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을 중장년층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충격적인 현실이 한국 가정 내에서 조용히 벌어지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12년간 진행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 10명 중 거의 3명(28.9%)이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이상지질혈증 소견을 보이고 있습니다.8 이 수치는 한 반에 30명의 학생이 있다면 그중 9명이 잠재적 위험에 직면해 있다는 뜻입니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이러한 경향이 정상 체중의 아이들에게서도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다른 선진국들의 개선 추세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8 문제는 단순히 숫자 너머에 있습니다. 다수의 연구는 성인의 심장마비와 뇌졸중의 주원인인 동맥경화증(죽상경화증) – 동맥을 딱딱하게 만들고 좁히는 플라크 축적 – 과정이 바로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고 단언합니다.5 오늘 아이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무관심하다면, 미래에 심각한 건강상의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이 절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올바른 이해와 조기 대응이 바로 핵심 열쇠입니다. 의료 전문가의 감수를 거친 이 글은 한국 부모님들을 위한 가장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실천하기 쉬운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자녀의 검사 결과를 이해하는 것부터 원인 파악, 그리고 자녀의 평생 심혈관 건강을 지키기 위한 현실적인 영양 및 운동 계획 수립까지 모든 것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KSoLA): 이 기사의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 및 치료 권장 사항에 관한 지침은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가 발표한 2022년 진료지침 제5판에 근거합니다.10
- 미국 소아과학회(AAP) 및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NHLBI): 소아청소년의 콜레스테롤 선별 검사 시기와 기준은 이들 기관의 전문가 통합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였습니다.1112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및 서울아산병원: 소아 콜레스테롤 정상수치 기준표와 식단 관리법은 대한민국 최고 의료기관들의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12
- 국내외 학술 연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의 한국 소아청소년 콜레스테롤 추세 연구 등 최신 학술 논문을 통해 내용의 깊이와 정확성을 더했습니다.8
핵심 요약
- 충격적인 현실: 한국 청소년 10명 중 약 3명은 잠재적인 콜레스테롤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상 체중의 아이들에게서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8
- 조기 발견의 중요성: 소아 이상지질혈증은 증상이 없어 선별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모든 아이는 9~11세 사이에, 위험 요인이 있다면 2세부터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5
- 생활 습관이 핵심: 대부분의 경우, 약물 치료 이전에 ‘한식 기반의 건강 식단’과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1차 치료법입니다.4
- 가족력 확인 필수: 부모나 가까운 친척 중 이른 나이에 심장 질환을 앓았거나 콜레스테롤 수치가 매우 높았다면, 자녀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H)의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조기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4
- Non-HDL 콜레스테롤의 유용성: 아이가 금식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Non-HDL 콜레스테롤은 심혈관 위험을 평가하는 편리하고 신뢰도 높은 지표입니다.16
콜레스테롤 해독: 자녀의 지질 프로필에 대한 부모 안내서
이 섹션의 목표는 부모님들이 의사와 자신 있게 소통하고 자녀의 검사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 지식을 갖추게 하는 것입니다.
기본 개념 비유로 이해하기
-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자녀의 혈관을 고속도로라고 상상해 보세요. 총콜레스테롤은 그 위에 다니는 모든 차량의 총량과 같습니다.”
- LDL-C (나쁜 콜레스테롤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는 부피가 큰 쓰레기 트럭과 같습니다. 너무 많아지면 도로변에 끼어 ‘교통 체증'(플라크)을 일으키고 고속도로를 좁게 만듭니다.”
- HDL-C (좋은 콜레스테롤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반대로 HDL-C는 ‘고속도로 청소팀’입니다. 이들은 끼어있는 LDL-C 트럭들을 수거하여 ‘처리 공장'(간)으로 돌려보내 고속도로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 중성지방(Triglycerides): “이것은 혈액 속의 또 다른 ‘예비 연료’입니다. 몸이 즉시 사용하지 않는 잉여 칼로리, 특히 설탕과 탄수화물로부터 만들어집니다. 높은 중성지방 수치 역시 ‘교통 체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17“
중요 정보 표 1: 소아청소년 콜레스테롤 수치: 한국 기준 (0-19세)
이 표의 목적은 빠르고 명확하며 신뢰할 수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부모님들은 이 표를 화면 캡처하거나 인쇄하여 자녀의 검사 결과를 받을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대한의사협회(KMA)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SNUH)과 같은 주요 의료 센터의 지침을 기반으로 한 소아청소년의 지질 수치 분류표입니다.2 수치는 mg/dL 단위로 표시됩니다.
