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및 유전공학

신생아 안면 기형: 피에르 로빈 시퀀스(PRS) 종합 가이드 – 진단, 치료 및 한국형 장기 관리 전략

자녀가 피에르 로빈 시퀀스(Pierre Robin Sequence, PRS) 진단을 받았다면, 부모로서 느끼는 불안감과 막막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복잡해 보이는 질환은 조기에 적극적으로, 다학제적 팀과 함께 관리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KRHOW 편집위원회가 부모님들의 눈높이에서 가장 궁금해하시는 질문에 답하고, 진단부터 치료, 그리고 한국 의료 시스템 내에서의 장기적인 관리 계획까지 포괄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주요 임상 가이드라인 및 연구: 이 기사의 치료 및 관리 권장 사항은 신시내티 아동병원, 보스턴 아동병원, 워싱턴주 보건부 등 세계 유수 의료기관의 임상 지침과 PubMed에 등재된 동료 심사 연구 논문들을 근거로 합니다.2516
  • 한국 정부 기관 정보: 한국 내 환자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헬프라인에서 제공하는 공식 자료에 기반합니다.3940

핵심 요약

  • 피에르 로빈 시퀀스(PRS)의 핵심: PRS는 작은 턱(소하악증)에서 시작하여 혀가 뒤로 밀리고(설하수증) 기도를 막는(상기도 폐쇄) 연쇄적인 문제입니다. 이는 별개의 병이 아닌 하나의 원인에서 비롯된 ‘연쇄’ 반응입니다.
  • 가장 시급한 과제: 출생 직후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를 확보하여 아기가 안정적으로 호흡하게 하고,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여 성장을 돕는 것입니다. 이는 모든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 다학제적 팀 접근: 성공적인 치료는 소아과, 두개안면외과, 이비인후과, 유전학과, 언어치료사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협력에 달려 있습니다. 한 명의 의사가 아닌 ‘팀’이 아이를 돌봅니다.
  • 장기적 전망: 기도와 영양 문제가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단독형 PRS’의 경우, 대부분의 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하여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특히 턱은 ‘따라잡기 성장’을 통해 정상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 한국 내 지원 시스템: 대한민국 정부는 희귀질환자 등록 제도를 통해 의료비의 상당 부분을 지원합니다.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핵심입니다.

1부: 피에르 로빈 시퀀스(PRS) 이해하기 – 기초부터 탄탄히

1.1. 피에르 로빈 시퀀스란 무엇인가요? 공감으로 시작하는 첫걸음

피에르 로빈 시퀀스(Pierre Robin Sequence – PRS)는 출생 시부터 나타나는 선천성 질환으로, 아기의 턱, 혀, 기도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1 이 질환은 1923년 프랑스 의사 피에르 로빈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기술되었습니다.1 이는 드문 질환으로, 사용되는 정의에 따라 출생아 8,500명 중 1명에서 30,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2 비록 드물지만, 의학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명확한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질환입니다.

부모님들의 초기 불안감을 덜어주는 가장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이 질환이 ‘증후군(syndrome)’이 아닌 ‘시퀀스(sequence)’ 즉, ‘연쇄’라는 용어로 불린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PRS가 ‘연쇄’로 불리는 이유는 마치 도미노처럼 하나의 초기 발달 문제, 즉 비정상적으로 작은 아래턱이 예측 가능한 순서에 따라 다른 기형들을 연쇄적으로 유발하기 때문입니다.2 이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호흡 곤란, 혀가 처지는 문제, 구개열과 같은 무서워 보이는 문제들이 각각 별개의 질병이 아니라, 단 하나의 근본 원인에서 비롯되었음을 깨닫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복잡한 상황을 단순화하고, 왜 치료법이 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지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줍니다.

1.2. 클래식 삼중주: PRS의 세 가지 핵심 특징

PRS는 클래식 삼중주를 형성하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의 존재로 정의됩니다. 각 특징을 명확히 이해하면 부모가 징후를 인식하고 자녀가 겪는 어려움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소하악증(Micrognathia): 이것이 연쇄의 시작점입니다. 아래턱과 턱끝이 정상보다 현저히 작은 발육 부진 상태를 의미합니다.2 아래턱은 보통 길이와 높이 모두 짧아 ‘무턱’처럼 보이는 외관을 만듭니다.10 소하악증은 단순히 미용적인 문제를 넘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다음 문제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6
  • 설하수증(Glossoptosis): 아래턱이 너무 작기 때문에 구강 내에 혀를 위한 공간이 부족합니다. 그 결과, 혀가 뒤쪽으로 밀려나 인두 쪽으로 떨어지게 됩니다.3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아기의 혀 크기는 보통 정상이지만, 제한된 공간 때문에 비정상적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는 것입니다.6 이 설하수증이 PRS의 가장 위험한 문제를 직접적으로 유발합니다.
  • 상기도 폐쇄(Upper Airway Obstruction): 이는 설하수증의 가장 심각하고 시급한 결과입니다. 혀가 뒤로 떨어지면서 물리적으로 기도를 막아 심각한 호흡 곤란을 유발합니다.1 부모는 아기가 쌕쌕거리거나 시끄럽게 숨을 쉬고, 크게 코를 골거나, 고음의 협착음(stridor) 또는 저음의 코골이와 비슷한 수면 무호흡음(stertor)을 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3 이 폐쇄는 아기가 바로 누워 있을 때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1.3. 구개열(Cleft Palate)의 역할

