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18개월 남자 아기 성장 발달 종합 가이드: 성장표, 발달 이정표, 육아법 총정리

생후 18개월은 아기의 발달 과정에서 정적인 한 지점이 아닌, 역동적이고 중추적인 전환기입니다. 이 시기는 신체적 독립성(걷고 뛰는 능력)의 부상과 강력한 자율성 욕구가 교차하며 때로는 어려운 과제를 제시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열망은 종종 아기의 언어 및 감정 조절 능력을 앞지릅니다.1 그 결과, 세상을 탐험하려는 흥분과 소통의 한계로 인한 좌절감에서 비롯된 분노 폭발이 공존하는 모순적인 단계가 나타납니다. 이 글은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와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등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 복잡한 시기를 심층 분석하여, 부모님들이 아기의 성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 및 대한소아과학회: 이 기사의 표준 성장 지표에 관한 내용은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근거합니다.4
  • 세계보건기구(WHO): 3세 미만 아동의 성장 기준은 최적의 환경에서 모유 수유를 한 건강한 영유아의 성장을 기반으로 하는 WHO의 성장 표준을 채택했습니다.6
  •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18개월 아기의 발달 이정표(대근육, 소근육, 인지, 언어 등)는 K-DST의 공식적인 선별 질문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18

핵심 요약

  • 성장 표준 이해하기: 18개월 남자 아기의 평균(50백분위수) 신장은 82.3cm, 체중은 10.9kg입니다. 중요한 것은 특정 백분위수 값이 아니라, 아이가 자신의 성장 곡선을 꾸준히 따라가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 ‘무시무시한 18개월’의 진실: 이 시기의 떼쓰기와 분노 폭발은 나쁜 행동이 아니라, 표현 능력보다 앞서가는 자율성 욕구와 의사소통의 한계에서 비롯되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입니다.1
  • 발달 이정표 확인: 아기가 혼자서 걷고, 4개 이상의 블록을 쌓으며, “엄마”, “아빠” 외에 의미 있는 단어를 8개 이상 말하고, 간단한 상상 놀이를 시작하는지 관찰해야 합니다.1819
  • 부모의 역할: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공감), 명확한 한계를 설정하며(일관성), 아이의 자율성을 격려하는 ‘외부 조절자’ 역할을 통해 아이의 자기 조절 능력 발달을 도와야 합니다.31
  • 발달 지연 신호: 만약 아이가 독립적으로 걷지 못하거나, 의미 있는 단어를 전혀 말하지 못하고, 눈 맞춤이나 손가락질 같은 사회적 소통을 시도하지 않는다면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19

제1부: 성장도표: 18개월 남자 아기의 표준 신체 지표

이 부분은 신체 성장에 대한 정확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한국의 공식 표준을 주요 척도로 설정하고 이를 글로벌 맥락에 배치하여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1.1. 한국 공식 표준: 2017년 질병관리청 성장도표 분석

질병관리청(KDCA)과 대한소아과학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는 한국 어린이의 성장을 평가하는 황금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4 이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정기 건강검진 시 사용하는 공식적인 참조 도구입니다.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분석 지점은 3세 미만 아동의 경우, 이 도표가 세계보건기구(WHO)의 성장 표준을 채택했다는 사실입니다.6 이는 최적의 환경에서 완전 모유 수유를 한 건강한 영유아의 성장을 기반으로 하는 ‘규범적'(prescriptive) 표준을 사용하려는 의도적인 선택입니다. 즉, 이 도표는 단순히 한 인구 집단의 평균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성장 궤적을 묘사합니다.10 이러한 선택은 한국의 표준이 국가적 특수성을 가지면서도 이 연령대에 대한 최상의 국제 표준과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따라서 부모님들은 출처가 불분명하여 잘못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계산기 대신 이 성장도표를 주요 참고 자료로 사용해야 합니다.43 검증된 통일된 표준을 사용하면 아기의 성장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래는 공식 표준에 따른 18개월 남자 아기의 신장과 체중에 대한 상세 데이터 표입니다.