분류 (mg/dL) | 정상 (Acceptable) | 경계 (Borderline) | 이상 (Abnormal) |
---|---|---|---|
총콜레스테롤 | < 170 | 170-199 | ≥ 200 |
LDL-C (나쁜) | < 110 | 110-129 | ≥ 130 |
Non-HDL-C | < 120 | 120-144 | ≥ 145 |
HDL-C (좋은) | > 45 | 40-45 | < 40 |
중성지방 (0-9세) | < 75 | 75-99 | ≥ 100 |
중성지방 (10-19세) | < 90 | 90-129 | ≥ 130 |
Non-HDL-C 지표에 대한 설명
의학의 발전은 점점 더 편리한 평가 도구를 가져왔습니다. Non-HDL-C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지표는 ‘Non-HDL-C = 총콜레스테롤 – HDL-C’라는 매우 간단한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혈액 내의 LDL-C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해로운’ 콜레스테롤을 나타냅니다.
부모와 의사에게 Non-HDL-C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가 금식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16 이는 아이가 혈액 채취 전 8-9시간 동안 공복을 유지하도록 보장하기가 항상 쉽지 않기 때문에 선별 검사를 훨씬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정기 건강 검진 중에도 의사는 이 지표를 통해 아이의 심혈관 위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예비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원인 파악: 유전, 식단, 생활 습관의 결합
근본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첫걸음입니다. 소아의 이상지질혈증은 종종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입니다.
제1부: 생활 습관 및 환경적 원인 (속발성 원인)
이것은 가장 흔한 원인 그룹이며 부모가 가장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그룹입니다.
- 서구화된 식습관: 경제 발전은 한국 가정의 식단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치킨, 피자, 햄버거, 감자튀김, 라면, 과자, 탄산음료와 같이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설탕이 풍부한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5 이러한 음식은 LDL-C와 중성지방 수치를 직접적으로 높입니다.
- 비만 및 과체중: 비만은 가장 강력한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체내의 과도한 지방, 특히 내장 지방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과잉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좋은 HDL-C 수치를 감소시킵니다.15
- 운동 부족: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TV와 같은 전자기기의 매력으로 가득 찬 현대 생활은 한국 어린이들의 신체 활동 시간을 크게 줄였습니다. 운동은 칼로리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고 HDL-C 수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15
- 기타 질환: 당뇨병(특히 제2형), 신장 질환 또는 갑상선 질환과 같은 일부 건강 상태도 2차성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2
제2부: 유전적 원인 (원발성 원인)
“일부 가족에서는 문제가 식단에 있지 않습니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H)이라는 유전적 질환이 있습니다. 몸이 혈액에서 ‘나쁜’ 콜레스테롤(LDL-C)을 받아 처리하기 위해 간에 특별한 ‘관문’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보십시오. FH 환자에서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이 ‘관문’이 결함이 있거나 부족합니다. 결과적으로 LDL-C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건강한 식단을 하더라도 어릴 때부터 혈액에 매우 높은 수준으로 축적됩니다.”
– MSD 매뉴얼22
가족력의 중요성과 인지 신호: 가장 중요한 경고 신호는 가족력입니다. 직계 가족(부모, 형제자매) 중에 젊은 나이(남성 55세 이전, 여성 65세 이전)에 심혈관 질환(심근경색, 스텐트 시술, 관상동맥 우회술, 뇌졸중)을 앓았거나 매우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로 진단받은 사람이 있다면, 자녀가 FH에 걸릴 위험이 매우 큽니다.4
실천 촉구: “만약 가족력이 위와 같다면, 자녀를 조기에(2세부터라도) 지질 검사를 받게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자녀의 미래를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일입니다.”
능동적 예방: 자녀를 위한 심혈관 건강 선별 검사
이상지질혈증의 가장 위험한 특징 중 하나는 합병증이 나타날 때까지 뚜렷한 증상(무증상) 없이 조용히 진행된다는 것입니다.5 따라서 능동적인 선별 검사는 조기 발견과 시기적절한 개입을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언제 아이를 검사해야 할까요?
국제 및 국내 의료 지침은 명확한 권장 사항을 제시했습니다.
