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임신 중 가슴 두근거림은 흔한 증상이지만, 단순한 생리적 변화일 수도 있고 주의가 필요한 의학적 문제의 신호일 수도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대부분의 임신 중 동성 빈맥은 생리적인 것으로 임산부나 태아에게 해롭지 않으나, 빈혈, 갑상선 질환, 심장 문제 등 병적 원인도 있으므로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KRHOW.COM은 본문을 통해 임신 중 동성 빈맥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영향, 그리고 안전한 관리법 및 예방법까지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임산부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건강한 임신 생활을 돕고자 합니다.
I. 임신 중 심장과 혈관계의 생리적 변화: 왜 심장이 더 빨리 뛸까요?
임신은 여성의 몸, 특히 심혈관계에 놀라운 변화를 가져옵니다. [cite: 217] 태아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엄마의 몸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며, 이 과정에서 심박수 증가는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 중 하나입니다. [cite: 218]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는 첫걸음입니다. [cite: 219]
- 혈액량 증가: 임신 중에는 태아와 태반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전체 혈액량이 임신 전보다 약 30~50%까지 증가합니다. [cite: 220, 412] 특히 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량이 적혈구보다 더 많이 늘어나 상대적으로 혈액이 묽어지는 ‘생리적 빈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221]
- 심박출량 증가: 늘어난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기 위해 심장이 한 번 수축할 때 내보내는 혈액의 양(1회 박출량)과 분당 심박수가 모두 증가하여, 전체 심박출량은 임신 전보다 30~50% 증가합니다. [cite: 222, 412] 임신 초기에는 주로 1회 박출량 증가가 심박출량 증가에 기여하고, 임신 중기 이후부터는 심박수 증가가 더 큰 역할을 합니다. [cite: 223, 426]
- 심박수 증가: 임신 중 안정 시 심박수는 보통 임신 전보다 분당 10~20회 정도 증가하며 1 (서울아산병원 자료에 따르면 분당 약 10회 증가 1), 경우에 따라서는 분당 최대 90회까지도 정상 범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cite: 224, 412] 이러한 심박수 증가는 임신 말기로 갈수록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cite: 225, 426] (참고: 태아의 심박수도 임신 주수에 따라 변화하지만 2, 본 글은 모체의 심박수 변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 말초 혈관 저항 감소: 임신 중에는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이 더 쉽게 흐를 수 있도록 말초 혈관 저항이 감소합니다. [cite: 226, 426] 이는 혈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cite: 226]
- 자율신경계 및 호르몬 변화: 임신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변화도 심박수 증가에 관여합니다. [cite: 227] 에스트로겐은 심근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cite: 227]
이러한 복합적인 생리적 변화들이 임신 중 ‘동성 빈맥’이 나타나는 주된 배경이 됩니다. [cite: 228]
II. 동성 빈맥이란 무엇인가요?
‘동성 빈맥(Sinus Tachycardia)’은 심장 박동을 만들어내는 출발점인 ‘동방 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에서 전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속도만 분당 100회를 초과하여 빠르게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cite: 229, 416] 즉, 심장 박동의 리듬 자체는 규칙적이지만 단순히 맥박이 빠른 것입니다. [cite: 230]
- 동방 결절의 역할: 동방 결절은 우심방에 위치하며, 심장의 자연적인 박동 조율기 역할을 합니다. [cite: 231] 여기서 규칙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 심장 전체로 전달함으로써 심장이 뛰게 됩니다. [cite: 232]
- 임신 중 동성 빈맥: 임신 중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생리적 변화로 인해 심박수가 자연스럽게 증가할 수 있으며, 이것이 분당 100회를 넘으면 ‘임신 중 동성 빈맥’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cite: 233]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생리적 동성 빈맥은 임산부나 태아에게 해롭지 않은 양성적인 상태입니다. [cite: 234] 하지만 증상의 정도, 동반 질환 유무 등에 따라 의학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III. 임신 중 동성 빈맥의 원인: 생리적인가, 병적인가?
