근 반사 소실4 갑작스러운 고환 통증, 음낭이 붓고 아픔, 메스꺼움

이 표는 고환 염전의 임상 양상이 연령에 따라 상당히 다를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평가를 위해 연령별 위험 신호를 인지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예를 들어, 신생아 고환 염전은 종종 통증이 없지만 단단하고 변색된 음낭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증상 발현은 진단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4, 이 표는 다양한 양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초기 선별 및 전문가 의뢰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경로: 신속하고 정확한 확인 보장

4.1. 임상 평가의 우선성: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고환 염전의 진단에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신속하고 철저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입니다. 통증의 발생 시점, 양상, 지속 시간, 동반 증상(특히 오심/구토), 그리고 이전의 유사한 통증 경험 유무에 대한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수적입니다4. 신체 검진은 부드럽지만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 사항들을 평가해야 합니다:

  • 고환의 위치: 이환된 고환이 정상보다 위로 당겨 올라가 있거나(high-riding testis) 정상적인 수직 위치가 아닌 수평으로 놓여 있는지(horizontal lie) 확인합니다4.
  • 음낭의 변화: 이환된 쪽 음낭의 부종, 발적, 그리고 극심한 압통 여부를 확인합니다1.
  • 고환올림근 반사 (Cremasteric reflex): 허벅지 안쪽을 가볍게 자극했을 때 동측 고환이 상승하는 반사가 소실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중요한 소견이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4. 특히 어린 아이들이나 양측성으로 반사가 없는 경우, 또는 반사가 존재하더라도 염전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4.
  • 프렌씨 징후 (Prehn’s sign): 음낭을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완화되는지 확인합니다. 고환 염전에서는 통증이 완화되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되는 반면, 부고환염에서는 통증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27. 그러나 이 징후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28.

고환올림근 반사 소실이나 고환의 높은 위치와 같은 전형적인 징후들이 강조되지만, 이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100%가 아닙니다4. 단일 징후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오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단독적인 징후보다는 여러 소견을 종합하고 높은 의심 지수를 유지하는 것이 진단에 더 강력한 힘을 가집니다. 또한, 어리고 비협조적인 아이들이나 심한 음낭 부종으로 해부학적 구조 파악이 어려운 경우 신체 검진 자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2. 이러한 어려움은 불확실한 경우 초음파와 같은 보조 진단 도구의 필요성을 강화하지만, 동시에 의심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영상 검사가 즉시 가능하지 않거나 모호하더라도 직접적인 수술적 탐색이 정당화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4.

4.2. 컬러 도플러 초음파: 고환 혈류 평가의 표준 영상 검사

컬러 도플러 초음파(Color Doppler Ultrasound, CDUS)는 고환 염전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일차적인 영상 검사법입니다2. 주된 역할은 이환된 고환으로의 혈류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 고환 염전 시사 소견: 반대편 정상 고환과 비교하여 이환된 고환 내 혈류가 없거나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고환 염전을 강력히 시사합니다2.
  • 기타 초음파 소견: 고환 크기 증가17, 고환 실질 에코 변화(불균일, 초기 저에코에서 후기 고에코로 변화 가능29), 음낭 피부 비후, 음낭수종10, 그리고 “소용돌이 징후(whirlpool sign)” (정삭이 나선형으로 꼬인 모습으로, 혈류가 정상으로 보여도 염전을 강력히 시사29)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반대편 고환과의 비교: 필수적입니다2.
  • 민감도 및 특이도: 일반적으로 높지만(예: 민감도 88-93%, 특이도 90-100%10), 검사자의 숙련도와 장비의 질이 중요합니다30.
  • 제한점: 초기 염전, 간헐적/부분 염전에서는 정상 혈류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29. 신생아 고환은 크기가 작고 정상적으로도 혈류량이 적어 평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31. 확진된 염전 사례의 최대 25%에서 일부 혈류가 관찰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17.

CDUS는 매우 유용한 검사이지만, 증상이 매우 의심스럽거나 염전이 매우 초기 또는 간헐적인 경우 초음파에서 “정상” 혈류 소견이 고환 염전을 결정적으로 배제하지는 못합니다29. 임상적 판단이 우선되어야 하며, 잠재적으로 위음성이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상 혈류” 초음파 소견에 근거하여 수술을 지연시키는 것은 고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의심이 계속 높으면 여전히 수술적 탐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32. 만약 “소용돌이 징후”가29 확인된다면, 이는 도플러 혈류 상태와 관계없이 꼬인 정삭을 직접 시각화하는 것이므로 즉각적인 수술적 상담을 촉발해야 합니다.

4.3. TWIST 점수: 임상 결정 지원 도구

TWIST(Testicular Workup for Ischemia and Suspected Torsion) 점수는 환자를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고, 특히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이 필요한지 아니면 초음파 검사가 우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고안된 임상 결정 규칙입니다33. 구성 요소에는 일반적으로 고환 부종(2점), 단단한 고환(2점), 고환올림근 반사 소실(1점), 오심/구토(1점), 고환의 높은 위치(1점)가 포함됩니다.

  • 낮은 점수 (예: 0-2점): 음성 예측도가 높아 염전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며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33.
  • 중간 점수 (예: 3-4점):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33.
  • 높은 점수 (예: 5점 이상 또는 7점): 양성 예측도가 높아 염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며,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 없이 바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습니다33.

TWIST 점수는 적절히 적용될 경우, 특히 고위험 환자에서 잠재적으로 영상 검사를 생략하고 직접 수술로 진행함으로써 치료를 신속하게 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33. 이는 진단 지연을 줄임으로써 “시간이 곧 고환이다” 원칙에 직접적으로 부합합니다. 그러나 그 유효성과 유용성은 임상 환경 및 환자 집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28. 높은 점수에서 염전 가능성을 높게 예측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낮은 점수에서 염전을 배제하는 데는 신중해야 하며, 특히 개별 임상 징후가 우려스럽거나 비정형적인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이 점수는 전반적인 임상적 판단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도구입니다.

