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 원인과 치료법

이 보고서는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Nabothian cyst)에 대한 포괄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나보시안 낭종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다양한 치료법, 임신과의 관계, 잠재적 합병증 및 예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입니다.1 독자들이 이 질환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의료적 조언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2

핵심 요약

  •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은 매우 흔하게 발견되며 대부분의 경우 건강에 해롭지 않은 양성 질환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3
  • 많은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4
  • 이러한 기본적인 이해는 이 질환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2

1.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이란 무엇인가?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은 자궁의 입구 부분인 자궁경부 표면 또는 경관 내에 발생하는 작은 주머니 형태의 병변입니다. 이 주머니 안은 자궁경부의 분비샘에서 나오는 점액으로 채워져 있습니다.4 근본적으로 나보시안 낭종은 자궁경부에 위치한 점액 분비샘이 막히면서 분비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양성 낭종입니다.1,4

의학 문헌이나 의료진에 따라 “자궁경부 낭종”, “점액 저류 낭종(mucinous retention cysts)”, 또는 “상피 낭종(epithelial cysts)”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은 이 낭종이 여러 의학적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모두 동일한 양성 상태를 지칭합니다.4 환자분들이 서로 다른 용어를 접하더라도 같은 질환을 의미하는 것임을 이해한다면 불필요한 혼란을 피할 수 있습니다.

1.1. 정의 및 주요 특징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은 자궁의 입구 부분인 자궁경부 표면 또는 경관 내에 발생하는 작은 주머니 형태의 병변입니다. 이 주머니 안은 자궁경부의 분비샘에서 나오는 점액으로 채워져 있습니다.4 근본적으로 나보시안 낭종은 자궁경부에 위치한 점액 분비샘이 막히면서 분비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양성 낭종입니다.1,4 의학 문헌이나 의료진에 따라 “자궁경부 낭종”, “점액 저류 낭종(mucinous retention cysts)”, 또는 “상피 낭종(epithelial cysts)”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은 이 낭종이 여러 의학적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모두 동일한 양성 상태를 지칭합니다.4 환자분들이 서로 다른 용어를 접하더라도 같은 질환을 의미하는 것임을 이해한다면 불필요한 혼란을 피할 수 있습니다.

1.2. 발생 위치 및 형태

나보시안 낭종은 주로 자궁경부의 편평원주상피 접합부(squamocolumnar junction)에서 발생합니다. 이 부위는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인 자궁경부 세포 검사(Pap smear) 시 세포를 채취하는 중요한 영역이기도 합니다.5 낭종의 위치가 자궁경부암 검사 부위와 겹친다는 점은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합니다. 첫째,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진을 통해 나보시안 낭종이 우연히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둘째, 이 부위는 세포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곳이므로, 낭종이 다른 심각한 병변, 예를 들어 암의 전단계와 혼동되지 않도록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는 정기 검진의 중요성과 더불어, 낭종 발견 시 전문의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함을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외형적으로 나보시안 낭종은 작고 표면이 매끄러운 돔 모양의 결절로 관찰되며,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띨 수 있습니다.1 크기는 보통 수 밀리미터(mm) 정도로 작지만, 드물게는 2 cm를 넘거나 심지어 4 cm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도 보고됩니다.3 자궁경부에는 한 개의 낭종만 생길 수도 있고, 여러 개가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3

1.3. 양성 질환으로서의 중요성

나보시안 낭종에 대해 가장 먼저 그리고 중요하게 이해해야 할 점은 이것이 악성 종양, 즉 암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4 나보시안 낭종은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양성 질환으로 분류됩니다.1 “양성”이라는 용어는 환자에게 가장 큰 안도감을 줄 수 있는 핵심 정보입니다. “낭종”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될 수 있는 암이나 심각한 질병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므로, 이 점을 명확히 인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사라지거나 크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기도 합니다.2