비록 PRS를 정의하는 세 가지 특징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구개열은 PRS 환자의 약 50%에서 90%에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동반 기형입니다.5 PRS에서 나타나는 구개열은 특징적으로 넓고 U자 형태의 틈을 보입니다.

이 틈이 생기는 원인 역시 연쇄 반응의 일부입니다. 태아 발달 과정에서 뒤로 밀린 혀가 입천장을 만드는 두 개의 판 사이에 자리를 차지하면서, 이 판들이 정상적으로 융합하는 것을 방해했기 때문입니다.6 구개열의 존재는 이중의 어려움을 만듭니다. 수유와 영양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 언어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를 교정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게 됩니다.4

2부: 원인과 관련 질환들 – 더 큰 그림 이해하기

PRS의 원인과 다른 증후군을 동반할 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는 아이의 장기적인 진단과 치료 계획 전체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2.1. PRS의 원인: 발병 요인 밝히기

현재까지 많은 경우에서 PRS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2 그러나 과학자들은 문제가 태아의 아래턱이 급격히 성장해야 하는 시기인 임신 7주에서 11주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인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면서 시작된다고 믿고 있습니다.7 기여 요인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SOX9 유전자 또는 그 주변의 변이가 가장 흔하게 알려진 유전적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유전자는 턱뼈를 포함한 연골 형성 및 뼈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번, 4번, 11번 등 다른 염색체의 돌연변이 또한 PR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4
  • 자궁 내 환경 요인: 일부 가설은 임신 중 물리적 요인이 PRS에 기여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자궁 내에서 태아에게 가해지는 물리적 압박이나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 상태가 아래턱이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4

2.2. 중요한 갈림길: 단독형 PRS와 증후군형 PRS

이것은 부모가 이해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류 중 하나입니다. PRS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단독형 PRS(Isolated PRS): 다른 유전 증후군을 동반하지 않고 PRS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 증후군형 PRS(Syndromic PRS): PRS가 더 큰 유전 증후군의 여러 특징 중 하나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PRS 사례의 약 40%는 단독형이며, 최대 60%는 증후군형입니다.6 이 수치는 단순한 의학 통계가 아니라, 초기 진단 및 관리 전략 전체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아이가 어떤 유형의 PRS를 겪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진단 직후 최우선 과제가 됩니다. 이는 치료 계획, 장기적인 건강 문제, 그리고 아이의 예후에 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만약 PRS가 더 큰 증후군의 일부라면, 의료진은 심장, 눈 또는 다른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건강 문제들을 찾아내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의사들이 즉시 유전자 검사와 다른 전문가와의 협진을 권하는 이유입니다. 이는 ‘병을 더 찾아내는’ 과정이 아니라,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고 정확하고 포괄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2.3. 흔히 동반되는 증후군들: 클래식 삼중주 너머 보기

PRS가 증후군의 일부일 때, 해당 증후군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다음은 PRS와 관련된 가장 흔한 증후군들입니다.

  • 스티클러 증후군(Stickler Syndrome): 가장 흔하게 연관된 증후군으로, 증후군형 PRS 사례의 상당수에서 발견됩니다.2 이는 신체의 결합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 질환입니다. 스티클러 증후군을 앓는 아이의 경우, PRS 문제 외에도 의료진과 가족은 특히 눈 문제(망막 박리, 고도 근시의 높은 위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청력 및 관절 문제도 흔하게 나타납니다.2 따라서 안과 전문의의 진료가 매우 시급합니다.
  • 벨로카디오페이셜 증후군(VCFS / 22q11.2 결실 증후군): 두 번째로 흔한 증후군입니다.6 22번 염색체의 미세한 결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은 종종 선천성 심장 기형, 면역 체계 문제, 낮은 혈중 칼슘 농도 및 특징적인 얼굴 모양을 보입니다.11 이 아이들에게는 포괄적인 심장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 기타 증후군: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과 같이 얼굴의 뼈와 조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드문 증후군들도 PRS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2

3부: 진단과 초기 평가 – 우리 아이를 위한 첫걸음

PRS 진단과 심각도 평가는 아이를 돌보는 여정에서 가장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부모님들을 위해 의료 절차를 안내하고, 각종 검사의 의미를 설명하며, 가족과 함께할 전문가 팀을 소개합니다.