표 2: 고환 염전 진단 방법 비교34 35
진단 방법/소견 민감도 (근사치) 특이도 (근사치) 장점 제한점/주의사항 주요 출처
신체 검진
– 고환올림근 반사 소실 다양함 (60% ~ 낮음)4 다양함 신속, 비침습적 어린 소아에서 정상적으로 없거나 양측성으로 없을 수 있음, 반사 있어도 염전 배제 불가4 4
– 고환의 높은 위치/수평 위치 다양함 (33-83%)2 높음 (94%)27 시각적 단서 항상 나타나지 않음27 2
– 음낭 부종/발적/압통 높음 낮음 (비특이적) 명백한 염증 징후 다른 급성 음낭 질환에서도 나타남 1
– 오심/구토 높음 (최대 90%)17 중간 염전 시사도 높음 다른 원인으로도 발생 가능 17
컬러 도플러 초음파
– 고환 내 혈류 부재/감소 88-93%10 90-100%10 혈류 직접 평가, 비침습적 초기/부분/간헐적 염전 시 정상 혈류 가능17, 신생아 평가 어려움10, 검사자 의존도 높음30 2
– 소용돌이 징후 (Whirlpool sign) 다양함 매우 높음 꼬인 정삭 직접 확인, 혈류 정상이어도 염전 시사29 항상 관찰되지는 않음 29
TWIST 점수
– 높은 점수 (예: ≥5 또는 7) 높음 (PPV 100% 가능)33 높음 신속한 위험도 분류, 불필요한 영상 검사 감소 가능 추가 검증 필요28, 임상 판단 대체 불가 33
– 낮은 점수 (예: 0-2) 높음 (NPV 96-100%)33 중간 염전 가능성 낮음 시사 낮은 점수라도 임상적 의심 높으면 추가 평가 필요 33

PPV: 양성 예측도, NPV: 음성 예측도. 민감도/특이도 수치는 연구마다 다를 수 있음.

이 표는 각 진단 요소의 유용성과 한계를 요약하여 임상의가 응급 상황에서 정보에 입각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진단은 단일 검사보다는 병력, 신체 검진, 영상 검사, 점수 시스템 등 여러 정보원의 종합적인 판단에 의존함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높은 TWIST 점수의 높은 양성 예측도를 이해하면 직접적인 수술적 개입 경로를 지원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4. 감별 진단

고환 염전은 급성 음낭 통증 및 부종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과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감별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고환염/고환염 (Epididymitis/Orchitis): 부고환 및/또는 고환의 염증으로, 종종 감염성입니다. 통증이 점진적으로 시작될 수 있으며, 발열 및 배뇨 증상(배뇨통, 빈뇨)이 더 흔할 수 있습니다4. 고환올림근 반사는 대개 존재하며 프렌씨 징후가 양성일 수 있습니다36. 도플러 초음파에서는 부고환/고환으로의 혈류 증가가 특징적으로 관찰됩니다2.
  • 고환 부속기 또는 부고환 부속기 염전 (Torsion of a testicular or epididymal appendage): 작은 흔적기관인 부속기가 꼬이는 것입니다. 통증은 급성으로 심할 수 있으며, 종종 고환 상부에 국한됩니다4. 음낭 피부를 통해 압통이 있는 푸른색 결절이 보이는 “청색 점 징후(blue dot sign)”는 특징적이지만 드물게 관찰됩니다10. 도플러 초음파에서는 혈류가 좋은 정상 고환과 함께 혈류가 없거나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부속기가 관찰됩니다2. 치료는 대개 통증 조절 등 보존적입니다36.
  • 감돈된 서혜부 탈장 (Incarcerated inguinal hernia): 음낭 부종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부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4. 과거 탈장 병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37.
  • 외상/혈종 (Trauma/Hematoma): 외상 병력, 음낭 타박상 등이 있습니다4.
  • 음낭수종, 정계정맥류, 정액류, 고환 종양: 대개 통증 없는 종괴로 나타나지만, 간혹 불편감을 유발하거나 동시에 발견될 수 있습니다1 38.

가장 중요한 감별점은 고환 염전과 부고환염/고환염 사이의 구분입니다. 고환 염전은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하지만 부고환염은 내과적으로 치료되기 때문에, 염전을 부고환염으로 오진하면 고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도플러 초음파는 혈류 감소/소실(염전)과 혈류 증가(염증)를 구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9. 또한, 고환 부속기 염전은 통증을 유발하지만 양성 자가 회복 질환입니다36. 주요 과제는 고환 부속기 염전과 고환 염전을 확실하게 구별하는 것이며, 특히 증상이 겹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진단(종종 초음파를 통해 정상 혈류 고환과 비정상 부속기를 확인2)은 부속기 염전에 대한 불필요한 수술적 탐색을 피하는 동시에 실제 고환 염전을 놓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5. 치료적 개입: “시간이 곧 고환이다” 원칙의 적용

5.1. 수술적 탐색: 확정적 관리

의심되는 고환 염전의 관리에서 핵심은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입니다1. 임상적 의심이 높을 경우 영상 검사를 위해 수술을 지연시켜서는 안 됩니다4.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낭 절개 및 정복 (Detorsion): 음낭을 절개하여 이환된 고환을 노출시킨 후, 꼬인 정삭을 풀어주고 따뜻한 습윤 거즈로 감싸 혈류 재개를 평가합니다 (색깔 호전, “pinking up” 확인)1.
  • 생존력 평가: 외과의는 정복 및 보온 후 고환의 외관을 바탕으로 생존력을 판단합니다. 염전 지속 시간과 꼬임 정도 등이 이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2.
  • 고환고정술 (Orchiopexy): 고환이 생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재발 방지를 위해 고환을 음낭벽(고환 백막을 음낭 육양근막/고환초막에)에 봉합하여 고정합니다. 비흡수성 또는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종종 3점 고정 방식이 사용됩니다1 40.
  • 예방적 반대편 고환고정술: 매우 중요하게도, 같은 수술 시 반대편(정상) 고환도 고정합니다1. 이는 양측성 종 고리 변형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표준적인 술기입니다2.
  • 고환절제술 (Orchiectomy): 정복 및 관찰 후에도 고환이 명백히 괴사되어 생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수술적으로 제거합니다1 41.