 

표 1: 18개월 남자 아기를 위한 KDCA 2017 성장도표 데이터 (WHO 기준)
백분위수 (Percentile) 신장 (cm) 체중 (kg)
3rd 76.9 9.2
5th 77.7 9.5
15th 79.2 10.0
25th 80.5 10.4
50th (중앙값) 82.3 10.9
75th 84.2 11.6
85th 85.3 12.0
95th 86.7 12.7
97th 87.5 13.0

데이터 출처: 이 연령대의 2017 KDCA 성장도표의 기초가 되는 출생부터 2세까지의 남아용 WHO 백분위수 표에서 종합.6

1.2. 글로벌 맥락과 비교 분석: CDC 성장 표준

더 넓은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KDCA/WHO 표준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성장도표와 비교하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12 핵심적인 차이는 방법론에 있습니다. WHO 표준은 규범적(건강한 아이들이 어떻게 성장해야 하는가)인 반면, CDC 도표는 기술적(미국의 특정 아동 인구 집단이 어떻게 성장했는가)입니다.10

한국이 WHO 표준을 채택한 것은 단순히 특정 인구의 현황을 반영하는 대신 최적의 성장 모델을 우선시함을 보여줍니다.

 

표 2: 18개월 남자 아기 성장 데이터 비교 (KDCA/WHO 및 CDC) (50백분위수)
표준 신장 (50백분위수) 체중 (50백분위수)
KDCA / WHO 82.3 cm 10.9 kg
미국 CDC 82.3 cm 10.8 kg

데이터 출처:11

비교 표는 이 연령대의 중앙값이 거의 동일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한국에서 적용되는 표준의 타당성을 더욱 강화하며, 이 시기 여러 환경의 아이들 사이에서 평균 성장 궤적이 유사함을 시사합니다.

1.3. 숫자의 해석: 성장 궤도에 대한 의사의 관점

“부모에게 가장 강조해야 할 중요한 점은 백분위수가 점수나 경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15 25백분위수에 있는 아이가 75백분위수에 있는 아이보다 ‘못한’ 것이 아닙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대신, 임상의들은 성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음 요소에 집중합니다:

  • 성장 채널(Growth Channel):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일 측정 지점이 아니라, 아이가 자신만의 성장 채널을 따라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건강한 아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표에서 자신의 성장 궤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균형: 아이의 체중은 신장/키에 비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15 이것이 의사들이 더 완전한 그림을 얻기 위해 ‘신장별 체중’ 도표를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 정상적인 변화: 생후 2-3년 동안 아이가 하나 또는 두 개의 백분위수 채널을 이동하는 것은 정상으로 간주됩니다.15
  • 경고 신호(Red Flags): 갑작스러운 증가나 감소, 또는 장기간의 수평 성장 곡선(성장하지 않음)은 잠재적인 성장 문제의 신호일 수 있으며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15

요약하자면, 목표는 모든 아이를 50백분위수로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목표는 각 아이가 자신의 유전적 잠재력과 고유한 궤도에 따라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16

제2부: 18개월 발달 이정표 매트릭스: 종합 발달 평가

이 부분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달로 초점을 전환하며,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를 주요 참조 틀로 사용하고, 생생하고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출처의 상세한 설명을 보완합니다.

2.1. 대근육 운동: 끊임없는 움직임의 시대

18개월이 되면 아이의 대근육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달합니다. 아이는 단지 안정적으로 걷는 것을 넘어 달리기 시작하고(주로 뒤뚱거리는 걸음걸이로), 기어오르며, 세상을 수직으로 탐험합니다.18 이 새로운 운동 능력은 인지적 탐험의 동력이지만, 부모에게는 안전에 대한 주된 우려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장난감 쇼핑 카트와 같은 밀고 다니는 장난감을 좋아하며, 이는 걷고 뛰는 데 필요한 근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20

주요 이정표 (K-DST 및 기타 자료 기준):

  • 뒤뚱거리지만 달릴 수 있습니다.18
  • 소파나 낮은 테이블과 같은 가구 위로 올라갑니다.18
  • 가만히 있는 공을 차며, 균형 감각의 발달을 보여줍니다.18
  • 난간을 잡고 계단을 올라갑니다.18
  • 뒤로 걸을 수 있습니다.18
  • 웅크린 자세에서 붙잡지 않고 스스로 일어섭니다.18

2.2. 소근육 운동: 손이 도구가 되다

소근육 기술이 점점 더 정교해집니다. 엄지와 검지로 집는 동작(pincer grasp)이 완성되고, 이제 아이는 물건을 조작하는 데 집중합니다: 블록 쌓기, 낙서하기, 그리고 숟가락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주요 이정표 (K-DST 및 기타 자료 기준):

