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혈전, 보이지 않는 위협과 D-다이머 검사의 중요성
혈전증은 혈관 내에서 피가 굳어 혈액 순환을 막는 질환으로, 심부정맥혈전증(DVT)이나 폐색전증(PE)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혈전 관련 질환의 진단 과정에서 D-다이머 검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다이머는 혈전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물질로, 이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체내 혈전 생성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다이머 검사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소하고, 최신 의학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D-다이머 수치의 의미와 정상 범위, 그리고 연령이나 임신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의 고려사항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D-다이머란 정확히 무엇인가?
D-다이머(D-dimer)는 혈액 응고 시스템의 최종 산물인 피브린(fibrin)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작은 단백질 조각입니다12. 우리 몸에 혈전이 생기면, 이를 녹이기 위한 자연스러운 방어 기전인 섬유소 용해 과정이 활성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플라스민(plasmin)이라는 효소가 혈전의 주성분인 피브린을 분해하며, 이때 D-다이머가 혈액으로 방출됩니다324. 따라서 혈중 D-다이머 수치는 체내에서 혈액 응고와 섬유소 용해가 동시에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지표가 됩니다352.
D-다이머 검사: 방법과 결과 해석
검사 방법: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D-다이머 검사는 일반적인 정맥 혈액 채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67. 검사를 위해 특별히 금식하거나 준비해야 할 사항은 일반적으로 없습니다67. 채취된 혈액은 검사실로 보내져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나 면역비탁법 등 다양한 분석법을 통해 D-다이머 수치가 측정됩니다85.
측정 단위: FEU와 DDU, 혼동하지 마세요!
D-다이머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는 바로 측정 단위입니다. D-다이머 수치는 주로 FEU(Fibrinogen Equivalent Unit, 피브리노겐 환산 단위) 또는 DDU(D-dimer Unit, D-다이머 단위)로 보고됩니다91011. 이 두 단위 간에는 대략 1 FEU ≈ 2 DDU (또는 0.5 mg/L FEU ≈ 0.25 mg/L DDU)의 관계가 성립하지만, 검사 기관이나 시약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결과지에 명시된 단위를 확인해야 합니다91011. 단위에 따라 정상 범위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혼동하면 결과를 잘못 해석할 수 있습니다10.
정상 범위와 비정상 범위: 숫자의 의미
일반적으로 D-다이머의 정상 기준치는 0.5 mg/L FEU 미만 또는 0.25 mg/L DDU 미만으로 간주됩니다6111. 그러나 이 수치는 검사를 시행하는 의료기관이나 사용되는 검사 장비 및 시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기관의 참고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다이머 수치가 정상 범위 미만(음성)이라면, 특정 임상 조건 하에서는 혈전 생성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612. 반대로, D-다이머 수치가 정상 범위 이상(양성)이라면 혈전 생성 가능성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수치 상승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67.
특별 고려: 연령 보정 D-다이머 기준치 (50세 이상)
D-다이머 수치는 나이가 들면서 생리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50세 이상의 환자에게 기존의 획일적인 D-다이머 정상 기준치를 적용하면 위양성(false positive, 실제 혈전이 없는데도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경우) 비율이 높아져 불필요한 영상 검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31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령 보정 D-다이머 기준치’가 도입되었습니다. 50세 이상이며 정맥혈전색전증(VTE) 발생 위험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외래 환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개인별 정상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나이(세) × 10 µg/L (FEU 단위, 일반 기준치 500 µg/L인 경우) 또는 나이(세) × 0.005 mg/L (DDU 단위, 일반 기준치 0.25 mg/L인 경우)1291516. 예를 들어, 70세 환자의 연령 보정 D-다이머 기준치는 700 µg/L FEU (또는 0.7 mg/L FEU)가 됩니다. 미국 혈액학회(ASH) 등 여러 국제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러한 연령 보정 기준치 사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영상 검사를 줄이고 의료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131412. 다만, 혈전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연령 보정 기준치를 적용하지 않으며, 특히 7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는 해석에 더욱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513.
D-다이머 검사는 언제, 왜 필요할까?
