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세크레틴 자극 검사: 췌장 기능부터 희귀 종양 진단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계속되는 소화불량이나 답답한 복통의 원인이 궁금하신가요? 혹은 희귀 질환 진단의 실마리를 찾고 계신가요?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췌장의 외분비 기능(소화액 분비 능력)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가스트린종과 같은 특정 내분비 종양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본 글에서는 세크레틴 자극 검사에 대한 모든 것을 한국 독자 여러분의 눈높이에 맞춰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리고자 하며, KRHOW.COM이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임을 강조합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외부에서 세크레틴 호르몬을 투여한 후 신체 반응을 측정하여, 주로 췌장의 소화액 분비 기능(외분비 기능) 평가와 위산 과다를 유발하는 희귀 종양인 가스트린종 진단에 사용됩니다.1, 2, 3
  • 검사 목적에 따라 십이지장액을 직접 채취하여 분석하거나(췌장 기능 평가), 혈액 내 가스트린 호르몬 수치 변화를 측정합니다(가스트린종 진단).1, 4
  • 정확한 검사 결과를 위해 검사 전 최소 8시간 금식하고, 위산 분비 억제제 등 특정 약물 복용을 의사와 상의하여 중단해야 합니다.5, 6, 7
  • 국내에서는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를 위한 직접적인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침습성 등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분변 엘라스타제 검사 등 간접 검사가 보편적입니다.8, 9 가스트린종 진단 시에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4, 10

1. 우리 몸의 숨은 조력자, 세크레틴(Secretin) 호르몬이란?

세크레틴은 우리 몸의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호르몬입니다. 이 호르몬의 기능과 작용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1. 세크레틴의 발견과 핵심 기능

세크레틴은 20세기 초 소화 과정 연구 중 발견된 최초의 호르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십이지장을 비롯한 소장의 특수 세포인 S 세포에서 음식물, 특히 위산에 의해 자극을 받아 분비됩니다.1 세크레틴의 주요 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십이지장 내 환경을 보호합니다. 둘째, 췌장을 자극하여 다량의 알칼리성 췌장액(특히 중탄산염이 풍부한) 분비를 유도합니다. 이 과정은 위에서 내려온 산성 내용물을 중화시켜 소화 효소가 최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핵심적입니다.1, 3 셋째, 간에서의 담즙 생성을 촉진하고 담낭 수축에 관여하여 지방 소화를 돕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세크레틴은 음식물의 효과적인 소화 및 영양분 흡수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1.2. 세크레틴의 분자적 특징과 작용 원리

세크레틴은 2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 호르몬입니다. 이 호르몬은 표적 세포, 주로 췌장의 도관 세포에 있는 특정 세크레틴 수용체(G-단백질 결합 수용체의 일종)에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냅니다. 수용체에 결합한 후에는 세포 내에서 cAMP(cyclic AMP)라는 2차 전달 물질의 생성을 촉진하며, 이를 통해 중탄산염 분비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합니다.1

2. 세크레틴 자극 검사: 정의, 목적, 그리고 다양한 방법들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세크레틴 호르몬의 생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질환을 진단하거나 장기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2.1. 검사의 기본 개념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외부에서 합성 세크레틴을 환자에게 투여한 후, 특정 장기(주로 췌장)나 세포(예: 가스트린종 세포)가 이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1, 2, 3 이 검사의 기본 원리는 정상적인 생리 반응과의 차이를 관찰하거나 특정 질환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반응 패턴을 분석하여 진단적 단서를 얻는 것입니다.

2.2. 세크레틴 자극 검사를 시행하는 주요 이유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크게 두 가지 주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첫 번째는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입니다. 이는 췌장이 음식물 소화에 필요한 소화액, 특히 위산을 중화하는 중탄산염을 충분히 잘 만들어내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1, 3 만성 췌장염11, 12, 낭성 섬유증(한국에서는 매우 드묾)1, 13, 췌장 수술 후 상태 평가, 원인 불명의 흡수 장애 등이 의심될 때 고려될 수 있으며, 주로 췌장액의 양, 중탄산염 농도 및 총 분비량을 평가합니다.1, 3
두 번째 주요 목적은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입니다. 가스트린종은 위산을 과도하게 분비시키는 희귀 종양으로, 이 검사는 가스트린종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4, 10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소화성 궤양, 다발성 궤양, 만성 설사, 과도한 위산 분비 증상 등이 있을 때 의심해 볼 수 있으며14, 15, 16, 혈중 가스트린 호르몬 수치의 특징적인 변화(역설적 증가)를 평가합니다.1, 10