나보시안 낭종

2. 나보시안 낭종의 발생 원인

2.1. 자궁경부 샘의 막힘 현상

나보시안 낭종이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자궁경부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작은 샘(endocervical glands)들의 입구가 막히는 것입니다.4 자궁경부는 정상적으로 점액을 만들어내는데, 이 점액을 분비하는 샘의 출구가 여러 가지 이유로 편평상피세포(squamous epithelium)라는 일종의 피부 세포로 덮이면서 막히게 됩니다.6 일단 샘의 입구가 막히면, 내부에서 계속 생성되는 점액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샘 안에 고이게 되어 점차 부풀어 오르면서 낭종을 형성하게 됩니다.4 이러한 과정은 피부의 피지선이 막혀 여드름이나 표피낭종이 생기는 기전과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6 실제로 나보시안 낭종을 “자궁경부의 작은 여드름 같은 것”으로 비유하기도 하는데, 이는 환자들이 그 발생 원리와 양성적 특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6

2.2. 만성 자궁경부염과의 연관성

만성적인 자궁경부의 염증, 즉 만성 자궁경부염은 나보시안 낭종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7 자궁경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겼다가 회복되는 치유 과정에서, 새로운 편평상피세포가 증식하여 기존의 점액 분비샘을 덮어버릴 수 있습니다.4 이렇게 되면 점액 분비샘의 출구가 막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나보시안 낭종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4 즉, 염증으로 인해 자궁경부 조직이 재형성(remodeling)되는 과정 자체가 낭종 형성에 기여하는 것입니다.5 비록 나보시안 낭종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예방법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2,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만성 자궁경부염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은 낭종 형성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 간접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질염이나 자궁경부염 증상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것이 전반적인 자궁경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3. 출산, 경미한 자궁경부 외상 및 치유 과정

출산은 나보시안 낭종 발생과 관련된 또 다른 중요한 요인입니다.4 출산 과정에서 자궁경부는 상당한 물리적 변화를 겪게 되며, 출산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자궁경부 조직의 재형성이 일어납니다. 이때 과도하게 증식된 피부세포(편평상피)가 점액 분비샘 위로 자라면서 샘의 입구를 막아 낭종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4 마찬가지로, 자궁경부에 가해진 경미한 외상이나 염증 후 치유 과정에서도 유사한 기전으로 낭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이유로 나보시안 낭종은 특히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경산부)에게서 더 흔하게 관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5 출산이라는 자연스러운 생리적 과정이 낭종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이 낭종이 특정 질병의 결과라기보다는 신체 변화의 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환자를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2.4. 기타 요인

앞서 언급된 주요 원인들 외에도 몇 가지 다른 요인들이 나보시안 낭종 발생에 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여기에는 자궁경부 상피에 가해지는 화학적 자극7, 프로제스토젠(progestogen) 성분의 호르몬 제제 치료 시 나타날 수 있는 자궁경관 점액 분비의 주기적 장애7, 그리고 영양 상태 불량이나 호르몬 불균형과 같은 전신적인 상태 변화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7 또한, 과거 임신 중 DES(diethylstilbestrol)라는 약물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젊은 여성에게서도 낭종 발생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7 이 외에도, 자궁경부에서는 정상적으로 세포 유형이 변하는 생리적 화생(metaplasia)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세포 변화 과정 중에도 점액 분비샘이 막혀 낭종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5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언급되지만, 대부분은 자궁경부 환경의 변화나 조직의 치유 반응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는 나보시안 낭종이 특정 질병의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여성의 생애 동안 겪을 수 있는 여러 생리적, 환경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생리적 화생’과 같이 질병이 아닌 정상적인 세포 변화 과정에서도 낭종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나보시안 낭종의 양성적 특성을 다시 한번 뒷받침합니다.

3. 나보시안 낭종의 일반적인 증상

3.1. 대부분 무증상

나보시안 낭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대부분의 경우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1 나보시안 낭종을 가진 대다수의 여성들은 낭종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합니다.2 이러한 이유로, 나보시안 낭종은 정기적인 부인과 골반 검사나 자궁경부 세포 검사(Pap smear)와 같은 다른 목적으로 시행된 검사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6 무증상이라는 특징은 이 질환이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하며, 낭종이 발견되었을 때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뒷받침합니다. 동시에,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이 아니면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은, 다른 잠재적인 부인과 질환의 조기 발견과 마찬가지로 나보시안 낭종의 확인 및 관찰을 위해서도 정기 검진이 중요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합니다.

