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B형 간염 보유자들을 위한 안전한 피임법 – 꼭 알아야 할 정보

B형 간염 보유자를 위한 안전한 피임: 필수 정보와 전문가 조언

B형 간염 바이러스(HBV)를 보유하고 계신 분들에게 피임 방법 선택은 건강 상태와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B형 간염은 간 건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안전한 피임법 선택에 신중한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1. 과거 높은 유병률을 보였던 한국도 전국적인 예방접종 사업으로 젊은 세대의 감염률은 크게 감소했지만34, 여전히 출산 연령대의 여성, 특히 예방접종 프로그램 이전에 출생한 연령층에서는 B형 간염 보유자가 상당수 존재합니다56. 따라서 KRHOW.COM은 B형 간염 보유 여성들이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는 최적의 피임법을 선택하고, 건강한 삶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의학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B형 간염과 피임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시는 데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핵심 요약

  • B형 간염 보유자의 피임 방법 선택은 현재 간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및 바이러스 상태 평가는 B형 간염 관리와 안전한 피임법 선택의 필수 조건입니다.
  • B형 간염 보유자도 대부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피임 방법이 있으며, 특히 비호르몬성 또는 국소 작용 호르몬 피임법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 임신을 계획 중인 B형 간염 보유 여성은 임신 전후 관리, 태아로의 수직 감염 예방 조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계획해야 합니다.

B형 간염과 피임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감염은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만성화될 경우 간염, 간 섬유화, 간경변(간경화), 그리고 간세포암종(간암)과 같은 심각한 간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간 질환의 진행 가능성은 피임 방법을 포함한 모든 의학적 결정에 있어 간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만성 B형 간염의 자연 경과는 면역 관용기, 면역 제거기(HBeAg 양성 면역 활동기), 비활동기/낮은 증식기(면역 비활동기), 재활성기(HBeAg 음성 면역 활동기) 등 여러 단계로 나뉩니다2. 이러한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질병 관리에 중요하지만, 일반 대중을 위한 글에서는 HBV가 역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한국의 HBV 감염률은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했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1980년대 초 한국은 남성 8-9%, 여성 5-6%의 높은 HBsAg 양성률을 보였습니다3. 그러나 1991년/1995년부터 시작된 국가 예방접종 사업(신생아 대상 전체 예방접종) 덕분에 젊은 세대의 감염률은 현저히 낮아졌습니다4. 예를 들어, 10-19세 청소년의 HBsAg 양성률은 1998년 2.2%에서 2010년 0.12%로 감소했으며5, 10-18세 연령층에서는 1995년 8.2%에서 2021년 0.0%로 떨어졌습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방접종 프로그램이 광범위하게 시행되기 전에 출생한 고연령층, 특히 40-60세 인구에서는 약 4-6%의 감염률이 유지되고 있습니다6. 20-39세 여성의 경우, 2010년 HBV 감염률은 2.29%였습니다5. 최근 2021년 데이터에 따르면 B형 간염 유병률은 2020년 1.01%로 감소 후 1.39%(95% CI, 1.07-1.72)로 다시 증가했습니다7. 또한, 20-39세 여성에서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인 알코올성 간질환(ALD)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8. 과거에는 모자간 수직 감염(MTCT)이 주된 감염 경로였습니다9. 이러한 배경은 현재 가임기 여성 중 특히 30-4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여전히 존재하며, 이들이 피임 정보의 중요한 대상임을 시사합니다. ‘바이러스 보유자(보유자)’라는 용어는 널리 사용되지만10, ‘건강한 보유자’라 할지라도 간 상태는 변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10. HBV는 역동적인 질환으로, 비활동기가 활동기로 전환될 수 있으며2, 정기적인 검사(ALT, HBV DNA, 초음파 등)는 ‘보유자’에게도 매우 중요합니다10. 특히 호르몬 피임법의 안전성은 과거의 ‘보유자’라는 진단명뿐만 아니라 현재의 간 기능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비활동성 보유자와 만성 간염 또는 간경변 환자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의 피임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이유: 간 건강과 피임 안전성의 연관성

간은 호르몬 피임제를 포함한 다양한 약물을 대사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11. B형 간염으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된 경우(예: 급성 간염, 비보상성 간경변) 약물 대사에 영향을 미쳐 간 손상을 악화시키거나 피임약의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12. 특히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일부 피임제는 과거 간 질환 환자에게 우려를 야기했지만, 현대의 제제와 구체적인 지침은 더 세분화된 조언을 제공합니다11. 일반적으로 경구 피임약은 급성 간 질환이나 중증의 비보상성 간경변 환자에게는 금기입니다11. 일부 피임제는 민감한 사람들에게 간 수치(예: ALT)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간 기능 모니터링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10. B형 간염 보유자의 피임법 안전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변동될 수 있는 현재의 간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HBV는 점진적인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1, 간 기능은 피임약 대사에 영향을 미칩니다11. 따라서 특정 시점에는 안전했던 피임법도 간 기능이 저하되면 덜 안전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피임법을 선택하거나 지속하기 전에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의사 상담이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들 사이에서는 호르몬 피임법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11. HBV는 간 질환이고, 호르몬은 간에서 처리된다는 사실은 때로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우려를 낳기도 합니다. 과거의 우려나 덜 구체화된 의학적 조언이 이러한 두려움을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의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MEC)14이나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MEC13와 같은 현대의 지침들은 특정 간 상태에 따른 상세한 분류를 제공하며, 많은 바이러스 보유자에게 여러 피임법이 안전함을 시사합니다. KRHOW.COM의 이 글은 근거 중심의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특정 간 상태에 따른 실제 위험과 금기 사항을 명확히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부정확한 정보나 막연한 두려움에 근거한 결정 대신, 의사와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담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드리고자 합니다10.

