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목발·지팡이 완벽 마스터: 전문가가 알려주는 안전 사용법 총정리

이 글은 목발과 지팡이의 올바른 선택부터 안전한 사용법,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유용한 팁까지 모든 것을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안내하고자 합니다. 목발과 지팡이의 정확한 사용은 낙상과 추가적인 부상을 예방하고, 통증을 줄이며, 궁극적으로 빠른 회복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123. 본문에서는 목발과 지팡이의 종류 및 선택 기준, 정확한 신체 맞춤 조절 방법, 다양한 보행 기술(평지, 계단, 앉고 서기), 안전 수칙, 가정 환경 조정, 특정 질환을 가진 사용자를 위한 고려사항,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FAQ)에 대한 답변을 포괄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핵심 요약

  • 목발과 지팡이의 정확한 높이 조절은 겨드랑이 통증이나 신경 손상과 같은 부작용을 예방하고 안전한 보행을 위한 첫걸음입니다2345.
  • 겨드랑이 목발 사용 시, 체중은 겨드랑이가 아닌 손으로 지지해야 신경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125.
  • 계단을 오를 때는 건강한 다리부터, 내려갈 때는 목발/지팡이와 아픈 다리부터 움직이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125.
  • 지팡이는 일반적으로 다치지 않거나 덜 아픈 쪽, 즉 건강한 쪽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467.
  • 가정 내 안전을 위해 바닥의 장애물을 제거하고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는 등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2789.

1. 목발과 지팡이, 언제 사용해야 할까요? (필요성 및 적응증)

목발과 지팡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보행을 돕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다리, 발목, 발 부상(예: 골절, 염좌) 후 회복 과정이나 관련 수술 후에 필요합니다13. 또한, 관절염과 같은 만성 질환으로 인해 통증이나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또는 노화나 신경학적 문제로 인해 균형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도 중요한 보조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713.

어떤 보조기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교육은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11415. 전문가은 개인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가장 적합한 보조기를 선택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법을 교육하여 낙상 위험을 줄이고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2. 나에게 맞는 목발·지팡이 선택하기

목발과 지팡이는 종류가 다양하므로, 개인의 상태와 필요에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택 과정에서는 의료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413.

2.1. 목발의 종류와 특징

주로 사용되는 목발에는 겨드랑이 목발과 팔꿈치 목발이 있습니다.

겨드랑이 목발 (Axillary Crutches):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로, 겨드랑이 패드, 손잡이, 그리고 길이 조절 부분으로 구성됩니다16. 비교적 배우기 쉽고 체중 지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5, 잘못 사용하면 겨드랑이 부분의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어 통증이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3101112.

팔꿈치 목발 (Forearm/Elbow Crutches/Lofstrand Crutches): 팔뚝 커프, 손잡이, 길이 조절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16. 장기간 사용 시 겨드랑이 목발보다 편안할 수 있으며,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겨드랑이 목발에 비해 더 많은 상체 근력과 균형 감각을 필요로 합니다16.

이 외에도 특정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특수 제작된 목발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2.2. 지팡이의 종류와 특징

지팡이는 지지력과 안정성의 필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일자형 지팡이 (Single-Point Cane):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하나의 다리로 지지합니다. 가벼운 균형 보조가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616.

네발 지팡이 (Quad Cane / Four-Point Cane): 바닥에 닿는 부분이 네 갈래로 되어 있어 일자형 지팡이보다 높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4616. 균형 능력이 많이 저하된 경우나 더 많은 지지가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접이식 지팡이 (Folding Cane):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지팡이입니다6.

기타 특수 지팡이: 최근에는 GPS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지팡이 등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지팡이도 개발되고 있습니다16.

2.3. 선택 시 고려사항: 전문가 조언

목발이나 지팡이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6134:

  • 환자의 상태: 부상의 종류와 정도, 의사가 지시한 체중 부하 정도, 전반적인 건강 상태, 균형 능력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사용 기간: 단기간 사용할 것인지, 장기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적합한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사용 환경: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지, 실외 활동이 많은지, 계단 사용이 잦은지 등을 고려합니다.
  • 물리적 특성: 목발/지팡이의 재질, 무게, 손잡이의 그립감 등도 사용 편의성에 영향을 미칩니다6.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나 물리치료사 등 의료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보조기를 선택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교육받는 것입니다413.

