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긍정 훈육,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오은영 박사와 전문가들이 말하는 과학적 자녀 훈육법 10

2021년, 부모의 징계권을 다룬 민법 제915조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을 때, 많은 대한민국 부모님들은 깊은 불안감에 휩싸였습니다. ‘사랑의 매’조차 허용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대체 어떻게 아이를 가르쳐야 하는가? 이 법적 변화는 부모의 교권을 빼앗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더 효과적이고 인간적인 훈육법을 구축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전 세계 의학 지침, 대한민국 정부의 정책, 그리고 오은영 박사와 같은 최고 전문가들의 조언을 총망라한 이 글은, 도전적이면서도 무한한 의미를 지닌 이 여정에서 당신을 위한 상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도가 될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미국소아과학회(AAP) 및 국제 연구: 이 기사의 체벌 반대 및 긍정 훈육 권장 사항은 미국소아과학회(AAP)가 발표한 공식 정책 성명32과 5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30 등 검증된 국제 연구에 근거합니다.
  • 대한민국 정부 및 의료 기관: 본문의 내용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의 ‘긍정양육 129 원칙’22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의 양육 지침45 등 국내 최고 권위 기관의 권고를 따릅니다.

핵심 요약

  • 훈육은 처벌이 아닙니다: 훈육(訓育)은 장기적인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 과정인 반면, 처벌(處罰)은 즉각적인 행동 통제에만 목적을 둡니다.
  • 긍정 훈육이 핵심입니다: 긍정 훈육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유일한 방법으로, 아이에게 두려움과 반항심 대신 자존감과 자기 조절 능력을 길러줍니다.
  • 세 가지 황금 기둥: 일관성(一貫性), 따뜻함, 그리고 명확한 규칙은 모든 효과적인 훈육 방법의 필수불가결한 3대 요소입니다.25

1부: 마음의 울림 – 왜 훈육은 눈물겨운 전쟁이 되었는가?

자녀 훈육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아이의 행동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한국 사회의 부모들이 겪는 보이지 않는 압박감과 문화적 딜레마가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남의 시선’과 무한 경쟁: 대한민국 부모들의 보이지 않는 압박감

한국 사회에서 ‘남의 시선’은 강력한 사회적 힘입니다.1 공공장소에서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은 단순한 가족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에 폐를 끼치는 ‘민폐’로 여겨집니다. 부모는 개인으로서뿐만 아니라 가족, 나아가 가문의 일원으로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다고 느낍니다. 이 때문에 훈육은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고 가족의 명성을 지키기 위한 필수 도구가 됩니다.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의 한 어머니는 “카페에서 아이가 울기 시작했을 때, 아이보다 주변 사람들이 저를 쳐다보는 시선이 더 무서웠어요”라고 토로했습니다.18 이는 훈육의 목적이 아이의 성장보다 타인의 평가에 맞춰지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2부: 숨겨진 진실 – 왜 기존의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가?

많은 부모들이 과거에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방법들이 실제로는 아이에게 장기적인 상처를 남기고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훈육’과 ‘처벌’의 근본적인 차이를 이해해야 할 때입니다.

‘사랑의 매’의 배신: 체벌이 아이의 뇌와 마음에 미치는 영향 (과학적 증거)

수십 년간 쌓인 국제적인 과학적 증거는 매우 단호합니다. 저명한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거쇼프(Elizabeth Gershoff)가 50년간의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체벌(spanking)은 장기적으로 아이의 순종을 이끌어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공격성 증가, 정신 건강 문제 등 13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0 마찬가지로, 미국소아과학회(AAP)는 신체적 처벌이나 언어폭력이 아이의 뇌 구조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는 장기적인 학습 능력과 정서 발달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합니다.32

3부: 불변의 기본 원칙 – 긍정 훈육이란 무엇인가?

긍정 훈육은 단순히 ‘혼내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를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명확한 한계와 규칙을 가르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법입니다.