  • 블록을 4개 이상 쌓을 수 있습니다.18 이는 눈과 손의 협응력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아이들 간의 차이는 큽니다. 어떤 아이는 7-8개를 쌓을 수 있는 반면, 다른 아이들은 쉽게 좌절하고 던져버릴 수 있습니다.21 결과보다는 과정을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색연필을 쥐고 종이에 선을 그적이며 낙서합니다.18
  • 책장을 한 장씩 넘깁니다 (한 번에 여러 장을 넘길 수도 있습니다).18
  • 숟가락을 사용하여 스스로 음식을 떠먹습니다. 음식이 많이 흘리더라도 숟가락을 그릇에서 입으로 가져가는 행동이 중요한 이정표입니다.18

2.3. 인지: 상상 놀이의 탄생

이것은 상징적 사고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마법 같은 시기입니다. 아이는 한 물체가 다른 물체를 대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예: 나무 블록이 전화기가 됨). 또한 더 복잡한 지시를 따를 수 있으며 점점 더 나은 기억력을 보여줍니다.

주요 이정표 (K-DST 및 기타 자료 기준):

  • 다른 사람의 역할을 모방합니다 (상상 놀이, 또는 “흉내놀이”). 예를 들어 인형에게 밥을 먹이거나 장난감 전화기로 통화합니다.18
  • 간단한 퍼즐 보드(원, 사각형, 삼각형)에 적어도 한 조각을 맞춥니다.18
  • 몸짓 없이 말로만 요청했을 때, 다른 방으로 가서 익숙한 물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18
  • 요청 시 신체 부위 5곳 이상을 가리킵니다 (예: 눈, 코, 입, 귀, 손).18
  • 익숙한 책의 내용을 알아보고 다음 페이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기억력과 사건 순서 배열 능력의 발달을 보여줍니다.24

2.4. 언어: 어휘 폭발

언어 발달이 현저하게 가속화됩니다. ‘정상’ 발달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주된 변화는 단일 단어를 말하는 것에서 구체적인 필요와 관찰을 표현하는 새로운 능력으로의 전환입니다.

주요 이정표 (K-DST 및 기타 자료 기준):

  • “엄마”, “아빠” 외에 의미 있는 단어를 8개 이상 말합니다.19 일부 연구에 따르면 어휘량이 20-50개에 이를 수 있습니다.25
  • 그림책에 있는 익숙한 사물의 이름을 말합니다.19
  • 발음이 아직 부정확하더라도 두 단어로 된 문장을 모방합니다 (예: “과자 줘”, “이거 뭐야?”).19
  • “내 거”, “이거”, “저거”와 같은 대명사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19

“이 시기의 인지 및 언어 발달은 감정적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의 욕구와 이해(인지)는 언어 표현 능력(언어)보다 훨씬 빠르게 발달합니다. 이 격차는 직접적으로 좌절로 이어집니다. 미숙한 감정 조절 능력과 결합될 때, 이는 떼쓰기, 울음, 공격적인 행동으로 폭발합니다.1 따라서 떼쓰기를 훈육의 문제가 아닌 의사소통의 도전 과제로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분석

2.5. 사회성-정서: ‘나’의 출현

이것이 바로 ‘무시무시한 18개월’의 중심입니다. 아이는 강한 자아의식을 발달시키며, 이는 “내 것!”(내 것!)과 “싫어!”(싫어!)라고 외치는 고전적인 행동으로 이어집니다.28 이것은 나쁜 행동이 아니라, 고유한 개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발달 단계입니다.

임상적 개념인 ‘재접근기'(Rapprochement)는 이 나이대의 모순적인 행동을 완벽하게 설명합니다. 한 순간에는 독립을 격렬하게 주장하다가 다음 순간에는 부모에게 매달립니다.2 이는 아이들이 세상으로 모험을 떠나는 동안 자신의 ‘안전 기지’가 여전히 그곳에 있는지 다시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주요 이정표 (K-DST 및 기타 자료 기준):

  • 요청 시 인형에게 밥을 먹이는 시늉을 하며, 이는 모방과 공감 능력의 싹을 보여줍니다.18
  • 익숙한 사람이 슬퍼 보이거나 아파 보일 때 위로하려고 시도하며, 이는 사회적 관심의 초기 징후입니다.18
  • 양육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킵니다. 이는 핵심적인 사회적 소통 제스처입니다.18
  • 어른에게 책을 가져다주며 읽어달라고 요청합니다.18

부모님들이 실용적인 자가 평가 도구를 가질 수 있도록, 아래 표는 K-DST의 공식적인 선별 질문들을 종합한 것입니다.