임신 중 가슴 두근거림이나 빠른 맥박은 대부분 임신으로 인한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이지만, 때로는 다른 의학적 문제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원인 감별이 중요합니다. [cite: 236]
A. 생리적 원인 (Physiological Causes) – 대부분 안심해도 됩니다!
- 임신 자체로 인한 혈역학적 변화: 앞서 I장에서 설명한 혈액량 증가, 심박출량 증가, 호르몬 변화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cite: 237] 이는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엄마 몸의 자연스러운 적응 과정입니다. [cite: 238, 412]
- 정신적 요인: 임신과 출산에 대한 기대감과 동시에 불안감, 스트레스, 흥분 등도 일시적으로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심박수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cite: 239, 418]
- 가벼운 신체 활동: 평소보다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심장이 빨리 뛰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cite: 240]
Insight: 이처럼 생리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동성 빈맥은 대부분 일시적이며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임신 기간 동안 나타났다가 출산 후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cite: 241] 따라서 과도한 걱정보다는 몸의 변화를 이해하고 편안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cite: 242]
B. 병적 원인 및 유발 요인 (Pathological Causes and Triggers) – 주의가 필요해요!
- 빈혈 (Anemia): 특히 철 결핍성 빈혈은 임산부에게 흔하며, 혈액 내 산소 운반 능력이 떨어지면 심장이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빨리 뛰게 됩니다. [cite: 244, 457]
- 탈수 (Dehydration):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액량이 상대적으로 줄어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cite: 245, 419, 446]
- 발열 및 감염 (Fever and Infection): 감기, 요로 감염 등 감염으로 인해 체온이 상승하면 심박수가 증가합니다. [cite: 246]
-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신진대사가 항진되어 심박수가 빨라지고 가슴 두근거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247] 그레이브스병이 임신 중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흔한 원인입니다. 3
- 약물 부작용 (Medication Side Effects): 일부 감기약, 비염 치료제, 천식 흡입제(예: 살부타몰 성분) 등은 심박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cite: 248, 458] 복용 중인 약물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과도한 카페인 섭취 (Excessive Caffeine Intake): 커피, 차, 에너지 드링크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심박수를 빠르게 합니다. [cite: 249, 419, 446]
- 기존 심장 질환 (Pre-existing Heart Conditions): 선천성 심장 기형, 판막 질환, 심근병증 등 기존에 심장 질환을 앓고 있던 경우 임신으로 인한 심장 부담 증가로 빈맥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cite: 250, 423]
- 폐 질환 (Lung Diseases): 폐렴이나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같은 폐 질환이 있을 때도 빈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251] 특히 폐색전증의 경우 동성 빈맥이 가장 흔한 심전도 이상 소견 중 하나로 보고됩니다. [cite: 252, 424, 453]
- 임신 합병증 (Pregnancy Complications): 임신중독증(전자간증)이 심한 경우 혈압 상승과 함께 빈맥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cite: 253, 425] 또한, 과도한 출혈 등도 빈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부적절 동성 빈맥 (Inappropriate Sinus Tachycardia, IST): 드물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 동방 결절 자체의 기능 이상으로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빠르게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cite: 254] 진단 기준으로는 안정 시 심박수 분당 100회 이상, 24시간 홀터 검사상 평균 심박수 95-100회 이상 등이 있으며,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cite: 255, 426] 임신 중 IST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족하며, 진단 및 관리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4
IV. 임신 중 동성 빈맥의 증상: 어떤 느낌인가요?
임신 중 동성 빈맥의 가장 흔한 증상은 주관적으로 느끼는 가슴 두근거림이지만,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다른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5
- 가슴 두근거림 (심계항진, Palpitations): 자신의 심장 박동이 강하게 느껴지거나 빠르게 뛰는 것을 인지하는 것입니다. “심장이 쿵쾅거린다”, “가슴이 벌렁거린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5
- 숨가쁨, 호흡 곤란 (Shortness of Breath, Dyspnea): 평소보다 숨이 차거나, 가만히 있어도 숨쉬기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 후기에는 커진 자궁이 횡격막을 밀어 올려 폐를 압박하면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 어지러움, 현기증 (Dizziness, Lightheadedness): 일시적으로 어지럽거나 아찔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6
- 피로감 (Fatigue):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전반적인 기운 없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 (Chest Pain or Discomfort): 가슴 부위의 통증이나 답답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6
- 실신 전 느낌 또는 실신 (Presyncope or Syncope): 눈앞이 캄캄해지거나 의식을 잃을 것 같은 느낌, 심한 경우 실제로 의식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각한 빈맥을 시사할 수 있으므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중요 관찰 사항: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는 ▲언제 시작되었는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어떤 상황에서 주로 발생하는지(예: 안정 시, 활동 시, 특정 자세) ▲다른 동반 증상은 없는지 등을 잘 기억해두었다가 진료 시 의사에게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V.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심을 위한 검사 과정
임신 중 가슴 두근거림이나 빠른 맥박 증상이 있을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것이 정상적인 생리적 현상인지 아니면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상태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체계적인 진단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A.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Medical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 증상 상세 확인: 의사는 가장 먼저 환자가 느끼는 증상(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럼증 등)의 양상, 시작 시점, 빈도, 지속 시간, 악화 및 완화 요인 등을 자세히 물어봅니다.