2.3.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종류와 특징

검사 종류 주요 목적 검사 방법 장점 단점 국내 활용도 (2025년 기준)
전통적 십이지장액 채취법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 비위관/내시경으로 십이지장까지 튜브 삽입, 세크레틴 정맥 주사 후 십이지장액 채취 및 분석.9, 2 췌장 기능 직접 평가, 과거 표준 검사 중 하나.17 침습적, 시간 소요, 환자 불편, 위액/담즙 혼합 가능성.9, 18 연구 목적 외 거의 사용 안 됨.8
내시경적 췌관 직접액 채취법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 ERCP와 유사하게 내시경을 통해 췌관에 직접 카테터 삽입 후 세크레틴 자극, 순수 췌액 채취.9 순수 췌액 채취로 정확도 향상 가능성, 위액/담즙 오염 방지.9 고도의 전문 기술 필요, 침습성, 일반적이지 않음.9 매우 제한적, 주로 연구용.
혈액 검사 (가스트린 변화 측정) 가스트린종 진단 세크레틴 정맥 주사 전후로 여러 차례 혈액 채취, 혈중 가스트린 농도 변화 측정.1, 4, 10 상대적으로 덜 침습적 (십이지장액 채취보다). 특정 조건(무위산증 등)에서 위양성 가능성.10, 19, 20 가스트린종 의심 시 선별검사 후 확진을 위해 고려.
세크레틴 강화 영상 검사 (S-MRCP 등) 췌관 구조 및 기능 평가 세크레틴 투여 후 MRI(MRCP) 촬영, 췌관 확장 및 췌액 흐름, 분비량 등을 간접적으로 시각화.21 비침습적, 췌관의 형태학적 정보와 기능적 정보 동시 평가 가능. 정량적 기능 평가는 제한적, 국내 시행 병원 적음.8, 21 일부 대학병원 중심 연구 또는 제한적 시행.

참고: 국내에서는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를 위해 직접적인 세크레틴 자극 검사보다는 분변 엘라스타제-1 검사 등 간접 검사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9, 8

3. 어떤 경우에 세크레틴 자극 검사가 필요할까요?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모든 소화기 증상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는 아닙니다. 특정 질환이 강력히 의심되거나 다른 검사로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을 때 고려될 수 있습니다.

3.1. 췌장이 제 기능을 못 할 때: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 (PEI)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PEI)란?

췌장이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데 필요한 소화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 등)와 위산을 중화하는 중탄산염을 충분히 분비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22, 23 이로 인해 음식물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EI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증상:

  • 지방변 (Steatorrhea):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 변이 기름지고, 양이 많으며, 물에 뜨고, 심한 악취를 풍깁니다.22, 23
  • 체중 감소: 충분히 먹어도 살이 빠집니다.
  • 복부 팽만감 및 불쾌감, 잦은 방귀
  • 만성 설사
  • 영양 결핍 증상: 비타민 (특히 지용성 비타민 A, D, E, K) 부족으로 인한 야맹증, 골다공증, 출혈 경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4

PEI를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

  • 만성 췌장염: PEI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췌장의 반복적인 염증과 손상으로 인해 췌장 조직이 섬유화되고 기능이 점차 소실됩니다.9, 12, 25 만성 췌장염 환자의 약 40-50%에서 외분비 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23
  • 낭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유전 질환으로, 끈적한 분비물로 인해 췌관이 막혀 소화효소 분비가 어려워집니다. 서양에서는 흔하지만, 한국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입니다.13, 1, 26
  • 췌장암: 종양이 췌관을 막거나 췌장 실질을 파괴하여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췌장 수술 후: 췌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한 경우.
  • 기타: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소장 질환 (예: 크론병, 셀리악병) 등도 드물게 PEI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22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역할 (전통적/내시경적 췌장액 채취법):

췌장의 중탄산염 분비 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PEI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3, 1, 2 검사를 통해 췌장액의 분비량, 중탄산염 농도, 총 배출량 등을 분석하여 췌장의 예비 능력을 평가합니다.

한국에서의 현실과 대안:

대한췌담도학회의 2015년 만성 췌장염 진료지침에 따르면, 십이지장액을 채취하는 직접적인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침습적이고 시행이 번거로워 연구 목적 외에는 국내 임상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8, 9, 18

주요 대안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분변 엘라스타제-1 (Fecal Elastase-1) 검사: 비침습적이고 간편하여 현재 PEI 진단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 중 하나입니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엘라스타제-1 효소의 분변 내 농도를 측정합니다.22
  • 72시간 분변 지방 정량 검사: 3일간 표준 지방식을 섭취한 후 대변으로 배출되는 지방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로, 지방 흡수 장애를 평가하는 표준 검사이지만 번거로워 실제 임상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12
  • 혈액 검사: 지용성 비타민 수치, 알부민, 콜레스테롤 등 영양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24
  • 영상 검사 (CT, MRI, 초음파내시경): 췌장의 구조적 이상(석회화, 췌관 확장, 위축 등)을 확인하여 만성 췌장염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27, 28, 12

3.2. 희귀하지만 중요한 질환: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

가스트린종과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ES)이란?

