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1: 정액은 대부분 정자가 아닌 액체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흔히 정액이 정자로 가득 차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정자가 정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작습니다. 정액은 사정 시 배출되는 희끄무레하거나 회백색을 띤 끈적한 액체로1, 정자는 전체 부피의 약 1~5%만을 구성합니다.1 정액의 대부분은 남성 생식 부속기관에서 분비되는 액체로 이루어지는데, 주로 정낭선액(50~80% 또는 65~75%)과 전립선액(10~30% 또는 25~30%)이 차지하며, 요도분비물도 1~5% 가량 포함됩니다.1 전체적으로 정액의 80~90%는 수분입니다.2
이러한 구성 비율은 정액이 단순히 정자를 담는 그릇이 아니라, 정자를 여성 생식기관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보호하기 위한 정교한 운송 매체임을 시사합니다. 각 부속기관에서 분비되는 액체는 정자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실 2: 정액은 정자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인 영양분과 보호 물질을 공급합니다.
정액의 액체 성분, 즉 정장(seminal plasma)은 정자에게 단순한 운반 수단을 넘어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3,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정자는 세포질이 매우 적기 때문에4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합니다.
정액에는 정자의 주요 에너지원인 과당(fructose)이 포함되어 있으며1, 정자 막의 안정성 유지, 수정 능력 획득(capacitation) 및 첨체 반응(acrosome reaction) 조절, 생식기관 상피 조직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연(zinc)도 풍부합니다.1 5 6 이 외에도 구연산염(citrate)1, 칼슘, 칼륨, 마그네슘1, 단백질(효소 포함), 지질, 그리고 윤활 작용을 하는 점액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1 이러한 성분들은 특히 질 내부의 산성 환경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하는 완충 작용을 합니다.7
결론적으로 정액은 정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수정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복잡한 생화학적 ‘칵테일’과 같습니다. 과당, 아연과 같은 특정 성분의 존재는 정자의 생존과 수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교한 생물학적 전략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이러한 생화학적 지표들은 부속 생식선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되기도 합니다.5
사실 3: 새로운 정자가 만들어지는 데는 약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정자 생성(spermatogenesis)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전체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연구 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략 64일에서 72일8, 트리튬 표지 생검 기준 약 74일9, 또는 DNA 시계 측정 기준 약 120일9 정도로 추정됩니다.
환경 노출 연구에서는 흔히 90일을 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10 11 12 여기에 정자가 부고환 등 생식관을 통해 이동하고 성숙하는 시간까지 포함하면, 전체 주기는 약 3개월에 가깝습니다.9 13 이 과정은 고환 내 세정관에서 시작되며, 정조 세포의 유사 분열, 두 차례의 감수 분열(반수체 정자 세포 생성), 그리고 정자 세포가 형태학적으로 변형되어 완전한 정자가 되는 정자 형성(spermiogenesis) 단계를 포함합니다.9 14 15 16
이처럼 정자 생성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은 오늘날 남성의 건강 상태나 환경적 요인(질병, 약물 복용, 열 노출 등)이 수개월 후에 배출되는 정자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남성 역시 최소 3개월 전부터 건강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13 또한, 환경 요인(예: 온도)이 정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에서 과거 90일간의 노출 기간을 고려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10
사실 4: 정상적인 정액량과 정자 수는 개인별 편차가 매우 큽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년 이내에 자연 임신에 성공한 남성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액 검사의 참고치를 제공합니다. 2021년에 발표된 6차 개정판 기준에 따르면, 정상 범위의 하위 5%에 해당하는 최소 기준치는 정액량 1.4mL 이상17, 총 정자 수 3,900만 마리 이상17, 정자 농도(1mL당 정자 수) 1,600만 마리/mL 이상입니다.17
하지만 이 수치들은 ‘최소’ 기준일 뿐이며, 실제 가임 남성들의 평균값이나 중앙값은 이보다 훨씬 높습니다. 예를 들어, 정액량의 중앙값은 3.0mL, 정자 농도의 중앙값은 6,600만 마리/mL, 총 정자 수의 중앙값은 2억 1,000만 마리에 달합니다.18 상위 5%의 경우 정액량이 6.2mL, 총 정자 수가 7억 마리를 넘기도 합니다.18 또한, 동일한 남성이라도 검사 시기에 따라 정액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3
따라서 WHO 기준치는 임신 가능성의 ‘최소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 기준치를 약간 상회한다고 해서 반드시 높은 가임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정자 농도보다는 사정액 전체의 총 정자 수가 진단에 더 중요하게 고려되기도 합니다.19 20
매개변수 | 하위 참고치 (5번째 백분위수) |
---|---|
정액량 (mL) | ≥1.4 mL |
정자 농도 (106/mL) | ≥16 백만/mL |
총 정자 수 (106/사정) | ≥39 백만 |
총 운동성 (%) | ≥42% |
전진 운동성 (%) | ≥30% |
생존성 (%) | ≥54% |
정상 형태 정자 비율 (%) | ≥4% |
데이터 출처: 17
사실 5: 정자는 직선으로만 헤엄치지 않으며, 운동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운동성(motility), 즉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모든 정자가 효과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정자 운동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7:
- 전진 운동성 (Progressive motility): 직선 또는 큰 원을 그리며 활발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
- 비전진 운동성 (Non-progressive motility): 제자리에서 꼬리만 흔들거나 작은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등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움직임.
