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경막외 마취: 처리 과정과 효과

서론

현대 의료 현장에서 경막외 마취는 수술 및 각종 치료 과정에서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 기법은 임신 중 진통을 완화하는 데 널리 활용되어, 흔히 “무통 분만”으로도 불립니다. 과거에는 출산 중 극심한 통증을 감수해야 한다고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경막외 마취를 통해 분만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어 산모의 체력 소모를 줄이고 분만 경험을 보다 긍정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경막외 마취는 급성 통증, 만성 질환, 수술 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척추 주변의 특정 공간(경막외강)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함으로써 감각과 운동 신경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대상에 따라 다양한 용량 조절이 가능합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저용량에서부터 적정 용량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해 통증을 억제하고, 혈역학적 안정을 유지하며, 필요하다면 반복 주입으로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막외 마취가 무엇인지, 어떤 장점과 절차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임산부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과 부작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또한 최신의 연구 결과와 임상적 권고사항을 보완해 경막외 마취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겠습니다.

전문가에게 상담하기

이 글은 국제 Vinmec 병원의 웹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해당 병원은 다양한 의료 서비스와 학술 자료를 제공하며, 특히 분만 및 산부인과 분야에서 전문적인 연구와 진료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문에서는 최근 4년 이내(2020년~2023년)에 발표된 주요 국제 학술지 및 전문 기관의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를 추가로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다만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로 경막외 마취를 고려하신다면 담당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안전하고 적절한 방법을 결정하시길 권장합니다.


경막외막이란 무엇인가?

경막외막은 신경계 구조물 중 하나로, 척추 내의 후두공에서 천골 틈까지 이어지는 가상의 닫힌 공간을 말합니다. 이 공간 내부에는 신경근, 림프계, 지방 조직, 느슨한 결합 조직, 정맥 신경총 등 다양한 조직이 분포하며, 이곳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해 신경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바로 경막외 마취의 핵심입니다.

  • 경막외강의 특징
    • 베트남의 임상 자료에 따르면 경막외강의 부피는 약 120~140mL 수준으로, 1~2mL의 국소마취제가 단일 척추간격에 분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개인마다 해부학적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 용량을 사용하더라도 마취 범위나 효과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막외 마취는 이러한 경막외강에 적정량의 마취제를 주입함으로써 신경 신호의 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통상적으로 하반신 수술(예: 하지, 골반, 하복부 등)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상복부 또는 흉부 수술에서도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습니다. 국소마취제 외에 진통제(예: 마약성 진통제)를 병용함으로써 통증 완화 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습니다.


경막외 마취의 장점과 효과

경막외 마취가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이점과 안전성이 비교적 높다는 점에 있습니다. 특히 정맥마취나 전신마취와 달리 혈역학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고, 특정 부위의 감각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다양한 수술 부위에 적용 가능

  • 하지, 골반, 하복부 수술: 대표적으로 무릎 관절 수술, 고관절 교체술, 자궁 적출술, 제왕절개 수술 등이 꼽힙니다.
  • 협동 마취: 경막외 마취를 기관내 마취와 병행해 진행하면, 대수술 시 혈역학 안정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수술 후 급성 통증 완화

  • 경막외 마취는 수술이 끝난 후에도 카테터를 남겨두어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빠른 회복과 재활을 돕는 데 유리합니다.
  • 면역계 기능 및 심폐 기능 보존: 과도한 통증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해 심장 박동수, 혈압, 호흡수가 증가하는 등 다양한 생리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데, 경막외 마취는 이러한 반응을 완화해 면역계와 심폐 기능 보존에 도움을 줍니다.

3) 만성 통증 조절

  • 대상포진 신경통, 좌골 신경통, 퇴행성 척추 질환 등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을 통해 통증을 줄이고 일상생활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일부 암성 통증에도 경막외 마취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진통법에 반응이 낮은 환자에게 고려됩니다.

