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청소년기 건망증은 뇌의 역동적인 발달(전두엽 미성숙, 시냅스 가지치기),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수면 부족, 영양 불균형, 정보 과부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25.
- 대부분의 청소년기 건망증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일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주거나 ADHD, 우울증 등 다른 문제의 신호일 경우 전문가의 진단과 도움이 필요합니다16.
-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효과적인 학습 전략, 건강한 디지털 기기 사용 습관 등을 통해 청소년기 기억력은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78.
- 가정과 학교는 청소년의 기억력 문제를 이해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청소년 스스로도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인지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910.
1. 변화하는 뇌: 청소년기 기억력 변동의 신경학적 기초11
청소년기의 기억력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기 뇌에서 일어나는 극적인 변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청소년의 뇌는 성인 수준으로 완성되어 가는 과도기적 단계로, 특히 기억 및 학습과 밀접하게 관련된 영역들에서 중요한 재구성이 이루어집니다11.
1.1. 전두엽 피질의 발달과 집행 기능
전두엽 피질(Prefrontal Cortex, PFC)은 계획 수립, 의사 결정, 작업 기억, 충동 조절과 같은 고등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사령탑입니다1. 이 중요한 영역은 청소년기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20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완전히 성숙합니다112. 구체적으로 전두엽의 수초화(myelination)는 신경 신호 전달 속도를 높여 뇌 기능을 효율화하는 과정인데, 이것이 18세에서 25세 사이에 마무리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13. 전두엽 피질은 뇌의 여러 영역 중 가장 늦게 발달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14. 이처럼 전두엽 피질의 발달이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다는 것은 작업 기억이나 정보의 전략적 부호화 및 인출과 같은 기억 관리 능력을 포함한 집행 기능 역시 청소년기에 계속 발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1. 예를 들어, 계획성과 기억을 관리하는 전두엽 피질의 급격한 발달이 오히려 일시적인 기억력 문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도 있습니다2. 따라서 전두엽 기능이 아직 미성숙한 청소년기에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것이 건망증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
1.2. 시냅스 가지치기와 뇌 효율성 증진
청소년기는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pruning)라는 중요한 뇌 발달 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기입니다5. 시냅스 가지치기란 뇌가 불필요하거나 약한 시냅스 연결은 제거하고,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연결은 강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515. 이 과정은 뇌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궁극적으로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15. 인간의 경우 주로 사춘기를 전후하여 이러한 불필요한 시냅스들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됩니다16. 장기적으로는 인지 기능을 최적화하는 과정이지만, 이처럼 대규모로 신경 회로가 재편되는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인지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뇌가 스스로를 리모델링하며 최적의 경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정보 인출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해지거나 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들이 때때로 경험하는 사고의 비조직성이나 건망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2. 이는 기억 세포의 손실이 아니라, 뇌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3. 호르몬 변화와 인지 기능에 대한 영향
사춘기는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의 분비가 급증하는 시기로, 이러한 호르몬 변화는 뇌 기능과 감정 조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1. 새롭게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뇌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통제하기 어려운 감정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아직 발달 중인 전두엽 피질 기능에 영향을 미쳐 건망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1. 한 연구에서는 청소년기를 감정 및 욕구를 주관하는 편도체(amygdala)는 상대적으로 강해지는 반면,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은 약해지는 “인지-정서 불균형”의 시기로 설명합니다17. 이러한 불균형은 감정 기복을 심화시키고 충동성을 높여, 결과적으로 주의력을 저해하고 기억 부호화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성호르몬은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기 훨씬 이전인 6~8세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신체적, 인지적 성숙에 관여합니다18. 이처럼 감정의 소용돌이가 인지 기능을 압도하기 쉬운 청소년기에는 건망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감정을 처리하는 변연계(편도체 포함)가 먼저 발달하고 이성적 판단과 조절을 담당하는 전두엽 피질의 성숙이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뇌 영역 간의 발달 속도 차이가 청소년기 특유의 감정적 반응성과 건망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4. 청소년기 뇌 발달과 기억력의 전반적 관계