3.1. 진단의 여정: 의심에서 확진까지

  • 산전 진단: 일부 경우, PRS는 임신 중에 의심될 수 있습니다. 초음파를 통해 태아의 아래턱이 비정상적으로 작은 것(소하악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양수과다증(polyhydramnios)도 징후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아기가 혀가 밀려 양수를 삼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5 조기 산전 진단은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가족이 심리적으로 준비할 시간을 주고, 의료진이 아기가 태어나는 즉시 개입할 계획을 세울 수 있게 합니다.11
  • 출생 후 진단: 그러나 대부분의 PRS 사례는 출생 직후 임상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2 의사는 작은 턱, 처진 혀, 호흡 곤란 징후라는 전형적인 세 가지 특징을 관찰하게 됩니다. 참고 자료 19에 나오는 한 부모의 이야기는 전형적인 실제 사례입니다. 의사는 아기의 얼굴 특징이 “다르다”는 것과 호흡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정밀 검사를 진행했습니다.19

3.2. 필수적인 평가들: 문제 정량화하기

임상 진단이 내려진 후, 다음 목표는 기도 폐쇄의 심각성과 관련 문제들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하룻밤 동안 아기가 자는 동안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검사입니다. 센서가 혈중 산소 농도, 호흡률, 뇌 활동, 무호흡 발작 등을 기록합니다. 이 검사 결과는 아기가 가장 취약한 상태일 때 기도 폐쇄의 심각성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2
  • 비내시경을 통한 기도 평가(Airway Evaluation / Nasoendoscopy): 이비인후과(ENT) 전문의가 카메라가 달린 매우 작고 부드러운 내시경을 아기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기도를 직접 관찰합니다. 이 절차를 통해 의사는 혀의 정확한 위치, 폐쇄 정도를 확인하고 다른 부위에 다른 막힘이 있는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10
  • 컴퓨터 단층 촬영(CT Scan): CT 촬영은 아기 얼굴의 뼈 구조에 대한 상세한 3D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아래턱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필요한 경우 수술적 개입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2
  • 유전 검사(Genetic Evaluation): 앞서 언급했듯이, 이는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PRS가 단독형인지, 아니면 더 큰 유전 증후군의 일부인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결과는 다른 전문과(예: 안과, 심장내과) 검사의 방향을 제시하고, 더 정확한 장기 예후를 제공합니다.2

3.3. 우리 아이를 위한 치료팀 구성하기: 다학제적 접근법

PRS를 앓는 아이를 돌보는 것은 한 명의 의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팀이 아이에게 최상의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함께 협력하는 공동의 노력입니다. 이는 임상 지침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주제이며, 고품질 치료의 황금 표준입니다.5 팀의 각 구성원의 역할을 이해하면 부모가 복잡한 의료 시스템을 헤쳐 나가는 데 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의사와 전문가를 만나는 것은 부모에게 벅찬 일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각 전문가가 “누가 무엇을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여, 혼란스러운 전문가 목록을 일관된 지원 시스템으로 바꾸어 줍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표 1: 우리 아이의 다학제 치료팀 (A Multidisciplinary Care Team for Your Child)

전문가 (Specialist) 역할 및 책임 (Role and Responsibility)
신생아 전문의 (Neonatologist) 출생 직후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에서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 호흡, 영양을 관리합니다. 초기 치료 단계의 주된 조정자 역할을 합니다.
두개안면외과 의사 (Craniofacial Surgeon) 수술을 총괄합니다. 혀-입술 유착술(TLA), 하악골 신장술(MDO), 구개열 수술 등을 시행합니다. (보통 성형외과 또는 구강악안면외과 의사)
이비인후과 의사 (Otolaryngologist/ENT) 기도 전문가입니다. 내시경으로 폐쇄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기관절개술을 관리하며, 관련된 귀 문제를 치료합니다.
유전학 전문의 (Geneticist) PRS가 단독형인지 증후군형인지 판별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유전적 원인과 관련 위험에 대해 상담합니다.
호흡기내과 의사 (Pulmonologist) 폐 건강을 관리하고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해석하여 기도 관리 결정을 안내합니다.
언어치료사 (Speech-Language Pathologist) 수유 및 삼킴 문제 전문가입니다. 특별한 수유 기술을 지도하고, 나중에 구개열 수술 후 언어 발달을 돕습니다.
소아치과/교정 전문의 (Pediatric Dentist/Orthodontist) 구강 건강과 턱의 배열을 관리합니다. 구강 내 장치(구개판) 제작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청력학자 (Audiologist) 청력을 검사합니다. PRS 아동은 중이염으로 인한 체액 축적으로 청력 손실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영양사 (Dietitian) 특히 수유에 어려움이 있을 때, 아기가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도록 보장합니다.

