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위생, 미용적 자신감, 또는 일상에서의 편안함을 위해 음모 제모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아프지 않을까?’, ‘인그로운 헤어나 모낭염 같은 부작용은 어떻게 막지?’, ‘어떤 방법이 나에게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일까?’와 같은 걱정이 앞서는 것이 사실입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러한 독자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해 드리기 위해,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최신 안전 가이드라인, 발표된 피부과 연구, 그리고 한국소비자원(KCA)의 분석 데이터를 종합하여 가장 과학적이고 포괄적인 셀프 제모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방법별 장단점 이해: 제모 크림은 통증이 없지만 화학적 자극 위험이 가장 높으며12, 왁싱은 효과가 길지만 인그로운 헤어와 통증 위험이 큽니다.1 가정용 레이저는 장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화상 및 색소침착의 위험이 따릅니다.17
- 부작용 예방이 핵심: 인그로운 헤어를 막기 위해서는 시술 후 2~3일부터 시작하는 주기적인 각질 제거와 충분한 보습이 가장 중요합니다.1 모낭염 예방을 위해서는 시술 전후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20
- 안전 수칙 절대 준수: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제품 설명서를 반드시 읽고, 제모 크림과 왁싱 전에는 반드시 24시간 패치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3 레이저 제모 후에는 냉각(쿨링)과 자외선 차단이 필수적입니다.17
- 전문가 상담의 중요성: 심한 통증, 넓게 퍼지는 염증, 진물이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자가 치료를 시도하지 말고 즉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6
한눈에 비교: 집에서 하는 음모 제모 방법 총정리
본격적인 방법에 앞서, 각 제모 방법의 특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표를 준비했습니다. 이 표를 통해 자신의 피부 타입, 통증 민감도, 기대 효과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선택지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기준 (Tiêu chí) | 제모 크림 (Kem Tẩy Lông) | 셀프 왁싱 (Tự Waxing) | 가정용 레이저/IPL (Laser/IPL Tại Nhà) | 면도 (Cạo Lông) |
---|---|---|---|---|
원리 (Cơ chế) | 화학 성분(티오글리콜산)으로 털의 케라틴 단백질을 녹임.3 | 왁스로 털을 뿌리째 뽑아냄.2 | 빛 에너지를 이용해 모낭을 약화 및 파괴.2 | 면도날로 피부 표면의 털을 잘라냄.2 |
통증 (Mức độ đau) | 거의 없음. 약간의 따가움 가능.2 | 매우 아픔, 특히 처음에.2 | 경미-중간 정도. 고무줄로 튕기는 느낌.18 | 올바른 기술 사용 시 통증 없음. |
효과 (Hiệu quả) | 일시적 (며칠 후 다시 자람).20 | 비교적 오래 지속 (2-4주).2 | 반영구적 (전체 과정 후 50-90% 감소).17 | 매우 일시적 (1-2일 후 다시 자람). |
주요 위험 (Rủi ro chính) | 화학 성분으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반응, 화학적 화상.3 | 인그로운 헤어, 모낭염, 열 화상(핫 왁스), 피부 표면 손상.1 | 열 화상, 색소침착/저하(특히 어두운 피부), 눈 자극.17 | 피부 긁힘, 자극(면도기 화상), 세균성 모낭염.2 |
KRHOW 안전 등급 | ⭐⭐ (식약처 지침 엄수 필요) | ⭐⭐ (부정확한 기술 사용 시 위험 높음) | ⭐⭐⭐ (허가된 기기 및 절차 준수 시 안전) | ⭐⭐⭐⭐ (침습성 면에서 가장 안전하나 효과가 낮고 단기적) |
방법별 심층 분석: 장점, 단점, 그리고 안전 수칙
각 제모 방법은 저마다의 장점과 명확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각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제모 크림: 통증 없는 편리함 속 숨겨진 화학적 위험
제모 크림은 통증에 대한 두려움이 큰 이들에게 가장 먼저 고려되는 선택지입니다. 주성분인 티오글리콜산염이 털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의 결합을 끊어 털을 부드럽게 녹여내는 원리로 작동합니다.3 사용이 편리하고 빠르며, 통증이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2
“그러나 편리함 이면에는 상당한 위험이 따릅니다. 한국소비자원(KCA)의 통계에 따르면, 보고된 제모제 부작용 사례 중 제모 크림이 36.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주요 증상은 피부염과 발진이었습니다.12”
– 한국소비자원(KCA), 2017년 보고서
이는 제모 크림의 화학 성분이 털의 케라틴과 피부 표피의 케라틴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민감한 피부에 사용하거나 규정 시간 이상 방치할 경우, 피부 보호 장벽까지 손상시켜 자극, 발진, 심하면 화학적 화상이나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안전한 사용을 위해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는 다음 사항을 엄격히 준수할 것을 권고합니다.15
- 패치 테스트 필수: 사용 전, 팔 안쪽이나 허벅지 안쪽 등 눈에 띄지 않는 부위에 소량을 바르고 24시간 동안 피부 반응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려움, 붉어짐, 부어오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3
- 시간 엄수: 제품 설명서에 명시된 시간을 절대 초과하지 마십시오. 보통 10분을 넘기지 않아야 합니다.3
- 사용 금지 대상: 임산부, 수유부, 생리 기간 중인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피부가 민감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3 또한 상처, 습진 등 피부 질환이 있는 부위나 얼굴에는 절대 사용하면 안 됩니다.