청소년의 뇌는 새로운 뇌 세포와 시냅스의 생성으로 인해 사실, 아이디어, 기술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학습 기계”와 같습니다5. 이 시기에는 추상적 사고, 고차원적 추론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해 생각하는 능력인 메타인지(metacognition)가 발달합니다5. 실제로 16세가 되면 대부분의 청소년은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기억력과 조직화 기술도 향상됩니다19. 그러나 이러한 폭발적인 발달과 재조직화 과정은 뇌를 외부 자극과 내부 변화에 민감하게 만듭니다. 성숙하고 효율적인 성인의 뇌로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일시적으로 인지 수행 능력의 불일치, 즉 건망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2. 또한, 청소년기에 새로운 뇌 세포와 시냅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정보를 저장할 공간은 늘어나지만5, 아직 발달 중인 전두엽 피질의 정보 조직화 및 효율적 인출 전략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일종의 ‘내부적 정보 과부하’ 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마치 도서관에 책은 빠르게 늘어나는데 아직 효율적인 목록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것과 유사합니다. 이는 정보를 저장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저장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건망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청소년 건망증의 주요 원인들
청소년기 건망증은 단일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역동적인 뇌 발달 외에도 다양한 생활 습관, 환경적 요인, 심리적 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억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2.1. 생활 습관 요인
2.1.1. 스트레스 (학업, 대인관계 등)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기억력과 인지 기능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1. 스트레스는 새로운 정보를 뇌에 암기하는 기능을 방해하고 기존 기억의 인출을 어렵게 만듭니다6. 특히 청소년들은 학업 경쟁, 대학 입시, 교우 관계, 가족 갈등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갑작스러운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이 반복되면 감정과 관련된 편도체가 흥분하고 기억 형성에 중요한 해마의 기능이 저하되어 집중력 저하, 충동성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1. 청소년기는 스트레스에 대한 호르몬 반응이 성인보다 더 고조되는 시기이며22, 아직 발달 중인 뇌는 스트레스로 인한 기능 장애에 특히 민감할 수 있습니다22. 실제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는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및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을 유발하여 기억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20. 이러한 기전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초기 병인과도 관련되어, 청소년기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2.1.2. 수면 부족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그리고 최적의 인지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하루 8~10시간의 충분한 수면이 권장됩니다1. 그러나 한국 청소년들은 심각한 수면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5.78시간에 불과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23. 70% 이상의 청소년이 불충분한 수면에 노출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24. 수면 부족은 전두엽 기능, 특히 작업 기억, 판단력, 주의력, 학습 능력 등을 저해하며 감정 조절을 어렵게 만듭니다1. 잠이 부족하면 신체적 피로뿐 아니라 집중력 저하로 이어져 건망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6. 한 동물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쥐의 수면을 제한하자 성체가 되었을 때 해마 영역의 신경 재생 억제로 인해 새로운 정보 기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기 수면 부족이 장기적인 기억력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24.
2.1.3. 영양 불균형
뇌 기능과 기억력은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부적절한 영양 섭취와 낮은 질의 식단은 뇌 발달과 인지 기능에 해로운 영향을 미쳐 기억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특히 비타민 B12 결핍은 기억력 문제 및 신경인지 장애와 연관될 수 있으며1, 오메가-3 지방산(DHA, EPA)은 뇌 성장과 기능에 중요하여 부족 시 기억력과 학습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25. 마그네슘, 철분, 아연, 구리와 같은 미량 영양소 또한 학습 능력과 뇌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6. 반대로 가공식품, 단 음료, 포화지방의 과다 섭취는 기억력 및 집행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2. 브로콜리, 블루베리, 호박씨, 등푸른 생선, 계란, 견과류 등은 뇌 건강과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6.
2.2. 환경적 요인
2.2.1. 정보 과부하 및 멀티태스킹
현대 청소년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려는 멀티태스킹 환경에 익숙합니다. 그러나 청소년의 뇌는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거나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려고 할 때 과부하가 걸려 건망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특히 미디어 멀티태스킹(예: TV를 보면서 문자 메시지 보내기)이 잦을수록 작업 기억력, 주의력, 학업 성취도가 저하되고 충동성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27. 한 연구에서는 미디어 멀티태스킹 빈도가 높을수록 수학 및 영어 표준화 시험 성적이 낮고 집행 기능, 특히 작업 기억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8. 또한, 과도한 멀티태스킹은 신중함을 떨어뜨리고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거나 판단하는 능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29.
2.2.2. 디지털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청소년의 기억력과 사고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보를 기억하고 사고해야 할 일을 기기에 의존하게 되면서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디지털 치매’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이는 어휘력이나 배경지식을 쌓기보다 스마트폰 검색에 의존하는 경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기기에 몰두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타인과의 직접적인 대화나 소통이 줄어드는 ‘디지털 격리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30. 뇌는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에 제대로 집중하기 어려운데, 여러 디지털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하려 하면 전두엽 피질의 실행 기능이 저하되어 집중력에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30.
