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적절한 종류의 식용유를 올바른 방법으로 아기 이유식에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며 아기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 3
- 지방은 영유아기, 특히 생후 첫 몇 년 동안 아기의 두뇌 발달, 신경계 기능, 지용성 비타민 흡수 등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4, 5
- 이유식에 오일 첨가는 보통 이유식 중기(만 7~9개월경)부터 권장되며, 처음에는 몇 방울부터 시작하여 점차 양을 조절합니다.2, 13
- 냉압착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냉압착 들기름/참기름, 아보카도 오일 등이 추천되며, 오일 선택 시 추출 방식, 신선도, 품질, 발연점을 고려해야 합니다.1, 18, 23, 25
- 오일 산패, 벤조피렌, GMO 문제 등에 유의하고 올바른 보관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18, 25, 35
I. 서론: 아기 이유식 속 “베이비 오일”에 대한 이해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적절한 종류의 식용유를 올바른 방법으로 아기 이유식에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아기의 건강한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 3 다수의 소아과 의사 및 영양 전문가, 그리고 관련 지침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1 예를 들어, 하정훈 박사(유명 육아 지침서 “삐뽀삐뽀 119 소아과” 저자)는 이유식 중기부터 오일 사용이 가능하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2,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체중 증가가 더딘 아기에게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등을 이유식에 첨가하여 에너지 섭취를 늘릴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3 이러한 전문가 의견은 부모님들께 즉각적인 안도감을 제공하며, 이어질 상세 정보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지방은 영유아기, 특히 생후 첫 몇 년 동안 아기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4 지방은 단순히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넘어, 두뇌 발달, 신경계 기능, 지용성 비타민 흡수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생후 첫 500일(임신 기간부터 생후 6개월까지)은 아기 일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취약한 시기로, 이 시기의 올바른 영양 공급은 장기적인 건강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5 따라서 이유식에 적절한 지방 공급원으로서 식용유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입니다.
이처럼 이유식에 식용유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한국 부모님들 사이에서 높으며, 특히 참기름이나 들기름과 같이 한국 전통 식단에 익숙한 오일에 대한 궁금증과 함께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 요구도 큽니다.1, 20 본 보고서는 이러한 부모님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II. 우리 아기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지방과 오일의 필수적인 역할
A. 성장과 놀이를 위한 에너지원: 빠른 발달의 연료
지방은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그램(g)당 약 9킬로칼로리(kcal)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그램당 약 4 kcal)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을 자랑합니다. 영유아기는 일생 중 체중 대비 에너지 요구량이 가장 높은 시기로6, 급격한 신체 성장과 높은 활동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지방은 이러한 에너지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4 세계보건기구(WHO)는 연령에 따라 하루 600~900 kcal의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제시하며8, 지방은 이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입니다.
B. 두뇌와 시력 발달의 핵심: 필수 지방산(EFAs)의 마법
지방, 특히 필수 지방산(Essential Fatty Acids, EFAs)은 아기의 두뇌 발달과 시력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필수 지방산에는 오메가-3 지방산(알파리놀렌산(ALA),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오메가-6 지방산(리놀레산(LA))이 포함됩니다.4 이들은 신체에서 스스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7 DHA와 아라키돈산(ARA, 오메가-6 지방산의 일종)은 뇌와 망막 조직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인지 기능 발달과 시력 형성에 필수적입니다.4, 11 특히 임신 중과 생후 초기 몇 년간 충분한 DHA와 ARA 공급은 장기적인 두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5 유럽 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는 미숙아의 경우 DHA와 ARA를 조건부 필수 영양소로 간주하며, 신경 발달에 중요성을 강조합니다.12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 함유된 지방 역시 두뇌 발달을 지원하는 좋은 공급원이 될 수 있습니다.13