- 부동성 (Immotility): 전혀 움직이지 않는 상태.
WHO 6차 개정판 기준 하위 5% 참고치는 총 운동성(전진 운동성 + 비전진 운동성) 42% 이상, 전진 운동성 30% 이상입니다.16 중앙값은 총 운동성 64%, 전진 운동성 55%로 훨씬 높습니다.17 흔히 정자들이 일제히 난자를 향해 경쟁적으로 헤엄쳐 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정자의 여정은 훨씬 복잡하며, 자궁 근육의 수축과 같은 여성 생식기관의 도움이 정자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7 WHO 6차 매뉴얼에서는 운동성을 더욱 세분화하여 평가하기 위해 4가지 범주(예: 빠른 전진, 느린 전진, 비전진, 부동성)로 구분하는 방식을 다시 도입했습니다.20
단순히 정자 수가 많은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충분한 비율의 정자가 목적지를 향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정은 정자 혼자만의 노력이 아닌, 여성 생식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협력적인 과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6: ‘완벽한’ 모양의 정자는 소수여도 괜찮습니다.
정자 형태(morphology)는 정자의 크기와 모양을 의미합니다. 놀랍게도, WHO 6차 개정판 기준(5차와 큰 차이 없음18)에 따른 정상 형태 정자의 하위 5% 참고치는 단 4%에 불과합니다.16 이는 최소 기준을 만족하는 정액 검체에서도 최대 96%의 정자가 머리, 중간 부분, 또는 꼬리 등에 형태학적 이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상 형태 정자의 중앙값은 14%로 이보다는 높습니다.17 형태 평가는 정자 머리 길이(3.0–5.0 µm), 폭(2.0–3.0 µm) 등 구체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21 여성의 자궁경부 점액은 비정상적인 모양의 정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7
비록 4%라는 수치가 낮아 보이지만, 이는 가임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기반한 것입니다. 이는 소수의 완벽한 형태를 가진 정자만으로도 자연 임신이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아마도 이들이 여성 생식기관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난자를 수정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자들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임 남성에서도 대부분의 정자가 형태학적으로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은, 정자 생성 과정과 여성 생식기관 내에서의 엄격한 품질 관리 및 선별 과정을 반영합니다. 즉, 남성 생식 능력은 모든 정자가 완벽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수’의 고품질 정자를 생산하는 능력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7: 정자는 여성의 몸 안에서 최대 5일까지 생존할 수 있습니다.
정자의 수명은 주변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남성의 몸 밖으로 나와 공기 중에 노출되어 건조되면 정자는 매우 빠르게, 보통 수 분 내에 죽습니다.7 목욕물이나 온수 욕조 같은 물 속에서도 분산, 온도 변화, 화학 물질(염소 등) 때문에 생존하기 어렵습니다.7
그러나 여성의 생식기관 내부는 정자에게 훨씬 우호적인 환경입니다. 특히 배란기 전후 분비되는 자궁경부 점액 속에서는 정자가 최대 5일까지 생존할 수 있습니다.7 일부 연구에서는 드물게 7일까지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고 보고합니다.22 자궁경부 점액은 질의 산성 환경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하고 이동을 도우며7, 정자는 자궁경부 주름(crypts)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습니다.7 한편, 액체 질소를 이용해 영하 196°C로 냉동 보존된 정자는 수십 년간 생존 가능합니다.23
여성 생식기관 내에서 정자가 며칠간 생존할 수 있다는 점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배란일 며칠 전에 성관계를 갖더라도 임신이 가능하게 하여, 임신 가능 기간(fertile window)을 배란 당일뿐만 아니라 그 이전 며칠까지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외부 환경에서의 짧은 생존 시간과 비교할 때, 여성 생식기관이 정자의 생존력을 극적으로 연장시켜 수정 기회를 최대화하도록 진화했음을 보여줍니다.