2.3. 심리적 요인
2.3.1. 불안 및 우울증
우울증과 불안은 청소년기 기억력 저하의 중요한 심리적 원인입니다1. 우울증은 뇌의 특정 영역 기능에 영향을 미쳐 집중을 어렵게 만들고, 이로 인해 건망증 증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6. 걱정, 불안, 우울감에 휩싸여 있으면 당장 눈앞의 일에 집중하기 어려워지고, 다른 곳에 정신이 팔린 상태에서 처리한 일들은 제대로 지각되지 않아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습니다6. 불안과 우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감정 처리와 기억 저장에 중요한 뇌 영역인 편도체와 해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특히 기억, 학습, 불안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수치가 우울증 환자에게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해마 기능 저하와 관련됩니다31. 한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우울 증상이 성인기 기억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32.
2.4. 기타 의학적 요인
특정 약물 복용 또한 청소년기 기억력 감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부 항히스타민제, 위장약, 근육 경련 치료제, 특정 항우울제 등은 항콜린 작용을 통해 기억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1. 꾸준히 복용하는 진통제나 진정제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6.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 B12와 같은 특정 비타민 결핍, 호르몬 불균형 등 기저 질환도 기억력 문제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1. 드물게는 뇌종양이나 두부 외상 후유증과 같은 기질적 뇌 손상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 알코올이나 마약과 같은 물질 남용 역시 뇌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건망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이처럼 청소년기 건망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는 수면 부족을 야기하고, 이는 다시 불안감을 증폭시키며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높여 결국 기억력 저하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또한, 현대 청소년의 생활 방식, 즉 높은 학업 압박감, 끊임없는 디지털 기기 연결, 만연한 멀티태스킹은 스트레스나 정보 과부하와 같은 전통적인 건망증 유발 요인들을 더욱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30. 한편,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건망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잦은 건망증 자체가 학업이나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스트레스, 불안, 우울감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양방향적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1.
다음 표는 청소년 건망증의 일반적인 원인과 그 기전을 요약한 것입니다.
원인 | 관련 뇌 영역/기능 |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
스트레스 | 해마, 편도체, 전두엽 피질 | 정보 암기 방해, 기존 기억 인출 어려움6, 집중력 저하621. 당질코르티코이드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및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을 통한 기억력 저하 가능성20. |
수면 부족 | 전두엽 피질, 해마 | 작업 기억 저하, 판단력 저하, 집중력 저하, 학습 능력 저하16. 해마 영역의 신경 재생 억제로 새로운 정보 기억 어려움24. |
영양 불균형 | 전반적인 뇌 기능, 신경 전달 물질 생성 | 비타민 B121, 오메가-3 지방산25 등 결핍 시 기억력 저하. 가공식품, 단 음료, 포화지방 과다 섭취 시 기억력 및 집행 기능 저하2. |
멀티태스킹/정보 과부하 | 전두엽 피질 (집행 기능) | 작업 기억 용량 초과, 정보 처리 효율 저하, 기억 부호화 방해12728. 신중함 저하 및 깊은 사고 능력 저해29. |
디지털 미디어 과용 | 전두엽 피질, 전반적인 인지 기능 | ‘디지털 치매’ (기억/사고력의 기기 의존으로 자체 능력 저하)1, 집중력 저하, 전두엽 피질 실행 기능 저하30. |
우울/불안 | 해마, 편도체, 전두엽 피질, BDNF 수준 | 집중력 저하로 인한 기억 부호화 방해6.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감소로 인한 해마 기능 저하 가능성31. 청소년기 우울 증상이 성인기 기억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32. |
약물 부작용 |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 | 일부 항히스타민제, 위장약, 항우울제 등의 항콜린 작용으로 인한 기억력 및 집중력 저하1. 진통제나 진정제도 영향 가능6. |
특정 질환 | 갑상선, 뇌 손상 부위 등 | 갑상선 기능 저하증, 특정 비타민 결핍, 호르몬 불균형, 드물게 뇌종양이나 두부 외상 후유증 등으로 인한 다양한 기억력 문제 유발1. |
3. 정상적인 깜빡임 너머: 심층적 문제의 신호일 때
청소년기의 모든 건망증이 심각한 문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때로는 단순한 ‘깜빡임’을 넘어선, 보다 깊이 있는 관심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정상적인 건망증과 문제성 기억력 저하를 구분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나 학습 장애, 가속 장기 기억상실(ALF)과 같은 특정 상태와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1. 정상적 건망증과 문제성 기억력 저하 구별 기준
일반적으로 나이와 관련된 정상적인 건망증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습니다2. 예를 들어, 가끔 사람 이름을 잊어버렸다가 나중에 기억해 내거나, 안경을 어디에 두었는지 가끔 잊어버리는 정도는 청소년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정상 범주에 속합니다. 반면, 문제성 기억력 저하는 삶을 방해할 정도로 빈번하고 지속적이며, 다른 인지적 또는 행동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 심각한 기억력 문제를 시사하는 증상으로는 같은 질문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대화 중 흔한 단어를 잊어버리거나, 익숙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물건을 이상한 장소에 두거나, 이유 없이 기분이나 행동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 등이 있습니다33. 청소년의 경우, 기억력 문제로 인해 학업 성적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지시 사항을 따르는 데 지속적인 어려움을 보이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에 눈에 띄는 변화가 있다면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1.