정부도 권장하는 ‘긍정양육’: 보건복지부 129 원칙 핵심 요약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NCRC)은 ‘긍정양육 129 원칙’을 통해 부모들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22 이 원칙들은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기’, ‘부모 자신의 감정 돌아보기’, ‘일관성 유지하기’, ‘자녀의 발달 특성 이해하기’ 등 9가지 핵심 실천 방법을 강조합니다. 이는 국가 차원에서 체벌을 넘어선 새로운 양육 패러다임을 장려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 세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 긍정 훈육의 4가지 기둥

유니세프(UNICEF)와 같은 국제기구가 권장하는 긍정 훈육의 핵심은 네 가지 기둥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47 첫째, 장기적인 목표 설정하기. 둘째, 따뜻함과 구조(규칙)를 함께 제공하기. 셋째,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하기. 넷째, 처벌 대신 문제 해결 능력을 가르치기. 이 네 가지 원칙은 아이의 내면에 긍정적인 힘을 길러주는 훈육의 핵심 철학입니다.

4부: 이상과 현실을 잇는 다리 – 10가지 과학적 훈육 방법

이론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은 언제나 어려운 과제입니다. 다음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즉시 실천 가능한 10가지 구체적인 훈육 기술입니다.

방법 1: ‘단호하지만 온화하게’ – 오은영 박사의 ‘통제’와 ‘조절’의 기술

아이가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때, 오은영 박사는 부모가 상황을 안전하게 ‘통제’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10 이는 아이에게 고통을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대신, 아이의 몸을 단단히 붙잡고 눈을 맞추며, 짧고 단호하게 “사람을 때리는 건 안돼”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는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운 아이가 부모의 외부적인 도움을 통해 안정을 되찾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이것은 ‘보복을 위한 처벌’이 아닌, ‘보호를 위한 통제’입니다.

방법 2: 효과적인 타임아웃(생각하는 의자) 사용법 (AAP 지침 기반)

미국소아과학회(AAP)는 타임아웃을 처벌이 아닌, 아이가 흥분을 가라앉히고 스스로를 돌아볼 기회로 활용하라고 권장합니다.44 효과적인 타임아웃의 규칙은 간단합니다. 아이의 나이 한 살당 1분(예: 4세는 4분)을 넘지 않아야 하며, 조용하고 지루한 장소에서 시행해야 합니다. 타임아웃이 끝난 후에는 아이와 함께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다음에는 어떻게 다르게 행동할 수 있을지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법 3: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하기

아이의 자존감과 내적 동기를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결과가 아닌 노력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100점 맞았네, 정말 똑똑하다!”라고 말하기보다 “이번 시험을 준비하면서 정말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멋졌어”라고 말해주는 것이 아이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쉽게 포기하지 않는 회복탄력성을 길러줍니다.

방법 4: 논리적 결과 가르치기

논리적 결과는 아이의 행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결과를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정리하지 않는다면, “지금 정리하지 않으면, 내일은 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없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9 이는 부모의 감정적인 처벌이 아니라, 행동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를 통해 책임감을 배우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방법 5: 감정의 이름 붙여주기

아이가 격한 감정을 보일 때, 그 감정을 무시하거나 억누르려 하지 말고, 대신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세요. “네가 지금 장난감을 뺏겨서 정말 속상하구나”라고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존중받는다고 느끼고,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합니다.39

방법 6: ‘나-전달법’으로 대화하기

“너는 왜 맨날 양말을 아무 데나 벗어놔!”라고 비난하는 대신, ‘나-전달법’을 사용해보세요. “네가 벗어놓은 양말에 엄마가 걸려 넘어질 뻔해서, 엄마는 속상하고 걱정이 돼.” 이처럼 부모의 감정과 상황을 설명하는 방식은 아이의 방어적인 태도를 줄이고 문제 해결에 더 협조적으로 만듭니다.

방법 7: 문제 해결을 위한 선택지 제공하기

아이에게 일방적으로 지시하기보다, 두세 가지 수용 가능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그만 놀고 잠자리에 들어!”라고 말하는 대신, “이제 잘 시간인데, 파란 잠옷 입을까, 노란 잠옷 입을까?”라고 물어보세요. 이는 아이에게 통제감을 주어 자발적인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방법 8: 긍정적인 행동에 집중하고 강화하기

부모는 종종 아이의 부정적인 행동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의식적으로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을 포착하고 즉시 칭찬해주세요. “동생에게 장난감을 양보하다니, 정말 멋진데!”와 같은 구체적인 칭찬은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만드는 가장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방법 9: 부모가 먼저 모범 보이기

아이들은 부모의 말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행동을 배웁니다. 부모가 화가 났을 때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진다면, 아이는 그것이 문제 해결의 방법이라고 배우게 됩니다.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최고의 훈육입니다.

