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소두증(Microcephaly)의 모든 것: 원인, 최신 진단 기준 및 한국 소아 성장도표 비교 분석

산전 초음파 검사를 마친 어느 날, 의사에게서 “태아의 머리가 주수보다 조금 작네요”라는 말을 듣는 순간, 부모의 마음은 쿵 하고 내려앉습니다. 그 한마디에서 시작된 수많은 질문과 걱정이 머릿속을 가득 채웁니다. ‘무슨 문제라도 있는 걸까?’, ‘우리 아기는 괜찮을까?’,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지?’ 이 글은 바로 그 막막함과 불안함에 직면한 부모님들을 위해, 의학적 정확성과 따뜻한 공감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문에서는 소두증의 정확한 의학적 정의부터, 세계적인 기준과 한국의 기준을 꼼꼼하게 비교 분석하고, 부모로서 무엇을 알고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총망라하여 제공할 것입니다.34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핵심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질병관리청(KDCA): 이 기사의 ‘한국 기준에 따른 성장 평가’에 관한 지침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근거합니다.11
  • 세계보건기구(WHO) 및 범미보건기구(PAHO): 소두증의 국제적 정의 및 원인에 대한 정보는 WHO/PAHO의 공식 지침을 참조합니다.7
  • 미국산부인과학회(ACOG) / 모체태아의학회(SMFM): 태아 소두증의 임상적 진단 기준 및 접근법은 미국 전문가 단체의 권고 사항을 기반으로 합니다.20
  • 최신 동료 심사 연구: 진단의 복잡성에 대한 최신 관점은 2024년 ‘Frontiers in Neuroscience’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포함한 최신 학술 자료를 바탕으로 합니다.19

핵심 요약

  • 소두증이란? 소두증은 아기의 머리 둘레가 같은 성별 및 연령의 평균보다 현저히 작은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뇌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중요한 징후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두증의 정확한 의미와 부모님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룹니다.729
  • 진단 기준: 국제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출생 시 머리 둘레가 3백분위수 미만이거나, 평균보다 2~3 표준편차(SD) 이상 작을 때 소두증으로 진단합니다.2029
  • 한국 기준의 중요성: 태아 및 소아의 성장은 인종적 차이가 존재하므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과 함께 한국 질병관리청(KDCA)의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참고하여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118
  • 정확한 진단 과정: 초음파는 주요 선별 검사이지만, 소두증은 ‘진단명’이 아닌 ‘징후’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정밀 초음파, 태아 자기공명영상(MRI), 유전자 검사 등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932
  • 다양한 예후: 예후는 원인, 중증도, 다른 기형 동반 여부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모든 소두증 아기가 심각한 발달 문제를 겪는 것은 아니며, 조기 개입과 재활 치료가 아기의 잠재력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141

1. 소두증(Microcephaly)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많은 부모님들이 ‘소두(小頭)’라는 말을 들으면 현대 한국 문화에서 칭찬으로 여겨지는 ‘작고 예쁜 얼굴형’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학적 진단명인 ‘소두증(小頭症)’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5

1.1. 의학적 정의와 국제적 진단 기준

의학적으로 소두증은 아기의 후두전두 둘레(occipitofrontal circumference, OFC), 즉 머리 둘레가 같은 재태 연령과 성별의 평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29 이는 뇌의 크기가 작거나 뇌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의학적 소견입니다.1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주요 보건기구에서 통용되는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3백분위수(3rd percentile) 미만: 같은 재태 연령과 성별을 가진 아기 100명 중 머리 둘레가 가장 작은 3명에 속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평균보다 2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미만: 일부 연구 및 임상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준으로, 인구의 약 2.3%가 여기에 해당합니다.29
  • 평균보다 3 표준편차(SD) 미만: 이는 일반적으로 ‘중증 소두증(severe microcephaly)’으로 정의되며, 신경 발달 문제와 관련될 위험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2041

1.2. 선천성 소두증과 후천성 소두증의 차이

소두증은 발현 시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뉩니다. 선천성 소두증(Congenital Microcephaly)은 출생 시 또는 그 이전에 발견되는 경우이며, 태아기 뇌 발달 과정의 문제와 관련이 깊습니다. 반면, 후천성 소두증(Acquired Microcephaly)은 출생 시에는 머리 크기가 정상 범위였으나, 생후 성장 과정에서 뇌 성장이 둔화되면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2933 이 글에서는 주로 임신 중 진단과 관련된 선천성 소두증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합니다.


2. 소두증의 원인: 왜 발생하나요?