3.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기억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로, 기억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 ADHD 아동 및 청소년은 특히 단기 정보를 잠시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인 작업 기억(working memory)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34. 이로 인해 암산, 여러 단계의 지시 사항 따르기, 과제 체계화하기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한 자료에 따르면 ADHD 아동은 말로 들은 지시를 잘 잊어버리거나 여러 일을 순서대로 해야 할 때 혼동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합니다35. ADHD가 장기 기억 저장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 중이나, 정보 처리의 비조직성과 주의 산만함으로 인해 정보를 장기 기억으로 효과적으로 부호화(encoding)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34. 기억 장애가 있는 ADHD 환자의 경우 소뇌 및 전두엽 피질과 같은 특정 뇌 영역의 활성화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기도 합니다34.
3.3. 학습 장애 및 기타 신경인지적 문제
특정 학습 장애, 예를 들어 난독증(dyslexia)은 읽기나 수학 능력의 어려움과 함께 기억력 문제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1. 일부 청소년은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느린 학습자(slow learner)’일 수 있으며, 이는 집중력 부족, 상상력 부족 등과 함께 기억력 저하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 가속 장기 기억상실(Accelerated Long-Term Forgetting, ALF)은 단기 지연(예: 30분) 후에는 정상적인 학습 및 기억 수행을 보이지만, 장기 지연(수일에서 수주) 후에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잊어버리는 현상입니다36. ALF는 표준적인 기억력 검사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소아 간질이나 외상성 뇌 손상과 같은 다양한 신경학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36. 그 기저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억 공고화(consolidation) 또는 인출(retrieval) 과정의 문제와 관련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36. ALF는 표준적인 단기 지연 검사에서는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학교나 임상 환경에서 기억력 문제가 간과되거나 노력 부족, 부주의 등으로 오인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는 ALF가 가진 ‘보이지 않는’ 특성으로, 적절한 지원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3.4.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1:
- 건망증이 매우 잦고 지속적이며, 학교생활, 사회생활, 일상 과제 수행 등 일상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때.
- 기억력 문제와 함께 슬픔, 절망감, 불안, 현기증, 극심한 피로감, 혼란, 현저한 기분 또는 행동 변화, 안절부절못함, 수면 문제, 빠른 심박수 등의 다른 우려되는 증상이 동반될 때2.
- 머리를 다친 후, 새로운 약물을 복용한 후, 또는 물질 사용과 관련하여 기억력 문제가 시작되었을 때1.
- 학업 성적이나 익숙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이 눈에 띄게 저하되었을 때1.
- 부모가 자녀의 건망증 수준이 정상 범위를 넘어선다고 판단될 때1.
정상적인 청소년기 건망증과 ADHD 또는 ALF의 초기 징후를 구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일부 증상(예: 여러 단계의 지시 사항을 따르기 어려움, 시간이 지나면서 학습한 내용을 잊어버림)이 겹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망증의 지속성, 심각성, 그리고 전반적인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신중한 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특히 기억력 문제의 심각성을 판단할 때는 단독적인 건망증 증상보다는 동반되는 다른 증상들의 패턴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슬픔과 흥미 상실이 동반된다면 우울증을, 심한 부주의와 충동성이 함께 나타난다면 ADHD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특징 | 정상적 건망증 | 문제성 기억력 저하 | 전문가 상담 고려 사항 |
---|---|---|---|
빈도/지속성 | 가끔 발생하며 일시적임 | 매우 잦고 지속적이며, 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됨 | 건망증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줄 정도로 빈번하고 오래 지속될 때 |
일상생활 영향 |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음 | 학교생활, 사회적 관계, 일상 과제 수행 능력에 현저한 어려움을 초래함 | 학업 성취도 저하, 또래 관계의 어려움, 약속이나 중요한 일을 반복적으로 잊어버리는 등 일상 기능이 눈에 띄게 저하될 때1 |
학습/학업 영향 | 새로운 정보 습득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노력으로 극복 가능함 | 학습 내용 이해 및 기억에 심각한 어려움을 보이며, 학업 성취도가 지속적으로 저하됨 |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습 내용 기억에 큰 어려움을 겪고, 성적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특정 과목에 대한 이해도가 현저히 낮을 때1 |
동반 증상 | 특별한 동반 증상 없거나 경미한 스트레스 반응 정도 | 우울, 불안, 집중력 저하, 피로감, 수면 문제, 행동 변화, 신경학적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음2 | 기억력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우울감, 불안, 심한 주의 산만, 수면 장애, 설명되지 않는 신체 증상, 성격 변화 등이 나타날 때2 |
기억 내용 | 최근의 사소한 일, 중요하지 않은 세부 사항, 가끔 사람 이름이나 단어를 잊음 | 중요한 약속, 최근의 중요한 사건, 익숙한 단어나 정보, 지시 사항, 학습한 내용 등 광범위한 정보를 잊어버림. 때로는 오래된 기억에도 영향을 미침. | 중요한 개인 정보, 반복적으로 들은 지시 사항, 학교에서 배운 핵심 내용 등을 자주 잊어버리거나, 이전에 잘 알던 정보를 기억하지 못할 때 |