방법 10: 일관된 규칙과 예측 가능한 환경 만들기

일관성은 훈육의 핵심입니다.25 어제는 허용되던 행동이 오늘은 금지된다면 아이는 혼란스러워하고 규칙을 따르기 어려워합니다. 부모가 일관된 태도를 보일 때, 아이는 안정감을 느끼고 무엇이 기대되는 행동인지 명확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5부: 종합 실천 로드맵 – 연령별 접근법

모든 아이는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훈육의 원칙은 같지만, 적용 방식은 달라져야 합니다.

영유아기 (0-3세): 환경 설정과 일관성이 전부입니다

채움정신건강의학과 김세웅 원장에 따르면, 만 3세 이전 아이는 언어 이해나 인과관계 파악 능력이 제한적입니다.27 따라서 이 시기의 가장 효과적인 훈육은 위험한 물건을 치우는 등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부모의 반응에 절대적인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꾸짖기보다는 아이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고, “안돼”와 같이 짧고 명확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유아기 (4-7세): 감정 코칭과 규칙 만들기의 시작

이 시기의 아이들은 복잡한 감정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이때가 바로 ‘감정 코칭’의 황금기입니다. 국내 연구들에 따르면, 감정 코칭에 기반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관계를 크게 개선하고 문제 행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40 “장난감을 못 사서 화가 났구나”처럼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고 인정해주는 것으로 시작하세요.

6부: 권한 부여와 새로운 비전 – 훈육은 행동으로 보여주는 사랑이다

효과적인 훈육의 최종 목표는 통제가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올바른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내면의 힘을 길러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부모 자신에게 있습니다.

부모가 먼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합니다: 양육 스트레스 관리법

효과적인 훈육은 부모의 평정심과 인내심을 요구합니다. 수많은 연구들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이의 문제 행동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20 스스로를 돌보는 시간을 갖고, 배우자나 공동체의 지지를 구하세요. 비어 있는 컵으로는 물을 따를 수 없습니다.

“훈육의 진정한 목적은 아이에게 복종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부모가 줄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선물 중 하나입니다.”

– KRHOW.com 편집위원회

KRHOW.com의 약속: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아이를 키우는 여정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만약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는 것을 주저하지 마십시오. 이 기사는 견고한 지식의 기반을 제공하지만, 개인화된 의학적 진단과 상담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가까운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여 당신의 가족에게 가장 적합한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가볍게 엉덩이를 때리는 것도 체벌인가요?

네, 그렇습니다. 법적, 과학적 정의에 따르면, 고통을 유발하려는 의도를 가진 모든 신체적 행위는 그것이 아무리 가벼울지라도 체벌로 간주되며 권장되지 않습니다.13

긍정 훈육은 아이를 너무 풀어주는 것 아닌가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긍정 훈육은 규칙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명확하고 일관된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다만 그 한계를 두려움과 처벌이 아닌, 존중과 가르침을 통해 실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7