고환고정술과 고환절제술 사이의 결정은 고환 생존력에 대한 수술 중 판단에 근거합니다2. 이는 외과의의 중요한 역할과 혈류 재개 평가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경계선상의 고환을 살리려는 시도(나중에 위축될 수 있음)와 명백히 죽은 고환을 제거하여 만성 통증이나 이론적인 자가면역 반응과 같은 잠재적인 장기적 문제를 예방하는 것 사이에는 암묵적인 균형이 존재합니다42. 일상적인 반대편 고환고정술은1 수술적 관리의 핵심이며, 기저에 있는 종 고리 변형의 흔한 양측성 특성을 이해한 직접적인 결과입니다2. 이 예방적 조치는 한쪽 고환을 잃었을 경우 유일하게 남은 고환이나 다른 소인이 있는 고환의 미래 염전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2. 도수 정복: 술기, 성공률 및 수술 전 가교 역할

도수 정복(Manual detorsion)은 음낭을 외부에서 조작하여 꼬인 고환을 푸는 비수술적 시도입니다. 대부분의 염전이 안쪽으로 발생하므로, 일반적으로 이환된 고환을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책을 펼치듯이” – 예: 우측 고환은 시계 반대 방향, 좌측 고환은 시계 방향)으로 시행됩니다4. 그러나 최대 1/3은 바깥쪽으로 꼬일 수 있어 안쪽으로 회전시켜야 할 수도 있습니다17.

  • 술기: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고환을 잡고 180-540도 이상 회전을 시도합니다17. 성공은 통증 완화로 판단하며, 이상적으로는 도플러 초음파로 혈류 회복을 확인합니다43. 견인 기법도 기술된 바 있습니다44.
  • 성공률: 문헌에 따라 26%에서 80% 이상까지 매우 다양하게 보고됩니다4 45. 증상 발생 6시간 이내의 조기 내원 및 심한 음낭 부종이 없는 경우 성공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46.
  • 역할: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이 지연될 경우 시도해 볼 수 있는 일시적인 조치입니다4. 성공하더라도 이후의 수술적 탐색 및 양측 고환고정술의 필요성을 대체하지는 못합니다4.
  • 금기/주의사항: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염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47. 심한 통증이나 부종이 있으면 어렵습니다45. 불완전한 정복의 위험이 있습니다47.

도수 정복의 성공률이 광범위하게 보고되는 것(26% ~ 86%45)은 그 효과가 시술자의 경험, 환자 요인(예: 부종 정도, 통증 역치), 그리고 시점에 크게 좌우됨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가변성은 도수 정복을 확정적인 치료법으로 신뢰할 수 없게 만들지만, 수술 지연이 불가피한 특정 상황에서는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임시방편으로 남습니다. 도수 정복이 통증 완화와 혈류 회복에 성공하더라도, 기저의 해부학적 소인(BCD)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재발 방지를 위해 이후 선택적 양측 고환고정술이 여전히 필수적입니다4. 성공적인 도수 정복 후 이 선택적 수술의 시점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데, 재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48.

5.3. 결정적 시간 창: 지연이 고환 구제율에 미치는 영향

고환 구제율은 시간에 매우 의존적입니다. 최적 시간 창은 증상 발생 후 4-6시간 이내 수술 시 가장 높은 구제율(90-100%에 근접)을 보입니다1. 시간 경과에 따른 구제율 감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6-8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합니다.
  • 7-12시간: 약 70-80%49. 일부 자료는 50-60%17 또는 20-50%27로 보고. 19는 12시간 후 50%를 시사.
  • 12-24시간: 약 20-50%1.
  • 24시간 초과: 매우 낮음, 종종 10-20% 미만2.

국내 연구에서는 전체 구제율 약 75%, 소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13. 한 터키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구제를 위한 증상 지속 시간 임계값을 9시간, 최대 허용 염전 각도를 270도로 제시했다50. 구제율 영향 요인: 증상 지속 시간이 가장 중요하지만, 염전의 정도도 역할을 한다4. 초기 6시간 이후 구제율의 급격한 감소는2 고환 염전을 뇌졸중이나 급성 심근경색과 같이 기관 보존을 위한 시간 민감성 측면에서 극도의 응급 상황으로 취급해야 하는 가장 강력한 논거이다. 지연되는 매 시간은 유리한 결과를 얻을 기회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6시간이라는 “골든 타임”이 중요하지만, Mellick 등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49 24시간 이후에도 일부 고환 생존이 보고된 것은, 늦게 내원한 경우에도 구제 가능성이 낮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으므로 여전히 수술적 탐색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는 늦은 내원에 대한 허무주의적 접근을 반박합니다.

표 3: 수술적 개입까지의 시간과 고환 구제율 상관관계51 52
증상 발생 후 수술까지 시간 보고된 고환 구제율 (%) 주요 출처 예시
< 6 시간 90-100% 2
6-12 시간 50-80% (연구에 따라 범위 다양) 53
12-24 시간 20-50% (연구에 따라 범위 다양) 2
> 24 시간 < 10-20% (일부 생존 보고 있음) 2
국내 전체 구제율 (참고) 약 75% (소아에서 더 높음) 13

구제율은 연구 설계, 환자군, 염전 중증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 표는 “시간이 곧 고환이다”라는 원칙을 강력한 시각적, 정량적 데이터로 뒷받침합니다. 지연이 증가함에 따라 구제 가능성이 급격히 감소함을 명확히 보여줌으로써, 임상의, 환자, 보호자 모두에게 즉각적인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응급 접근법을 여러 출처의 구체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당화하며, 의료 시스템이 고환 염전 관리 성과를 벤치마킹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6. 예후, 합병증 및 장기적 후유증

6.1. 고환 위축: 발생률 및 중요성

꼬인 고환이 수술적으로 구제(고환고정술)되더라도 이후 위축(크기 감소 및 기능 상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4. 고환고정술 후 위축 발생률은 상당할 수 있으며(예: 25.7%53, 최대 50%53, 56.6%54), 정복 전 허혈 지속 시간이 길수록, 염전 각도가 클수록 위축 가능성이 높아진다53. 대부분의 위축은 수술 후 3-6개월 이내에 뚜렷해진다55. 고환 위축은 해당 고환의 정자 생성 기능 및/또는 남성호르몬 분비 기능의 손상을 의미한다56. “성공적인” 수술적 구제 후에도 높은 고환 위축률은53 허혈성 손상의 심각성과 매우 초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고환이 구제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초음파 추적 관찰은 위축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는 생식능력에 대한 상담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위축된 고환의 존재는 환자와 가족에게 심리적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2. 생식능력 및 부성애

고환 염전은 장기적으로 생식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쪽 고환을 절제했거나 구제된 고환이 위축된 경우, 정액 검사에서 정자 수 감소, 운동성 저하 등 이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특히 허혈 시간이 길었을수록 정액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55. 일부 연구에서는 고환 염전 후 항정자항체가 생성되어 정자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기도 한다57. 그러나 한쪽 고환만 정상적으로 기능하더라도 정상적인 임신 기능과 남성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4. 실제로 고환 염전 병력이 있는 남성들의 전체적인 부성애율(paternity rate)은 일반 인구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58 59. 이는 정액 지표가 다소 저하되더라도 실제 임신 성공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환자와 가족에게 중요한 안도감을 줄 수 있습니다. 괴사된 고환을 남겨두었을 때 반대편 고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교감성 고환병증(sympathetic orchidopathia)”의 개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56 60, 일반적으로 명백히 괴사된 고환은 제거하는 것이 선호됩니다.