 

표 3: 18개월 아기를 위한 종합 발달 체크리스트 (K-DST 통합)
영역 체크리스트 질문 (아기가 할 수 있나요?)
대근육 운동 1. 뒤뚱거리지만 달릴 수 있나요? 2. 가구(소파, 낮은 테이블)에 올라가나요? 3. 가만히 있는 공을 찰 수 있나요? 4. 난간을 잡고 계단을 올라가나요?
소근육 운동 1. 블록 4개를 쌓을 수 있나요? 2. 색연필로 낙서를 하나요? 3. 책장을 스스로 넘기나요? 4. 숟가락으로 스스로 떠먹나요(흘리더라도)?
인지 1. 상상 놀이(예: 인형 밥 주기, 장난감 전화)를 하나요? 2. 간단한 퍼즐 조각 하나를 맞출 수 있나요? 3. 말로만 시켰을 때 다른 방에서 물건을 가져오나요? 4. 신체 부위 5곳 이상을 가리킬 수 있나요?
언어 1. ‘엄마’, ‘아빠’ 외에 의미 있는 단어를 8개 이상 말하나요?19 2. 그림책 속 사물 이름을 말할 수 있나요? 3. 두 단어로 된 문장을 따라 하나요? 4. ‘내 거’, ‘이거’ 같은 대명사를 사용하나요?
사회성-정서 1. 부모의 주의를 끌기 위해 손가락으로 물건을 가리키나요? 2. 다른 사람이 슬퍼할 때 위로하려고 하나요? 3. 책을 읽어달라고 부모에게 가져다주나요? 4. 간단한 집안일(예: 바닥 닦기)을 흉내 내나요?
자조 1. 컵을 혼자 잡고 마시나요? 2. 모자를 스스로 벗나요? 3. 옷 입을 때 협조하나요(예: 소매에 팔 넣기)? 4. 수건을 주면 손을 닦나요?

출처: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18~19개월용 문항 종합 및 해석.18

제3부: 부모 행동 계획: 최적의 성장과 발달 지원하기

이 부분은 발달의 ‘무엇’에 대한 지식을 양육의 ‘어떻게’로 전환하여, 실용적이고 증거에 기반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3.1. 발달 엔진으로서의 놀이

놀이 활동은 2부에서 언급된 특정 기술들을 촉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 대근육 운동: 균형 감각 발달을 위해 부드러운 공을 차는 놀이21, 놀이터 기구에서 안전하게 오르내릴 기회 제공, 밀고 끄는 장난감 놀이20, 전신 협응력을 높이기 위해 음악에 맞춰 춤추기.28
  • 소근육 운동: 나무 블록 쌓기 놀이21, 굵은 크레용으로 낙서하기21, 아이가 쉽게 넘길 수 있도록 두꺼운 보드북 함께 읽기24, 모양 맞추기 장난감이나 간단한 퍼즐 놀이.28
  • 인지 및 사회성: 인형이나 장난감 전화기로 하는 상상 놀이 격려22, 책을 읽으며 함께 그림 이름 말하기24, 손동작이 포함된 노래 부르기.28

3.2. 풍부한 의사소통 촉진하기

목표는 아이에게 사물 이름을 가르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 반응적 의사소통: 아이가 손가락으로 가리킬 때, 풍부하고 맥락 있는 언어로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자동차”라고 말하는 대신 “맞아, 커다랗고 빨간 자동차네! 부릉부릉!”이라고 말해줍니다.20
  • 선택지 제공: “뭐 줄까?”와 같은 열린 질문 대신, 아이가 발음을 시도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두 가지 구체적인 선택지를 제시합니다: “우유 마실래, 물 마실래?”.
  • 수정 대신 모델링: 아이가 “물”을 “무”라고 말하면, “아, 물 마시고 싶구나. 여기 물 마셔”라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아이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으면서 올바른 발음을 모델링합니다.32
  • 행동 뒤에 숨은 욕구 인정하기: 아이의 미숙한 소통 뒤에 있는 감정이나 욕구를 인정해 줍니다. “문을 가리키고 있네. 밖에 나가서 놀고 싶구나!”.31

3.3. 감정의 폭풍우 극복하기: 떼쓰기에 대한 임상적 접근법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아이의 전전두엽 피질은 이 시기에 아직 매우 미성숙하여, 아이가 강한 감정을 스스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1 장기적인 목표는 자기 조절 능력을 구축하는 것입니다.31 이 두 상태 사이의 다리는 공동 조절(co-regulation)입니다. 부모는 아이를 위한 ‘외부 조절자’ 역할을 합니다. 부모가 침착함을 유지하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며,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부모의 신경계가 아이의 신경계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반복된 경험은 미래의 자기 조절 능력을 위한 신경 경로를 구축할 것입니다.