3. 목발과 지팡이, 정확한 높이 조절 방법 (피팅 가이드)

목발과 지팡이의 효과와 안전성은 정확한 높이 조절에 크게 좌우됩니다. 잘못 조절된 보조기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불안정한 보행으로 이어져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234.

3.1. 목발 높이 조절: 통증 예방과 안전의 핵심

목발의 종류에 따라 높이 조절 방법이 다릅니다.

겨드랑이 목발 (Axillary Crutches):

  •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 간격: 목발을 바로 선 자세에서 옆에 두었을 때, 겨드랑이와 목발의 맨 위 패드 사이에 약 2~3 손가락 너비(약 3~5cm 또는 1~2인치)의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12345910111517. 이는 겨드랑이 부위의 신경과 혈관이 압박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 손잡이 높이: 팔을 자연스럽게 내렸을 때 손목 높이에 손잡이가 위치해야 하며, 손잡이를 잡았을 때 팔꿈치가 약 15~30도 정도 구부러지는 것이 적절합니다123591115.
  • 잘못된 높이 조절의 위험성: 목발이 너무 높으면 겨드랑이 신경(액와 신경)이 눌려 팔이 저리거나 마비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어깨와 팔에 무리가 가고 자세가 불안정해집니다2310111215.

팔꿈치 목발 (Forearm Crutches):

  • 커프 위치: 팔꿈치에서 약 2.5~5cm (1~2인치) 아래쪽에 팔뚝 커프의 윗부분이 위치하도록 조절합니다16.
  • 손잡이 높이: 겨드랑이 목발과 마찬가지로 팔을 자연스럽게 내렸을 때 손목 높이에 오도록 하며, 잡았을 때 팔꿈치가 15~30도 구부러지도록 합니다1316.

목발 높이 조절은 일반적으로 버튼식 또는 나사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합니다21017.

3.2. 지팡이 높이 조절: 안정적인 보행의 시작

지팡이의 높이 또한 안정적이고 편안한 보행에 중요합니다.

  • 일반적인 기준: 평소 신는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똑바로 서서 팔을 자연스럽게 내렸을 때, 손목 주름 부분에 지팡이 손잡이의 가장 높은 부분이 오도록 합니다46781318. 이 높이에서 지팡이를 잡으면 팔꿈치가 약 20~30도 정도 구부러지는 것이 이상적입니다71318.
  • 신발 착용 상태에서 측정: 반드시 평소 자주 신는 신발을 신고 높이를 측정해야 정확합니다1819.
  • 잘못된 높이의 문제점: 지팡이가 너무 높으면 어깨에 무리가 가고, 너무 낮으면 허리를 숙이게 되어 허리 통증을 유발하거나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낙상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1820.

4. 목발을 이용한 다양한 보행법

목발 보행법은 환자의 상태, 특히 의사가 지시한 체중 부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올바른 보행법을 익히는 것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동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4.1. 보행 전 준비 자세 및 주의사항

  • 목발 위치: 목발은 양 발끝에서 약간 앞(약 15cm) 그리고 옆(약 15cm)으로 벌려 몸과 함께 삼각형을 이루도록 위치시킵니다2591011. 이것이 기본적인 삼각 지지 자세입니다.
  • 체중 지지: 가장 중요한 점은 체중을 겨드랑이가 아닌 손으로 지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1235910111215. 겨드랑이 패드는 자세 유지 및 균형을 위한 보조 역할만 해야 합니다.
  • 시선: 보행 시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발을 내려다보지 않도록 합니다25921.