팜유에 함유된 팔미트산의 경우, 모유 속 팔미트산은 주로 SN-2 위치에 결합되어 있어 흡수가 용이하고 변을 부드럽게 하는 반면, 일반적인 식물성 팜유의 팔미트산은 SN-1,3 위치에 주로 결합되어 칼슘과 불용성 비누를 형성하여 변을 단단하게 만들고 지방 및 칼슘 흡수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4 이는 모든 지방이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며, 지방의 구조적 차이가 아기의 소화 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점은 이유식용 오일 선택 시 자연스럽고 소화가 용이한 형태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들기름이나 아마씨유 등에 풍부한 ALA와 다양한 식물성 기름에 함유된 LA는 체내에서 DHA와 ARA로 전환될 수 있지만, 그 효율성은 개인 및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14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건강한 지방을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 주요 영양소 잠금 해제: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식이 지방은 비타민 A, D, E, K와 같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 필수적입니다.4 이 비타민들은 시력 보호(비타민 A), 뼈 건강(비타민 D), 항산화 작용(비타민 E), 혈액 응고(비타민 K) 등 아기의 건강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유식에 적절한 양의 오일을 첨가하면 이러한 지용성 비타민의 체내 이용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3
D. 전반적인 생리 기능 지원
지방은 에너지 공급 및 두뇌 발달 외에도 위장관 기능, 면역 기능, 호르몬 생성 등 다양한 생리 기능을 지원합니다.4 건강한 지방은 장 점막을 보호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며,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호르몬의 원료가 됩니다. 올리브 오일과 같은 특정 오일은 면역 기능 및 심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3
III. 우리 아기 이유식에 식용유 활용하기: 한국 부모님을 위한 실용 가이드
A. 언제부터 시작할까요?: 한국 이유식 단계와 전문가 의견 종합
일반적으로 이유식에 식용유를 첨가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이유식 중기(만 7~9개월경)부터 권장됩니다.1 일부에서는 만 6개월부터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지만13, 대부분의 한국 소아청소년과 의사 및 육아 전문가들은 아기의 소화 기능이 어느 정도 발달하고 다양한 식품에 적응하는 중기 이유식 시점을 추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 “삐뽀삐뽀 119 소아과”의 저자 하정훈 박사도 이유식 중기부터 소량 사용을 권장하며, 초기 사용은 선호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2 이 시기에 오일을 첨가하는 이유는 아기의 소화기관이 좀 더 성숙해지고,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추가적인 에너지와 필수 지방산의 필요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19 WHO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만 6개월부터 고형식의 질감과 종류를 점차 늘려가도록 권장하고 있으며8, 이 시기에 맞춰 오일을 첨가하는 것은 영양 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B. 얼마나 사용해야 할까요?: 처음에는 “적을수록 좋다”는 접근 방식
이유식에 오일을 처음 사용할 때는 아주 적은 양, 즉 몇 방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1 아기가 잘 적응하고 소화에 문제가 없다면 점차 양을 늘릴 수 있지만,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끼 이유식에 1/2 티스푼에서 1 작은술 미만으로, 아기의 총 지방 섭취량과 오일의 종류를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1 “소량” 사용은 여러 한국 육아 정보에서 일관되게 강조되는 부분입니다.1 이는 단순히 소화 부담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건강한 지방이라도 과도하게 섭취하면 다른 필수 영양소의 섭취를 방해하거나 지나치게 빠른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9 오일은 이유식의 보조적인 영양 공급원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주된 영양 공급원을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C. 한국 이유식에 오일을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
- 조리된 이유식에 뿌리기: 잘 익혀 으깨거나 다진 채소, 곡물(쌀미음, 죽), 고기 등에 따뜻할 때 (뜨겁지 않게) 몇 방울 떨어뜨려 섞어줍니다.13 특히 냉압착 방식으로 생산된 오일의 경우,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리 마지막 단계나 먹이기 직전에 첨가하는 것이 좋습니다.21
- 가벼운 볶음이나 데우기: 아보카도 오일이나 정제 올리브 오일처럼 발연점이 비교적 높은 오일은 이유식 재료를 가볍게 볶거나 데울 때 소량 사용할 수 있습니다.1 하지만 영양가를 최대한 보존하려면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등은 뿌리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 참기름 활용: 한국에서는 이유식 중기부터 참기름을 조리된 죽에 소량 첨가하여 풍미를 더하는 방법도 사용됩니다.24