정맥혈전색전증(VTE) 의심 시: 진단 보조 역할
D-다이머 검사는 주로 폐색전증(PE)이나 심부정맥혈전증(DVT)과 같은 정맥혈전색전증(VTE)이 의심될 때 진단 과정의 보조적인 역할로 사용됩니다617. 폐색전증은 다리나 골반의 깊은 정맥에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가 폐동맥을 막는 질환으로,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흉통,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주로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다리 부종, 통증, 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617. D-다이머 검사는 VTE 발생 가능성이 낮거나 중간 정도로 판단되는 외래 환자에서 VTE를 배제(rule-out)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61218. 정량 검사법의 경우 민감도(질병이 있는 사람을 양성으로 판단할 확률)가 95% 이상으로 매우 높아, D-다이머 수치가 정상이라면 VTE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818. 하지만 D-다이머 검사는 특이도(질병이 없는 사람을 음성으로 판단할 확률)가 낮아, 수치가 높게 나왔다고 해서 반드시 VTE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6819. 따라서 D-다이머 검사만으로 VTE를 확진할 수는 없으며, 양성 결과를 보일 경우 반드시 다리 정맥 초음파나 흉부 CT 혈관 조영술과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해 확진해야 합니다6819. 또한, 증상 발현 초기나 특정 상황에서는 위음성(실제 혈전이 있지만 수치가 낮게 나오는 경우) 가능성도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해야 합니다68.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 진단 점수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는 심각한 감염, 외상, 암 등 다양한 기저 질환으로 인해 전신 혈관 내에 미세 혈전이 광범위하게 생성되고, 이로 인해 출혈과 장기 부전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상태입니다20. D-다이머는 DIC 진단에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국제혈전지혈학회(ISTH)의 DIC 진단 기준에서는 혈소판 수, 프로트롬빈 시간(PT), 피브리노겐 수치와 함께 D-다이머 수치 상승 정도에 따라 0점에서 3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총점으로 DIC를 진단합니다212223. 대한혈전지혈학회(KSTH)에서도 유사한 진단 기준을 활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관련 정보 확인이 필요합니다242526. DIC 환자에서는 D-다이머 수치가 특징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다른 여러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어 DIC 진단에 특이적인 것은 아닙니다20.
기타 활용 가능성 (연구 중)
최근 연구에서는 D-다이머 검사가 특정 질환의 예후를 예측하거나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데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증 패혈증 환자에서 D-다이머 수치가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2728, 코로나19(COVID-19) 감염 환자의 중증도 및 예후 예측 인자로서의 가능성도 연구되었습니다2930. 또한, 정맥혈전색전증(VTE) 치료 후 재발 위험을 평가하거나 항응고 치료 기간을 결정하는 데 D-다이머 검사가 보조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313233. 그러나 이러한 활용 방안들은 아직 표준화된 진료 지침으로 확립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D-다이머 수치, 무엇이 영향을 줄까?
D-다이머 수치는 혈전성 질환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를 해석할 때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질병 및 의학적 상태
급성 정맥혈전색전증(VTE)이나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 외에도 D-다이머 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질병 및 의학적 상태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암, 심각한 감염이나 염증(예: 패혈증), 최근의 수술이나 외상, 심부전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 간 질환, 뇌졸중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61313234. 이러한 상태들은 전신적인 염증 반응을 유발하거나 혈액 응고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D-다이머 수치를 이차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나이 (Age)
앞서 언급했듯이, 나이가 들수록 특별한 질병이 없더라도 D-다이머 수치가 생리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고령층에서 혈전 생성 경향이 다소 높아지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이유로 50세 이상에서는 연령 보정 D-다이머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별 고려: 임신 (Pregnancy)
임신은 D-다이머 수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생리적 변화입니다. 임신 중에는 혈액 응고 경향이 자연스럽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D-다이머 수치도 임신 주수가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합니다3536. 이로 인해 임신부에게 일반적인 D-다이머 정상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진단적 딜레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6.
실제로 주요 국제 가이드라인 간에도 임신 중 D-다이머 검사 활용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 왕립 산부인과 학회(RCOG)는 임신 중 정맥혈전색전증 진단을 위해 D-다이머 검사를 일상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35. 반면, 유럽심장학회(ESC)나 일부 혈전 관련 학회에서는 특정 조건 하에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합니다37. 미국 혈액학회(ASH)나 미국 산부인과 학회(ACOG)는 아직 명확하고 통일된 권고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37.
최근에는 임신 중 폐색전증 진단에 ‘임신 적응 YEARS 알고리즘(Pregnancy-adapted YEARS algorithm)’과 같이 D-다이머 수치를 임상적 판단과 함께 활용하려는 연구나3839, 임신 주수별 D-다이머 참고치를 설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3640, 아직까지는 표준화된 접근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임신 중 D-다이머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극히 신중해야 하며, 환자의 임상 증상, 병력,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필요시 영상 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타 요인
그 외에도 고지혈증이나 류마티스 인자 양성인 경우 D-다이머 수치가 다소 높게 나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61. 특정 약물, 특히 항응고제는 혈전 생성을 억제하여 D-다이머 수치를 낮출 수 있으므로(위음성 유발 가능), 검사 전 의료진에게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알려야 합니다6. 또한, 검체 채취 과정에서의 문제(예: 용혈, 심한 혼탁)도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5.