6.3. 내분비 기능 (테스토스테론)

한쪽 고환이 건강하다면 일반적으로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정상적으로 유지됩니다61. 고환 염전 후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는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61.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고환 염전 후, 특히 고환 위축이나 절제가 있었던 경우, 장기적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다소 감소하거나 뇌하수체 호르몬인 황체형성호르몬(LH) 및 난포자극호르몬(FSH) 수치가 보상적으로 상승하는 미묘한 변화가 관찰될 수 있다고 보고한다61 62. 대부분의 연구에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된다는 점은 고무적이지만, 장기 추적 관찰 연구, 특히 노년기까지의 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이다61. 미미한 호르몬 변화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이나, 일부에서는 조기에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정기적인 검사를 권장하기도 한다57.

6.4. 심리적 영향 및 삶의 질

고환 염전, 특히 고환절제술을 받은 경우, 소아 및 청소년 환자에게 상당한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체 이미지에 대한 우려, 남성성에 대한 불안감, 생식능력에 대한 걱정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될 수 있습니다20. 이러한 심리적 어려움은 환자의 자존감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환 염전 치료 과정에서 심리적 지원과 상담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환자와 가족에게 질환과 치료 과정, 그리고 잠재적인 장기적 영향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환 상실로 인한 신체 이미지 변화에 대해서는 고환 보형물 삽입술과 같은 미용적 재건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논의할 수 있습니다20 63. 고환 보형물은 환자의 자존감 회복과 성생활에서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64. 한국에서도 소아 환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 정서 지원 프로그램이 일부 병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65, 필요한 경우 이러한 자원을 연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경우, 특히 신체 이미지와 관련된 심리 상담이 중요할 수 있으며66, 온라인 상담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고려할 수 있다66.

6.5. 고환고정술 후 재발

고환고정술 후 고환 염전의 재발은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재발률은 약 0.77% ~ 1.4% 정도로 보고됩니다67 68. 재발은 수술 후 수개월에서 수년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전 봉합사가 고환 백막에는 남아있으나 음낭 육양근막과의 고정이 풀리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67. 비록 재발률이 낮지만, 이러한 가능성은 적절한 수술 기법(예: 견고한 고정점 확보, 적절한 봉합사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재발 가능성에 대해 교육하고, 수술 후에도 음낭 통증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 예방 및 교육

7.1. 부모 및 환자 교육의 중요성

고환 염전의 예후는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에 크게 좌우되므로, 부모와 환자(특히 청소년)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매우 중요합니다. 교육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상 인지: 갑작스러운 심한 음낭 통증, 부종, 발적, 오심/구토 등의 주요 증상을 숙지하도록 한다20.
  • 부끄러움 극복: 특히 청소년의 경우 생식기 문제에 대한 언급을 부끄러워하여 증상을 숨기거나 지연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20, 이러한 문제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하는 것이 정상적이고 중요함을 강조해야 한다.
  • 즉각적인 의료기관 방문: 증상 발생 시 “기다려보자”는 태도를 버리고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함을 강조한다. “왔다 갔다 하는 통증”이라도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19.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 캠페인은 고환 염전의 심각성과 시간적 긴급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증상 발생 시 주저 없이 의료 도움을 구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7.2. 조기 인지를 위한 의료 제공자의 역할

일차 의료기관 의사(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및 응급의학과 의사는 고환 염전의 조기 인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급성 음낭 통증을 호소하는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 시 항상 고환 염전을 감별진단 목록에 포함하고 높은 의심 지수를 유지해야 합니다. 신속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을 통해 의심 소견이 있을 경우, 즉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에게 협진을 의뢰하거나 상급 병원으로 전원 조치해야 합니다.

7.3. 증상 없는 종 고리 변형 및 가족력 관리

현재까지 증상이 없는 종 고리 변형(BCD)에 대한 일상적인 선별 검사나, BCD가 우연히 발견되었거나 고환 염전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예방적 고환고정술 시행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2. BCD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8 대개 염전 발생 후 또는 다른 이유로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된다. 증상 없는 BCD의 관리는 임상적 불확실성이 큰 영역이다. 선별 검사 가이드라인의 부재는 BCD가 대부분 우연히 또는 염전 발생 후에야 발견됨을 의미한다. 고환 염전 환자의 형제 등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예방적 고환고정술 시행 여부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지만, 수술적 위험과 예방적 이점을 비교 평가하여 개별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 주제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연히 발견된 BCD에 대해, 특히 반대편 고환에 문제가 있었던 경우, 예방적 고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9. 그러나 이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8. 수술 후 관리 및 회복

8.1. 수술 직후 관리

고환 염전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상처 관리, 그리고 합병증 발생 여부 관찰이 중요합니다.

  • 통증 관리: 수술 후 며칠간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처방된 진통제(예: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또는 필요시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조절한다69. 음낭에 냉찜질을 하는 것도 부종과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70.
  • 상처 관리: 수술 부위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드레싱을 관리하고, 봉합사는 대개 2-3주 내에 저절로 녹거나70 또는 수술 후 약 1주일 경에 제거한다71. 피부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간다69.
  • 합병증 관찰: 발열, 수술 부위의 심한 발적이나 농성 분비물, 과도한 출혈이나 혈종 형성,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72.

8.2. 회복 과정 및 일상생활 복귀

부종은 수술 후 음낭 부종은 흔하며, 대개 2-4주에 걸쳐 점차 가라앉는다69. 음낭 지지대나 꼭 끼는 속옷 착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70. 목욕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수술 후 2일 정도는 샤워나 목욕을 피하고 상처가 마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69. 실밥 제거 후 또는 상처가 아문 후에는 가벼운 샤워가 가능하다73. 학교나 일상 활동은 통증이 잘 조절되면 수일 내(3-5일 또는 1주일 후) 복귀할 수 있다74.