- 보편적 선별 검사(Universal Screening): 미국 소아과학회(AAP)와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NHLBI)는 모든 어린이가 9세에서 11세 사이에 적어도 한 번, 그리고 17세에서 21세 사이에 다시 한 번 지질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5 9-11세 시기는 사춘기 이전으로 지질 수치가 비교적 안정적이며 유전적 위험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 선택적 선별 검사(Selective Screening): 고위험군에 속하는 어린이의 경우, 검사를 훨씬 일찍 시작해야 하며, 2세부터 시작하여 3-5년마다 정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습니다.5
중요 정보 표 2: 우리 아이가 고위험군에 속할까요? 부모를 위한 선별 검사 체크리스트
이 도구의 목적은 부모가 자녀의 위험을 신속하게 자가 평가하고 의사와 논의할 근거를 마련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래 질문에 답해 보세요. 질문 중 하나라도 ‘예’라고 답했다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자녀의 조기 지질 검사에 대해 상의하십시오.
위험 확인 질문 | 예 | 아니요 |
---|---|---|
1. 가족(부, 모, 조부모, 고모, 이모, 삼촌, 백부) 중에 55세(남성) 또는 65세(여성) 이전에 심근경색, 뇌졸중을 앓았거나 심혈관 시술(스텐트, 수술)을 받은 분이 있습니까?10 | ☐ | ☐ |
2. 자녀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총콜레스테롤 240 mg/dL 이상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습니까?23 | ☐ | ☐ |
3. 자녀가 현재 과체중(BMI 백분위수 85 이상 95 미만) 또는 비만(BMI 백분위수 95 이상) 상태입니까?23 | ☐ | ☐ |
4. 자녀가 고혈압 또는 당뇨병(1형 또는 2형)으로 진단받았습니까?23 | ☐ | ☐ |
5. 자녀가 흡연(전자담배 포함)을 합니까?23 | ☐ | ☐ |
6. 가족의 심장 질환이나 콜레스테롤 병력을 잘 모르십니까?28 | ☐ | ☐ |
관리의 핵심: 심장을 위한 건강한 한국식 생활 습관 구축하기
이 부분이 독자에게 가장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대부분의 어린이, 특히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생활 습관 개선은 가장 효과적인 1차 치료법입니다.4
영양 전략: “가족의 한식 식단 개선하기”
한국 가정에 지중해식 식단과 같이 완전히 낯선 식단을 강요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더 효과적인 접근 방식은 부모에게 문화적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일상 식사를 더 건강하게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것입니다. 서울아산병원과 같은 국내 대형 병원 및 공공 보건 센터의 권장 사항은 모두 현지 음식 문화의 맥락에서 식품 선택 및 조리법을 강조합니다.1
한식 식단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황금률
- 기본은 잡곡밥: 흰쌀밥을 현미, 보리, 콩 등 다양한 잡곡을 섞은 밥으로 대체하세요. 이는 콜레스테롤 흡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식이섬유 섭취를 크게 늘립니다.1
- 현명한 단백질 선택: 두부와 콩으로 만든 음식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을 우선시하세요. 구이나 찜으로 조리한 생선, 특히 오메가-3가 풍부한 고등어와 연어 섭취를 늘리세요. 삼겹살, 갈비와 같이 지방이 많은 붉은 고기는 제한하고 눈에 보이는 지방과 껍질은 제거하세요.1
- 채소와 친해지기: 나물, 쌈, 국 등 어떤 형태이든 매 식사에 다양한 채소가 포함되도록 하세요. 채소의 섬유질과 미량 영양소는 콜레스테롤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반찬과 김치의 염분 양에 주의해야 합니다.1
- 조리 방법 변경: 찜, 삶기, 굽기와 같이 기름을 적게 사용하는 조리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세요. 기름에 튀긴 음식(튀김)과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볶음 요리는 최대한 피하세요.1
- 간식 재정의하기: 과자, 아이스크림, 감자칩, 탄산음료를 주방에서 치우세요. 대신 신선한 제철 과일, 무가당 요구르트, 적당량의 견과류, 삶거나 구운 고구마, 삶은 옥수수와 같은 건강한 선택지를 준비해 두세요.21
- ‘숨은 적’ 경계하기 – 설탕: 지방만이 문제가 아님을 강조해야 합니다. 탄산음료, 과일 주스, 시럽, 사탕에 들어있는 단순당은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급격히 높이는 주범입니다.17 부모가 첨가당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식품 라벨을 읽도록 안내하세요.
중요 정보 표 3: 심장 건강에 좋은 7일 한식 식단 제안
이 구체적인 계획의 목적은 부모들이 “오늘 아이에게 뭘 먹이지?”라는 질문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인 조언만 제공하는 다른 기사들과 뚜렷한 차이를 만드는 높은 활용도를 가진 도구입니다.