가스트린종은 가스트린이라는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종양으로, 주로 췌장이나 십이지장에서 발생합니다.14, 10, 29 이렇게 과도하게 분비된 가스트린은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자극하여, 심각하고 재발이 잦은 소화성 궤양, 만성 설사,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을 특징으로 하는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ES)을 유발합니다.15, 16 가스트린종은 드문 질환이지만, 약 절반 정도는 악성일 수 있으며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14

ZES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증상:

  • 소화성 궤양: 일반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십이지장 구부를 벗어난 비전형적인 위치(예: 공장)에 발생하거나,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14, 16
  • 만성 설사: 과도한 위산으로 인해 소장의 흡수 기능이 저해되거나, 췌장 효소가 불활성화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지방변을 동반합니다.15
  • 복통: 주로 상복부에 나타나며, 궤양으로 인한 통증입니다.
  • 위식도 역류 증상: 속쓰림, 신물 역류 등.
  • 드물게 위장관 출혈,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4
  • 약 20-25%의 환자는 다발성 내분비선종 1형(MEN1)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뇌하수체 종양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10, 16

ZES 진단 과정과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역할:

  1. 공복 혈청 가스트린(Fasting Serum Gastrin, FSG) 농도 측정: 가장 기본적인 선별 검사입니다.19 일반적으로 FSG 수치가 100 pg/mL 미만이면 정상입니다. FSG 수치가 1000 pg/mL 이상으로 매우 높고, 동시에 위산 pH가 2 이하로 낮은 경우 (즉, 위산 과다 상태 확인) ZES를 강력히 시사합니다.19, 10
  2. 위산도 측정 (Gastric pH measurement): 혈중 가스트린 수치가 높은 것이 실제로 위산 과다와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위축성 위염 등으로 위산 분비가 적은 상태(무위산증 또는 저위산증)에서도 가스트린 수치가 이차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19
  3. 세크레틴 자극 검사 (혈중 가스트린 측정):
    • 목표: FSG 수치가 애매하게 상승했거나(예: 100-1000 pg/mL 사이) 다른 원인과의 감별이 필요할 때 시행합니다.19
    • 원리: 정상적인 G세포(위에서 가스트린 분비)는 세크레틴에 의해 가스트린 분비가 억제되거나 변화가 미미합니다. 그러나 가스트린종 세포는 세크레틴에 의해 역설적으로 가스트린 분비가 크게 증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1, 20
    • 진단 기준: 세크레틴 정맥 주사 후 2, 5, 10, 15분 등 일정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가스트린 수치를 측정합니다. 기저치(주사 전 수치)에 비해 가스트린 수치가 120 pg/mL 이상 증가하거나 (일부에서는 200 pg/mL 이상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 특정 비율 이상 증가하면 양성으로 판단합니다.19, 10
    • 민감도 및 특이도: 이 검사는 ZES 진단에 있어 비교적 높은 민감도(약 94%)와 특이도(약 100%)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9
    • 주의사항: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와 같은 위산 억제제는 검사 전에 충분한 기간 동안 중단해야 하며4, 6, 무위산증(achlorhydria) 환자에서는 위양성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해야 합니다.20, 19

한국에서의 활용:

가스트린종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공복 혈청 가스트린 및 위산도 측정 후 진단이 불확실할 경우 세크레틴 자극 검사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종양의 위치를 찾는 데 선택적 동맥내 세크레틴 주사법(SASI, Selective Arterial Secretin Injection)이 사용되기도 했으나29, 현재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RS)나 Ga-68 DOTATATE PET/CT와 같은 기능적 영상 검사가 종양 국소화에 더 널리 활용됩니다.29, 19

4. 세크레틴 자극 검사, 어떻게 진행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목적(췌장 기능 평가 또는 가스트린종 진단)에 따라 세부 과정이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인 준비사항과 기본적인 절차가 있습니다.

4.1. 검사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준비사항

  • 금식: 검사의 정확도를 위해 보통 검사 전 최소 8시간, 길게는 12~15시간 동안 물을 제외한 음식물 섭취를 금해야 합니다.5, 6, 7 병원의 구체적인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중단: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약물은 의사와 상의하여 일정 기간 중단해야 합니다.
    •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s):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에스오메프라졸 등. 일반적으로 검사 1주일 전부터 중단이 권고됩니다.6, 7, 19
    • H2 수용체 차단제: 시메티딘, 라니티딘, 파모티딘 등. 최소 2일 전 중단이 권고될 수 있습니다.5
    • 제산제 및 기타 위장약: 의사와 상의하여 중단 여부와 시기를 결정합니다.
  • 기타 약물: 복용 중인 모든 약물(처방약,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포함)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특히 비오틴(비타민 B7) 함유 보충제는 가스트린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6
  • 알레르기 및 병력 고지:
    • 과거 세크레틴이나 다른 약물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5
    • 염증성 장질환, 위 절제술 과거력, 간 질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검사 결과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5
  • 기타: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5

4.2. 검사 과정: 췌장 기능 평가 (십이지장액 채취법 중심)

