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6개월, 아기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며 부모에게 놀라움과 기쁨을 선사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주변 아기들과의 미묘한 차이에 부모의 마음은 불안과 걱정으로 가득 차기도 합니다. 이 시기 아기의 평균 키와 체중은 어느 정도인지, 언어 발달이나 식사 습관에 문제는 없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 아이가 제대로 잘 크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고 계실 것입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러한 부모님들의 현실적인 고민을 깊이 이해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와 한국의 공식 발달 기준을 바탕으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성장 표준 알기: 16개월 남자 아기의 평균 키는 약 80.2cm, 체중은 10.5kg이며, 여자 아기는 약 78.6cm, 9.8kg입니다. 이는 평균치일 뿐, 모든 아이는 자신만의 성장 곡선을 가집니다.225
- K-DST로 객관적 평가: 막연한 불안감 대신, 한국의 공식 발달 기준인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를 통해 대근육, 소근육,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 능력을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11
- 언어와 식사 문제 해결: 말이 늦거나 밥을 잘 먹지 않는 것은 이 시기에 가장 흔한 고민입니다. 전문가들은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지원 전략과 함께 부모의 인내심 있는 접근을 강조합니다.59
- 발달은 경주가 아닌 여정: 다른 아이와의 비교는 불필요한 불안을 낳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자신만의 속도에 맞춰 꾸준히 발달하고 있는지 전문가와 함께 관찰하고 지원하는 것입니다.
서론: 16개월, 폭풍 같은 성장과 부모의 깊어지는 고민
16개월에 접어든 아기는 스스로 걷고, 주변을 탐색하며, 희미하게나마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 시작하는 경이로운 시기를 보냅니다. 하지만 이 폭풍 같은 성장의 이면에는 부모의 깊어지는 고민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나 주변 지인들을 통해 접하는 다른 아이들의 ‘성공담’은 때로 우리 아이의 발달 속도에 대한 조바심과 불안감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우리 아이만 늦는 걸까?” – 끝나지 않는 비교와 불안감
한국 사회의 특성상 ‘남의 시선’과 ‘비교 문화’는 육아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3 또래 아이는 벌써 몇 단어로 문장을 말하는데 우리 아이는 아직 단어도 몇 개 못하는 것 같고, 다른 아이는 밥을 잘 먹는데 우리 아이는 매 끼니가 전쟁인 것 같은 상황. 이러한 비교는 “혹시 우리 아이만 뒤처지는 건 아닐까?”라는 근본적인 두려움을 자극합니다. 이 두려움은 단순한 걱정을 넘어,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자책감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기, 부모가 정말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이러한 불안감 속에서 부모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카더라’ 통신이 아닌,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사실과 객관적인 기준입니다. 아이의 발달이 ‘정상 범위’ 안에 있는지, 만약 도움이 필요하다면 어떤 점을 지원해주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바로 그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막연한 불안감을 걷어내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확신을 가지고 아이의 성장을 기쁘게 지켜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글의 최종 목표입니다.
정보의 홍수 속 숨겨진 진실: 왜 우리는 더 불안해질까?
육아 정보를 얻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지만, 역설적으로 부모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 소위 ‘맘카페’에서 공유되는 정보들은 유용할 때도 있지만, 종종 불안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맘카페’의 성공담과 통계의 차이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유독 발달이 빠른 아이들의 이야기가 많이 공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5 “우리 아이는 15개월에 문장을 말했어요”와 같은 특별한 사례들은 다른 부모들에게는 은연중에 ‘평균’이나 ‘기준’처럼 인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소수에 해당하는 ‘성공담’일 뿐, 대다수 아이들의 보편적인 발달 과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는 우리 아이가 마치 뒤처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인식의 왜곡’이 발생합니다.
발달은 ‘경주’가 아닌 ‘여정’입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아이의 발달이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는 ‘경주’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각자의 유전적 기질과 환경 속에서 고유한 속도로 나아가는 ‘여정’에 가깝습니다. 어떤 아이는 대근육 발달이 빨라 먼저 걷기 시작하고, 어떤 아이는 언어 능력이 먼저 발달할 수 있습니다. 미국 소아과학회(AAP)와 같은 권위 있는 기관들은 발달에는 정해진 ‘시점’이 아닌 ‘시기’와 ‘범위’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20 따라서 중요한 것은 평균과의 비교가 아니라, 아이가 자신만의 속도로 꾸준히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제대로 알면 불안은 사라집니다: 16개월 아기 성장의 과학적 기준
막연한 걱정을 덜어내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공식 성장도표 및 발달 기준은 우리 아이의 현재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는 가장 신뢰도 높은 잣대입니다.
