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소아 혈소판 감소증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ITP): 출혈 관리와 최신 치료, 부모님을 위한 완벽 가이드 (2025년 업데이트)

사랑하는 자녀의 몸에 이유 없이 멍이 들거나 코피가 잦아 걱정이 많으실 부모님들이 계실 겁니다. [cite: 488] 이러한 증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그중 하나로 ‘소아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cite: 489] ITP는 어린이에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1, 다행히 많은 경우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으며, 약 70-80%의 어린이는 발병 후 6개월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되기도 합니다.2 이 가이드에서는 소아 ITP의 정의와 원인부터 최신 진단 및 치료 방법, 일상생활 관리 수칙, 그리고 부모님과 아이를 위한 정서적 지원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cite: 490] 본 내용은 최신 연구와 국내외 임상 지침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의료 환경을 고려하여 부모님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으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cite: 491] 이 글을 통해 자녀의 건강 문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문가와 함께 올바른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지혜와 용기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cite: 492]

핵심 요약

  • 소아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은 면역체계가 자신의 혈소판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피부의 멍, 점상 출혈, 코피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cite: 498]
  • ITP는 주로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하며, 대부분의 소아 환자(70-80%)는 6개월 내 자연 회복되거나 간단한 치료로 호전됩니다. [cite: 490, 501]
  •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비슷한 증상의 다른 질환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ite: 517, 518]
  • 치료는 혈소판 수치, 출혈 정도, 아이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경과 관찰, 스테로이드, 면역글로불린, TPO-RA 등이 사용됩니다. [cite: 528, 529, 541]
  • 일상생활에서는 출혈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 혈소판 기능 저해 약물(아스피린 등) 회피, 균형 잡힌 식단이 중요합니다. [cite: 571, 589, 593]
  • ITP는 아이와 가족에게 심리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정서적 지원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ite: 660, 661, 662, 681]

1. 소아 혈소판 감소증(ITP), 정확히 어떤 병인가요? [cite: 493]

소아 혈소판 감소증, 특히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혈소판의 역할부터 알아야 합니다. [cite: 493]

1.1. 혈소판이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나요? [cite: 494]

혈소판(platelet)은 우리 혈액 속에 있는 매우 작은 세포 조각으로, 혈액 응고 및 지혈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cite: 494] 피부에 상처가 나거나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소판은 손상 부위로 모여들어 서로 엉겨 붙고 혈액 응고 인자들과 함께 작용하여 피를 멎게 하는 ‘마개’를 형성합니다. [cite: 495] 이러한 혈소판의 기능 덕분에 우리는 작은 상처에도 과도한 출혈 없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 [cite: 496] 정상적인 혈소판 수치는 혈액 1µL (마이크로리터)당 150,000개에서 450,000개 사이입니다.3 이보다 혈소판 수치가 낮아지는 경우를 혈소판 감소증이라고 합니다. [cite: 497]

1.2. 소아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의 정의 [cite: 498]

소아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자신의 혈소판을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고 파괴함으로써 혈소판 수가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1 혈소판이 파괴되면 지혈 기능이 저하되어 피부나 점막에 쉽게 멍이 들고(자반), 코피나 잇몸 출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498] 과거에는 원인을 잘 모른다는 의미에서 ‘특발성(Idiopathic)’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면역학적 기전이 밝혀지면서 ‘면역성(Immun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1

ITP는 지속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cite: 499]

  • 급성 ITP (Acute ITP): 진단 후 12개월 이내에 혈소판 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경우입니다. [cite: 499] 소아 ITP의 대부분은 급성 형태로 나타나며, 수 주에서 수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1
  • 만성 ITP (Chronic ITP): 혈소판 감소증이 12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4 소아 ITP 환자의 약 20% 정도가 만성 ITP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기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5

1.3. 왜 우리 아이에게 ITP가 생겼을까요?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 [cite: 501]

소아 ITP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자가면역반응, 즉 면역 체계의 오류입니다.1 하지만 이러한 면역 체계의 오류를 유발하는 구체적인 계기는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cite: 501]

  • 바이러스 감염: 감기, 독감, 수두, 홍역, 풍진, 볼거리 등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이후에 ITP가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1 바이러스 감염 후 1~3주 사이에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6
  • 예방접종: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과 같은 일부 생백신 접종 후 드물게 ITP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백신 접종의 이익이 위험보다 훨씬 큽니다.1
  • 특정 약물 사용: 일부 항생제, 항경련제 등이 드물게 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혈소판 감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3
  • 기타 면역 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SLE)와 같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에게 ITP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7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일부 연구에서는 위궤양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ITP와 연관될 수 있으며, 제균 치료가 혈소판 수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보고되었습니다.1
  • 유전적 요인: ITP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cite: 502] 가족력이 있는 극소수의 사례에서 유전적 소인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cite: 503]

대부분의 경우 명확한 단일 원인을 찾기 어려우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cite: 503]

1.4.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ITP를 앓고 있나요? (국내외 발생 현황) [cite: 504]

ITP는 소아기에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혈액 질환 중 하나입니다. [cite: 504] 국내 연구에 따르면,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ITP 발생률은 연간 10만 명당 13.39명에서 18.1명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5 이는 서구 국가들의 소아 ITP 발생률(연간 10만 명당 2~5명)보다 다소 높은 수치일 수 있으나, 인종 및 환경적 요인, 진단 기준의 차이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8 이러한 통계는 ITP가 드문 병이 아니며, 많은 부모님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cite: 505]

2. 우리 아이, 혹시 ITP일까요? (주요 증상과 진단 과정) [cite: 506]

ITP는 특징적인 증상과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되지만,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합니다. [cite: 506]

2.1.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 보세요 (ITP의 대표적인 증상들) [cite: 507]

ITP의 가장 흔한 증상은 출혈 경향이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

피부 증상: [cite: 507]

  • 자반(Purpura): 피부에 보라색 또는 붉은색의 멍이 쉽게 생깁니다. [cite: 507] 작은 충격에도 크게 멍이 들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여러 개의 멍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508]
  • 점상 출혈(Petechiae): 바늘로 콕콕 찌른 듯한 아주 작은 붉은 반점들이 피부, 특히 다리나 팔에 나타납니다. [cite: 509] 압력을 가해도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cite: 510]
  • 반상 출혈(Ecchymosis): 점상 출혈보다 큰, 넓은 범위의 피하 출혈로 일반적인 멍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cite: 510]