이러한 방법들은 부모님들이 일상적인 이유식 준비 과정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일의 종류와 특성(예: 발연점, 열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첨가 방식을 달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섬세한 냉압착 오일은 조리 후 첨가하는 것이 좋고, 발연점이 높은 오일은 조리 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1, 21, 23
IV. 우리 아기에게 가장 좋은 식용유 선택하기: 전문가의 체크리스트
A. 오일 라벨 읽기: 압착유(Pressed Oil) vs. 정제유(Refined Oil)
압착유(壓搾油): 씨앗이나 열매를 기계적인 힘으로 눌러 짜낸 오일입니다. 특히 “냉압착(冷壓搾)” 또는 “저온압착(低溫壓搾)” 방식으로 생산된 오일은 낮은 온도(보통 섭씨 49도 이하)에서 추출되어 원재료의 영양소, 풍미, 항산화 성분을 최대한 보존합니다.1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냉압착 참기름/들기름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오일은 정제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학 용매나 고온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 아기에게 더 순수하고 영양가 높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25
정제유(精製油): 원유(crude oil)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색과 향을 중화시키며, 발연점을 높이기 위해 고온 처리 및/또는 화학적 정제 과정을 거친 오일입니다.21 이 과정에서 일부 유익한 화합물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퓨어” 올리브 오일, 대부분의 일반적인 콩기름, 옥수수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18
아기에게 덜 가공된 오일이 좋은 이유: 화학적 잔류물질의 가능성을 줄이고, 원재료 본연의 영양과 풍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B. 우리 아기를 위한 최고의 오일 선택: 상세 가이드
1. 올리브 오일(Olive Oil):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Extra Virgin Olive Oil, EVOO)에 집중: 첫 번째 냉압착으로 얻어지며, 산도(acidity)가 낮을수록(이상적으로 0.8% 미만, 프리미엄 제품은 0.1~0.2% 수준) 품질이 좋습니다.1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성분과 단일불포화지방산(MUFA)이 풍부하여 아기의 건강에 유익합니다.13 EVOO는 모유와 구성 및 소화 용이성 면에서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16
- 최적 사용법: 조리된 음식에 뿌리거나, (아기가 좀 더 크면) 샐러드드레싱으로 활용하거나, 매우 부드럽게 데우는 용도로 적합합니다.13, 17 정제 올리브 오일보다 발연점이 낮으므로 고온 조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23
- “퓨어”, “라이트”, “정제” 올리브 오일: 발연점은 높지만 영양가는 EVOO보다 낮습니다. 아기를 위한 최상의 영양적 이점을 고려한다면 우선순위는 아닙니다.1
2. 들기름(Perilla Oil):
- 한국의 전통적인 기름으로,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ALA) 함량이 매우 높습니다(약 60% 이상).14 ALA는 체내에서 DHA와 EPA로 전환되어 두뇌 및 시력 발달, 염증 감소에 기여합니다.14
- 선택 기준: 냉압착 또는 저온압착 방식으로 생산된 제품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열에 민감한 오메가-3 지방산을 보호하고 산패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25 100% 국산 들깨로 만든 제품은 수입 과정에서의 품질 저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1
- 최적 사용법: 다량의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으로 인해 산패되기 쉬우므로 가열하지 않고 먹기 직전에 음식에 뿌려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14
3. 참기름(Sesame Oil):
- 한국 요리에서 풍미를 더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오메가-6 리놀레산(LA)과 오메가-9 올레산(OA), 그리고 리그난(세사민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28
- 선택 기준: 전통적인 고온焙煎(볶음) 후 압착한 참기름은 특유의 고소한 맛이 강하지만, 벤조피렌 생성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기에게는 생참기름(볶지 않은 참깨를 냉압착) 또는 저온에서 살짝 볶아 압착한 제품을 선택하여 벤조피렌 위험을 최소화하고 영양소를 보존하는 것이 좋습니다.1 100% 국산 참깨 제품이 선호됩니다.1
- 최적 사용법: 주로 풍미를 위한 마무리 오일로, 가열하지 않거나 조리 마지막 단계에 첨가합니다. 발연점이 낮습니다.23
4.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 단일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E가 풍부합니다.1 발연점이 매우 높아(약 270°C)18 이유식 재료를 부드럽게 볶거나 익힐 때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 선택 기준: 가능하다면 냉압착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정제된 형태도 건강한 지방을 공급합니다.