4.2. 체중 부하 정도에 따른 보행법 (의사 지시 확인)

의사는 환자의 부상 상태에 따라 목발 사용 시 아픈 다리에 체중을 얼마나 실어야 하는지를 지시합니다. 이는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비체중부하 보행 (NWB: Non-Weight Bearing): 아픈 다리에 전혀 체중을 싣지 않는 방법입니다. 아픈 다리는 항상 바닥에서 들고 있어야 합니다92223.
  • 부분 체중부하 보행 (PWB: Partial Weight Bearing): 아픈 다리에 의사가 지시한 만큼의 일부 체중만 싣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체중의 20%, 50% 등으로 지시될 수 있습니다592223.
  • 완전 체중부하 보행 (FWB: Full Weight Bearing): 아픈 다리에 모든 체중을 실을 수 있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목발은 주로 균형을 잡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됩니다22.

4.3. 3점 보행법 (Three-Point Gait) – 가장 일반적인 목발 보행

3점 보행은 주로 한쪽 다리에 체중을 실을 수 없거나(NWB) 부분적으로만 실을 수 있을 때(PWB) 사용됩니다35112425.

  • 방법:
    1. 양쪽 목발과 아픈 다리(또는 들고 있는 아픈 다리)를 함께 앞으로 내딛습니다352425.
    2. 체중을 양손으로 목발 손잡이에 실으면서 건강한 다리를 앞으로 내딛어 목발 지점까지 또는 약간 더 앞으로 옮깁니다352425.
  • NWB 시: 아픈 다리는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항상 들고 목발과 함께 움직입니다.
  • PWB 시: 아픈 다리를 목발과 함께 앞으로 내딛되, 의사가 지시한 만큼만 살짝 체중을 싣습니다.

4.4. 2점 보행법 (Two-Point Gait)

2점 보행은 양쪽 다리에 어느 정도 체중 부하가 가능하고, 3점 보행보다 더 빠르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352425. 마치 정상적인 걸음걸이와 유사합니다.

  • 방법: 한쪽 목발과 그 반대쪽 다리가 동시에 앞으로 나아갑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목발과 왼쪽 다리가 함께 앞으로, 그 다음 왼쪽 목발과 오른쪽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아갑니다352425.

4.5. 4점 보행법 (Four-Point Gait)

4점 보행은 매우 안정적인 보행 방법으로, 균형 감각이 많이 떨어지거나 양쪽 다리가 모두 약할 때, 또는 협응 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사용됩니다35112425. 항상 세 지점이 바닥에 닿아있어 안정성이 높지만 속도는 느립니다.

  • 방법: 다음과 같은 순서로 움직입니다: (1) 한쪽 목발 앞으로 → (2) 반대쪽 다리 앞으로 → (3) 다른 쪽 목발 앞으로 → (4) 나머지 다리 앞으로35112425.

4.6. 스윙투/스윙스루 보행법 (Swing-to / Swing-through Gait)

이 보행법들은 주로 하반신 마비 환자나 양쪽 다리에 체중을 전혀 실을 수 없을 때, 그리고 상체 근력이 충분할 때 사용됩니다24.

  • 스윙투 (Swing-to): 양쪽 목발을 동시에 앞으로 내딛은 후, 양쪽 다리를 들어 올려 목발이 있는 지점까지만 옮깁니다24.
  • 스윙스루 (Swing-through): 양쪽 목발을 동시에 앞으로 내딛은 후, 양쪽 다리를 들어 올려 목발이 있는 지점을 지나쳐 앞으로 더 멀리 옮깁니다24. 스윙투보다 더 많은 에너지와 상체 근력이 필요합니다.

4.7. 편측 목발 사용법 (한쪽 목발만 사용할 때)

회복 단계에서 한쪽 목발만 사용할 때는 목발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 목발 위치: 목발은 건강한 쪽 (아프지 않거나 덜 아픈 쪽) 손으로 잡습니다352627. 이는 다친 다리의 부담을 줄이고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보행: 목발과 아픈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그 다음 건강한 다리가 앞으로 나아갑니다3527.

5. 지팡이를 이용한 올바른 보행법

지팡이는 균형을 개선하고, 통증을 줄이며, 특정 다리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7.