4) 분만 중 통증 완화

  • “무통 분만”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자궁 경부가 2~3cm 정도 개대되었을 때 시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통증을 줄이면서도 출산 과정의 기본적 감각은 유지할 수 있어 산모의 체력 보존과 심리적 안정을 돕습니다.
  • 정상 분만뿐 아니라 제왕절개 수술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경막외 마취의 효과 근거: 최신 연구 동향

경막외 마취가 분만과 수술 후 관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최근 4년간 국제 학술지에 발표되었습니다. 예컨대, JAMA Network Open(2020)에 실린 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는 경막외 마취를 받은 산모와 받지 않은 산모를 비교해 출산 후 우울증 발생 위험을 평가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경막외 마취를 받은 군에서 출산 후 우울감이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Neuman MD, Bauer ME, Sherman FR, et al., 2020; 3(10): e2020899, doi: 10.1001/jamanetworkopen.2020.20899). 연구진은 출산 통증의 강도가 줄어듦에 따라 산모가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좀 더 잘 조절하게 된 점이 원인일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Scientific Reports(2021)에 게재된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에서는(대만 지역), 경막외 마취와 출산 후 정신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 경막외 마취를 통해 분만 통증을 적절히 조절한 산모에서 산후 우울증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고 보고되었습니다(Chang CH, Cheng PJ, et al., 2021; 11:5189, doi: 10.1038/s41598-021-84749-2). 이는 산모가 분만 과정을 보다 긍정적으로 경험할 경우, 출산 이후의 심리적 안녕이 개선된다는 점을 뒷받침합니다.

이 외에도 루마니아에서 진행된 한 전향적 관찰 연구에 따르면, 경막외 분만 진통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산모의 통증 강도를 완화할 뿐 아니라 산후 우울증 유병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경막외 마취가 단순 통증 억제를 넘어, 산모의 정서 안정에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Alfirescu D, Ionescu DC, Săndulescu M, et al., 2022; 29(1):39-45, doi:10.2478/rjaic-2022-0007)

이처럼 최근 연구들은 경막외 마취의 안전성과 효과가 단순히 통증 조절뿐 아니라 산후 정신건강 측면에서도 유의미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물론 각 연구마다 참가자의 건강 상태나 지역별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해야 하며, 의료진의 전문적 판단이 필수적입니다.


임산부의 경막외 마취 절차

경막외 마취 절차는 비교적 정형화되어 있으나, 임산부의 경우 태아의 상태와 산모의 전반적 건강이 매우 중요하므로 보다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1. 사전 준비
    • 수액 투여: 마취 전에 충분한 수액 투여로 저혈압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체위 조절: 산모에게 척추를 넓히기 위해 등을 곧게 세우거나 옆으로 눕는 자세, 혹은 가능한 한 몸을 아치형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게 합니다.
  2. 시술 과정
    • 소독 및 국소 마취: 시술 부위를 소독한 후, 국소 마취를 통해 시술에 따른 통증이나 불편감을 최소화합니다.
    • 카테터 삽입: 경막외강을 찾아 카테터를 삽입하고, 테스트 용량의 마취제를 먼저 투여해 신경차단 범위와 부작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 추가 마취제 주입: 테스트가 안정적으로 끝나면, 필요한 용량의 마취제를 본격적으로 주입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3. 모니터링 및 관리
    • 시술 직후 저혈압, 호흡 억제,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 여부를 면밀히 관찰합니다.
    • 경막외 카테터를 유지해 출산 시 통증이 심해질 경우 추가 용량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 태아의 심박동수, 산모의 자궁수축 패턴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안전을 확보합니다.

이렇게 시행된 경막외 마취의 성공률은 보통 95% 이상으로 보고됩니다. 다만 고령 산모, 척추 구조의 선천적 이상, 비만 등의 요인이 있는 경우 삽입에 시간이 더 걸리거나 마취 범위가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경막외 마취의 영향

경막외 마취는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체에 인위적 개입을 하는 이상 부작용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임산부와 태아 모두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야 합니다.