8.3. 활동 제한

가벼운 활동은 퇴원 후 집안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가능하다71. 자전거 타기, 달리기, 점프, 구기 운동, 접촉 스포츠 등 격렬한 활동은 수술 후 최소 2주에서 4-6주간 피해야 한다12. 성관계도 약 2주간 피하는 것이 좋다70. 정확한 활동 재개 시점은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표 4: 일반적인 고환고정술 후 회복 시간표 및 활동 지침75
회복 단계 기간 (수술 후) 통증 및 부종 상처 관리 활동 수준 주의사항 주요 출처
수술 직후 ~ 1주 0-7일 중등도 통증 및 부종, 점차 감소 드레싱 유지, 청결 및 건조 유지, 의사 지시 따름 안정, 가벼운 실내 활동, 짧은 걷기 처방된 진통제 복용, 냉찜질, 음낭 지지 69
1주 ~ 2주 8-14일 경미한 통증 및 부종 지속 가능 봉합사 제거 또는 자연 흡수, 가벼운 샤워 가능 (의사 허락 시) 학교/일상생활 복귀 가능, 무리한 활동 피함 무거운 물건 들기 금지, 자전거/격렬한 놀이 금지 12
2주 ~ 4주 (또는 그 이상) 15일 이후 대부분 통증 소실, 부종 점차 완전 소실 특별한 관리 불필요 (상처 완전 치유 시) 점진적으로 활동량 증가, 스포츠/격렬한 운동은 의사 허락 후 시작 (보통 3-6주 후) 수영은 2주 후부터 가능할 수 있음 (의사 지시) 12

위 표는 일반적인 지침이며, 개인의 회복 속도와 수술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반드시 담당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함.

9. 장기 추적 관찰 및 관리

고환 염전 치료 후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환 건강, 생식능력, 호르몬 상태 및 심리적 안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1. 고환 건강 모니터링

환자 스스로 정기적인 고환 자가 검진을 통해 크기, 모양, 단단함 등의 변화를 관찰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비뇨의학과 진료를 통해 의학적 평가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특히 수술 후 3-6개월은 고환 위축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초음파 검사를 포함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다55.

9.2. 생식능력 평가

고환 염전 병력이 있는 남성이 성인이 되어 임신을 계획할 때, 필요한 경우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 수, 운동성, 모양 등을 평가할 수 있다76. 모든 환자에게 일상적인 정액 검사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합의가 없으나, 고환 위축이 심하거나, 양측성 문제가 있었거나, 환자가 생식능력에 대한 우려가 있을 경우 고려해 볼 수 있다76.

9.3. 호르몬 평가

대부분의 경우 한쪽 고환만으로도 정상적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유지되지만61, 고환 위축이 심하거나 양측성 손상이 있었던 경우, 또는 성기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테스토스테론, FSH, LH 수치를 포함한 호르몬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76. 현재까지 모든 고환 염전 환자에게 일상적인 장기 호르몬 검사나 정액 검사를 보편적으로 권고할 만큼 강력한 근거는 부족하지만, 임상적 우려, 고환 위축의 정도, 또는 환자의 생식능력 평가 희망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관련 가이드라인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9.4. 심리적 지원 및 상담

고환 상실이나 위축으로 인한 신체 이미지 변화, 생식능력에 대한 불안감 등은 환자의 장기적인 심리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20. 따라서 필요에 따라 심리 상담 및 지지 그룹 연계 등 지속적인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환 보형물에 대한 논의도 환자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20.

10. 향후 연구 방향

소아 고환 염전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진단 신속성 및 정확성 향상: 비침습적이면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고환 염전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나 영상 기법 개발.
  • 고환 구제 전략 최적화: 허혈-재관류 손상을 최소화하고 고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약물 치료 또는 수술 기법 개선77.
  • 장기적 영향 규명 및 완화: 고환 염전이 생식능력과 내분비 기능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 및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 개발.
  • 증상 없는 종 고리 변형 관리 지침 개발: 증상 없는 BCD의 자연 경과, 위험도 평가, 그리고 예방적 수술의 적응증 및 효과에 대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 수립.
  • 생식능력 보존: 고환 손실 위험이 높은 환자, 특히 사춘기 전 소아에서 정자 또는 고환 조직 동결 보존과 같은 생식능력 보존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임상 적용 확대78 79.

11. 결론 (요약)

소아 고환 염전은 신속한 진단과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가 고환 보존 및 향후 생식능력과 내분비 기능 유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응급 질환입니다. “종 고리 변형”과 같은 해부학적 소인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신생아기와 사춘기에 호발합니다. 갑작스러운 심한 음낭 통증, 부종, 오심/구토는 청소년기의 주요 증상이며, 신생아에서는 통증 없이 단단한 음낭 종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컬러 도플러 초음파는 혈류 평가를 통해 진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임상적 의심이 높을 경우 영상 검사 결과에 관계없이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이 필요합니다. 치료의 핵심은 4-6시간 이내의 “골든 타임” 내에 수술적 정복 및 고환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며, 반대편 고환에 대한 예방적 고정술도 표준 치료의 일부입니다. 치료 지연은 고환 위축, 생식능력 저하, 드물게 호르몬 기능 이상 등의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 보호자, 그리고 모든 단계의 의료 제공자는 고환 염전의 증상을 숙지하고, 의심 시 주저 없이 응급 의료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교육과 인식 개선 노력, 그리고 진단 및 치료 프로토콜의 최적화를 통해 소아 고환 염전으로 인한 비극적인 고환 손실을 최소화하고 환자들의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증상이 나타나거나 의심되는 경우, 자가 진단이나 자가 치료를 시도하지 말고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 고환 염전은 시간이 생명인 응급 질환이므로, “기다려 보자”는 태도는 매우 위험하며 영구적인 고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제시된 치료법 및 회복 과정은 일반적인 경우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 의사의 지시를 따르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아이가 갑자기 고환 통증을 호소하는데, 고환 염전인가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갑작스럽고 심한 고환 통증은 고환 염전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1. 특히 음낭 부종, 발적, 오심, 구토 등이 동반된다면 고환 염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1 4.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시간이 곧 고환”이라는 말처럼, 신속한 대처가 고환을 살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1.

고환 염전은 왜 응급 수술이 필요한가요?