5.1. 지팡이 잡는 법 및 기본자세

  • 지팡이 위치: 지팡이는 일반적으로 건강한 쪽 (아프지 않거나 덜 아픈 쪽) 손으로 잡습니다4678131820. 이는 보행 시 지팡이가 아픈 다리와 함께 움직이며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네발 지팡이의 경우: 네발 지팡이는 넓은 지지면이 몸 쪽을 향하도록 잡아야 안정성이 높아집니다46.

5.2. 평지 보행법

지팡이를 이용한 평지 보행에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2점 보행 (Two-point gait): 지팡이와 아픈 다리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그 다음 건강한 다리가 앞으로 나아갑니다68718.
  • 3점 보행 (Three-point gait): 지팡이를 먼저 앞으로 내딛고, 그 다음 아픈 다리, 마지막으로 건강한 다리를 옮기는 순서입니다8.

어떤 보행법을 사용하든, 항상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안정적인 속도로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14.

5.3. 특정 상황별 지팡이 사용 (예: 마비 환자)

뇌졸중 등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경우 지팡이 사용법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국립재활원의 지침 등에 따르면142829:

  • 일반적으로 마비된 쪽의 반대편, 즉 건강한 쪽 손으로 지팡이를 잡습니다.
  • 보행 시 마비된 다리가 안쪽으로 휘어 들어오지 않도록 주의하며, 지팡이와 마비된 다리를 함께 앞으로 내딛고, 이어서 건강한 다리를 옮깁니다14.
  •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담당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6. 목발·지팡이 사용 시 난관: 계단 오르내리기 완전 정복

계단 오르내리기는 목발이나 지팡이 사용자에게 가장 어려운 활동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정확한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6.1. 공통 원칙: “건강한 다리가 먼저 천국으로, 아픈 다리가 먼저 지옥으로”

이 간단한 구절은 계단 오르내리기의 기본 원칙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오를 때 (천국으로): 건강한 다리부터 계단 위로 올린 후, 목발/지팡이와 아픈 다리를 같은 계단으로 올립니다12579131718222324252730.
  • 내려갈 때 (지옥으로): 목발/지팡이와 아픈 다리를 먼저 아래 계단으로 내린 후, 건강한 다리를 같은 계단으로 내립니다123578913171821222324252730.

6.2. 목발 사용 시 계단 오르내리기

  • 손잡이가 있을 경우: 가능하다면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목발 두 개를 모아 잡거나 한쪽 목발만 사용합니다1259172122232530.
  • 손잡이가 없을 경우: 양쪽 목발을 모두 사용하며, 목발을 계단 중앙에 안전하게 위치시킨 후 위의 원칙에 따라 오르내립니다222330. 한 번에 한 계단씩 천천히 움직입니다221.
  • 엘리베이터가 있다면 엘리베이터 사용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1731.

6.3. 지팡이 사용 시 계단 오르내리기

  • 손잡이가 있을 경우: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지팡이를 짚으며, “건강한 다리 먼저 오르고, 아픈 다리와 지팡이가 나중에”, “지팡이와 아픈 다리가 먼저 내려가고, 건강한 다리가 나중에” 원칙을 따릅니다3781830.
  • 손잡이가 없을 경우: 지팡이의 안정적인 지지가 더욱 중요하며, 천천히 한 계단씩 이동합니다718.
  • 편마비 환자의 경우 특히 더 많은 주의와 연습이 필요하며, 전문가의 지도가 권장됩니다3.

7. 앉고 일어서기: 목발·지팡이 사용자 필수 기술

의자에서 앉고 일어서는 동작도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7.1. 목발 사용 시 앉고 일어서기

