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아기 침 흘림과 구토, 정상과 위험 신호 구별법부터 응급 대처까지 (AAP·대한소아과학회 가이드라인 기반)

아기가 침을 흘리거나 갑자기 토할 때, 많은 부모님들의 가슴은 철렁 내려앉습니다. 이것이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인지, 아니면 병원으로 달려가야 할 위험 신호인지 구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와 같은 부모님들의 깊은 고민을 해결하고자, 미국소아과학회(AAP)와 대한소아과학회 등 국내외 최고 권위 기관의 가이드라인과 소아과 전문의들의 임상 경험을 총망라하여 이 글을 준비했습니다. 본 안내서는 부모님들께서 아기의 침 흘림과 구토에 대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자신감을 갖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KRHOW는 독자 여러분께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소아과학회(AA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KSPGHAN),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외 권위 있는 기관의 최신 지침과 연구를 바탕으로 모든 콘텐츠를 제작하고 검증합니다.

  • 미국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이 기사의 ‘정상적인 게워냄과 위험한 구토 구별법’ 및 ‘안전한 수면 자세’에 관한 권장 사항은 AAP가 발표한 공식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34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KSPGHAN): 영아 위식도 역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은 KSPGHAN의 임상 지침을 참조하였습니다.10
  • 국내외 주요 의료기관 및 전문가: 서울아산병원 박준성 교수, 삼성서울병원 영양팀 등 국내 최고 의료 전문가들의 임상적 조언과 MSD 매뉴얼, 메이요 클리닉 등 공신력 있는 의학 정보 출처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반영했습니다.21516

핵심 요약

  • 침 흘림은 생후 18~24개월까지 흔한 정상 발달 과정이며, 4세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게워냄(역류)’은 힘들이지 않고 소량의 젖을 흘리는 반면, ‘구토’는 힘주어 많은 양을 쏟아내는 것으로 둘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녹색/황색 담즙성 구토, 혈액성 구토, 분수토, 심한 처짐이나 고열을 동반하는 구토는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한 응급 신호입니다.
  • 올바른 수유 자세, 충분한 트림, 식후 안정 등 가정에서의 비약물적 관리법이 대부분의 경미한 역류 증상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핵심 첫걸음: 우리 아기, 정상일까? 병원에 가야 할까?

부모로서 마주하는 가장 큰 질문은 바로 이것입니다. 이 글의 핵심 목표는 부모님들이 이 질문에 자신 있게 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우리는 아기에게 흔히 나타나는 두 가지 주요 문제, 즉 부모의 마음을 늘 조마조마하게 만드는 ‘침 흘림’과 급작스러운 공포를 유발하는 ‘구토와 역류’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명확한 해답을 제시할 것입니다.

제1부: 아기 침 흘림 (Sialorrhea) – 걱정스러운 현상인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인가?

아기의 옷깃이 항상 축축하게 젖어 있는 것을 보면 부모님들은 혹시 어디가 아픈 것은 아닐까 걱정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기의 침 흘림은 지극히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입니다.

아기가 침을 많이 흘리는 정상적인 이유

아기들이 침을 많이 흘리는 데에는 명확한 생리학적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생후 3~6개월이 되면 침샘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지만, 아기의 구강 근육 조절 능력과 삼킴 반사는 아직 미숙하여 생성된 침을 온전히 삼키지 못합니다.24 둘째, 이가 나기 시작하는 시기(teething)에는 잇몸의 통증과 부기를 완화하기 위한 자연적인 방어기제로 침 분비가 더욱 증가합니다.22 미국소아과학회(AAP)의 공식 정보 사이트인 HealthyChildren.org에 따르면, 침은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구강 내 세균을 씻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6 이러한 현상은 보통 생후 2세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일부 건강한 아이들에게서는 4세까지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2327

주의가 필요한 침 흘림: 언제 의사와 상담해야 할까?