요일 | 아침 | 점심 (도시락 제안) | 저녁 | 간식 |
---|---|---|---|---|
월요일 | 잡곡밥, 콩나물버섯국, 채소계란말이 | 잡곡밥, 닭가슴살 파프리카 볶음, 삶은 브로콜리 | 잡곡밥, 저염 고등어구이, 덜 매운 순두부찌개, 시금치나물 | 저지방 우유 & 바나나 1개 |
화요일 | 우유와 견과류를 넣은 오트밀 죽 | 참치주먹밥(잡곡밥), 작은 과일 샐러드 | 잡곡밥, 쌈채소를 곁들인 보쌈(살코기 위주), 채소 듬뿍 된장국 | 무가당 요거트 & 베리류 |
수요일 | 통밀빵, 계란 프라이, 저지방 우유 한 잔 | 잡곡밥, 두부 토마토 소스 조림, 미역 샐러드 | 잡곡밥, 생강과 파를 넣은 오징어찜, 배춧국, 백김치 | 삶은 고구마 1개 |
목요일 | 잡곡밥, 소고기 미역국(살코기 위주) | 채소(당근, 감자, 양파)와 닭가슴살을 듬뿍 넣은 카레라이스 | 잡곡밥, 여러 나물과 계란 프라이를 올린 비빔밥(참기름은 적게) | 사과 1개 |
금요일 | 무가당 시리얼(통곡물)과 신선한 과일 슬라이스 | 채소를 곁들인 메밀국수 | 잡곡밥, 삼계탕(기름과 껍질 제거), 깍두기 | 호두와 아몬드 약간 |
토요일 | 기름을 적게 두른 야채전 | 현미밥, 채소, 계란, 맛살을 넣은 집에서 만든 김밥 | 살코기 소고기를 넣은 버섯전골(라면 사리 제외) | 수박 몇 조각 |
일요일 | 잡곡밥, 열빙어구이, 깍두기 | (외식) – 메뉴 선택 가이드: 쌀국수, 채소가 많은 백반, 튀김과 소스가 많은 요리 피하기 | 잡곡밥, 두부조림, 참치김치찌개(기름 대신 물에 담근 참치 사용) | 배 1개 |
신체 활동
목표: 미국 소아과학회의 권고에 따르면 어린이는 매일 최소 60분의 중강도에서 고강도 신체 활동이 필요합니다.26
현실적인 제안: 이것을 ‘운동’으로 여기기보다는 온 가족의 즐거움으로 만드세요. 주말에 한강 공원에서 자전거 타기, 등산, 아파트 단지에서 배드민턴 치기, 또는 저녁 식사 후 간단한 산책을 계획하세요. 중요한 것은 화면 앞에서 수동적으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모든 형태의 움직임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의학적 개입: 식단과 운동만으로 부족할 때
이 부분은 부모가 자의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와 더 효과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매우 신중하게 제시되어야 합니다.
일반 원칙
약물 사용 결정은 생활 습관 개선을 진지하게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했을 때 항상 마지막 단계입니다. 전문의의 역할은 필수적입니다.
의사가 약물 사용을 고려할 수 있는 경우
- 연령: 약물 치료는 보통 10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만 고려됩니다. 더 어린 아이들의 경우, 동형 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이 매우 심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약물의 잠재적 위험이 이점보다 크다고 여겨집니다.4
- 콜레스테롤 수치: 엄격한 식단과 운동을 3-6개월간 적용한 후에도 LDL-C 수치가 여전히 매우 높다면 의사는 약물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국제 지침을 참고하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 LDL-C 수치가 지속적으로 ≥190mg/dL인 경우.
- LDL-C 수치가 지속적으로 ≥160mg/dL이면서 조기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 고혈압 등 다른 위험 요인이 두 개 이상 있는 경우.
- LDL-C 수치가 지속적으로 ≥130mg/dL이면서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28
- 특별한 경우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 FH): FH로 진단받은 어린이의 경우 원인이 유전적이므로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는 LDL-C를 안전한 수준으로 낮추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어린이들은 미래의 조기 심혈관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더 일찍, 더 적극적으로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4
주로 사용되는 약물
- 스타틴(Statin): 어린이에게 가장 많이 연구되고 1차 선택 약물로 사용되는 약물 그룹입니다. 스타틴은 간의 효소를 억제하여 신체의 콜레스테롤 생산 능력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간이 혈액에서 LDL-C를 더 많이 제거하도록 돕습니다.29
의사의 감독: 스타틴 종류의 선택, 초기 용량 설정, 근육 및 간에 대한 잠재적인 부작용(드물지만) 모니터링은 반드시 전문의에 의해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해야 합니다. 부모는 절대로 자녀에게 임의로 약을 구입하여 먹여서는 안 됩니다.10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마른 아이도 콜레스테롤이 높을 수 있나요?