  • 앉기1249101722233032:
    1. 의자 바로 앞까지 뒤로 다가갑니다. 의자가 다리에 닿는 것을 느낍니다.
    2. 아픈 다리를 앞으로 살짝 내밉니다.
    3. 양쪽 목발을 한 손(주로 건강한 쪽 또는 자료에 따라 아픈 쪽 손으로 모으라고도 함 – 일관성 있는 지침 필요, AAOS/Mayo Clinic 등 주요 기관은 아픈 쪽 손으로 목발을 모아 잡으라고 안내413)으로 모아 잡습니다.
    4. 다른 손으로 의자 팔걸이나 앉는 부분을 잡습니다.
    5. 천천히 몸을 낮추어 앉습니다.
  • 일어서기1249101722233032:
    1. 의자 가장자리로 엉덩이를 옮깁니다. 아픈 다리는 앞으로 살짝 내밉니다.
    2. 양쪽 목발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은 의자 팔걸이나 앉는 부분을 잡습니다.
    3. 건강한 다리와 양팔에 힘을 주어 일어섭니다.
    4. 균형을 잡은 후, 목발을 각각의 손으로 옮겨 잡고 준비 자세를 취합니다.

7.2. 지팡이 사용 시 앉고 일어서기

  • 안정된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7.
  • 지팡이는 몸을 지탱하는 용도로 사용하지 말고, 의자 팔걸이를 이용하여 앉고 일어섭니다7.
  • 일어선 후에는 지팡이를 올바르게 잡고 균형을 잡습니다.

8.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환경 조성 및 생활 수칙

목발과 지팡이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몇 가지 생활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8.1. 가정 내 안전 환경 만들기

  • 미끄럼 방지: 미끄러운 바닥재(예: 한국의 온돌마루)에 주의하고, 특히 욕실, 주방 등 물기가 많은 곳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사용합니다1278912.
  • 장애물 제거: 바닥에 있는 카펫의 가장자리, 전기 코드, 작은 물건 등 걸려 넘어질 수 있는 것들을 제거하거나 정리합니다127912.
  • 통로 확보: 가구를 재배치하여 이동 통로를 넓고 깨끗하게 확보합니다2912.
  • 조명 확보: 집안 전체, 특히 계단이나 복도, 화장실 등에 충분한 조명을 설치하여 시야를 확보합니다28912. 야간에는 야간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욕실 안전: 욕실 내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필요하다면 높은 변기 시트나 샤워 의자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합니다28.
  • 물건 운반: 물건을 옮길 때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낭이나 주머니가 있는 옷을 활용합니다2.

8.2. 목발·지팡이 관리 및 점검

  • 고무캡 마모 상태 확인: 목발이나 지팡이 끝의 고무캡은 미끄럼 방지 기능을 하므로, 마모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닳았으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456791719.
  • 연결 부위 점검: 목발이나 지팡이의 나사, 버튼 등 연결 부위가 헐거워지지 않았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1417.

8.3. 올바른 신발 착용

  • 목발이나 지팡이를 사용할 때는 발을 잘 감싸고 바닥이 미끄럽지 않으며 굽이 낮은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1571220. 슬리퍼나 하이힐은 피해야 합니다.

8.4. 기타 안전 수칙

  • 천천히 걷기: 너무 빨리 걷거나 서두르지 않습니다59.
  • 방향 전환: 방향을 바꿀 때는 몸 전체를 돌리고, 발목만 비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12122.
  • 주의 환경: 젖거나 미끄러운 바닥, 울퉁불퉁한 길, 문턱 등의 장애물을 항상 주의합니다1567122021. 특히 겨울철에는 빙판길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7.
  • 도움 요청: 필요하다고 느끼면 주저하지 말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21.

9. 특정 질환 및 상황별 고려사항

목발이나 지팡이 사용은 개인의 특정 질환이나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9.1. 수술 후 회복기 환자

  • 의사가 지시한 체중 부하 정도와 활동 범위를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91533.
  • 회복 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활동량을 늘려가며, 통증이나 부종이 심해지면 의사와 상담합니다.

9.2. 노인 사용자

  • 노인 사용자는 균형 유지 능력과 근력이 저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낙상 예방에 특히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1634.
  • 지팡이 종류 선택 시 개인의 근력, 손떨림 유무, 인지 기능 등을 고려해야 하며, 네발 지팡이와 같이 안정성이 높은 보조기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616.
  •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노인의 경우, 한국 질병관리청은 등산로나 경사로에서 등산용 스틱(지팡이) 사용을 권장하기도 합니다35.