개인 적합성 평가: B형 간염 보유자를 위한 핵심 요소

간 기능의 중요성과 의학적 상담의 역할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간 기능 검사(예: ALT, AST), HBV DNA 정량 검사, HBeAg/항HBe 상태 확인, 그리고 복부 초음파 검사(특히 40세 이상이거나 간경변이 있는 경우 간세포암종 조기 발견 목적)가 포함됩니다10. ALT 수치 상승은 활동성 간 염증이나 손상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10. 간 질환의 중증도(예: 간 섬유화 또는 간경변의 유무 및 정도)는 치료 결정뿐만 아니라 피임법의 안전성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1. 간 탄성도 검사와 같은 비침습적 검사는 간 섬유화 정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5. 대한간학회(KASL) 가이드라인은 초기 평가 시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일반 혈액 검사, 간 기능 검사, 빌리루빈, 알부민, 크레아티닌, 프로트롬빈 시간, HBeAg/항HBe 및 HBV DNA 검사를 포함하도록 권고합니다15. 복용 중인 모든 약물, 비타민, 허브 제제 등은 간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10. 피임법 결정은 단독으로 내려져서는 안 되며, 간 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의료진이 안내하는 포괄적인 B형 간염 관리 계획의 일부여야 합니다. B형 간염 관리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잠재적인 치료를 포함하며10, 피임법의 안전성은 간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B형 간염을 관리하는 주치의가 안전한 피임법에 대해 산부인과 의사와 협력하여 조언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KRHOW.COM은 이러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지지합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 여러분은 자신의 간 상태와 이것이 피임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의사에게 질문할 내용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저의 ALT 수치는 얼마인가요?”, “저에게 간 섬유화나 간경변이 있나요?”, “제 간 건강 상태를 고려할 때 절대적으로 피해야 할 피임법이 있나요?”와 같은 질문입니다10. 일반적인 정보도 유용하지만, 개인에게 맞는 조언이 핵심입니다. 구체적인 질문 예시는 환자가 의사소통의 장벽을 넘거나 어떤 정보가 관련 있는지 아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환자가 자신의 건강 관리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힘을 실어줍니다.

피임 결정을 위한 B형 간염 상태 구분

‘바이러스 보유자’, ‘만성 간염’, ‘간경변’과 같은 용어들은 피임법의 안전성에 있어 매우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자가 진단이나 오래된 정보에 의존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오직 의사만이 실제 간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언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MEC) 범주는 정확한 간 상태(예: 보상성 간경변 대 비보상성 간경변13)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환자 스스로는 단순히 ‘보유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뚜렷한 증상 없이 초기 간경변으로 진행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 간 상태에 금기인 피임법을 사용할 경우 해로울 수 있습니다.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무증상, 정상 ALT, 심각한 섬유화/간경변 없음): 일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피임법이 더 많지만, 여전히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 WHO MEC: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상태’는 많은 피임법에서 일반적으로 1등급(제한 없음)으로 분류됩니다14.
    • CDC MEC: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안정된 보유자 포함 가능)은 모든 피임법에 대해 1등급으로 분류됩니다13.
  • 급성 간염 또는 급성 악화:
    • WHO MEC 2015: 복합호르몬 피임제(CHC) 4등급(사용 불가); 프로게스틴 단일제제 경구피임약(POP), 주사제, 임플란트 3등급(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14.
    • CDC MEC 2024: 모든 피임법 1등급13. 이는 주목할 만한 차이점으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만성 간염 (활동성, ALT 상승, 염증):
    • WHO MEC 2015: CHC 4등급; POP, 주사제, 임플란트 3등급14.
    • CDC MEC 2024: 모든 피임법 1등급13. 이 또한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 간경변:
    • 보상성 (간 기능 정상):
      • WHO MEC 2015: CHC 1등급; POP, 주사제, 임플란트 1등급14.
      • CDC MEC 2024: 모든 피임법 1등급13.
    • 비보상성 (간 기능 저하):
      • WHO MEC 2015: CHC, POP, 주사제, 임플란트 4등급14.
      • CDC MEC 2024: CHC 4등급; 데포프로베라 주사제(DMPA) 3등급; 레보노르게스트렐 자궁 내 장치(LNG-IUD), 임플란트, POP 2등급(일반적으로 이익이 위험보다 큼)13. 두 지침 모두 CHC는 금기이지만, CDC는 일부 프로게스틴 단일 제제 및 LNG-IUD에 대해 WHO 2015보다 다소 허용적인 입장을 보입니다.
  • 간 종양 (간세포 선종, 악성 간종양/간세포암종):
    • WHO MEC 2015: 양성 종양(선종) 및 악성 종양 모두에 대해 CHC, POP, 주사제, 임플란트 4등급14.
    • CDC MEC 2024:
      • 간세포 선종: CHC 4등급; DMPA 3등급; LNG-IUD, 임플란트, POP 2등급13.
      • 악성 간종양: CHC 4등급; LNG-IUD, 임플란트, DMPA, POP 3등급13.

      두 지침 모두 CHC는 금기입니다. CDC는 종양의 종류에 따라 프로게스틴 단일 제제 및 IUD에 대해 더 세분화된 등급을 제시합니다.