A: 네, 그렇습니다. 비만이 주요 위험 요인이기는 하지만, 유전적 요인(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이나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 때문에 마른 아이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국내 연구에서는 정상 체중 청소년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어 체중만으로 안심해서는 안 됩니다.8
Q2: 아이가 콜레스테롤 약을 한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나요?
A: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심각한 유전 질환의 경우 평생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4 하지만 생활 습관으로 인한 경증의 경우에는 식단 조절과 운동을 통해 체중이 조절되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화되면 의사의 판단하에 약물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결정은 정기적인 검사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Q3: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 계란 노른자나 새우를 먹이면 안 되나요?
A: 과거에는 음식으로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이 혈중 콜레스테롤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지만, 최근 연구들은 그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봅니다. 오히려 혈중 콜레스테롤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입니다.1 계란이나 새우는 다른 영양소도 풍부하므로 완전히 피할 필요는 없으며, 튀기기보다는 삶거나 찌는 방식으로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가공식품, 튀김, 과자 등에 포함된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을 줄이는 것입니다.
결론: 자녀의 평생 건강을 위한 행동 계획
핵심 메시지 요약:
- 문제는 현실입니다: 한국 소아청소년의 이상지질혈증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위험이 아니라 장기적인 심혈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당면한 현실입니다.
- 생활 습관이 기본입니다: 대다수 어린이에게 건강한 한식 기반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은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개입 방법입니다.
- 선별 검사는 열쇠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은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는 유일한 방법이며, 특히 9-11세 또는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더 일찍 검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사는 동반자입니다: 모든 걱정, 질문, 치료 결정은 소아청소년과 의사 또는 내분비 전문가와 상의하여 내려야 합니다.
실천을 위한 촉구 (Call to Action): “자녀의 심장을 보호하는 여정은 오늘 작은 발걸음에서 시작됩니다. 당신을 위한 행동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즉시 평가하기: 이 글의 ‘위험 확인 체크리스트'(표 2)를 사용하여 자녀에게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지 확인하십시오.
- 예약 잡기: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자녀의 지질 선별 검사에 대해 논의하십시오. 특히 자녀가 9-11세라면 더욱 중요합니다.
- 작은 변화 시작하기: ‘한식 식단 개선하기’ 섹션에서 간단한 목표 하나를 선택하여 이번 주에 바로 실천해 보세요. 예를 들어, 일주일에 세 번 흰쌀밥을 잡곡밥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 운동 계획 세우기: 이번 주말에 1-2시간을 할애하여 온 가족이 함께 좋아하는 신체 활동에 참여하세요.
- 저장하고 공유하기: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이 글을 저장하고, 당신이 아끼는 다른 부모님들과 공유하세요. 미래 세대의 건강은 우리 손에 달려 있습니다.
참고 문헌
- 서울아산병원. 고지혈증식 | 식사요법 | 의료정보 | 건강정보.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27
-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고지혈증 클리닉 – 센터 / 클리닉.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child.snuh.org/m/reservation/clinic/KC052/clinicInfo.do
- 삼성서울병원. 고지혈증 클리닉 – 건강의학센터(개인). Accessed August 13, 2025.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Medical/private/lifeClinicHyperlipidemia01.do
- 대한의학회. 소아청소년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jkma.org/journal/view.php?number=3532&viewtype=pubreader
- 메디팜헬스. “콜레스테롤 관리 소아청소년 시기부터 해야”.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59445
- 헬스조선. 美 소아청소년기 콜레스테롤 검사 지침… 가족력·비만 있으면 어릴 때부터 관리를.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111901000
- 병원신문. ‘경고등’ 켜진 소아청소년 및 2030 세대 콜레스테롤 관리.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164
- 파이낸셜뉴스. 美·日은 떨어지는데…소아청소년 콜레스테롤 관리 ‘비상’.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fnnews.com/news/202107021042085413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대한민국 소아청소년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 비상.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medicine.yonsei.ac.kr/gs/news/press/report.do?mode=view&articleNo=111777&title=+%EB%8C%80%ED%95%9C%EB%AF%BC%EA%B5%AD+%EC%86%8C%EC%95%84%EC%B2%AD%EC%86%8C%EB%85%84+%EC%BD%9C%EB%A0%88%EC%8A%A4%ED%85%8C%EB%A1%A4+%EC%88%98%EC%B9%98+%EA%B4%80%EB%A6%AC+%EB%B9%84%EC%83%81
