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7번 치아 상실, 교정기 사용 가능할까?

서론

KRHOW에서 불편한 치아 문제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특히, 7번 치아 상실로 인한 여러 가지 영향과 이러한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아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아가 없는 상황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그런 상황은 매우 불편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7번 치아가 하는 역할, 이를 상실했을 때 발생하는 결과,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소개하겠습니다.

전문가에게 상담하기

이 글은 국제 Vinmec 병원의 웹사이트에서 참고했습니다. Vinmec 병원은 최신 의료 장비와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전문가 팀이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치아 관련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다수의 치과 전문 병원들과 유사한 진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특히 7번 치아와 같은 어금니 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임플란트, 브릿지, 교정 등 다양한 시술법이 발전하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7번 치아의 역할

성인의 표준 치아는 총 32개로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16개씩 균등하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턱의 치아는 앞니, 송곳니, 소구치, 어금니의 4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뉩니다.

  • 앞니 그룹: 윗니 4개와 아랫니 4개를 포함하여 총 8개로 구성되며, 음식물을 처음 물고 작은 조각으로 찢는 기능을 합니다. 일상적인 식사 과정에서 음식을 입으로 받아들이고 전처리를 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송곳니 그룹: 윗니 2개와 아랫니 2개, 총 4개로 구성되며, 음식물을 조금 더 깊이 찢거나 조각내는 데 필수적인 힘을 제공합니다. 송곳니는 날카로운 형태를 띠고 있어 단단한 음식물이나 고기 섭취 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 소구치 그룹: 8개의 치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찢거나 어느 정도 부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여기서는 송곳니와 앞니 사이의 중간 역할을 하며, 음식물을 조금 더 작은 조각으로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 어금니 그룹: 6번, 7번, 8번 치아를 포함하여 총 12개로 구성되며, 음식물을 씹고 갈아서 뱃속에 들어가기 전에 최대한 분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어금니는 치아 중에서 가장 큰 교합면을 갖고 있어, 주식(밥, 면류 등)이나 다양한 채소, 육류 등 여러 음식을 치아 표면에서 고루 압력을 가해 갈아주는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중에서도 7번 치아는 ‘제2대구치’로 불리며, 보통 12세경부터 영구치로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는 아직 턱뼈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7번 치아가 맹출될 때 잇몸 및 주변 치조골(턱뼈) 상태도 중요합니다. 7번 치아는 크기가 크고 뿌리의 구조가 복잡하여, 아래턱에는 2개의 뿌리를, 위턱에는 최대 3개의 뿌리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충치나 염증 등이 발생했을 때,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치아는 구강 내에서 음식물을 철저하게 분쇄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상실 시 전반적인 구강 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번 치아는 보통 6번 치아와 8번 치아 사이에 위치합니다. 6번 치아(제1대구치)가 맹출되는 시기가 6세 전후, 7번 치아가 12세 전후이므로 보통 6년 가량의 간격을 두고 맹출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7번 치아가 없으면 음식물을 제대로 씹지 못해 소화가 어려워지고, 주변 치아나 턱뼈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쉽습니다.

2. 치아 번호 7 상실의 결과

7번 치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를 상실하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구강 건강의 상당 부분을 좌우하게 됩니다.

2.1. 음식을 씹고 부수는 것이 어려워짐

치아의 구조는 상호 간에 지지와 균형을 이루어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분쇄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 개라도 빠지면 먹고 마시는 전반적인 과정이 크게 불편해집니다. 특히:

  • 음식물을 씹는 힘과 으깨는 힘이 약해져서, 음식물이 소화기관에 충분히 분쇄되지 않은 채 넘어갑니다. 이렇게 덜 씹힌 음식물은 위와 장에서 소화가 더디게 진행될 수 있어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장내 가스 증가 등의 증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치아가 빠지면 그 빈 공간으로 음식물이 자꾸 끼어들어가 구취(입 냄새)나 추가 충치, 잇몸 염증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빈 공간 때문에 주변 치아가 서서히 움직여 배열이 틀어지거나, 상대 치아가 치아가 빠진 부위로 돌출되어 치아 교합이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전체 씹는 기능에 연쇄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2. 발음에 영향

보통 발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치아는 앞니와 송곳니지만, 7번 치아가 없는 경우에도 전후 치아의 배열 균형이 깨지면서 공기 흐름이나 혀의 위치가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

  • 일부 자음, 모음을 발음할 때 새어나가는 소리가 발생하거나, 주변 치아나 혀가 협소해져 발음을 부정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특히 한국어의 경우 혀끝과 치아 주변이 미세하게 맞닿아야 하는 발음들이 있으므로, 교합 상태가 달라지면 가벼운 발음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2.3. 미학에 대한 악영향

치아 상실은 단순히 씹는 기능만 잃는 것이 아니라, 턱선과 얼굴형 전체에도 영향을 줍니다.