특히 활동성 간염에서 복합호르몬 피임제(CHC)에 대한 WHO(4등급)와 CDC(1등급)의 지침 차이는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KRHOW.COM은 어느 한 지침이 ‘옳고’ 다른 지침이 ‘틀리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정보를 사실적으로 제시하고, 최신 지침(CDC 2024)이 최근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지만 활동성 간 문제가 있는 경우 여전히 주의가 필요함을 언급하며 개인별 의학적 조언을 구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경구 피임약(OCP) 복용 시 간 효소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점16은 CDC의 1등급 분류에도 불구하고 신중한 입장을 지지합니다. 한국의 의사들은 대한간학회(KASL) 지침을 따르거나 이러한 국제 지침을 바탕으로 임상적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를 위한 안전한 피임법 종합 안내

차단 피임법 (예: 콘돔)

콘돔은 올바르고 일관되게 사용할 경우 B형 간염을 포함한 성병(STIs) 예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17. B형 간염은 혈액, 정액, 질 분비물을 통해 전파됩니다18. B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항체 상태를 알 수 없는 파트너가 있는 경우에 권장됩니다19. 천연막 콘돔은 바이러스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STI/HIV 예방에는 권장되지 않으며20,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콘돔만이 효과적입니다. 콘돔은 임신 예방과 STI/HBV 전파 예방이라는 이중 보호를 제공합니다. 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WHO 및 CDC 관점 모두에서 모든 간 상태에 대해 일반적으로 1등급(사용 제한 없음)입니다. B형 간염 보유자에게 콘돔 사용은 단순히 피임을 넘어, 특히 파트너가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면역 상태를 모를 경우 파트너에게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는 중요한 책임입니다21. HBV는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19, 바이러스 보유자는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습니다21. 콘돔은 이러한 전파 경로를 차단합니다17. 따라서 이 글은 콘돔 사용을 파트너를 위한 배려의 행동으로 규정해야 합니다. 효과적이긴 하지만, 콘돔을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이를 간략히 인정하고, B형 간염 보유자에 대한 콘돔의 중요성에 대한 핵심 메시지를 희석시키지 않으면서 장벽 극복에 대한 자료나 의료진과의 논의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

자궁 내 장치 (IUD)

구리 자궁 내 장치 (비호르몬성)

구리 IUD는 호르몬을 함유하지 않는 매우 효과적인 장기 지속형 피임법입니다(예: 노바티 – 5년)22. 호르몬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간 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WHO MEC 201514 및 CDC MEC 202413에 따른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은 급성/급성 악화 간염, 만성 간염, B형 간염 보유자, 보상성 및 비보상성 간경변, 간 종양(양성 및 악성) 모두에서 1등급(사용 제한 없음)입니다. 높은 효과, 긴 지속 기간, 그리고 HBV 관련 대부분의 간 상태에서 1등급으로 평가받는 구리 IUD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선택으로 두드러지게 소개되어야 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임법이 필요합니다. 우려는 종종 호르몬 방법과 간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됩니다. 구리 IUD는 호르몬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우려를 우회합니다. WHO와 CDC 모두 다양한 간 상태에 대해 일관되게 1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호르몬성 자궁 내 장치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예: 미레나, 카일리나, 제이디스)

호르몬성 IUD는 자궁 내에 국소적으로 프로게스틴을 방출하여 전신 호르몬 농도를 매우 낮게 유지합니다22. 매우 효과적이며, 장기간(제품에 따라 3-5년) 지속됩니다22. 제품별로 호르몬 함량과 크기가 다릅니다(예: 제이디스는 미레나보다 호르몬 함량이 낮음)22. WHO MEC 201514 및 CDC MEC 202413에 따른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은 급성/급성 악화 간염, 만성 간염, B형 간염 보유자, 보상성 간경변의 경우 1등급입니다. 그러나 비보상성 간경변의 경우 WHO 2015는 1등급인 반면, CDC 2024는 2등급(이익이 위험보다 크며, 신중한 추적 관찰 필요)으로 분류합니다. 간세포 선종(양성 간 종양)의 경우에도 WHO 2015는 1등급, CDC 2024는 2등급으로 분류합니다. 악성 간종양/간세포암종의 경우 WHO 2015는 1등급이지만, CDC 2024는 3등급(위험이 이익보다 크며,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으로 분류합니다. 호르몬성 IUD의 국소 작용은 전신 프로게스틴 노출을 최소화하여, 전신 호르몬 제제보다 간 질환 환자에게 훨씬 안전하게 만듭니다. 전신 호르몬은 간에서 대사되어 간 기능 장애 시 잠재적 위험을 초래합니다. 호르몬성 IUD는 주로 자궁에 프로게스틴을 전달하여22 전신 흡수가 낮으므로 간 대사 우려를 대부분 우회하며, 이는 유리한 MEC 등급에 반영됩니다. 비보상성 간경변 및 간 종양의 경우, CDC 2024는 LNG-IUD에 대해 WHO 2015(1등급)보다 더 신중한 입장(2등급 또는 3등급)을 제시합니다. 이는 매우 심각한 간 질환에서 전신 호르몬 노출이 낮더라도 주의가 필요함을 반영합니다. KRHOW.COM은 LNG-IUD라도 이러한 심각한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훌륭하지만, 가장 심각한 상황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프로게스틴 단일제제 피임법 (경구 피임약 – POP, 주사제 – DMPA, 이식형 피임제)