D-다이머 검사 결과, 현명하게 대처하기
D-다이머 검사 결과를 받았다면,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과 수치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전문가와 상담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음성 결과 (< 기준치)
D-다이머 수치가 정상 기준치 미만(음성)으로 나왔다면, 적절한 임상 상황(예: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낮거나 중간 정도로 평가되는 외래 환자)에서는 혈전 생성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시사합니다612.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정맥혈전색전증 검사는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혈전증이 강력히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D-다이머 수치가 낮더라도 의사의 판단에 따라 추가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위음성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6.
양성 결과 (> 기준치)
D-다이머 수치가 정상 기준치 이상(양성)으로 나왔다면, 이는 체내에 혈전이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거나, 앞서 언급된 다양한 다른 원인들로 인해 수치가 상승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점은 D-다이머 양성이 곧 정맥혈전색전증 확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67. 양성 결과를 받았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 위험 요인, 다른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D-다이머 수치 상승의 원인을 감별하고, 필요한 경우 다리 정맥 초음파, CT 폐혈관 조영술 등 정밀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혈전 유무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게 됩니다617.
핵심: 전문가 상담은 필수!
D-다이머 검사는 혈전 관련 질환 진단에 유용한 도구이지만, 단독으로 질병을 확진하거나 배제할 수 있는 절대적인 지표는 아닙니다. D-다이머 수치는 마치 복잡한 퍼즐의 한 조각과 같아서, 결과 해석은 반드시 환자의 전반적인 임상 상태, 즉 나타나는 증상, 과거 병력, 동반 질환, 생활 습관, 위험 요인 노출 여부, 그리고 다른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담당 의사가 내려야 합니다. 인터넷 정보나 주변 사람의 경험에 의존하여 자가 진단하거나 임의로 치료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절대 삼가야 합니다.
한국인을 위한 추가 정보
국내 혈전증 발생 현황
서구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률이 낮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국내에서도 고령화, 서구화된 식습관,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정맥혈전증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질병관리청(KCDC) 통계에 따르면 고령층에서의 발생률 증가가 두드러집니다17. 또한, 한국인에게는 서양인에게 흔한 Factor V Leiden과 같은 유전적 혈전 성향 인자의 빈도가 낮다는 인종적 차이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17. 이러한 국내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D-다이머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활 속 혈전 예방 수칙
혈전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그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혈전 예방 수칙입니다:
-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거나 서 있지 않기: 특히 장시간 비행기 탑승이나 자동차 운전, 사무실 근무 시에는 주기적으로 다리를 움직여주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시간마다 일어나 가볍게 걷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수영 등)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혈전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탈수는 혈액을 끈적이게 만들어 혈전 생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하루 1.5~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 적정 체중 유지: 비만은 혈전증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금연: 흡연은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키고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혈전 위험을 높입니다. 금연은 혈전 예방뿐 아니라 전반적인 심혈관 건강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 고위험군 정기 검진: 고령, 암 환자, 혈전증 과거력, 특정 유전적 소인 등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혈전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D-다이머 수치가 높으면 항상 위험한가요?
아니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D-다이머 수치는 혈전 외에도 감염, 염증, 임신, 고령, 수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가 높게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위험하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수치 자체보다 환자의 증상, 병력,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사가 판단하는 것입니다.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Q2: D-다이머 수치를 낮추는 방법이 있나요?
D-다이머 수치는 특정 상태나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는 지표이므로, 수치 자체를 직접적으로 낮추는 약물이나 방법은 없습니다. D-다이머 수치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수치 상승의 기저 원인이 되는 질환(예: 혈전증, 감염 등)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분 섭취, 금연, 적정 체중 유지 등)은 전반적인 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혈전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D-다이머 수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Q3: D-다이머 검사는 아픈가요?
D-다이머 검사는 일반적인 정맥 혈액 채취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약간의 따끔함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통증은 경미하고 일시적입니다.
Q4: 검사 비용은 얼마인가요? 건강보험 적용이 되나요?