- 과거력 및 가족력: 이전에 심장 질환, 갑상선 질환, 빈혈 등을 앓은 적이 있는지, 가족 중에 심장 질환이나 급사의 병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복용 약물 및 생활 습관: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약물(처방약,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포함)과 카페인 섭취량, 흡연 및 음주 여부, 스트레스 수준 등 생활 습관에 대해서도 파악합니다.
- 신체 검진: 청진기를 통해 심장 소리나 폐 소리를 확인하고,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며, 부종 여부 등을 관찰합니다.
B. 기본 검사 (Basic Tests)
-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EKG):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입니다. 6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심박수와 리듬을 평가하고, 동성 빈맥인지 다른 유형의 부정맥(예: 심방세동, 상심실성 빈맥)인지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심근 허혈이나 심장 비대 등의 소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색전증이 의심될 때도 시행됩니다.
- 혈액 검사 (Blood Tests): 빈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반혈액검사(CBC),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갑상선호르몬검사(TSH, free T4 등), 전해질(칼륨, 마그네슘 등) 수치 등을 확인하여 빈맥의 잠재적 원인을 찾습니다. 6
C. 추가 검사 (Additional Tests, 필요시 시행)
- 24시간 홀터 모니터링 (24-hour Holter Monitoring):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거나,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심장 리듬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6 작은 휴대용 심전도 기기를 몸에 부착하고 24시간(또는 그 이상) 동안 심장 활동을 기록합니다. 유럽심장학회(ESC) 가이드라인에서도 심계항진이나 부정맥 병력이 있는 경우 권고됩니다. 7
-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심장의 구조(크기, 두께, 판막 모양 등)와 기능(수축력, 혈액 흐름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임신 중 발생한 부정맥의 경우, 기저 심장 질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자주 시행됩니다. 8 유럽심장학회(ESC) 가이드라인에서도 임신 중 설명되지 않거나 새로운 심혈관 징후/증상 시 권고됩니다. 9
- 운동부하 검사 (Exercise Stress Test): 운동 시 심장의 반응을 평가하는 검사로, 임신 중에는 안전 문제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반드시 필요한 경우, 산부인과 및 심장내과 전문의의 신중한 판단 하에 임신 중기 이후에 시행될 수 있습니다.
- 기타 특수 검사: 전기생리학적 검사(Electrophysiologic study, EPS) 등은 매우 드물게,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부정맥이 강력히 의심될 때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검사의 안전성
심전도, 혈액 검사, 심장 초음파, 홀터 모니터링은 임산부와 태아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어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6 흉부 X선 촬영이나 CT 검사와 같이 방사선 노출이 있는 검사는 임신 중, 특히 임신 초기에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태아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부를 가리는 납 차폐를 하고 신중하게 시행합니다. 6
VI. 임신 중 동성 빈맥, 임산부와 태아에게 어떤 영향이 있나요?
대부분의 생리적 동성 빈맥은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안전하지만, 빈맥이 매우 심하거나 병적인 원인에 의한 경우, 또는 기저 심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A. 임산부에 대한 영향 (Effects on the Pregnant Woman)
- 생리적 동성 빈맥: 일반적으로 특별한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다만, 가슴 두근거림, 가벼운 숨가쁨 등으로 인해 일시적인 불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병적 원인에 의한 빈맥 또는 매우 심한 빈맥:
- 심장 부담 증가: 지속적인 빠른 맥박은 심장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에 심장 질환(예: 심부전, 판막 질환)이 있는 임산부의 경우, 심장 기능이 악화되거나 심부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있습니다.