  • 공감하고 감정 이름 붙여주기: “놀이를 그만둬야 해서 정말 화가 났구나, 엄마가 알아.”.1
  • 확고하고 일관된 한계 설정: “화가 나는 건 괜찮아. 하지만 사람을 때리는 건 안 돼. 엄마는 네가 엄마를 때리게 두지 않을 거야.”.31
  • 폭풍우가 몰아칠 때 협상 피하기: 떼를 쓰는 아이에게 이성적으로 설명하려고 하지 마세요. 아이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리세요.1
  • 떼쓰는 행동에 굴복하지 않기: 아이가 울고 떼를 쓰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배우면, 그 행동을 반복할 것입니다. 가장 위험한 것은 처음에 “안돼”라고 했다가 아이의 끈질김에 못 이겨 결국 굴복하는 것입니다.1

3.4. 일상 활동을 통한 자율성과 자신감 구축

아이의 독립 욕구를 활용하여 자신감을 키워주세요.

  • 스스로 먹기: 지저분해지더라도 아이가 숟가락을 사용하도록 허용하세요.3 손으로 집어 먹을 수 있는 음식(finger foods)을 제공하세요.33
  • 옷 입기: 아이가 스스로 모자를 쓰거나 양말을 벗도록 시도하게 하세요.18
  • 간단한 집안일: 쏟은 물을 닦거나 장난감을 통에 넣는 것과 같은 작은 일을 돕도록 격려하고, 결과가 완벽하지 않더라도 아이의 노력을 칭찬해 주세요.28

제4부: 유아기 영양의 기초

4.1. 균형 잡힌 식판: 다량 및 미량 영양소 요구량

이 연령대 아이의 건강한 식단의 기초는 5가지 필수 식품군(곡물, 단백질, 채소, 과일, 유제품)의 균형입니다.34

구체적인 목표:

  • 단백질: 하루에 약 30-40g의 고기 또는 다른 단백질원을 제공합니다.36
  • 곡물: 현미와 같은 통곡물을 약 10-20% 섞어 소개하기 시작합니다.36
  • 우유: 1세 이후에는 생우유(전유)를 마실 수 있습니다.
  • 채소와 과일: 매일 제공하며, 주스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우선으로 합니다.36
  • 계란: 알레르기 위험을 줄이기 위해 1세 이전에 노른자와 흰자를 모두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36

4.2. 현실적인 식사 계획 및 준비

유용한 팁 중 하나는 ‘기본 믹스'(예: 다진 소고기와 잘게 썬 채소를 볶아둔 것)를 미리 준비하여 냉장 보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는 덮밥, 볶음밥, 계란찜 등 다양한 요리를 신속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37 또한, 음식을 별이나 하트 모양으로 잘라 아이의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33

 

표 4: 18개월 아기를 위한 3일간의 식사 및 간식 계획 예시
식사 1일차 2일차 3일차
아침 으깬 바나나를 곁들인 오트밀 죽 스크램블 에그와 작게 자른 토스트 흰 쌀밥과 소고기 미역국
오전 간식 무가당 요거트와 잘게 썬 딸기 코티지 치즈 찐 사과 퓨레
점심 소고기 채소 덮밥 (‘기본 믹스’ 활용) 연어 브로콜리 파스타 참치 김가루 주먹밥
오후 간식 치즈 스틱 슬라이스 아보카도 찐 고구마
저녁 계란 채소 볶음밥 닭고기 감자 당근 찜 채소 어묵탕

참고: 질식 위험을 피하기 위해 음식은 항상 작게 자르거나 부드럽게 조리해야 합니다. 생우유 섭취량은 주식 섭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루 400-500ml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4.3. 편식에 대처하는 임상적 전략

이 시기의 편식은 종종 통제와 자기주장에 대한 아이의 욕구와 관련된 정상적인 발달 단계입니다.

  • 강요하지 않기: 이것이 황금률입니다. 억지로 먹이면 음식과 식사 시간에 대한 부정적인 연관성이 생깁니다.33 일부 전문가들은 아이가 거부할 경우 한 끼를 거르게 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합니다. 자연스러운 배고픔이 다음 식사 때 아이가 먹도록 유도할 것이기 때문입니다.35
  • 압박 없는 반복적 노출: 아이에게 먹으라고 강요하지 않으면서 식사 때마다 다양한 음식을 계속해서 선보입니다.33
  • 가족 식사: 온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이는 가족과 같은 종류의 음식을 (질감은 조절하여) 먹어야 합니다. TV와 전자기기를 끄고 모두가 식사와 상호작용에 집중하도록 합니다.35