회복 가능성 | 잠시 후 저절로 기억나거나, 단서를 통해 쉽게 회상됨 | 기억이 잘 회복되지 않거나, 회상에 큰 어려움을 겪음. 기억 자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때도 있음. | 잊어버린 내용을 상기시키려 해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의 공백이 자주 발생할 때 |
4. 기억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해결책 및 전략
청소년기 건망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다행히도 생활 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효과적인 학습 전략 등을 통해 상당 부분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들은 단독으로도 효과가 있지만, 여러 전략을 통합적으로 실천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4.1. 생활 습관 개선
4.1.1. 최적의 수면 환경 조성 및 수면 위생
충분하고 질 좋은 수면은 기억력과 인지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청소년은 매일 밤 8~10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1. 이를 위해 주말에도 평일과 비슷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등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침실은 시원하고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며37, 잠들기 전 최소 1시간 동안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을 자제하여 뇌가 수면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2. 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섭취나 과식은 수면의 질을 저해하므로 잠자기 전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37.
4.1.2. 뇌 건강을 위한 영양 섭취
균형 잡힌 식단은 뇌 기능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일, 채소,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 건강한 지방이 풍부한 식사를 규칙적으로 섭취해야 합니다26. 특히 연어, 호두, 아마씨 등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 녹색 잎채소와 계란에 많은 비타민 B군, 베리류와 다크 초콜릿에 함유된 항산화제, 녹색 잎채소와 아몬드에 있는 마그네슘 등은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6. 반면, 가공식품, 단 음료, 과도한 포화지방 섭취는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2.
4.1.3. 규칙적인 신체 활동 및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청소년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 기억력,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8. 특히 기억력과 집행 기능 향상 효과는 성인보다 아동 및 청소년에게서 더 크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39. 가볍거나 중간 강도의 운동도 효과적이며, 신체 활동을 요구하는 비디오 게임인 엑서게임(exergame) 역시 인지 기능 및 기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39.
4.2. 스트레스 관리 및 정신 건강 증진
4.2.1. 마음챙김 및 이완 기법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과 같은 이완 기법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증상을 감소시키고 주의력, 집중력, 작업 기억,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0.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MBSR) 프로그램은 자신감 향상과 수면의 질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41. 이러한 기법들은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스트레스 상황에 더 건강하게 대처하도록 돕습니다.
4.2.2.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개발
자신이 주로 어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는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건강한 대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스트레스나 감정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 상담사와 터놓고 이야기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2.
4.3. 효과적인 학습 및 기억 전략
단순히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적극적인 학습 전략을 활용하면 기억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청소년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메타인지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합니다.
4.3.1. 정보 처리 및 부호화 전략
- 청킹(Chunking): 많은 양의 정보를 의미 있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기억하는 방법입니다43.
- 정교화 시연(Elaborative Rehearsal): 새로운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연결하거나, 이야기를 만들거나, 개념을 시각화하여 더 깊이 있게 처리하는 방법입니다43.
- 시각화(Visualization): 정보를 마음속 그림이나 이미지로 변환하여 기억하는 전략입니다38.
- 기억술(Mnemonics): 약자, 문장 만들기, 노래, 장소법 등 다양한 기억 보조 장치를 활용하는 것입니다43.
4.3.2. 인출 및 복습 전략
- 능동적 회상/자가 시험(Active Recall/Self-Testing):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질문하고 답해보거나, 플래시 카드, 연습 문제 등을 통해 정보를 인출하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 반복 읽기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38.
- 간격 반복(Spaced Repetition): 학습한 내용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복습하는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짧은 간격으로, 점차 간격을 늘려가며 복습하면 장기 기억에 효과적입니다38.