점막 출혈: [cite: 511]

  • 코피(Epistaxis): 특별한 자극 없이도 코피가 자주 나거나, 한 번 나면 잘 멎지 않습니다.9
  • 잇몸 출혈: 양치질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 잇몸에서 쉽게 피가 납니다. [cite: 511]
  • 구강 내 혈포(Blood blisters): 입안 점막에 피가 찬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cite: 512]
  • 혈뇨 또는 혈변: 소변이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 [cite: 513]
  • 월경 과다: 여아의 경우 생리 양이 지나치게 많거나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cite: 514]

기타 드문 증상: [cite: 515]

  • 심각한 내부 출혈: 매우 드물지만(1% 미만), 위장관 출혈이나 뇌출혈과 같은 심각한 내부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즉각적인 의학적 처치가 필요합니다.1 뇌출혈 시에는 심한 두통, 구토, 의식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ite: 515]

대부분의 ITP 환아는 출혈 증상 외에는 전반적으로 건강해 보이며, 발열이나 다른 전신 증상은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7 평소와 달리 아이에게 위와 같은 출혈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cite: 516]

2.2. 병원에서는 어떤 검사를 하나요? (진단 과정) [cite: 517]

ITP 진단은 주로 환아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그리고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cite: 517] 다른 혈소판 감소 원인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의사는 최근 감염 여부, 복용 중인 약물, 예방접종력, 과거 출혈 병력, 가족력 등을 자세히 묻고, 피부와 점막의 출혈 상태, 비장이나 간이 커져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cite: 518] ITP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장이 커져 있지 않습니다.2
  • 혈액 검사:
    •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혈소판 수치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cite: 519] ITP의 경우 혈소판 수가 100,000/µL 미만으로 감소되어 있으며, 종종 20,000/µL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나기도 합니다.7 백혈구와 적혈구 수치는 대개 정상이지만, 출혈이 심한 경우 빈혈(헤모글로빈 수치 감소)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10
    • 말초혈액도말검사(Peripheral Blood Smear): 혈액 샘플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혈소판의 모양과 크기, 다른 혈액 세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cite: 520] ITP에서는 혈소판 수가 감소되어 있지만, 남아있는 혈소판의 크기가 정상보다 크거나 다양한 모양을 보일 수 있습니다.11 이 검사는 가성 혈소판 감소증(pseudothrombocytopenia, 검사 과정에서 혈소판이 응집되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을 감별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cite: 521]
  • 골수 검사(Bone Marrow Examination): ITP 진단에 항상 필요한 검사는 아닙니다.1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다른 질환(예: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 골수 자체의 문제)을 감별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1:
    • 혈소판 감소 외에 다른 혈액 세포(백혈구, 적혈구)의 이상이 동반된 경우 [cite: 522]
    • 신체 검진에서 비장이나 간 비대, 림프절 종대 등 다른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cite: 522]
    • ITP의 전형적인 양상과 다르거나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cite: 522]
    • 스테로이드 치료를 장기간 고려해야 하는 경우 [cite: 522]

    ITP 환아의 골수에서는 혈소판을 만드는 거핵구(megakaryocyte)의 수가 정상이거나 증가되어 있는 소견을 보입니다.11 이는 골수에서 혈소판은 잘 만들어지고 있지만, 말초 혈액에서 파괴되어 수치가 감소함을 시사합니다. [cite: 522] 최근 미국혈액학회(ASH)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3~6개월 이상 혈소판 수치가 자연적으로 증가하지 않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골수 검사를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5

  • 기타 검사: 필요에 따라 자가면역질환 관련 항체 검사(예: 항핵항체 검사), 바이러스 감염 검사(C형 간염, HIV 등),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5

2.3. ITP와 혼동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은? (감별 진단) [cite: 524]

혈소판 감소와 출혈 증상은 ITP 외에도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cite: 524]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cite: 525]

골수 기능 부전 질환: [cite: 525]

  • 백혈병(Leukemia):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정상적인 혈액 세포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혈소판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
  •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골수의 조혈모세포 기능 저하로 혈소판뿐만 아니라 백혈구, 적혈구 모두 감소하는 범혈구감소증이 나타납니다.12
  •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혈액 세포가 만들어지는 질환으로, 주로 성인에게 발생하지만 드물게 소아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3

기타 질환:

  • 약물 유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정 약물(항생제, 항경련제, 해열진통제 등)에 대한 면역 반응 또는 골수 억제 작용으로 혈소판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3 약물 복용력을 확인하고 의심되는 약물을 중단하면 혈소판 수치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cite: 525]
  • 감염 관련 혈소판 감소증: 심각한 세균 감염(패혈증)이나 특정 바이러스 감염(예: 거대세포바이러스(CM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HIV,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등)은 혈소판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
  • 유전성 혈소판 감소증: 매우 드물지만, 선천적으로 혈소판 생성에 문제가 있거나 혈소판 기능 이상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예: 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 TAR 증후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12
  • 기타 면역 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SLE)와 같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의 한 증상으로 혈소판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7
  •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및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이들은 미세혈관병성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 신장 기능 이상, 신경학적 증상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ITP와는 임상 양상 및 치료법이 다릅니다.12 TTP는 소아에게 매우 드뭅니다.13
  • 비장 기능 항진증(Hypersplenism): 간경화 등으로 비장이 커지면 혈소판이 비장에 과도하게 격리되어 혈소판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12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종양 전문의의 종합적인 판단이 필수적입니다. [cite: 527]

3. 소아 ITP, 어떻게 치료하고 관리하나요? [cite: 528]

소아 ITP의 치료는 아이의 혈소판 수치, 출혈 증상의 정도, 나이, 활동 수준, 그리고 만성 이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cite: 528] 모든 환아에게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치료 목표는 완치보다는 안전한 수준으로 혈소판 수를 유지하여 심각한 출혈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습니다.8

3.1. 치료 목표와 기본 원칙 [cite: 530]

소아 ITP 치료의 주된 목표는 혈소판 수치를 완전히 정상화시키는 것보다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출혈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14 즉, 아이가 비교적 안전하게 활동하고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혈소판 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ite: 530] 기본적인 치료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cite: 531]

