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아셔만 증후군(자궁내 유착): 소파술 후 생리양 감소, 난임의 진짜 원인과 최신 치료법 [2025년 의학 보고서]

임신 중절이라는 힘든 결정을 내린 후, 몸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은 또 다른 고통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특히 수술 후 갑자기 생리 양이 줄거나 생리가 멈추는 증상은 여성에게 큰 불안감을 안겨줍니다. 이는 단순한 회복 과정의 일부가 아닐 수 있으며, 자궁 내막 손상으로 인한 ‘아셔만 증후군’, 즉 자궁내 유착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아셔만 증후군에 대한 위험한 오해를 바로잡고, 최신 의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확한 원인, 예방, 그리고 치료법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여러분이 건강한 미래를 되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세계보건기구(WHO), 영국 왕립 산부인과 학회(RCOG): 이 기사의 안전한 임신 중절 후 관리 및 합병증 예방에 관한 권장 사항은 이들 기관이 발표한 최신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1213
  • 국제 의학 학술지(PubMed, The Lancet 등): 아셔만 증후군의 원인, 진단 및 치료에 관한 내용은 동료 심사를 거친 최신 연구 논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작성되었습니다.2311
  • 대한생식의학회(KSFS), 차 여성의학연구소: 한국의 의료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국내 주요 의료 기관 및 학회의 지침과 임상 경험을 참조하였습니다.724

핵심 요약

  • 아셔만 증후군(자궁내 유착)은 물리적 흉터입니다: 이는 주로 소파술(D&C)과 같은 자궁 내 시술로 인한 외상으로 발생하며, 만성 염증 질환인 자궁내막증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20
  • 주요 증상은 생리 변화입니다: 임신 중절 수술 후 갑작스러운 생리양 감소(과소월경), 생리 중단(무월경), 주기적인 골반 통증, 반복적 유산 등은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9
  •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자궁경(Hysteroscopy)은 유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표준 치료법’입니다.18
  • 예방이 최선입니다: 안전한 임신 중절 방법(예: 약물적 중절 우선 고려)을 선택하고, 시술 후 적절한 관리를 받는 것이 미래의 생식 능력 보존에 매우 중요합니다.11

서론: 끝나지 않은 고통의 시작 – 당신의 이야기에 귀 기울입니다

임신 중절은 여성의 삶에서 가장 힘든 결정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적, 혹은 개인적인 이유로 어려운 선택을 한 후에도, 많은 여성들은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으로 또 다른 고통을 겪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 조사에 따르면, 임신 중절을 경험한 여성의 65% 이상이 학업이나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사회경제적 이유를 꼽았습니다.14 이러한 압박 속에서 자신의 건강마저 위협받는 상황에 직면하는 것은 참으로 가혹한 일입니다.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기치 않은 신체의 변화, 특히 ‘그날’의 변화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미래에 대한 깊은 불안감을 안겨줍니다. 이 글은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합니다. 여러분이 겪는 불안과 고통에 깊이 공감하며, 정확한 의학 정보가 어떻게 희망의 등불이 될 수 있는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제1부: 자궁 유착에 대한 위험한 오해 바로잡기

자궁 유착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흔한 오해를 바로잡는 것입니다. 많은 정보들이 뒤섞여 있어 혼란을 가중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셔만 증후군과 자궁내막증은 증상이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아셔만 증후군 vs. 자궁내막증: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이야기

가장 위험한 오해는 자궁 유착을 자궁내막증과 혼동하는 것입니다.20 이는 치료의 방향을 완전히 잘못 설정하게 만들 수 있는 치명적인 실수입니다.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에 따르면, 아셔만 증후군은 자궁 내부에 흉터 조직(유착)이 형성되는 물리적인 상태로, 대부분 임신 중절을 위한 소파술(D&C)과 같은 의료 시술로 인한 자궁내막의 외상에서 비롯됩니다.16 반면, 세브란스병원의 설명에 따르면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난소, 복막 등)에서 자라나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26

구분 아셔만 증후군 (자궁내 유착) 자궁내막증
원인 자궁내막의 물리적 손상(외상), 주로 소파술 후 발생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성장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주요 발생 부위 자궁 내부 자궁 외부 (난소, 나팔관, 복막 등)
핵심 증상 생리양 감소, 무월경, 반복 유산 심한 생리통, 만성 골반통, 성교통
근본 치료법 자궁경을 통한 물리적 유착 제거 (수술) 호르몬 요법, 수술적 병변 제거 (약물 및 수술)

이처럼 두 질환은 근본적으로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올바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제2부: 아셔만 증후군의 과학적 진실 – 원인, 증상, 진단

