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혀 피어싱이 치아와 잇몸에 미치는 영향: 상세 보고서

혀 피어싱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장신구를 착용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1 한국 내에서도 과거에 비해 피어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점차 완화되면서, 혀 피어싱을 포함한 다양한 신체 장식에 대한 관심과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2 이러한 현상은 혀 피어싱을 단순한 미용 목적이나 독특한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여기는 경향을 반영합니다. 일부에서는 성적 매력을 높이기 위한 동기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그러나 혀 피어싱의 대중화와 문화적 수용이 증가하는 이면에는 심각한 구강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부족이라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서구권과 같이 피어싱 문화가 비교적 일찍 자리 잡은 국가에서도 상당수의 사람들이 피어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합니다.4 한국 역시 혀 피어싱이 패션의 일부로 여겨지면서2, 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개인이 장기적인 건강상의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결정을 내릴 수 있음을 시사하며, 공중 보건학적 관점에서 우려되는 지점입니다.

I. 서론: 혀 피어싱, 아름다움 뒤에 숨겨진 구강 건강의 위험

A. 혀 피어싱의 현황과 동기

혀 피어싱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장신구를 착용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1 한국 내에서도 과거에 비해 피어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점차 완화되면서, 혀 피어싱을 포함한 다양한 신체 장식에 대한 관심과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2 이러한 현상은 혀 피어싱을 단순한 미용 목적이나 독특한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여기는 경향을 반영합니다. 일부에서는 성적 매력을 높이기 위한 동기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그러나 혀 피어싱의 대중화와 문화적 수용이 증가하는 이면에는 심각한 구강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부족이라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서구권과 같이 피어싱 문화가 비교적 일찍 자리 잡은 국가에서도 상당수의 사람들이 피어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합니다.4 한국 역시 혀 피어싱이 패션의 일부로 여겨지면서2, 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개인이 장기적인 건강상의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결정을 내릴 수 있음을 시사하며, 공중 보건학적 관점에서 우려되는 지점입니다.

B. 보고서의 목적과 중요성

본 보고서는 혀 피어싱이 치아, 잇몸을 비롯한 구강 조직과 전신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부정적 영향에 대해 과학적 근거와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위험성을 명확히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단순한 위험 나열을 넘어, 손상 발생 기전, 합병증의 심각성, 그리고 이를 예방하거나 이미 발생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혀 피어싱과 관련하여 정보에 입각한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를 비롯한 다수의 공신력 있는 보건 전문가 단체들은 혀 피어싱을 포함한 구강 내 피어싱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며, 이는 혀 피어싱이 단순한 미용 행위를 넘어 심각한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할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합니다.1 따라서 본 보고서는 혀 피어싱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구강 건강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II. 혀 피어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즉각적 및 단기적 문제점

A. 시술 과정 및 직후의 일반적인 합병증

혀 피어싱 시술은 대부분 국소 마취 없이 진행되므로, 시술 중 상당한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5 시술 직후에는 혀가 눈에 띄게 붓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신체의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으나 과도한 부기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6 혀는 혈관이 매우 풍부하게 분포된 조직이기 때문에 피어싱 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될 경우 예상보다 많은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저혈압성 쇼크와 같은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1

많은 사람들이 혀 피어싱을 귀걸이와 유사한 가벼운 시술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명백한 오해입니다. 혀 피어싱은 고도로 움직임이 많고, 혈관이 풍부하며, 수많은 세균이 상주하는 민감한 구강 내 조직에 직접적인 외상을 가하는 침습적인 행위입니다.7 따라서 시술 초기 단계부터 상당한 불편감과 위험이 따를 수 있음을 인지하고, 구강 해부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갖춘 전문가에게 시술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5 시술자의 미숙함은 초기 합병증의 위험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B. 초기 감염의 위험성

구강은 수백만 종의 세균이 공존하는 복잡한 생태계로, 혀 피어싱으로 인해 생긴 개방된 상처는 이러한 세균들이 체내로 침투하는 직접적인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1 특히 시술 환경의 위생 상태가 불량하거나8, 시술 후 권장되는 구강 위생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4, 감염의 위험은 현저히 증가합니다. 초기 감염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어싱 부위의 지속적인 발적, 심한 통증, 열감, 그리고 노랗거나 녹색을 띠는 고름과 같은 분비물 등이 관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신 발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6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C. 기도 폐쇄의 가능성

혀 피어싱 후 발생하는 심한 부기는 기도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응급 상황입니다.1 특히, 루드비히 안지나(Ludwig’s angina)와 같이 혀와 구강저(입 바닥) 조직에 발생하는 심각한 세균 감염은 극심한 부기를 동반하여 기도를 완전히 막을 수도 있습니다.1 이러한 합병증은 즉각적인 의료 개입을 필요로 합니다.