5. 기타 오일 (간략 정보):
- 현미유(Rice Bran Oil, 미강유): 비타민 E, 감마-오리자놀 등을 함유하며, 발연점이 비교적 높아 한국 이유식 관련 정보에서 종종 추천됩니다.27, 30 볶음이나 부침 요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콩기름, 옥수수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씨유: 일반적으로 정제되어 발연점이 높고 오메가-6 LA의 공급원이 될 수 있습니다.10 그러나 유전자 변형(GMO) 원료 사용 가능성과 정제 과정에 대한 우려로 인해, 아기를 위한 첫 번째 선택으로는 냉압착 오일보다 덜 이상적일 수 있습니다.26 일부 국내 지침에서는 콩기름과 카놀라유를 필수 지방산 공급원으로 언급하기도 하지만10, 소비자들은 아기를 위해 덜 가공된 오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8
일부 공식적인 한국 자료(질병관리청 또는 병원 안내3, 10)에서는 콩기름이나 카놀라유와 같은 일반 정제유를 필수 지방산 공급원으로 언급하기도 합니다. 이는 해당 오일들이 필수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고 구하기 쉽다는 현실적인 측면을 반영한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 대상 정보(블로그, 건강 기사18)에서는 아기를 위해 가공을 최소화한 오일을 선호하며, GMO나 정제 과정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다양한 오일의 필수 지방산 함량을 인정하면서도, 아기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순수하고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C. 아기에게 좋은 오일 선택을 위한 핵심 기준 요약
- 추출 방식: 영양소 보존과 유해 부산물 최소화를 위해 냉압착(저온압착) 방식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1
- 순도와 품질:
- 신선도와 원산지:
- 발연점(發煙點) 이해:
이러한 선택 기준을 통해 부모님들은 아기에게 가장 적합하고 건강한 오일을 고를 수 있습니다. 냉압착, 비정제 오일이 영양적으로 우수하지만 발연점이 낮고 가격이 높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들기름과 참기름 같은 전통 오일의 경우 건강한 가공 방식(저온압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1, 23, 25
오일 종류 (한글/영문) | 주요 지방산/영양소 | 추천 추출/종류 방식 | 발연점 (대략 °C) | 이유식 최적 사용법 | 아기 관련 특이사항 |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EVOO) |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폴리페놀, 비타민 E | 냉압착 엑스트라 버진 | 160-19030 | 조리 후 뿌리기, 저온 조리 | 산도 낮은 제품 선택, 유기농 고려 |
냉압착 들기름 (Perilla Oil) | 오메가-3 ALA (약 60% 이상), 오메가-6 LA | 냉압착 (저온압착) | 약 16026 | 조리 후 뿌리기 (가열 비권장) | 산패에 매우 취약, 냉장 보관, 소량 구매, 국산 고려 |
냉압착 (생)참기름 (Sesame Oil) | 오메가-6 LA, 오메가-9 OA, 리그난 | 냉압착 (생참기름) 또는 저온焙煎 후 압착 | 약 16026 | 조리 후 풍미 첨가 (가열 비권장) | 벤조피렌 우려로 저온 가공 제품 선택, 국산 고려 |
아보카도 오일 (Avocado Oil) |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비타민 E | 냉압착 또는 정제 | 약 27018 | 부드러운 볶음, 일반 조리 | 발연점 높아 다양한 조리 가능 |
현미유 (Rice Bran Oil) | 비타민 E, 감마-오리자놀, 불포화지방산 | 정제 | 약 23230 | 볶음, 부침 등 일반 조리 | 일부 이유식 책에서 추천, GMO 여부 확인 필요성 제기될 수 있음 |
면책 조항: 본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의학적 상태에 대한 질문이 있는 경우 항상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건강 관리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여기에 포함된 정보로 인해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무시하거나 찾는 것을 지연시키지 마십시오.
V. 잠재적 우려 사항 확인: 우리 아기를 위한 오일 안전성 확보
A. 오일 산패(酸敗) 문제: 인지, 예방 및 올바른 보관법
산패란 지방이 공기 중의 산소, 빛, 열 등에 의해 산화되어 맛과 향이 변질되고 영양가가 손실되며, 심한 경우 건강에 해로운 화합물이 생성되는 현상입니다.18 특히 들기름, 아마씨유와 같이 다중불포화지방산(PUFA) 함량이 높은 오일은 산패에 더 취약합니다.25
산패 예방 및 보관 팁:
- 소량 구매, 어두운 병: 빛을 차단하는 어두운 색상의 작은 병에 담긴 제품을 구매합니다.25
- 서늘하고 어두운 곳 보관: 직사광선과 열을 피해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합니다.27
- 냉장 보관: 들기름, 아마씨유 등 산패에 매우 민감한 오일은 개봉 후 반드시 냉장 보관합니다.28, 31 올리브 오일은 냉장 시 굳거나 탁해질 수 있으나 실온에 두면 원래 상태로 돌아오며,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밀봉: 산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 후에는 병뚜껑을 꼭 닫아 보관합니다.31
- 빠른 소비: 개봉 후에는 가급적 수개월 내(예: 1~2개월)에 소비하는 것이 좋습니다.31
- 냄새 확인: 사용 전 냄새를 맡아 이상한 냄새(쩐내 등)가 나면 폐기합니다.
