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월 된 아들의 체중이 적절한지 걱정하는 것은 부모로서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마음입니다. 이 시기 아이의 성장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소해드리고자, KRHOW 편집위원회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의 공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부모님께서는 ▲정확한 표준 체중 및 신장 데이터 확인 ▲성장도표의 올바른 해석 방법 ▲체중 외 종합적인 발달 체크리스트 ▲실질적인 영양 가이드까지, 우리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자신감을 얻게 되실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27개월 남아의 50백분위수(중앙값) 체중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질병관리청(KDCA) 기준 약 12.7 kg입니다.
- 단 하나의 숫자보다 중요한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아이의 성장 곡선 추세입니다. 백분위 곡선이 두 단계 이상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가 의학적 관심이 필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본문에서는 체중 외에도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등 종합적인 발달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성장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다음 영유아 건강검진 시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서론: 27개월, 우리 아이는 잘 자라고 있을까? 부모의 마음
자녀의 성장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부모가 되는 여정에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부분입니다. 특히 아이가 27개월에 접어들면서 주변 아이들과 비교하게 되고, “우리 아이가 너무 작은 건 아닐까?”, “잘 먹고 있는데 왜 몸무게가 늘지 않는 것 같지?”와 같은 생각들이 마음 한편에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러한 부모님들의 불안한 마음을 깊이 공감하며, 막연한 걱정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로 해소해 드리고자 이 글을 준비했습니다. 본문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이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부모님께서 자녀의 성장을 자신감 있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이 글은 (1) 표준 체중 및 신장 데이터, (2) 성장도표를 읽고 이해하는 방법, (3) 체중 외 중요한 발달 사항 점검 목록, 그리고 (4) 실질적인 영양 지침을 포함하여 부모님께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27개월 남아 표준 체중 및 신장: 2017 질병관리청·WHO 성장도표 해설
왜 WHO 성장도표를 사용해야 할까요?
많은 부모님께서 왜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을 따라야 하는지 궁금해하십니다.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2017년에 발표한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는 36개월 미만 영유아의 경우, 바로 이 WHO의 성장 기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11 이 기준은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최적의 환경(모유 수유 등)에서 자란 아이들의 성장 데이터를 종합하여 개발된 ‘황금 표준(Gold Standard)’입니다. 따라서 WHO 성장도표를 사용하는 것은 우리 아이의 성장을 가장 객관적이고 이상적인 국제 기준에 맞춰 평가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질병관리청(KDCA)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공동 발간한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해설집’에 따르면, WHO 기준의 적용은 한국 소아의 성장을 국제 표준과 일관되게 평가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생애 초기 중요한 시기의 성장 평가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12
[표 1] 남아 연령별 체중 백분위수 (24-36개월)
연령 (개월) | 3 백분위수 (kg) | 15 백분위수 (kg) | 50 백분위수 (kg) | 85 백분위수 (kg) | 97 백분위수 (kg) |
---|---|---|---|---|---|
24 | 10.0 | 11.0 | 12.2 | 13.5 | 14.6 |
27 | 10.5 | 11.5 | 12.7 | 14.1 | 15.2 |
30 | 10.9 | 12.0 | 13.3 | 14.7 | 15.9 |
33 | 11.3 | 12.5 | 13.8 | 15.3 | 16.5 |
36 | 11.7 | 12.9 | 14.3 | 15.8 | 17.0 |
* 자료: 세계보건기구(WHO) 아동 성장 기준 (2006). 해당 데이터는 ‘2017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314
성장곡선 읽는 법: 백분위수보다 중요한 것은 ‘추세’입니다
표에 있는 ‘백분위수’라는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만약 우리 아이가 체중 25백분위수에 해당한다면, 이는 같은 연령의 남아 100명 중 24명은 우리 아이보다 체중이 적게 나가고, 75명은 더 많이 나간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단 하나의 숫자에 얽매이지 않는 것입니다. 소아과 전문의들이 강조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아이가 자신만의 성장 곡선을 따라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지속적으로 25백분위수 근처를 따라 성장하고 있다면, 이는 매우 안정적이고 건강한 발달 신호입니다. 일부 소아과 전문가들은 아이의 성장 곡선이 두 개의 주요 백분위수 라인(예: 50백분위수에서 15백분위수 미만으로)을 가로질러 떨어지는 경우가 단순히 낮은 백분위수에 머무는 것보다 더 주의가 필요한 ‘적신호’라고 강조합니다.48
체중을 넘어선 종합 발달: 27개월 아이 발달 체크리스트
아이의 건강한 성장은 체중계의 숫자로만 판단할 수 없습니다. 체중은 전체 그림의 한 조각일 뿐이며, 운동 능력, 인지 능력, 언어 및 사회성 발달 역시 똑같이 중요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우리 아이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보세요.