III.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치아 및 잇몸 손상

A. 치아 손상

기전

혀 피어싱 장신구, 특히 단단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장신구는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는 일상적인 구강 활동 중에 치아와 반복적으로 부딪히거나 마찰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물리적 자극은 치아에 다양한 형태의 손상을 유발합니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의 한 대변인은 이러한 현상을 “입안의 작은 레킹볼(철거용 쇠뭉치)”에 비유하며 그 파괴적인 잠재력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2

치아 파절, 균열

혀 피어싱 장신구와의 반복적인 충돌은 치아 표면에 미세한 균열을 만들거나, 심한 경우 치아의 일부 또는 전체가 깨지거나 부러지는 파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한 연구에서는 혀 피어싱을 4년 이상 착용한 사람 중 47%가 치아 파절을 경험했다고 보고했으며9, 또 다른 메타 분석 연구에서는 구강 피어싱을 한 경우 치아 파절 유병률이 34%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10 이러한 손상은 통증, 시린 증상, 음식물 저작의 어려움 등을 유발하며, 손상 정도에 따라 신경 치료나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법랑질 마모 및 손상

장신구와 치아 표면의 지속적인 마찰은 치아의 가장 바깥층인 단단한 법랑질(에나멜)을 점진적으로 마모시킵니다. 법랑질이 마모되면 내부의 상아질이 노출되어 치아가 외부 자극에 민감해지고(시린 증상), 충치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5 한 비교 연구에서는 혀 피어싱을 한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법랑질 균열(Enamel Cracks, EC)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으며(각각 15% 대 4.5%), 법랑질 표면의 미세한 금인 법랑질 열구(Enamel Fissures, EF)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났습니다.11

치열 구조 변화

매우 드물지만, 혀 피어싱 장신구가 장기간에 걸쳐 특정 치아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할 경우, 마치 교정 장치처럼 작용하여 치아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치열 전체의 배열이 틀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12

손상 유형 주요 내용 및 관련 연구 결과 (유병률 등) 출처 예시
치아 파절 (Fracture) 혀 피어싱 착용자의 34% (메타 분석), 4년 이상 착용 시 47%에서 관찰됨. 장신구와의 직접적인 충돌로 발생. 9
치아 균열 (Cracks) 혀 피어싱 그룹에서 15% 관찰 (대조군 4.5%). 장신구의 반복적인 미세 충격으로 발생. 11
법랑질 마모 (Wear) 장신구와의 지속적인 마찰로 법랑질 손실. 치아 민감도 증가 및 우식 취약성 증가. 5
치아 변위 (Displacement) 드물지만 장기간의 압력으로 치아 이동 또는 치열 변화 가능성. 12

이 표는 다양한 연구에서 보고된 혀 피어싱으로 인한 치아 손상의 심각성과 빈도를 요약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관련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정보의 신뢰성을 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B. 잇몸 및 치주 조직 손상

기전

혀 피어싱 장신구는 잇몸에 지속적인 기계적 자극(마찰, 압력)을 가합니다. 또한, 장신구 주변은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쉽게 축적되어 치태(플라크)가 형성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치태 내 세균들은 독소를 분비하여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고, 장기적으로는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 조직의 파괴를 유발합니다.15

잇몸 퇴축

잇몸 퇴축은 혀 피어싱으로 인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아래 앞니의 혀 안쪽(설측) 잇몸이 장신구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해 점차 아래로 내려앉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1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혀 피어싱을 한 경우, 피어싱과 인접한 치아에서 잇몸 퇴축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고 보고된 연구가 4개 중 4개 모두였다고 밝혔습니다.13 또 다른 연구에서는 혀 피어싱을 한 사람의 44%에서 잇몸 퇴축이 확인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14 잇몸이 퇴축되면 치아 뿌리가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나타나고, 치경부 마모 및 우식의 위험이 증가하며, 심미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치주낭 증가, 치조골 소실 및 치주 질환

잇몸 퇴축과 함께,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인 치주낭(periodontal pocket)이 깊어지고, 치아를 단단히 지지하고 있는 뼈인 치조골(alveolar bone)이 소실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결국 만성 치주 질환(풍치)으로 이어져 치아가 흔들리고 심한 경우 발치해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습니다. 스위스 바젤대학 연구팀은 혀 피어싱을 한 그룹에서 염증, 출혈, 치아 흔들림 등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그룹이 입술 피어싱을 한 그룹보다 잇몸 질환 발생 확률이 더 높다고 보고했습니다.15

잇몸 염증 및 출혈

피어싱 장신구 주변의 잇몸은 만성적인 자극과 세균 감염으로 인해 쉽게 붉어지고 붓는 염증 상태가 되며, 칫솔질이나 가벼운 자극에도 출혈이 발생하기 쉽습니다.15