아셔만 증후군은 왜 발생하며, 우리 몸은 어떤 신호를 보내고, 의료진은 어떻게 이를 진단할까요?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왜 생기는가? 자궁내막 기저층의 손상

자궁 내벽은 임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두꺼워졌다가 생리로 탈락하는 ‘기능층’과 그 아래에서 기능층을 재생시키는 ‘기저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셔만 증후군의 핵심 원인은 이 자궁내막 기저층(basal layer)이 손상되는 것입니다. 기저층이 깊게 손상되면, 자궁벽이 서로 들어붙어 흉터 조직, 즉 유착이 형성됩니다. 2013년 Celik 등의 연구에 따르면, 자궁내 유착(IUA)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유산 또는 임신 중절과 관련된 소파술(D&C)로, 전체 사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17 특히 ‘블라인드’로 시행되는 소파술은 자궁내막에 의도치 않은 깊은 손상을 줄 위험이 있습니다.

내 몸이 보내는 신호: 주요 증상 알아차리기

우리 몸은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신호를 보냅니다. 미국생식의학회(ASRM)와 마요 클리닉(Mayo Clinic)의 자료를 종합하면, 아셔만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2515

  • 과소월경 또는 무월경: 가장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임신 중절 수술 후 갑자기 생리 양이 눈에 띄게 줄거나, 아예 생리를 하지 않게 됩니다.
  • 주기적인 골반 통증: 유착으로 인해 생리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자궁 내에 고이면서 주기적인 통증이나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 유산: 수정란이 착상할 자궁내막의 공간이 부족하거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임신이 되더라도 유지를 못 하고 반복적으로 유산될 수 있습니다.
  • 난임(불임): 유착이 자궁경부나 나팔관 입구를 막거나,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여 임신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만약 임신 중절 수술 후 이러한 변화를 겪고 있다면,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황금 표준’: 자궁경을 통한 정확한 진단법

아셔만 증후군을 진단하는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방법은 자궁경(Hysteroscopy)입니다. 여러 의학 연구 논문들은 자궁경을 진단의 ‘황금 표준(gold standard)’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19 자궁경은 가느다란 내시경을 자궁 내부로 삽입하여, 의사가 직접 눈으로 자궁 내부의 상태, 유착의 위치와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초음파나 자궁난관조영술(HSG)도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유착을 직접 관찰하고 확진하는 데에는 자궁경이 가장 뛰어납니다. 무엇보다 자궁경은 진단과 동시에 치료(유착 제거술)를 시행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3부: 예방과 치료 – 미래를 되찾기 위한 행동 계획

아셔만 증후군은 두려운 질환이지만, 예방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미래의 건강과 생식 능력을 되찾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알아보겠습니다.

최선의 치료는 예방입니다: 위험을 줄이는 선택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예방에서 시작됩니다. 자궁내막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아셔만 증후군을 막는 핵심 열쇠입니다.”

– Dreisler & Kjer, 2019년 연구11

예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자궁내막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2019년 Dreisler와 Kjer의 연구에서는 가능한 경우 수술적 방법보다 약물을 이용한 임신 중절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11 이는 기계적 소파술로 인한 자궁내막의 물리적 손상 위험을 원천적으로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만약 수술이 불가피하다면, 잔류 태반 조직 등을 제거할 때 ‘블라인드’ 소파술 대신 자궁 내시경을 보면서 정교하게 제거하는 것이 자궁내막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궁 유착 제거술: 수술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아셔만 증후군의 표준 치료법은 자궁경하 유착 제거술(hysteroscopic adhesiolysis)입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병원(Penn Medicine)과 미국생식의학회(ASRM)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수술은 마취 하에 진행되며, 자궁경에 부착된 미세한 가위나 전기 소작기,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의사가 직접 유착 부위를 보면서 정교하게 잘라내고 제거하는 방식입니다.2825 이 방법은 불필요한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유착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재발 방지: 수술 후 관리의 중요성

수술로 유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더라도,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다시 유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재발 방지를 위한 수술 후 관리는 치료의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영국 왕립 산부인과 학회(RCOG)와 미국생식의학회(ASRM)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권장합니다.1325

  • 물리적 장벽 설치: 수술 후 자궁 내부에 작은 풍선 카테터나 자궁 내 장치(루프 등)를 일시적으로 삽입하여 자궁벽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줍니다.
  • 호르몬 요법: 고용량의 에스트로겐 요법을 통해 자궁내막이 신속하게 재생되고 두꺼워지도록 촉진하여 유착이 형성될 틈을 주지 않습니다.
  • 정기적인 자궁경 검사: 수술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다시 자궁경 검사를 시행하여 유착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간단한 추가 시술을 할 수 있습니다.