고환 염전은 정삭이 꼬여 고환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입니다1. 혈액 공급이 수 시간 이상 중단되면 고환 조직이 괴사하여 영구적인 손상을 입게 됩니다1. 일반적으로 증상 발생 후 4~6시간 이내에 수술을 받아야 고환 구제율이 90~100%로 매우 높습니다1. 시간이 지체될수록 구제율은 급격히 떨어지므로 응급 수술이 필수적입니다.

“종 고리 변형”이 있으면 반드시 고환 염전이 발생하나요? 예방 수술을 해야 하나요?

“종 고리 변형(Bell Clapper Deformity)”은 고환 염전의 주요 해부학적 원인이지만4, 이 변형이 있다고 해서 모두 고환 염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남성의 약 12%에서 발견될 정도로 비교적 흔한 변형입니다2. 현재 증상이 없는 종 고리 변형에 대한 일상적인 선별 검사나 예방적 수술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없습니다2 10. 다만, 한쪽 고환에 염전이 발생했던 경우 반대편 고환에 예방적 고환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은 표준 치료이며1, 가족력이 있거나 우연히 발견된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별적인 위험과 이점을 고려해 결정할 수 있습니다.

고환 염전 치료 후 아이의 생식 능력이나 남성 호르몬에 문제가 생길까요?

한쪽 고환을 절제했거나 구제된 고환이 위축된 경우 정액 검사 이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4, 한쪽 고환만 정상적으로 기능해도 대부분 정상적인 임신 기능과 남성성을 유지합니다4. 고환 염전 병력이 있는 남성들의 전체적인 부성애율은 일반 인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습니다58 59. 남성 호르몬 수치 역시 대부분 정상적으로 유지됩니다61. 그러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으며,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환 염전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고, 언제부터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한가요?

수술 후 음낭 부종은 대개 2~4주에 걸쳐 점차 가라앉습니다69. 통증이 잘 조절되면 수일 내(3~5일 또는 1주일 후) 학교나 가벼운 일상 활동으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74. 하지만 자전거 타기, 달리기, 격렬한 운동이나 스포츠는 수술 후 최소 2주에서 4~6주간 피해야 합니다12. 정확한 활동 재개 시점은 개인의 회복 상태와 수술 범위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신생아도 고환 염전이 생길 수 있나요? 증상은 어떻게 다른가요?

네, 신생아도 고환 염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 사례의 약 12%를 차지합니다14. 신생아 고환 염전은 연장아나 청소년과 달리 통증을 거의 호소하지 않거나 평가하기 어렵습니다5. 가장 흔한 소견은 부모가 기저귀를 갈거나 의사가 신생아 검진 시 발견하는 단단하고 붓고 변색된(붉거나 검은색) 음낭 종물입니다1. 따라서 신생아의 경우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

소아 고환 염전은 시간과의 싸움인 응급 질환입니다. 갑작스러운 음낭 통증,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한시도 지체하지 말고 응급실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종 고리 변형”이라는 해부학적 소인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으며, 신생아기와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가 진단에 중요하지만, 의심이 강하게 들 때는 검사 결과와 관계없이 즉각적인 수술적 탐색이 고환을 살리는 길입니다. 증상 발생 후 4~6시간이라는 ‘골든 타임’ 내에 수술적 치료(정복 및 고환고정술, 반대편 예방적 고정술 포함)를 받는 것이 예후에 결정적입니다. 치료가 늦어지면 고환 위축, 생식 능력 저하, 호르몬 문제 등 심각한 장기 합병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와 보호자는 물론, 모든 의료진이 이 질환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인식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안타까운 고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아이들의 건강한 미래를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건강 관련 문제나 우려 사항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본문에 제공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무시하거나 진료를 미루지 마십시오.