3.2.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대부분의 나보시안 낭종은 증상이 없지만, 드물게 낭종의 크기가 매우 커지거나 여러 개의 낭종이 뭉쳐 있는 경우에는 몇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이러한 증상은 주로 낭종의 물리적인 크기나 개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복부의 가벼운 불편감이나 압박감 : 낭종이 커지면서 주변 조직을 눌러 발생할 수 있습니다.1
  • 성교 시 통증 또는 경미한 출혈 : 매우 드물지만, 큰 낭종이 자궁경부에 위치할 경우 발생 가능성이 언급됩니다.8
  • 질 분비물의 변화 또는 증가 : 낭종 자체 또는 관련된 염증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 낭종 파열 시 증상 : 낭종이 터지면 일시적으로 점액성 분비물이 증가하거나, 약간의 냄새 또는 소량의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9
  • 주변 장기 압박 증상 : 극히 드물게, 거대한 낭종이 방광이나 직장과 같은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소변을 자주 보거나 배뇨 시 불편감, 또는 변비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5

이처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낭종의 크기가 상당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나보시안 낭종으로 진단받은 대다수의 환자분들은 이러한 증상 발현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낭종의 크기나 상태 변화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나보시안 낭종 진단 방법

4.1. 정기적인 골반 검진

나보시안 낭종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부인과 골반 검진 중에 의사가 육안으로 발견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1 의사는 질경(speculum)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질 내부와 자궁경부를 관찰하는데, 이때 자궁경부 표면에 나타나는 작고 매끄러운 흰색 또는 노란색의 융기(낭종)를 확인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습니다.4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시진(visual inspection)만으로도 나보시안 낭종의 진단이 가능하며, 특별한 추가 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1 진단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점은 환자에게 추가적인 검사에 대한 심리적, 육체적 부담감을 줄여줄 수 있으며, 질환의 심각성이 낮다는 인식을 강화하는 데도 기여합니다.

4.2.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

경우에 따라서는 자궁경부를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colposcopy)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4 이 검사는 특수 확대경을 사용하여 자궁경부 표면을 4배에서 40배까지 확대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낭종의 세부적인 특징을 더 자세히 확인하고 다른 자궁경부 병변과의 감별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2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는 모든 나보시안 낭종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시행되는 검사는 아닙니다. 주로 낭종의 모양이 일반적이지 않거나, 육안 검사만으로는 다른 질환(예: 자궁경부 이형성증, 초기 자궁경부암 등)과의 구분이 모호하여 악성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5 즉, 나보시안 낭종 자체가 위험해서라기보다는, 외관상 유사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가능성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한 정밀 검사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에게 이 검사가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이 아니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선별적으로 시행됨을 알리는 것이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3. 초음파 검사

초음파 검사, 특히 질을 통해 탐촉자를 삽입하여 시행하는 질식 초음파(transvaginal ultrasound)는 나보시안 낭종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비침습적 방법입니다.4 초음파를 통해 의사는 낭종의 정확한 크기, 개수, 내부의 액체 성상(맑은지, 혼탁한지 등), 그리고 자궁경부 내에서의 위치(표면적인지, 깊숙한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7 이 검사는 특히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자궁경부 깊숙한 곳에 위치한 낭종을 발견하거나, 낭종이 다른 골반 내 질환(예: 자궁근종, 난소낭종 등)과 동반되어 있을 때 이를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5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인 부인과 초음파 검사만으로도 나보시안 낭종을 충분히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4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노출 없이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낭종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추적 관찰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환자에게 이 검사가 표준적이고 효과적인 진단 방법임을 알려주어 신뢰감을 줄 수 있습니다.