- 사용 후 관리: 시술 부위를 시원한 물로 깨끗이 씻어내고, 비누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최소 24시간 동안은 직사광선 노출을 피하고 알코올 함유 제품 사용을 금해야 합니다.15
2. 가정용 레이저/IPL 제모기: 전문 지식이 필요한 장기적 투자
가정용 레이저 및 IPL(Intense Pulsed Light) 기기는 ‘선택적 광열분해’ 원리를 이용합니다. 기기에서 방출된 빛 에너지를 털과 모낭 속 멜라닌 색소가 흡수하면, 이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어 모낭에 손상을 입힘으로써 털의 성장을 늦추거나 멈추게 하는 방식입니다.2
한양대학교병원 주민숙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가정용 기기는 비전문가의 안전을 위해 의료기관의 전문 장비보다 에너지 출력 수준이 현저히 낮게 설계되었습니다.17 이 때문에 효과 또한 더디게 나타납니다. 전문 시술이 6개월 후 50-90%의 제모 효과를 보이는 반면, 가정용 기기는 약 10-50% 수준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7
주요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화상 및 색소 이상: 피부톤이 어둡거나(피츠패트릭 피부 유형 IV 이상) 햇볕에 그을린 피부에 가장 큰 위험입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가 레이저 에너지를 과도하게 흡수하여 화상, 과색소침착(검은 자국), 또는 저색소침착(흰 자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7 점, 문신, 어두운 흉터 부위에는 절대 사용하면 안 됩니다.
- 잘못된 사용법: 효과를 높이려는 마음에 같은 부위에 여러 번 반복해서 조사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화상 위험만 높일 뿐입니다.17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피부 준비: 사용 1~2일 전, 시술 부위의 털을 면도기로 깨끗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이는 피부 표면 아래에 1-1.5mm 길이의 짧은 털을 남겨, 레이저 열을 모낭까지 전달하는 ‘도화선’ 역할을 하게 하기 위함입니다.3 족집게, 왁싱, 제모 크림 등 털을 뿌리째 제거하는 방법은 최소 4주 전부터 중단해야 합니다.17
- 눈 보호: 망막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 내내 반드시 기기와 함께 제공된 전용 보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18
- 시술 후 관리: 냉각(쿨링)은 필수입니다. 사용 직후 쿨링 젤 팩이나 순수 알로에 베라 젤을 발라 피부를 진정시키고 열을 내려야 합니다.17 이후 알코올이나 향료가 없는 순한 제품으로 충분히 보습해 줍니다.29
- 철저한 자외선 차단: 레이저 시술 후 피부는 자외선에 극도로 민감해집니다. 과색소침착을 막기 위해 최소 2주간은 해당 부위의 햇빛 노출을 완벽히 피하고 SPF 30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야 합니다.17
3. 셀프 왁싱: 높은 효과만큼 높은 위험 부담
왁싱은 핫 왁스나 콜드 왁스 스트립을 이용해 털에 밀착시킨 후, 털을 모낭에서부터 강하게 뽑아내는 방법입니다.2 털을 뿌리째 제거하기 때문에 2주에서 4주까지 매끈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2
하지만 정확한 기술 없이 집에서 시도할 경우 가장 많은 부작용을 낳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가장 흔하고 고질적인 문제는 바로 인그로운 헤어(매몰모)와 모낭염입니다. 발생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왁스를 떼어낼 때의 강한 물리적 자극은 털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의 각질층까지 제거하며 미세한 손상을 일으킵니다.5
- 피부는 이 손상에 방어하기 위해 각질 세포 생성을 촉진하여 표피를 두껍게 만듭니다(과각화 현상).5
- 두꺼워진 각질층이 모공의 입구를 막아버립니다.