대부분의 침 흘림은 정상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만 4세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 4세가 지나도 침 흘림이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는다면, 구강 운동 기능이나 해부학적 문제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23
  • 갑작스러운 과도한 침 흘림: 평소와 달리 갑자기 침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열, 삼킴 곤란, 발진 등을 동반한다면 인후염, 수족구병과 같은 감염성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23
  • 발달 지연 또는 신경학적 문제 동반: 침 흘림이 근긴장도 저하, 전반적인 발달 지연과 같은 다른 문제와 함께 나타난다면, 뇌성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상태를 감별해야 할 수 있습니다.22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MedlinePlus 역시 이러한 경우 전문가의 평가를 권고하고 있습니다.28

“드문 경우지만, 비정상적인 침 흘림은 기저 질환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조기 발견의 첫걸음입니다.”

–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임상 리뷰22

[실전 가이드] 침독(접촉 피부염) 관리 및 예방법

침으로 인해 아기의 입 주변, 턱, 목의 피부가 붉어지고 거칠어지는 ‘침독’은 부모의 또 다른 걱정거리입니다. 다음 3단계 관리법은 침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기: 부드러운 순면 손수건이나 거즈를 사용하여 침을 닦아주되, 피부를 문지르지 말고 가볍게 ‘톡톡’ 두드려 흡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하게 문지르는 행동은 연약한 아기 피부의 보호막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18
  2. 보호막 형성하기: 피부를 깨끗이 한 후, 산화아연(Zinc Oxide) 성분이 포함된 크림이나 바셀린과 같은 물리적 차단제를 얇게 발라주어 침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막을 형성합니다.20
  3. 보습하기: 무향, 저자극성의 유아용 보습제를 수시로 발라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건강하게 유지합니다.29

만약 이러한 관리에도 불구하고 피부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진물이 나거나, 고름이 잡히는 등 2차 감염의 징후가 보이면 즉시 소아과나 피부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19

제2부: 아기 구토와 역류 – 부모를 위한 완벽 해독 가이드

수유 후 아기가 소량의 젖을 게워내는 것과 병적인 구토는 완전히 다른 현상입니다.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불필요한 걱정을 줄이고 위험 신호를 놓치지 않는 첫걸음입니다.

“게워냄” vs “구토”: 가장 중요한 차이점

가장 중요한 것은 ‘게워냄(역류, Spitting up)’과 ‘구토(Vomiting)’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게워냄’은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근육이 미성숙하여 위 속의 내용물이 힘들이지 않고 소량씩 입 밖으로 흘러나오는 현상입니다. 이때 아기는 불편해하지 않고 평소처럼 잘 놀기 때문에 ‘행복한 토쟁이(happy spitters)’라고도 불립니다.3 반면, ‘구토’는 복부와 횡격막 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위 속 내용물을 힘껏 뿜어내는 격렬한 반응입니다. 구토 시 아기는 대개 얼굴을 찡그리며 고통스러워하고, 이는 기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1

표 1: 게워냄(역류) vs. 구토(병적) 비교
Tiêu chí Trớ sinh lý (단순 역류 – “Happy Spitter”) Nôn bệnh lý (위험한 구토 – Cần chú ý)
토하는 힘 힘들이지 않고 입가로 주르륵 흘러나옴. 주로 트림과 동반됨. 강하고 힘주어 뿜어냄, 분수처럼 뿜어져 나옴(분수토).1
아기의 상태 여전히 즐겁고 편안해 보이며, 아파 보이지 않음. 불편해하고, 보채거나 울며, 구토 후 축 처짐.2
소량, 한두 모금 정도의 젖. 많은 양, 먹은 것을 거의 다 토하거나 그 이상을 토함.2
빈도 주로 수유 직후나 자세를 바꿀 때 발생. 수유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발생.1
성장에 미치는 영향 영향 없음, 체중이 정상적으로 증가함.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 부진을 유발함.3
동반 증상 없음. 열, 설사, 발진, 호흡 곤란, 복부 팽만 등을 동반할 수 있음.15

영아 위식도 역류(GER): 왜 흔하고 언제 사라질까?

영아 위식도 역류(GER)는 질병이 아닌 생리적 현상입니다. 아기의 하부식도괄약근(LES)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일시적으로 이완되기 쉽고, 식도가 짧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보내고, 식단이 완전한 유동식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11143132 통계에 따르면 생후 3개월 미만 영아의 약 50%가 하루에 한 번 이상 게워냄을 경험할 정도로 매우 흔합니다.16 다행히 이러한 현상은 아기가 성장하여 앉고 서기 시작하면서 소화기계가 성숙하는 생후 12~18개월경에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431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KSPGHAN)는 대부분의 영아 역류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임을 강조합니다.10

위식도 역류병(GERD)과 기타 위험한 구토 원인들

단순한 생리적 역류(GER)가 아닌,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 병적인 상태들도 있습니다.