환경 | 대략적인 수명 |
---|---|
여성 생식기관 내부 (가임기 자궁경부 점액) | 최대 5일7 |
체외 (건조한 표면) | 수 분7 |
물 속 (목욕물/온수 욕조) | 수 분 이하7 |
냉동 보존 (-196°C) | 수십 년 / 반영구적23 |
데이터 출처: 7
사실 8: 열은 정자 생성과 질에 해롭습니다.
최적의 정자 생성을 위해서는 고환의 온도가 심부 체온보다 약 2~4°C 낮게 유지되어야 합니다.10 고환 온도가 상승하면 정자 생성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중국 남부 지역에서 진행된 한 연구10 11 12에 따르면, 정액 채취 전 90일 동안 노출된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정자 농도, 총 정자 수, 운동성, 정상 형태 비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 평균 노출 온도가 5°C 상승할 때마다 정자 농도는 약 311만 마리/mL, 총 정자 수는 약 931만 마리 감소했습니다.10
특히 노출 시기에 따라 영향받는 지표가 달랐는데, 정액 채취 70~90일 전의 고온 노출은 주로 정자 수 감소와 형태 이상에 영향을 미쳤고, 10~14일 전의 고온 노출은 정자 운동성 감소와 관련이 있었습니다.10 높은 고환 온도는 생식 세포 사멸, DNA 손상, 활성 산소종(ROS) 과잉 생성을 유발하여 정자 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10 고환 온도를 높이는 것은 남성 불임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24, 생활 습관 개선 권고에는 고환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헐렁한 속옷 착용, 뜨거운 환경에서 휴식 등)이 포함되기도 합니다.23
정자 생성이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는 사실은 고환이 왜 몸 밖에 위치하는지를 설명해 줍니다. 또한, 정자 생성 주기가 길기 때문에 일시적인 열 노출(예: 고열)이라도 수 주 또는 수개월 후에 정자 질 저하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환경 온도, 직업 환경, 생활 습관 등이 남성 생식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사실 9: 정액 색깔은 건강 상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정액은 보통 희끄무레하거나 회백색1, 또는 유백색을 띱니다.2 정자 수가 적으면 반투명하게 보일 수 있고, 많으면 더 불투명하고 약간 노란빛을 띨 수도 있습니다.2 일시적으로 정액이 노랗게 보이는 것은 특정 음식 섭취, 흡연, 약물 복용, 또는 노화 때문일 수 있습니다.1
하지만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색깔을 띤다면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습니다. 정액이 지나치게 노랗거나 갈색, 붉은색(혈액이 섞인 경우)을 띤다면 생식기 감염이나 염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1 황달이 있는 경우에도 정액이 노랗게 보일 수 있습니다.1 냄새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일 수 있지만, WHO 6차 매뉴얼에서는 강한 소변 냄새나 부패한 냄새가 임상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19
정액 색깔 변화만으로 질병을 확진할 수는 없지만, 평소와 다른 색깔이 지속된다면 의학적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건강 지표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사실 10: 사정 전 분비물(“쿠퍼액”)은 정액과 다르지만, 정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흔히 “쿠퍼액” 또는 “선발대”라고 불리는 사정 전 분비물(pre-ejaculate)은 정액(semen)과 동일한 액체가 아닙니다.25 이것은 성적 흥분 시 요도구선(쿠퍼선, Cowper’s gland)에서 분비되는 맑고 끈적한 액체입니다.25 주요 기능은 사정 시 정자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요도를 윤활하고, 소변으로 인해 요도에 남아있을 수 있는 산성 환경을 중화시켜 정자에게 안전한 통로를 마련하는 것입니다.25
쿠퍼액 자체에는 일반적으로 정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25 하지만 이전에 사정한 후 소변을 보지 않아 요도 내에 정자가 남아있는 경우, 이 잔류 정자들이 쿠퍼액이 분비될 때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25
이러한 사실은 질외사정법(“빼는 것”)의 피임 실패 가능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비록 쿠퍼액 자체는 정자를 포함하지 않지만, 요도 내 잔류 정자를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한 사정 전에 쿠퍼액이 질 내로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임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질외사정법이 신뢰도가 낮은 피임 방법인 이유 중 하나입니다.