- 새로 자라나는 털이 두꺼운 각질을 뚫지 못하고 피부 안쪽으로 파고들거나 말리면서 인그로운 헤어가 발생합니다.1
- 막히고 손상된 모낭에 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이 침투하면 염증, 부기, 고름 등을 동반하는 모낭염으로 발전합니다.1
이 외에도 극심한 통증2, 피부 표피 박탈, 핫 왁스의 온도 조절 실패로 인한 화상, 염증 후 색소침착(갈색 자국)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1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왁싱 전: 피부를 완전히 깨끗하고 건조하게 만듭니다. 털 길이는 왁스가 잘 붙을 수 있는 약 0.5cm가 이상적입니다.
- 왁싱 중: 왁스를 뗄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당깁니다. 털이 자란 반대 방향으로, 피부와 평행하게, 빠르고 단호하게 떼어냅니다.
- 왁싱 후 (가장 중요): 즉시 냉찜질 팩이나 전용 진정 제품으로 피부를 진정시킵니다. 자극 없는 로션이나 크림으로 보습합니다. 약 2~3일 후부터 부드러운 각질 제거를 시작하여 주 2~3회 꾸준히 시행합니다. 이것이 두꺼워진 각질을 제거하고 인그로운 헤어를 예방하는 가장 핵심적인 단계입니다.1 또한, 마찰과 자극을 피하기 위해 헐렁하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5
4. 면도: 올바른 방법 사용 시 가장 안전한 임시방편
면도는 가장 간단하고, 빠르며,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입니다. 날카로운 면도날을 이용해 피부 표면 바로 위의 털을 잘라내는 방식입니다. 효과가 1~2일로 매우 짧고, 잘린 단면 때문에 털이 더 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올바르게 시행한다면 침습성 측면에서 가장 안전한 선택입니다.
주요 위험은 피부 자극(razor burn), 베임이나 긁힘, 그리고 비위생적인 면도날이나 과도한 마찰로 인한 세균성 모낭염입니다.2 안전하고 효과적인 면도를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항상 새롭고, 날카로우며, 깨끗한 면도날을 사용합니다. 면도기 공유는 절대 금물입니다.
- 면도 전 따뜻한 물로 몇 분간 피부와 털을 부드럽게 만듭니다.
- 민감성 피부를 위한 전용 쉐이빙 폼이나 젤을 사용하여 면도날과 피부 사이의 보호막을 만들어줍니다.
-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털이 자라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면도합니다.
- 면도 후에는 시원한 물로 씻어내고 알코올이 없는 순한 보습제를 바릅니다.
부작용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종합 가이드
성공적인 셀프 제모는 부작용 관리에서 완성됩니다. 사용자의 가장 깊은 우려를 해결하고, KRHOW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1. 인그로운 헤어 (Pseudofolliculitis) 집중 탐구
- 원인: 앞서 설명했듯, 왁싱이나 족집게 사용 후 죽은 각질 세포가 쌓여 모공을 막으면서, 새로 자라는 털이 피부를 뚫지 못하고 안으로 말려 들어가는 현상입니다.1
- 예방 전략:
- 관리 방법:
⚠️ 중요 경고: 손, 족집게, 바늘 등 날카로운 도구로 인그로운 헤어를 짜거나 파내려고 시도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이 행위는 세균을 피부 깊숙이 밀어 넣어 심각한 감염이나 농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영구적인 색소침착이나 패인 흉터를 남길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5
가벼운 경우, 따뜻한 수건으로 온찜질하여 피부와 모낭을 부드럽게 만든 후 부드러운 각질 제거를 계속합니다. 만약 상태가 나아지지 않거나 병변이 커지고 통증과 고름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의사는 소독된 기구로 털을 빼내고, 필요시 항염증제나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6
2. 모낭염 및 피부 자극 관리
- 원인: 모낭염은 면도, 왁싱 등으로 손상되거나 자극받은 모낭에 세균(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1
- 예방: 위생이 핵심입니다. 피부와 제모 도구(면도기, 레이저 기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제모 후에는 꽉 끼는 옷이나 땀 흡수가 안 되는 소재의 옷을 피하고, 모낭이 회복될 시간을 주기 위해 24~48시간 동안은 땀을 많이 흘리는 활동, 수영, 사우나 등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20
- 자가 관리 (경미한 경우): 염증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비처방 항생제 연고를 얇게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
- 의사 진료가 필요한 경우: 염증이 넓게 퍼지거나, 큰 덩어리를 형성하거나, 통증이 심하고 고름이 많거나, 발열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될 경우,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경구 항생제 등으로 치료받아야 합니다.