결론

대한민국에서 자녀를 훈육하는 방식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체벌 금지라는 법적 변화는 부모에게서 무언가를 빼앗아 간 것이 아니라, ‘처벌’이라는 낡은 도구를 내려놓고 ‘가르침’이라는 더 강력하고 효과적인 도구를 선택하라는 초대장입니다. 긍정 훈육은 단지 유행하는 이론이 아니라, 과학적 근거와 법적 정당성을 갖춘 유일한 길입니다. 비록 이 길이 더 많은 인내와 노력을 요구할지라도, 그 끝에는 두려움에 떠는 아이가 아닌, 스스로를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건강한 성인이 서 있을 것입니다. 그 위대한 여정에 KRHOW.com이 항상 함께하겠습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차이의 놀이.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훈육의 10대 원칙.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stories/257-10-Prinsip-Pendisiplinan-yang-Perlu-Anda-Ketahui
  2. MissyShop. 소리치지 않고 때리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훈육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market365.com/m/prod_detail.asp?prod_code=sigong0616
  3. YouTube. 훈육 방법은 잘 해놓고 ‘훈육 후’에서 놓치는 ‘이 부분’! | 육아소법원 EP.4 [훈육] 1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QlklOJWWEbc&pp=ygUHI-ycoeyVhQ%3D%3D
  4. 오은영. 아이 훈육에 지칠 때 생각해볼 것들[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 …]. 동아일보. 2022년 6월 15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615/113934758/1
  5. 헬스조선. 말 안듣는 아이 버릇 확실히 고치는 요령은. 2010년 4월 2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0040200818
  6. 브런치. 말 안 듣는 아이 어떻게 양육할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runch.co.kr/@writer-david/80
  7. 세이브더칠드런. 체벌? No! 긍정적 훈육 다섯 가지 원리 실천하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c.or.kr/tm/download/%EC%B2%B4%EB%B2%8C_No_%EA%B8%8D%EC%A0%95%EC%A0%81_%ED%9B%88%EC%9C%A1_%EB%8B%A4%EC%84%AF_%EA%B0%80%EC%A7%80_%EC%9B%90%EB%A6%AC_%EC%8B%A4%EC%B2%9C%ED%95%98%EA%B8%B0.pdf
  8. YouTube. [학급긍정훈육법] 흔들리는 교사를 위한 새로운 훈육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g0b5INcBQGY
  9. YouTube. 처벌 대신 긍정훈육 자연적/논리적 결과로 훈육하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JzRjmWDy9VY&pp=ygUNI-ycoeyVhOy9lOy5mA%3D%3D
  10. 베이비뉴스. 육아멘토 오은영이 전하는 올바른 훈육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808
  11. YouTube. 화내지않고, 올바르게 훈육하는법!!(feat.오은영박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iqDZH5-auZQ
  12. 오마이스타. 예민해 징징대는 6세… 오은영이 제시한 4단계 훈육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752869
  13. 정책브리핑. 징계권 조항 폐지 8개월, 아동학대는 범죄입니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3543
  14. YouTube. “56개국, 자녀 체벌 금지”…우리나라는 법끼리 충돌 / YT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5SQLoSfeKW8
  15. 한겨레. “아동 체벌 더이상 허용되지 않는 나라” 한국은 61번째. 2021년 1월 8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78090.html
  16. 미래조선. 한국, 아동체벌 금지 국가에 합류… 전 세계 62번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futurechosun.com/archives/54880
  17. 사이언스온. [동향]떼쓰는 우리 아이, 엉덩이 맴매해도 될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SCTM00253560
  18. 서울신문. ‘맘카페’ 의지하는 우울한 초보 산모들. 2021년 7월 20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eoul.co.kr/news/plan/abc/2021/07/20/20210720008007
  19. 교보ebook. 맘카페라는 세계 | 사이드웨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preview/4801191998239?chl=lib
  20.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r.re.kr/upload/pdf/khea-49-5-117-10.pdf
  21. YouTube. 맘까페를 뜨겁게 달군 육아 난이도 서열 정리《민주쌤의 육아 코칭 백과》[3분책방 ep.27].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OSbAcIwn9o8
  22. 아동권리보장원. 긍정 양육 129원칙.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411&cntntsId=1355
  23. 정책브리핑. 포용국가 아동정책.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4849
  24. YouTube. [#금쪽이] 오은영 쌤이 무서워졌다 우리 아이 바르게 훈육하는 방법 #오은영 #금쪽같은내새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PE3bNnIdZTY
  25.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부모의 양육태도: 일관된 양육태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olive-world.com/entry/%EB%B6%80%EB%AA%A8%EC%9D%98-%EC%96%91%EC%9C%A1%ED%83%9C%EB%8F%84-%EC%9D%BC%EA%B4%80%EB%90%9C-%EC%96%91%EC%9C%A1%ED%83%9C%EB%8F%84
  26. 차이의 놀이. ‘육아의 일관성’ 어려운 것이 아니에요.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stories/1004-%EC%9C%A1%EC%95%84%EC%9D%98-%EC%9D%BC%EA%B4%80%EC%84%B1-%EC%96%B4%EB%A0%A4%EC%9A%B4-%EA%B2%83%EC%9D%B4-%EC%95%84%EB%8B%88%EC%97%90%EC%9A%94
  27. 정신의학신문. 효과적인 훈육 시기와 방법.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0796
  28. 사이언스온. [논문]학생 체벌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1936332
  29. The State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hysical Punishmen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sd.govt.nz/about-msd-and-our-work/publications-resources/journals-and-magazines/social-policy-journal/spj27/the-state-of-research-on-effects-of-physical-punishment-27-pages114-127.html