제5부: 선제적 건강 및 안전 관리: 보호자 체크리스트

5.1. 18개월 국가 건강검진 해독하기

이 부분의 목적은 부모가 18~24개월 사이에 실시되는 영유아 건강검진 및 구강검진에 대비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검진 내용을 미리 이해하면 부모가 더 잘 준비하고 의사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진 내용은 신체 계측(신장, 체중, 머리둘레), 일반적인 진찰,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K-DST를 이용한 발달 선별검사를 포함합니다.38 부모는 검진 전에 문진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 일반 건강 문진표41: 질문들은 주로 시력(눈을 찡그리거나 고개를 기울여 보는지), 청력, 식습관(설탕 섭취량), 수면, 가정 내 안전 조치 등에 관한 것입니다.
  • 구강 건강 문진표44: 질문들은 칫솔질 습관, 불소 치약 사용 여부, 단 음식과 음료 섭취 빈도에 초점을 맞춥니다.

5.2. 발달 경고 신호: 조기 개입 가이드

이 부분은 불안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언어는 객관적이고 명확해야 하며, 항상 전문적인 평가를 위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라는 조언으로 마무리되어야 합니다. 아래 나열된 신호들은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경우를 식별하기 위해 설계된 K-DST 도구의 추가 질문(“추가질문”)에 기반합니다.

 

표 5: 18개월의 핵심 발달 경고 신호: 의사 상담이 필요할 때
영역 경고 신호 (아이가 다음과 같은 경우 전문가 상담 필요) 출처
운동 • 독립적으로 걸을 수 없음.
• 항상 발끝으로 걸음 (까치발).
19
언어 & 소통 • 의미 있는 단어를 한마디도 못함.
• 간단한 한 단계 지시를 따르지 못함.
• 양육자와 눈을 맞추지 않음.
• 관심을 표현하거나 주의를 끌기 위해 손가락으로 가리키지 않음.
19
인지 • 간단한 상상 놀이에 참여하지 않음. 22
행동 & 사회적 상호작용 • 다른 사람이나 장난감과 노는 것에 흥미를 보이지 않음.
• 이전에 습득했던 기술을 잃어버림.
28

출처: 공식 정부 자료 및 발달 선별 도구 종합.19

5.3. 영유아를 위한 환경 안전

호기심 많고 기어오르기 좋아하는 아이가 있는 집을 위한 실용적인 ‘아이 안전(baby-proofing)’ 체크리스트입니다.

  • 가구: 높고 무거운 가구(장식장, 책장)는 넘어지지 않도록 벽에 고정합니다.
  • 아기 침대: 매트리스를 가장 낮은 단계로 설정하고, 아이가 딛고 올라가 탈출할 수 있는 물건(베개, 큰 장난감)을 침대 안에 두지 않습니다.20
  • 전선 및 블라인드 줄: 감전이나 목 졸림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전선과 블라인드 줄을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둡니다.20
  • 차량 안전: 항상 아이의 연령과 체중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하고, 뒷좌석에 올바르게 설치합니다.29
  • 화학물질 및 날카로운 물건: 모든 약, 세제, 날카로운 물건은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합니다.41
  • 주방: 요리할 때 냄비나 프라이팬 손잡이를 가스레인지 안쪽으로 돌려놓습니다.41
  • 욕실: 아주 잠깐이라도 아이를 욕실이나 욕조에 혼자 두지 않습니다.41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들보다 작은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자신만의 성장 곡선을 꾸준히 따라가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단일 측정치로 다른 아이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적습니다.15 아이가 건강하고 활기차며, 성장 곡선이 갑자기 꺾이거나 수평을 그리지 않는 한, 대부분 정상적인 성장 과정에 있습니다. 우려가 지속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하여 전문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2: 아이가 “싫어!”라는 말을 너무 많이 하고 떼를 쓰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이는 ‘무시무시한 18개월’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아이의 자아가 발달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28 떼를 쓸 때는 이성적으로 설득하기보다 먼저 아이의 감정(“많이 속상했구나”)을 인정해주고, 위험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지만 차분하게 한계(“때리는 건 안돼”)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1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Q3: 18개월인데 아직 말을 거의 안 해요. 언어 발달이 늦는 건가요?