-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5판.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lipid.or.kr/uploaded/board/guideline/_50e8f3527d0798a82a29b8ef6c363cce2.pdf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Guidelines for Screening,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395579/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Lipid Screening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Childhood. Pediatrics.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publications.aap.org/pediatrics/article/122/1/198/73036/Lipid-Screening-and-Cardiovascular-Health-in
- 학교급식정보마당. 비만예방 및 관리를 위한 바른 식생활 실천 초등학생용. Accessed August 13, 2025. http://www.sfic.go.kr/board/view.do?boardId=BBS_0000008&menuCd=DOM_000000105001000000&startPage=5&dataSid=56878
- World Health Organization.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extranet.who.int/ncdccs/Data/KOR_B12_[12]Comprehensive%20plan%20for%20Obesity%20Prevention%20and%20Control(pp.16).pdf
- 대한의사협회지. 소아청소년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jkma.org/upload/pdf/jkma-2024-67-5-348.pdf
- PubMed. Pediatric Dyslipidemia.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pubmed.ncbi.nlm.nih.gov/36256753/
- 서울대학교병원. 고지혈증 – N의학정보.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58
- 송파구 보건소. 고지혈증.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664&
- Children’s National Hospital. Universal Cholesterol Screening Referral Guidelines.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childrensnational.org/for-healthcare-professionals/refer-a-patient/referral-guidelines/universal-cholesterol-screening-guidelines
- 성가롤로병원. 어릴 때 생긴 이상지질혈증, 만성질환 위험 높여…’이렇게’ 관리해야 > 건강정보.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stcarollo.or.kr/0401/5840
-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올바른 식사, 규칙적 운동이 어린이 성인병의 천적.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schmc.ac.kr/seoul/selectBbsNttView.do?key=358&bbsNo=221&nttNo=215937&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4&integrDeptCode=
- MSD 매뉴얼 일반인용. 이상지질혈증 – 호르몬 및 대사 장애.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msdmanuals.com/ko/home/%ED%98%B8%EB%A5%B4%EB%AA%AC-%EB%B0%8F-%EB%8C%80%EC%82%AC-%EC%9E%A5%EC%95%A0/%EC%BD%9C%EB%A0%88%EC%8A%A4%ED%85%8C%EB%A1%A4-%EC%9E%A5%EC%95%A0/%EC%9D%B4%EC%83%81%EC%A7%80%EC%A7%88%ED%98%88%EC%A6%9D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소아에서의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in children).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pediatrics.or.kr/newsletter/no02/file/no02_file.pdf
- 박미정성장클리닉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소아고지혈증도 있나요? / YouTube.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m.youtube.com/watch?v=yjMtHRJiFvQ&pp=ygUKI-yVoeq2gTRfMg%3D%3D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ediatric Dyslipidemia – StatPearls – NCBI Bookshelf.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85106/
- HealthyChildren.org. Cholesterol Levels in Children & Teens: Why Early Screening Matters.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healthy-living/nutrition/Pages/Cholesterol-Levels-in-Children-and-Adolescents.aspx
-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AAP Clinical Report on Lipid Screening in Children.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09/0415/p703.html
-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Hyperlipidemia Treatment in Children: The Younger, the Better.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0/0901/p460.html
- Cleveland Clinic. High Cholesterol in Children Symptoms, Causes & Treatment.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2113-high-cholesterol-in-children
-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lipid.or.kr/uploaded/board/publication/_fb65446f1e7f4ee9408ffc7f81d8d1541.pdf
- child.snuh.org.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child.snuh.org/m/reservation/clinic/KC052/clinicInfo.do#:~:text=%EC%9D%BC%EB%B0%98%EC%A0%81%EC%9C%BC%EB%A1%9C%20%EC%86%8C%EC%95%84%EC%B2%AD%EC%86%8C%EB%85%84%EA%B8%B0%EC%97%90%EB%8A%94,%EB%86%8D%EB%8F%84%EB%A1%9C%20%EB%B0%9B%EC%95%84%EB%93%A4%EC%97%AC%EC%A7%80%EA%B3%A0%20%EC%9E%88%EB%8B%A4.
- 메디칼업저버. “건강한 생활습관이 아동기 비만 예방합니다”. Accessed August 13, 2025.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