프로게스틴 단일제제 경구 피임약(POP 또는 미니알약), 데포프로베라 주사제(DMPA), 임플라논/넥스플라논과 같은 이식형 피임제는 프로게스틴만을 함유하고 있습니다11.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에 금기가 있는 경우 복합호르몬 피임제(CHC)보다 안전한 대안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간혹 “피임약은 일반적으로 임산부나 급성 간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절대적으로 금기이다”라는 일반적인 언급이 있는데11, 이는 주로 CHC를 지칭할 가능성이 높지만 과거의 신중한 접근을 반영합니다. 또한, 효소 유도성 항경련제는 POP, DMPA, 이식형 피임제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23. B형 간염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약물 상호작용의 한 예입니다.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 (WHO MEC 201514 & CDC MEC 202413):

  • 급성 간염/급성 악화, 만성 활동성 간염:
    • WHO 2015: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3등급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
    • CDC 2024: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1등급 (제한 없음). 이 부분에서 두 지침 간 큰 차이가 있으므로, 활동성 간염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안정 상태)/만성 간염 (안정 상태), 보상성 간경변:
    • WHO 2015 & CDC 2024: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1등급.
  • 비보상성 간경변:
    • WHO 2015: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4등급 (사용 불가).
    • CDC 2024: POP, 이식형 피임제 – 2등급; DMPA – 3등급. CDC는 WHO보다 덜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신중한 접근과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 간 종양 (간세포 선종 – 양성):
    • WHO 2015: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4등급.
    • CDC 2024: POP, 이식형 피임제 – 2등급; DMPA – 3등급. 이 경우에도 CDC가 덜 제한적입니다.
  • 간 종양 (악성/간세포암종):
    • WHO 2015: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4등급.
    • CDC 2024: POP, DMPA, 이식형 피임제 – 3등급.

프로게스틴 단일 제제는 에스트로겐 관련 우려가 있을 때 CHC보다 선호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HO 2015 지침은 활동성 간염 및 중증 간 질환/종양에 대해 상당히 제한적(3등급 또는 4등급)이었습니다. 반면, CDC 2024 지침은 활동성 간염에 대해 눈에 띄게 허용적(1등급)이며, 비보상성 간경변 및 간 종양에 대해서도 POP/이식형 피임제 사용 가능성을 열어두는 등(2등급 또는 3등급) 더 세분화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는 프로게스틴 단독 사용이 특정 간 상태에서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잘 견딜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전신 고용량 프로게스틴인 DMPA는 중증 사례에서 POP/이식형 피임제보다 더 신중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KRHOW.COM은 CDC의 최신 지침이 더 자유롭더라도, 활동성 간염이 있다면 전신 호르몬 피임법 시작 전에 의사와 신중히 상의하고, 간 효소 수치 상승 가능성16을 고려하며, 비호르몬성 또는 국소 작용 호르몬 피임법(LNG-IUD)을 우선 고려하거나 최소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권고합니다.

복합 호르몬 피임제 (CHC – 경구 피임약, 패치, 질내 링)

복합 호르몬 피임제(CHC)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모두 함유합니다11. 에스트로겐 성분은 간에서의 대사 과정 및 담즙 울체 유발 또는 간 기능 장애 악화 가능성 때문에 간 질환에서 주로 우려의 대상이 됩니다11. 중증 간 기능 장애, 활동성 간 질환, 특정 유형의 간 종양에서는 금기입니다11. CHC는 일부 여성에서 간 효소 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16.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 (WHO MEC 201514 & CDC MEC 202413):

  • 급성 간염/급성 악화, 만성 활동성 간염:
    • WHO 2015: 4등급 (사용 불가).
    • CDC 2024: 1등급 (제한 없음). 이는 매우 중요하고 큰 차이점입니다. WHO는 금기인 반면, CDC는 제한이 없습니다. 간 효소 수치 등을 고려한 의사의 철저한 상담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16.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안정 상태)/만성 간염 (안정 상태), 보상성 간경변:
    • WHO 2015 & CDC 2024: 1등급. (간이 완전히 건강한 경우)
  • 비보상성 간경변, 간 종양 (간세포 선종 – 양성 및 악성/간세포암종):
    • WHO 2015 & CDC 2024: 4등급. 절대 금기입니다. 중증 간 질환은 간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 대사 능력을 손상시키며, CHC는 이러한 상태에서 간 기능을 악화시키거나 다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지침 차이는 급성/만성 간염에 대한 것입니다(WHO 4등급 대 CDC 1등급). CDC 2024는 급성 또는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간경변이나 종양이 없다고 가정)에서 CHC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WHO 2015의 4등급과 현저한 차이입니다. KRHOW.COM은 이 문제를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CDC의 업데이트된 견해를 명시하되, 특히 활동성 염증(간 기능 검사 수치 상승)이 있는 경우 상담을 강력히 권고하고, OCP로 인한 간 효소 수치 상승 가능성을 언급해야 합니다16. 한국의 의료 환경(“급성 간 질환” 또는 “중증 간 기능 장애” 시 CHC 사용을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는 경향11)은 신중한 접근을 지지합니다. 따라서 CDC의 1등급이라는 의미가 활동성 간염이 있는 경우 “아무런 고려 없이 사용해도 된다”는 뜻이 아님을 강력히 강조해야 하며, 간염 활성도에 대한 의학적 평가가 핵심입니다. 불확실하거나 활동성 염증이 있는 경우 비호르몬 또는 국소 작용 호르몬 피임법이 더 안전한 대안임을 강조해야 합니다.