  • 정기적인 혈소판 수 모니터링: 혈소판 수치의 변화를 꾸준히 관찰합니다. [cite: 531]
  • 출혈 증상 관찰 및 신속한 대처: 새로운 멍이나 출혈 징후가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살피고, 필요시 즉각적인 의료적 조치를 취합니다. [cite: 532]
  • 유발 요인 관리: 감염이나 특정 약물 등 ITP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최대한 피하거나 관리합니다. [cite: 533]
  • 개별화된 치료 접근: 아이의 상태에 따라 치료 강도와 방법을 조절하며,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cite: 534]
  • 삶의 질 고려: 치료 과정에서 아이의 심리적 안정과 정상적인 학교생활 및 사회활동 유지를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cite: 535]

3.2. 언제 치료를 시작해야 할까요? (치료 시작 기준) [cite: 536]

ITP 진단을 받은 모든 어린이가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cite: 536] 치료 시작 여부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cite: 537]

  • 혈소판 수치:
    • 일반적으로 혈소판 수치가 20,000/µL 이상이고 출혈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피부 증상(가벼운 멍, 약간의 점상 출혈)만 있는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지켜보기(watchful waiting)’ 방법을 우선 고려합니다.10 이는 많은 소아 ITP가 자연적으로 호전되기 때문입니다. [cite: 537]
    • 혈소판 수치가 20,000/µL 미만이거나, 또는 30,000/µL 미만이면서 점막 출혈(코피, 잇몸 출혈 등 ‘wet purpura’)이 있거나 출혈 위험이 높은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치료를 고려합니다.3
  • 출혈 증상의 정도: 피부에 약간의 멍이 드는 정도(dry purpura)를 넘어 코피가 잦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는 등 점막 출혈(wet purpura)이 있는 경우, 또는 내부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혈소판 수치와 관계없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1
  • 환아의 나이 및 활동 수준: 활동량이 많은 어린이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는 부상 위험이 높아 상대적으로 높은 혈소판 수치에서도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14
  • 삶의 질(HRQoL): 출혈에 대한 불안감이나 활동 제한으로 인해 아이나 가족의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된 경우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15
  • 다가오는 수술이나 시술: 수술이나 침습적인 시술이 예정된 경우, 안전한 시술을 위해 일시적으로 혈소판 수치를 높이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cite: 539]

최신 국제 및 국내 가이드라인(예: 미국혈액학회(ASH),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KSPHO))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15

3.3. 주요 치료 방법 [cite: 541]

소아 ITP의 치료 방법은 크게 경과 관찰, 약물 치료, 그리고 드물게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cite: 541]

3.3.1. 경과 관찰 (Watchful Waiting) [cite: 542]

혈소판 수치가 심각하게 낮지 않고(20,000~30,000/µL 이상), 출혈 증상이 없거나 피부에 경미한 멍이나 점상 출혈만 있는 경우, 많은 소아 환자들은 특별한 약물 치료 없이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증상 관찰만으로 자연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10 이는 소아 급성 ITP의 약 70-80%가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저절로 좋아지기 때문입니다.2 이 기간 동안에는 부상을 피하고 출혈 징후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ite: 542]

3.3.2. 약물 치료 (Pharmacological Treatment) [cite: 543]

출혈 위험을 줄이고 혈소판 수치를 안전한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다양한 약물 치료가 사용됩니다. [cite: 543]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cite: 544]
  • 작용 기전: 면역 체계를 억제하여 혈소판에 대한 자가항체 생성을 줄이고, 비장에서 혈소판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혈소판 수치를 높입니다.11
  • 종류 및 투여: 주로 경구용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이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이 사용됩니다.1
  • 효과 및 기간: 치료 시작 후 수일 내에 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는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cite: 544]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KSPHO) 2022년 지침에서는 비생명 위협적 점막 출혈 및 삶의 질 저하가 있는 새로 진단된 소아 ITP 환자에게 프레드니솔론 2~4mg/kg/일(최대 120mg/일)을 5~7일간 단기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15 미국혈액학회(ASH) 가이드라인도 7일 이내의 단기 사용을 권장합니다.16
  • 부작용: 단기 사용 시에는 체중 증가, 식욕 증가, 수면 장애, 기분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간 고용량 사용 시에는 성장 지연, 쿠싱 증후군(얼굴이 둥글어짐, 복부 비만 등), 혈당 및 혈압 상승, 감염 위험 증가,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 깊은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2
면역글로불린 정맥 주사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cite: 545]
  • 작용 기전: 고농도의 면역글로불린을 정맥 주사하여 면역 체계의 균형을 조절하고, 혈소판을 공격하는 자가항체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면역세포(대식세포)가 혈소판을 파괴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억제합니다.11
  • 사용 시기: 심한 출혈이 있거나 응급 수술 등으로 혈소판 수치를 빠르게 올려야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11 스테로이드 효과가 없거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cite: 546]
  • 효과 및 기간: 투여 후 24~48시간 이내에 혈소판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효과를 보이지만,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수주 후 다시 혈소판 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1
  • 부작용: 두통, 발열, 오한,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무균성 뇌수막염이나 혈전색전증, 신부전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투여 중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17
항D 면역글로불린 (Anti-D Immunoglobulin)
  • 작용 기전: Rh(D) 양성 혈액형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 시, 항D 항체가 환자의 적혈구에 결합하여 비장에서 적혈구가 우선적으로 파괴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혈소판 파괴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 사용 대상: Rh(D) 양성이면서 비장을 절제하지 않은 환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14
  • 효과 및 부작용: IVIG와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으나, 용혈(적혈구 파괴)로 인한 빈혈, 황달, 드물게 심한 혈관 내 용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4 최근에는 다른 치료법의 발전으로 사용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혈소판 생성 촉진제 (Thrombopoietin Receptor Agonists, TPO-RAs)
  • 작용 기전: 골수에서 혈소판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트롬보포이에틴(TPO)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소판 생산을 증가시킵니다.5
  • 종류: 엘트롬보팍(Eltrombopag, 경구제)과 로미플로스팀(Romiplostim, 주사제) 등이 소아 만성 ITP 환자에게 사용 승인되었습니다.1
  • 사용 시기: 주로 스테로이드나 IVIG 등 1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하는 만성 ITP 환아에게 2차 치료제로 고려됩니다. ASH 및 KSPHO 가이드라인에서는 리툭시맙이나 비장절제술보다 TPO-RA를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18
  • 효과 및 안전성: 여러 임상 연구 및 메타분석(예: Zhang X 등, 2023년19)에서 소아 만성 ITP 환자에게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혈소판 수치 개선 및 출혈 감소 효과가 있으며, 장기 사용 시에도 심각한 부작용은 드문 편입니다. 다만, 간 기능 이상, 혈전 위험 증가, 골수 섬유화 등의 가능성에 대해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5
  • 투여: 엘트롬보팍은 매일 경구 복용하며, 음식물(특히 칼슘 함유 식품)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로미플로스팀은 주 1회 피하 주사합니다.5
리툭시맙 (Rituximab)
  • 작용 기전: B림프구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로, 혈소판 자가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를 제거하여 혈소판 파괴를 줄입니다.1
  • 사용 시기: 스테로이드나 TPO-RA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으로 사용이 어려운 만성 ITP 환아에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 효과 및 부작용: 일부 환자에서 장기간 혈소판 수치 유지 효과를 보이지만, 반응률은 다양합니다. 주입 관련 반응, 감염 위험 증가, 드물게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PML)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신중한 사용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장기간 면역글로불린 수치가 낮아질 수 있어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5