언어 발달에는 개인차가 매우 큽니다. 일반적으로 18개월 아기는 “엄마”, “아빠” 외에 8개 이상의 의미 있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9 하지만 아이가 눈 맞춤, 손가락질 등 비언어적 소통을 잘하고, 간단한 지시를 이해한다면 조금 더 지켜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의미 있는 단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부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발달 평가를 위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아이가 밥을 너무 안 먹는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이 시기의 식욕 부진은 흔하며, 자율성 주장과 관련이 깊습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절대로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입니다.33 억지로 먹이면 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신, 다양한 음식을 압박 없이 꾸준히 제공하고33, 정해진 시간에 온 가족이 함께 즐겁게 식사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입니다.35

결론

이 보고서는 18개월이라는 시기가 무한한 가능성과 모순이 싹트는 단계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아이의 성장은 타인과의 비교가 아닌 개인의 궤적을 통해 가장 잘 평가되며, 도전적인 행동들은 종종 건강한 발달 과정의 신호입니다.

부모님이야말로 자녀에 대한 진정한 전문가입니다. 이 보고서와 이를 바탕으로 한 의학 정보는 부모님의 전문 지식을 강화하고, 더 큰 자신감을 부여하며, 소아청소년과 의사와의 견고하고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입니다.16 표준을 이해하고, 발달 이정표를 인지하며, 구체적인 행동 전략으로 무장함으로써, 부모님은 이 역동적인 전환기를 자신 있게 이끌고 미래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견고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18개월 아기발달, 떼쓰기와 분노발작! 어떻게 대처하나요? – 피카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eekaby.com/article/%ED%94%BC%EC%B9%B4%EB%B9%84%EC%9D%98-%EC%A1%B0%EC%96%B8/8/3561/
  2. #516 재접근기!! 많은 부모들이 힘들어 합니다. 쉽게 넘어가는 비법 확실하게 알아봅시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삐뽀삐뽀119소아과저자)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L4qDluebzo8
  3. 7. [발달 체크리스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 18개월 아기 발달 – 키블,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ivel.kr/contents/29
  4.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개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34&list_no=121891&seq=1
  5. 질병관리청_소아청소년 성장도표_20171229 – 공공데이터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ata.go.kr/data/15076588/fileData.do
  6. 영유아성장도표 – 남원시육아종합지원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wonscc.or.kr/parent/child_chart.asp
  7. 어린이 성장발달 | 건강정보 – 용인세브란스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yi.severance.healthcare/health/lifecare/children/percentile.do
  8. 소아청소년성장도표 | 기준관리 | 만성질환 | 정책정보 –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30400
  9. RCPCH-WHO baby growth charts for 0-4 year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cpch.ac.uk/resources/uk-who-growth-charts-0-4-years
  10. WHO Child Growth Standards based on length/height, weight and age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16817681/
  11. Weight-for-age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who.int/tools/child-growth-standards/standards/weight-for-age
  12. WHO Growth Charts – CD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growthcharts/who-growth-charts.htm
  13. CDC Height for Age Percentiles for Girls (2 – 20 years) – Medscape Referenc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eference.medscape.com/calculator/655/cdc-height-for-age-percentiles-for-girls-2-20-years
  14. 1970년 1월 1일 접속, https://www.cdc.gov/growthcharts/html_charts/lenageinf.htm#males
  15. A health professional’s guide for using the new WHO growth charts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865941/
  16. 삐뽀삐뽀 119소아과 | 하정훈 – 교보문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96021
  17. 삐뽀삐뽀 119 소아과 (개정13판) | 하정훈 – 알라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7637759
  18.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18~19개월용),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jsmped.com/theme/wcln01/img/contents/file/%ED%95%9C%EA%B5%AD%EC%98%81%EC%9C%A0%EC%95%84%EB%B0%9C%EB%8B%AC%EC%84%A0%EB%B3%84%EA%B2%80%EC%82%AC(18_19%EA%B0%9C%EC%9B%94).pdf
  19. 18~19개월용 –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edical.or.kr/_pc_gpmc/health/3_K-DST_18~19month.pdf
  20. 자녀의 성장과정을 이해하고 돕기 -12개월부터 18개월까지- –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igrationpolicy.org/sites/default/files/language_portal/Understanding%20and%20Supporting%20Your%20Child’s%20Development%2012-18%20-%20Korean_0.pdf