제4부: 과학과 문화의 만남 – 한의학적 몸조리의 역할

현대 의학적 치료와 함께 많은 한국 여성들이 ‘몸조리’라는 문화적 전통에 관심을 가집니다. 임신 중절이나 유산 후 몸을 따뜻하게 하고,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은 한국의 중요한 산후 관리 문화입니다.5 이러한 한의학적 접근과 전통적인 몸조리는 과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과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은 신체의 전반적인 회복력을 높이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수술 후 회복을 돕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우 중요한 점은, 이러한 보조적인 요법들이 이미 형성된 물리적인 흉터 조직(유착)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의학적 몸조리는 자궁경 수술과 같은 현대 의학적 치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수술 후 신체가 최적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지원군’으로서의 역할을 할 때 가장 큰 가치를 가집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자궁 유착 제거 수술은 아픈가요? 보험 적용이 되나요?

자궁경 수술은 보통 전신 마취 또는 수면 마취 하에 진행되므로 수술 중 통증은 없습니다. 수술 후에는 경미한 생리통과 유사한 통증이나 소량의 출혈이 며칠간 있을 수 있습니다. 자궁 유착은 질병으로 분류되므로, 진단 및 치료 목적의 수술은 대부분 국민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병원 종류나 추가 시술 여부에 따라 본인 부담금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수술 전 병원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2: 수술 후 언제부터 임신을 시도할 수 있나요? 성공률은 어떤가요?

일반적으로 수술 후 자궁내막이 충분히 회복되는 2~3개월 후부터 임신 시도를 권장합니다. 수술 후 임신 성공률은 유착의 정도와 위치, 환자의 나이, 다른 난임 요인 유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경미한 유착의 경우 성공률이 높지만, 심한 유착이었다면 수술 후에도 시험관 아기 시술(IVF)과 같은 보조생식술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한생식의학회 지침에 따르면 심한 자궁내 유착은 보조생식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습니다.24

질문 3: 임신 중절을 한 모든 사람에게 자궁 유착이 생기나요?

아닙니다. 모든 경우에 유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착 발생 위험은 시술 방법, 시술자의 숙련도, 시술 후 감염 여부, 그리고 개인의 체질적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소파술을 받은 경우라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므로, 수술 후 생리 양상 변화와 같은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두려움을 넘어, 지식으로 당신의 건강을 되찾으세요