9.3. 뇌졸중 등 편마비 환자

  •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는 환자는 국립재활원에서 제공하는 지침과 같이 전문적인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3142829.
  • 일반적으로 건강한 쪽 손으로 지팡이를 사용하며, 마비된 다리와 함께 움직입니다.
  • 초기에는 반드시 물리치료사나 숙련된 보호자와 함께 안전한 환경에서 충분히 연습해야 합니다14.

자주 묻는 질문 (FAQ) – 전문가 답변

Q1: 목발 사용 시 겨드랑이 통증, 어떻게 줄일 수 있나요?

A: 겨드랑이 통증은 목발 사용 시 흔히 겪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첫째, 목발 높이를 정확히 조절하여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에 2~3 손가락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둘째, 체중을 겨드랑이가 아닌 손으로 지지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셋째, 겨드랑이 패드에 추가적인 쿠션을 대거나 부드러운 소재로 감싸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올바른 사용법을 다시 교육받는 것이 좋습니다2310111215.

Q2: 지팡이는 어느 쪽 손으로 잡아야 하나요?

A: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다치거나 약한 다리의 반대쪽, 즉 건강한 쪽 손으로 잡습니다46713182027. 예를 들어 오른쪽 다리가 아프다면 왼쪽 손으로 지팡이를 잡습니다. 이렇게 해야 지팡이가 아픈 다리와 함께 움직이면서 체중을 분산시키고 안정적인 보행을 도울 수 있습니다.

Q3: 목발/지팡이 사용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 목발이나 지팡이의 사용 기간은 개인의 부상 정도, 수술 종류, 회복 속도, 나이,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해진 기간은 없으며, 반드시 담당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11533. 전문가의 평가 없이 임의로 사용을 중단하면 재손상이나 회복 지연의 위험이 있습니다.

Q4: 목발/지팡이 없이 언제부터 걸을 수 있나요?

A: 이 또한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의 전문적인 평가와 지시에 따라 결정됩니다. 안전하게 보조기 없이 걸을 수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는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증 없이 체중을 완전히 실을 수 있고, 균형 감각이 충분히 회복되었을 때 보조기 없이 걷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5: 목발/지팡이 사용 중 운동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목발이나 지팡이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적절한 운동은 회복에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운동의 종류와 강도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물리치료사와 같은 전문가와 상담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시행해야 합니다363738. 자가 판단으로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결론