D-다이머 검사 비용은 의료기관의 종류(종합병원, 의원 등)나 검사 장비, 환자의 건강보험 적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전성 질환이 의심되어 의사의 판단 하에 시행되는 경우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으나, 단순 건강검진 목적으로 시행될 경우에는 비급여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41. 정확한 비용과 보험 적용 여부는 해당 의료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참고 문헌
-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디다이머(D-dimer) 검사. 서울아산병원.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23
- Weitz JI, Fredenburgh JC, Eikelboom JW. A Test in Context: D-Dimer. J Am Coll Cardiol. 2017;70(19):2411-2420. doi:10.1016/j.jacc.2017.09.024. PMID: 29025578. https://www.jacc.org/doi/10.1016/j.jacc.2017.09.024
- Weitz JI, et al. D-dimer antigen: current concepts and future prospects. Blood. 2009;113(13):2878-2887. doi:10.1182/blood-2008-05-155283. (링크는 일반 Blood 저널 페이지로 대체, 특정 논문 직접 링크는 확인 필요) https://ashpublications.org/blood/article/113/13/2878/24753/D-dimer-antigen-current-concepts-and-future
- Tripodi A. D-dimer testing in laboratory practice. Clin Chem. 2011;57(9):1256-62. doi: 10.1373/clinchem.2011.166249. PMID: 21737754. (유사 내용 참고, 원문 링크 확인 필요)
- Lippi G, Favaloro EJ. D-dimer testing: laboratory aspects and current issues. Clin Chem Lab Med. 2018;56(11):1815-1828. doi:10.1515/cclm-2018-0198. PMID: 29794118. (링크는 Taylor & Francis Online 검색 결과로 대체, DOI 기반 확인 필요)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408363.2018.1529734
- 유지후. 혈전증이 의심된다면? 디다이머 검사 [알고 받는 건강검진]. 하이닥 뉴스. 2022년 5월 12일.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82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섬유소분해산물 / D-이합체. 건강정보.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treat_board.do?mode=view&articleNo=67012
- 서울아산병원. 폐 혈전색전증. 질환백과.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54
-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D-dimer Discussion. 2018.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documents.cap.org/documents/2018-topic-center-d-dimer-discussion.pdf
- UnitsLab.com. D-Dimer Conversion.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unitslab.com/node/83
- 김미애, 이수연. 정맥 혈전색전증에서 D-Dimer의 임상적 이용. 대한정맥학회지. 2020;18(1):4-10. doi:10.37923/phle.2020.18.1.4. https://www.annphlebology.org/journal/download_pdf.php?doi=10.37923/phle.2020.18.1.4
- Lim W, Le Gal G, Bates SM, et al.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8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diagnosis of VTE. Blood Adv. 2018;2(22):3226-3256. doi:10.1182/bloodadvances.2018024779. PMID: 30482764. https://ashpublications.org/bloodadvances/article/2/22/3226/18535/American-Society-of-Hematology-2018-guidelines
- American Academy of Emergency Medicine (AAEM). AAEM Clinical Practice Statement: The Use of an Age-Adjusted D-Dimer.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aaem.org/cananage-adjustedd-dimerbeusedtosafelyruleoutpulmonaryembolisminemergencydepartmentpatients/
- Schouten HJ, Geersing GJ, Koek HL,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conventional or age adjusted D-dimer cut-off values in older patients with suspected venous thromboembolism: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3;346:f2492. doi:10.1136/bmj.f2492. PMID: 23645839. https://www.bmj.com/content/346/bmj.f2492
- WikEM. Age adjusted D-dimer.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ikem.org/wiki/Age_adjusted_D-dimer
- MDCalc. Age-Adjusted D-dimer for Venous Thromboembolism (VTE).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mdcalc.com/calc/10138/age-adjusted-d-dimer-venous-thromboembolism-vte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심부 정맥 혈전증. (2024년 최종 업데이트 확인,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54
- Wells PS, Anderson DR, Rodger M, et al. Derivation of a simple clinical model to categorize patients probability of pulmonary embolism: increasing the models utility with the SimpliRED D-dimer. Thromb Haemost. 2000;83(3):416-20. PMID: 10744147. (유사 내용 참고, 원문 링크 확인 필요)
-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폐 색전증.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16
- 이현정. 파종성 혈관 내 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네이버 블로그. 2018년 1월 16일.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183215950?viewType=pc
- Taylor FB Jr, Toh CH, Hoots WK, Wada H, Levi M; Scientific Subcommittee 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ISTH). Towards definition, clinical and laboratory criteria, and a scoring system for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Thromb Haemost. 2001;86(5):1327-30. PMID: 11726862.