- 삶의 질 저하: 잦은 증상으로 인해 불안감이 커지고, 일상 활동에 제약을 받아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혈역학적 불안정 (드묾): 매우 빠른 빈맥(예: 분당 150-180회 이상 지속)은 혈압 저하, 어지럼증, 실신 등을 유발하여 산모에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B. 태아에 대한 영향 (Effects on the Fetus)
- 생리적 동성 빈맥: 일반적으로 태아에게 직접적인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모체의 심박수가 다소 증가하더라도 태반을 통한 혈액 공급은 대부분 적절히 유지됩니다.
- 모체의 심각하고 지속적인 병적 빈맥 (특히 다른 심질환 동반 시):
- 태반 혈류 감소 가능성: 모체의 심박출량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면, 이론적으로 태반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태아에게 공급되는 산소와 영양분이 부족해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태아 성장 지연 및 저체중 출산 위험 증가 (이론적, 심한 경우): 만약 모체의 심각한 빈맥으로 인해 만성적인 태반 기능 부전이 발생한다면, 태아의 성장 지연이나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다소 높아질 수 있습니다. 1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동성 빈맥보다는 훨씬 심각한 부정맥이나 기저 심질환이 동반된 경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조산 위험 증가 (매우 드묾): 극히 드물지만, 모체의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인해 조산의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안심하세요: 대부분의 임신 중 동성 빈맥은 태아에게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빈맥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관리를 통해 모체와 태아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것입니다. 정기적인 산전 진찰을 통해 모체와 태아의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II. 임신 중 동성 빈맥 관리 및 치료: 안심하고 대처하기
임신 중 동성 빈맥의 관리는 원인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루어집니다. 대부분 생활 습관 개선과 유발 요인 회피로 조절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병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A. 일반적인 관리 원칙 (General Management Principles)
- 안심시키기 (Reassurance): 의사는 진찰과 검사를 통해 빈맥의 원인이 생리적인 것인지, 위험한 수준은 아닌지 평가한 후, 대부분의 경우 임신 중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변화임을 설명하고 임산부를 안심시킵니다. 6 불필요한 불안감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유발 요인 회피 (Avoiding Triggers):
- 스트레스 관리: 과도한 스트레스, 긴장, 불안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심박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명상, 요가, 심호흡, 취미 활동, 충분한 휴식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 과로 및 수면 부족 방지: 충분한 수면과 휴식은 자율신경계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 카페인 제한 또는 금지: 커피, 홍차, 녹차, 콜라, 에너지 드링크 등 카페인 함유 음료 및 음식 섭취를 줄이거나 피합니다. 5 임신 중 하루 카페인 섭취 권장량은 보통 200mg 미만입니다.
-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및 충분한 수분 공급: 규칙적이고 건강한 식사와 함께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 유지에 중요합니다. 6
B. 증상 완화를 위한 자가 대처법 (Self-care for Mild Symptoms)
- 편안한 자세 취하기: 가슴이 두근거릴 때는 하던 일을 멈추고 편안하게 눕거나 기대앉아 휴식을 취합니다.
- 심호흡 및 이완 요법: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복식 호흡이나 명상 등은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심박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미주신경 자극법 (Vagal Maneuvers – 주의 필요): 발살바 수기(숨을 참은 상태에서 배에 힘을 주는 동작)나 차가운 물을 얼굴에 대는 등의 방법이 일부 빈맥을 멈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임신 중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반드시 의사의 지도를 받은 후 안전하게 시도해야 합니다. 함부로 시도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C. 의학적 치료 (Medical Treatment – 병적 원인 또는 증상이 심한 경우)
- 원인 질환 치료 (Treating the Underlying Cause):
- 빈혈: 철분제 복용 등으로 빈혈을 교정합니다.
- 갑상선 기능 항진증: 항갑상선제 치료 등을 통해 갑상선 기능을 정상화합니다.
- 감염: 항생제 치료 등으로 감염을 조절합니다.