혀 피어싱으로 인한 치주 조직의 손상은 단순히 일시적인 염증에 그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벨기에의 한 치과의사 버나드 루아 박사가 보고한 증례에 따르면, 8~10년간 혀 피어싱을 착용한 환자의 경우 피어싱 제거 후에도 농양이 발견되고 치아 뿌리가 흔들리는 등 심각한 잇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손실된 조직의 완전한 재생은 불가능했다고 합니다.15 이는 치주 조직, 특히 치조골과 같이 한번 파괴되면 자연적인 회복이 매우 어려운 조직의 특성 때문입니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외과적 치주 치료를 통해서도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15, 치아의 장기적인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혀 피어싱이 단순한 치아의 외형적 손상을 넘어, 치아를 지지하는 근본적인 구조를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결국 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이는 피어싱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IV. 감염의 위험: 국소 감염부터 전신 합병증까지

A. 구강 내 세균 환경과 피어싱

입안은 수억에서 수십억 마리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서식하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입니다. 이러한 구강 내 세균들은 평소에는 균형을 이루며 존재하지만, 혀 피어싱으로 인해 점막의 방어벽이 파괴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1 피어싱으로 생긴 상처는 세균이 인체 내부로 직접 침투할 수 있는 이상적인 통로를 제공하여 감염에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됩니다. 더욱이, 혀에 착용하는 피어싱 장신구 자체도 세균이 증식하고 바이오필름(세균막)을 형성하는 일종의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7 연구에 따르면, 장신구의 재질에 따라 세균 부착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장신구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계열 재질보다 세균 부착이 더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6 이는 장신구 재질 선택이 감염 위험 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B. 주요 감염균 및 감염 경로

혀 피어싱과 관련된 감염의 주요 원인균은 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이나 연쇄상구균(Streptococcus)과 같은 피부 상재균, 그리고 구강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총입니다.17 이 세균들은 평소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거나 국소적인 감염에 그치지만, 피어싱 상처를 통해 혈류로 직접 침투할 경우 전신적인 감염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3 혀는 혈관이 매우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일단 세균이 혈관으로 들어가면 전신 순환계로 빠르게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C. 심각한 국소 및 전신 감염 사례

혀 피어싱으로 인한 감염은 단순한 국소 염증을 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전신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루드비히 안지나 (Ludwig’s Angina): 이는 구강저(입 바닥)와 턱밑 부위의 연조직에 발생하는 급성 봉와직염으로, 혀와 목 주변 조직이 심하게 부어오르면서 기도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1
  • 심내막염 (Endocarditis): 구강 내 세균이 피어싱 상처를 통해 혈류로 들어가 심장에 도달하여 심장 내막이나 심장 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특히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거나 인공 판막을 가진 경우 그 위험성이 더욱 증가합니다.1 다수의 증례 보고에서 혀 피어싱 시술 후 심내막염이 발생한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17
  • 뇌농양 (Brain Abscess): 감염된 부위의 세균이 혈류를 따라 뇌로 이동하여 뇌 조직 내에 고름집(농양)을 형성하는 매우 치명적인 합병증입니다.7 혀 피어싱 후 소뇌에 농양이 발생하여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18
  • 기타 감염: 위에 언급된 심각한 감염 외에도 파상풍7, 혀 자체의 농양17, 턱밑 림프절염17 등 다양한 국소 및 전신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D. 혈액 매개 질환 전파 위험

혀 피어싱 시술 과정에서의 위생 관리는 국소적인 세균 감염 예방을 넘어, B형 간염, C형 간염, 그리고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와 같은 심각한 혈액 매개 질환의 전파를 막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1 만약 시술에 사용되는 바늘이나 기구가 제대로 멸균되지 않았거나, 시술 환경이 비위생적이라면, 이전 시술자로부터 오염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이러한 바이러스들이 다음 시술자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피어싱 시술은 의도적으로 피부나 점막의 방어벽을 파괴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시술 도구나 시술 환경이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다면, 이 병원균들은 혈류나 심부 조직으로 직접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하게 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피어싱 시술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규제나 위생 관리 기준이 미흡할 수 있어7,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혀 피어싱을 고려하는 개인은 시술자의 미적 감각이나 기술뿐만 아니라, 해당 시술소의 위생 상태와 감염 관리 프로토콜(예: 1회용 바늘 사용 여부, 고압증기멸균기(오토클레이브) 사용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중요한 예방 조치입니다.5 이는 단순한 국소 감염 예방을 넘어, 장기적인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V. 기능적 문제 및 기타 합병증