소두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안타깝게도 많은 경우 정확한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습니다.24 하지만 의학적으로 알려진 주요 원인 그룹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원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의 검사 방향과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s):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다운 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이나, 뇌 발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특정 유전자(예: ASPM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11335
  • 임신 중 감염 (Infections During Pregnancy): 산모가 임신 중에 특정 바이러스나 기생충에 감염되면 태아의 뇌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풍진(Rubella),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등이 있습니다.79
  • 임신 중 유해 물질 노출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산모가 알코올, 특정 항경련제나 항암제, 중금속(수은 등), 방사선 등에 노출되는 경우 태아의 뇌세포 증식과 발달을 저해하여 소두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336
  • 기타 문제 (Other Problems): 심각한 산모의 영양실조나, 출산 전후 태아의 뇌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경우(허혈성 저산소뇌병증) 등도 뇌 손상과 함께 소두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2

3. 진단 과정: 초음파부터 정밀 검사까지

3.1. 산전 초음파의 역할과 한계

산전 초음파는 태아의 머리 둘레(Head Circumference, HC), 머리뼈 좌우 폭(Biparietal Diameter, BPD) 등을 측정하여 태아의 성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도구입니다.3738 하지만 초음파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습니다.

  • 진단 시점의 중요성: 소두증은 종종 임신 중기 후반(late second trimester)이나 3분기(third trimester)에 들어서야 뚜렷하게 관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 초기에 머리 크기가 정상이었더라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39 따라서 한 번의 측정보다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머리 성장 속도의 ‘추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징후’이지 ‘확진’은 아님: 2024년 발표된 최신 연구들은 초음파에서 발견된 작은 머리 크기를 ‘확정된 진단’이 아닌, 추가적인 정밀 평가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징후’로 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19 즉, 이것은 문제의 시작점이지 결론이 아닙니다.

3.2. 추가 정밀 검사: 태아 MRI와 유전자 검사

초음파에서 소두증이 지속적으로 의심될 경우, 의사는 원인을 파악하고 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검사를 권유할 수 있습니다.

  • 정밀 초음파 (Fetal Neurosonography): 일반 초음파보다 훨씬 더 해상도가 높은 장비로 태아의 뇌 구조(뇌실, 소뇌, 뇌량 등)를 매우 상세하게 관찰하여 구조적 이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 태아 뇌 자기공명영상 (Fetal Brain MRI): MRI는 초음파로 명확히 보기 어려운 뇌의 회백질 발달 상태나 미세한 구조적 이상을 발견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입니다.32
  • 유전자 검사 (양수 검사 등): 양수 검사나 융모막 검사를 통해 태아의 세포를 채취하여 염색체 이상이나 특정 유전자 변이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는 유전적 원인을 진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1

4. 한국의 기준 바로 알기: 우리 아기,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4.1. 왜 한국 성장도표가 중요한가?

태아와 소아의 신체 성장은 부모의 체격, 영양 상태뿐만 아니라 인종 및 민족적 배경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한국인 태아의 머리 크기나 팔다리 길이 등 생체 계측치가 서양인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도표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1831 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성장 곡선과 함께, 한국 질병관리청(KDCA)에서 한국 소아·청소년 수천 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우리 아기의 성장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의미 있는 비교가 될 수 있습니다.8

4.2. 질병관리청(KDCA) 성장도표로 머리 둘레 확인하기

질병관리청의 성장도표는 출생 후 신생아 및 소아의 머리 둘레를 평가하는 표준 기준입니다.11 아래는 성장도표의 일부 예시이며, 이를 통해 부모님들은 아기의 측정치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성장도표 읽는 법 예시]
예를 들어, 생후 3개월 된 남자 아기의 머리 둘레를 측정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성장도표에서 ‘남아, 3개월’ 지점을 찾습니다. 해당 지점의 50백분위수(중앙값)는 약 41.0cm이며, 3백분위수는 약 38.7cm입니다.40 만약 아기의 측정치가 38.7cm보다 작다면, 이는 통계적으로 하위 3%에 해당하므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의 정밀한 상담이 필요하다는 신호입니다.

– 질병관리청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데이터 기반2122

[중요] 질병관리청의 공식 성장도표 전체 파일과 내 아이의 성장상태를 직접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 측정 계산기는 다음 링크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바로가기11.


5. 예후와 장기적인 발달: 무엇을 예상해야 할까?