산패에 대한 우려는 특히 한국에서 즐겨 사용하는 들기름과 같이 PUFA가 풍부한 오일의 경우 더욱 중요합니다.29 따라서 오일 종류별 특성에 맞는 보관법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오일 종류 | 이상적인 보관 장소 | 추천 용기 | 개봉 후 대략적인 사용 기한 |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 서늘하고 어두운 찬장 | 원래의 어두운 병, 밀봉 | 2-3개월 |
들기름 | 냉장고 | 원래의 어두운 병, 밀봉, 빛 차단 포장 | 1-2개월 (냉장 보관 시) |
참기름 | 서늘하고 어두운 찬장 (냉압착) | 원래의 어두운 병, 밀봉 | 2-3개월 |
아보카도 오일 | 서늘하고 어두운 찬장 | 원래의 어두운 병, 밀봉 | 3-6개월 |
주의: 위 표는 일반적인 권장 사항이며, 제품별 라벨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B. 벤조피렌(Benzopyrene)과 가공 과정: 위험 최소화
벤조피렌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의 일종으로, 유기물질이 고온에서 불완전 연소될 때 생성될 수 있습니다. 식용유의 경우, 참깨나 들깨 등을 고온에서 볶거나 압착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1
위험 최소화 방법: 특히 참기름과 들기름의 경우, 전통적인 고온 볶음 방식(고소한 맛을 내기 위함) 대신 냉압착(cold-pressed) 또는 저온압착(low-temperature pressed) 방식으로 생산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벤조피렌 생성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1 콩기름이나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에서는 벤조피렌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습니다.34 너무 색이 진하거나 탄 맛이 강한 참기름이나 들기름은 아기에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C. 식용유의 유전자 변형(GMO) 문제: 부모님을 위한 정보
콩, 옥수수, 카놀라(유채) 등은 유전자 변형 기술이 널리 적용되는 작물 중 하나이며, 이들로부터 생산되는 식용유 역시 GMO 원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18 GMO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으며,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35, 36
안내: GMO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Non-GMO” 또는 “유전자 변형 없는” 표시가 된 제품을 선택하거나,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참기름, 들기름과 같이 GMO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오일을 선택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고도로 정제된 오일의 경우 단백질이나 DNA가 거의 남아있지 않을 수 있지만, 원료 작물에 대한 정보는 일부 소비자에게 여전히 중요할 수 있습니다.
D. 알레르기: 순수 오일에는 드물지만, 주의 깊은 관찰은 필수
순수하게 정제된 식용유 자체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드뭅니다. 이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주성분인 단백질이 정제 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입니다.13 그러나 냉압착 또는 덜 정제된 오일에는 미량의 단백질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원료 식품(예: 참깨, 콩, 견과류 등)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해당 오일에도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13 특히 견과류 오일이나 견과류와 같은 생산 라인에서 제조된 오일의 경우 교차 오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견과류 알레르기 우려로 만 36개월까지 견과류 섭취를 제한하기도 합니다.38
조치: 새로운 종류의 오일을 이유식에 처음 도입할 때는 다른 새로운 음식과 마찬가지로 소량부터 시작하여 며칠간 아기의 피부, 소화기 반응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37
E. 과유불급(過猶不及): 적정량의 중요성
지방은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섭취는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거나 다른 중요한 영양소의 섭취를 방해하고, 과도한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 이유식 초기에는 모유나 분유를 통해 충분한 지방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일은 보충적인 역할로 소량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영양가 높은 다양한 고형식을 통해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우선이며, 오일은 건강한 지방과 에너지를 추가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VI. 전문가들이 말하는 영유아 지방 섭취 권장 사항: 국내외 지침
A.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KDRIs): 영아 및 유아
한국영양학회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영유아의 지방 섭취에 대해 다음과 같이 권장하고 있습니다:
- 영아 0-5개월: (주로 모유 또는 조제분유로부터 섭취)
- 영아 6-11개월:
- 유아 1-2세:
이러한 구체적인 수치는 부모님들이 아기의 지방 섭취 목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종류의 지방산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령 그룹 | 총 지방 | 리놀레산 (LA, n-6) | 알파리놀렌산 (ALA, n-3) | EPA+DHA (mg/일) |