4부: 기도 관리 – 단계별 치료 전략

이 부분은 아이의 안전과 생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에게 가장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은 실제 임상 접근법을 반영하여 가장 덜 침습적인 방법부터 가장 침습적인 방법까지 단계별 알고리즘으로 제시됩니다.

4.1. 1단계: 보존적 관리 (비수술적 방법)

이는 경증에서 중등도의 PRS 사례에 대한 첫 번째 치료법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이 방법은 약 70%의 환자를 큰 수술 없이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6

  • 엎드려 눕히기 (Prone Positioning): 가장 간단한 개입입니다. 아기를 배를 대고 눕히면 중력을 이용해 혀를 앞으로 당겨 기도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2 그러나 이 자세는 아기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감독이 필요합니다.
  • 비인두관 (Nasopharyngeal Airway/Tube – NPA/NPT): 부드럽고 작은 튜브를 아기의 한쪽 코를 통해 혀 바로 뒤의 인두 부위까지 삽입합니다. 이 튜브는 혀로 인한 막힘을 우회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인공적인 ‘터널’을 만듭니다.6 NPA 사용은 주기적인 튜브 교체(초기에는 2-4일마다), 코와 뺨의 피부 손상 징후 모니터링, 튜브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확인(보통 X-레이로 확인) 등 세심한 가정 간호가 필요합니다.24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NPA는 많은 아이들이 더 큰 수술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비수술적, 비침습적 방법입니다.17
  • 구강 내 장치 (Orthodontic Appliances): 튀빙겐 구개판(Tübingen Palatal Plate – TPP)과 같은 장치는 진보된 선택지입니다.14 이 장치들은 각 아기에게 맞춰 제작되어 입천장에 꼭 맞습니다. 뒤쪽에 작은 확장부가 있어 혀뿌리를 능동적으로 앞으로 밀어내 기도를 여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이 장치들이 아래턱의 성장을 촉진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14

4.2. 2단계: 심각한 폐쇄에 대한 수술적 개입

보존적 조치가 실패하고, 아기가 계속해서 심각한 호흡 및 수유 곤란을 겪거나, 혈중 산소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경우 수술이 고려됩니다.1 수술은 PRS 사례의 약 10%에서 25%에서 필요합니다.11

다양한 수술 방법 사이의 선택은 단순히 기술적인 결정이 아니라 치료 철학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혀-입술 유착술(TLA)과 같은 구식 방법은 증상(혀가 뒤로 넘어가는 것 방지)을 처리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하악골 신장술(MDO)과 같은 최신 방법은 근본 원인(턱을 더 크게 만듦)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MDO의 우월한 효과를 보여주는 증거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16, 이는 더 복잡하더라도 해부학적으로 교정하고 근본적인 해결을 지향하는 개입으로의 추세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전략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부모가 외과 의사와 자녀를 위한 최선의 선택에 대해 더 깊이 있는 논의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KRHOW 편집위원회

표 2: PRS 기도 관리 방법 비교 (Comparison of Airway Management Methods in PRS)

치료법 (Intervention) 적응증 (Indication) 원리 (Mechanism) 장점 (Pros) 단점/위험 (Cons/Risks)
엎드려 눕히기 경증 폐쇄. 첫 번째 치료. 중력으로 혀를 앞으로 당김. 비침습적, 간단함. 지속적인 감시 필요(영아돌연사증후군 위험);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음.
비인두관 (NPA/NPT) 경증-중등도 폐쇄; 엎드린 자세 실패 시. 튜브가 혀뿌리 폐쇄를 우회하는 기도 확보. 수술을 피할 수 있음, 효과적인 가교 역할. 세심한 가정 간호 필요, 튜브 막힘, 피부 손상, 흡인 위험.24
구강 내 장치 (예: TPP) 중등도 폐쇄. 장치가 혀를 앞으로 밀고, 턱 성장 촉진 가능. 비수술적, 수유 개선 가능. 전문적인 교정 관리, 잦은 조정, 궤양 발생 위험.14
혀-입술 유착술 (TLA) 중증 폐쇄; 보존적 방법 실패 시. 혀를 아래 입술에 수술적으로 고정. MDO보다 덜 복잡한 수술. 주로 일시적, 봉합 풀림, 흉터, 효과 불충분 가능성.11
하악골 신장술 (MDO) 중증 폐쇄, 현저한 소하악증. 턱뼈를 수술로 늘려 혀뿌리를 앞으로 이동. 근본 원인 해결, 높은 효과, 수유 결과 개선 가능.16 큰 수술, 입원 필요, 외부/내부 장치, 신경 손상, 흉터 위험.11
기관절개술 가장 심각/복잡한 경우, 다층 폐쇄, 다른 방법 실패 시. 기관에 수술적 구멍을 내어 상기도를 완전히 우회. 기도 안전의 황금 표준, 결정적 해결. 침습적, 장기 관리, 말하기/삼키기 영향, 감염/튜브 막힘 위험.4
  • 혀-입술 유착술(Tongue-Lip Adhesion – TLA): 이 수술에서는 혀의 아랫면을 아래 입술 안쪽에 봉합하여 혀를 기계적으로 앞쪽 위치에 고정합니다.1 이는 특히 단독형 PRS 사례에서 일시적인 “가교” 시술로 간주되며, 턱이 충분히 자라면 제거됩니다.3
  • 하악골 신장술(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 MDO): 이는 작은 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더 결정적인 수술입니다. 외과 의사가 턱뼈를 절골하고 특수 장치를 부착합니다. 이 장치를 매일 조금씩 돌려 턱뼈를 서서히 늘리면, 전체 턱과 혀가 앞으로 이동하게 됩니다.4 한 중요한 연구16에 따르면, MDO는 TLA보다 기도 폐쇄 해결에 있어 성공 예측 가능성이 더 높으며, 위관 영양 튜브(G-tube)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 기관절개술(Tracheostomy): 목에 기관으로 직접 통하는 수술적 구멍을 만드는 시술입니다. 기관절개술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기도를 제공하는 “황금 표준”으로 간주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심각한 경우, 여러 수준에서 폐쇄가 있는 증후군형 환자, 또는 다른 수술이 부적절하거나 실패했을 때만 시행됩니다.1 이 시술은 가족의 장기적이고 복잡한 간호 약속을 필요로 합니다.