이 방법은 췌장의 소화액 분비 능력을 직접 평가하지만, 침습적이고 불편함 때문에 국내에서는 연구 목적 외에는 거의 시행되지 않습니다.8

  1. 튜브 삽입: 코 또는 입을 통해 가늘고 유연한 튜브(비위관 또는 내시경을 통한 특수 튜브)를 삽입하여 십이지장(샘창자)의 특정 부위까지 위치시킵니다.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불편감을 줄일 수 있지만, 삽입 시 구역감이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2
  2. 기저 췌장액 채취: 세크레틴 투여 전, 기본적인 십이지장액을 채취합니다.
  3. 세크레틴 투여: 정맥 주사 라인을 통해 합성 세크레틴을 천천히 주입합니다.5, 2
  4. 췌장액 채취: 세크레틴 투여 후 일정 시간 간격(예: 15분, 30분, 60분, 때로는 더 긴 시간 동안)으로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췌장액을 튜브를 통해 수집합니다.2
  5. 검체 분석: 수집된 췌장액의 양, 중탄산염 농도, 효소 활성도 등을 분석합니다.

소요 시간: 일반적으로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18, 2

내시경적 췌관 직접액 채취법: 이 방법은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과 유사한 방식으로, 내시경을 이용하여 췌관에 직접 카테터를 삽입한 후 세크레틴을 주입하고 순수 췌액을 채취합니다.9 이는 위액이나 담즙의 혼입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더 침습적이고 고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합니다.

4.3. 검사 과정: 가스트린종 진단 (혈액 검사 중심)

  1. 정맥 주사 라인 확보: 혈액 채취 및 세크레틴 주입을 위해 팔의 정맥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고 라인을 확보합니다.
  2. 기저 혈액 채취: 세크레틴을 투여하기 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기저 혈중 가스트린 수치를 측정합니다.4
  3. 세크레틴 투여: 정맥 주사 라인을 통해 합성 세크레틴을 투여합니다 (보통 2U/kg).1
  4. 시간대별 혈액 채취: 세크레틴 투여 후 정해진 시간 간격(예: 투여 후 2분, 5분, 10분, 15분, 30분 등)에 따라 여러 번 혈액을 채취하여 각 시점의 가스트린 수치를 측정합니다.19
  5. 검체 분석: 채취된 혈액 샘플에서 가스트린 농도를 분석하여 변화 양상을 확인합니다.

소요 시간: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4.4. 검사 후 주의사항

  • 일반적 사항: 대부분의 경우 검사 후 특별한 처치 없이 일상생활로 바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 튜브 삽입 시: 튜브 제거 후 목이나 코에 약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곧 사라집니다.
  • 진정제 사용 시 (내시경적 검사): 검사 당일에는 운전이나 중요한 결정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결과 확인: 검사 결과가 나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과 결과 확인 방법에 대해 의료진의 안내를 받습니다. (가스트린 혈액 검사는 보통 1~3일 소요될 수 있음6).
  • 이상 증상 시: 검사 후 예상치 못한 통증, 발열,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에 연락해야 합니다.

5. 세크레틴 자극 검사 결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세크레틴 자극 검사 결과는 검사의 목적과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반드시 전문의의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5.1.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 결과

이 검사는 췌장이 세크레틴 자극에 반응하여 얼마나 많은 양의 췌장액과 중탄산염을 분비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정상 반응: 세크레틴 투여 후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췌장액의 양이 증가하고, 특히 중탄산염의 농도와 총 배출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충분히 나타납니다.3, 1 (정확한 정상 범위는 검사실 및 프로토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최신 문헌 및 국내 기준을 참고해야 합니다.)

비정상 반응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 시사):

  • 췌장액 분비량 감소
  • 중탄산염 농도 저하
  • 총 중탄산염 배출량 감소

임상적 의미: 이러한 비정상 소견은 만성 췌장염, 낭성 섬유증, 췌관 폐쇄 등 췌장 실질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11

한국에서의 해석 시 주의점: 앞서 언급했듯이, 십이지장액을 직접 채취하는 방식의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아8, 결과 해석에 대한 국내 표준화된 데이터나 광범위한 임상 경험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임상 정보, 영상 검사 결과, 분변 검사 결과 등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5.2.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 결과

이 검사는 세크레틴 투여 후 혈중 가스트린 수치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정상 반응 (가스트린종이 아닌 경우): 세크레틴 투여 후 혈중 가스트린 수치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약간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1

양성 반응 (가스트린종 강력 시사): 세크레틴 투여 후 혈중 가스트린 수치가 기저치(투여 전 수치)에 비해 120 pg/mL 이상 (또는 일부 기준에서는 200 pg/mL 이상) 현저하게 증가하는 “역설적 반응”을 보입니다.19, 10 예를 들어, 기저 가스트린 수치가 300 pg/mL였던 환자가 세크레틴 투여 후 500 pg/mL 이상으로 상승했다면 양성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 의미: 이러한 양성 반응은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에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위양성 가능성 및 주의사항:

  • 무위산증/저위산증 (Achlorhydria/Hypochlorhydria): 위산 분비가 매우 적은 상태에서는 세크레틴 자극 검사에서 가스트린 수치가 위양성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20, 19 따라서 검사 전 위산도 측정이 중요합니다.
  •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복용: PPI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도 검사 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으므로, 검사 전 충분한 기간 동안 약물을 중단해야 합니다.20
  • 만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도 가스트린 수치가 상승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합니다.19

5.3. 검사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로 진단된 경우:

  • 원인 질환 치료: 만성 췌장염, 낭성 섬유증 등 기저 질환에 대한 치료를 시작하거나 조절합니다.
  • 췌장 효소 보충 요법 (PERT): 부족한 소화 효소를 약물로 보충하여 소화 흡수를 돕고 영양 상태를 개선합니다.23, 29, 30, 31
  • 영양 관리 및 생활 습관 개선: 저지방 식이, 금주, 금연 등이 권고될 수 있습니다.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으로 진단된 경우:

  • 종양 위치 확인: CT, MRI, 초음파내시경(EUS),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RS) 또는 Ga-68 DOTATATE PET/CT 등 정밀 영상 검사를 통해 가스트린종의 위치, 크기, 전이 여부를 파악합니다.14, 10, 29
  • 치료 계획 수립:
    • 수술적 제거: 종양이 국소적이고 절제 가능한 경우 가장 우선적인 치료법입니다.14
    • 약물 치료:
      •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s): 고용량의 PPI를 사용하여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궤양 및 관련 증상을 조절합니다.15, 16
      •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Somatostatin analogues): 옥트레오타이드, 란레오타이드 등은 가스트린 분비를 억제하고 종양 성장을 늦추는 효과가 있어 전이성 또는 수술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습니다.32
    • 화학요법: 전이성 악성 가스트린종의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14
  • 다발성 내분비선종 1형(MEN1) 동반 여부 확인: ZES 환자의 약 20-25%는 MEN1과 관련되므로, 부갑상선 및 뇌하수체 기능 검사 등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0, 16

6.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장점, 단점, 그리고 고려해야 할 점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특정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진단 도구이지만, 모든 경우에 첫 번째 선택은 아니며, 장단점과 한계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1.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장점

  •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의 “표준 검사” (이론적): 십이지장액을 직접 채취하여 분석하는 전통적인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췌장의 중탄산염 분비 능력을 가장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과거에는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의 표준 검사(gold standard) 중 하나로 간주되었습니다.9, 17 (단, 현재 국내 임상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가스트린종 진단의 높은 정확도: 혈액을 이용한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가스트린종 진단에 있어 높은 민감도(약 94%)와 특이도(약 100%)를 보여, 특히 공복 혈청 가스트린 수치가 애매한 경우 확진에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19
  • 세크레틴 강화 영상 검사 (S-MRCP 등): 비침습적으로 췌관의 구조적 이상과 췌액의 흐름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21

6.2.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단점 및 한계점

  • 침습성 및 환자 불편감: 십이지장 튜브 삽입이 필요한 검사(전통적 췌장 기능 검사, 내시경적 췌액 채취법)는 환자에게 상당한 불편감과 고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9, 18, 2
  • 시간 및 비용 소요: 검사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1~2시간 이상), 특수 장비와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여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9, 18, 33
  • 시행 기관의 제한: 모든 병원에서 이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췌장액을 직접 채취하는 검사는 전문적인 시설과 인력을 갖춘 일부 대형 병원이나 연구 기관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9, 21, 8, 24
  • 결과 해석의 복잡성 및 위양성/위음성 가능성:
    • 가스트린종 진단 시, 무위산증 환자나 PPI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는 위양성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20, 19
    • 췌장 기능 검사의 경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합병증 위험 (드묾): 정맥 주사와 관련된 일반적인 합병증(통증, 출혈, 감염 등) 외에,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 내시경 시술 자체의 위험성(출혈, 천공, 췌장염 악화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세크레틴 자체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드물게 보고됩니다.5

6.3. 한국에서의 고려사항 및 현실

  •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
    • 대한췌담도학회의 2015년 만성 췌장염 진료지침에 따르면, “십이지장 내 세크레틴 검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위액이나 담즙 등이 혼합된다는 문제점 등으로 연구 목적 외에는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9 또한, “국내에서 직접검사 및 secretin-MRCP 검사는 현재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고 간접검사 및 혈청, 대변검사의 경우 정상값 등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현재 상태에서 국내 기준에 포함시키는 것은 임상적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평가되었습니다.8
    • 따라서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가 의심될 경우, 국내에서는 분변 엘라스타제-1 검사, 72시간 분변 지방 정량 검사(제한적 사용), 혈액 검사, 영상 검사(CT, MRI, EUS)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더 보편적으로 활용됩니다.9, 12, 22
  •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
    • 1차적으로 공복 혈청 가스트린 농도 측정과 위산도 측정이 중요합니다.19, 16
    • 이러한 검사 결과가 애매하거나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혈액을 이용한 세크레틴 자극 검사가 보조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여전히 중요한 진단 도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19, 10
    • 선택적 동맥내 세크레틴 주사법(SASI)은 과거에 종양의 위치를 찾는 데 사용된 기록이 있으나29, 현재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RS)나 Ga-68 DOTATATE PET/CT와 같은 더욱 발전된 기능적 영상 검사들이 종양 국소화에 더 우선적으로 활용되는 추세입니다.19
  • 세크레틴 강화 MRCP(S-MRCP)는 췌관의 미세한 변화 관찰에 유용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널리 시행되지 않고 있습니다.21

7. 세크레틴 자극 검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아픈가요?