- FPnotebook. ISTH DIC Score.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fpnotebook.com/HemeOnc/Lab/IsthDcScr.htm
- MDCalc. ISTH Criteria for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mdcalc.com/calc/10203/isth-criteria-disseminated-intravascular-coagulation-dic
- 대한혈전지혈학회 (KSTH). (KSTH 웹사이트 및 학술지 참조, 특정 DIC 기준 문서 링크 확인 필요)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thrombo.or.kr/ 또는 https://www.bloodresearch.or.kr/journal/download_pdf.php?spage=223&volume=39&number=4
- Lee SY,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Five Different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Diagnostic Criteria for Predicting Mortality in Patients with Complicated Sepsis. PLoS One. 2016;11(10):e0164498. doi:10.1371/journal.pone.0164498. PMID: 27713530.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056219/
-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DIC Panel 검사. (2025년 5월 10일 확인,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schlab.org/guide/item/34/
- Wang S, et al. Association between D-dimer to lymphocyte ratio and in hospital all-cause mortality in elderly patients with sepsis. BMC Infect Dis. 2022;22(1):966. doi:10.1186/s12879-022-07966-7. PMID: 3650326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772276/ (원문 DOI와 PMID 불일치, 수정 필요)
- Alavi-Moghaddam M, et al. Procalcitonin and D-dimer for Predicting 28-Day-Mortality Rate and Sepsis Severity based on SOFA Score; A Cross-sectional Study. Arch Acad Emerg Med. 2019;7(1):e55. PMID: 3190937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911710/
- Zhu J, et al. Diagnostic Value of D-Dimer in COVID-19: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J Clin Lab Anal. 2021;35(6):e23809. doi:10.1002/jcla.23809. PMID: 3392626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114749/
- Zhou F, et al. Clinical course and risk factors for mortality of adult inpatient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2020;395(10229):1054-1062. doi:10.1016/S0140-6736(20)30566-3. PMID: 32171076. (코로나19 D-dimer 관련 초기 중요 논문)
- Rodger MA, et al. D-dimer elevation and adverse outcomes. J Thromb Haemost. 2015;13(1):1-10. doi:10.1111/jth.12743. PMID: 25318979.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300425/
- Kyrle PA, et al. Risk assessment for recurrent venous thromboembolism. Lancet. 2021;397(10273):517-525. doi:10.1016/S0140-6736(21)00551-X. PMID: 33549200. (VTE 재발 관련 최신 리뷰)
- Carrier M, et al. Choice and Duration of Anticoagulation for Venous Thromboembolism. J Clin Med. 2024;13(1):301. doi:10.3390/jcm13010301. PMID: 38202490. https://www.mdpi.com/2077-0383/13/1/301
- Fitelo. Age-Adjusted D-dimer Calculator.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fitelo.co/age-adjusted-d-dimer-calculator/ (일반 정보, 학술적 근거로 사용주의)
-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 (RCOG).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rombosis and Embolism during Pregnancy and the Puerperium. Green-top Guideline No. 37b. London: RCOG; 2015.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rcog.org.uk/media/wj2lpco5/gtg-37b-1.pdf
- Kovac M, et al. Reference Values of D-Dimers and Fibrinogen in the Course of Physiological Pregnancy: the Potential Impact of Selected Risk Factors—A Pilot Study. Reprod Sci. 2020;27(7):1427-1436. doi:10.1007/s43032-020-00143-3. PMID: 3221205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73490/
- Goodacre S, et al. PURLs: Ruling out PE in pregnancy. J Fam Pract. 2021;70(1):E1-E3. doi:10.12788/jfp.0139. PMID: 3354485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891364/
- van der Pol LM, et al. Pregnancy-Adapted YEARS Algorithm for Diagnosis of Suspected Pulmonary Embolism. N Engl J Med. 2019;380(12):1139-1149. doi:10.1056/NEJMoa1813865. PMID: 30865793.
- Righini M, et al. External validation of the YEARS diagnostic algorithm for suspected pulmonary embolism. J Thromb Haemost. 2020;18(10):2440-2446. doi:10.1111/jth.14943. PMID: 32869501. https://pubmed.ncbi.nlm.nih.gov/32869501/
- Epiney M, et al. D-dimer to rule out venous thromboembolism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Thromb Haemost. 2021;19(9):2249-2258. doi:10.1111/jth.15436. PMID: 34161671. https://pubmed.ncbi.nlm.nih.gov/34161671/
- 김정 D. 스트렙토키나제, 1년 유예…혈전 검사 D-dimer 심사 후 이의신청 최다. 메디칼타임즈. 2023년 7월 26일. (2025년 5월 12일 접속).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52396 (추가 인용: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haam&logNo=223035168699)
면책 조항
본 글은 의학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D-다이머 검사 결과 해석 및 건강 관련 문제나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어떠한 결정이나 조치에 대해서도 KRHOW.COM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