올바른 목발과 지팡이 사용은 단순한 보행 보조를 넘어, 환자의 안전을 지키고 적극적인 회복을 이끄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정확한 선택, 신체에 맞는 세심한 조절, 올바른 보행법 숙지, 그리고 안전한 생활 환경 조성은 낙상과 같은 추가적인 위험을 최소화하고, 통증을 관리하며, 자신감 있는 움직임을 통해 독립적인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앞당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전문가들의 조언과 상세한 지침들이 여러분의 회복 여정에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연습과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며, 궁금하거나 어려운 점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담당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소통하며 필요한 도움과 조언을 구하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올바른 보조기 사용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일상으로의 성공적인 복귀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제시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지침이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목발이나 지팡이 사용 중 통증, 불편함 또는 다른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 또는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십시오.
  • 모든 지침은 전문가의 직접적인 진료와 처방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NSW Agency for Clinical Innovation (ACI), 호주. 목발 사용하기 (Using Crutches) [인터넷]. NSW Health; (PDF 버전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i.health.nsw.gov.au/__data/assets/pdf_file/0006/286827/ACI-ECI-Crutches-patient-factsheet-Korean.pdf.
  2. PJS. 목발 (Crutch) 사용법 ( 서기, 걷기, 계단오르기, 앉고 일어서기)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4년 4월 20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no88pjs/110188521523?viewType=pc.
  3. 비전. 올바른 목발 사용법, 겨드랑이 통증 없이 안전하게!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10월 23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m.blog.naver.com/vision357/223245021823.
  4. Mayo Clinic. Mobility Aids – Customer Handbook [인터넷].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DF 버전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cforms.mayo.edu/mc1200-mc1299/mc1234-158.pdf.
  5. 서울척병원. 목발 사용법, 준비자세부터 보행법까지 알기 쉬운 목발 사용 가이드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9년 8월 28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ukspinehp/221636228044.
  6. 케어스토어. 지팡이 · 복지용구선택법&사용법 [인터넷]. 케어스토어 블로그; (게시일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arestore.co.kr/blog/17172799410209.
  7. Cleveland Clinic. How To Use a Cane: Sizing, Safety, Training, Use & Stairs [인터넷]. Cleveland Clinic;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procedures/how-to-use-a-cane.
  8. 보건복지부. 요양보호 관련 연수교재 (안전관리 장) [인터넷].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2008년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19&list_no=336909&seq=4.
  9. University of Washington Medical Center. 목발로 걷기 (Crutch Walking) [인터넷]. UW Medicine; (PDF 버전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online.s.uw.edu/sites/default/files/record_pdfs/Crutch-Walking-KO.pdf.
  10. saeng2016. 목발 사용법 기초! 겨드랑이가 아프다면? 목발 내 몸에 맞추기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6월 10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aeng2016/222767136968.
  11. 엘씨티플러스. [목발 짚는 법] 목발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목발을 이용한 …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0년 6월 23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lctpw0303/222009924757.
  12. 맑은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환자안전, 낙상예방! 휠체어/워커/목발 사용법 [인터넷]. 맑은장애인자립생활센터; (게시일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niceilc.or.kr/living_info/?bmode=view&idx=18656601.
  13.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AAOS). How To Use Crutches, Canes, and Walkers [인터넷]. OrthoInfo from AAOS;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rthoinfo.aaos.org/en/recovery/how-to-use-crutches-canes-and-walkers/.
  14. 방문재활운동 HOMET. 지팡이 사용방법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편마비 지팡이 #평지 보행 #계단 보행 #일상생활동작 #stroke cane gait #cane use #방문재활 [동영상]. YouTube; 2021년 8월 12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Bcavm3cCKs4. (실제 URL은 확인 필요)
  15. 헬스비즈. 올바른 목발 자세 ‘5가지’ 명심하세요 [인터넷]. 헬스비즈; 2022년 5월 22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4.
  16. 이성재. 노인 보행보조기기 (지팡이, 목발). 한국의지보조기학회지. 2013;8(1):8-12.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spokorea.org/file/journal/008/ispokorea008-01-08.pdf.
  17. Cardinal Health. Crutches [인터넷]. Cardinal Health;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ardinalhealth.com/en/consumer-products/home-healthcare-products/canes-crutches-and-accessories/crutches.html.