1) 저혈압

  • 경막외 마취제(국소마취제 혹은 마약성 진통제의 혼합물)가 교감신경 차단을 일으켜 말초 혈관이 확장되면 혈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저혈압이 심해지면 메스꺼움, 현기증, 식은땀, 손발 저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위험이 있습니다.
  • 대처 방법: 사전 수액 주입, 탄력 스타킹 착용, 빠른 혈압 모니터링 및 필요 시 혈관수축제 투여 등이 일반적으로 이뤄집니다.

2) 요통

  • 출산 후 경막외 마취로 인해 요통이 생겼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출산 과정과 산후 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대 이완, 자세 불균형 등이 원인일 때가 많습니다.
  • 단순히 바늘 삽입 부위에 약간의 통증이나 멍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인 만성 요통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적습니다.

3) 두통

  • 경막외 천자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경막이 우연히 천공되어 뇌척수액이 새어 나오는 경우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두통은 앉거나 서 있을 때 심해지고, 누웠을 때 감소하는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는데, 대부분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됩니다.
  • 심한 경우 ‘경막외 혈액 봉합술(Epidural Blood Patch)’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부작용

  • 카테터 위치 이상: 삽입 위치가 미세하게 어긋나면 마취가 부분적이거나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국소 감염: 위생 관리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카테터 삽입 부위가 감염될 가능성이 있으나, 실무에서는 철저한 소독으로 이를 최소화합니다.
  • 알레르기 반응: 국소마취제나 진통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두드러기, 호흡 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시 대응해야 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전문의와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이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대부분 극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경막외 마취를 받는 동안에는 반드시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경막외 마취와 산모·태아 안전성에 대한 추가 연구

경막외 마취가 산모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면뿐 아니라 태아 안전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컨대, BMC Anesthesiology(2023)에 게재된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는 다경산부(이미 여러 번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조기 경막외 진통 시행이 산후 우울감 및 모자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조기 경막외 진통 그룹에서 통증 만족도가 높고 출산 후 정서적 상태가 안정적이었다는 결론이 제시되었습니다(Hu L, Zhang Y, Zhao X, et al., 2023; 23(1):45, doi: 10.1186/s12871-023-02016-y).

연구진은 특히 산후 우울감과 모유 수유의 연관성을 주목했는데, 통증 관리가 적절히 이뤄지면 모유 수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물론 태아 발달 지표(아프가 점수, 호흡 곤란 지표 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경막외 마취가 태아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여전히 미미하다는 결론을 뒷받침합니다.

다만, 경막외 마취가 무조건 ‘모든 상황’에서 이상적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출산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산모가 특정 신경학적 질환을 앓고 있을 때는 다른 형태의 마취 방법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철저한 산전 진단과 의료진의 경험적 판단을 통해 결정됩니다.


경막외 마취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1) 경막외 마취는 얼마나 오래 지속됩니까?

답변:
투여된 마취제의 종류, 용량,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통 1시간에서 4시간가량 효과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출산 시에는 통증 양상에 따라 의료진이 추가 용량을 조절해 보다 오랜 시간 통증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설명 및 조언:

  • 분만 상황에서 자궁 수축을 감지하면서도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취제 농도를 세밀히 조절합니다.
  • 혈압, 호흡, 자궁수축 상태, 태아 심박동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추가 투여를 결정합니다.
  • 필요한 경우 카테터를 통해 주기적으로 마취제를 소량씩 추가 주입함으로써 분만 과정을 편안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경막외 마취는 모든 임산부에게 적용될 수 있나요?

답변:
대부분의 임산부에게 적용이 가능하지만, 일부 특정 질환이나 척추 구조 이상, 심각한 혈액 응고 장애, 알레르기 체질 등을 가진 경우에는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모가 마취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을 갖고 있거나, 중증 감염 상태라면 신중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설명 및 조언:

  • 개인별 건강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은 뒤, 마취통증의학과와 산부인과 의료진이 협의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거 척추 수술 이력이나 척추측만증, 디스크 수핵 탈출증 등을 앓고 있는 경우 삽입 위치 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이에 따른 마취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경막외 마취는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나요?