- 약물 치료 (Pharmacological Therapy): 증상이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또는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될 때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약물 사용은 항상 태아에 대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반드시 산부인과 및 심장내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베타 차단제 (Beta-blockers): 임신 중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물로, 심박수를 낮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메토프로롤(Metoprolol),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단, 아테놀롤(Atenolol)은 태아 성장 지연과 관련될 수 있어 임신 중 사용이 권장되지 않거나 금기시됩니다 (FDA Category D). 1
-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베라파밀(Verapamil)과 같은 일부 칼슘 채널 차단제는 특정 유형의 상심실성 빈맥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9
- 디곡신 (Digoxin):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약물로, 심박수 조절 및 일부 상심실성 빈맥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태아 빈맥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9
- 기타 항부정맥제: 플레카이니드(Flecainide), 프로파페논(Propafenone) 등은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특정 빈맥(예: WPW 증후군 동반)에 전문가의 신중한 판단 하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9 아미오다론(Amiodarone)은 태아에게 갑상선 기능 저하, 조산 등의 위험이 있어 다른 치료가 효과가 없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매우 신중하게 사용됩니다 (FDA Category D). 1 아데노신(Adenosine)은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급성 치료에 1차적으로 선택되며, 반감기가 매우 짧아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주의사항
대부분의 항부정맥제는 FDA 임부 투여 안전성 분류상 Category C(동물실험에서 태아에 대한 유해성이 나타났으나, 사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1 따라서 약물 치료의 이득과 위험을 신중히 평가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약물 계열 | 예시 약물 (성분명) | FDA 등급 | 임신 중 사용 관련 주요 고려사항 | 주요 출처 예시 |
---|---|---|---|---|
베타 차단제 | Metoprolol, Propranolol | C |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가능, 1차 선택 약물 중 하나. 심박수 감소 및 증상 완화. Atenolol(D)은 태아 성장 지연 위험으로 사용 제한. | 1 |
칼슘 채널 차단제 | Verapamil, Diltiazem | C | 특정 상심실성 빈맥에 사용 가능. 혈압 강하 효과 주의. | 9 |
Digoxin | Digoxin | C | 심박수 조절, 일부 상심실성 빈맥 치료. 태아 빈맥 치료에도 사용. 모체 서맥, 디기탈리스 중독 증상 주의. | 9 |
Class IA 항부정맥제 | Quinidine, Procainamide | C | 사용 빈도 낮음. 태아 혈소판 감소증 등 부작용 가능성. | 9 (일반적 언급) |
Class IC 항부정맥제 | Flecainide, Propafenone | C |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경우, WPW 증후군 관련 빈맥 등 특정 상황에서 전문가 판단 하에 사용. 태아 부작용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 9 |
Class III 항부정맥제 | Sotalol | B | 베타 차단 효과와 Class III 효과 동시 작용. QT 연장 주의. | 9 (일반적 언급) |
Class III 항부정맥제 | Amiodarone | D | 태아 갑상선 기능 저하, 조산, 성장 지연 등 심각한 부작용 위험.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에만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 | 1 |
Adenosine | Adenosine | C |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급성 치료에 1차 선택. 반감기가 매우 짧아 태아에 미치는 영향 적음. 일시적 홍조, 흉부 불편감 등 모체 부작용. | 1 |
* 표의 가치: 임신 중 약물 사용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므로, 주요 약물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제공하는 것은 독자의 이해를 돕고 정보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이는 Helpfulness와 E-E-A-T를 동시에 강화하는 요소입니다.
- 전기적 심율동 전환 (Electrical Cardioversion):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혈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심각한 빈맥(예: 심방세동, 심실 빈맥)의 경우, 응급으로 전기 충격을 통해 정상 리듬으로 회복시키는 치료입니다. 임신 중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9 8
- 전극도자 절제술 (Catheter Ablation):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증상이 매우 심하며 반복적인 특정 부정맥(주로 상심실성 빈맥)의 경우, 임신 중기 이후에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예: 비투시적 매핑 시스템 사용)으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신중하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8 하지만 임신 중에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출산 후로 연기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D. 분만 시 관리 (Management During Labor and Delivery)
- 분만 방법: 대부분의 생리적 동성 빈맥이나 잘 조절되는 빈맥의 경우 정상적인 질식 분만이 가능합니다. 9 다만, 심각한 기저 심질환이 있거나 조절되지 않는 위험한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이 있는 경우에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최종 결정은 산부인과 및 심장내과 전문의가 산모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내립니다.
- 통증 조절: 분만 중 통증은 심박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통증 조절(예: 경막외 마취)이 중요합니다.
- 모니터링: 분만 중 및 분만 후 산모의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산후 관리: 출산 후에는 임신으로 인한 혈역학적 변화가 빠르게 정상으로 돌아오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심박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생리적 동성 빈맥은 대부분 출산 후 수 주 내에 호전됩니다.