임신 중절 후 발생하는 자궁 유착, 즉 아셔만 증후군은 여성에게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깊은 불안감을 안겨주는 심각한 후유증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질환이 ‘진짜 원인’을 가진 명백한 의학적 상태이며, 정확한 진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위험한 오해와 불확실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마십시오. 이 글에서 제시된 과학적 사실과 최신 치료법에 대한 지식으로 무장하고, 두려움을 넘어 스스로의 건강을 되찾기 위한 주체적인 발걸음을 내딛으시길 바랍니다. 당신의 몸은 소중하며, 올바른 정보는 그 소중한 몸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핵심 행동 촉구(Call to Action): 이 기사의 정보는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이 페이지를 저장하거나 인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산부인과 전문의 또는 난임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여러분의 개인적인 상황에 맞는 최적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을 함께 세워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닥터나우 (2025.08.13 접속). 임신중절수술 38일차, 자궁 유착 가능성과 유착증상 알려주세요. URL: https://doctornow.co.kr/content/qna/c77a66322f434444be4b8c3ee1b8c9f1
  2. 하이닥 (2025.08.13 접속). 자궁유착 원인과 치료 | 건강Q&A. URL: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498750
  3. 차케어스 (2025.08.13 접속). 태반 유착 – 건강정보. URL: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18&cc_id=31807
  4. 와이퀸산부인과 (2025.08.13 접속). 임신중절. URL: https://www.yqueen.kr/content/inducedAbortion?g=hp
  5. 해온한의원 (2025.08.13 접속). 유산 후 생활관리. URL: https://haeoni.com/115
  6. 유앤그린한의원 (2025.08.13 접속). 반복된 유산을 겪은 여성일수록 자궁내유착(아셔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면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URL: https://you-green.com/%EB%82%98%EB%88%94%ED%8F%AC%EC%8A%A4%ED%8A%B8/%EB%B0%98%EB%B3%B5%EB%90%9C-%EC%9C%A0%EC%82%B0%EC%9D%84-%EA%B2%AA%EC%9D%80-%EC%97%AC%EC%84%B1%EC%9D%BC%EC%88%98%EB%A1%9D-%EC%9E%90%EA%B6%81%EB%82%B4%EC%9C%A0%EC%B0%A9%EC%95%84%EC%85%94%EB%A7%8C/
  7. 차병원 (2025.08.13 접속). 난치성난임클리닉 ㅣ 차 여성의학연구소 분당. URL: https://ivf.chamc.co.kr/clinic/infertility.cha
  8. 차병원 (2025.08.13 접속). 아셔만증후군 정의. URL: https://ivf.chamc.co.kr/clinic/infertility.cha#:~:text=%EC%95%84%EC%85%94%EB%A7%8C%EC%A6%9D%ED%9B%84%EA%B5%B0%EC%9D%80%20%EC%86%8C%ED%8C%8C,%EC%9C%A0%EC%B0%A9%EB%90%9C%20%EC%83%81%ED%83%9C%EB%A5%BC%20%EB%A7%90%ED%95%A9%EB%8B%88%EB%8B%A4.
  9. YouTube (2025.08.13 접속). 자궁유착의 원인과 치료과정, 얇은 자궁내막두께, 두껍게 하는 방법. URL: https://m.youtube.com/watch?v=rwPdA7d-O_8
  10. 메디톡 (2025.08.13 접속). 자궁내막유착증 (아셔만 증후군). URL: https://www.meditalk.io/book-content/802
  11. Dreisler E, Kjer JJ. (2019). Asherman’s syndrome: current perspectives on diagnosis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11, 191–198. UR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430995/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POST-ABORTION CARE. In *Safe Abortion: Technical and Policy Guidance for Health Systems*. NCBI Bookshelf. URL: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90099/
  13.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 (2022). *Best practice in post-abortion care*. RCOG. URL: https://www.rcog.org.uk/media/k4df0zqp/post-abortion-care-best-practice-paper-april-2022.pdf
  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018년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주요결과*. KIHASA. URL: https://www.kihasa.re.kr/news/press/view?seq=2063
  15. Mayo Clinic. (2025.08.13 접속). Asherman syndrome: A rare collection of symptoms that can profoundly affect patients. URL: https://www.mayoclinic.org/medical-professionals/obstetrics-gynecology/news/asherman-syndrome-a-rare-collection-of-symptoms-that-can-profoundly-affect-patients/mac-20575535
  16. Cleveland Clinic. (2022). *Asherman’s Syndrome: What Is It, Symptoms & Treatment*. URL: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6561-ashermans-syndrome
  17. Celik S, et al. (2013).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herman’s Syndrome Developed after Cesarean Section and Reproductive Outcome. *Case Report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3, 450658. UR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690225/
  18. Salzano, A., et al. (2020). Mini-Review of the New Therapeutic Possibilities in Asherman Syndrome—Where Are We after One Hundred and Twenty-Six Years?. *Medicina (Kaunas, Lithuania)*, 56(9), 454. UR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554703/
  19. Bohrium (2025.08.13 접속). Evaluation and treatment of infertile women with Asherman syndrome: an updated review focusing on the role of hysteroscopy. URL: https://www.bohrium.com/paper-details/evaluation-and-treatment-of-infertile-women-with-asherman-syndrome-an-updated-review-focusing-on-the-role-of-hysteroscopy/812646441636855808-9787
  20. 메디소비자뉴스 (2025.08.13 접속). 자궁 유착의 원인과 치료법은?. URL: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452
  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2021년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주요결과 발표*. KIHASA. URL: https://www.kihasa.re.kr/news/press/view?seq=47320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Abortion care guideline*. WHO. URL: https://iris.who.int/bitstream/handle/10665/349316/9789240039483-eng.pdf
  23. Vitale, S. G., et al. (2023). Etiology, Risk Factors, and Management of Asherman Syndrome. *Obstetrics and gynecology*, 142(3), 679–691. URL: https://pubmed.ncbi.nlm.nih.gov/37490750/
  24. 대한생식의학회. (2021). *대한산부인과학회 보조생식술 윤리지침 (Version 9.0)*. KSFS. URL: https://www.ksfs.or.kr/bbs/skin/notice/download.php?code=notice&number=4195
  25.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n.d.). *Intrauterine adhesions: what are they?*. ReproductiveFacts.org. URL: https://www.reproductivefacts.org/news-and-publications/fact-sheets-and-infographics/intrauterine-adhesions-what-are-they/
  26. 세브란스병원 (2025.08.13 접속).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 건강정보. URL: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968&title=%EC%9E%90%EA%B6%81%EB%82%B4%EB%A7%89%EC%A6%9D+%5BEndometriosis%5D
  27. Taylor & Francis Online (2025.08.13 접속). Asherman’s syndrome: current perspectives on diagnosis and management. URL: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2147/IJWH.S165474
  28. Penn Medicine (2025.08.13 접속). Asherman syndrome. URL: https://www.pennmedicine.org/conditions/asherman-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