3. 염증 후 색소침착 (PIH) 예방
- 원인: 염증 후 과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은 면도날에 베인 상처, 레이저/왁싱으로 인한 화상, 제모 크림의 화학적 자극, 모낭염 등 모든 종류의 피부 손상 및 염증에 대한 자연스러운 방어 반응입니다. 손상 부위에서 멜라닌 색소가 과다 생성되어, 상처가 아문 자리에 거뭇한 흔적을 남기는 것입니다.2
- 예방: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제모 크림을 사용하면 정말 안전한가요?
A: 통증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국소비자원의 통계에 따르면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염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방법입니다.12 따라서 민감성 피부라면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고, 사용하더라도 반드시 24시간 패치 테스트를 거쳐야 안전합니다.
Q: 인그로운 헤어는 그냥 두면 저절로 없어지나요?
A: 가벼운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지속적인 각질 관리 없이는 개선되기 어렵습니다. 특히 손으로 짜거나 파내면 2차 감염 및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절대 금물입니다.5 증상이 심하다면 피부과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결론
집에서 하는 음모 제모에 ‘최고의’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최적의 선택은 개인의 피부 타입, 털의 색과 굵기, 통증을 견디는 정도, 예산, 그리고 사후 관리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과 노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장기적인 효과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면, 숙련된 전문가가 시술하는 의료기관의 레이저 제모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선택지입니다.19 만약 집에서 직접 관리하기로 결정했다면, 가장 덜 침습적인 면도부터 시작하여 피부의 반응을 살핀 후 왁싱이나 가정용 레이저 같은 더 복잡한 방법으로 넘어가는 것을 권장합니다. 무엇보다 즉각적인 효과보다는 피부의 안전을 항상 최우선에 두어야 합니다. 조급한 마음에 관리 단계를 생략하는 것이 흉터나 색소침착과 같은 장기적인 후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최종 안전 점검 목록 (체크리스트)
반드시 하세요 (DOs)
- ✅ 제품 사용 설명서를 항상 꼼꼼히 읽기.
- ✅ 제모 크림, 왁스 사용 전 24시간 패치 테스트 진행하기.
- ✅ 피부와 사용 도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기.
- ✅ 제모 직후에는 반드시 피부를 진정시키고 보습하기.
- ✅ 시술 후에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철저히 보호하기.
절대 하지 마세요 (DON’Ts)
- ❌ 상처, 염증, 햇볕에 탄 피부 등 문제가 있는 부위에는 제모하지 않기.
- ❌ 인그로운 헤어를 손이나 족집게로 절대 짜거나 파내지 않기.
- ❌ 가정용 레이저 사용 후 냉각(쿨링) 단계를 건너뛰지 않기.
- ❌ 제모 직후 알코올, 강한 향료, 강한 각질 제거 성분이 든 제품 사용하지 않기.