---|---|---|---|---|
0-5개월 영아 | 충분섭취량(AI) 25 g/일 | AI 5.0 g/일 | AI 0.6 g/일 | AI 200 |
6-11개월 영아 | 충분섭취량(AI) 25 g/일 | AI 7.5 g/일 | AI 0.8 g/일 | AI 300 |
1-2세 유아 | 총 에너지 섭취량의 20-35% | 총 에너지의 4-8% | 총 에너지의 약 1% | 해당 연령 AI 미설정 |
출처: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6
B. 국내 소아청소년과학회 및 주요 소아과 의사들의 견해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관련 지침 (질병관리청 자료 등에서 인용):
- 만 24개월까지는 지방 섭취를 제한하지 않으며, 총 열량의 30~45%를 지방으로 섭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봅니다.10, 40, 41
- 콩기름이나 카놀라유 등은 필수 지방산이 풍부하다고 언급됩니다.10
- 만 2세 이후에는 저지방 식이를 권장하며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섭취를 줄이고 불포화지방 위주로 섭취할 것을 강조합니다.40
하정훈 박사 (“삐뽀삐뽀 119 소아과” 저자):
- 이유식 중기부터 소량의 기름 사용이 가능하며2, 참기름도 이때부터 익힌 죽에 소량 첨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24
- 지방은 아기 성장에 중요하므로 지나치게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합니다.2
서울아산병원:
- 체중 증가가 더딘 아기의 경우, 에너지 섭취를 늘리기 위해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등을 이유식에 첨가할 수 있으며, 소량부터 시작하여 점차 양을 늘리도록 권장합니다.3
기타 국내 자료:
이처럼 국내 전문가들은 지방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시기와 양, 종류 선택에 신중을 기할 것을 권고합니다. 특히 참기름, 들기름과 같은 전통적인 기름에 대해서는 품질(냉압착 등)을 고려한 선택을 강조하는 경향이 소비자 중심 정보에서 두드러집니다.
C. 국제적 관점: WHO, ESPGHAN, AAP의 주요 권고 사항
세계보건기구(WHO):
- 영유아의 에너지 요구량 충족을 강조하며, 지방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임을 인식합니다.8, 44
- 다양한 식품 섭취를 권장하며, 동물성 식품 섭취가 부족한 비모유수유아(6-24개월)의 경우 하루 10-20g의 추가 지방/오일 섭취가 필요할 수 있다고 안내합니다.8
- 건강에 해로운 지방이 많은 음식은 피하도록 권고합니다.5
유럽 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
- 이유 보충기(6-12개월) 영아의 경우, 지방이 총 에너지 섭취량의 40%를 차지해야 하며, 리놀레산, 알파리놀렌산, DHA(100mg/일)의 구체적인 섭취량도 제시합니다.45
- 미숙아의 경우, 식이 지방이 에너지 요구량의 약 50%(4.8-8.1 g/kg/일)를 공급해야 하며, DHA(30-65 mg/kg/일)와 ARA(30-100 mg/kg/일)에 대한 구체적인 권장량도 있습니다.12
미국소아과학회(AAP) / 미국가정의학회(AAFP):
- 만 12개월 이전에는 지방 섭취를 제한하지 말 것을 권고합니다.9
- 유아(1-3세)의 경우, 지방 섭취를 총 일일 에너지의 30-40%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9
- 다중불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을 우선적으로 섭취하고 트랜스지방은 피하도록 권장합니다.9
국제적으로도 영유아기 지방 섭취의 중요성은 일관되게 강조되며, 일반적으로 생후 첫 1~2년간은 지방 섭취를 제한하지 않고 총 에너지의 30~50% 수준으로 권장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국내 권장 사항과도 대체로 일치하여 부모님들께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VII. 결론: 건강한 오일로 우리 아기의 성장을 응원합니다
A. 핵심 내용 요약
본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아기 이유식에 적절한 식용유를 사용하는 것은 신중하게 선택하고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안전하고 유익합니다. 지방은 아기의 에너지 공급, 두뇌 발달,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이유식 중기(만 7~9개월경)부터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냉압착 들기름/참기름, 아보카도 오일 등 고품질의 오일을 소량씩 첨가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오일 선택 시에는 추출 방식(냉압착 우선), 신선도, 품질을 꼼꼼히 확인하고, 산패 방지를 위해 올바르게 보관해야 합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영유아기 지방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적정량 섭취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B. 자신감 있고 정보에 기반한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이유식에 오일을 첨가하는 것은 많은 부모님께 고민이 될 수 있지만,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현명한 결정을 내리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말 괜찮을까?”라는 처음의 질문에 대해, “네, 올바른 지식과 신중한 선택이 함께한다면 괜찮습니다”라고 답해 드릴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식단입니다. 오일은 다양한 영양가 높은 고형식으로 구성된 이유식의 일부분으로서, 아기의 건강한 시작을 돕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본 안내가 부모님들께서 우리 아기의 식단에 건강한 오일을 자신 있게 포함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아기의 밝고 건강한 성장을 응원합니다.