3.3.3. 비장 절제술 (Splenectomy)

  • 개요: 비장은 혈소판이 파괴되는 주요 장기 중 하나입니다.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는 심각한 만성 ITP 환자에게 고려될 수 있는 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1
  • 효과: 약 60-70%의 환자에서 혈소판 수치가 정상화되거나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고려 시기 및 대상: 소아의 경우 비장 기능의 중요성과 수술 후 감염 위험 증가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결정합니다.5 일반적으로 만 4-5세 이후, ITP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경과하고 다른 모든 치료법에 실패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고려됩니다.12
  • 위험 및 부작용: 수술 자체의 위험 외에도, 비장 절제 후에는 특정 세균(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수막구균 등)에 의한 심각한 감염(패혈증) 위험이 평생 증가합니다. 따라서 수술 전후 예방접종과 필요시 예방적 항생제 복용이 필수적입니다.11 최근에는 TPO-RA와 같은 효과적인 약물들이 개발되면서 소아에서 비장 절제술을 시행하는 빈도는 크게 줄었습니다.5

3.3.4. 혈소판 수혈 (Platelet Transfusion)

  • 역할: ITP에서 혈소판 수혈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수혈된 혈소판도 환자의 자가항체에 의해 빠르게 파괴되기 때문에 효과가 일시적이고 미미할 수 있습니다.11
  • 사용 시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출혈(예: 뇌출혈, 심각한 위장관 출혈)이 있거나,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지혈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다른 치료와 병행하여 시행할 수 있습니다.12 예방적 목적의 반복적인 혈소판 수혈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Neunert C. (2021)의 연구에서도 ITP 환자에서 혈소판 수혈은 출혈 위험 최소화를 목표로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20

3.4. 치료 기간과 예후

소아 ITP의 치료 기간과 예후는 매우 다양합니다.

  • 급성 ITP: 대부분의 소아 ITP(약 70-80%)는 급성으로 발생하며, 수 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자연적으로 또는 간단한 치료 후 호전되어 혈소판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됩니다.2 많은 경우 6개월 이내에 회복됩니다.1
  • 만성 ITP: 약 20%의 소아 ITP 환자는 12개월 이상 혈소판 감소증이 지속되는 만성 ITP로 진행합니다.5 만성 ITP의 경우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호전되거나, 장기적인 약물 치료(예: TPO-RA)를 통해 안정적으로 혈소판 수치를 유지하며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만성 ITP 진단 후 2년 및 5년째 완전 관해율은 각각 50%와 76%로 보고되었습니다.5
  • 예후 인자: 만성 ITP로 진행할 위험 요인으로는 발병 연령이 높거나(예: 10세 이상), 증상 발현이 점진적이거나, 진단 시 혈소판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선행 감염이나 예방접종 없이 발병한 경우 등이 거론됩니다.4

전반적으로 소아 ITP의 예후는 양호한 편이며, 심각한 출혈 합병증은 드뭅니다. 하지만 만성으로 진행될 경우 장기적인 관리와 정서적 지지가 중요합니다.

3.5. 최신 치료 지침 소개 (ASH, KSPHO 등)

소아 ITP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은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발표하고 있으며18, 국내에서는 대한혈액학회 및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KSPHO)에서 한국의 의료 현실을 반영한 진료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4 최신 지침들의 주요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단: 전형적인 증상과 혈액 검사 소견을 보이는 소아 ITP 환자에서 골수 검사는 루틴하게 권장되지 않으며, 비정형적이거나 치료 불응성인 경우에 고려합니다.5
  • 초기 치료 (Newly Diagnosed ITP):
    • 무증상 또는 경미한 출혈: 혈소판 수치가 심각하게 낮지 않고(20,000~30,000/µL 이상) 출혈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피부 증상만 있는 경우, 약물 치료 없이 경과 관찰(observation)을 우선 권장합니다.15
    • 점막 출혈 등 의미 있는 출혈: 비생명 위협적인 점막 출혈이 있거나 출혈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된 경우, 단기간(예: 5~7일)의 경구 스테로이드(주로 프레드니솔론) 치료를 IVIG나 항D 면역글로불린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15
  • 2차 치료 (만성 또는 불응성 ITP): 1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하는 경우, TPO-RA(엘트롬보팍, 로미플로스팀) 사용을 리툭시맙이나 비장 절제술보다 우선적으로 권장합니다.18 TPO-RA는 장기적인 혈소판 수치 유지 및 출혈 감소에 효과적이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비장 절제술은 다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경우에 매우 제한적으로 고려하며, 가능한 한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통 원칙: 치료 결정은 항상 환아의 개별적인 상태, 출혈 위험, 삶의 질, 그리고 환아와 가족의 선호도를 고려한 공동 의사결정(shared decision-making)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8

이러한 지침들은 지속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최신 정보에 대해서는 담당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일상생활 가이드: ITP 어린이를 위한 안전 수칙

ITP를 가진 어린이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출혈 위험을 최소화하고 응급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4.1. 가정에서의 출혈 예방 및 관리

피부 및 점막 보호:

  • 양치질 시에는 잇몸 출혈을 줄이기 위해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고, 치실 사용 시에도 주의합니다.
  • 입술이 건조해지거나 갈라지지 않도록 보습용 립밤을 자주 발라줍니다.
  • 피부가 건조하면 가려움으로 긁어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목욕 후에는 보습 로션을 충분히 발라줍니다.
  • 코 점막이 건조하면 코피가 나기 쉬우므로,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생리식염수 코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환경 조성:

  • 아이가 어릴 경우, 가구 모서리 등에 보호대를 부착하고 바닥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까는 등 낙상 및 충돌 위험을 줄입니다.
  • 장난감은 날카롭거나 뾰족한 부분이 없는 안전한 것을 선택합니다.