A. 발음, 저작(씹기), 연하(삼키기) 기능 장애

혀는 말하고, 음식을 씹고, 삼키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복잡한 근육 기관입니다. 혀 피어싱은 이러한 혀의 정상적인 움직임과 기능을 방해하여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발음 장애: 혀에 착용된 장신구는 혀의 정교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음이 부정확해지거나 특정 소리를 내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 특히 ‘ㅅ’, ‘ㄷ’, ‘ㅌ’, ‘ㅈ’과 같이 혀의 정교한 조음이 필요한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19, 이는 의사소통에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 저작 및 연하 곤란: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는 과정 또한 혀 피어싱으로 인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장신구가 음식물과 섞여 씹힐 우려가 있거나, 장신구 자체를 깨물어 치아나 장신구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습니다.1 또한, 삼키는 동안 장신구가 이물감이나 구역질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 타액 분비 증가: 혀 피어싱은 이물질 자극으로 인해 타액(침)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기능적 문제들은 단순히 장신구의 물리적인 부피 때문만이 아닙니다. 혀의 정상적인 운동 범위가 제한되고, 피어싱으로 인한 신경 손상 가능성까지 더해져 감각 입력(미각, 촉각) 및 운동 제어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씹는 방식을 바꾸는 행동19은 일시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적인 소화나 턱관절 장애와 같은 이차적인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음 교정을 위한 언어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19 이는 혀 피어싱의 영향이 정적인 조직 손상을 넘어 동적인 구강 기능 전반에 미치며, 결과적으로 영양 섭취, 의사소통, 그리고 삶의 질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B. 신경 손상

혀 피어싱 시술 과정에서 혀에 분포하는 신경이 손상될 경우 다양한 감각 및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각 변화 및 감각 이상: 가장 흔하게는 미각을 느끼는 기능이 저하되거나 특정 맛을 다르게 느끼는 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혀의 특정 부위가 저리거나 무감각해지는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음식의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하거나 식사 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
  • 운동 장애: 심한 경우 혀의 움직임 자체가 부자연스러워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 손상은 대부분 일시적이지만, 드물게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6
  • 삼차 신경통 (Trigeminal Neuralgia): 매우 드물지만, 혀 피어싱이 얼굴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 중 하나인 삼차 신경에 영향을 미쳐 극심한 안면 통증을 유발하는 삼차 신경통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20 이탈리아의 한 10대 여성은 혀 피어싱 제거 후 이러한 통증이 극적으로 사라졌다고 보고되었습니다.20

C. 장신구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

혀 피어싱에 사용되는 장신구의 금속 재질, 특히 니켈(Nickel) 성분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3 니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니켈 함유 장신구를 착용할 경우, 피어싱 부위 주변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부 발진, 가려움증, 작열감
  • 부기, 붉어짐, 피부색 변화
  • 물집 형성 및 진물

심한 경우 전신적인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즉각적인 의료 처치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7

D. 장신구 흡인 또는 삼킴 위험

혀 피어싱 장신구, 특히 양 끝에 달린 볼(ball) 부분이 헐거워지거나 빠져서 실수로 삼키거나 기도로 흡인될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1 장신구를 삼킨 경우 소화기관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지만, 크기가 크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있는 경우 장폐색이나 천공 등 심각한 소화기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장신구가 기도로 넘어가면 질식을 유발하거나 폐렴과 같은 호흡기계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E. 교정 치료 시 문제점

혀 피어싱은 치아 교정 치료를 받고 있거나 받을 예정인 경우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교정 장치와의 간섭: 피어싱 장신구가 교정 장치(브라켓, 와이어 등)에 걸리거나 부딪혀 장치를 손상시키거나 탈락시킬 수 있습니다.
  • 치아 이동 방해: 장신구가 치아에 불필요한 힘을 가하거나 혀의 정상적인 위치를 변화시켜 의도치 않은 치아 이동을 유발하거나 교정 치료의 진행을 방해하여 치료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1
  • 진단 방해: 구강 내 금속 장신구는 엑스레이(X-ray) 촬영 시 방사선 이미지를 가리거나 왜곡시켜 치과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1

VI. 혀 피어싱 피해 예방 및 안전 관리 지침

A. 피어싱 전 고려사항

위험성 충분히 인지

혀 피어싱을 결정하기 전에,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발생 가능한 모든 잠재적 합병증, 즉 치아 및 잇몸 손상, 급성 및 만성 감염, 기능 장애, 알레르기 반응, 전신 질환 전파 위험 등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21 피어싱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의 영역에 속하지만, 그 선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건강상의 결과에 대한 책임 역시 본인에게 있음을 명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5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및 시술 환경 선택

혀 피어싱 시술은 반드시 경험이 풍부하고 구강 해부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숙련된 피어싱 전문가에게 받아야 합니다.5 시술을 받을 장소를 선택할 때에는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위생 상태: 시술 공간이 청결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적절한 환기 시설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멸균 장비: 1회용 멸균 바늘과 장갑을 사용하는지, 재사용 가능한 기구는 고압증기멸균기(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철저히 멸균 처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8
  • 감염 관리 절차: 시술 전후 피부 소독, 시술자의 손 위생 등 감염 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한국의 경우, 문신이나 피어싱과 같은 신체 장식 시술에 대한 법적 규제나 위생 관리 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거나 미흡할 수 있으므로22, 시술소 선택에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시술 전 시술자에게 관련 자격증이나 교육 수료증 등을 요구하고, 시술 과정 및 사후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B. 안전한 장신구 선택