4.4. 기타 영상 진단 및 조직 검사

나보시안 낭종의 진단에 있어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정밀 영상 검사, 또는 조직 검사(biopsy)는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1 이러한 검사들은 매우 드물게,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에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낭종이 비정상적으로 매우 클 경우4
  • 낭종이 자궁경부 깊숙한 곳에 여러 개 뭉쳐 있거나 출혈성 변화를 보이는 등 비전형적인 양상을 보일 때4
  • 증상이 심하거나 다른 검사 방법으로 악성 종양(예: 선암종의 일종인 최소 편위 선암종, adenoma malignum)과의 감별이 매우 어려울 경우4

MRI는 특히 심부에 위치한 낭종이나 출혈성 낭종을 평가하고, 정상 조직과 비정상 조직을 구분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5 만약 악성 질환이 강력히 의심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 검사, 자궁경부 원추 절제술(conization), 또는 자궁경관내 소파술(endocervical curettage) 등을 시행하여 세포나 조직을 직접 채취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악성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4 그러나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러한 정밀 검사들은 나보시안 낭종의 표준적인 진단 과정이 아니며, 대부분의 나보시안 낭종은 간단한 골반 검진이나 초음파 검사만으로 충분히 진단 가능합니다. 이 점을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환자들은 나보시안 낭종 진단 시 이러한 고가의 정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처럼 오해하거나 불필요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다른 심각한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나보시안 낭종의 치료

5.1. 치료가 필요 없는 일반적인 경우

나보시안 낭종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는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3 이는 나보시안 낭종이 양성 질환이고, 대개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입니다.4 따라서 나보시안 낭종으로 진단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경우 정기적인 부인과 검진을 통해 크기나 모양의 변화 여부 등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5 “치료가 필요 없다”는 사실은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질병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덜어줍니다. 이는 환자가 진단을 받았을 때 “이제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나?”라는 걱정에서 벗어나 안심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정보이며, 나보시안 낭종을 심각한 질병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상태’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습니다.

5.2.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대부분의 나보시안 낭종은 치료가 필요 없지만,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유발 시 : 낭종의 크기가 매우 커져서 하복부 통증, 골반 압박감, 성교통 등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입니다.4
  • 자궁경부 관찰 방해 시 : 낭종의 크기나 위치 때문에 자궁경부의 정상적인 관찰, 특히 자궁경부암 세포 검사(Pap smear)를 위한 적절한 세포 채취나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를 어렵게 만드는 경우입니다.4 정확한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를 위해서는 시야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진단의 불확실성 : 낭종의 모양이나 특징이 비전형적이어서 드물지만 악성 종양(예: 최소 편위 선암종)과의 감별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진단적 목적으로 제거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4
  • 낭종 파열 및 지속적 불편감 : 드물게 낭종이 저절로 터지면서 지속적인 분비물이나 불편함을 유발하는 경우입니다.8

이처럼 치료가 고려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낭종으로 인해 환자가 실질적인 불편함을 겪거나, 다른 중요한 검사를 방해하거나, 또는 악성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할 때입니다. 이는 치료의 목적이 낭종 자체를 ‘병’으로 보고 무조건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야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잠재적 위험을 배제하는 데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자는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치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3. 다양한 치료 방법 소개

나보시안 낭종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각 치료법은 침습 정도, 효과, 재발 가능성, 부작용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 낭종의 크기와 개수, 증상 유무, 그리고 환자의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후 가장 적절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배액술 (Drainage/Aspiration) :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로, 주사 바늘 등을 이용하여 낭종의 벽에 작은 구멍을 내거나 낭종을 터뜨려 안에 고여 있는 점액을 빼내는 시술입니다.5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지만, 낭종의 벽 자체가 제거되는 것이 아니므로 점액이 다시 차올라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10
  • 전기 소작술 (Electrocautery / Electrosurgical Excision) : 특수한 전기 기구를 사용하여 고주파 전류로 열을 발생시켜 낭종 조직을 태우거나 절제하여 제거하는 방법입니다.6 비교적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시술 중 출혈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8
  • 냉동 치료 (Cryotherapy / Cryocauterization) : 액체 질소나 이산화탄소 가스 등을 이용하여 낭종 조직을 급속도로 얼려서 파괴하는 방법입니다.6 파괴된 조직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탈락됩니다.
  • 레이저 치료 (Laser Ablation / Laser Therapy) : 고에너지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낭종 조직을 증발시키거나 정교하게 절제하여 제거하는 방법입니다.11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외과적 절제 (Surgical Excision) : 낭종이 매우 크거나 자궁경부 깊숙이 위치하여 다른 방법으로 제거하기 어렵거나, 악성 여부에 대한 조직학적 확인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시행합니다.5 메스 등을 사용하여 낭종 전체를 절제해내는 방법입니다.