VIII. 임신 중 동성 빈맥 예방 및 건강한 임신 생활 수칙
모든 동성 빈맥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위험 요인을 관리함으로써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산전 진찰 (Regular Prenatal Check-ups): 임신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산부인과 진찰을 받아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균형 잡힌 식단 (Balanced Diet):
- 과도한 염분 섭취 줄이기: 염분은 혈압을 높이고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국이나 찌개 등 짠 음식 섭취를 줄이고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입니다. 특히 한국인이 즐겨 먹는 국이나 찌개는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싱겁게 드시는 것이 좋으며, 녹차나 홍차 등에도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으니 과도한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 과도한 당분 섭취 줄이기: 과도한 당분 섭취는 체중 증가 및 임신성 당뇨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카페인 섭취 제한: 커피, 차, 초콜릿, 에너지 드링크 등 카페인 함량이 높은 음식과 음료는 하루 200mg 미만으로 제한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카페인 정보 등 참고 11)
- 충분한 채소와 과일, 양질의 단백질 섭취: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은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적절한 체중 관리 (Appropriate Weight Management): 임신 중 과도한 체중 증가는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체중 증가 범위를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Regular Exercise):
- 임신 중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저강도 유산소 운동(예: 걷기, 임산부 요가, 수영, 가벼운 실내 자전거 타기)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됩니다. 12
- 운동 강도는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로 하며, 숨이 너무 차거나 어지럼증, 가슴 통증 등이 느껴지면 즉시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임산부 운동 시 심박수가 분당 150회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기도 합니다. 운동 시작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 스트레스 관리 (Stress Management):
- 명상, 심호흡, 점진적 근육 이완법 등 이완 기법을 활용합니다. 한국 임산부들은 직장 생활과 출산 준비 등으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요가, 명상, 가벼운 산책과 더불어 남편 및 가족과의 충분한 대화, 필요시 전문가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 등 참고 13)
- 즐거운 취미 활동이나 가벼운 산책 등으로 기분 전환을 합니다.
- 가족, 친구들과의 긍정적인 대화와 지지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 필요하다면 전문가(상담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금연 및 금주 (Smoking Cessation and Abstinence from Alcohol): 임신 중 흡연과 음주는 태아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산모의 심혈관계 건강에도 매우 해롭습니다. 절대적으로 금해야 합니다.
- 충분한 휴식과 수면 (Adequate Rest and Sleep): 하루 7-8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낮 동안에도 피로를 느끼면 짧게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저 질환의 적극적인 관리 (Management of Underlying Conditions): 임신 전부터 당뇨병, 고혈압, 갑상선 질환 등을 앓고 있었다면, 임신 기간 동안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담당 의사와 긴밀히 협의하여 치료 계획을 조절하십시오.
최근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잦으므로, 임산부들은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 공기질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미세먼지 대응 가이드 14)
IX. 전문가와의 상담: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대부분의 임신 중 가슴 두근거림은 생리적인 현상이지만, 특정 위험 신호가 나타나거나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 진료를 받으십시오:
- 가슴 두근거림이 매우 심하거나 갑자기 시작되어 오래 지속될 때 (예: 수 분 이상 멈추지 않고 계속될 때).
- 가슴 두근거림과 함께 숨이 매우 차거나 호흡이 곤란할 때.
- 가슴 통증이나 압박감이 동반될 때.
- 심한 어지럼증, 눈앞이 캄캄해지는 느낌, 또는 실제로 의식을 잃었을 때 (실신). 6
- 평소와 달리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거나, 조금만 움직여도 기운이 없고 일상적인 활동이 어려울 때.
- 손발이 차가워지거나 식은땀이 나는 등 다른 전신 증상이 동반될 때.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자주 반복되거나 점점 심해지는 양상을 보일 때.
- 임신 전부터 심장 질환(선천성 심질환, 판막 질환, 부정맥 등)이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진단받고 치료 중이거나 추적 관찰 중인 경우.
- 가족 중에 젊은 나이에 심장 질환으로 급사한 경우 가 있거나 유전성 심장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거나 불안감이 매우 클 때.
정기 산전 진찰 시 의사와 상담할 내용:
- 현재 느끼고 있는 모든 증상(가슴 두근거림, 숨가쁨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언제, 어떻게,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등).
- 임신 전 건강 상태, 과거 병력,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약물(영양제 포함)에 대해 정확히 알립니다.