기타 피임법

  • 영구 피임 (남성/여성 불임수술): 매우 효과적이며 영구적인 방법입니다. B형 간염 관련 금기 사항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난관 결찰술 등이 해당됩니다24).
  • 수유 중 무월경 피임법 (LAM): 일시적인 방법으로,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B형 간염 상태가 LAM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산후 피임 선택은 여전히 필요합니다25.
  • 가임력 인지 기반 피임법 (FABM) / 자연 가족 계획법: 효과가 낮으며, 사용자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B형 간염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엄격한 피임이 필요한 경우 신뢰도가 높지 않습니다(주기적 금욕은 실패율이 높을 수 있음25).
  • 응급 피임법 (EC):
    • 레보노르게스트렐 EC: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효소 유도제는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23.
    •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EC26.
    • 구리 IUD를 응급 피임 목적으로 사용: 매우 효과적이며, 성교 후 삽입 가능합니다26.

    B형 간염 보유자에 대한 응급 피임법 자체의 특정 금기 사항은 보고된 바 없으나, 호르몬성 응급 피임법의 경우 기저 간 질환이 심각하다면 단회 용량이라도 간략한 고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B형 간염 보유자에게는 계획 임신의 중요성 때문에 효과가 높은 피임법에 주로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영구적인 해결책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불임수술이 훌륭한 선택입니다. 사용자 의존도가 높은 방법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FABM도 선택 사항이지만, 일반적인 사용 효과가 낮다는 점을 명시해야 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 특히 임신을 고려하는 여성은 임신 시기를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예: 바이러스 부하가 낮을 때, 또는 필요한 경우 항바이러스 예방 치료 완료 후) 효과 높은 피임법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FABM과 같은 방법은 일반적인 사용 효과가 낮으므로, 완전성을 위해 언급하되, 높은 효과가 우선이라면 IUD, 이식형 피임제 또는 불임수술과 같은 방법을 강조해야 합니다.

B형 간염 보유자의 간 상태에 따른 피임법 비교표 (MEC 기준)

다음 표는 WHO (2015)14 및 CDC (2024)13의 의학적 피임자격 기준(MEC)을 요약하여, 의학적으로 진단된 특정 간 상태에 따라 어떤 피임법이 일반적으로 안전한지, 주의가 필요한지, 또는 금기인지를 독자들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지침 간 차이가 있는 부분은 명확히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개인별 의학적 상담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피임 방법 간 상태 WHO MEC 201514 CDC MEC 202413 참고 사항
구리 자궁 내 장치 (Cu-IUD)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매우 안전함
급성 간염/급성 악화 1 1
만성 활동성 간염 1 1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1 1
간세포 선종 (양성) 1 1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1 1
호르몬성 자궁 내 장치 (LNG-IUD)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안전함, 국소 작용
급성 간염/급성 악화 1 1
만성 활동성 간염 1 1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1 2 CDC가 약간 더 신중함
간세포 선종 (양성) 1 2 CDC가 약간 더 신중함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1 3 CDC: 위험이 이익보다 클 수 있음
프로게스틴 이식형 피임제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급성 간염/급성 악화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만성 활동성 간염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4 2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간세포 선종 (양성) 4 2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4 3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프로게스틴 주사제 (DMPA)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급성 간염/급성 악화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만성 활동성 간염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4 3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간세포 선종 (양성) 4 3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4 3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프로게스틴 단일제제 경구피임약 (POP)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급성 간염/급성 악화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만성 활동성 간염 3 1 큰 차이: WHO 신중, CDC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4 2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간세포 선종 (양성) 4 2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4 3 CDC가 WHO보다 덜 제한적. 의사 상담 필요.
복합 호르몬 피임제 (CHC) B형 간염 보유자/만성 안정 1 1 간이 완전히 건강한 경우.
급성 간염/급성 악화 4 1 매우 크고 중요한 차이. WHO 금기, CDC 덜 제한적. 간 효소 수치 등 고려한 의사의 철저한 상담 절대 필요16.
만성 활동성 간염 4 1 매우 크고 중요한 차이. WHO 금기, CDC 덜 제한적. 간 효소 수치 등 고려한 의사의 철저한 상담 절대 필요16.
보상성 간경변 1 1
비보상성 간경변 4 4 절대 금기.
간세포 선종 (양성) 4 4 절대 금기.
악성 간종양 (간세포암종) 4 4 절대 금기.

MEC 등급 설명:

1등급: 피임법 사용에 제한 없음.

2등급: 피임법 사용의 이익이 이론적 또는 입증된 위험보다 일반적으로 큼. 추가 논의 및 세심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음.

3등급: 이론적 또는 입증된 위험이 일반적으로 이익보다 큼. 다른 방법이 없거나 수용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신중한 임상적 판단, 상담, 의뢰 또는 모니터링 필요.

4등급: 피임법 사용 시 수용 불가능한 건강 위험 초래.