  30. Gershoff, E. T., & Grogan-Kaylor, A. (2016). Spanking and child outcomes: Old controversies and new meta-analys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0(4), 453–469. https://doi.org/10.1037/fam0000199. Also see: Risks of Harm from Spanking Confirmed by Analysis of Five Decades of Research.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utexas.edu/2016/04/25/risks-of-harm-from-spanking-confirmed-by-researchers/
  31. PMC. Physical punishment of children: lessons from 20 years of research.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447048/
  32. Sege, R. D., Siegel, B. S., & COUNCIL ON CHILD ABUSE AND NEGLECT, COMMITTEE ON PSYCHOSOCIAL ASPECTS OF CHILD AND FAMILY HEALTH. (2018). Effective Discipline to Raise Healthy Children. Pediatrics, 142(6), e20183112. https://doi.org/10.1542/peds.2018-3112. Also see: AAP News. AAP recommends positive discipline rather than physical, verbal punishmen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lications.aap.org/aapnews/news/7019/AAP-recommends-positive-discipline-rather-than
  33. PMC. Effectiveness of Positive Discipline Parenting Program on Parenting Style, and Child Adaptive Behavio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60916/
  34. PMC. Positive Parenting and Early Childhood Cogni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23053/
  35. ResearchGate. Cochrane Review: Behavioural and cognitive-behavioural group-based parenting programmes for early-onset conduct problems in children aged 3 to 12 years (Review).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1834638_Cochrane_Review_Behavioural_and_cognitive-behavioural_group-based_parenting_programmes_for_early-onset_conduct_problems_in_children_aged_3_to_12_years_Review
  36. Furlong M, et al.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8225.pub2
  37.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ihasa.re.kr/hswr/v.42/4/209/%EB%B6%80%EB%AA%A8%EC%9D%98+%EB%B6%80%EC%A0%95%EC%A0%81+%EC%96%91%EC%9C%A1%ED%83%9C%EB%8F%84%EC%99%80+%EC%B2%AD%EC%86%8C%EB%85%84%EC%9D%98+%EC%99%B8%ED%98%84%ED%99%94+%EB%AC%B8%EC%A0%9C%EC%99%80%EC%9D%98+%EA%B4%80%EA%B3%84+%EA%B7%B8%EB%A6%BF%EA%B3%BC+%EC%9E%90%EC%95%84%EC%A1%B4%EC%A4%91%EA%B0%90%EC%9D%98+%EB%A7%A4%EA%B0%9C%ED%9A%A8%EA%B3%BC
  38. 부모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정서문제 간의 상호적 관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kasne.org/upload/pdf/jkasne-2023-29-4-440.pdf
  3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childstudies.org/upload/pdf/31200516.pdf
  4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상위정서기반 부모 교육 프로그램 효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70734299
  4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논문]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수자의 양육효능감 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3873364
  42. Daum. 오은영이 “아동학대 신고할 것” 경고했는데…“억울해”맘카페에 심경 밝힌 ‘금쪽이 엄마’.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v.daum.net/v/20250101142226127
  43. PMC. Effective discipline for childre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719514/
  44. HealthyChildren.org. What’s the Best Way to Discipline My Chil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family-life/family-dynamics/communication-discipline/Pages/Disciplining-Your-Child.aspx
  45.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양육지침: 공격적인 아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gubun=&page=1&number=9633&mode=view
  46. Cochrane Library. Behavioural and cognitive‐behavioural group‐based parenting programmes for early‐onset conduct problems in children aged 3 to 12 year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ochranelibrary.com/cdsr/doi/10.1002/14651858.CD008225.pub2/information
  47. End Corporal Punishment. POSITIVE DISCIPLINE AND ALTERNATIVES TO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endcorporalpunishment.org/wp-content/uploads/2021/04/CTI-Tool-10-Positive-Discipline-2021-ENG-draft6_FINAL.pdf
  48. Semantic Scholar. 유아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온정적 양육행동 및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공동양육의 조절된 매개효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childstudies.org/upload/pdf/kjcs-42-4-47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