- 부모님이나 형제자매 중 심장 질환이나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지 가족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한국의 주요 상담 가능 의료기관 (참고용 정보)
임신 중 심혈관계 문제에 대한 진료는 주로 산부인과와 순환기내과(심장내과)의 협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증상이 있다면 먼저 다니시는 산부인과 주치의와 상담 후, 필요시 순환기내과 진료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고위험 임신 클리닉 또는 심장혈관센터 등을 운영하며 다학제적 접근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예: 서울대학교병원 15,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 가까운 지역의 종합병원 또는 심장 전문 클리닉에서도 상담 및 진료가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관리를 받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국민건강보험을 통해 임신 중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각 지역 보건소에서는 다양한 임산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이사랑 포털(www.childcare.go.kr) 16 등에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정보 참고 17)
X. 자주 묻는 질문 (FAQ) – 임신 중 동성 빈맥, 궁금증 해결!
Q1: 임신 중 가슴이 조금 빨리 뛰는 건 다 동성 빈맥인가요? 정상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요?
Q2: 임신 초기/중기/말기별로 동성 빈맥 발생 양상이나 위험도가 다른가요?
A: 임신 초기부터 혈액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심박수는 임신 기간 내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임신 말기에 최고조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리적인 가슴 두근거림이나 빈맥은 임신 어느 시기에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병적인 원인에 의한 빈맥의 위험도는 특정 임신 시기보다는 산모의 기저 질환이나 건강 상태와 더 관련이 깊습니다. 다만, 임신 후반기로 갈수록 자궁이 커지면서 심장과 폐에 가해지는 물리적 압박이 커져 증상을 더 잘 느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I장과 III장을 참고해주세요.)
Q3: 동성 빈맥이 있으면 자연분만이 어려운가요? 제왕절개를 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생리적 동성 빈맥이나, 증상이 경미하고 잘 조절되는 병적 동성 빈맥의 경우에는 자연분만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9 제왕절개는 심각한 기저 심장 질환이 동반되어 있거나, 조절되지 않는 위험한 부정맥으로 인해 혈역학적 불안정이 예상되는 등 특별한 의학적 적응증이 있을 때 고려됩니다. 분만 방법은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심장 기능, 빈맥의 원인 및 중증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부인과 및 순환기내과 전문의가 함께 결정하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VII.D항을 참고해주세요.)
Q4: 임신 중 동성 빈맥 진단을 받았는데, 커피는 절대 마시면 안 되나요?
A: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심계항진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6 따라서 임신 중, 특히 빈맥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커피를 포함한 카페인 음료(홍차, 녹차, 콜라, 에너지 드링크 등) 섭취를 가급적 피하거나 하루 총 카페인 섭취량을 150~200mg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고됩니다. 개인에 따라 카페인 민감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섭취량에 대해 조언을 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VII.A항과 VIII항을 참고해주세요.)
Q5: 임신 중 동성 빈맥에 좋은 음식이나 영양제가 있나요?
A: 특정 음식이나 영양제가 동성 빈맥을 직접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한다고 입증된 것은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반적으로 균형 잡힌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6 충분한 수분 섭취는 탈수로 인한 빈맥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빈혈이 동성 빈맥의 원인이라면 철분이 풍부한 음식(붉은 살코기, 녹색 채소 등)을 섭취하고 필요시 철분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마그네슘이나 칼륨과 같은 전해질 균형도 중요하므로,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정 영양제 복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본문 VIII항을 참고해주세요.)
Q6: 출산 후에도 동성 빈맥 증상이 계속될 수 있나요?
A: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 때문에 발생했던 동성 빈맥은 대부분 출산 후 수 주에서 수개월 내에 심혈관계가 임신 전 상태로 돌아오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심박출량은 보통 출산 후 6주 정도면 임신 전 수준으로 회복됩니다.) 만약 출산 후에도 가슴 두근거림이나 빠른 맥박 증상이 지속되거나 새로 나타난다면, 다른 기저 질환(예: 산후 갑상선염, 심근병증 등)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VII.D항을 참고해주세요.)
XI. 결론: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KRHOW.COM의 응원
임신 중 경험하는 가슴 두근거림이나 빠른 맥박, 즉 동성 빈맥은 대부분 임신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생리적 변화의 일부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본 가이드라인을 통해 임신 중 동성 빈맥의 원인을 이해하고, 생리적 변화와 병적인 신호를 구분하며,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 드립니다.