  • 위식도 역류병(GERD): 단순 역류가 심해져 수유 거부, 체중 감소, 호흡 곤란, 만성 기침, 식도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때를 말합니다.68
  • 바이러스성 위장염: 급성 구토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보통 설사와 미열을 동반합니다.15
  • 비후성 유문 협착증: 생후 2주에서 4개월 사이의 아기에게서 수유 때마다 점점 심해지는 분수토가 특징적인 질환입니다.6
  • 우유 단백질 알레르기: GERD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로는 피부 발진이나 혈변을 동반하기도 합니다.69
  • 기타 심각한 원인: 장중첩증이나 요로감염, 뇌수막염과 같은 전신 감염도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015

[가장 중요] 응급 상황! 즉시 병원으로 달려가야 할 위험 신호 (Red Flags)

다음은 단순한 문제가 아님을 알리는 ‘적색경보’입니다. 아래 증상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119에 연락해야 합니다.

표 2: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구토의 위험 신호 체크리스트
확인 Dấu hiệu Cảnh báo (Red Flag) Mô tả chi tiết
담즙성 구토 (녹색/선명한 노란색) 토사물에 녹색이나 밝은 노란색의 액체가 섞여 나옵니다. 이는 장이 막혔다는 신호일 수 있으며, 즉각적인 의학적 개입이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1
혈액성 구토 토사물에 선홍색 피가 섞여 있거나 커피 찌꺼기 같은 검붉은 색을 띱니다.3
지속적인 분수토 특히 생후 3개월 미만의 아기가 매 수유 후마다 강하게 분수처럼 토를 뿜어냅니다.2
심하게 처지거나 깨우기 어려움 아기가 평소와 다르게 기운이 없고, 외부 자극에 거의 반응하지 않으며, 잠만 자려고 합니다.2
심한 탈수 징후 8시간 이상 기저귀가 젖지 않거나, 입안이 바싹 마르고, 눈이 푹 꺼져 보이며, 울어도 눈물이 나지 않고, 대천문이 움푹 꺼져 보입니다.2
고열을 동반한 구토 고열과 함께 지속적인 구토가 나타난다면 심각한 감염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15
호흡 곤란 또는 청색증 구토 중 또는 후에 아기가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숨을 가쁘게 쉬거나, 피부나 입술이 푸르스름하게 변합니다.1
심한 복통 아기가 자지러지게 울고, 다리를 배 쪽으로 끌어당기며, 배가 딱딱하게 팽창되어 있습니다.15
최근 머리 부상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 머리에 충격을 받은 후 구토를 시작했습니다.2

증거 기반 홈케어: 집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아기를 돌보는 방법

대부분의 경미한 역류는 가정에서의 세심한 관리로 충분히 조절 가능합니다.

수유 방법 및 자세 교정

  • 소량씩 자주 먹이기: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먹여 위에 부담을 주기보다는, 양을 줄이고 수유 횟수를 늘리는 것이 효과적입니다.16
  • 수직 자세 유지: 수유 중과 수유 후 최소 20~30분 동안은 아기의 머리가 몸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세워서 안아줍니다.4
  • 충분한 트림: 수유 중간과 후에 트림을 시켜 아기가 수유 중 삼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돕습니다.16
  • 식후 안정: 수유 직후에는 아기를 흔들거나 격렬하게 놀아주는 활동을 피합니다.16
매우 중요: 안전한 수면 자세역류 증상이 있더라도,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아기는 항상 등을 바닥에 대고 똑바로 눕혀 재워야 합니다.1634 역류 방지를 위해 엎드려 재우거나 옆으로 눕히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절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음식 조절: 분유 걸쭉하게 만들기 및 식단 변경