사실 11: 정자는 미세하지만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개의 정자 세포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습니다. 정자 머리의 크기는 대략 길이 5 마이크로미터(µm), 폭 3 µm 정도이며4, 형태학적 기준으로는 길이 3.0–5.0 µm, 폭 2.0–3.0 µm 범위에 해당합니다.21 운동을 담당하는 꼬리(flagellum)는 훨씬 길어서 약 50 µm에 달합니다.4 머리와 꼬리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mid-piece)은 길이 약 5.0–7.5 µm, 폭 약 1 µm 입니다.21
이렇게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정자는 매우 분화된 세포입니다. 머리 부분에는 부계 유전 정보가 담긴 DNA가 고도로 응축되어 있으며4, 난자 외막을 뚫는 데 필요한 효소를 가진 첨체(acrosome)가 있습니다. 중간 부분에는 꼬리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하고 복잡한 구조는 정자가 남성 생식자로서의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결과입니다. 작은 크기는 제한된 부피의 정액 내에 수백만 개의 정자를 담아 난자에 도달할 확률을 높이며, 각 부분의 정교한 구조는 이동, 난자 인식 및 수정 과정에 필수적입니다. 정자의 특정 치수는 형태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며21, 여성 생식기관 내에서의 이동 능력 및 난자와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 12: 남성은 평생 정자를 생산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질은 변할 수 있습니다.
태어날 때 정해진 수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는 여성과 달리, 남성은 사춘기 이후부터 생식 능력이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정자를 생산합니다.15 건강한 남성은 매일 약 2억~3억 개의 정자를 생산하며(이 중 절반 정도만 생존 가능할 수 있음)9, 자주 사정하더라도 정자가 “고갈”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없습니다.23 남성이 사정이나 정자 생산을 멈추는 특정 연령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개인차가 커서 80대에도 생식 능력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1
그러나 정자 생산이 평생 지속된다고 해서 그 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나이가 들면서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 전반적인 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23, 정자 내 유전적 돌연변이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23 연령은 남성 불임의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24
결론적으로 남성의 정자 생산 능력 자체는 여성의 생식 능력보다 훨씬 오랫동안 지속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속적인 생산 과정도 노화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나이가 들수록 정자를 생산하는 능력과 그 정자의 실제적인 질 또는 가임 능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사실 13: 정액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합니다.
정액 검사는 남성 가임력 평가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18 이 검사의 기준과 방법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가장 최근의 주요 업데이트는 2010년 5차 개정판을 대체하는 WHO ‘인간 정액 검사 및 처리 실험실 매뉴얼’ 6차 개정판이 2021년에 발표된 것입니다.16
6차 개정판의 주요 변경 사항에는 일부 기본 항목의 하위 참고치(예: 정액량, 운동성) 미세 조정16, 단순 농도보다는 총 정자 수의 중요성 강조18, 4가지 운동성 범주 재도입20, 백혈구 및 항정자 항체 검사를 ‘기본 검사’에서 ‘확장 검사’로 이동시킨 것 등이 포함됩니다.18 또한 6차 매뉴얼은 정자 DNA 손상 검사와 같은 고급 검사 항목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18 이러한 업데이트는 검사의 정확성, 표준화, 그리고 임상적 해석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집니다.19
남성 가임력 평가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분야입니다. WHO 지침의 정기적인 개정은 관련 연구의 진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실험실 기법과 임상적 해석을 개선하여 정확성과 표준화를 높이려는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합니다. 이는 정액 검사의 복잡성과 함께, 평가 시 최신 기준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론
정액과 정자에 관한 이 13가지 사실들은 남성 생식 생리가 얼마나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인지를 보여줍니다. 정액은 단순한 정자 운반 매체를 넘어, 정자의 생존과 기능을 위한 필수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생화학적 복합체입니다. 정자 생성은 약 3개월이 소요되는 길고 민감한 과정으로, 온도 변화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정액량, 정자 수, 운동성, 형태 등은 개인별 편차가 크며, WHO 기준은 가임력의 최소 기준을 제시합니다. 정자의 수명은 환경에 따라 극적으로 달라지며, 여성 생식기관 내에서는 최대 5일까지 생존하여 임신 가능 기간을 넓힙니다. 또한, 정액 색깔이나 사정 전 분비물의 특성 등은 건강 상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자 생산은 평생 지속되지만 노화에 따라 질적 변화를 겪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액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 자체도 과학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제시된 사실들은 남성 생식 생리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하지만, 개인의 가임력은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가임력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이 경이로운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기를 바랍니다.