어떤 치료법을 선택하든, 시술 후에는 약간의 출혈이나 분비물이 있을 수 있으며, 일시적인 불편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또한, 드물지만 수술적 개입 시 흉터 조직이 형성되어 추후 통증의 원인이 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5 따라서 치료 결정 전후로 의사의 지시에 잘 따르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추적 관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표는 나보시안 낭종의 주요 치료 방법들을 비교하여 각 치료법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치료법 시술 내용 주요 적응증 장점 단점/고려사항
배액술 (Drainage/Aspiration) 바늘 등으로 낭종을 터뜨려 내용물(점액)을 빼냄.5 증상 완화 목적, 작은 낭종 매우 간단하고 최소 침습적, 빠른 시술 재발 가능성 높음, 낭종 벽은 그대로 남음.10
전기 소작술 (Electrocautery) 전기 전류로 낭종 조직을 태워 제거.6 증상이 있거나 반복되는 낭종, 자궁경부암 검사 방해 시 비교적 간단, 시술 중 출혈 적음.8 시술 후 약간의 통증이나 분비물 가능성, 드물게 흉터 형성.
냉동 치료 (Cryotherapy) 액체 질소 등으로 낭종을 얼려서 파괴.6 전기 소작술과 유사한 적응증 비교적 간단한 시술 시술 후 물 같은 분비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음, 회복에 수 주 소요 가능.
레이저 치료 (Laser Ablation) 레이저로 낭종 조직을 증발시키거나 절제.11 정교한 제거가 필요하거나, 다른 방법이 부적절할 때 주변 조직 손상 최소화 가능, 정밀한 시술 가능. 장비 필요,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 시술 후 관리 필요.
외과적 절제 (Surgical Excision) 메스 등으로 낭종 전체를 제거.5 매우 큰 낭종, 깊은 낭종, 악성 감별이 필요한 경우 낭종 완전 제거, 조직 검사 가능. 다른 방법에 비해 침습적일 수 있음, 마취 필요 가능성, 회복 기간 필요, 드물게 흉터 형성 및 관련 통증 가능성.5

이 표는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실제 치료법 선택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나보시안 낭종과 임신

6.1. 임신 중 발생 빈도 및 영향

임신 중에 나보시안 낭종이 새롭게 형성되거나 기존의 낭종이 발견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4 이는 임신으로 인한 여성 호르몬 수치의 변화와 자궁경부 조직의 생리적인 변화, 예를 들어 조직의 재형성(remodeling)이나 화생(metaplasia) 과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9 임신 중에는 작은 신체 변화에도 민감해지고 불안을 느끼기 쉽지만, 다행히 대부분의 나보시안 낭종은 임신 과정 자체나 태아의 건강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따라서 임신 중 나보시안 낭종이 발견되었다고 해서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임신 중 흔히 발생하며 대부분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이 임산부의 불필요한 걱정을 덜고 심리적 안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2. 임신 중 관리 및 주의사항

임신 중 발견된 나보시안 낭종은 대부분 비임신 시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관리나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2 정기적인 산전 진찰 시 담당 의사가 낭종의 크기나 상태 변화 여부를 함께 관찰하게 됩니다.9 그러나 임신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때, 만약 낭종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낭종이 매우 커서 하복부 불편감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 성교 시 통증이나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 질 분비물의 양, 색깔, 냄새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9

이러한 증상은 드물지만, 나타날 경우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다른 합병증과의 감별 및 적절한 대처를 위해 전문가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안심해도 되지만, 특정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3. 출산 시 고려사항

나보시안 낭종이 출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5 낭종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매우 커져서 아기가 나오는 길, 즉 산도(birth canal)를 막을 정도가 되면 자연 분만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만약 이러한 극히 드문 상황이 발생한다면, 분만 과정 중에 간단한 배액술(낭종을 터뜨려 내용물을 빼내는 시술)을 시행하여 낭종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질식 분만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5 실제로 한 연구에서는 임신 38주에 질 밖으로 돌출될 정도로 큰(60x70mm) 나보시안 낭종으로 인해 분만이 지연될 뻔했으나, 분만 중 단순 배액술을 시행한 후 산모가 건강한 아기를 성공적으로 자연분만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12 이러한 정보는 대부분의 임산부에게 나보시안 낭종이 출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을 줄 수 있으며, 만에 하나 문제가 되더라도 의료적으로 대처할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이는 출산을 앞둔 임산부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 나보시안 낭종의 합병증 및 예후