부상 위험 활동 피하기:

  • 몸싸움이 격렬하거나 넘어질 위험이 큰 놀이나 활동은 피하도록 지도합니다.
  • 칼이나 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보호자의 감독 하에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교육합니다.

4.2. 응급 상황 대처법 (코피, 상처 등)

코피가 날 때:

  • 아이를 안정시키고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약간 앞으로 숙이게 합니다.22 (머리를 뒤로 젖히면 피가 목으로 넘어가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엄지와 검지로 코의 부드러운 부분(콧방울)을 단단히 잡고 5~10분간 압박합니다.22
  • 입으로 숨을 쉬도록 하고, 찬 수건이나 얼음주머니를 코나 이마에 대주면 혈관 수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0~15분 이상 지혈해도 코피가 멎지 않거나 출혈량이 매우 많으면 즉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합니다.22

가벼운 상처(베이거나 긁힌 상처):

  • 깨끗한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씻어냅니다.
  • 깨끗한 거즈나 수건으로 상처 부위를 직접 압박하여 5~10분간 지혈합니다.
  • 가능하다면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면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지혈이 잘 안 되거나 상처가 깊고 크면 병원 진료를 받습니다.

기타 상황:

  • 멍이 심하게 들거나 갑자기 여러 개 생길 때: 새로운 출혈 경향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담합니다.
  • 머리 부상 시: 넘어져 머리를 부딪혔을 경우, 외상이 없더라도 내부 출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두통, 구토, 의식 저하,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 기타 심각한 출혈 의심 시: 혈뇨, 혈변, 심한 복통, 지속적인 구토 등 내부 출혈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4.3. 약물 복용 시 주의사항 (아스피린, NSAIDs 등)

혈소판 기능 저해 약물 피하기:

  • 아스피린(Aspirin)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의 약물(예: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은 혈소판의 정상적인 응집 기능을 방해하여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ITP 환아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3
  • 해열이나 진통이 필요한 경우,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물을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합니다.

모든 약물 복용 전 전문가와 상담:

  • 처방약뿐만 아니라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한약 등을 복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담당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 혈소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다른 질병으로 다른 병원에서 진료받을 때에도 아이가 ITP를 앓고 있음을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ITP 환아는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 계열의 소염진통제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혈소판 기능을 저해하여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3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후 안전한 해열진통제를 사용하십시오.
  • 머리를 부딪히는 등의 부상 시, 겉으로 보이는 상처가 없더라도 내부 출혈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아이가 심한 두통, 반복적인 구토, 의식 변화,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 코피가 10-15분 이상 멎지 않거나 출혈량이 매우 많은 경우, 또는 혈뇨, 혈변 등 심각한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4.4. 식단과 영양: 무엇을 먹여야 할까요?

ITP 자체를 치료하거나 혈소판 수치를 직접적으로 올리는 특별한 음식이나 영양제는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특정 음식을 제한하거나 과도하게 섭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과 면역력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다양한 채소와 과일 섭취: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망고, 파인애플, 브로콜리, 피망, 토마토 등)이 언급되기도 합니다.23
  • 양질의 단백질 섭취: 살코기, 생선, 계란, 콩류 등은 세포 성장과 회복에 필요합니다.
  • 통곡물 섭취: 현미, 귀리 등은 식이섬유와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 철분 함유 식품: 출혈로 인해 빈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철분이 풍부한 음식(붉은 살코기, 간, 녹색 잎채소, 홍합, 호박씨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23
  • 엽산 및 비타민 B12 함유 식품: 혈액 생성에 관여하는 엽산(땅콩, 오렌지, 녹색 잎채소 등)과 비타민 B12(조개류, 계란, 유제품 등)가 풍부한 음식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23
  •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 식품 섭취 줄이기: 첨가물이 많거나 영양가가 낮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24
  • 충분한 수분 섭취: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 유지에 중요합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알코올이나 크랜베리 주스가 혈소판 수치를 낮출 수 있다고 언급하지만23, 이는 주로 성인에게 해당하며 소아에게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특정 음식에 얽매이기보다는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식단 관련 궁금증은 담당 의사 또는 영양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4.5. 예방접종은 어떻게 하나요?

ITP를 앓고 있는 어린이도 대부분의 국가표준 예방접종을 일정에 맞춰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예방접종은 감염병으로부터 아이를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원칙:

  • ITP 진단 전후로 대부분의 사백신(불활성화 백신)은 안전하게 접종할 수 있습니다.
  •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과 같은 일부 생백신 접종 후 드물게 ITP가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1, 그 위험은 매우 낮으며, 해당 감염병에 걸렸을 때의 위험이 훨씬 큽니다.

주의사항 및 전문가 상담:

  • 아이의 현재 혈소판 수치, 치료 상태(특히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사용 여부) 등을 고려하여 담당 혈액종양 전문의와 예방접종 시기 및 종류에 대해 반드시 상의해야 합니다.
  •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중이거나 다른 면역억제제를 사용 중인 경우에는 생백신 접종을 피하거나 연기해야 할 수 있습니다. 치료 종료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면역 기능이 회복된 것을 확인하고 접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독감(인플루엔자) 백신과 같이 매년 접종이 권장되는 백신은 가급적 맞는 것이 좋습니다.
  • 접종 후에는 평소보다 더 주의 깊게 출혈 징후나 다른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예방접종은 아이의 건강 상태와 치료 계획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침을 따르십시오.

4.6. 학교 및 어린이집 생활 가이드

ITP를 가진 아이도 가능한 한 정상적인 학교 및 어린이집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님과 교사, 그리고 의료진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정보 공유:

  • 담임교사 및 보육교사, 체육교사, 보건교사에게 아이의 질환(ITP)에 대해 정확히 알립니다.
  • 질환의 특성, 주의해야 할 활동, 응급 상황 시 대처 요령 등을 설명한 서면 자료(의사 소견서 포함)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아이의 현재 혈소판 수치나 건강 상태에 변동이 있을 경우 즉시 학교/어린이집에 알립니다.