의사의 지도 하에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 분유 걸쭉하게 하기: 분유 수유아의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분유에 소량의 쌀가루(rice cereal)를 첨가하여 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30ml당 1 티스푼).3
  • 모유 수유모의 식단 조절: 아기에게 GERD 증상이 있는 모유 수유아의 경우, 의료진은 수유모에게 2~4주간 우유 및 유제품, 계란 등을 식단에서 배제해 볼 것을 권고할 수 있습니다.8
  • 특수 분유로 변경: 분유 수유아의 경우, 의사는 가수분해 분유나 아미노산 분유와 같은 특수 조제 분유로의 변경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8

미국가정의학회(AAFP)와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KSPGHAN)는 모든 식단 변경, 특히 분유 농도 조절은 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함을 강조합니다.910

의학적 치료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나? (개요)

대부분의 생리적 역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산분비억제제(PPIs)와 같은 약물은 식도염이나 체중 증가 부진 등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된 위식도 역류병(GERD) 환자에게만 고려되며,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과 엄격한 감독 하에 사용되어야 합니다.8 위저부주름술(fundo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는 다른 모든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드물고 심각한 경우에만 마지막 수단으로 시행됩니다.11

경고: 의사의 처방 없이 아기에게 어떠한 약물도 투여하지 마십시오.잘못된 약물 사용은 아기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모든 치료는 반드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 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토해서 병원에 갔더니 장염 초기래요. 설사도 없는데 장염이 맞나요?

A: 네, 그럴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종종 구토 증상으로 시작되며, 설사는 몇 시간 또는 하루 정도 뒤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설사 없이 구토만 할 수 있습니다.5

Q: 역류방지분유는 효과가 있나요?

A: 미리 농도가 걸쭉하게 조제된 역류방지분유(AR formula)는 일부 아기들에게서 게워냄의 횟수와 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마다 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분유를 바꾸기 전에는 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영양팀에서도 역류가 심한 아기들을 위한 영양 관리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2134

Q: 아이가 토할 때마다 등을 두드려줘야 하나요?

A: 아이를 약간 앞으로 숙인 자세에서 등을 가볍게 쓸어내리거나 토닥여주는 것은 아이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을 세게 치거나, 억지로 토하게 하려고 손가락을 입에 넣는 행위는 식도나 입안에 상처를 입히거나 추가적인 구토를 유발할 수 있어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233