5.1.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

소두증의 예후, 즉 앞으로의 경과와 발달 수준은 ‘천차만별’이며, 몇 가지 핵심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7 ‘소두증’이라는 진단 하나만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중증도 (Severity): 머리 둘레가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가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머리 둘레가 평균보다 -3SD 이상 작은 ‘중증 소두증’은 -2SD에서 -3SD 사이의 ‘경증 소두증’보다 발달 지연, 지적 장애, 뇌성마비, 간질 등 신경학적 문제를 동반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41
  • 근본 원인 (Underlying Cause): 예후는 근본 원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적 증후군이나 심각한 임신 중 감염(예: 선천성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경우, 예후가 더 심각할 수 있습니다.33 반면, 다른 특별한 원인 없이 가족성으로 머리가 작은 경우라면 정상적인 발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1
  • 동반 기형 여부 (Associated Anomalies): 뇌 구조의 다른 이상(예: 뇌회 형성 이상, 뇌량 무형성)이나 심장, 신장 등 다른 장기의 기형이 동반된 ‘증후군성 소두증’은, 다른 기형 없이 머리만 작은 ‘고립성 소두증’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경향이 있습니다.

5.2. 가능한 발달 문제들

소두증이 있는 아기들은 뇌 발달의 저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1 하지만 중요한 것은, 소두증이 있는 모든 아기에게 이러한 문제가 반드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경미한 문제만 겪거나 정상적으로 발달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714

  • 발달 지연 및 지적 장애
  • 간질 (발작)
  • 운동 및 균형 문제 (뇌성마비)
  • 수유 문제 (삼키기 또는 빨기 어려움)
  • 청력 및 시력 문제

지카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선천성 증후군을 가진 영아들을 장기 추적한 한 연구에 따르면, 많은 아이들이 심각한 신경 발달 장애, 시각 및 청각 장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나, 원인 질환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30


6. 부모를 위한 가이드: 지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많은 부모님들이 ‘아기 머리가 작다’는 말을 들은 후, 다음 검진까지 기다리는 동안 느끼는 불안과 죄책감, 무너지는 듯한 기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감정은 지극히 정상이며, 결코 혼자가 아님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 온라인 커뮤니티 부모 경험담 재구성

불확실성 속에서 정보를 찾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것은 부모의 당연한 역할입니다. 지금 당장 부모님이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입니다.

6.1. 의사에게 물어봐야 할 질문 목록

진료실에 들어서면 당황해서 궁금했던 점들을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조언을 바탕으로 한 다음 질문 목록을 미리 준비해가시면 의료진과 더 깊이 있는 상담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6

  • “우리 아기의 머리 둘레는 정확히 몇 백분위수인가요? 한국 기준으로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 “성장 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초음파 검사는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
  • “현재 초음파 소견만으로 뇌의 다른 구조적 이상은 없는지 알 수 있나요?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해 정밀 초음파나 MRI가 필요할까요?”
  • “이러한 결과의 가능한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원인 파악을 위해 어떤 검사를 더 해볼 수 있을까요?”
  • “만약 소두증으로 진단된다면, 출생 후 아기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어떤 검사와 절차가 필요한가요?”
  • “저희와 비슷한 상황의 다른 부모님들을 위해 추천해주실 만한 지원 그룹이나 정보처가 있나요?”17

6.2. 신뢰할 수 있는 지원 및 정보처

정확한 진단과 전문적인 상담, 그리고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특히 희귀유전질환 및 신경발달장애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이 분야의 권위자인 채종희(Chae, Jong-Hee) 교수와 같은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10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신경분과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및 소아청소년과: 태아 진단 및 치료에 대한 풍부한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포괄적인 치료를 제공합니다.8 (서울아산병원 바로가기)

자주 묻는 질문 (FAQ)

태아 머리 둘레가 ‘2주 작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2

‘주수보다 2주 작다’는 표현은 많은 부모님들이 흔히 듣는 말이지만, 그 자체로 소두증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태아의 성장은 개인차가 있으며, 측정 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수 차이’보다 ‘백분위수’입니다. 머리 둘레가 성장 곡선에서 3백분위수 이상을 유지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거나 3백분위수 미만으로 떨어진다면 전문의와 심도 있는 상담이 필요합니다.

