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및 유전공학

치아에서 줄기 세포를 얻는 비밀최첨단 줄기 세포 치료의 시작

서론

줄기 세포 치료는 20세기 의학 혁신 중 하나로 손꼽히며, 현재도 계속해서 의학계와 과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자가 면역 질환, 심혈관 질환, 신경 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서 줄기 세포 치료가 새로운 해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치아 및 치과 영역에도 줄기 세포 치료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치과 줄기 세포(DSC)는 치아와 관련된 조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재생 의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미래 의학의 중요한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치아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외상이나 충치, 잇몸 질환 등에 의해 손상되기도 합니다. 전통적인 치과 치료는 주로 손상을 단순히 복원하거나 염증 부위를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치과 줄기 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은 손상된 치아 및 주변 조직을 보다 적극적이고 근본적으로 ‘재생’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엽니다. 또한 치과 줄기 세포는 채취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녀, 지금까지 중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를 이용한 재생 의학 연구와 함께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치과 줄기 세포(DSC)의 출처와 특성, 그리고 임상적 적용 가능성까지 폭넓게 알아봅니다. 또한, 치과 줄기 세포가 미래 의학에서 왜 중요한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어떤 질병과 상황에 쓰일 수 있는지 등을 정리하여 독자분들께 전달하고자 합니다.

전문가에게 상담하기

본 기사 제작에 협조해주신 전문가로는 Nguyen Tien Lung 박사와 Vinmec 줄기 세포 및 유전자 기술 연구소가 있습니다. 이 글은 이분들의 전문 지식과 연구 자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반 독자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하였습니다. 또한 국제 Vinmec 병원의 공식 웹사이트를 참조하여 더 넓은 시각을 확보하려 노력하였습니다. 다만, 줄기 세포 치료는 개인별 신체 상태와 질환 특성에 따라 적용 방법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치료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출처로부터의 치과 줄기 세포 획득

치과 줄기 세포(DSC)는 말 그대로 치아 및 치주 조직 주변에서 유래되는 줄기 세포를 일컫습니다. 이 DSC는 크게 네 가지 대표적인 출처에서 얻을 수 있는데, 각각 고유한 특성과 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 세포 치료가 일반적으로 뼈, 연골, 심장, 뇌 등 여러 조직의 재생에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치아 조직에서 유래한 줄기 세포가 이렇게 폭넓게 쓰일 수 있다는 점은 아직 대중에게 낯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치과 줄기 세포의 주요 출처와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치수 줄기 세포(DPSC)

치수 줄기 세포(Dental Pulp Stem Cells, DPSC)는 성인의 치아 내부 치수(신경과 혈관이 분포하는 연조직)에서 추출되는 줄기 세포입니다. 이러한 DPSC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분리 기술이 확립되어 다양한 연구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 우수한 분화 능력: 뼈, 지방, 신경 등 여러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 광범위한 재생 의학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중간엽 줄기 세포(MSC)와 유사: 분자생물학적·세포학적 특성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와 비슷하여, 이미 연구가 많이 축적된 MSC 연구 결과를 참고해 임상 적용 방안을 확장하기가 용이합니다.
  • 상대적으로 적은 거부 반응: 보통 자가 유래일 경우 거부 반응이 거의 없으며, 면역 조절 기능도 일정 부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각종 임상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Bottino 등(2021)은 국제 학술지 Tissue Engineering Part B: Reviews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치수 줄기 세포가 갖는 고유의 분화 잠재력과 조직공학적 응용 가능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이 연구(doi:10.1089/ten.TEB.2020.0117)에 따르면, DPSC는 뼈 조직 및 신경 조직의 재생 등에 쓰일 잠재력이 높으며, 치아 손상 부위를 복원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원으로 보았습니다. 국내외 치과 및 재생 의학 분야 전문가들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다수 보고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박리된 유치에서 채취한 줄기 세포(SHED)

인간의 박리된 유치에서 채취한 줄기 세포(Stem cells from Human Exfoliated Deciduous teeth, SHED)는 5~6세 전후로 자연스럽게 빠지는 유치(젖니)에서 얻어집니다. 성인이 되기 전까지 아이들이 일정 시점에 유치를 잃게 되는데, 이 때 빠진 치아를 보통은 버리게 되지만, 해당 조직에서 유용한 줄기 세포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임상 및 연구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 비교적 풍부한 공급원: 어린이들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유치를 잃기 때문에, 원하는 시점에 줄기 세포를 확보하기 쉽습니다.
  • 높은 증식 능력: SHED는 성인의 치수 줄기 세포보다 증식 속도가 빠르다는 연구가 있으며, 그만큼 대량 배양에 유리한 측면을 갖습니다.
  • DPSC와 유사하지만 독자적 장점 보유: 미성숙 특성 때문에 분화 잠재력이 좀 더 크다는 주장도 존재하며, 면역학적 특성도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치 줄기 세포를 활용한 신경계 및 뼈 조직 재생 가능성을 검토한 다양한 연구들이 최근 4~5년간 꾸준히 발표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치과 대학과 어린이 치과 전문 병원을 중심으로 유치 기반 줄기 세포 보관 및 연구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치주 인대 줄기 세포(PDLSC)