A: 검사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혈액을 이용한 가스트린종 진단 검사: 일반적인 정맥 혈액 채취와 주사 시 약간의 따끔함 외에는 특별한 통증은 없습니다.
  • 췌장 기능 평가를 위한 십이지장액 채취 검사: 코나 입을 통해 십이지장까지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불편감이나 구역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2, 5 내시경을 이용하는 경우 진정(수면) 내시경으로 진행될 수 있어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Q2: 세크레틴 자극 검사 비용은 얼마나 들고, 건강보험 적용이 되나요?

A: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비용은 검사 종류, 시행하는 의료기관, 사용되는 약품 및 재료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십이지장액을 채취하는 직접 검사나 내시경을 이용하는 검사는 혈액 검사보다 비용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33 건강보험 적용 여부는 검사의 구체적인 종류, 환자의 진단명, 정부의 급여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특정 희귀질환 진단을 위한 필수 검사로 인정되는 경우 급여 적용을 받을 수도 있지만, 연구 목적이거나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시행되지 않는 검사는 비급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비용과 보험 적용 여부는 검사를 받으려는 병원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참고: 분변 엘라스타제-1 검사와 같은 일부 대체 검사는 특정 조건 하에 급여 적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Q3: 세크레틴 자극 검사 대신 다른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A: 네, 그렇습니다. 의심되는 질환이나 평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대체 검사가 있습니다.

  •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
    • 분변 엘라스타제-1 검사: 비침습적이고 간편하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됩니다.9, 22
    • 72시간 분변 지방 정량 검사: 지방 흡수 장애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지만, 검사 과정이 번거롭습니다.12
    • 호기 검사 (Breath tests): 특정 기질을 섭취 후 호흡 중 특정 가스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흡수 장애를 평가합니다.
    • 영상 검사 (CT, MRI, 초음파내시경): 췌장의 구조적 변화(만성 췌장염의 소견 등)를 확인합니다.27, 28
  • 가스트린종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
    • 공복 혈청 가스트린 농도 및 위산도 측정: 가장 기본적인 초기 검사입니다.19
    • 상부위장관 내시경 및 조직검사: 궤양의 위치와 심각도를 확인하고, 드물게 십이지장에서 가스트린종을 직접 발견하거나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4
    • 영상 검사: CT, MRI, 초음파내시경(EUS),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신티그래피(SRS, Octreoscan), Ga-68 DOTATATE PET/CT 등은 종양의 위치를 찾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14, 10
Q4: 세크레틴 수치가 낮거나 높으면 어떤 건강 문제가 있다는 건가요?

A: “세크레틴 수치” 자체를 직접 측정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외부에서 세크레틴을 투여한 후, 우리 몸의 다른 지표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는 검사입니다. 따라서 질문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이해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 췌장 외분비 기능 검사 시: 이 검사에서는 세크레틴 투여 후 췌장에서 분비되는 췌장액의 양이나 중탄산염 농도를 측정합니다. 만약 이 수치가 정상보다 낮게 나오면, 췌장이 소화액을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하는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3, 1 이는 만성 췌장염, 낭성 섬유증 등의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가스트린종 진단 검사 시: 이 검사에서는 세크레틴 투여 전후의 혈중 가스트린 호르몬 수치 변화를 봅니다. 정상적인 경우 세크레틴은 가스트린 분비를 억제하거나 큰 변화를 주지 않지만, 가스트린종이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가스트린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상승합니다 (역설적 반응).1, 19 이 반응은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Q5: 세크레틴 자극 검사 결과는 얼마나 빨리 알 수 있나요?

A: 검사 종류와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의 시스템에 따라 다릅니다.

  • 혈액을 이용한 가스트린 측정 검사: 혈액 검체 분석에는 보통 1일에서 3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6
  • 십이지장액 채취 검사: 채취한 췌장액을 분석하는 데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하며,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1주일 정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결과 확인 시점은 검사를 받는 의료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Q6: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부작용이나 위험은 없나요?