우리 아이, 얼마나 컸을까? WHO와 한국 성장도표 기준 평균 키와 체중
성장도표는 수천 명의 건강한 아이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표준 성장 패턴입니다. 다음 표는 16개월 아기의 50번째 백분위수(정중앙값)에 해당하는 평균 신체 발달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5번째 백분위수에서 95번째 백분위수 사이라면 모두 정상 범위로 간주합니다.
지표 | 남자 아기 (50번째 백분위수) | 여자 아기 (50번째 백분위수) | 참고 자료 |
---|---|---|---|
체중 | 10.5 kg | 9.8 kg | WHO 성장도표25,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KDCA)2 |
신장(키) | 80.2 cm | 78.6 cm | WHO 성장도표25,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KDCA)2 |
한국 공식 발달 기준: 영유아 건강검진과 K-DST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부모라면 ‘영유아 건강검진’ 제도에 익숙할 것입니다.12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국가 필수 건강검진 프로그램으로, 아이의 성장과 발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발달 지연과 같은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검진에서 가장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DST)’입니다.11 K-DST는 한국 아이들의 발달 특성을 기준으로 표준화되었기 때문에, 미국 CDC나 WHO의 기준보다 한국 부모들에게 더 실질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17
우리 집에서 해보는 K-DST: 16개월 발달 셀프 체크리스트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기 전, 또는 평소 아이의 발달이 궁금할 때 집에서 간단하게 K-DST 항목들을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16~17개월 영유아에게 적용되는 K-DST의 주요 항목들입니다.11 아이가 각 항목을 수행할 수 있는지 편안한 환경에서 관찰해보세요. ‘아니오’에 해당하는 항목이 있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다음 건강검진 시 의사와 상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대근육 운동 (Gross Motor)
- 혼자서 열 걸음 이상 잘 걷는다.
- 붙잡지 않고 서 있는 자세에서 혼자 쪼그리고 앉을 수 있다.
- 어른 의자나 소파에 기어 올라간다.
발달 지연 경고 신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에서는 만 18개월이 되어도 혼자 걷지 못하는 경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볼 것을 권고합니다.14
소근육 운동 (Fine Motor)
-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건포도와 같은 작은 물건을 잘 집는다.
- 뚜껑이 없는 병 속에 작은 물건(예: 콩)을 집어넣는다.
- 크레용이나 색연필을 쥐고 종이에 마구 긁적거린다.
인지 (Cognitive)
- 장난감 전화기, 빗, 컵 등 익숙한 물건의 용도를 알고 흉내 내며 논다. (예: 전화기를 귀에 댄다)
- 엄마나 아빠가 하는 단순한 행동(예: 잼잼, 짝짜꿍)을 따라 한다.
- “컵 가져오세요”와 같이 익숙한 사물에 대한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따른다.
언어 (Language)
- “엄마”, “아빠” 외에 의미 있는 단어를 1~3개 이상 말한다.
- “안돼”, “주세요” 와 같은 간단한 말을 알아듣고 행동한다.
- 원하는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소리를 내어 표현한다.
사회성 (Social)
- 장난감을 주면 받는다.
- 원하는 것이 있을 때 떼를 쓴다.
-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장난감이나 물건을 보여준다.
자조 (Self-Help)
- 컵을 사용하여 혼자 물을 마실 수 있다 (조금 흘릴 수는 있음).
- 신발을 신으려고 할 때 발을 내민다.
- 숟가락을 사용하여 혼자 밥을 먹으려고 시도한다.
분야별 심층 가이드: 우리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방법
체크리스트를 통해 아이의 현재 발달 단계를 파악했다면, 이제 각 영역의 발달을 자연스럽게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특히 부모님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언어와 식사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가장 큰 고민 1] 말이 늦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언어 발달 지연은 부모에게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입니다.7 하지만 말이 조금 늦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코신대학교복음병원 재활의학과 심영주 교수는 언어 평가 시 말을 표현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말을 알아듣는 ‘수용 언어’ 능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5 아이가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따를 수 있다면, 표현 언어가 조금 늦더라도 기다려 볼 여지가 있습니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언어 촉진 전략:
- 눈 맞춤과 상호작용: 아이와 눈을 맞추고, 아이의 옹알이나 행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해주세요. 이것이 모든 대화의 시작입니다.
- 간단하고 명확한 언어 사용: 아이에게 말할 때는 짧고 간단한 문장으로, 사물의 이름을 명확하게 반복해서 들려주세요. (예: “물”, “까까 줄까?”)