치주 인대 줄기 세포(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는 치아와 치조골 사이에 위치하는 치주 인대(Periodontal Ligament)에서 추출되는 줄기 세포입니다. 치주 인대는 치아를 치조골에 단단히 붙잡아주는 섬유 조직으로, 치주 질환이 발생할 경우 염증 및 파괴가 일어나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 치주 조직 재생에 특화: PDLSC는 치주 인대를 구성하는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어, 치주염 등 잇몸 질환의 재생 치료에 최적화된 소재가 될 수 있습니다.
  • DPSC와의 비교: 두 세포는 동일하게 중간엽 줄기 세포의 특징을 공유하지만, PDLSC가 치주 조직을 재생하는 데 특화된 표현형을 더 많이 발현한다는 점이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 활발한 임상 연구: 치주 질환은 국내외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만큼, PDLSC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도 꾸준히 연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2021년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에 발표된 Luo 등의 연구(doi:10.1002/jcp.29980)에서는, 치과 줄기 세포 중에서도 특히 PDLSC가 인대 및 뼈 조직 형성에 중요한 유전자 마커를 발현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PDLSC가 잇몸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해당 세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 요법이 기존 치주 질환 치료법에 비해 효과적일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정점 유두의 줄기 세포(SCAP)

정점 유두의 줄기 세포(Stem cells from the Apical Papilla, SCAP)는 사랑니 발치 후 치아의 뿌리 부분, 즉 치아 뿌리의 끝부분(정점 유두)에서 추출됩니다. 보통 사랑니는 구강 내에서 맹출 공간이 부족해 발치를 권유받는 사례가 많아, 이를 이용해 비교적 쉽게 SCAP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뛰어난 조골(뼈 생성) 분화 능력: SCAP는 조골 세포로 쉽게 분화하여, 뼈 조직이 필요한 부위를 재생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 치아 형성 능력: 치아 뿌리와 관련된 영역이라, 치아 재생에도 활발히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임상적 활용 전망: 이미 발치할 치아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환자 부담이 적고 줄기 세포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어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SCAP에 대한 비교 연구 중 하나인 Xiao와 Tsutsui(2021)의 논문(doi:10.1007/s13577-021-00652-9)에서는 SCAP가 갖는 신경 분화 능력과 조직 재생 잠재력을 구체적으로 다뤘습니다. 특히 정점 유두 부위가 체내 다른 줄기 세포에 비해 면역 조절 능력도 우수하다고 보고되어, 향후 자가 면역 질환이나 신경 질환의 치료에도 새로운 접근법을 열어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치과 줄기 세포의 장점

치과 줄기 세포(DSC)는 여러 면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MSC)와 유사하지만, 그 출처가 ‘치아 및 관련 조직’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왜냐하면 치아 조직은 재생 의학에서 기존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최근 들어 치아가 ‘하나의 미니 장기’로서 다양한 세포를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DSC가 특히 아래와 같은 장점을 지닌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 무제한 증식 능력
    세포 배양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험실에서 DSC를 대량으로 배양하고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연구 단계뿐 아니라 임상 치료 단계에서도 대량의 세포가 필요할 경우 큰 이점이 됩니다.
  •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
    DSC는 신경 세포, 뼈 세포, 지방 세포 등 다양한 계통으로 분화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골수나 지방 조직에서 얻는 MSC도 다양한 분화 능력을 지녔지만, DSC 역시 유사하거나 때로는 그 이상으로 분화 범위가 넓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비침습적 추출
    치아 발치, 사랑니 제거, 유치 교환 등 일상적인 치과 시술이나 자연스러운 치아 교환 과정을 통해 세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에게 추가적인 절개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이점입니다.
  • 생물학적 폐기물 재활용
    발치된 치아나 자연 탈락한 유치는 보통 의료 폐기물로 처리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줄기 세포를 채취하면 재생 의학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의료 관점에서뿐 아니라 자원 재활용, 폐기물 절감 차원에서도 의미가 깊습니다.
  • 면역 조절 기능
    일부 연구에서는 DSC가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제시합니다. 이는 자가 면역 질환에서 DSC를 활용할 때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치과 줄기 세포의 임상적 응용