B형 간염, 가족 계획 및 임신 시 고려사항

임신 전 상담 및 관리

임신을 계획 중인 만성 B형 간염 여성은 신중한 평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27. 간 기능, HBV DNA 수치, HBeAg 상태 평가는 매우 중요합니다15. 파트너가 B형 간염에 감수성이 있다면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9. 여성은 임신 전에 풍진(MMR 백신), 수두 백신에 대한 면역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이들은 생백신이므로 접종 후 일정 기간(MMR은 보통 1개월, 수두는 지역별 권고에 따라 1-3개월) 피임해야 합니다28. A형 간염 백신은 만성 B형 간염 환자에게 면역이 없다면 권장되며15, 필요한 경우 임신 중에도 접종 가능합니다28.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Tdap) 백신은 매 임신 시 권장됩니다. 임신 전과 임신 초기 엽산 보충은 표준적인 권고 사항입니다. B형 간염 보유자에게 임신은 이상적으로 계획된 이벤트여야 하며, 이를 통해 모체 건강 최적화, 바이러스 부하 관리, 그리고 모체와 아이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필요한 예방접종이 가능해집니다. 모체의 바이러스 부하는 모자간 수직 감염(MTCT) 위험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며30, 임신 중 항바이러스 치료가 MTCT를 줄이기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30. 효과적인 피임법은 B형 간염 여성이 의학적 조언에 따라 임신 시기를 조절하여, 가능한 최상의 건강 및 바이러스 상태에서 임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신 중 항바이러스 치료 (예: 테노포비르 DF)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레이트(TDF, 예: 비리어드)는 자신의 건강을 위해 치료가 필요하거나 모자간 수직 감염 예방(PMTCT)을 위해 임신한 만성 B형 간염 여성에게 권장되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30. 이는 FDA 임신 분류 B군에 속합니다. PMTCT를 위해 TDF는 HBV DNA 수치가 높은(일반적으로 200,000 IU/mL 이상) 임산부에게 권장되며, 보통 임신 2기 또는 3기(24-32주)에 시작하여 산후 일정 기간 동안 지속합니다30. WHO 2024년 지침은 HBV DNA/HBeAg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TDF 예방 요법을 선택 사항으로 제공하는 등 PMTCT를 위한 TDF 예방적 사용 조건을 확대했습니다31. 임신 중 다른 항바이러스제(TDF 제외)를 복용 중인 여성이 임신한 경우, 일반적으로 TDF로 전환해야 합니다30. 페그인터페론은 임신 중 금기이며, 치료 중 및 치료 후 6개월 동안 피임해야 합니다29. 임신 중 TDF 사용 가능성 및 권고는 신생아로의 HBV 전파 예방 기회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TDF는 모체의 바이러스 부하를 낮추어 MTCT 위험을 줄입니다29. TDF가 처방된 경우, 순응도가 매우 중요하며, 조기 중단은 바이러스 돌파 또는 치료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TDF 시작, 지속 또는 중단 결정은 반드시 의료진과 함께 내려야 합니다.

신생아 예방 조치

HBsAg 양성 산모에게서 태어난 모든 신생아는 출생 후 12-24시간 이내에 B형 간염 백신과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HBIG)을 접종받고, 이후 백신 접종 일정을 완료해야 합니다4. 이는 MTCT를 현저히 감소시킵니다. 산모의 TDF 치료(필요시)와 신생아 예방 조치(백신 + HBIG)는 MTCT를 최소화하기 위해 함께 작용합니다. 산모의 TDF는 아기가 노출되는 바이러스 부하를 줄이고, 신생아 백신 + HBIG는 아기에게 즉각적인 수동 및 능동 면역을 제공하여 함께 최상의 보호 수준을 제공합니다.

모유 수유

모유 수유는 신생아가 출생 시 HBIG와 B형 간염 백신을 적시에 접종받는 한, B형 간염 양성 산모의 신생아에게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21. 유두 균열이나 출혈이 없는 한 HBV는 일반적으로 모유를 통해 전염되지 않습니다21. TDF는 모유 수유 중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며, 매우 낮은 농도가 모유에서 발견되고 신생아에게 잘 흡수되지 않습니다29. WHO는 필요한 경우 모유 수유 중 TDF 사용을 권장합니다29. 많은 B형 간염 양성 산모들이 모유 수유에 대해 걱정할 수 있지만, 증거와 지침은 신생아가 적절히 예방 접종을 받으면 모유 수유가 안전함을 뒷받침합니다21. 이는 신생아를 둔 엄마들에게 중요한 긍정적인 메시지입니다.

산후 피임 선택

산후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시작하기에 중요한 시기입니다. 피임법 선택은 모유 수유 여부, 출산 후 경과 시간, 개인의 간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본문 3항 참조). 대한산부인과학회(KSOG)는 이식형 피임제나 자궁 내 장치(IUD)와 같은 장기 지속형 피임법이 모유 수유 중 안전하다고 권고합니다25. 복합호르몬 피임제(CHC)는 정맥혈전색전증(VTE) 위험 때문에 출산 직후(첫 3-6주)에는 일반적으로 피하며, 모유 수유 시 모유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32. 산후 피임에 대한 논의는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이상적으로는 임신 중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산후 기간은 매우 바쁠 수 있으며, 압박감 속에서 내린 결정은 최적이 아닐 수 있습니다.

B형 간염 보유자를 위한 필수 생활 습관 및 관리 전략

정기적인 의학적 추적 관찰의 필요성

간 건강, HBV DNA 수치, ALT를 모니터링하고 간암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추적 관찰(예: 6-12개월마다 또는 의사의 권고에 따라)이 매우 중요합니다10. 바이러스 부하와 ALT는 이전에 안정적이었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10, 예약된 진료를 놓치면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0. 만성 B형 간염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치유’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1, 질병 진행이나 합병증을 감지하기 위해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10. 이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필요로 합니다. B형 간염 관리는 일회성 진단이 아니라 지속적인 의료 관리가 필요한 과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생활 습관 조절: 음주, 식단, 기타 물질