- 과잉 학습(Over-learning): 내용을 완전히 익힌 후에도 추가적으로 반복 학습하여 정보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것입니다44.
4.3.3. 마인드맵 및 정보 구조화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학습 내용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면 정보의 구조화 및 기억 인출에 도움이 됩니다38.
4.4. 디지털 기기 사용 관리 및 멀티태스킹 줄이기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정해두고, 특히 학습 중에는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미디어 멀티태스킹은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고 기억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숙제나 공부 시간에는 피해야 합니다28. 부모는 자녀에게 건강한 미디어 사용 습관의 본보기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45.
4.5.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가능성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인지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ADHD 포함)의 작업 기억과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46. 그러나 전반적인 인지 능력 향상 효과는 작거나 특정 영역에 국한될 수 있으며, 광범위한 효과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47. 이러한 해결책들은 청소년 개개인의 상황과 건망증의 주된 원인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한 수면 부족이 주원인인 청소년은 수면 위생 개선이 가장 시급한 반면, ADHD로 인한 작업 기억력 저하를 겪는 청소년은 ADHD에 특화된 인지 전략과 전문가의 도움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략들을 시도해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 영역 | 구체적 방법 | 기대 효과 |
---|---|---|
수면 개선 | 규칙적인 수면 스케줄 유지, 수면 환경 최적화, 취침 전 스크린 타임 제한 | 집중력 향상, 기억 공고화 촉진, 감정 조절 능력 개선2 |
건강한 식단 | 오메가-3, 비타민 B군, 항산화제 풍부한 음식 섭취, 가공식품 및 단 음료 제한 | 뇌 기능 지원, 신경 세포 보호, 기억력 및 인지 기능 개선26 |
규칙적 운동 |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엑서게임 등 꾸준한 신체 활동 | 전반적 인지 기능, 기억력, 집행 기능 향상, 스트레스 감소3839 |
스트레스 관리 | 마음챙김 명상, 이완 훈련, 건강한 스트레스 대처 전략 학습, 충분한 휴식 | 스트레스 및 불안 감소, 집중력 향상, 정서적 안정, 작업 기억 개선4041 |
학습 기술 | 청킹, 정교화 시연, 시각화, 기억술, 능동적 회상, 간격 반복, 마인드맵 활용 | 정보 부호화 및 인출 효율 증대, 장기 기억 형성 촉진, 학습 내용 이해도 증가3843 |
디지털 습관 관리 |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제한, 학습 중 멀티태스킹 자제, 부모의 건강한 미디어 사용 모델링 | 집중력 향상, 정보 과부하 방지, ‘디지털 치매’ 예방, 대면 상호작용 증진3045 |
건강 관련 주의사항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사춘기 자녀가 최근 부쩍 건망증이 심해졌는데, 정상적인 현상인가요? 아니면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Q2: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게임 같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정말 청소년 기억력에 안 좋은 영향을 주나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Q3: 학업 스트레스 때문에 아이가 자꾸 깜빡하는 것 같은데, 부모로서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Q4: ADHD가 있는 아이는 기억력이 항상 나쁠 수밖에 없나요? 기억력 향상을 위한 특별한 방법이 있을까요?
Q5: 청소년기 기억력 개선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실천해야 할 생활 습관 세 가지를 꼽는다면 무엇일까요?
5. 결론
5.1. 주요 내용 요약 및 핵심 메시지 강조
청소년기 건망증은 뇌의 역동적인 발달 과정, 급변하는 호르몬, 학업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면 부족, 영양 불균형, 그리고 디지털 환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확인하였습니다125617. 일부 건망증은 청소년기의 정상적인 발달 특성일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다른 우려되는 증상을 동반할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133. 중요한 점은 청소년기 기억력 문제는 적극적인 노력과 전략적인 개입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5.2. 가정과 학교의 역할: 지지적인 환경 조성
청소년의 기억력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그리고 청소년 자신이 함께 노력하는 협력적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입니다. 각 주체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억력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가정에서는 부모가 자녀와 열린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도록 지원해야 합니다42. 자녀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합리적인 기대를 설정하며,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데 주저하지 않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하고 안정적인 정서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자녀의 뇌 발달과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48. 학교에서는 교육자들이 기억 원리에 기반한 교수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명확한 지시, 시각 자료 활용, 능동적 학습 유도, 간격 복습 등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49. 또한, 스트레스가 적은 교실 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지 과부하를 줄이고 집중을 촉진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환경은 기억력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49.