참고 문헌

  1. 네이버 포스트. 소아 고환 염전증: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67277&memberNo=5266975
  2. 서울아산병원. 고환의 염전 | 질환백과 | 의료정보.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06
  3. Medicover Hospitals. Bell Clapper Deformity: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edicoverhospitals.in/diseases/bell-clapper-deformity/
  4.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The acute scrotum.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uanet.org/documents/education/Acute-Scrotum.pdf
  5. Cincinnati Children’s. Testicular Torsion | Causes, Symptoms & Treatment.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cincinnatichildrens.org/health/t/testicular-torsion
  6.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Student Curriculum: Acute Scrotum.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uanet.org/meetings-and-education/for-medical-students/medical-students-curriculum/acute-scrotum
  7. my.clevelandclinic.org.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5382-testicular-torsion#:~:text=If%20you%20have%20a%20bell,don’t%20cause%20testicular%20torsion
  8. CHOC Children’s. What parents need to know about testicular torsion – CHOC – Children’s health hub.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health.choc.org/what-parents-need-to-know-about-testicular-torsion/
  9. Mr Andrew Robb. Bell Clapper Teste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paedsurology.com/clinical-conditions/bell-clapper-testes/
  10.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Testicular Torsion –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48199/
  11. Mayo Clinic. Testicular torsion – Symptoms & cause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testicular-torsion/symptoms-causes/syc-20378270
  12. Mid and South Essex NHS Foundation Trust. Testicular Torsion: Important information for young people and parent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idandsouthessex.ics.nhs.uk/news/testicular-torsion-important-information-for-young-people-and-parents/
  13. 비뇨의학 Urology Digest. 고환 염전의 발생과 고환 염전 환자에서 고환 구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urodigest.com/articles/xml/8YwJ/ (PDF 링크는 https://urodigest.com/articles/xml/8YwJ/ 에서 확인)
  14. Boston Children’s Hospital.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childrenshospital.org/conditions/testicular-torsion
  15. Korean Journal of Urology. The incidence of testicular torsion and testicular salvage rate in Korea over 10 year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PMC.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262487/
  16. Nemours KidsHealth. Testicular Torsion (for Parent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kidshealth.org/en/parents/torsion.html
  17. FPnotebook.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obile.fpnotebook.com/Uro/Testes/TstclrTrsn.htm
  18. MDPI. Testicular Torsion in the Absence of Severe Pain: Considerations for….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dpi.com/2227-9067/8/6/429
  19. Naver Blog. 만성고환통증에서 감별이 필요한 질환 (1) 고환 염전-치료 방법.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blog.naver.com/mephisto96/220406770999
  20. HealthyChildren.org. Testicle Pain &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issues/conditions/genitourinary-tract/Pages/Testicular-Torsion.aspx
  21. 헬스조선. “자다가 고환 아파 깬 소년” 응급수술… 청소년기에 잘 생기는 ‘병’이라는데, 뭐길래?.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102401873
  22. Dayton Children’s Hospital.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childrensdayton.org/testicular-torsion
  23.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chop.edu/conditions-diseases/testicular-torsion
  2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소아비뇨기과 질환.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e-cep.org/upload/pdf/2000431001-20081212130212.PDF
  25. 대한비뇨의학회. 비뇨기과 의사가 알아야 할 비뇨기과 응급질환.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urology.or.kr/inc/download.php?r_name=12645024976318.pdf&file_dir=resources&f_name=2007_Uroy004.pdf
  26. Nemours KidsHealth. Testicular Torsion (for Teen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kidshealth.org/en/teens/torsion.html
  27. Emergency Care Institute – Agency for Clinical Innovation.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aci.health.nsw.gov.au/networks/eci/clinical/tools/acute-scrotum/testicular-torsion
  28. Ascension. Testicular Torsion – Acute Painful Scrotum Guideline.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healthcare.ascension.org/-/media/project/ascension/healthcare/markets/texas/dell-childrens/documents/evidence-based-outcome-center/testicular-torsion/testicular-torsion—acute-painful-scrotum-guideline.pdf
  29. British Medical Ultrasound Society. Sonographic signs to look out for in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bmus.org/media/resources/files/_29_Give_it_a_whirl_Testicular_Torsion.pdf
  30.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Guidelines. Guideline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uanet.org/guidelines-and-quality/guidelines (구체적 소아 지침은 https://www.auanet.org/guidelines-and-quality/guidelines/pediatric-urology)
  31.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신생아 급성 음낭증 3례.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e-cep.org/upload/pdf/2001440717-20081220160120.PDF
  32. Emergency Medicine Cases. Testicular Torsion: A Diagnostic Pathwa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emergencymedicinecases.com/testicular-torsion/
  33.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EAU Guidelines on Paediatric Urology. Uroweb.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uroweb.org/guidelines/paediatric-urology (급성 음낭 관련: https://uroweb.org/guidelines/paediatric-urology/chapter/acute-scrotum)
  34. Mayo Clinic Health Information Library.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kuh.ku.edu.tr/mayo-clinic-care-network/mayo-clinic-health-information-library/diseases-conditions/testicular-torsion
  35. MSD 매뉴얼 – 일반인용. 음낭 통증 – 신장 및 요로 질환.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8B%A0%EC%9E%A5-%EB%B0%8F-%EC%9A%94%EB%A1%9C-%EC%A7%88%ED%99%98/%EC%8B%A0%EC%9E%A5%EA%B3%BC-%EC%9A%94%EB%A1%9C-%EC%A7%88%ED%99%98%EC%9D%98-%EC%A6%9D%EC%83%81/%EC%9D%8C%EB%82%AD-%ED%86%B5%EC%A6%9D
  36. 서울아산병원. 부고환염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00
  37. PMC – PubMed Central. Concurrent testicular torsion and acute incarcerated inguinal hernia in an adolescent bo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214395/
  38.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Scrotal Masse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22/0800/scrotal-masses.html
  39. 부산일보. 엄마, 고추 밑이 아파요… `정계염전`.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30825000085
  40.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 Orchidopexy and Orchiectomy for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vumc.org/global-surgical-atlas/sites/default/files/public_files/PDF/Orchiectomy%20and%20Orchipexy%20for%20Testicular%20Torsion.pdf
  41. Cleveland Clinic. Orchiectomy: Purpose, Procedure, Risks & Recover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procedures/orchiectomy
  42. ResearchGate. Routine Contralateral Orchiopexy for Children with a Vanished Testi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6638524_Routine_Contralateral_Orchiopexy_for_Children_with_a_Vanished_Testis
  43. Dayton Children’s Hospital. A to Z: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childrensdayton.org/kidshealth/a/az-torsion
  44. JournalFeed. Traction Technique for Manual De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journalfeed.org/article-a-day/2023/traction-technique-for-manual-detorsion/
  45. 네이버 블로그. [튼튼한 우리아이] “청소년기 우리 아이가 그곳을 아파해요” 고환염전 ….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blog.naver.com/hello_health/223817915361
  46. PMC – PubMed Central. THE ROLE OF MANUAL DETORSION IN PEDIATRIC TESTICULAR TORSION DURI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EXPERIENCE FROM TWO CENTRE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62471/
  47.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pemj.org/m/journal/view.php?number=232
  4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소아 급성 음낭증의 임상적 고찰.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e-cep.org/upload/pdf/2001441209-20081202142902.PDF
  49. PubMed. A Systematic Review of Testicle Survival Time After a Torsion Event.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8953100/