A: 심각한 부작용은 매우 드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주사 관련 반응: 주사 부위의 통증, 멍, 약간의 출혈.
  • 세크레틴 주입 관련: 메스꺼움, 구토, 얼굴이나 상체의 화끈거림, 복부 불편감 등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5
  • 튜브 삽입 관련 (췌장 기능 검사 시): 코나 목의 불편감, 구역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2
  • 알레르기 반응: 매우 드물지만, 세크레틴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 호흡곤란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검사 전 알레르기 병력을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5
  • 내시경 관련 합병증 (내시경적 췌액 채취 시): 일반적인 내시경 시술과 관련된 출혈, 감염, 천공, 췌장염 악화 등의 위험이 드물게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미하고 일시적이지만,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세크레틴 자극 검사 전, 복용 중인 모든 약물(특히 위산 분비 억제제, 제산제, 비오틴 함유 보충제)에 대해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고 지시에 따라 필요한 경우 중단하십시오.5, 6, 7, 19
  • 과거 약물이나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다면 검사 전 의료진에게 상세히 알려야 합니다.5
  • 십이지장액을 채취하는 검사는 침습적일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불편감을 유발하거나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9, 18, 2
  • 검사 후 발열, 심한 복통, 출혈, 지속적인 구토 등 예상치 못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에 연락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 검사 결과는 단독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반드시 담당 의사의 종합적인 임상적 판단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결론