답변:
경막외 마취 자체가 태아에게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취제로 인한 간접적 영향(혈압 변동 등)은 전문 의료진이 모니터링해 관리 가능합니다.

설명 및 조언:

  • 마취 시술 전후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검사하고, 심박수와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 경막외 마취 시행 후 예상보다 혈압이 크게 떨어지면 약물 조절, 수액 공급, 체위 변경 등을 통해 태아에 대한 부정적 영향 최소화를 위해 즉각적인 대응이 이뤄집니다.
  • 경막외 마취 중 감염, 알레르기 반응 등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면 태아에게 유의미한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결론 및 제언

결론

경막외 마취는 수술 및 분만 중 통증 관리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는 의료 기술로, 혈역학적 안정과 함께 비교적 빠른 회복을 돕는 중요한 마취법입니다. 분만 분야에서는 “무통 분만”으로 불리며, 산모가 겪는 고통과 긴장을 줄이고 출산 과정을 보다 편안하고 긍정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기여합니다.

또한 최근 국내외 연구에서 산후 우울증 발생 위험 감소, 전신마취 대비 부작용률 감소 등 다양한 임상적 장점을 보고하고 있어, 경막외 마취는 향후에도 계속 발전하고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개인별 건강 상태, 척추 구조, 기저 질환 등의 변수가 있으므로, 무조건 모든 산모에게 권장되는 것은 아니며, 사전 진단과 전문가의 조언이 필수적입니다.

제언

  • 개인별 맞춤 평가: 경막외 마취를 고려하는 모든 임산부와 환자는 먼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상세히 파악하고, 척추나 혈액 응고 기능 관련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전문의와의 사전 상담을 통해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면 더 안전한 시술이 가능합니다.
  • 의료진과의 긴밀한 의사소통: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산부인과 전문의 등 다양한 의료진과의 상호 협력이 이뤄질 때,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마취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시점 선택: 무통 분만 시 경막외 마취를 너무 늦게 시행하면 통증 경감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궁 경부가 2~3cm 이상 개대된 시점에 맞춰 의료진과 협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시술 후 관찰: 마취 후에는 혈압, 맥박, 호흡, 자궁수축, 태아 상태를 면밀히 점검해야 합니다. 저혈압, 두통,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나면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반드시 전문 의료진이 상주하는 환경에서 시술을 받고 모니터링을 유지해야 합니다.
  • 통증 관리와 정신건강: 출산이나 수술 후에는 통증이 고조되기 쉽고, 이는 우울감이나 불안 장애와 같은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경막외 마취는 통증 완화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을 통해 전반적인 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니, 필요하다면 담당 의사와 상의해 적극 활용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참고 문헌

  • 이 글은 국제 Vinmec 병원의 웹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Vinmec 병원 웹사이트
  • Neuman MD, Bauer ME, Sherman FR, et a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Epidural Versus Non-Epidural Labor Analgesia on Postpartum Depression Risk.” JAMA Netw Open. 2020;3(10):e2020899. doi: 10.1001/jamanetworkopen.2020.20899
  • Chang CH, Cheng PJ, et al. “Epidural analgesia and postpartum depressio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Taiwan.” Sci Rep. 2021;11:5189. doi: 10.1038/s41598-021-84749-2
  • Alfirescu D, Ionescu DC, Săndulescu M, et al. “Epidural analgesia in labor and postpartum depressio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Rom J Anaesth Intensive Care. 2022;29(1):39-45. doi: 10.2478/rjaic-2022-0007
  • Hu L, Zhang Y, Zhao X, et al. “Effect of Early Epidural Analgesia on Postpartum Depression in Multipar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Anesthesiol. 2023;23(1):45. doi: 10.1186/s12871-023-02016-y

중요 안내: 본 글은 전문적인 의료 지식과 최신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와 증상은 다양하므로, 실제 진료나 치료를 시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 등 전문 의료진과 상의하시길 권장합니다. 이 글은 공식적인 진료 지침이나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