참고 문헌
- 아기 식용유 참기름 버터 언제부터 아기 기름 고르는 법.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3년 8월 17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mummun/223182963594?viewType=pc
- 하정훈. #439 [이유식] 기름과 버터!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 주의할 점도 알려드립니다. 유튜브 [인터넷]. 2021년 10월 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UR-l8QZz0vg
-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소화기 영양과] 우리 아이 이유식,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서울아산병원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27
-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Palm oil and beta-palmitate in infant formula. ESPGHAN [인터넷]. 2016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spghan.org/dam/jcr:0952fe5c-9a11-456b-a239-7262f358dd09/2016_Palm_oil_and_beta-palmitate_in_infant_formula.pdf
- UNICEF South Asia. What to eat before, during and after pregnancy. UNICEF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nicef.org/rosa/stories/what-eat-during-and-after-pregnancy
-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신라대학교 [인터넷]. 2020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food.silla.ac.kr/food/index.php?pCode=SUB2000003&pg=2&mode=fdn&idx=2895&num=1
- 바른랩. 소아 청소년 식이/영양 가이드: 정의, 주요 권고안, 영양소별 섭취 가이드(열량,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칼슘).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19년 11월 29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barunlab/221721734668
-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ing principles for complementary feeding of the breastfed child. WHO [인터넷]. 2001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3281/9241593431.pdf
-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Nutrition in Toddlers. AAFP [인터넷]. 2018년 8월 15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8/0815/p227.html
- 질병관리청. 이유기보충식(이유식). 국가건강정보포털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70
- 베이비뉴스. 두뇌발달 위한 ‘DHA’, 신생아에겐 어떻게 먹여야할까?. 베이비뉴스 [인터넷]. 2019년 4월 25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473
-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Enteral Nutrition in Preterm Infants (2022). ESPGHAN [인터넷]. 2022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spghan.org/dam/jcr:092f7f5a-6557-433c-98d6-7259ab1a9cfa/Enteral_Nutrition_in_Preterm_Infants__2022___A.204.pdf
- Solid Starts. Olive Oil for Babies – First Foods for Baby. Solid Starts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olidstarts.com/foods/olive-oil/
- 정세연. ‘기름져도 괜찮아’ 들기름과 올리브유[정세연의 음식처방]. 동아일보 [인터넷]. 2024년 11월 24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1124/130492180/2
- 미국대두협회. 2021 대두유 마스터 가이드북. USSOYBEAN.KR [인터넷]. 2021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ussoybean.kr/data/2021_Soy_Oil_Master_Guidebook_revised_WEB.pdf
- Critida. 아기 영양: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은 아기와 어린이의 식단에 적합할까요?. CRITIDA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ritida.com/ko/baby-nutrition-is-extra-virgin-olive-oil-suitable-for-babies-kids-diet/
- 하지미니. 9개월아기 이유식, 데시에르토 엑스트라 버진 유기농 올리브오일로 더 맛있게 (+활용팁).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16년 6월 2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hajumini83/220741175193
- 레이네베베. 아기 식용 기름(오일) 사용시기 및 식용유 선택 방법.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4년 1월 20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rayne_bebe/223329372411
- 국민건강지식센터. 우리 아이를 위한 이유식, 똑똑하게 시작하기. 국민건강지식센터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qcenter.snu.ac.kr/archives/jiphyunjeon/%EC%9A%B0%EB%A6%AC-%EC%95%84%EC%9D%B4%EB%A5%BC-%EC%9C%84%ED%95%9C-%EC%9D%B4%EC%9C%A0%EC%8B%9D-%EB%98%91%EB%98%91%ED%95%98%EA%B2%8C-%EC%8B%9C%EC%9E%91%ED%95%98%EA%B8%B0
- 아동영양학 교안.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218.50.55.20/mobile/lecture_plan/%EC%95%84%EB%8F%99%EC%98%81%EC%96%91%ED%95%99.pdf
- Quora. How to use olive oil in my 11month baby food? Is olive oil good for baby health growth. Quora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quora.com/How-can-I-use-olive-oil-in-my-11month-baby-food-Is-olive-oil-good-for-baby-health-growth
- 베이비뉴스. 아기에게 좋은 엑스트라 버진 오일. 베이비뉴스 [인터넷]. 2012년 1월 16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158