7.1. 발생 가능한 합병증 (매우 드묾)

나보시안 낭종과 관련된 합병증은 매우 드물게 발생합니다.2 대부분의 경우 낭종은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조용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드물게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합니다:

  • 낭종 파열 및 감염 : 낭종이 저절로 터질 수 있으며, 이때 일시적으로 질 분비물이 증가하거나 약간의 냄새, 소량의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9 파열된 부위를 통해 드물게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흔하지는 않습니다.8
  • 자궁경부 검사 방해 : 낭종이 매우 크거나 여러 개가 뭉쳐 있으면 자궁경부의 정상적인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자궁경부암 세포 검사(Pap smear) 또는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 시 시야를 가려 정확한 검사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4
  • 주변 장기 압박 : 극히 드물게, 거대한 낭종이 인접한 요도나 직장을 압박하여 배뇨 곤란이나 변비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5
  • 생식 능력 및 임신 관련 영향 : 일부 자료8에서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불임이나 임신 유지의 어려움을 언급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주요 의학 정보원에서는 이를 나보시안 낭종의 일반적인 합병증으로 강조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은 매우 예외적인 상황이거나 다른 기저 질환과 복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나보시안 낭종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빈도는 매우 낮으며, 발생하더라도 대부분 심각하지 않거나 적절한 의료적 처치로 관리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 일반적인 예후 및 안심할 수 있는 정보

나보시안 낭종의 예후는 매우 좋습니다.9 가장 중요한 점은 나보시안 낭종이 양성 질환이며, 암으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2 또한, 대부분의 경우 건강에 장기적인 악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4 현재까지 나보시안 낭종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2 이는 낭종 발생이 자궁경부의 정상적인 치유 과정이나 생리적 변화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2 그러나 정기적인 부인과 검진을 통해 나보시안 낭종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크기 변화나 다른 부인과 질환의 유무도 함께 점검할 수 있습니다.9 따라서 나보시안 낭종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크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후가 매우 좋다는 점을 인지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해는 환자가 수동적으로 안심하는 것을 넘어 능동적으로 자신의 건강 관리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8. 의사 진료가 필요한 경우

8.1. 주의해야 할 증상 및 상황

나보시안 낭종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다음과 같은 특정 증상이 나타나거나 상황이 발생하면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나 낭종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 진단하거나 방치하지 말고 의료적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골반 통증 또는 하복부 압박감 : 이전에 없던 골반 부위의 통증이나 하복부의 묵직한 압박감이 새롭게 나타나거나 기존의 불편감이 심해지는 경우입니다.1
  • 비정상적인 질 출혈 : 정상적인 생리 기간이 아닌데도 발생하는 질 출혈, 예를 들어 생리와 생리 사이의 출혈, 성관계 후 출혈 등이 나타나는 경우입니다.8
  • 질 분비물의 변화 : 질 분비물의 양이 갑자기 많아지거나, 색깔(예: 누런색, 녹색, 피가 섞인 색 등)이나 냄새(예: 악취)에 뚜렷한 변화가 생기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입니다.4
  • 만져지는 큰 낭종 또는 질 밖으로 돌출 : 낭종이 손으로 만져질 정도로 크다고 느껴지거나, 드물지만 질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입니다.4
  • 임신 중 우려되는 증상 발생 : 임신 중에 나보시안 낭종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증상들이나 기타 우려되는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입니다.9
  • 낭종의 빠른 크기 또는 모양 변화 : 이전에 진단받은 낭종의 크기가 정기 검진 시 눈에 띄게 빠르게 커지거나, 모양이 비정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나보시안 낭종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부인과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다음 표는 어떤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환자의 판단을 돕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안내합니다.