[표 2] 27개월 아이 핵심 발달 사항
영역 | 발달 이정표 |
---|---|
운동 (운동) | – 가구 위를 안정적으로 혼자 오르내립니다. – 공을 앞으로 찹니다. – 6~8개의 블록으로 탑을 쌓을 수 있습니다. – 세발자전거 페달을 밟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인지 (인지) | – 물건을 두세 겹 아래에 숨겨도 찾아냅니다. – 모양과 색깔에 따라 물건을 분류하기 시작합니다. – 간단한 소꿉놀이나 역할 놀이에 참여합니다. – 3~4조각 퍼즐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언어 (언어) | – 두 단어에서 네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합니다. – ‘안에’, ‘위에’, ‘아래에’와 같은 간단한 공간 개념을 이해합니다. – 자신의 이름, 나이, 성별을 말할 수 있습니다. – “이게 뭐야?”라는 질문을 자주 합니다. |
사회성/정서 (사회성/정서) | – 어른이나 손위 아이들의 행동을 모방합니다. – 독립성이 강해지며 때로는 반항적인 행동(“미운 세 살”)을 보입니다. – ‘내 것’이라는 소유 개념을 명확히 이해합니다. – 놀이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법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
* 자료: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아이사랑포털 및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발달 단계 정보를 종합하여 작성524.
성장 부진이 걱정될 때: 원인과 해결을 위한 영양 가이드
우리 아이, 왜 잘 안 크는 걸까요?
아이가 체중이 잘 늘지 않는 것 같아 걱정되신다면, 몇 가지 잠재적인 원인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이 시기에는 성장 속도가 이전보다 완만해지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식욕 감퇴, 즉 생리적 식욕 부진일 수 있습니다.13 (2) 편식이 심하거나, 식사 전에 우유나 주스를 너무 많이 마셔서 정작 중요한 식사의 포만감에 영향을 주는 식습관 문제도 흔한 원인입니다. (3) 드물지만, 다른 의학적 문제가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님께서 스스로 원인을 진단하기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우려가 지속된다면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소아과 전문의가 권장하는 2세 영양 원칙 (AAP 가이드라인)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미국소아과학회(AAP)는 2세 아동의 영양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핵심 원칙을 제시합니다. 활동량에 따라 다르지만, 2세 아이는 하루에 약 1,000에서 1,400 칼로리가 필요합니다. 이 칼로리는 3번의 주된 식사와 1~2번의 건강한 간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716 또한, 다양한 식품군을 골고루 제공하고, 일반 우유에서 저지방 또는 무지방 우유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설탕이 첨가된 음료나 주스는 제한해야 하며, 100% 과일 주스라 할지라도 하루 120ml를 넘지 않도록 권장합니다.15
[표 3] 27개월 아이를 위한 하루 식단 예시 (한식 기반)
식사 | 식단 예시 |
---|---|
아침 (아침) | – 밥 (약 1/2 공기) – 맵지 않은 소고기 미역국 – 계란찜 |
오전 간식 (오전 간식) | – 플레인 요거트 (1/2 컵) – 딸기 또는 귤 몇 조각 |
점심 (점심) | – 다진 채소(당근, 애호박)를 넣은 볶음밥 – 부드러운 토마토소스 미트볼 – 연두부와 간장 소스 |
오후 간식 (오후 간식) | – 찐 고구마 (작은 조각 몇 개) – 우유 (1/2 컵 – 120ml) |
저녁 (저녁) | – 밥 (1/3 공기) – 대구나 가자미 찜 – 데친 브로콜리 |
* 본 식단은 미국소아과학회(AAP)의 2세 아동 권장 섭취량을 바탕으로 한식에 맞게 구성한 예시입니다.716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영유아 건강검진 100% 활용법
대한민국 정부가 지원하는 영유아 건강검진 프로그램은 우리 아이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회입니다. 이 제도를 100% 활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아이의 성장 곡선을 추적하는 것은 특정 시점의 한 가지 지표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 김재현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내분비 및 성장 전문의) 의견 기반3
1. 검진 기관 찾기: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의 ‘건강iN’ 웹사이트에서 우리 동네 영유아 건강검진 지정 의료기관 목록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8
2. 방문 전 온라인 문진표 작성: 병원 방문 시간을 절약하고 더 심도 있는 상담을 위해, ‘건강iN’ 웹사이트나 앱을 통해 ‘문진표’와 ‘발달선별 검사지’를 미리 작성해 두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919
3. 의사에게 물어볼 질문 준비하기: 막연히 방문하기보다, 평소 궁금했던 점을 미리 메모해 가세요. 예를 들어, “의사 선생님, 저희 아이 성장 곡선을 보시고 추세가 괜찮은지 확인해 주세요.”, “현재 식단에서 보충해야 할 영양소가 있을까요?” 와 같은 구체적인 질문은 더 나은 상담을 이끌어 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우리 아이가 15백분위수인데, 너무 작은 건가요?