치과 줄기 세포(DSC)는 단순히 구강 내 조직을 재생하는 차원을 넘어, 신경계 질환·자가 면역 질환·뼈 재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들 질환에 DSC가 적용되는 이유는, DSC가 지닌 중간엽 줄기 세포 특성과 더불어 신경 분화 능력 등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실제로 재생 의학과 재활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DSC가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가치가 점점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 신경계 질환
    DSC는 신경 세포로의 분화 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손상된 뇌나 척수 조직을 재생하거나, 특정 신경 손상 부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상성 뇌손상을 입은 환자를 대상으로 동물 모델 실험을 했을 때, DSC 이식이 신경 조직 회복과 신경 기능 개선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자가 면역 질환
    DSC는 면역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염증 반응을 조절하거나, 면역계의 과도한 활동을 억제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자가 면역 질환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 등에서 DSC를 활용하면 증상을 완화하고 질환 진행을 늦출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뼈 재건
    얼굴 외상이나 교통사고, 작업장 사고 등을 통해 턱뼈(악골)나 두개골이 손상된 경우, DSC를 활용한 뼈 재생 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DSC가 조골 세포로 분화하여 뼈 조직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이 이미 여러 연구에서 관찰된 바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보철물이나 인공 뼈 이식을 이용하던 전통적 방법을 보완·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기대를 모읍니다.
  • 심혈관 질환
    국내외 일부 연구에서는 DSC가 심장 근육 세포나 혈관 내피 세포로 분화하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심근 경색 등으로 손상된 심장 조직을 재생하는 데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어, 심장 분야에서도 DSC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치과 줄기 세포는 특정한 구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신의 다양한 질환 및 조직 손상 치료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의학의 큰 축을 담당할 가능성이 큽니다.

치과 줄기 세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1. 치과 줄기 세포는 어떻게 추출되나요?

답변:

치과 줄기 세포는 주로 비침습적 방법으로 추출되며, 발치된 치아(사랑니, 유치 등)나 치주 인대 등에서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설명 및 조언:

이 과정은 크게 부담스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 발치가 필요한 사랑니나 자연스럽게 빠진 유치를 가지고 줄기 세포를 채취하게 됩니다. 치과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추가 절차 없이, 본래 치료나 관리 과정 중에 채취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추출한 치과 줄기 세포는 별도의 배양 과정을 거쳐 대량 증식이 가능하며, 환자의 건강 상태나 필요성에 따라 보관·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향후 줄기 세포 치료를 고려하고 있다면, 치과 방문 시 치아 줄기 세포 보관 서비스 등에 대해 문의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외에서 치아 줄기 세포 은행(은행처럼 보관해주는 기관)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 치과 줄기 세포가 다른 줄기 세포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치과 줄기 세포(DSC)는 신경 세포로의 분화 능력이 높고, 비교적 비침습적 채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줄기 세포와 차별화됩니다.

설명 및 조언:

전통적으로 줄기 세포는 골수, 지방 조직 등에서 채취하는 중간엽 줄기 세포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보통 침습적인 시술(예: 골수 채취)이 필요하고, 시술 후 통증이나 감염 위험을 우려하기도 합니다. 반면 DSC는 치아가 교체되거나 발치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으므로 환자의 부담이 훨씬 덜합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DSC가 신경계 조직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중간엽 줄기 세포보다 신경 분화 유전자나 단백질 발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뇌·척수 손상이나 퇴행성 신경 질환 치료에 특히 유리한 특성입니다.
물론 DSC가 아직은 연구 단계인 분야도 많지만, 다른 중간엽 줄기 세포와 충분히 경쟁하거나 보완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치과 줄기 세포는 어떤 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나요?

답변:

치과 줄기 세포는 신경계 질환, 자가 면역 질환, 심혈관 질환, 그리고 뼈 재건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설명 및 조언:

치과 줄기 세포가 활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습니다.

  • 퇴행성 신경 질환: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세포 손상이 특징인 질환에서, DSC를 이용해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거나 증식을 유도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자가 면역 질환: DSC의 면역 조절 능력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와 같은 질환에서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심장 근육 세포나 혈관 내피 세포로의 분화를 통해, 손상된 심장 조직 재생을 유도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 재건 수술: 턱뼈, 두개골 등 얼굴 부위 골조직 손상에서 DSC를 이용해 뼈를 재생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 교정학 및 악안면 외과 분야에서도 관심이 높습니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고려 중이거나 새로운 재생 의학적 시도를 검토하는 경우, 담당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아직까지 DSC가 전통적인 치료법을 완전히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미래에는 충분히 통합 치료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치과 줄기 세포 치료의 한계와 주의점

치과 줄기 세포(DSC)가 재생 의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임상 적용 시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한계와 주의점도 존재합니다.