증상 설명 권장 조치
골반 통증/압박감 새롭게 발생하거나 심해지는 하복부 또는 골반 부위의 지속적인 통증, 묵직함, 불편감.1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 원인 확인
비정상 질 출혈 생리 기간 외 출혈, 성교 후 출혈, 폐경 후 출혈 등 평소와 다른 양상의 출혈.8 즉시 산부인과 진료
질 분비물 변화 양, 색깔(피 섞임, 고름 등), 냄새(악취)의 뚜렷하고 지속적인 변화.4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 감염 여부 등 확인
만져지는 큰 낭종/돌출 스스로 만져질 정도로 큰 덩어리가 느껴지거나, 질 밖으로 무언가 빠져나오는 느낌 또는 실제로 보이는 경우.4 산부인과 진료
임신 중 우려 증상 임신 중 위와 같은 증상들이나 기타 평소와 다른 불편함이 나타나는 경우.9 즉시 산부인과 주치의와 상담
빠른 크기/모양 변화 정기 검진 시 이전과 비교하여 낭종의 크기가 눈에 띄게 커졌거나 모양이 불규칙하게 변한 것으로 판단될 때.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추가 검사 또는 조치 결정

이 표는 일반적인 지침이며, 어떤 증상이든 우려되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9. 나보시안 낭종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나보시안 낭종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나요?

A: 아니요, 나보시안 낭종은 양성 질환이며 암으로 발전하지 않습니다.4 다만, 매우 드물게 ‘최소 편위 선암종(adenoma malignum)’과 같은 특정 유형의 자궁경부 선암종이 나보시안 낭종과 유사하게 여러 개의 낭종이 모여 있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 영상 검사나 육안 소견만으로는 감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4 이러한 경우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예: MRI,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이는 나보시안 낭종 자체가 악성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Q2: 나보시안 낭종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현재까지 나보시안 낭종 발생을 특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2 이는 나보시안 낭종이 자궁경부의 정상적인 치유 과정(예: 출산 후, 염증 후)이나 생리적인 세포 변화(화생)와 관련하여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2 다만, 만성 자궁경부염이 낭종 발생의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7, 평소 질염이나 자궁경부염 증상이 있다면 적절히 치료받고 관리하는 것이 전반적인 자궁경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낭종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Q3: 나보시안 낭종이 있으면 자궁경부암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나요?

A: 일반적으로 작은 나보시안 낭종 자체가 자궁경부암 세포 검사(Pap smear)의 세포 판독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낭종이 터지면서 내용물인 점액이 세포 검사 슬라이드에 묻어 나올 수는 있지만, 숙련된 병리과 의사는 이를 정상적인 낭종 내용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5 그러나 낭종이 매우 크거나 여러 개가 뭉쳐 있어서 자궁경부의 정상적인 관찰을 방해하거나, 자궁경부암 검사를 위한 적절한 세포 채취를 어렵게 만드는 경우에는 검사의 정확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2 이러한 경우, 의사는 정확한 검사를 위해 낭종 제거를 권유할 수도 있습니다.

Q4: 나보시안 낭종은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나요?

A: 네, 특히 크기가 작은 나보시안 낭종의 경우, 낭종 벽이 저절로 파열되어 안에 있던 점액이 배출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13 하지만 모든 낭종이 저절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많은 경우 특별한 크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거나 약간 커지거나 작아지는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Q5: 나보시안 낭종 치료 후 재발할 수 있나요?

A: 치료 방법에 따라 재발 가능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바늘로 낭종의 내용물만 빼내는 배액술의 경우에는 낭종의 벽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점액이 다시 차올라 재발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10 반면, 전기 소작술, 냉동 치료, 레이저 치료, 또는 외과적 절제술과 같이 낭종 조직 자체를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치료법은 해당 낭종의 재발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받은 부위 외에 자궁경부의 다른 부위에 새로운 나보시안 낭종이 생길 가능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Q6: 나보시안 낭종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나요?