소두증이면 지능이 낮은가요?14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소두증과 지적 장애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지만, 이는 절대적인 규칙이 아닙니다.15 예후는 소두증의 중증도, 근본 원인, 뇌의 다른 구조적 이상 동반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다른 이상 없이 경미한 수준의 소두증이거나, 유전적으로 가족 모두가 머리가 작은 ‘가족성 소두증’의 경우, 정상적인 지능과 발달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1

문화적으로 ‘소두’는 칭찬인데, 왜 의학적으로는 문제가 되나요?5

이는 매우 중요한 구별입니다. 문화적으로 ‘소두’는 신체 비율이 좋은 것을 의미하는 미용적 칭찬입니다. 이는 골격 구조의 문제이며 뇌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의학적 ‘소두증’은 머리뼈 안의 ‘뇌’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징후’입니다. 뇌는 모든 인지, 운동, 감각 기능을 담당하므로, 뇌의 성장이 저해되는 것은 발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의학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입니다.

결론

‘소두증’이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는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것이 아기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최종 선고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진단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알려주는 이정표와 같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찾고,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와 소통하며, 한국의 기준에 맞는 올바른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기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가장 큰 힘은 바로 부모의 변함없는 사랑과 지지입니다. 그 길에 KRHOW.com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함께하겠습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MSD 매뉴얼 일반인용. (날짜 없음). 소두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B%87%8C%EC%99%80-%EC%B2%99%EC%88%98%EC%9D%98-%EC%84%A0%EC%B2%9C%EC%A0%81-%EA%B2%B0%EC%86%90/%EC%86%8C%EB%91%90%EC%A6%9D
  2. 마더세이프. (날짜 없음). Q. 아기가 너무 작데요, 걱정이 많아요?.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mothersafe.co.kr/?q=YToyOntzOjQ6InBhZ2UiO2k6OD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69941&t=board
  3. Reddit. (2017). Microcephaly – 6 months old. r/beyondthebum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ddit.com/r/beyondthebump/comments/6ioi8i/microcephaly_6_months_old/?tl=ko
  4. Reddit. (2024). Microcephaly?. r/beyondthebum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ddit.com/r/beyondthebump/comments/1eqyu8e/microcephaly/?tl=ko
  5. GYSARANG. (날짜 없음). 소두증이란? 뇌 발육에 문제 있는 ‘지적장애’ 유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gysarang.com/Module/News/News.asp?MODE=V&SRNO=22472
  6. Mayo Clinic. (날짜 없음). Microcephaly – Diagnosis & treatmen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microcephaly/diagnosis-treatment/drc-20375056
  7.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 World Health Organization. (날짜 없음). Microcephal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aho.org/en/topics/microcephaly
  8. 서울아산병원. (날짜 없음). 이상 태위(Malpresentation of fetu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9
  9. 서울아산병원. (날짜 없음).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Zikavirus Infec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907
  10. 서울대학교병원. (날짜 없음). 진료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m/reservation/meddept/PENR/deptIntro.do
  11. 질병관리청. (날짜 없음). 소아청소년성장도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30400
  12. MSD 매뉴얼 일반인용. (날짜 없음). 요약 정보: 소두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A%B8%B0%EB%B3%B8-%EC%A0%95%EB%B3%B4-%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B%87%8C%EC%99%80-%EC%B2%99%EC%88%98%EC%9D%98-%EC%84%A0%EC%B2%9C%EC%A0%81-%EA%B2%B0%EC%86%90/%EC%86%8C%EB%91%90%EC%A6%9D
  13. Apollo Hospitals. (날짜 없음). 소두증 –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pollohospitals.com/ko/diseases-and-conditions/microcephaly
  14. 헬스조선. (2006). 머리가 큰 아이 더 영리하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06101056007
  15. 동아일보. (2018). 태어날때 머리둘레 크면 또래보다 지능 24% 높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81120/92941021/1
  16. 달곰이물티슈. (날짜 없음). 우리 아기 머리둘레는?육아TI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dalgomi.co.kr/article/%EC%9C%A1%EC%95%84tip/15/2682/
  17. 의협신문. (2015). 법원, 소두증 예방수술 불인정에 속타는 엄마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900
  18. Park, J. Y., Lee, J., & Kim, A. (2014). Fetal biometry in the Korean population: reference charts and comparison with charts from other populations.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7*(5), 369–376. https://pubmed.ncbi.nlm.nih.gov/24760468/
  19. Haddad, S., Hadi, E., Leibovitz, Z., Lev, D., Shalev, S., Gindes, L., & Lerman-Sagie, T. (2024). Small size, big problems: insights and difficulties in prenatal diagnosis of fetal microcephaly. *Frontiers in neuroscience*, *18*, 1347506. https://pubmed.ncbi.nlm.nih.gov/38533444/
  20. The ObG Project. (날짜 없음). Ultrasound Finding Archive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obgproject.com/tag/ultrasound-finding/