  • 연구 단계의 다양성
    DSC 관련 연구는 전임상(동물 실험)부터 소규모 임상시험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가 아직 제한적이므로, 실제 치료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 개인별 편차
    세포 치료는 환자의 연령, 전신 건강상태, 질환 단계 등에 따라 치료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유치에서 얻은 SHED의 경우, 개인차가 적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 특성 역시 완전한 표준화가 이뤄진 것은 아닙니다.
  • 장기적인 안정성
    줄기 세포가 체내에서 어떻게 분화·정착·증식하는지에 대한 장기 추적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치료 직후뿐 아니라 몇 년 후까지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 윤리적·법적 측면
    치과 줄기 세포를 포함하여 모든 줄기 세포 연구는 윤리성과 안전성, 적법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임상 적용 전에 법적 기준과 전문 기관의 승인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외 규제 기관들이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점진적으로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치과 줄기 세포 치료를 생각한다면 반드시 충분한 임상 경험과 전문 지식을 갖춘 의료진과 상담하고, 치료 과정과 예후, 가능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이해한 뒤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및 제언

결론

치과 줄기 세포(DSC)는 치아 발치나 자연 탈락 치아 등에서 간단히 확보할 수 있다는 점, 중간엽 줄기 세포(MSC)와 유사한 범용성을 지니면서도 신경 분화 능력이 우수하다는 점, 면역 조절 작용에 대한 기대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DSC는 신경계 질환, 자가 면역 질환, 심혈관 질환, 뼈 재건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임상적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환자 부담이 적고 줄기 세포 확보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미래 의학의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 전 세계적으로 DSC 치료 연구가 단계별로 진행 중이며,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영역도 존재합니다. 또한 환자의 개인차와 질환 특성, 장기 안정성 문제, 윤리·법적 제한 등을 고려했을 때, DSC 치료가 완전한 ‘표준’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연구 결과와 임상 사례들을 종합하면, DSC 치료가 재생 의학과 개인 맞춤형 의학의 혁신적 도약을 이끌 하나의 축임은 분명합니다.

제언

  •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의: 줄기 세포 치료는 환자 상태에 따라 큰 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실제 임상 적용을 고려한다면 전문의(치과 전문의, 재생 의학 전문가, 면역학 전문의 등)와의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 적절한 시기의 치아 줄기 세포 보관: 특히 어린이의 유치나 사랑니 발치 시점에 DSC를 확보해두는 것은 미래 의료 자산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이를 고려 중이라면 치과 방문 시 구체적인 정보를 문의해보길 권장합니다.
  • 장기적인 연구 추적: 연구기관이나 병원에서 DSC 치료를 제안받은 경우, 관련 임상시험 데이터와 안전성, 예후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 최신 정보 업데이트: 줄기 세포 연구는 빠르게 진보하고 있으므로, 학술지나 공신력 있는 병원·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맞춤형 접근: DSC가 모든 질환에 만능열쇠처럼 작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질환 종류·중증도·환자의 나이와 건강 상태 등을 종합 고려해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참고 문헌

  • Nguyen Tien Lung, Vinmec 줄기 세포 및 유전자 기술 연구소.
  • 이 글은 국제 Vinmec 병원의 웹사이트에서 참고했습니다. 여기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ottino MC, Pankajakshan D, Dyment NA. “Dental Pulp Stem Cell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Engineering.” Tissue Engineering Part B: Reviews. 2021;27(2):91–106. doi:10.1089/ten.TEB.2020.0117
  • Luo L, He Y, Wang X, Key B, Lee BH, Li H, Ye Q. “Potential roles of dental pulp stem cells in neural regeneration.”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021;236(3):2106–2115. doi:10.1002/jcp.29980
  • Xiao L, Tsutsui T. “Human dental mesenchymal stem cells and neural regeneration.” Human Cell. 2021;34(6):1692–1703. doi:10.1007/s13577-021-00652-9

위 내용은 의료 전문 지식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질병 상태나 증상에 따라 치료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글의 정보만으로 자가 진단이나 치료 결정을 내리지 않길 바라며, 언제나 의사·약사 등 전문 의료진의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이는 단순한 참조 자료일 뿐이며, 개인별 상태에 맞춘 정확한 조언과 진단, 치료 방침은 전문 의료진과의 면밀한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