금주는 간 질환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으므로 강력히 권장됩니다10.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고 적정 체중을 관리하여 지방간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방간은 간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10. 복용 중인 모든 약물, 비타민, 허브 제제는 간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알려야 하며10, 금연 또한 권장됩니다10. 생활 습관 선택은 B형 간염 보유자의 간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학적 관리도 필요하지만 환자 자신의 행동도 중요합니다. 음주, 건강에 해로운 식단, 흡연은 변경 가능한 위험 요소이며, 이를 피하면 간 기능을 보존하고 추가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독자들이 간을 보호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강조하여 건강에 대한 주체성을 갖도록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타인에게로의 전파 예방

가족 구성원과 성 파트너에게 알려 검사받고 감수성이 있다면 예방접종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10. 혈액에 노출될 수 있는 개인 물품(면도기, 칫솔, 손톱깎이)은 공유하지 마십시오4. 주사기나 마약 주사 도구를 공유하지 마십시오10. 베인 상처나 개방성 상처는 덮으십시오10. 흘린 피는 소독제(예: 표백제 용액)로 닦아내십시오21. B형 간염은 일상적인 접촉(포옹, 키스, 식사 공유, 화장실 사용)으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10. B형 간염 보유자는 혈액, 장기 또는 정액을 기증해서는 안 됩니다4. HBV가 어떻게 전파되고 전파되지 않는지를 명확히 밝히는 것은 가족과 지역사회 내 불필요한 낙인과 두려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BV 전파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사회적 고립이나 차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명확한 사실(예: 일상 접촉으로는 전파되지 않음10)을 제공하면 오해를 풀고 바이러스 보유자를 위한 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B형 간염 보유자인데, 어떤 피임법이 가장 안전한가요?

가장 안전한 피임법은 현재 개인의 간 건강 상태(ALT 수치, 간 섬유화 또는 간경변 유무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비호르몬성 피임법(예: 구리 자궁 내 장치, 콘돔)이나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자궁 내 장치(LNG-IUD)와 같이 호르몬의 전신 영향이 적은 국소 작용 호르몬 피임법이 매우 안전하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정확한 정보와 권장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태에 맞게 확인해야 합니다.

활동성 B형 간염인데 경구 피임약(복합 호르몬제)을 먹어도 되나요?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합니다. WHO 2015년 기준으로는 활동성 간염 시 복합 호르몬 피임제 사용이 금기(4등급)였습니다14. 그러나 최신 미국 CDC 2024년 기준에서는 중증 간경변이나 간 종양이 없다면 사용 가능(1등급)으로 변경되었습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구 피임약은 간혹 간 효소 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16. 따라서 활동성 간염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통해 간의 활동성 정도와 ALT 수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고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더 안전한 대안적 피임법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B형 간염 보유자가 임신을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임신 전 상담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간 기능, HBV DNA 정량 검사 등을 시행하여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15. 만약 HBV DNA 수치가 높다면, 임신 중 태아로의 수직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테노포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30. 또한, 배우자의 B형 간염 면역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하며19, 산모 자신도 풍진, 수두 등 임신 전 필요한 예방접종을 미리 완료하는 것이 좋습니다28.

B형 간염이 있으면 술을 절대로 마시면 안 되나요?

강력히 금주할 것을 권고합니다. 알코올은 B형 간염 바이러스와 함께 간 질환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10.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술을 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B형 간염은 일상적인 접촉으로 전염되나요?

아니요, B형 간염은 포옹, 가벼운 입맞춤, 식사 공유, 화장실 공동 사용과 같은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10.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정액, 질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18.