- 책 읽기와 노래 부르기: 그림책을 함께 보며 사물의 이름을 알려주고, 간단한 동요를 반복해서 불러주는 것은 어휘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6
- ‘왜’가 아닌 ‘무엇’에 집중: “왜 말 안 해?”라고 다그치기보다, 아이가 무엇에 관심 있는지 관찰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해주세요.
“말이 늦는 아이에 대해 부모가 너무 걱정하면 아이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즐거운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이민주 육아상담소 소장6
[가장 큰 고민 2] 밥 안 먹는 아이, 식사 시간 전쟁 끝내는 법
16개월 전후는 아이의 식사 거부가 두드러지는 시기입니다. 성장 속도가 이전보다 완만해지면서 식욕이 자연스럽게 감소하고, 자아가 발달하면서 음식에 대한 호불호를 표현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9 이때 부모가 억지로 먹이려 하거나 식사 시간을 전쟁처럼 만들면, 아이는 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10
미국 소아과학회(AAP)가 제안하는 식사 거부 대처법:20
- 일관된 식사 시간과 장소: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아기 식탁 의자)에서 식사하는 규칙을 만들어주세요.
- 스스로 먹게 두기: 아이가 숟가락이나 손을 사용해 스스로 먹도록 격려해주세요. 지저분해지더라도 이는 중요한 발달 과정의 일부입니다.
- 다양한 음식 노출: 아이가 특정 음식을 거부하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시간을 두고 다양한 조리법으로 꾸준히 노출시켜주세요.
- 양에 집착하지 않기: 아이가 먹는 양은 스스로 조절하게 해주세요. 부모의 역할은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지, 억지로 먹이는 것이 아닙니다.
- 칭찬과 긍정적 분위기: 아이가 조금이라도 먹었을 때 칭찬해주고, 즐거운 식사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를 통한 종합 발달 지원 전략
이 시기의 아이에게 놀이는 곧 학습입니다.4 거창한 교구나 장난감이 없어도 일상생활 속에서 충분히 아이의 발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대근육 발달: 공을 굴리고 던지기, 안전한 계단 오르내리기, 음악에 맞춰 몸 흔들기
- 소근육 발달: 크기가 다른 블록 쌓기, 뚜껑 열고 닫기, 종이 찢고 구기기
- 인지/언어 발달: 신체 부위(눈, 코, 입) 가리키기, 동물 소리 흉내 내기, 간단한 심부름 시키기(“기저귀 가져다줄래?”)
자주 묻는 질문 (FAQ)
Q. 우리 아이가 말이 늦는데,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아닐까 걱정돼요.
A. 단순 언어 지연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정신의학신문에 따르면, 단순 언어 지연 아동은 눈 맞춤이나 상호작용, 지시 따르기 등 사회적 소통 능력은 정상적인 경우가 많습니다.8 하지만 아이가 눈을 잘 맞추지 않거나,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거나, 상호작용에 관심이 없는 등 언어 문제 외에 다른 사회성 결여가 함께 보인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나 발달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Q. K-DST 체크리스트에서 ‘아니오’가 몇 개 나왔습니다. 바로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A. 한두 개의 항목을 못한다고 해서 바로 발달 지연으로 진단하지는 않습니다. K-DST는 이름 그대로 ‘선별검사’이며, 정밀 진단 도구가 아닙니다.13 아이의 컨디션이나 기질에 따라 특정 행동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특정 항목의 통과 여부보다 전반적인 발달 추세입니다. 체크리스트 결과를 기록해두었다가 다음 영유아 건강검진 시 의사에게 보여주고, 아이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에 대해 종합적으로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Q. 아이가 밥은 안 먹고 우유나 주스만 찾는데 괜찮을까요?
A. 12개월 이후에는 고형식이 주식이 되어야 합니다. 닥터나우와 같은 건강 상담 플랫폼의 전문가들은 우유나 액상 과당으로 배를 채우면 철분 결핍성 빈혈이나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9 식사 1~2시간 전에는 우유나 간식 제공을 중단하고, 식사 시간에 충분히 배고픔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유는 하루 총량이 500ml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결론: 부모는 ‘코치’가 아닌 ‘정원사’입니다
아이의 16개월은 가능성으로 가득 찬 아름다운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불안과 걱정으로 채우기보다, 아이의 고유한 성장 속도를 믿고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역할은 아이를 정해진 트랙에서 달리게 하는 ‘코치’가 아니라, 아이라는 씨앗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도록 좋은 토양과 햇빛, 물을 제공하는 ‘정원사’와 같습니다.