결론: 부모의 세심한 관찰과 전문가의 도움이 아기 건강의 열쇠입니다

아기의 침 흘림과 게워냄은 대부분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럽고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 글을 통해 제시된 과학적 근거들을 바탕으로 정상적인 발달과 위험 신호를 구별하고, 올바른 홈케어 방법을 실천함으로써 부모님들은 불필요한 불안감을 덜고 아기를 더 편안하게 돌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적색경보’에 해당하는 응급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 부모의 직감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의 상태에 대해 조금이라도 확신이 서지 않거나 걱정이 될 때는 망설이지 말고 소아과 전문의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신생아 구토, ‘이럴 땐’ 병원 가야 하는 응급 상황 – 헬스조선.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22400852
  2. 토하는 우리 아이, 어디가 아픈 것은 아닌지.. 부모님들이 반드시 … – 서울아산병원.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news.amc.seoul.kr/news/con/detail.do?cntId=6440
  3. Reflux (Spitting Up) – HealthyChildren.org.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tips-tools/symptom-checker/Pages/symptomviewer.aspx?symptom=Reflux+(Spitting+Up)
  4. Gastroesophageal Reflux (GER) &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 HealthyChildren.org.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issues/conditions/abdominal/Pages/GERD-Reflux.aspx
  5. 밤에 구토하는 아이, 큰 병원에 가봐야 하는 건가요 – 베이비뉴스.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811
  6. Causes of Vomiting in Infants & Children – HealthyChildren.org.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issues/conditions/abdominal/Pages/Infant-Vomiting.aspx
  7.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Infants and Children – AAFP.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5/1015/p705.html
  8. Lightdale JR, Gremse DA. Gastroesophageal Reflux: Management Guidance for the Pediatrician. American family physician. 2013;87(5):395. Note: The provided URL in source leads to a different article, but this is the correct citation for the topic. The original report’s URL was likely a typo for a page discussing the 2013 guidelines.
  9. AAP Release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Children – AAFP.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4/0301/p395.html
  10.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소아 위식도 역류질환의 최신지견. 2008.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e-cep.org/upload/pdf/2000430501-20081245185845.PDF
  11. 소아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 KoreaMed Synaps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21kjpgn/kjpgn-1-19.pdf
  12. 3살 넘어서도 침 많이 흘릴 땐 진단 받길 – 한겨레.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561295.html
  13. 위식도역류질환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2057
  14. 요약 정보: 소아 위식도 역류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msdmanuals.com/ko/home/%EA%B8%B0%EB%B3%B8-%EC%A0%95%EB%B3%B4-%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6%8C%EC%95%84%EC%9D%98-%EC%86%8C%ED%99%94-%EC%9E%A5%EC%95%A0/%EC%86%8C%EC%95%84-%EC%9C%84%EC%8B%9D%EB%8F%84-%EC%97%AD%EB%A5%98
  15. 영아 및 소아의 구토 – 아동의 건강 문제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98%81%EC%95%84-%EB%B0%8F-%EC%86%8C%EC%95%84%EC%9D%98-%EC%A6%9D%EC%83%81/%EC%98%81%EC%95%84-%EB%B0%8F-%EC%86%8C%EC%95%84%EC%9D%98-%EA%B5%AC%ED%86%A0
  16. Spitting up in babies: What’s OK, what’s not – Mayo Clinic.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infant-and-toddler-health/in-depth/healthy-baby/art-20044329
  17. Infant acid reflux – Diagnosis and treatment – Mayo Clinic.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acid-reflux/diagnosis-treatment/drc-20351412
  18. 침독 관리법 – 더마119. Accessed August 12, 2025. http://www.derma119.co.kr/Module/News/Lecture.asp?MODE=V&SRNO=8806
  19. 315. 아기 침독, 이렇게 관리하세요! 3단계 치료법과 예방법 #침독 – YouTub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y5gxKaCv7kw
  20. 263. 침독(drool rash) – YouTub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csO_XsczqD4
  21. 영양팀 | 삼성서울병원. Accessed August 12, 2025.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etarySub01.do?ds_code=D0001703&content_id=1116
  22. Boccia G, et al. Drooling in children: A clinical review. PMC – PubMed Central. 2010.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827743/
  23. 침흘리는아이 – 경희예한의원. Accessed August 12, 2025. http://www.soasoa.com/sub6_2_6.php
  24. 침 흘리는 우리 아기, 너무 많이 흘려도 안 좋은 걸까요? – 차이의 놀이.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chaisplay.com/stories/1439-%EC%B9%A8-%ED%9D%98%EB%A6%AC%EB%8A%94-%EC%9A%B0%EB%A6%AC-%EC%95%84%EA%B8%B0-%EB%84%88%EB%AC%B4-%EB%A7%8E%EC%9D%B4-%ED%9D%98%EB%A0%A4%EB%8F%84-%EC%95%88-%EC%A2%8B%EC%9D%80-%EA%B1%B8%EA%B9%8C%EC%9A%94
  25. Saliva Control in Children –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rch.org.au/uploadedfiles/main/content/plastic/salivabook.pdf
  26. Drooling and Your Baby – HealthyChildren.org.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ages-stages/baby/teething-tooth-care/Pages/Drooling-and-Your-Baby.aspx
  27. What is drooling? – Nicklaus Children’s Hospital.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nicklauschildrens.org/symptoms/drooling
  28. Drooling: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3048.htm
  29. 316. 침독 없애는 3단계 치료법! 엄마들이 꼭 알아야 할 팁 #침독 #육아상식 – YouTub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youtube.com/shorts/inl9NtXrIfY
  30. 아기 볼에 생기는 침독 관리법 이렇게만 하시면 됩니다 – YouTub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kU1R7dv11aA
  31. 유아의 역류 – 지역 사회 건강.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chcrr.org/ko/health-topic/reflux-in-infants/
  32. Study on Gastroesophageal Reflux according to Feeding Types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Korea Scienc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0121764011898.pub
  33. 토하는 우리 아이, 어디가 아픈 것은 아닌지.. 부모님들이 반드시 알아둬야 할 것! | 서울아산병원 – YouTube.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I7N_IN6EoUA
  34.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infants –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Accessed August 12, 2025. https://www.rch.org.au/clinicalguide/guideline_index/Gastrooesophageal_reflux_disease_in_inf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