재질

혀 피어싱 장신구의 재질은 감염, 알레르기 반응, 치아 손상 등의 위험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초기 치유 기간 권장 재질: 피어싱 시술 직후부터 초기 치유 기간(약 4~6주) 동안에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임플란트 등급의 외과용 스테인리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 티타늄(titanium), 니오븀(niobium) 등이 권장됩니다.23
  • 피해야 할 재질: 니켈(Nickel)을 함유한 합금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7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는 주변 조직을 변색시킬 수 있으며, 구강 내 착용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24
  • 치유 후 고려 가능한 재질: 초기 치유가 완료된 후에는 14K 이상의 금(gold), 백금(platinum) 또는 의료용 등급의 비반응성 플라스틱(예: Tygon®, Teflon®) 재질의 장신구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24 그러나 일반적인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재질의 장신구는 표면이 다공성이어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장기간 착용 시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25 다만, 일부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의 장신구가 금속 재질보다 치아에 가해지는 물리적 손상 위험이 적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습니다.26

크기 및 모양

장신구의 크기와 모양 또한 안전과 편안함에 영향을 미칩니다.

  • 초기 장신구 길이: 혀 피어싱 시술 직후에는 혀가 상당히 부을 것을 예상하여, 일반적으로 약간 긴 길이의 바벨(barbell)을 사용합니다.
  • 치유 후 장신구 교체: 붓기가 완전히 가라앉은 후에는(보통 2~4주 후), 치아나 잇몸에 불필요한 자극이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혀 두께에 맞는 적절한 길이의 짧은 바벨로 반드시 교체해야 합니다. 이러한 교체는 숙련된 피어싱 전문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23
  • 일반적인 모양: 혀 피어싱에는 일반적으로 양 끝에 둥근 볼(ball)이 달린 직선형 바벨(straight barbell)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23
재질 생체 적합성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치아/잇몸 손상 위험도 세균 부착 용이성 기타 특징 출처 예시
티타늄 (Titanium) 매우 높음 매우 낮음 낮음~보통 낮음 가볍고, 다양한 색상 가능 (양극산화 처리), 니켈 불포함. 초기 및 장기 착용에 적합. 27
외과용 스테인리스 스틸 높음 낮음 (니켈 함유 가능) 보통 보통 내구성이 좋고 저렴. 니켈 민감성 있는 경우 주의 필요. 초기 착용에 주로 사용. 27
금 (14K 이상) 높음 매우 낮음 낮음~보통 낮음 알레르기 반응 적으나, 순도가 중요. 치유 후 착용 권장. 27
플라스틱/아크릴 (의료용) 보통 매우 낮음 낮음 높음 금속보다 부드러워 치아 손상 위험 적으나, 다공성으로 세균 번식 용이. 장기간 착용 시 위생 관리 중요. 26

이 표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예: 금속 알레르기 유무)과 우려 사항(예: 치아 손상 최소화)에 맞춰 장신구 재질을 선택하는 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합병증 예방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 피어싱 후 관리

초기 치유 기간 (약 4~6주 소요)

혀 피어싱 후 초기 치유 기간은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회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5

  • 붓기 관리: 시술 후 며칠간은 혀가 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붓기를 줄이기 위해 깨끗한 얼음 조각을 입에 물고 있거나 차가운 음료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5 통증과 붓기 조절을 위해 의사나 약사의 지시에 따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28 잘 때는 머리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이 붓기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8
  • 식단 관리: 초기에는 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음식(예: 요거트, 수프, 으깬 감자 등) 위주로 섭취해야 합니다. 맵고, 짜고, 시고, 뜨겁거나, 딱딱하고, 끈적이는 음식은 피어싱 부위를 자극하고 치유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29
  • 구강 접촉 최소화: 피어싱 부위가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일반적으로 최소 3주 이상) 타인과의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한 직접적인 접촉은 피해야 합니다. 이는 세균 감염의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29

구강 위생 관리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는 감염을 예방하고 건강한 치유를 촉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구강 세정: 매 식사 후와 취침 전에는 반드시 알코올 성분이 없는 항균성 구강 세정제 또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멸균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입안을 30~60초간 부드럽게 헹궈야 합니다.6 자가로 소금물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농도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권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28
  • 칫솔질 및 치실 사용: 부드러운 모의 새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와 혀, 그리고 피어싱 장신구 주변을 조심스럽게 닦아야 합니다.6 피어싱 직후에는 새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세균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26 매일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크를 제거해야 합니다.