모든 아이는 자신만의 속도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모든 수치와 체크리스트는 평균적인 기준일 뿐, 절대적인 정답이 아닙니다. 우리 아이가 가진 고유한 기질과 속도를 존중해주세요. 어제의 아이보다 오늘 조금 더 성장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다른 아이와의 비교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우리 아이의 성장을 온전히 기뻐하고 응원할 수 있습니다.
의사에게 질문할 것들: 건강검진 200% 활용하기
이 기사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가오는 영유아 건강검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K-DST 체크 결과를 가지고 평소 궁금했던 점, 걱정되었던 부분들을 구체적으로 질문하세요. “우리 아이가 이 항목을 아직 못하는데, 괜찮을까요?”, “언어 발달을 위해 제가 더 해줄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와 같은 질문들은 의사로부터 우리 아이만을 위한 맞춤형 조언을 얻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KRHOW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 여정에 부모님과 항상 함께하는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참고 문헌
- 만 16개월 – 성장과 발달 (만 1세). OpenTutorials.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opentutorials.org/module/268/3038
- 아기 개월별 평균 키 몸무게. Calculated.co.k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abymonths.calculated.co.kr/entry/baby-month-average-height-weight
- 16개월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차이의 놀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stories/3766-16%EA%B0%9C%EC%9B%94-%EC%9A%B0%EB%A6%AC-%EC%95%84%EC%9D%B4-%EC%9E%98-%ED%81%AC%EA%B3%A0-%EC%9E%88%EB%82%98%EC%9A%94?no_navbar=true
- 16개월 차 (만15개월) 아기, 성장발달을 돕는 육아 놀이 팁. 차이의 놀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growth_subclasses/139
- 말 느린 아이, 발음교육으로 언어발달 도와줘야. 국제신문. 2021년 8월 24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700&key=20210824.22016005784
- [육아] 말이 늦게 트는 아이, 집에서 언어촉진 이렇게 해주세요! 5가지 방법 l이민주육아상담소l.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QeCECOCJ-60
- “말 늦은 아이 어린이집 빨리 보내라… 언어발달의 골든타임은 두 돌 전후”. 베이비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910
- 말이 늦는 아이, 혹시 자폐 증상일까?. 정신의학신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7385
- 16개월 아기가 밥을 거부하고 우유만 먹을 때 문제가 있을까요?. 닥터나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octornow.co.kr/content/qna/9a174414cd2d4c50ac481c25a7182589
- 16개월 유아식 – 잘 먹다가 안 먹다가를 무한반복 하는 주간. Prolifeweekly.tistory.com.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rolifeweekly.tistory.com/20
- 영유아 발달선별검사(16~17개월). 코끼리소아청소년과의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kokiriclinic.com/resources/pandora3Front/pediatrics/common/images/a_check_16-17.pdf
- 영유아 건강검진.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ph&menu_cd=03_02_00_04
-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16~17개월). 모란여성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oranhosp.co.kr/download.php?a=/data/pediatrics/07.pdf&n=%ED%95%9C%EA%B5%AD%EC%98%81%EC%9C%A0%EC%95%84%EB%B0%9C%EB%8B%AC%EC%84%A0%EB%B3%84%EA%B2%80%EC%82%AC%2816%7E17%EA%B0%9C%EC%9B%94%29.pdf
- 영유아기 흔한 건강문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ediatrics.or.kr/bbs/?code=infantcare&category=B&gubun=A
- 대한민국 명의를 찾아라.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chosun.com/bestdoctor/
- WHO Growth Chart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growthcharts/who_charts.htm
- CDC’s Developmental Milestone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ncbddd/actearly/milestones/index.html
- WHO Growth Standard for 0 to 24 months. PediTool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editools.org/growthwho/
- Toddler development at 15-18 months. Raising Children Network (Australi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aisingchildren.net.au/toddlers/development/development-tracker-1-3-years/15-18-months
- Bright Futures Information for Parents: 18 Month Visit.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ap.org/en/practice-management/bright-futures/bright-futures-family-centered-care/well-child-visits-parent-and-patient-education/bright-futures-information-for-parents-18-month-visit/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25~36개월).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4
- 영유아기 흔한 건강문제. 대한소아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B&page=2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13~24개월).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3
- 병의원 리스트. 한국소아당뇨인협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iddm.kr/company/hospital
- Length/height-for-ag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growthcharts/data/who/grchrt_boys_24lw_100611.pdf
- WHO Growth Chart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growthcharts/who-growth-charts.htm
- 영아기 초기보호자용 설명서.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19&list_no=720172&seq=3
- Important Milestones: Your Baby By Fifteen Month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ncbddd/actearly/milestones/milestones-15mo.html
- Checklist – 18 month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ncbddd/actearly/pdf/checklists/checklists_18mo.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