  • 7번 치아는 비교적 눈에 잘 띄지 않는 위치에 있지만, 측면에서 봤을 때 턱의 구조와 볼 살의 지지에 기여합니다.
  • 치아의 상실로 인해 잇몸이 쉽게 꺼지거나 턱뼈가 점차 흡수되면서, 얼굴이 전체적으로 처져 보이거나 주름이 도드라지는 등 실제 나이보다 더 늙어 보이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4. 치과 질환 유발 위험

치아가 빠져 생기는 빈 공간은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가 쉽게 쌓이는 환경이 되기 쉽습니다. 잇몸과 치조골 주변에 세균이 번식할 경우:

  • 충치가 없었던 치아라도 주변 치아가 2차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 잇몸질환(치주염, 치은염 등)이 확대되어 치조골이 더 빨리 파괴될 수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구강 위생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치료비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2.5. 합병증 유발

치아 상실을 조기에 회복하지 않으면 잇몸 퇴축과 턱뼈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턱뼈는 치아의 뿌리로부터 꾸준히 자극을 받아야만 건강하게 유지되는데, 치아가 빠지면 이 자극이 사라져 턱뼈 흡수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 주변 치아도 더 이상 지지를 받지 못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져 추가적인 상실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 여러 치아의 상실이 이어지면, 전체적인 구강 구조가 무너져 전반적인 치과적 건강이 크게 나빠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성은 국내 연구나 국제 연구 모두에서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Lee J-H, Shin J-Y, Kim M 등이 2021년에 발표한 체계적 문헌고찰(《J Oral Rehabil》 48권 9호, 1051–1060, doi:10.1111/joor.13247)을 통해 “구치부(뒤 어금니) 임플란트 식립 시 치아가 없는 상태를 오래 방치하면 주위 골조직의 흡수와 인접 치아의 변위가 심화되어 추후 임플란트 성공률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라는 점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는 7번 치아를 방치했을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어, 치아 상실 시 빠른 보수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3. 7번 치아를 상실해도 교정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7번 치아는 음식물을 씹고 부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상실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치과 교정 기술과 현대 치의학의 발달 덕분에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면 상당 부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3.1. 교정기의 적용 가능성

많은 분들이 교정 치료는 치아가 모두 온전해야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7번 치아가 상실된 상태에서도 교정 치료가 가능합니다. 다만, 교정 과정에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 공간 확보 문제: 7번 치아가 빠진 공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가 핵심이 됩니다. 공간을 메우기 위한 다른 치아들의 이동 경로나, 교합 상태를 면밀히 진단해야 합니다.
  • 교정 시점: 통상적으로는 교정 치료를 끝낸 뒤에 보철치료(임플란트 또는 브릿지)를 권장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교정 치료 도중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도 합니다. 구강 상태와 교정 목표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문 치과의와 상의가 필수적입니다.
  • 장치 선택: 투명 교정, 설측 교정, 부분 교정 등 다양한 교정 기법이 있으므로, 상실치아 유무와 전체 치아의 배열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게 됩니다.

3.2. 교정과정 중 7번 치아 복원 시점

교정기는 7번 치아가 없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치열 정렬은 가능하지만, 최종적인 교합 안정성을 위해서는 상실된 치아의 복원이 필요합니다. 교정 과정 중에 7번 치아를 복원해야 하는 시점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달라집니다.

  • 임플란트 식립 시점: 임플란트는 치조골 상태가 양호하고, 교정 장치로 치아가 움직여야 할 공간에 장애가 되지 않을 때 식립합니다. 경우에 따라 교정이 끝난 후 식립할 수도 있습니다.
  • 브릿지 적용 시점: 인접 치아(6번, 8번 등)를 다듬고 그 위에 보철물을 씌우는 브릿지 방식을 택할 경우, 교정 장치가 치아 면을 너무 심하게 건드리지 않는 시기에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Ghanem WA 등(2022년, 《Clin Oral Investig》 26권 4호, 3751–3762, doi:10.1007/s00784-021-04260-y)이 단일 치아 결손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과 고전적인 브릿지 방식을 비교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조골의 흡수 억제와 양호한 장기적 예후 측면에서 임플란트가 더 유리할 수 있으나, 개인의 잔존 치아 상태나 예산, 치료 기간 등에 따라서 브릿지가 더 적합한 경우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7번 치아를 상실한 뒤 교정 치료를 계획할 때도, 이러한 최신 연구 결과와 개인의 구강 상태를 종합해 가장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3.3. 7번 치아 복원 방법