결론

B형 간염 보유 여성의 피임법 선택은 개인의 현재 간 건강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의 면밀한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행히 대부분의 B형 간염 보유자들은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의학적 조언을 통해 다양한 안전한 피임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구리 자궁 내 장치나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자궁 내 장치와 같은 자궁 내 장치 및 콘돔과 같은 차단 피임법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전한 선택지로 간주됩니다. 호르몬 피임법의 경우, 최신 국제 지침(예: CDC MEC 202413)에서는 과거보다 사용 범위가 넓어졌지만, 활동성 간염이 있거나 간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여전히 신중한 접근과 전문가의 판단이 필수적입니다. 의학적 지침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므로, 최신의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의료진과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KRHOW.COM은 이 글이 B형 간염 보유 여성들이 자신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정보에 입각한 피임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 정보는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 B형 간염의 진단, 치료 및 피임법 선택은 반드시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여 결정하십시오.
  • 개인의 간 건강 상태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의학적 검진과 추적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B형 간염이 간에 미치는 영향. hepB.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pb.com/kor/what-is-hep-b/effects-on-the-liver/
  2. Poggio G, Rodriguez M, Alonio V, Oubiña JR, Cuestas ML. Assessment of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pregnant women towards hepatitis B infection seen at a tertiary hospital in the Philippines. Philipp J Obstet Gynecol [인터넷]. 2020;44(1):21-28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pjog.org/download.php?id=215
  3. 김진욱. B형 간염 치료의 최신지견. 후생신보 [인터넷]. 2017년 01월 18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whosaeng.com/79251
  4. 서초구보건소. B형간염. 서초구청 [인터넷]. 2015년 07월 23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eocho.go.kr/site/sh/07/10702050400002015072310.jsp
  5. Kim H, Shin A, Lee J, Kim J, Lee J, Kim Y, et al. Recent trends in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Epidemiol Health [인터넷]. 2013;35:e2013005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712149/
  6. 대전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C형) 관리 기본계획. 대전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인터넷]. 2024년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jcidc.or.kr/bbsDown/040201_new/2024042239234371206.pdf
  7. Song JY, Lee H, Choe PG, Yu KS, Kim NJ, Oh MD, et al. National trends in the prevalence of hepatitis B and C in South Korea,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07-2021). Eur Rev Med Pharmacol Sci [인터넷]. 2023;27(24):12121-12133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uropeanreview.org/wp/wp-content/uploads/12121-12133.pdf
  8. Cho YE, Lee S, Kim JH, Kim HJ, Lee K, Lee YB, et al. Trends in alcohol use and alcoholic liver disease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Clin Mol Hepatol [인터넷]. 2024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82144810_Trends_in_alcohol_use_and_alcoholic_liver_disease_in_South_Korea_a_nationwide_cohort_study (해당 링크는 ResearchGate이며, 실제 논문 접근을 위해서는 추가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9. 대한간학회. 임신과 B형간염. 대한간학회 [인터넷]. 2011년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asl.org/pdf/2011_sts15/09.pdf
  10. B형 간염 환자로 살아가기. hepB.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pb.com/kor/living-with-hep-b/
  11. 피임약. 나무위키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5년 05월 01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mu.wiki/w/%ED%94%BC%EC%9E%84%EC%95%BD
  12. Curtis KM, Jatlaoui TC, Tepper NK, Zapata LB, Suchdev DB, Whiteman MK, et al. Provision of Contraception: Key Recommendations from the CDC. Am Fam Physician [인터넷]. 2015;91(9):625-634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5/0501/p625.html
  13. Curtis KM, Tepper NK, Jatlaoui TC, Berry-Bibee E, Horton LG, Zapata LB, et al.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MMWR Recomm Rep [인터넷]. 2016;65(No. RR-3):1-104. (참고: 본문의 CDC MEC 2024는 최신 업데이트를 반영한 것으로, 제공된 링크 https://www.cdc.gov/mmwr/volumes/73/rr/pdfs/rr7304a1-H.pdf 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5th ed. [인터넷]. Geneva: WHO; 2015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173585/9789241549257_eng.pdf
  15.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Clin Mol Hepatol [인터넷]. 2019;25(2):93-159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589848/
  16. 닥터나우 Q&A. 야로즈피임약 복용 후 간수치 상승, 진료 필요한가요?. 닥터나우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d98615c3e8a94093af5e7c20c9698c5b
  17. 서울베스트의료의원 공식블로그. A형 B형 간염 예방접종 잊지 말고!.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3년 09월 27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ifc7102000/223228563436?viewType=pc
  18. 닥터나우 Q&A. 유전성 B형 간염 보균자와의 성관계 시 피임과 콘돔만으로 충분한가요?. 닥터나우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c1f8089710f44151ad3cd434a7bc69cf
  19. 헬스조선 건강톡톡. ‘간의 적!’ 한국인에게 흔한 B형 간염 바이러스. 네이버 포스트 [인터넷]. 2020년 07월 31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8900339&memberNo=375893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Treatment Guidelines, 2021 – Primary Prevention Methods. CDC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std/treatment-guidelines/clinical-primary.htm
  21. New York City Department of Health and Mental Hygiene. B형 간염: 검사하고, 예방접종을 받으세요. NYC.gov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yc.gov/assets/doh/downloads/pdf/cd/cd-hepb-bro-ko.pdf
  22. 미사라엠산부인과. 피임기구. 미사라엠산부인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lamobgy.com/page/sub3_3
  23. BC Epilepsy Society. 간질과 피임 (Epilepsy and Contraception). BC Epilepsy Society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cepilepsy.com/files/Korean-Epilepsy_and_Contraception.pdf
  24. 대한산부인과학회.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2008-51호 관련「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 대한산부인과학회 [인터넷]. 2008년 06월 25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sog.org/bbs/skin/notice/download.php?code=info07&number=16784
  25. 대한산부인과학회. [공지] 2016년도 제3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결과 알림. 대한산부인과학회 [인터넷]. 2016년 03월 21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notice&number=2715
  26.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How to Help Your Teen Patients Choose the Right Method of Contraception.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인터넷].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media/nch/for-medical-professionals/practice-tools-new/help-your-teen-patients-choose-the-right-contraception.pdf
  27. 하이닥 뉴스. 임신 앞둔 B형 간염 보균자, 신생아 감염을 막으려면?. 하이닥 [인터넷]. 2012년 11월 22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70
  28. 차병원 서울역센터 공식블로그. [차병원 서울역센터] 임신 전 필요한 예방접종 안내 : MMR(홍역·볼거리·풍진), 수두 백신, A형.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21년 11월 30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cha_seoul/222581843576
  29.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in special populations including pregnant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Clin Mol Hepatol [인터넷]. 2019;25(4):381-424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cmh.org/upload/pdf/cmh-2019-1002.pdf
  30.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이단비 교수 공식블로그. 임산부 또는 임신 준비 중 여성에서 만성 B형간염 관리.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2018년 12월 01일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doctor/221411074662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diagnosis, care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인터넷]. Geneva: WHO; 2024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iris.who.int/bitstream/handle/10665/376353/9789240090903-eng.pdf
  32. 약학정보원. 여성 호르몬 – 피임. 약학정보원 [인터넷]. 2023년 12월 [인용일: 2025년 05월 0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mmon.health.kr/shared/healthkr/pharmreview/%ED%8C%9C%EB%A6%AC%EB%B7%B0_23_12_Social%20Pharmacy%20Perspectives_%EC%97%AC%EC%84%B1%20%ED%98%B8%EB%A5%B4%EB%AA%AC%20%ED%94%BC%EC%9E%84_%EC%B5%9C%EC%A2%85%EB%B3%B8_%EC%88%98%EC%A0%9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