  21. 18개월 우리 아이 운동 발달 – 차이의 놀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stories/555-18%EA%B0%9C%EC%9B%94-%EC%9A%B0%EB%A6%AC-%EC%95%84%EC%9D%B4-%EC%9A%B4%EB%8F%99-%EB%B0%9C%EB%8B%AC
  22. 생후 18개월 – 보건소 – 영등포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dp.go.kr/health/contents.do?key=3955&
  23. 18개월 아기 발달 | 현실육아 | 육아정보[달콜부부]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cdUaNL803uI
  24. [18개월] 발달 돕는 아기책, 실제로 윤이가 보는 책들 소개,리뷰해요 (전부 내돈내산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BRoAiChV3qw&pp=ygUKI-yVoOq4sOyxhQ%3D%3D
  25. www.calstatela.edu,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alstatela.edu/coe/cats-korean/yeonlyeongbyeol-eoneobaldalui-dangye#:~:text=%EC%95%BD%2018%EA%B0%9C%EC%9B%94%EC%97%90%EC%84%9C%2020,%EC%97%86%EC%9D%B4%20%EB%A7%90%ED%95%A0%20%EC%88%98%20%EC%9E%88%EA%B2%8C%20%EB%90%9C%EB%8B%A4.&text=%EC%9D%B4%EA%B2%83%EC%9D%80%20%EB%A7%88%EC%B9%98%20%EC%95%84%EC%9D%B4%EA%B0%80%20%EA%B7%B8,%EC%9D%98%EB%8F%84%EB%9D%BC%20%ED%95%A0%20%EC%88%98%20%EC%9E%88%EB%8B%A4.
  26. 연령별 언어발달의 단계 – Cal State L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alstatela.edu/coe/cats-korean/yeonlyeongbyeol-eoneobaldalui-dangye
  27. 18개월 우리 아이 언어발달 – 차이의 놀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isplay.com/stories/556-18%EA%B0%9C%EC%9B%94-%EC%9A%B0%EB%A6%AC-%EC%95%84%EC%9D%B4-%EC%96%B8%EC%96%B4%EB%B0%9C%EB%8B%AC
  28. 발달 > 25~36개월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 육아 > 임신육아종합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4
  29. 자녀의 성장과정을 이해하고 돕기 -18개월부터 3세까지- –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igrationpolicy.org/sites/default/files/language_portal/Understanding%20and%20Supporting%20Your%20Child’s%20Development%2018-3%20-%20Korean_0.pdf
  30. 18~24개월 재접근기 안정감을 주는 애착분리방법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C6gl4hOgzxs
  31. [육아] 자기조절력, 18개월부터는 일상에서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l이민주육아상담소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_zrqnEAdFX4
  32. Q.18개월 아기, 했던 말을 못 따라하면? (말늦은아이 음성모방)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5TMpJ5QrKv0
  33. 생후 12~18개월 아기를 위한 이유식 레시피 – 베이비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57
  34. www.lampcook.com,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lampcook.com/food_story/fish_story_view.php?idx_no=4-7#:~:text=%EB%B0%A5%EC%9D%B4%EB%82%98%20%EB%B9%B5%20%EA%B0%99%EC%9D%80%20%EA%B3%A1%EB%A5%98,%ED%8E%B8%EC%8B%9D%EC%9D%84%20%EC%98%88%EB%B0%A9%ED%95%A0%20%EC%88%98%20%EC%9E%88%EC%96%B4%EC%9A%94.
  35. 유아식(18개월~), 영양간식 똑똑한 아기 수산물 이유식 – 램프쿡,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lampcook.com/food_story/fish_story_view.php?idx_no=4-7
  36. #146 완료기(12-18개월) 이유식 한 눈에 보기-모유수유, 소아과 (정유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FABM, IBCLC)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BvQA5mAch2A&pp=0gcJCdgAo7VqN5tD
  37. 18개월아기식단 / 만능소고기볶음 / 만능베이스 만들어두기 – 두투맘 – 티스토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utumom.tistory.com/8
  38. 영유아 건강검진 < 건강검진 < 예방과 건강관리 |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ph&menu_cd=03_02_00_04
  39. 걱정하는 이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dds.ca.gov/wp-content/uploads/2022/05/ReasonsforConcern_Korean_05022022.pdf
  40. 발달 > 10~12개월 > 월령별 성장 및 돌보기 > 육아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care.go.kr/?menuno=292
  41. 영유아 건강검진 문진표 (18~24개월용),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or.kr/forms/infant_18.pdf
  42. “올해가 소청과 골든타임”···’수련지원금·수가가산’ 제안 – 의사신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999
  43. 아기 개월별 평균 키 몸무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abymonths.calculated.co.kr/entry/baby-month-average-height-weight
  44. 영유아 구강검진 문진표 (18-29개월),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his.or.kr/file/a/001/po5a/dental_18_new.pdf
  45. #232 15-18개월 접종! 한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의 육아이야기(#삐뽀삐뽀119소아과 #하정훈 #소아과 #육아 #저출산 #상담)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yl40L_u44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