A: 일반적으로 나보시안 낭종 자체가 불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일부 자료8에서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불임 가능성을 언급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주요 의학 정보에서는 이를 나보시안 낭종의 주요 문제로 다루지 않습니다. 낭종이 극도로 커서 자궁경관(정자가 통과하는 길)을 완전히 막거나, 매우 심한 염증을 동반하여 자궁경부 환경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는 등의 극히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여성의 생식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다른 잠재적인 원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결론

이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은 자궁경부의 점액 분비샘이 막혀 발생하는 매우 흔한 양성 질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치료 없이 정기적인 관찰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원인으로는 만성 자궁경부염, 출산, 경미한 자궁경부 외상 후의 치유 과정 등이 있으며, 진단은 주로 정기적인 골반 검진 시 육안으로 이루어지거나 필요시 초음파 검사 등이 활용됩니다. 치료는 낭종이 매우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고려되며, 배액술, 전기 소작술, 냉동 치료, 레이저 치료, 외과적 절제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임신 중에도 흔히 발견될 수 있지만 대부분 임신 과정이나 출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합병증 발생 빈도 또한 매우 낮고 예후는 매우 좋습니다.

자궁경부 나보시안 낭종 진단을 받으셨다면, 이 질환의 양성적 특성을 이해하고 과도하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14 그러나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낭종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부인과 질환에 대한 점검을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9 만약 골반 통증, 비정상적인 출혈, 질 분비물 변화 등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자가 판단하지 마시고 즉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항산화 작용이 있는 비타민 C와 E가 풍부한 식품(예: 블루베리, 당근, 아보카도 등)을 섭취하는 것도 세포 손상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1 무엇보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MyPathologyReport.ca. 자궁경부 나보티안 낭종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ypathologyreport.ca/ko/diagnosis-library/nabothian-cyst-of-the-cervix/.
  2. Mount Sinai. Nabothian cyst Information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untsinai.org/health-library/diseases-conditions/nabothian-cyst.
  3. 네이버 블로그 (gyendoscopy). 나보시안 낭종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gyendoscopy/221537897708?viewType=pc.
  4. 네이버 블로그 (dongwonhjh). 나보시안 낭종 (Nabothian cyst) 이란 무엇인가요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dongwonhjh/221358199868.
  5. Schaefer C, Camacho T. Nabothian Cyst. In: StatPearls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년 [업데이트: 2024년 2월 19일;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9047/.
  6. 나무위키. 나보시안 낭종 (r11 판)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mu.wiki/w/%EB%82%98%EB%B3%B4%EC%8B%9C%EC%95%88%20%EB%82%AD%EC%A2%85?uuid=3e6629ee-3fe0-4cca-bc7d-2a9fbcac2bdb.
  7. Kim DH, Yoo JS, Kang JK, Lee JS, Kim TK, Hwang DJ, 등. 나보트(Naboth) 낭종의 초음파 소견과 진단적 의의. 대한초음파의학회지. 1989;8(2):187-19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ultrasonography.org/upload/jksmu-8-2-187.pdf.
  8. Vinmec International Hospital. Nabothian cysts of the cervix: When is treatment necessary? [인터넷]. 2022년 9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nmec.com/eng/blog/cervical-nabothian-cyst-when-to-treat-en.
  9. Healthline. Nabothian Cyst: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s [인터넷]. 2023년 1월 24일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nabothian-cyst.
  10. UK Nursing Home. Nabothian Cyst Removal surgery in Delhi? Top Nursing Home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uknursinghome.in/nabothian-cyst-removal-surgery-in-delhi-top-nursing-home/.
  11. 네이버 블로그 (ewha6755). 나보시안낭종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ewha6755/223286835128.
  12. Kumar S, Konamme A, Prasad S. Large Nabothian Cyst Obstructing Labour Passage. J Clin Diagn Res. 2015 Oct;9(10):QD01-QD02. doi:10.7860/JCDR/2015/14949.6631. PMID: 26673512.
  13. GLOWM (The Global Library of Women’s Medicine). Diagnosis and Therapy of Benign and Preinvasive Disease of the Cervix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eta.glowm.com/section-view/heading/Diagnosis-and-Therapy-of-Benign-and-Preinvasive-Disease-of-the-Cervix/item/20.
  14. 하이닥. 자궁경부 나보디안 낭종 | 건강Q&A [인터넷]. 2021년 4월 1일 [인용일: 2025년 5월 1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442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