  18. Just Walkers. Using a Cane – Walking Cane User Guide [인터넷]. Just Walkers;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justwalkers.com/pages/using-a-cane.
  19. The Cane Masters. Sizing Your Cane [인터넷]. The Cane Masters;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anemasters.com/pages/sizing-your-cane.
  20. Reid Health. How and when to use crutches, canes, or walkers [인터넷]. Reid Health Blog; (게시일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idhealth.org/blog/when-and-how-to-use-crutches-canes-or-walkers.
  21. ss_pr. 낙상예방 목발 보행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1년 3월 30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s_pr/222292389953.
  22. Oxford Health NHS Foundation Trust. Safety information leaflet: crutches [인터넷]. Oxford Health NHS; 2015년 (또는 최신 PDF 버전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oxfordhealth.nhs.uk/wp-content/uploads/2014/08/OP-099.15-Safety-information-leaflet-crutches.pdf.
  23. University Hospitals Plymouth NHS Trust. Use of Crutches [인터넷]. Plymouth Hospitals NHS Trust; (웹사이트에서 PIL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lymouthhospitals.nhs.uk/display-pil/pil-use-of-crutches-6060/.
  24. choys0103. 목발보행법 레포트 [인터넷]. 해피캠퍼스; 2010년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11797987/.
  25. 조인트러브. 목발 사용법 또는 짚는법은 이렇게 해야 안아파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8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jointluv/223733678774.
  26. gtg204. 관절치료병원에서 알려주는 목발 사용법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4년 11월 28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gtg204/220194591133?viewType=pc.
  27. Fremont Orthopaedic Clinic. How to Use Crutches, Canes, and Walkers – OrthoInfo – AAOS [인터넷]. AAOS; (PDF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remontorthodocs.com/wp-content/uploads/2017/09/AAOS-crutch-training.pdf.
  28. 국립재활원. 뇌병변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 맞춤형 교육 컨텐츠(건강관리3) – 올바른 지팡이 사용법 (우측 마비) [인터넷]. 국립재활원; (게시일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rc.go.kr/nrc/board/boardView.do?no=21474&fno=66&menu_cd=06_04&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
  29. 국립재활원. 뇌병변 중도장애인 사회복귀지원 맞춤형 교육 컨텐츠(건강관리3) – 올바른 지팡이 사용법 (좌측 마비) [인터넷]. 국립재활원; (게시일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rc.go.kr/nrc/board/boardView.do?no=21474&fno=66&menu_cd=06_04&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 (주: 우측 마비와 동일한 기본 페이지에서 관련 PDF 접근 가능)
  30. 연세무척나은병원. 올바른 목발 짚는법·사용법 ㅣ 광진구정형외과 연세무척나은병원 [동영상]. YouTube; 2022년 11월 3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xiIGMR6Faro. (실제 URL은 확인 필요)
  31. 삼성서울병원. 안전한 병원생활, 이것만 알아두세요! 올바른 목발 사용법 [동영상]. YouTube; 2021년 5월 13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7V4XkOE873Y. (실제 URL은 확인 필요)
  32. 정형외과 전문의 이세리. 목발 사용법 및 목발 보행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ft. 무릎수술 발목수술 걷기 계단 이용 의자 착석 [동영상]. YouTube; 2022년 1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eH2axuNvxT4. (실제 URL은 확인 필요)
  33. kshyun0928. 목발 보행 환자 교육자료 레포트 [인터넷]. 해피캠퍼스; 2021년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25346147/.
  34. 뷰티플시니어. (3편) 노인 보행 보조기 선택 가이드: 상황에 맞는 보조기 추천 [인터넷]. 티스토리 블로그; 2023년 5월 15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eautifulsenior.tistory.com/entry/3-%ED%8E%B8-%EB%85%B8%EC%9D%B8-%EB%B3%B4%ED%96%89-%EB%B3%B4%EC%A1%B0%EA%B8%B0-%EC%84%A0%ED%83%9D-%EA%B0%80%EC%9D%B4%EB%93%9C-%EC%83%81%ED%99%A9%EC%97%90-%EB%A7%9E%EB%8A%94-%EB%B3%B4%EC%A1%B0%EA%B8%B0-%EC%B6%94%EC%B2%9C.
  35.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무릎관절염, 올바로 운동하기 [인터넷]. 질병관리청; 2023년 5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969.
  36. 김준호 정형외과 전문의. #부산정형외과 올바른 목발 사용 방법, 서울대학병원 임상자문의 김준호 원장님께서 설명 … [동영상]. YouTube; 2021년 3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1V3syRv3K0A. (실제 URL은 확인 필요, 이 링크는 FAQ Q5의 [74]번 출처로 DOCX B.9.3에서 참조된 것으로 보이나, 해당 YouTube 영상이 재활운동 상담의 중요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는지 확인 필요. 보다 일반적인 환자 교육 자료를 우선적으로 인용함.)
  37. 국립재활원 재활병원. 진료과/의료진 > 재활의학과(척수손상재활) > 과소개 [인터넷]. 국립재활원; (웹사이트에서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rc.go.kr/hospital/html/content.do?depth=mi&menu_cd=01_04_03_01. (FAQ Q5의 [47]번 출처로 활용)
  38. j0014aako. [시연용] j0014aako 보행 보조기구 이용방법 안내 [동영상]. YouTube; 2019년 11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cljH586LDT4. (실제 URL은 확인 필요, 이전에 목발 손잡이 높이 [42]로 인용됨. FAQ에서 재활 운동 관련으로 다시 인용될 경우 기존 번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