피해야 할 행동

다음과 같은 행동은 치유를 방해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 장신구 만지거나 가지고 놀기: 손으로 피어싱 부위나 장신구를 자주 만지거나, 혀로 장신구를 밀거나 치아에 부딪히는 등의 행동은 감염 위험을 높이고 치아 및 잇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6
  • 흡연 및 음주: 흡연은 혈액 순환을 저해하고 면역 기능을 약화시켜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며, 감염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알코올 또한 피어싱 부위를 자극하고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29
  • 이물질 씹는 습관: 껌, 손톱, 연필, 안경다리 등 딱딱하거나 세균이 많을 수 있는 이물질을 씹는 습관은 피해야 합니다.26
  • 공공 수영장 및 온수 욕조 이용: 피어싱 부위가 완전히 아물기 전까지는 수영장, 목욕탕, 온수 욕조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물에 들어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될 위험이 있습니다.5
  • 강한 소독제 사용: 과산화수소나 알코올 성분이 강한 소독제는 정상적인 세포까지 손상시켜 오히려 상처 치유를 늦추고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30

장신구 점검 및 교체

피어싱 장신구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매일 깨끗한 손으로 장신구의 볼 부분이 헐거워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풀려 있다면 조심스럽게 다시 조여야 합니다. 이는 장신구를 삼키거나 흡인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6
  • 적절한 시기에 교체: 초기 붓기가 완전히 가라앉은 후에는(보통 2~4주), 원래 착용했던 긴 바벨을 자신의 혀 두께에 맞는 더 짧은 길이의 바벨로 교체해야 합니다. 이는 치아나 잇몸에 대한 불필요한 마찰과 손상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장신구 교체는 반드시 숙련된 피어싱 전문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31

운동 시 주의사항

격렬한 운동이나 접촉이 많은 스포츠 활동 중에는 혀 피어싱 장신구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혀나 주변 조직에 손상을 입히거나, 장신구 자체가 파손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 전에는 장신구를 일시적으로 제거하거나, 제거가 어렵다면 반드시 마우스가드를 착용하여 구강을 보호해야 합니다.6

해야 할 일 (Do’s) 피해야 할 일 (Don’ts)
•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섭취 (초기) 28 • 흡연 및 음주 (치유 기간 중) 28
• 식후 및 취침 전 알코올 없는 구강청결제 또는 생리식염수로 헹구기 28 • 장신구를 손으로 만지거나 가지고 놀기 6
• 부드러운 칫솔과 치실로 구강 위생 관리 6 • 맵고 짜고 뜨겁거나 딱딱한 음식 섭취 (초기) 28
• 붓기 관리를 위해 얼음이나 찬 음료 활용 5 • 치유 전 키스나 구강 성교 32
• 붓기 가라앉은 후 전문가 통해 적절한 크기의 장신구로 교체 28 • 공공 수영장, 온수 욕조 이용 (치유 기간 중) 28
• 장신구 헐거움 여부 정기적 확인 6 • 과산화수소 등 강한 소독제 사용 33
• 감염 증상 발생 시 즉시 전문가 상담 6 • 껌, 손톱 등 이물질 씹는 습관 28
• 운동 시 장신구 제거 또는 마우스가드 착용 6 • 아스피린 등 혈액 희석제 복용 (출혈 시, 전문가와 상의 없이) 28

이 표는 복잡할 수 있는 사후 관리 지침을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합병증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VII. 이미 혀 피어싱을 한 경우: 문제 발생 시 대처 및 전문가 상담

A. 감염 또는 이상 증상 발견 시 대처법

혀 피어싱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감염이나 다른 합병증을 의심하고 신속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감염 증상:

  • 피어싱 부위의 지속적인 붉어짐(발적)이나 주변으로 확산되는 양상
  • 만졌을 때 심한 통증이나 압통, 시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거나 점점 심해지는 부기
  • 노랗거나 녹색을 띠는 고름 같은 분비물, 또는 악취가 나는 분비물
  • 전신적인 발열이나 오한 (국소 감염이 전신으로 퍼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음) 6

초기 대처:

증상이 경미하다고 판단될 경우, 우선 깨끗한 손으로 만지고, 약국에서 판매하는 멸균 생리식염수나 자극이 적은 소독액으로 해당 부위를 부드럽게 세척할 수 있습니다. 이후 항생제 연고를 얇게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3 그러나 이러한 자가 치료에도 불구하고 2~3일 내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된다면, 즉시 치과 의사나 이비인후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주의사항:

감염이 의심될 때 함부로 피어싱 장신구를 제거하면, 상처 입구가 막히면서 내부에서 고름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농양이 형성되거나 감염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지시 없이 임의로 장신구를 제거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33

B. 정기적인 치과 검진의 중요성

혀 피어싱을 한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일반적으로 6개월마다) 치과를 방문하여 구강 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6

  • 조기 발견 및 예방: 치과 의사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미세한 치아 균열, 초기 단계의 잇몸 퇴축, 장신구 주변의 플라크 및 치석 침착, 염증 소견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심각한 문제로 진행되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받거나 예방적인 관리 방법을 조언받을 수 있습니다.
  • 전문적인 관리: 치과에서는 필요한 경우 피어싱 장신구 주변을 포함하여 전문적인 구강 위생 관리를 받을 수 있으며, 개인의 구강 상태에 맞는 맞춤형 관리법을 교육받을 수 있습니다.
  • 진단을 위한 장신구 제거: 정확한 구강 상태 평가를 위해 엑스레이 촬영이나 기타 정밀 검사가 필요할 경우, 일시적으로 피어싱 장신구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치과 의사는 안전하게 장신구를 제거하고 재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거나, 필요한 경우 임시 대체 장신구 사용을 권할 수 있습니다.6