5.3. 청소년 스스로의 노력과 주도성
청소년 스스로도 자신의 기억 패턴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실천하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중요합니다. 특히 자신의 학습 방식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메타인지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장기적인 학습 성공과 인지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5. 제시된 다양한 기억력 향상 전략들을 시도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5.4. 장기적인 인지 건강 관점에서의 제언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심각한 기억력 문제나 이와 관련된 우울증, ADHD 등의 상태에 대한 조기 개입은 학업 성취는 물론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32. 청소년기에 형성된 건강한 수면 습관, 균형 잡힌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능력, 그리고 현명한 디지털 기기 사용 습관은 단기적인 건망증 해결을 넘어 성인기의 인지적 활력과 전반적인 뇌 건강을 위한 견고한 토대가 됩니다3. 궁극적으로 청소년기 건망증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이 현상을 둘러싼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해소하고, 청소년과 그들을 둘러싼 지지 체계가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행동을 취하도록 힘을 실어줍니다. 복잡다단한 청소년기를 건강하게 통과하고 밝은 미래를 설계하는 데 있어, 기억력과 인지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 Vinmec. Causes of Forgetfulness in Teenager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nmec.com/eng/blog/causes-of-forgetfulness-in-puberty-en.
- Embrace U. 9 Explanations for Poor Memory in Teenagers [인터넷]. 2024년 9월 19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mbraceu.com/2024/09/19/why-is-my-memory-so-bad-9-explanations-for-poor-memory-in-teenagers/.
- World Economic Forum. 5 ways we misunderstand adolescents, according to brain science [인터넷]. 2018년 1월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eforum.org/stories/2018/01/we-misunderstand-adolescent-brains-science/.
- HHS Office of Population Affairs. Cognitive Development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pa.hhs.gov/adolescent-health/adolescent-development-explained/cognitive-development.
- 시사저널. 아직 젊은데 ‘깜빡깜빡’…기억력 감퇴하는 의외의 이유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644.
- Stanford Medicine Children’s Health. Cogni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tanfordchildrens.org/en/topic/default?id=cognitive-development-in-adolescence-90-P01594.
- 손매남. 뇌 건강이야기 / #5청소년기의 뇌. 시정일보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114.
- 위키백과. 생애 초기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생물학적 영향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wikipedia.org/wiki/%EC%83%9D%EC%95%A0_%EC%B4%88%EA%B8%B0_%EC%8A%A4%ED%8A%B8%EB%A0%88%EC%8A%A4%EB%A1%9C_%EC%9D%B8%ED%95%9C_%EC%8B%A0%EA%B2%BD%EC%83%9D%EB%AC%BC%ED%95%99%EC%A0%81_%EC%98%81%ED%96%A5.
- 재능넷. 시냅스 가지치기: 뇌 발달 과정의 핵심 메커니즘 ✂️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aenung.net/tree/10094.
- YouTube. [2020 KAIST 연구성과] 별아교세포의 시냅스 제거에 따른 기억력 유지 기전 규명 –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 (KR)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bEWYEfvxgUo.
- 성북 우리아이들병원. 청소년의 정신건강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woorisoa.co.kr/mind/mind_06.php.
- 시그마프레스. 청소년기의 신체 및 인지 발달 [인터넷]. [2020년 2월 14일 확인된 PDF 자료 기준,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igmapress.co.kr/shop/shop_image/g70302_1582166857.pdf.
- MyHealth Alberta. Cognitive Development, Ages 15 to 18 Year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health.alberta.ca/health/AfterCareInformation/pages/conditions.aspx?hwid=te7285&lang=en-ca.
- 팜뉴스. 청소년, 과로와 스트레스로 집중력 저하 쉬워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160.
- Romeo R, Gilden D, Blair C. Stress and the Developing Adolescent Brain. PMC (PubMed Central) [인터넷]. 2013년 3월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601560/.
- 서울대학교.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저하 원인 규명 [인터넷]. 연구성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nu.ac.kr/research/highlights?md=v&bbsidx=142890.
- Choi SJ, Kim SN, Lim JA, et al.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adolescents. PMC (PubMed Central) [인터넷]. 2011년 2월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040363/.
- 대전대학교둔산한방병원. 청소년기 수면 부족, 성인기 학습·기억능력 저하 기전 ‘규명’ [인터넷]. 보도자료.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juds.or.kr/news/277.
- 미주 한국일보. 백 투 스쿨 우리 아이, 머리 좋아지는 음식 10선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koreatimes.com/article/470243.
- 하이닥. ‘건망증’ 걱정된다면…기억력 향상에 좋은 음식 10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901.
- AI타임스. 빅데이터, “멀티태스킹 반복하면 기억력 저하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62.