참고 문헌
- 브라질리언 왁싱 후 ‘인그로운’ 막으려면 –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030602144
- 제모의 종류와 장단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channel.aptner.co.kr/channel/view?ch_id=1384
- 밀까? 뽑을까? 제모방법별 장단점, 제대로 알자 : 다나와 DPG는 내맘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4&listSeq=4764948
- 브라질리언 왁싱 후 관리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 숨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oomgo.com/questions/2449
- 브라질리언 왁싱 고민된다면, 브라질리언 왁싱 부작용부터 관리법까지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e7bb8a02e3ad4edcaa9ef4db3d6ef2ba
- 브라질리언 왁싱 후 ‘Y존’ 건강?청결 지키려면… – 하이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613
- 왁싱 – 나무위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u.wiki/w/%EC%99%81%EC%8B%B1
- 여름 왔다,,, 인그로운헤어 안생기는 제모 방법+뒤꿈치 색소침착 제거 방법!!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youtube.com/watch?v=-XE0a9PGdiE&pp=ygUQI-ygnOuqqO2VmOuKlOuylQ%3D%3D
- Hair Removal – Keautifu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eautiful.com/collections/hair-removal
- Body Nature Hair Remover WaX Strips (Choose 1 of 2 Types) (16 Sheets) – Joom,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oom.com/en/products/668df12253a1d20184b4261e
- Bodynatur Clean Beauty Hair Removal Wax Strips Face 12EA | OLIVE YOUNG Glob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m.global.oliveyoung.com/product/detail?prdtNo=GA220615162
- 한국소비자원 > 소비자뉴스 > 소비자안전주의보 > 상세보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ca.go.kr/home/sub.do?menukey=4006&mode=view&no=1002071040
- 식약처, ‘제모제’ 올바른 사용 방법 안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fds.go.kr/brd/99/down.do?brd_id=ntc0021&seq=48334&data_tp=A&file_seq=2
- 식품의약품안전처>알림>언론홍보자료>보도자료 – 상세보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7505&srchFr=&srchTo=&srchWord=%EB%A7%88%EC%95%BD&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e=4
- 여름철 ‘제모제’ 안전 사용법…생리전후, 임산부 사용 금지 – 현대건강신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news.kr/news/view.php?no=63918
- 제모크림 – 나무위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u.wiki/w/%EC%A0%9C%EB%AA%A8%ED%81%AC%EB%A6%BC
- 집에서 제모를? 화상·물집 조심하세요 [뷰티 시크릿] –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51702009
- [이해나 기자의 ‘딱 좋은 건강기기’] (2)레이저 제모기, ‘따끔’하지 않게 쓰려면… – 헬스조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5072101215
- Laser hair removal: FAQs –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ad.org/public/cosmetic/hair-removal/laser-hair-removal-faqs
- 부위별 제모 관리 > 스킨케어 > 클리니크 후즈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cliniquehushu.com/care/page02.html
- 털 없애려다 살까지 녹일라…제모크림 부작용 피해 잇따라 – 한국경제,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ankyung.com/article/200907024913g
- 제모의 계절… 안전 인증받은 레이저 기기 쓰세요 – 국민일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100414
- Aesthetic Procedures in Office Practice – AAF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09/1201/p1231.html
- 면도기·왁싱·크림…제모 방법별 주의사항 – 헬스중앙,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573
- 여름철도 자신있게 제모제 올바른 사용법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zKI6jwPn4FM
- Laser hair removal – Mayo Clini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laser-hair-removal/about/pac-20394555
- 가정용 레이저 제모기! 피부 미백도 가능할까? 같은 IPL 이라도..!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Q5D88-c39o0
- Laser hair removal for Fitzpatrick skin types III-V: efficacy and safety in Asian skin—a meta-analysis of 10 RCTs – Journal of Cosmetic Medicin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jcosmetmed.org/journal/view.html?pn=current_issue&uid=171&vmd=Full
- 가정용 레이저 제모기, 반복 사용해도 안전할까? – 닥터생각,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thinkdocto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18
- 레이저 제모 후 모낭염 안 생기게 관리하는 법 (피부과에서 이렇게 해줍니다..)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shorts/-SxFieoNZFI
- Skincare Routine After Laser Hair Removal: Do’s & Don’ts – Germain Dermatolog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germaindermatology.com/skincare-routine-after-laser-hair-removal-dos-donts/
- 새소식 | 커뮤니티 | 차앤박피부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npskin.com/m/cnp/community/news/family.html?bmain=view&uid=1495&jijummid=cnpskin03
- [시술 후 주의사항] 레이저 제모 편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1EVrC2Uu97E
- 레이저 제모 후 관리 몰랐던 부분까지 알려드립니다 – YouTub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ukJNaYKD1oI
- 피부과, 가정용 레이저 제모기 인기에 한숨 – 메디칼타임즈,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95208
- Laser Hair Removal Guide – Mayoral Dermatolog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ralderm.com/laser-hair-removal-guide/
- 모낭염, 접촉피부염, 색소침착 등 부작용 방지하는 올바른 셀프 제모법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kPJsM-Dx_wU
- 의료진소개 – 피부과전문의 슈퍼스타피부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uperskin.co.kr/intro/intro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