치과 전문가는 환자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관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피어싱 사실을 의료 기록에 포함하고31, 현재 특별한 문제가 없더라도 지속적인 위험 요소에 대해 환자와 소통하며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국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피어싱 관련 합병증 치료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정보를 원한다고 응답한 결과는4, 치과 전문가들 역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식 업데이트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피어싱을 한 환자와 치과 의사 간의 개방적이고 신뢰 있는 소통은 장기적인 구강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C. 전문가 단체의 권고

미국치과의사협회(ADA)를 포함한 세계 여러 주요 치과 전문가 단체들은 혀 피어싱을 포함한 구강 내 피어싱이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건강상의 위험이 잠재적인 미용적 이점보다 훨씬 크다고 판단하여,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술을 권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1

대한치과의사협회와 관련된 국내 언론 보도나 치과 전문가들의 의견 역시 혀 피어싱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습니다.15 이러한 자료들은 공통적으로 혀 피어싱이 치아 파절, 잇몸 질환, 감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구강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가급적 피어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15

VIII. 결론: 현명한 선택과 책임감 있는 관리

A. 혀 피어싱의 위험성 재확인

본 보고서를 통해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혀 피어싱은 일시적인 불편함을 넘어 장기적으로 심각한 구강 및 전신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치아의 파절 및 마모, 회복 불가능한 잇몸 퇴축과 치주 조직 손상, 루드비히 안지나, 심내막염, 뇌농양과 같은 치명적인 감염, 신경 손상으로 인한 미각 상실 및 발음 장애, 알레르기 반응, 장신구의 우발적 삼킴 또는 흡인 등 그 부작용의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합니다. 이러한 위험들은 단순한 미용적 선택의 대가로 치부하기에는 그 심각성이 매우 큽니다.

B. 구강 건강을 위한 최선의 선택

구강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면, 혀 피어싱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현명한 선택입니다.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건강을 담보로 하는 선택은 신중하게 재고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이미 혀 피어싱을 했거나, 모든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한 후에도 시술을 결정했다면,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관리가 반드시 뒤따라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됩니다.