세크레틴 자극 검사는 췌장의 소화액 분비 능력을 평가하고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희귀 질환인 가스트린종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전문적인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가 의심될 때나, 일반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소화성 궤양 및 만성 설사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고려될 수 있습니다. 검사 전에는 정확한 결과를 위해 금식 및 특정 약물 중단 등의 준비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검사 과정과 결과 해석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지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국내 임상 환경에서는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를 위한 직접적인 세크레틴 자극 검사의 활용이 제한적이므로, 분변 검사나 영상 검사 등 다른 대체 검사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가스트린종 진단에 있어서는 여전히 중요한 진단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KRHOW.COM에서 제공하는 이 정보는 여러분의 건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만약 건강상의 문제가 있거나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StatPearls Publishing. Physiology, Secretin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2023년 5월 1일 최종 업데이트;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sites/books/NBK537116/ (PMID: 30725990)
  2. Cleveland Clinic. Pancreas Blood Tests: Types, Prep, Procedure & Results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agnostics/12029-pancreas-function-tests
  3. 서울아산병원. 세크레틴검사(secretin test) | 알기쉬운의학용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2055
  4. Mayo Clinic. Zollinger-Ellison syndrome – Diagnosis and treatment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zollinger-ellison-syndrome/diagnosis-treatment/drc-20379046
  5. Mayo Clinic. Secretin (intravenous route) – Description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secretin-intravenous-route/description/drg-20406470
  6. Mayo Clinic Laboratories. GAST – Overview: Gastrin, Serum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labs.com/test-catalog/overview/8512
  7. Cleveland Clinic. Hypergastrinemia: Causes, Definition, Symptoms & Treatment [인터넷]. [2022년 7월 18일 최종 업데이트;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23225-hypergastrinemia
  8. 대한췌장담도학회. 만성 췌장염 진단 가이드라인 [인터넷]. 대한췌장담도학회지; 2015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pbt.org/upload/pdf/kpba-13-1-38.pdf
  9. 대한췌장담도학회. 만성췌장염의 합병증 관리 가이드라인 (Compliaction of chronic pancreatitis) [인터넷]. 대한췌장담도학회; 2017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ce.org/upload/pdf/29402219.pdf
  10. Jensen RT, Cadiot G, Brandi ML, de Herder WW, Kaltsas G, Komminoth P, et al. ENETS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igestive Neuroendocrine Neoplasms: Functional Pancreatic Endocrine Tumor Syndromes. Neuroendocrinology. 2012;95(2):98-119. (참고: 이 가이드라인은 ENETS 웹사이트 또는 Oslo Universitetssykehus 등을 통해 최신 버전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ENETS Consensus Guidelines Update)
  1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췌장염 (Pancreatitis) [인터넷]. [2025년 3월 24일 최종 수정;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48
  12. 이돈행, 김형일, 이동욱, 이성구. 만성 췌장염의 원인과 진단. 대한췌장담도학회지. 2017;22(2):57-6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pbt.org/upload/pdf/kpba-22-2-57.pdf
  13. 킴스온라인. 낭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 질환포커스 | 학술센터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imsonline.co.kr/ResCenter/diseasefocus/view/717
  14. MSD 매뉴얼 일반인용. 가스트린종 – 호르몬 및 대사 장애 [인터넷]. [2023년 8월 최종 수정;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ED%98%B8%EB%A5%B4%EB%AA%AC-%EB%B0%8F-%EB%8C%80%EC%82%AC-%EC%9E%A5%EC%95%A0/%EC%9C%84%EC%9E%A5%EA%B4%80-%EB%B0%8F-%EC%B7%8C%EC%9E%A5-%EC%8B%A0%EA%B2%BD%EB%82%B4%EB%B6%84%EB%B9%84-%EC%A2%85%EC%96%91/%EA%B0%80%EC%8A%A4%ED%8A%B8%EB%A6%B0%EC%A2%85
  15. 위키백과. 졸린거 엘리슨 증후군 [인터넷]. [2023년 3월 9일 최종 수정;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wikipedia.org/wiki/%EC%A1%B8%EB%A6%B0%EA%B1%B0_%EC%97%98%EB%A6%AC%EC%8A%A8_%EC%A6%9D%ED%9B%84%EA%B5%B0
  16. 네이버 블로그 (brssu6106). Zollinger Ellison Syndrome 졸린거 엘리슨 증후군 [인터넷]. 2017년 10월 23일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rssu6106/221122468493?viewType=pc
  17. Arvanitakis C, Cooke AR. Pancreatic exocrine function testing. Direct stimulation with secretin and cholecystokinin-pancreozymin or a test meal. Postgrad Med. 1978 Apr;63(4):111-6. (참고: 원문은 Pancreatic Exocrine Function Testing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73255/ 에서 접근 가능성 확인 필요, 또는 유사 내용의 리뷰를 참조해야 할 수 있습니다.)
  18. 네이버 블로그 (daytoday_life). 췌장 외분비 기능 검사: Secretin(세크레틴), cholecystokinin(CCK… [인터넷]. 2019년 3월 24일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daytoday_life?Redirect=Log&logNo=221499108650
  19. Bernardi M, Darnell A, Freedman SD, Goldman J, Frucht H, Gibril F, et al. Diagnosis of Zollinger–Ellison syndrome in the era of PPIs, faulty gastrin assays, sensitive imaging and limited access to acid secretory testing. Aliment Pharmacol Ther. 2017 Dec;46(11-12):1029-1041. doi:10.1111/apt.1434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57869/
  20. Phan J, Benhammou JN, Pisegna JR. Hypo- and achlorhydria are associated with false-positive secretin stimulation testing for Zollinger-Ellison syndrome. Pancreas. 2013 Aug;42(6):931-5. doi:10.1097/MPA.0b013e318284383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712291/
  21. 네이버 블로그 (i-doctor). 무증상 췌장 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증가 [인터넷]. 2023년 3월 10일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doctor/223040573692
  22. Singh VK, Haupt ME, Geller DE, Hall JA, Quintana Diez PM. Less common etiologies of exocrine pancreatic insufficiency. World J Gastroenterol. 2017 Oct 21;23(39):7059-7076. doi: 10.3748/wjg.v23.i39.705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93156/ (PMID: 29093615)
  23. Othman MO, Harb D, Barkin JA.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Pancreatitis [인터넷]. ResearchGate; 2014 [2014년 12월 발표;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0126674_Medical_Treatment_of_Chronic_Pancreatitis
  24.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IDDK). Diagnosis for Exocrine Pancreatic Insufficiency [인터넷]. [2021년 5월 최종 업데이트;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digestive-diseases/exocrine-pancreatic-insufficiency/diagnosis
  25. Ghaneh P, W Wadsworth C, Löhr JM, Hartwig W, Werner J, Feig C, et al. Chronic and Idiopathic Pancreatitis—A Personalized Treatment Approach. Cells. 2024 Apr 25;13(9):740. doi:10.3390/cells1309074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66313/
  26. 김기환, 이재성, 김종덕, 김창수, 김경희, 박준성, 등. 한국인 낭성 섬유증 진단을 위한 표준화된 땀 유발 염소 농도 분석.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2008;28:274-8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39kjlm/kjlm-28-274.pdf
  27. 경북대학교병원. 질환정보 > 췌장/담도암 > 췌장암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nuh.kr/content/04information/06_02.asp?sh_d_num=230
  28. 네이버 블로그 (chawomen). 췌장암 검사, 췌장암을 진단하는 5가지 방법 _ 분당 차병원 소화기내과 고광현 교수 [인터넷]. 2020년 2월 5일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chawomen/221796182740
  29. 정훈용, 명승재, 양덕호, 변경민, 이풍렬, 이동호, 등. 졸링거-엘리슨 증후군과 동반된 다발성 내분비종 I형 1예. 대한소화기학회지. 2002;39(1):50-5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jg.or.kr/journal/download_pdf.php?spage=50&volume=39&number=1
  30. 이태희. 만성 췌장염 치료의 최신 지견. 대한소화기학회지. 2015;66(3):144-14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pdf/10.4166/kjg.2015.66.3.144
  31. 송시영. 만성 췌장염에서 통증, 외분비 및 내분비 기능장애의 치료. 대한췌장담도학회지. 2020;25(1):5-17. 다음에서 제공함: http://kjpbt.org/upload/pdf/kpba-25-1-5.pdf
  32. 홍성표. 위 신경내분비종양의 진단과 치료. 대한소화기암학회지. 2022;10(1):1-1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dcr.org/journal/download_pdf.php?doi=10.52927/jdcr.2022.10.1.1
  33. WiseGuy Reports. 졸링거 엘리슨 증후군 테스트 시장: 동향 및 성장 분석 2032 [인터넷]. [인용일: 2025-05-1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iseguyreports.com/ko/reports/zollinger-ellison-syndrome-testing-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