활동 참여 및 제한:

  • 혈소판 수치와 출혈 위험도에 따라 참여 가능한 활동과 피해야 할 활동에 대해 학교 측과 미리 상의합니다 (5장 운동과 활동 가이드라인 참고).
  • 체육 시간이나 야외 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합니다 (예: 보호 장비 착용, 격렬한 신체 접촉 피하기).
  • 아이가 스스로 위험한 상황을 인지하고 피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응급 상황 대비:

  • 학교/어린이집에 비상 연락망과 함께 코피나 가벼운 상처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을 명확히 안내합니다.
  • 어떤 상황에서 즉시 부모에게 연락해야 하는지, 또는 119에 신고하고 병원 응급실로 이송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공유합니다.

심리적 지원:

  • 아이가 질병으로 인해 위축되거나 친구 관계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사의 관심과 지지를 요청합니다.
  • 필요하다면 학교 상담 교사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ITP 환아는 적절한 관리 하에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며 즐겁게 지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질병으로 인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돕는 것입니다.

4.7. 의료 경고 팔찌/목걸이 착용의 중요성

ITP를 앓고 있는 어린이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의료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경고 표지(Medical Alert ID)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갑작스러운 사고나 심각한 출혈로 의식을 잃거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의료 경고 표지는 주변 사람이나 응급 의료진에게 아이가 혈소판 감소증을 앓고 있으며 출혈 위험이 높다는 중요한 정보를 즉시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하거나 위험한 처치(예: 아스피린 투여)를 피하고, 신속한 지혈 및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목걸이, 팔찌, 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아이의 이름, 질환명(예: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주요 주의사항(예: 출혈 위험, 아스피린 금지), 비상 연락처 등을 기재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의료 경고 표지를 착용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교육하고, 항상 착용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 경고 표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아이의 안전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5. ITP 어린이를 위한 운동과 활동: 무엇이 안전할까요?

ITP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아이가 모든 신체 활동을 중단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적절한 운동은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그리고 정서적 안정에 매우 중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현재 혈소판 수치와 출혈 위험도를 고려하여 안전한 활동을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입니다. 모든 결정은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5.1. 운동의 중요성과 기본적인 주의점

운동의 이점: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근골격계 발달, 심폐 기능 향상, 체중 조절, 스트레스 해소, 자신감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기본적인 주의점:

  • 혈소판 수치 확인: 활동 계획 전 항상 최근 혈소판 수치를 확인하고 의사의 조언을 구합니다.
  • 보호 장비 착용: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 넘어질 위험이 있는 활동 시에는 반드시 헬멧, 무릎 및 팔꿈치 보호대, 손목 보호대 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 충격 흡수: 딱딱한 바닥보다는 잔디밭이나 고무 매트 등 비교적 안전한 장소에서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 부상 예방을 위해 운동 전후 스트레칭을 충분히 합니다.
  • 과도한 경쟁 피하기: 승부에 집착하여 무리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 몸 상태 살피기: 피곤하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무리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 출혈 시 즉시 중단: 활동 중 출혈이 발생하면 즉시 활동을 멈추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합니다.

5.2. 혈소판 수치에 따른 활동 가이드라인

다음은 일반적인 혈소판 수치별 활동 가이드라인이며, 실제 적용 시에는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 혈소판 수치 75,000/µL 이상: 대부분의 일상적인 활동과 스포츠를 비교적 안전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격투기, 하키, 미식축구와 같이 신체 접촉이 매우 격렬하거나 심각한 부상 위험이 큰 스포츠는 여전히 주의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거나 강도를 높일 때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합니다.
  • 혈소판 수치 50,000~75,000/µL (일부 자료에서는 30,000~50,000/µL 범위로 제시하기도 함): 부상 위험이 다소 높아지는 구간입니다. 신체 접촉이 적은 운동(예: 수영, 탁구, 배드민턴, 가벼운 조깅, 자전거 타기(보호장비 필수))을 중심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축구, 농구, 야구와 같은 팀 스포츠는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조건 하에 제한적으로 참여를 고려할 수 있으나, 의사와 긴밀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 혈소판 수치 30,000/µL 미만 (특히 20,000/µL 미만): 경미한 충격에도 출혈 위험이 매우 커지므로 신체 활동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걷기, 가벼운 스트레칭, 낚시, 그림 그리기, 보드게임 등 정적이고 안전한 활동 위주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영도 부드럽게 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으나, 다이빙이나 물장구 등은 피해야 합니다. 이 시기에는 자발적인 출혈의 위험도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도 넘어지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최대한 조심해야 합니다.

중요: 위 가이드라인은 참고용이며, 아이의 과거 출혈 이력, 현재 복용 중인 약물, 전반적인 건강 상태, 그리고 아이의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담당 의사가 개별적인 활동 지침을 내려줄 것입니다.

5.3. 추천 스포츠 및 피해야 할 스포츠

출혈 위험도에 따라 스포츠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스포츠 (Low Bleeding Risk):

걷기, 가벼운 조깅, 수영 (다이빙 제외), 탁구, 배드민턴(가볍게), 낚시, 골프(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요가, 필라테스, 자전거 타기(안전한 장소에서 보호장비 착용), 볼링. 이러한 활동은 신체 충돌 가능성이 낮고, 넘어져도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적습니다.

주의가 필요한 스포츠 (Moderate Bleeding Risk):

농구, 축구, 야구/소프트볼, 배구, 테니스, 줄넘기, 인라인 스케이트/스케이트보드(보호장비 필수), 가벼운 등산. 어느 정도 신체 접촉이나 낙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소판 수치가 충분히 높고(예: 50,000/µL 이상)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하며,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신중하게 참여를 결정해야 합니다.

피해야 할 스포츠 (High Bleeding Risk):

  • 접촉 스포츠: 레슬링, 유도, 태권도, 가라테, 권투 등 격투기, 미식축구, 럭비, 아이스하키, 라크로스.
  • 충돌/낙상 위험이 큰 스포츠: 스키, 스노보드, 암벽 등반, 산악자전거(험로), 경주용 자전거, 체조(기계체조), 다이빙, 트램펄린(무리한 점프).

이러한 활동은 심각한 내부 출혈이나 머리 부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크므로, 혈소판 수치가 낮을 때는 절대적으로 피해야 하며, 수치가 안정적이더라도 참여 여부는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아이의 선호도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 활동이 있다면, 그 활동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의사와 함께 모색해 보십시오.

6. 부모님과 아이를 위한 정서적 지원

ITP와 같은 만성 질환은 아이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질병 자체에 대한 걱정, 치료 과정의 어려움, 일상생활의 제약 등으로 인해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적인 건강 관리만큼이나 심리적, 정서적 지원이 매우 중요합니다.