  21. 질병관리청. (2007). 2007년 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해설) 입니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10000&bid=0019&tag=&act=view&list_no=138467
  22. 공공데이터포털. (2017). 질병관리청_소아청소년 성장도표_20171229.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ata.go.kr/data/15076588/fileData.do
  23. Michigan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날짜 없음). FETAL MICROCEPHALY FACTS AND CLINICAL CONSIDERATION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ichigan.gov/-/media/Project/Websites/emergingdiseases/Folder1/Fetal_Microcephaly_Facts_Clinical_Considerations.pdf?rev=eb9d53e310fa442886b5ecba92578f45
  24. Ashrafzadeh, F., Ghaemi, N., Akhondian, J., Beiraghi Toosi, M., & Mohammadi, M. H. (2023). Congenital Microcephaly: A Debate on Diagnostic Challenges and Etiological Paradigm of the Shift from Isolated/Non-Syndromic to Syndromic Microcephaly. *Children (Basel, Switzerland)*, *10*(2), 373. https://pubmed.ncbi.nlm.nih.gov/36831309/
  25. Haddad, S., Hadi, E., Leibovitz, Z., Lev, D., Shalev, S., Gindes, L., & Lerman-Sagie, T. (2024). Small size, big problems: insights and difficulties in prenatal diagnosis of fetal microcephaly. *Frontiers in neuroscience*, 18, 134750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964924/
  26. 아이사랑. (날짜 없음). 임신초기(3~13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8
  27.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날짜 없음). 임신 중 변화와 관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epi.or.kr/fileDownload?fileGubun=site&menuId=publishMgr&userFileName=%EC%9E%84%EC%8B%A0%EB%B6%80_%EC%98%81%EC%96%91%EA%B4%80%EB%A6%AC1.pdf&systemFileName=1551839770412.pdf
  28.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 감염병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고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33028
  29. Meaney-Delman, D., Rasmussen, S. A., Staples, J. E., Oduyebo, T., Ellington, S. R., Petersen, E. E., … & Honein, M. A. (2017). Congenital microcephaly: a case definition and guidelines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safety data after maternal immunisation.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17*(11), e345–e35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10988/
  30. Nielsen-Saines, K., Brasil, P., Kerin, T., Damasceno, L., Pone, M., Abreu de Carvalho, L. M., … & Zin, A. A. (2020). Early Clinical Infancy Outcomes for Microcephaly and/or Small for Gestational Age Zika-Exposed Infant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71*(9), 2358–236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86378/
  31. Park, J. Y., & Kwon, J. Y. (2007). Reference charts and equations of Korean fetal biometr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0*(9), 1237-1244. https://snu.elsevierpure.com/en/publications/reference-charts-and-equations-of-korean-fetal-biometry
  32. Zhong, Q., Wang, Y., Zhang, Y., Peng, M., & Yang, B. (2023). Prenatal diagnosis of microcephaly through combined MRI and ultrasonography: Analysis of a case series. *Medicine*, *102*(51), e36531.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27632/
  33. Abdel-Salam, G. M. H., & Czeizel, A. E. (2017). Microcephaly. *Journal of community genetics*, *8*(3), 209–224.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483622/
  34. 한국영아발달조기개입협회. (2021). 소두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ici.or.kr/2021/08/29/%EC%86%8C%EB%91%90%EC%A6%9D/
  35. Khan, T. N., & M, S. (2020). ASPM Primary Microcephaly. In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5474/
  36. 나무위키. (날짜 없음). 소두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u.wiki/w/%EC%86%8C%EB%91%90%EC%A6%9D
  37. 차케어스. (날짜 없음). 초음파로보는태아의부위별성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28&cc_id=32809
  38.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2021). ACR–ACOG–AIUM–SMFM–SRU Practice Parameter for the Performance of Standard Diagnostic Obstetrical Ultrasound. https://gravitas.acr.org/PPTS/GetDocumentView?docId=28
  39. The Fetal Medicine Foundation. (날짜 없음). Microcephal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fetalmedicine.org/education/fetal-abnormalities/brain/microcephaly
  40.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9). Monitoring Growth in Childhoo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2), 211-216.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2-211.pdf
  41. Tupin, E. A., Canfield, M. A., Ethen, M. K., & Scheuerle, A. E. (2022). Survival of infants and children born with severe microcephaly, Texas, 1999-2015. *Birth defects research*, *114*(18), 1269–1284. https://pubmed.ncbi.nlm.nih.gov/36345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