A1: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꾸준히 15백분위수 성장 곡선을 따라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면, 그것이 바로 그 아이의 정상적인 성장 속도일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체중 감소나 성장 곡선의 급격한 하락이 더 우려스러운 신호입니다. 가장 정확한 판단을 위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아이가 갑자기 밥을 잘 안 먹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2: 2세 전후 아이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장 속도가 완만해지면서 식욕이 줄어들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억지로 먹이려 하지 마시고,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지키며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고 아이 스스로 먹는 양을 조절하게 해주세요. 다만,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아이가 활력을 잃는 등 다른 증상을 보인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Q3: 아이 체중을 늘리기 위해 영양제를 먹여도 될까요?
A3: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처방이나 권고 없이 임의로 영양제나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건강한 체중 증가는 균형 잡힌 다양한 식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특정 영양소 결핍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결론: 숫자를 넘어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응원하며
27개월 남아의 평균 체중은 약 12.7kg이지만, 이 숫자는 단지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가 자신만의 속도에 맞춰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지, 그리고 체중 외에도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등 모든 영역에서 균형 있게 발달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입니다. 모든 아이는 고유한 존재이며 각자의 성장 시계가 있습니다. 부모의 역할은 사랑이 가득한 환경과 최선의 영양을 제공하며, 필요할 때 전문가의 신뢰할 수 있는 조언에 귀 기울이는 것입니다. KRHOW는 앞으로도 부모님들의 곁에서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응원하며 가장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로 함께하겠습니다.
참고 문헌
- 질병관리본부, 대한소아과학회.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해설집. 2017.
- Moon, J. S. (2021). The Use of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4(6), 413-418. DOI: https://doi.org/10.5124/jkma.2021.64.6.413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bh.org/medical/drMedicalTeam.do?DP_TP=O&DP_CD=PED
- 오픈튜토리얼스. 27개월 – 성장과 발달 (만 2,3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opentutorials.org/module/408/3637
- 보건복지부. 아이사랑 포털: 발달 > 25~36개월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4
- 용인세브란스병원. 어린이 성장발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yi.severance.healthcare/health/lifecare/children/percentile.do
-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성장도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30400
- YouTube. 아기 체중 성장 꾸준히 체크하는 방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ZLDNvBC0TAI
- 구로구청 보건소. 영유아건강검진안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guro.go.kr/health/contents.do?key=1357
- 국립재활원. 영유아 건강검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ph&menu_cd=03_02_00_04
- Scribd. 성장도표해설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cribd.com/document/672895244/%E1%84%89%E1%85%A5%E1%86%BC%E1%84%8C%E1%85%A1%E1%86%BC%E1%84%83%E1%85%A9%E1%84%91%E1%85%AD%E1%84%92%E1%85%A2%E1%84%89%E1%85%A5%E1%86%AF%E1%84%8C%E1%85%B5%E1%86%B8
- 대한의사협회지. 소아청소년 비만의 개요: 진단, 역학 및 중요성.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jkma.org/journal/view.php?viewtype=pubreader&number=3235
- Huckleberry. 2 year / 24 month old feeding schedule: Amounts and food char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uckleberrycare.com/blog/2-year-24-month-old-feeding-schedule-amounts-and-food-chart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ight-for-ag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who.int/tools/child-growth-standards/standards/weight-for-age
- HealthyChildren.org. Starting Solid Food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ages-stages/baby/feeding-nutrition/Pages/Starting-Solid-Foods.aspx
- HealthyChildren.org. Sample Menu for a 2-Year-Old Chil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ages-stages/toddler/nutrition/Pages/Sample-One-Day-Menu-for-a-Two-Year-Old.aspx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大韓小兒靑少年科學會).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5096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https://www.pediatrics.or.kr/
-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영유아 건강검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pcrh.or.kr/kor/sub01_01_08_01.do
- 경기도의료원. 영유아검진안내 및 서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or.kr/suwon/contentsInfo.do?brd_mgrno=0&menu_no=1172
-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Using WHO Growth Standard Chart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estoredcdc.org/www.cdc.gov/growth-chart-training/hcp/using-growth-charts/who-using.html
- 동대문구청 보건소. 영유아 건강검진 사업.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dm.go.kr/health/contents.do?key=1263
- 서대문구 보건소. 영유아 건강검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sdm.go.kr/health/contents/healthbiz/maternal/infantcheck
-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아기의 이름 아기의 나이 오늘 날짜 – 발달 단계별 체크리스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ncbddd/actearly/pdf/other-lang/korean-milestone-checklists-with-tips_p.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