6.1. 질병이 아이와 가족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 불안과 공포: 잦은 병원 방문, 혈액 검사, 치료 과정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측할 수 없는 출혈에 대한 불안감도 클 수 있습니다.
  • 활동 제한으로 인한 좌절감: 좋아하는 운동이나 활동을 마음껏 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좌절감과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또래 관계의 어려움: 친구들과 다르다는 생각에 위축되거나, 놀림을 받을까 봐 걱정할 수 있습니다.
  • 자존감 저하: 신체적 제약이나 외모 변화(예: 스테로이드 부작용)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부모 및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 죄책감과 불안: ‘나 때문에 아이가 아픈 건 아닐까’ 하는 죄책감이나 아이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만성적인 스트레스: 잦은 병원 방문, 치료비 부담, 아이 간호 등으로 인해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자녀에 대한 영향: 아픈 아이에게 관심이 집중되면서 다른 자녀가 소외감을 느끼거나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 부부 관계의 어려움: 자녀 양육 및 치료 문제로 인해 부부간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영향은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으며, 이를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6.2.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 대처 방안

  • 정확한 정보 습득: 질병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정보를 통해 ITP에 대해 배우고, 의료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십시오.
  • 개방적인 대화: 가족 구성원 간에 자신의 감정과 어려움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서로 지지하는 분위기를 만듭니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질병에 대해 설명해주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 일상생활 유지: 가능한 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아이에게 과도한 제한을 두기보다는 안전한 범위 내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긍정적인 태도 유지: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작은 목표들을 세워 성취해나가면서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모 자신의 건강 챙기기: 부모가 건강해야 아이를 잘 돌볼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고,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며,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취미 활동, 운동 등)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작은 성공 축하하기: 혈소판 수치가 조금이라도 오르거나, 아이가 치료를 잘 견뎌냈을 때 등 작은 성공들을 함께 축하하며 긍정적인 강화를 합니다.

6.3. 전문가 및 지원 그룹 활용하기

정서적 어려움이 지속되거나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껴질 때는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의료진 상담: 담당 의사나 간호사는 질병 관리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병원 내 사회복지사나 심리 상담사를 연결해 줄 수도 있습니다.
  • 심리 전문가: 소아 심리 전문가나 상담사는 아이가 질병에 적응하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부모 역시 상담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고 양육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환자 지원 그룹 (자조 모임): 비슷한 경험을 가진 다른 환아 가족들과 교류하는 것은 큰 위로와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경험, 일상생활 관리 노하우, 정서적 어려움 등을 공유하며 서로 지지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내 희귀질환 관련 단체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ITP 환자 및 가족 모임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 학교 상담 시스템 활용: 아이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학교 상담 교사나 특수교육 지원 시스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ITP를 가진 아이와 가족은 혼자가 아닙니다.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소아 혈소판 감소증(ITP)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1: 가장 흔한 원인은 면역 체계가 실수로 자신의 혈소판을 공격하여 파괴하는 자가면역반응입니다.1 감기나 독감 같은 바이러스 감염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1, 드물게 특정 약물이나 다른 면역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뚜렷한 하나의 원인을 찾기보다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봅니다.

Q2: 소아 ITP 치료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나요?

A2: 치료 기간은 아이마다 매우 다릅니다. 급성 ITP의 경우 대부분 수 주에서 수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또는 치료 후 호전됩니다 (약 70-80%가 6개월 이내 회복2). 하지만 약 20%의 아이들은 12개월 이상 혈소판 감소증이 지속되는 만성 ITP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기적인 치료나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5 만성 ITP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거나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Q3: 소아 ITP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3: 현재까지 소아 ITP를 명확하게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ITP는 대부분 예측하거나 예방하기 어려운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평소 균형 잡힌 식단, 충분한 수면, 적절한 운동을 통해 아이의 면역 체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감염병 유행 시기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4: ITP가 유전되나요? 우리 아이가 ITP 진단을 받으면 다른 형제자매도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A4: ITP는 일반적으로 유전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대부분 후천적인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한 아이가 ITP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다른 형제자매가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가족 내에 다른 자가면역질환 환자가 있거나, 형제자매에게도 비슷한 출혈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볼 수 있습니다.

Q5: 치료 중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부작용은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하나요?

A5: 치료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식욕 증가, 체중 증가, 수면 장애, 기분 변화 등이 흔하며, 장기적으로는 성장 지연, 혈압/혈당 상승, 감염 취약성 증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11 의사는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최단 기간, 최소 유효 용량을 사용하려고 노력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합니다. IVIG는 두통, 발열, 오한 등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7 TPO-RA는 두통, 간 기능 이상, 드물게 혈전 위험 등이 있을 수 있어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5 부작용 발생 시 임의로 약물을 중단하지 말고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Q6: 혈소판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된 후에도 재발할 수 있나요?

A6: 네, 그럴 수 있습니다. 특히 급성 ITP로 진단받고 회복된 경우 대부분은 재발하지 않지만, 일부에서는 다시 혈소판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만성 ITP의 경우에도 치료로 혈소판 수치가 안정되었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소판 수치가 정상화된 후에도 한동안은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재발 시에는 다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Q7: ITP 진단을 받은 아이에게 특별히 먹여야 하거나 피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A7: ITP 자체를 치료하거나 혈소판 수치를 직접적으로 올리는 특정 음식은 없습니다. 균형 잡힌 건강한 식단을 통해 아이의 전반적인 건강과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4. 식단과 영양 참고).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 계열의 약물처럼 혈소판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은 피해야 하지만, 음식 자체에 대한 엄격한 제한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담당 의료진에게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8.1. 핵심 요약 및 긍정적 전망

소아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ITP)은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혈소판이 감소하여 출혈 경향을 보이는 질환이지만, 대부분의 소아 환자들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 그리고 세심한 관리를 통해 건강하게 성장하고 활기찬 일상을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 ITP는 급성으로 나타나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며, 만성으로 진행되더라도 최근 다양한 치료법의 발전으로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혈소판 생성 촉진제(TPO-RA)와 같은 새로운 약물들은 만성 ITP 환아들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질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고, 아이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전문가와 함께 세워나가는 것입니다.

8.2. 부모님께 드리는 격려와 당부

자녀의 질병은 부모에게 큰 걱정과 어려움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십시오. 부모님은 혼자가 아니며, ITP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입니다.