5부: 수유 및 영양 문제 해결하기 – 건강한 성장 보장

많은 가족에게 있어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것은 매일 가장 스트레스가 되는 도전입니다. 아이의 수유 능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단순히 영양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아이의 기도 안정성에 대한 직접적이고 일상적인 척도입니다. 수유 능력이 저하되는 것은 기도 폐쇄가 악화되고 있을 수 있다는 중요한 경고 신호이며, 관리 계획을 재평가할 필요성을 알립니다.

5.1. 수유 시 흔히 겪는 어려움

핵심 문제는 아이가 빨기, 삼키기, 숨쉬기라는 세 가지 행동을 조화롭게 수행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아이의 기도가 항상 막힐 위협에 처해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1 구개열이 동반되면 아이가 젖병이나 엄마 젖을 빨기 위해 필요한 음압을 만들 수 없으므로 문제는 더욱 복잡해집니다.8

이러한 조합은 악순환으로 이어집니다. 아이는 숨쉬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는 반면, 섭취하는 칼로리는 매우 낮습니다. 이는 “성장 부진” 또는 “영양실조(failure to thrive)” 상태를 초래합니다.2 참고 자료 26의 한 부모가 “45ml를 먹이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코를 통해 튜브를 삽입해야 했다”고 공유한 내용은 이 힘든 싸움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26 수유 상태는 PRS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데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예후 지표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한 분류 체계20는 “수유 어려움”을 경증 PRS(I군)와 중등도(II군)를 구별하는 주요 요인으로 사용하며, II군은 사망률이 현저히 높습니다.

5.2. 성공적인 수유를 위한 기술과 도구

다행히도 PRS를 앓는 아이들이 더 효과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고안된 많은 기술과 도구가 있습니다.

  • 특수 젖병 및 젖꼭지: 특수 젖병(예: 닥터 브라운, 하버만)과 특수 젖꼭지(예: 미숙아용, 십자 컷 젖꼭지)는 구개열이 있거나 빠는 힘이 약한 아이들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9 이러한 도구들은 아이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우유가 더 쉽게 흐르도록 도와줍니다.
  • 자세와 수유 속도 조절: 아이를 똑바로 앉힌 자세로 먹이면 사레들리거나 역류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유 중간중간 아이를 쉬게 하고 트림을 시키는 것(pacing)도 아이가 숨을 쉬고 회복할 시간을 주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영양 지원 (튜브 영양):
    • 비위관(Nasogastric – NG tube): 입으로 필요한 양의 우유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하는 일시적인 튜브입니다.2
    • 위루관(Gastrostomy – G-tube): 복벽을 통해 위로 직접 연결되는 작은 수술을 통해 삽입하는 더 장기적인 영양 공급 튜브입니다. G-tube는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영양 지원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주로 사용됩니다.16

6부: 포괄적 관리와 장기적 전망

호흡과 수유라는 급한 위기가 관리된 후, PRS 아동을 돌보는 여정은 장기적인 관리와 다른 관련 문제들을 해결하는 단계로 전환됩니다.