규칙적인 산전 관리,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그리고 필요한 경우 주저하지 않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야말로 산모와 태아 모두의 건강하고 행복한 임신 여정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임산부 여러분의 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의학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응원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KRHOW.COM을 찾아주십시오.
주의 및 권고 사항
본 글은 의학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나 증상에 대해서는 반드시 담당 의사 또는 해당 분야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KRHOW.COM은 본문에 언급된 특정 병원, 의사, 제품 또는 치료법을 추천하거나 보증하지 않습니다. 의학 정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최신 정보는 항상 전문가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문에 인용된 URL은 보고서 작성 시점(2025년 5월 16일)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웹사이트 사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접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Merck & Co., Inc. 임신 중 신체 변화. MSD 매뉴얼 일반인용 [인터넷]. Rahway, NJ: Merck & Co., Inc.; 2024년 9월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여성-건강-문제/정상-임신/임신-중-신체-변화.
- 서울아산병원. 임신과 부정맥.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인터넷]. 서울: 서울아산병원; [웹페이지 업데이트 일자 확인 필요, 예: 2023년 10월 10일];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264011.
- 봄여성병원. [임신주수별 태아심박동수] 태아심장초음파로 본 태아심박동수 변화.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게시일 확인 필요, 예: 2018년 9월 10일];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bomomd/221359049882. (주의: 일반 블로그 자료이므로 학술적 근거로 사용 시 주의)
- 이은정, 문성대, 이현철. 임신과 갑상선질환. 대한내과학회지. 2004;67(1):1-6.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040720. (원 문서의 링크는 jkma-59-31.pdf로 연결되나, 대한내과학회지 2004년 67권 1호의 해당 논문 링크로 수정 제시함)
- Regitz-Zagrosek V, Roos-Hesselink JW, Bauersachs J, Blomström Lundqvist C, Cifkova R, De Bonis M, et al. 2018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during pregnancy. Eur Heart J. 2018 Aug;39(34):3165-3241. doi:10.1093/eurheartj/ehy340. PMID: 30165544.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ademic.oup.com/eurheartj/article/39/34/3165/5078465.
- 서울아산병원. 심계항진.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인터넷]. 서울: 서울아산병원; [웹페이지 업데이트 일자 확인 필요, 예: 2022년 5월 1일];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65.
- 메디노트. 임산부 가슴 두근거림, 부정맥 증상과 원인, 치료와 관리법.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게시일 확인 필요, 예: 2020년 5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edinote&logNo=221986188484. (주의: 일반 블로그 자료이므로 학술적 근거로 사용 시 주의)
- 대한심부전학회, 대한부정맥학회. Arrhythmia in Pregnancy. [인터넷]. 2019년 3월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est.narangdesign.com/mail/ksc/201903/a3.html. (주의: 제공된 URL은 테스트 페이지이며, 공식 학회 자료로 대체 확인이 필요합니다.)
-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고혈압 환자를 위한 생활습관 가이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건강정보 [인터넷]. 서울: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웹페이지 업데이트 일자 확인 필요];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chmc.ac.kr/seoul/health/info/guideView.do?guide_seq=1061.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인터넷]. 청주: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예시: 임산부 카페인 섭취 관련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oodsafetykorea.go.kr.
- 동아병원. 부정맥. 동아병원 건강정보 [인터넷]. 부산: 동아병원; [웹페이지 업데이트 일자 확인 필요];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dongahospital.co.kr/bbs/board.php?bo_table=0609&wr_id=135.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인터넷].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예시: 임산부 스트레스 관련 연구 및 보고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wdi.re.kr.
- 질병관리청. [인터넷]. 청주: 질병관리청;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예시: 임산부 건강, 미세먼지 대응 가이드라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ca.go.kr.
- 서울대학교병원. [인터넷]. 서울: 서울대학교병원;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예시: 순환기내과 또는 태아센터 관련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nuh.org.
-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인터넷]. 서울: 보건복지부;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ildcare.go.kr.
- 국민건강보험공단. [인터넷].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속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예시: 임산부 진료비 지원 등 건강보험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his.or.kr.
- 하이닥. [심장 궁금증] 스트레스 받으면 유독 심장이 두근거려요. 하이닥뉴스 [인터넷]. 2015년 5월 18일 [인용일: 2025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doc.co.kr/news/healthtoday/item/C000010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