  • 전문가를 신뢰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십시오: 담당 의료진은 아이의 상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든든한 파트너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의료진과 상의하십시오.
  • 정확한 정보로 무장하십시오: 인터넷에 떠도는 부정확한 정보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와 전문가의 조언에 귀 기울이십시오. 이 가이드가 그 과정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아이에게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십시오: 출혈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생활 속 안전 수칙을 지키는 동시에, 아이가 질병으로 인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격려하고 사랑으로 지지해 주십시오.
  • 부모님 자신의 건강도 돌보십시오: 아이를 돌보는 일은 장기전이 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먼저 건강하고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해야 아이에게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주변의 도움을 받고, 자신을 위한 시간도 가지십시오.
  • 희망을 잃지 마십시오: 많은 아이들이 ITP를 잘 이겨내고 건강하게 자랍니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아이와 함께 한 걸음씩 나아가다 보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가이드가 ITP를 앓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님들께 실질적인 정보와 따뜻한 위로를 드렸기를 바랍니다. 자녀의 빠른 회복과 건강한 성장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면책 조항

이 글에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지식과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의학적 조언이나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개별 환자의 상태는 매우 다양하므로, 실제 진단, 치료,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반드시 담당 소아청소년과 또는 혈액종양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이 정보는 교육적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자가 진단이나 자가 치료의 근거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응급 상황 발생 시에는 즉시 119에 연락하거나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십시오.

참고 문헌

  1. 서울아산병원. 면역혈소판감소증. 질환백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49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 함소아한의원. ITP 소아 증상 치료 부모 가이드.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amsoaclinic&logNo=199704548 [인용일: 2025년 5월 8일].
  3. 세브란스병원. 혈소판감소증. 건강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sph.yonsei.ac.kr/sev-children/doctor/board_disease.do?mode=view&articleNo=119731 [인용일: 2025년 5월 8일].
  4. Park YH, Kim DY, Kim S, et al. Management of immune thrombocytopenia: 2022 update of Korean experts recommendations. Blood Res. 2022;57(1):20-28. doi:10.5045/br.2022.2022043.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loodresearch.or.kr/journal/view.html?doi=10.5045/br.2022.2022043 [인용일: 2025년 5월 8일].
  5. Lee JM.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pediatric chronic immune thrombocytopenia. Yeungnam Univ J Med. 2022;39(4):285-293. doi:10.12701/yujm.2022.0074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WE1MLzIxMDlqeW1zL3BkZi9qeW1zLTIwMjItMDA3NDUucGRm&filename=anltcy0yMDIyLTAwNzQ1LnBkZg== [인용일: 2025년 5월 8일].
  6. 닥터배한의원. 역삼역 내과: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증상, 치료.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m.blog.naver.com/doctorbae75/140194310674 [인용일: 2025년 5월 8일].
  7. 레어노트.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관리. 희귀질환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rarenote.io/contents/diseaseinfo/dc55e1e5-670a-41cd-972a-64a51a2e816e [인용일: 2025년 5월 8일].
  8.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Management of Immune Thrombocytopenia (ITP): Pocket Guide. 201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matology.org/-/media/hematology/files/education/clinicians/guidelines-quality/documents/ash-itp-pocket-guide-for-web-1204.pdf [인용일: 2025년 5월 8일].
  9. 키즈드림 소아청소년과. 혈소판 감소증.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kidsdreamch.com/page/sub4_4_3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0. 삼성서울병원. 소아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건강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35&CONT_SRC=CMS&CONT_ID=1799&CONT_CLS_CD=001020001005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1. 서울대학교병원.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의학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40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2. 메타메딕.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e(2022) > 혈관벽/혈소판 이상.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99344369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3. 레어노트.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관리. 희귀질환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rarenote.io/contents/diseaseinfo/44d80857-504c-48fd-8f89-e442fcb806d1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4. 블루밍청춘의원. [소아과] 소아 ITP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jloveu2/221919322313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5. KSPHO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Management of immune thrombocytopenia: 2022 update of Korean experts recommendations. (Park YH et al. Blood Res. 2022;57(1):20-28. 참고).
  16. ASH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9 Guidelines for Immune Thrombocytopenia. (참고).
  17. 새싹이 움트는 따뜻한 봄날.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ITP).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eshssy/130039685852?viewType=pc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8. CADTH. Guidelines for Pediatric Immune Thrombocytopenia. NCBI Bookshelf. 2019 Nov 1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603670/ [인용일: 2025년 5월 8일].
  19. Zhang X, Li J, Zhao Y,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thrombopoietin-receptor agonists in chronic immune thrombocytopenia in children: A meta-analysis. Pediatr Blood Cancer. 2023 Jun;70(6):e29857. doi:10.1002/pbc.2985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i.org/10.1002/pbc.29857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0. Neunert C. Platelet transfusions in immune thrombocytopenia.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21 Dec 10;2021(1):86-92. doi:10.1182/hematology.2021000276.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i.org/10.1182/hematology.2021000276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1. 앙쥬. 우리 아이 멍, 괜찮을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nge.co.kr/usr/?menu=story602&submenu=story_detail&NO=5007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2. 남양아이. 코피 나는 아이, 어떻게 돌봐야 할까? 육아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aby.namyangi.com/contents/view/4168/14954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3. 오래오랩. 혈소판 수치를 올리는 음식과 낮추는 음식.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oraeolab.com/?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9366469&t=board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4. 사상체질망. 혈소판 감소증 어린이 식단 운동. 유튜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xZP8b607M_Y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5. Apollo Hospitals.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 원인, 증상 및 치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pollohospitals.com/ko/health-library/immune-thrombocytopenia-causessymptoms-and-treatments/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6. 대한내과학회지. 특발성혈소판감소증에서 위나선균 제균요법.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kjm.org/upload/7403330.pdf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7.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질환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1103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8. 질병관리청·서울대학교병원. 코로나19 백신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30300&bid=0004&b_list=9&act=view&list_no=145185&nPage=3&vlist_no_npage=5&keyField=&keyWord=&orderby= [인용일: 2025년 5월 8일].
  29. 행복한 연서네♡. 연서의 입원기록 1일차 : 세브란스병원 입원 아기 혈소판감소증. 네이버 블로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112611heart/223434090271?viewType=pc [인용일: 2025년 5월 8일].
  30.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종양혈액과. 재생불량성 빈혈이란?.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22 [인용일: 2025년 5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