  50. Journal of Urological Surgery. Investigation of Clinical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Predicting Organ Loss in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jurolsurgery.org/articles/investigation-of-clinical-and-hematological-parameters-predicting-organ-loss-in-testicular-torsion/doi/jus.galenos.2025.2024-12-11
  51.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소아비뇨기과] 고환염전이란? |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 의료정보.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child.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60 (동일 내용: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60)
  52. 네이버 포스트. “우리 아이 고환이 부풀어 오르고 만지면 아파해요” 응급실에 자주 보는 소아 비뇨기 질환.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1644984&memberNo=1891127&searchKeyword=%EB%B9%84%EB%87%A8%EC%9D%98%ED%95%99%EA%B3%BC&searchRank=366
  53. AME Publishing Company. Degree of twisting and duration of symptoms are prognostic factors of testis salvage during episodes of testicular torsion. TAU.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tau.amegroups.org/article/view/16891/html
  54. ResearchGate.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testicular torsion in childre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9033651_Long-term_follow-up_results_of_testicular_torsion_in_children (또한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809487/)
  55. PMC – PubMed Central.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testicular torsion in childre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809487/
  56. Verywell Health. Testicular Atrophy: Causes of Shrinkage, Treatment, Effect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verywellhealth.com/testicular-atrophy-8751219
  57. ResearchGate. The Impact of Testicular Torsion on Testicular Funct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2377096_The_Impact_of_Testicular_Torsion_on_Testicular_Function (또한 Semantic Scholar PDF: https://pdfs.semanticscholar.org/854a/a68f89caae034375f6047201e53f225538d9.pdf 및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308234/)
  58. ResearchGate. Pregnancy Rates after Testicular Torsion | Request PDF.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1687106_Pregnancy_Rates_after_Testicular_Torsion
  59. Journal of Urology. Pregnancy Rates after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auajournals.org/doi/10.1016/j.juro.2016.04.066
  60. 대한비뇨의학회지. 백서 고환염전 복구 시 대측고환 손상 기전 및 Allopurinol 투여 효과. Synapse.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1020kju/kju-47-180.pdf
  61. MDPI. Long-Term Follow-Up after Testicular Torsion: Prospective Evaluation of Endocrine and Exocrine Testicular Function, Fertility, Oxidative Stress and Erectile Funct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mdpi.com/2077-0383/11/21/6507 (또한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659157/)
  62. Urology Health. Testicular Torsion: Symptoms, Diagnosis & Treatment.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urologyhealth.org/urologic-conditions/testicular-torsion
  63. PMC – PubMed Central. Patient Attitudes Toward Testicular Prosthesis Placement After Orchiectom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685124/
  64. KoreaMed. Patient Satisfaction after Testicular Prosthesis Implantat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koreamed.org/SearchBasic.php?RID=2298796
  6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아완화의료 심리정서지원 자원봉사자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와 부모의 경험 연구.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kihasa.re.kr/hswr/assets/pdf/1184/journal-40-3-351.pdf (관련 연구: https://www.kihasa.re.kr/hswr/v.45/1/450/%ED%95%9C%EA%B5%AD+%EC%96%B4%EB%A6%B0%EC%9D%B4%EB%B3%91%EC%9B%90+%EC%8B%AC%EB%A6%AC%EC%A0%95%EC%84%9C%EC%A7%80%EC%9B%90+%ED%94%84%EB%A1%9C%EA%B7%B8%EB%9E%A8+%EC%A6%9D%EC%A7%84+%EB%B0%A9%EC%95%88+Seacrest+Studios+%EB%8F%84%EC%9E%85+%EA%B0%80%EB%8A%A5%EC%84%B1%EC%97%90+%EB%8C%80%ED%95%9C+%EC%A0%84%EB%AC%B8%EA%B0%80%EC%9D%98+%EC%9D%B8%EC%8B%9D+%EC%97%B0%EA%B5%AC 및 PDF https://www.kihasa.re.kr/hswr/assets/pdf/1555/journal-45-1-450.pdf)
  66. 육아정책연구소. 2023년 해외 육아정책 동향 정보.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5538/2/ES2401.pdf (소아청소년 심리지원 관련 동향 참고)
  67. Societies for Pediatric Urology. A Decade Of Testicular Torsion: Description Of Management, Outcomes, And Recurrence In A Single State From 2013-2023.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spuonline.org/fallcongress/program/2024/P42.cgi
  68. New England Section of the AUA. Evaluating Factors Affecting the Recurrence of Testicular Torsion in a Single New England State.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eeting.neaua.org/Program/2024/P3.cgi
  69. University of Florida Health. Post-Operative Instructions » Department of Urology » College of ….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urology.ufl.edu/patient-care/pediatric-urology/patient-information/post-operative-instructions/
  70. MyHealth Alberta. Orchiopexy for Testicle Torsion: What to Expect at Home.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yhealth.alberta.ca/Health/aftercareinformation/pages/conditions.aspx?hwid=ug3915
  71. 서울대학교병원. 고환 수술 환자의 퇴원 후 주의사항 – 수술치료.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583&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72. PMC – PubMed Central. The effects of orchiectomy and steroid on fertility in experimental testicular atroph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258517/ (고환 절제 관련 일반 정보)
  73. York Hospital. Testicular torsion in childre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yorkhospitals.nhs.uk/seecmsfile/?id=7385
  74.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Orchidopex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family-resources-education/health-wellness-and-safety-resources/helping-hands/orchidopexy
  75. Guy’s and St Thomas’ NHS Foundation Trust. Testicular torsion surgery – Overview.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guysandstthomas.nhs.uk/health-information/testicular-torsion-surgery
  76. PubMed. Long time follow-up for patients with testicular torsion: new finding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9308591/ (또한 AJCEU: https://e-century.us/files/ajceu/12/4/ajceu0148140.pdf)
  77. Frontiers. Mapping trends and hotspot regarding testicular torsion: A bibliometric analysis of global research (2000–2022).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ediatrics/articles/10.3389/fped.2023.1121677/full
  78. Frontiers. Testicular Tissue Banking for Fertility Preservation in Young Boys: Which Patients Should Be Included?.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endocrinology/articles/10.3389/fendo.2022.854186/full
  79. PMC – PubMed Central. Fertility preservation in pediatric healthcare: a review.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89781/
  80. 빛담아이.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란 무엇인가요?.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evbitdami.com/info/what.php (심리지원 관련)
  81. Synapse Koreamed. Scrotal pain: Evaluation and management.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006259
  82.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A national survey of practice for the emergency fixation of testi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ublishing.rcseng.ac.uk/doi/10.1308/rcsann.2023.0101
  83. Cleveland Clinic. Orchiopexy: Purpose, Surgery, Risks & Recover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treatments/17297-orchiopexy
  84. Pediatric Surgical Associates. Testicular Torsio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pediatricsurgical.com/wp-content/uploads/2023/09/Testicular-Torsion.pdf
  85. NCBI Bookshelf. Orchiopexy – StatPearls.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0904/
  86. Wikipedia. Orchiopex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Orchiopexy
  87. Wikipedia. Orchiectomy.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Orchiectomy
  88. AAP Publications. Scrotal Swelling and Pain.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publications.aap.org/pediatriccare/article/doi/10.1542/aap.ppcqr.396108/1522/Scrotal-Swelling-and-Pain#:~:text=The%20patient%20should%20rest%20and,is%20removed%20at%20surgical%20exploration
  89. 네이버 블로그. 신생아, 아기 잠복고환, 음낭수종 제대로 알기!.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m.blog.naver.com/drnosebubble/222169416747
  90. 대한비뇨의학회. 소아 소아음낭수종.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www.urology.or.kr/rang_board/list.html?num=18582&code=health_info_infant
  91. 네이버 블로그. 음낭 고환 통증 질환 다 모여! : 정계정맥류, 부고환염, 고환염전, 요로결석, 탈장, 음낭수종 #수술 #비수술. 2025년 5월 19일 접속, https://blog.naver.com/shamadeo/22265811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