6.1. 관련 합병증 관리

  • 청력 및 중이 문제: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와 구개열로 인해 중이에 체액이 고여 재발성 중이염을 유발하고 청력 손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상태는 환자의 최대 80%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비인후과 의사와 청력학자의 정기적인 검진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4
  • 언어 및 말하기 발달: 아이들은 청력 문제와 비정상적인 구개 구조라는 두 가지 문제로 인해 언어 발달 지연의 위험이 있습니다. 언어치료사의 조기 개입이 아이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돕는 열쇠입니다.1
  • 치과 및 교정 수요: 아래턱이 작기 때문에 아이의 치아가 빽빽하게 나거나 어긋날 수 있습니다.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보장하기 위해 장기적인 치과 교정 치료가 거의 항상 필요합니다.2

6.2. 구개열 교정 수술로 가는 길

구개열 교정 수술은 보통 아이가 생후 9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일 때 시행됩니다. 이 시기는 아이가 충분히 크고 건강하며, 가장 중요하게는 기도가 안정화되었음을 확인한 후 신중하게 선택됩니다.4

6.3. 예후와 “따라잡기 성장”

가족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근거 있는 낙관론입니다. 기도와 영양이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단독형 PRS의 경우, 장기적인 전망은 전반적으로 매우 좋으며, 대부분의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건강하고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4

가족에게 큰 희망을 주는 중요한 개념은 아래턱의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입니다. 많은 단독형 PRS 사례에서 아래턱은 생후 6-9개월경부터 시작하여 몇 년간 지속되는 빠른 성장 단계를 거쳐,28 5-6세가 되면 거의 정상 크기에 도달할 수 있는 강력한 생물학적 경향이 있습니다.4 이것이 덜 침습적이거나 일시적인 기도 해결책이 효과적일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그러나 문헌의 불확실성에 대해 투명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고품질의 평가 문헌11은 이 문제에 대한 연구가 “상충된다”고 지적하며, 일부 아이들은 여전히 작은 턱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가장 책임감 있는 접근 방식은 이러한 복잡성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단독형의 경우 따라잡기 성장에 대한 큰 희망이 있지만, 그 정도가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증후군형 PRS의 경우, 상당한 따라잡기 성장은 보통 기대되지 않으며,11 청소년기에 턱 교정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렇게 균형 잡히고 정직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족이 기대를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7부: 한국 의료 현실 – 가족을 위한 실행 계획

이 부분은 한국의 상황에 특화된 실질적인 가이드로, 가족들에게 의료 시스템과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헤쳐 나갈 명확한 로드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7.1. 한국의 주요 의료 센터와 전문가

다학제 팀을 갖춘 경험 많은 의료 센터에서 치료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몇몇 주요 대학 병원은 두개안면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병원과 희귀질환센터를 갖춘 선도적인 센터입니다. 주목할 만한 전문가로는 선천성 두개안면 기형을 전문으로 하는 성형외과의 정지혁 교수가 있으며,29 희귀질환센터 로빈 증후군 팀에 소아흉부외과 김웅한 교수가 포함되어 있어 심장 관련 합병증이 있는 복잡한 증후군 사례에 참여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30
  • 서울아산병원: 두개안면기형센터로 유명하며, 하악골 신장술(절골 신장술)과 같은 첨단 수술 기법에 대한 경험이 풍부합니다.27
  • 삼성서울병원: PRS에 대한 임상 연구 및 지침 편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36

또한,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는 가족들이 찾아봐야 할 전문가들이 소속된 전문 기관입니다.15

7.2. 정부 지원 제도 활용하기

한국 정부의 희귀질환 지원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지만 자동으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중요한 재정적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등록 절차를 완료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한국 가족에게 가장 중요한 행동 권고는 이 행정 단계를 최우선으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장기적인 치료의 문을 열고 가족의 재정적 안정을 보장하는 “열쇠”입니다.

  1. 1단계: 희귀질환자 등록: 이것이 가장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가족은 병원과 협력하여 아이를 희귀질환자(로빈 증후군 질병 코드: Q87.0)로 공식 등록해야 합니다.
  2. 2단계: 산정특례 혜택 접근: 등록에 성공하면, 가족이 부담해야 하는 의료비 본인 부담률이 국민건강보험 적용 비용의 10%로 크게 줄어듭니다.39
  3. 3단계: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 저소득 및 중산층 소득 기준(예: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39)에 해당하는 가족은 나머지 10%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정부로부터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희귀질환 헬프라인 웹사이트는 중요한 정부 자원입니다.40

7.3. 커뮤니티 찾기: 다른 가족들과의 연결

희귀 질환 진단에 직면했을 때의 고립감은 실재합니다.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얻는 지지의 힘은 값을 매길 수 없습니다. 참고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 토론19은 중요한 자원입니다. 가족들은 정신적 지지와 실질적인 조언을 얻기 위해 한국어 온라인 포럼(예: 네이버 카페)과 희귀 질환 또는 두개안면 기형 아동을 둔 부모 커뮤니티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표 3: 한국 내 가족을 위한 주요 정보 및 기관 (Actionable Resources for Families in Korea)