  •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선택: 시술은 반드시 위생적인 환경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받아야 합니다.
  • 안전한 장신구 사용: 생체 적합성이 높은 재질의, 적절한 크기와 모양의 장신구를 선택하고, 붓기가 가라앉은 후에는 반드시 길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 철저한 위생 관리: 피어싱 직후부터 치유 기간 동안 권장되는 구강 위생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치유 후에도 지속적으로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치과 검진: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구강 및 피어싱 상태를 점검받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 이상 증상 시 즉각 대처: 감염이나 기타 이상 증상이 의심될 경우, 자가 치료에 의존하기보다는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혀 피어싱은 개인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2 그러나 그 선택이 장기적인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심대한 영향을 충분히 이해하고, 발생 가능한 모든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질 수 있을 때 비로소 현명하고 책임감 있는 결정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보고서가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구강 관리와 현명한 판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American Dental Association. Oral Piercing/Jewelry. Updated January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ada.org/resources/ada-library/oral-health-topics/oral-piercing-jewelry
  2. 네이버 블로그. ‘혀 피어싱’에 구강건강 구멍 뚫린다. 게시일 2018년 11월 12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blog.naver.com/realkc/221396024297
  3. 김민정, 조은애, 박덕영, 이승표, 이효설. 구강 및 구강 주위 피어싱의 합병증.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14;40(3):141-148. https://accesson.kr/jkaoms/assets/pdf/40038/ART001238229.pdf
  4. 김철 B. 치과의사가 본 입술과 혀의 피어싱. 코리아헬스로그. 게시일 2003년 4월 23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7093
  5. Queensland Government. Oral piercing (Korean). Updated July 2022.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health.qld.gov.au/__data/assets/pdf_file/0034/1359736/oral-piercing-korean.pdf
  6. American Dental Association. Oral Piercings. MouthHealthy.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mouthhealthy.org/all-topics-a-z/oral-piercings
  7. Laskaris G. Complications of oral piercing. Balk J Dent Med. 2016;20(1):9-12. http://balkandentaljournal.com/wp-content/uploads/2016/02/Complications-of-oral-piercing.pdf
  8. 이해나. 리정 따라 ‘입술’ 피어싱? ‘이런’ 부작용 생길 수도. 헬스조선. 게시일 2021년 11월 26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1/26/2021112601470.html
  9. Englewood Dental. Piercing Warning. Accessed May 12, 2025. https://englewooddental.com/patient-information/patient-resources/piercing-warning/
  10. Henriques JFC, Neto AJF, Almeida GCE, et al. Do oral piercings cause problems in the mou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ral Rehabil. 2022;49(12):1180-1193.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3814434_Do_oral_piercings_cause_problems_in_the_mouth
  11. Ziebolz D, Stuehmer C, van der Meijden E, et al. Long-term effects of tongue piercing—a case control study. Clin Oral Investig. 2012;16(1):231-237.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259306/
  12. 네이버 블로그. 피어싱, 혀, 그리고 치과. 게시일 2011년 6월 23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m.blog.naver.com/morua/20117264825
  13. Soto MEE, Valdés AG, González DLE, González JAD. Impact of oral piercings on periodontal health – A systematic review. J Clin Exp Dent. 2023;15(9):e733-e741. https://pubmed.ncbi.nlm.nih.gov/37691549/
  14. Levin L, Zadik Y, Becker T. Oral and dental complications of intra-oral piercing. Dent Traumatol. 2005;21(6):341-343. Abstract available at: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2423715_The_incidence_of_complications_associated_with_lip_andor_tongue_piercings_A_systematic_review
  15. 치의신보. ‘혀 피어싱’에 구강건강 구멍 뚫린다. 게시일 2018년 11월 12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www.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104297
  16. Pires PM, Bueno MFS, Gurgel BCV, et al. Tongue piercing: the effect of material on microbiological findings. Braz Dent J. 2011;22(4):340-342. https://pubmed.ncbi.nlm.nih.gov/21700161/
  17. Perkins CS, Meisner J, Harrison JM. Bacterial infections complicating tongue piercing. Arch Pediatr Adolesc Med. 2000;154(7):747.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852294/
  18. Auerbach ML, Miloro M, Gowans RE. Cerebellar brain abscess associated with tongue piercing. J Oral Maxillofac Surg. 2003;61(1):120-122. https://pubmed.ncbi.nlm.nih.gov/12522766/
  19. Lakefront Family Dentistry. Lip and Tongue Piercings Can Cause Oral Health Issues. Published August 24, 2021. Accessed May 12, 2025. https://lakefrontfamilydentistry.com/lip-and-tongue-piercings-on-oral-health/
  20. 치의신보. ‘혀 피어싱’위험 경고 3차신경통·잇몸 손상 등 부작용 심각. 게시일 2002년 4월 10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www.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41332
  21. 네이버 블로그. 혀 피어싱 치아건강에 안좋아요. 게시일 2020년 12월 23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blog.naver.com/bdiqvwdqiwvd/222181852157?viewType=pc
  22. California Board of Barbering and Cosmetology. 보건과 안전.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barbercosmo.ca.gov/schools/healthsafety_textbook_ko.pdf
  23. Boardman R, Smith RA. The Consequences of Tongue Piercing on Oral and Periodontal Tissues. Dent Update. 2008;35(3):200-2, 205-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926233/
  24. Dentalcare.com. Types of Oral Piercing Jewelry. Updated March 14,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dentalcare.com/en-us/ce-courses/ce688/types-of-oral-piercing-jewelry
  25. Cool Dental. Oral Piercings and how they affect your oral health. Published February 15,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cooldental.ca/blog/oral-piercings-and-how-they-affect-your-oral-health
  26. Colgate. Tongue Piercing Aftercare: Healing and Risks.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colgate.com/en-us/oral-health/threats-to-dental-health/tongue-piercing-not-that-risky-but-things-can-go-wrong
  27. Wyndly. Body Piercing Allergies: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Updated March 19, 2024.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wyndly.com/blogs/learn/body-piercing-allergic-reactions
  28. Healthline. Tongue Piercing Healing Stages: Day By Day, Aftercare, Infection. Updated November 7, 2019.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healthline.com/health/tongue-piercing-healing-stages
  29. AMD Dental Clinic. The Ultimate Guide to Tongue Piercing Aftercare. Published June 29,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amddentalclinic.com/blogs/the-ultimate-guide-to-tongue-piercing-aftercare-by-amd-dental-clinic-jaipur/
  30. Lopez J, Hoskoppal D. Body Piercing Infections.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Updated July 31,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7336/
  31. Dentalcare.com. Dent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Dental Team – Oral Piercings. Updated March 14, 2023. Accessed May 12, 2025. https://www.dentalcare.com/en-us/ce-courses/ce688/dental-implications-and-recommendations-for-the-dental-team
  32. College of Dental Hygienists of Ontario. Oral Piercing (also known as “oral body art”). Updated September 2018. Accessed May 12, 2025. https://cdho.org/factsheets/oral-piercing/
  33. 네이버 블로그. 귀 뚫은 곳 염증 및 통증 피어싱 감염 인한 부어오름 따가움 느껴진다면 …. 게시일 2024년 4월 28일. 최종 확인일 2025년 5월 12일.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mltnsms9&logNo=223745136973&trackingCode=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