참고 문헌
- Cleveland Clinic. Semen: Fluid, Production, Storage & Composition. Updated September 13,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body/semen
- 연세원비뇨의학과. 남성불임. Accessed May 13, 2025. http://www.oneuro.co.kr/bbs/content.php?co_id=0602
- Mayo Clinic Laboratories. Semen Analysis, Semen.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mayocliniclabs.com/test-catalog/Overview/81641
- Mandal A. What is Sperm?. News-Medical.net. Updated February 27, 2019.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news-medical.net/health/What-is-Sperm.aspx
- Zhao S, Ye Z, Dai J, Yang Q, Xia H, Yang A. Correlation between seminal plasma biochemical markers and semen parameters in idiopathic oligoasthenoteratospermia: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for L-carnitine therapy.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4;15:1330629. doi:10.3389/fendo.2024.1330629. PMID: 38464514
- Fallah A, Mohammad-Hasani A, Colagar AH. Zinc is an Essential Element for Male Fertility: A Review of Zn Roles in Men’s Health, Germination, Sperm Quality, and Fertilization. J Reprod Infertil. 2018;19(2):69-81. PMID: 30009140
- Schaefer A; Nall R, medically reviewed by Dr. Janet Brito. Sperm Myths and Facts: Speed, Lifespan, Volume, and More. Healthline. Updated August 31, 2020.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healthline.com/health/mens-health/sperm-myth-and-facts
- 닥터나우. 정자 생성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Updated May 17,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doctornow.co.kr/content/qna/15872a51e0864ce090571cb651adc261
- Wikipedia. Spermatogenesis. Updated April 29, 2024. Accessed May 1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Spermatogenesis
- 이정 J. 평균기온 5도 오를때, 당신의 정자는 931만마리 죽었습니다. 중앙일보. March 6,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5224
- Cai M, Liu D, Lin Z, et al. Association between ambient temperature and semen quality among sperm donation volunteers in South China. Environ Res. 2023;223:115450. doi:10.1016/j.envres.2023.115450. PMID: 36805156
- Cai M, Liu D, Lin Z, et al. Association between ambient temperature and semen quality among sperm donation volunteers in South China. ResearchGate. Published online February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8436119_Association_between_ambient_temperature_and_semen_quality_among_sperm_donation_volunteers_in_South_China
- 이상규. [후생신보] 건강한 정자가 만들어지는 시간 3개월…아빠도 임신준비가 필요합니다. 후생신보. November 14, 2022. Accessed May 13, 2025. http://www.whosaeng.com/129419
- Shalane L. Histology, Spermatogenesis.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Updated January 23,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3142/
- Griswold MD. Spermatogenesis: The Commitment to Meiosis. Physiol Rev. 2016;96(1):1-17. doi:10.1152/physrev.00013.2015. PMID: 2653842 commitmenttomeiosis
- 자윤한의원 강남점. 남성 정자검사 기준 – WHO 매뉴얼 6판 살펴보기. 자윤한의원 공식블로그. December 27, 2022. Accessed May 13, 2025. http://i-jayoon.co.kr/introduce/introduce_5.asp?mode=view&idx=18110
- 아가온여성의원 공식블로그. 새롭게 개정된 정액검사 기준. 네이버 블로그. December 11, 2022. Accessed May 13, 2025. https://blog.naver.com/blaudrup/222950987896?viewType=pc
- Sajjan S, Pathak P, Kumar M, Minhas S. Six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laboratory manual of semen analysis: Updates and essential take away for busy clinicians. Androl Clin Res. 2024;1(1):100003. doi:10.1016/j.acrs.2024.10000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929669/
- Panner Selvam MK, Agarwal A, Pushparaj PN, Baskaran S, Dcunha R, Henkel R. Six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laboratory manual of semen analysis. Andrologia. 2024;56(1):e14861. doi:10.1111/and.14861. https://www.tandfonline.com/doi/pdf/10.1080/20905998.2023.2298048
- Barratt CLR, Björndahl L, De Jonge CJ, et al. The sixth edition of the WHO Laboratory Manual for the Examination and Processing of Human Semen: ensuring quality and standardization in basic semen analysis. Fertil Steril. 2021;116(2):291-294. doi:10.1016/j.fertnstert.2021.05.018. 전문 링크
- Cardona Maya WD.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of sperm morphology. Actas Urol Esp. 2013;37(6):373-374. doi:10.1016/j.acuro.2012.06.007. PMID: 22906432
- 사랑아이여성의원. 정자생존기간 배란일기간 체크해 임신 확률 높여보자. 네이버 블로그. February 2,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m.blog.naver.com/sarangi_won/223002845288
- Clearblue. How long does sperm live: Sperm lifecycle, life span and more. Updated February 2023. Accessed May 13, 2025. https://www.clearblue.com/fertility/how-long-sperm-live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불임증. Updated October 26, 2021. Accessed May 13, 2025.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29
- 닥터나우. 쿠퍼액과 정액의 차이와 쿠퍼액의 나오는 시기에 대해 알려주세요. Updated April 17, 2024. Accessed May 13, 2025. https://doctornow.co.kr/content/qna/d756458249d6473db01f52935ad6d77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