분류 (Category) 자원 (Resource) 설명 및 활용법 (Description / How to Use) 참고 (Source)
주요 의료 센터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희귀질환 및 두개안면 수술의 선도 센터. 두개안면과 또는 성형외과로의 진료 의뢰서 필요. 29
서울아산병원 두개안면기형센터로 유명하며 MDO와 같은 첨단 수술 기술 경험 풍부. 27
삼성서울병원 PRS 치료 및 연구에 활발히 참여. 36
정부 지원 희귀질환 산정특례 제도 최우선 순위. 병원을 통해 등록하여 의료비 본인 부담률을 10%로 경감. 39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저소득/중산층 가구를 위한 추가 재정 지원. 지역 보건소를 통해 신청. 39
공식 정보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헬프라인 PRS에 대한 상세 정보(한국어), 지원 프로그램, 지정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 공식 포털. 4
전문 학회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PRS를 치료하는 주요 외과 의사들의 전문 기관. 웹사이트에서 회원 전문가를 찾을 수 있음. 15
환자 커뮤니티 온라인 부모 커뮤니티 네이버 등에서 ‘피에르 로빈 증후군’ 키워드로 검색하여 경험 공유 및 정신적 지지를 위한 부모 지원 카페 찾기. 19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우리 아이의 턱은 평생 작게 유지되나요?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특히 다른 증후군을 동반하지 않는 ‘단독형 PRS’의 경우, 많은 아이들이 생후 몇 년 동안 ‘따라잡기 성장’을 경험하여 턱 크기가 정상에 가깝게 자랍니다.428 이는 PRS에서 가장 희망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증후군형이거나 성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나중에 턱 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정기적인 전문가의 평가가 중요합니다.

질문 2: 수술이 항상 필요한가요?

아닙니다. 실제로 약 70%의 환자들은 엎드려 눕히기나 비인두관(NPA) 사용과 같은 비수술적 방법만으로도 기도 문제를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6 수술은 이러한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거나 호흡 곤란이 매우 심각한 약 10-25%의 경우에만 고려됩니다.11 치료 방침은 아이의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됩니다.

질문 3: 이 병이 유전되나요? 둘째를 가져도 괜찮을까요?

이는 매우 중요한 질문이며, 유전학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PRS가 단독형으로 발생한 경우 재발 위험은 일반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PRS가 스티클러 증후군과 같은 특정 유전 증후군의 일부로 나타난 경우, 재발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2 유전자 검사와 상담을 통해 가족 계획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자녀가 피에르 로빈 시퀀스 진단을 받는 것은 분명 힘들고 불안한 경험입니다. 그러나 PRS는 복잡하지만 관리 가능한 질환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공의 열쇠는 조기, 적극적, 그리고 다학제적 치료에 있습니다.