- 새미네부엌 플랫폼. 발연점에 따른 식용유 사용법. 새미네부엌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emie.cooking/recipe-lab/archive/common-sense-cooking-tips-3-cookingoil
- 정유미. #191 중기 (7~8개월) 이유식 Q&A #소아과 #사골국 #참기름 #고기 #철분 #여행 #IQ #두뇌발달 #모유수유. 유튜브 [인터넷]. 2021년 2월 10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XoIlPE0OflI&pp=0gcJCdgAo7VqN5tD
- 까사마마. 아기, 이유식, 어린이 들기름 참기름 선택법, 냉압착 생들기름 생참기름 구분법, 식별, 차이.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2년 11월 18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casamamaoil/222933469708
- 하이닥. “올리브·아보카도·카놀라, 어떤 게 좋을까?”…요리별 적합한 식용유. 하이닥 [인터넷]. 2015년 12월 2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788
- 소라라라. 아기 식용유 버터 언제부터 기름 고르는 방법과 주의할 점.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3년 7월 26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orarara87/223167993063
- 헬스조선. 참기름과 들기름, ‘영양 차이’ 아세요?. Daum [인터넷]. 2025년 1월 19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v.daum.net/v/20250119120329701
- 중앙일보. 몸에 좋다는 들기름·참기름…이렇게 먹으면 ‘혈관 깡패’ 돌변 [건강한 가족]. 중앙일보 [인터넷]. 2022년 7월 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1982
- 다니맘. 돌아기 식용유 올리브유 현미유 기름 선택 팁.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4년 6월 12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danimom0904/223475915696
- 까사마마. 들기름 참기름 산패방지, 들기름 참기름 보관방법, 생들기름 생참기름 산패 예방 및 보관 방법. 까사마마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casamama.co.kr/tt0310c.htm
- 헬스앤라이프. 식용유도 잘못 쓰면 발암물질이 생긴다.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 네이버 포스트 [인터넷]. 2018년 9월 28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871796&memberNo=4328593&navigationType=push
- 다을인. 국산 생들기름 생참기름 등 식용유 유통기한과 산패 및 보관방법.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2년 7월 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dauleene/222801261164?viewType=pc
- 푸드앤메드. 지금 당신 식탁의 발암물질. 데일리 푸드앤메드 [인터넷]. 2020년 11월 18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foodn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63
- 시사저널. 실험용 쥐가 먹고 죽은 GMO (옥수수) 한 해 100만 톤 이상 수입한다. 시사저널 [인터넷]. 2018년 5월 9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538
- 한국마케팅신문. 식용 GMO 안전성 논란. 한국마케팅신문 [인터넷]. 2014년 12월 1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knews.kr/?mid=view&no=37967
- 정유미. #345 이유식 음식 첨가 간격 꼭 띄워야 할까?-식품알레르기 예방 관련. 유튜브 [인터넷]. 2022년 6월 22일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iLW-bznd_CY
- 질병관리청. 식이영양(영유아). 국가건강정보포털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12
- 서울시민 건강포털. 식생활과영양. 서울시민 건강포털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seoulmc.or.kr/healthCareInfo/nutrientStandard.do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평생건강을 위한 소아청소년의 영양상담. KoreaMed Synapse [인터넷]. 2009년 3월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pdf/10.5124/jkma.2009.52.3.233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영양.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ediatrics.or.kr/bbs/?code=infantcare&category=C&gubun=B
- 고운빛 베이비시터. 아기에게 먹여도 괜찮은 음식들. 고운빛 베이비시터 육아정보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ounvit.com/ab-976-70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수유,영양 > 13~24개월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 육아.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ildcare.go.kr/?menuno=457
-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ant nutrition. WHO [인터넷].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ho.int/health-topics/infant-nutrition
-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Complementary Feeding: A Position Paper by the ESPGHAN Committee on Nutrition. ESPGHAN [인터넷]. 2017년 [2025년 5월 12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spghan.org/dam/jcr:3d960daa-e2f3-499f-9df9-2da682976cec/2017%20Complementary_Feeding__A_Position_Paper_by_the.21.pdf
면책 조항: 본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의학적 상태에 대한 질문이 있는 경우 항상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건강 관리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여기에 포함된 정보로 인해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무시하거나 찾는 것을 지연시키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