- van der Schuur WA, Baumgartner SE, Sumter SR, et al. Media multitasking in adolescence. PubMed [인터넷]. 2016년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PMID: 27188785.
- 네이버 블로그.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① 인터넷은 우리의 이해력과 기억력을 저해한다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elf_heal/222978322537.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소아청소년발달]4-7세 아이에게 미치는 디지털미디어의 작용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infantcare&category=&gubun=&page=7&number=9578&mode=view&keyfield=&key=.
- Kim H, Kim JE. 우울증에서 비침습적 두뇌 자극 치료 : 경두개 자기자극과 경두개 직류자극. J Korean Neurol Assoc [인터넷]. 2019년;37(2):119-128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55jkna/jkna-57-119.pdf. (참고: 원본 파일 내 링크는 jkna-57-119.pdf 이나, 제공된 링크는 jkna-59-36.pdf 및 jkna-57-119.pdf 등 다수 포함.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57-119를 사용).
- 고려대학교 대학원. 청소년기 우울 증상과 성인기 기억력 저하 간의 관계 규명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raduate.korea.ac.kr/community/news_view.html?no=831&page=1.
- Mayo Clinic. Memory loss: When to seek help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lzheimers-disease/in-depth/memory-loss/art-20046326.
- ADD.org. ADHD Memory Loss: Science-Backed Ways to Boost Your Memory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dd.org/adhd-memory-loss/.
- 대한집중력향상협회. 증상 – ADHD 바로알기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dhd.or.kr/adhd/adhd04.php.
- Allen L, KOLDContemporary Pediatrics. Systematic Review of Accelerated Long-term Forgett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pediatric Diseases. PMC (PubMed Central) [인터넷]. 2022년 12월 15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757117/.
-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Sleep Tips for Adolescent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ationwidechildrens.org/specialties/sleep-disorder-center/sleep-tips-for-adolescents.
- 메타마인드교육. 기억력 향상을 위한 5가지 비법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tamind.kr/%EA%B8%B0%EC%96%B5%EB%A0%A5-%ED%96%A5%EC%83%81%EA%B3%BC-%EA%B3%B5%EB%B6%80%EB%B2%95-%EC%97%90%EC%84%B8%EC%9D%B4-%EA%B0%95%EC%A2%8C/%EA%B8%B0%EC%96%B5%EB%A0%A5-%ED%96%A5%EC%83%81/%EA%B8%B0%EC%96%B5%EB%A0%A5-%ED%96%A5%EC%83%81%EC%9D%84-%EC%9C%84%ED%95%9C-5%EA%B0%80%EC%A7%80-%EB%B9%84%EB%B2%95/.
- Effectiveness of exercise for improving cogni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 systematic umbrella review and meta. Br J Sports Med [인터넷]. 2025년 3월 6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jsm.bmj.com/content/bjsports/early/2025/03/06/bjsports-2024-108589.full.pdf.
- Alis Behavioral Health. The Transformative Benefits of Mindfulness for Teenager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lisbh.com/blog/benefits-of-mindfulness-for-teenagers/.
- Jha A, Vo DX, Gelles L,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amin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Working Memory Capacity in Adolescents. ResearchGate [인터넷]. 2015년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3732110_A_Randomized_Controlled_Trial_Examining_the_Effect_of_Mindfulness_Meditation_on_Working_Memory_Capacity_in_Adolescents.
- LAUSD. 사회 정서적 건강과 학업 성취를 위한 학부모/보호자 로드맵 [인터넷]. 2021년 8월 10일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lausd.org/cms/lib/CA01000043/Centricity/domain/650/pdfs/Parent%20Caregiver%20for%20SE%20Well-Being%20Roadmap_Korean_081021.pdf.
- Lumen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es | Adolescent Psychology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urses.lumenlearning.com/adolescent/chapter/information-processing-theories/.
- Reading Rockets. 10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 Memory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adingrockets.org/topics/brain-and-learning/articles/10-strategies-enhance-students-memory.
- ESG경제. [건강] 위험한 아동·청소년 게임중독…뇌기능 변화와 예방 가이드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77.
- Lee SY, Kim JW, Lee SM, et al. Augmentative Effects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Clinical Symptoms and Neuropsychology in Medicat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orea Science [인터넷]. 2017년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714942384706.pub?&lang=en.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DHD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pa.org/topics/adhd.
- Clinical Psychology Associates. The Ultimate Guide for Parenting Teen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linical-psychology-associates.com/the-ultimate-guide-for-parenting-teens/.
-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 SPOTS Program. The Adolescent Brain –Learning Strategies & Teaching Tip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pots.wustl.edu/SPOTS%20manual%20Final/SPOTS%20Manual%204%20Learning%20Strategie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