앞으로의 여정은 길고 인내심을 요구할 수 있지만, 명확한 치료 경로가 있으며 한국에는 가족을 도울 수 있는 상당한 지원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대학 병원의 최고 전문가들부터 정부의 재정 지원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여러분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마지막 메시지는 희망, 힘, 그리고 권한 부여에 관한 것입니다. 아는 것이 힘입니다. 부모님들이 자녀의 상태, 치료 선택지, 그리고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자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옹호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억하십시오, 부모님이야말로 자녀 치료팀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D D Pierre Robin sequence는 1923년 Pierre Robin에 의해 처음 체계적으로 기술된 후 명명된 선천성 질환 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eo-med.org/upload/pdf/20020901122.pdf
  2. Pierre Robin Sequence | Causes, Symptoms, Diagnosis & Treatment. Cincinnati Children’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incinnatichildrens.org/health/p/pierre-robin-sequence
  3. Pierre Robin Syndrome (Sequence). Cleveland Clini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21863-pierre-robin-syndrome
  4. Q87.0로빈 증후군 (Robin syndrome). 희귀질환 헬프라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lpline.kdca.go.kr/cdchelp/ph/rdiz/selectRdizInfDetail.do?menu=A0100&rdizCd=RA201810328
  5. Pierre Robin Sequence (PRS) /Robin Sequence (RS). Child and Adolescent Health Servic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ahs.health.wa.gov.au/~/media/HSPs/CAHS/Documents/Health-Professionals/Neonatology-guidelines/Pierre-Robin-Sequence.pdf
  6. Pierre Robin Sequence. PMC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424697/
  7. 로빈 증후군. 창원메트로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metrohosp.com/sub05/healthguide_contents.php?idx=7500
  8. Robin Sequence – Pediatric Playbook | Boston Children’s Hospital.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8oGB8JS1OEQ
  9. Pierre Robin Sequence (PRS) – Treatment at Inova Children’s Hospital. Inova Children’s Hospit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inovachildrens.org/Default.aspx?id=7619&sid=39&CWFriendlyUrl=true
  10. Pierre Robin Sequence (PRS). Craniofacial Team of Texa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raniofacialteamtexas.com/pierre-robin-sequence-prs/
  11. Pierre Robin Syndrome.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2213/
  12. Pierre Robin Sequence: a perioperative review.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5046788/
  13. Pierre Robin Syndrome. St. Louis Children’s Hospit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tlouischildrens.org/conditions-treatments/pierre-robin-syndrome
  14. Neonatal Functional Treatment for Pierre Robin Sequence. Turkish Journal of Orthodontic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turkjorthod.org/pdf/26a6643d-3380-4766-8ed8-4703e5d7d038/articles/TurkJOrthod.2019.18057/Turk%20J%20Orthod-32-151-En.pdf
  15. 환자를위한 정보.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amprs.or.kr/info/doctor_intro
  16. Robin Sequence. Boston Children’s Hospit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ildrenshospital.org/sites/default/files/media_migration/d03aab41-ed8f-429c-a82f-d3d80190d7d2.pdf
  17. Pierre Robin sequence: Management of respiratory and feeding complications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a tertiary referral centre.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6092549/
  18. 피에르 로빈 증후군 (Pierre Robin syndrome). 세브란스병원 하님정밀의료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everance-hanim.com/disease-info/%ED%94%BC%EC%97%90%EB%A5%B4-%EB%A1%9C%EB%B9%88-%EC%A6%9D%ED%9B%84%EA%B5%B0/
  19. 신생아 안면 기형에 관한 문의 | 건강Q&A.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055294
  20. The Pierre Robin sequence: review of 125 cases and evolution of treatment modalities.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8134485/
  21. Pierre Robin sequence: review of diagnostic and treatment challenges.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5704848/
  22. Pierre Robin sequence | Center for Craniofacial Care. Children’s Hospital of Richmond at VCU.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richmond.org/services/center-for-craniofacial-care/conditions-treated/pierre-robin-sequence/
  23. Pierre Robin Sequence – Pediatric Plastic Surgery. University Hospital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uhhospitals.org/rainbow/services/pediatric-plastic-reconstructive-surgery/conditions-and-treatments/pierre-robin-sequence
  24. Nursing guidelines : Nasopharyngeal tube NPT modified for pierre robin sequence PRS.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ch.org.au/rchcpg/hospital_clinical_guideline_index/Nasopharyngeal_tube_NPT_modified_for_pierre_robin_sequence_PRS/
  25. Tübingen Palatal Plate (TPP) Treatment for Infants with Pierre-Robin Sequence. CHW.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esources.schn.health.nsw.gov.au/policies/policies/pdf/2024-183.pdf
  26. 피에르 로빈 증후군 : r/NICUParents. Reddi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ddit.com/r/NICUParents/comments/1aut7pu/pierre_robin_syndrome/?tl=ko
  27. 턱뼈 성장 이상(Anomalies of the jaw) | 질환백과 |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54
  28. Pierre Robin 증후군 l례.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cep.org/upload/pdf/jkps-27-5-488.pdf
  29. 소아성형외과 – 진료과/의료진 |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hild.snuh.org/reservation/meddept/PPS/childIntro.do
  30. 로빈 증후군 | 선천기형변형 |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aredisease.snuh.org/rare-disease-info/congenital-malformation/%EB%A1%9C%EB%B9%88-%EC%A6%9D%ED%9B%84%EA%B5%B0/
  31. 김웅한. 서울대학교 기록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rchives.snu.ac.kr/DAS/H/H6/2/H6_2_02_P01.do?p_aridx=692&p_arnumber=AR-2017-00134
  32. 김웅한 교수 – 2016년도 – 사회봉사상. SNU Award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ac.kr/about/winners/service/2016/8
  33. 학력/경력 | 김웅한 교수 블로그.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blog/00879/career.do?hsp_cd=2
  34. 김웅한 | 소아흉부외과 | 소아청소년.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aredisease.snuh.org/doctors/pediatric-and-adolescents/kim-woong-han/
  35. 박상훈 원장 성형외과 Dr. Park Sang Hoon. 성예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ungyesa.com/new/drlist1/874
  36. Pierre Robin Sequence.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0851756/
  37. 군자출판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oonja.co.kr/products/products_view.html?cd=CD0012&no=20577&refer=%2Fproducts%2Fproducts_list.html%3Fcd%3Dcd0001%26orderby%3D1%26page%3D112%26lmode%3Dy
  38. 두개안면성형외과학. 교보문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214132
  39. 보 도 자 료. 보건복지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27&list_no=351196&seq=2
  40. www.mohw.go.k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27&list_no=351196&seq=1
  41. 피에르 로빈 증후군 관련 질문입니다. : r/beyondthebump. Reddi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ddit.com/r/beyondthebump/comments/2kl3cq/pierre_robin_syndrome_questions/?tl=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