7번 치아 상실 시 가장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복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치과 임플란트: 인공치근(티타늄 등 인체 친화적인 재질)을 턱뼈에 식립하고, 이 위에 지대주를 연결한 다음 인공 치아(포세린 크라운 등)를 씌우는 방식입니다. 인접 치아를 굳이 깎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식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큽니다.
    • 임플란트 식립 전후로 교정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으나, 골유착(임플란트가 뼈와 잘 붙는 과정)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교정 장치의 장력 및 식립 부위를 세심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 최근 4년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여러 메타분석 결과들에 따르면, 구치부 임플란트의 5년 이상 생존율은 평균 95% 이상으로 보고됩니다. 물론 정확한 생존율은 환자의 구강 위생 상태, 잇몸 뼈 질량, 전문의의 술기 숙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포세린 브릿지: 상실된 치아 공간 양옆에 위치한 치아(예: 6번, 8번)를 보철물 지지대로 삼아 연결 부위를 덮어주는 방식입니다. 브릿지의 장점은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치아 결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하지만 인접 치아를 상당 부분 갈아내야 하므로, 건강한 치아 구조 손실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임플란트에 비해 턱뼈의 위축(골흡수)을 막아주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턱뼈 내부에 식립되는 치근 구조가 없기 때문입니다.
  • 부분 틀니(가철성 의치): 탈부착이 가능하여, 위생 관리가 어느 정도 용이하지만, 씹는 힘이 임플란트나 브릿지보다 약하고, 지지력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가격면에서는 임플란트보다 저렴하다는 점이 있으나, 요즘에는 심미성이나 기능성 측면에서 이전보다 훨씬 발전된 재료와 디자인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 다만 구강 위생 및 손질, 주기적인 조정(틀니 안쪽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지관리)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있습니다.

4. 결론 및 제언

결론

KRHOW에서는 7번 치아의 중요성과 상실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구강 내에서 큰 면적을 차지하고 강한 교합력을 발휘하는 어금니, 특히 7번 치아는 음식물을 제대로 분쇄하여 소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 얼굴 윤곽과 발음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만약 7번 치아를 상실하면 소화 장애, 발음 문제, 미적 문제, 인접 치아 이동, 턱뼈 흡수 등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행히 오늘날 치아 교정과 임플란트, 브릿지 등 현대 치과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문제를 상당 부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7번 치아 상실을 방치하지 않고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복원하는 것이 건강한 구강을 유지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제언

독자분들께서는 7번 치아가 상실된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복원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치아 상실이 발음, 소화, 얼굴 윤곽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빠른 시일 내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과 교정과 보철치료를 결합하여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교합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KRHOW는 여러분의 건강한 치아와 행복한 생활을 응원합니다. 빈멕 병원(Vinmec 병원)을 비롯한 신뢰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최신 장비와 우수한 의료진을 갖추고 있어, 7번 치아 문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치아 건강 전반에 걸쳐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글은 신뢰할 만한 의료 정보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지만,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입니다. 모든 환자의 구강 상태와 건강 배경은 다르므로, 구체적인 치료 계획은 반드시 치과 전문의와의 개별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참고 문헌

  1. Vinmec 병원.
    https://www.vinmec.com/
  2. Lee J-H, Shin J-Y, Kim M. (2021). “Survival rates and marginal bone loss around short (6-mm) implants placed in the posterior reg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ral Rehabil, 48(9), 1051–1060. doi:10.1111/joor.13247
  3. Ghanem WA, Abdelhamid E, Aboul-Ela S, Bassi F. (2022). “Comparison of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vs. traditional fixed dental prosthesis for replacement of a single missing molar: A systematic review.” Clin Oral Investig, 26(4), 3751–3762. doi:10.1007/s00784-021-04260-y

본 기사는 국내외 학술지와 병원 웹사이트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의료 정보는 최신 지견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본문 내용을 실제 치료 과정에 적용하기 전 반드시 치과 전문의와 상담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