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바르톨린 낭종: 증상과 치료법에 대한 종합 안내서

바르톨린샘(Bartholin’s gland) 또는 대전정선(greater vestibular gland)은 질 입구(질 전정) 양쪽 뒤편 깊숙한 곳에 위치한 작은 완두콩 크기의 분비샘 한 쌍입니다1. 평상시에는 잘 만져지지 않으며1, 주로 성관계 시 외음부와 질을 윤활하게 유지하는 점액을 분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3. 이 샘이 피부 깊숙이 있다는 점은 낭종이나 농양이 발생했을 때 왜 단순 피부 문제가 아닌 질 입구 주변의 덩어리 형태로 나타나는지 설명해 줍니다1,8. 또한, 한쪽 샘을 제거하더라도 다른 분비샘들이 기능을 보완하므로 전체적인 질 윤활 기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9.

이 글의 핵심 요약

  •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은 바르톨린샘 관이 막혀 발생하는 흔한 부인과 질환입니다1.
  • 낭종은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감염되어 농양이 되면 심한 통증, 부기, 발적 등을 유발합니다1.
  • 진단은 주로 임상 소견으로 이루어지며, 40세 이상 여성은 악성 종양 감별이 중요합니다1,3.
  • 치료는 증상 및 감염 여부에 따라 좌욕, 항생제, 다양한 시술(워드 카테터, 조대술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1,6,8.
  • 재발이 흔하므로,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법 선택이 중요하며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입니다1,12.

I. 바르톨린샘, 낭종, 농양 이해하기

A. 바르톨린샘이란 무엇인가?

바르톨린샘(Bartholin’s gland), 또는 대전정선(greater vestibular gland)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관은 질 입구(질 전정) 뒤쪽 깊숙한 곳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는 작은 분비샘입니다1. 크기는 약 0.5 cm 정도로 완두콩만 하며, 평상시에는 피부 아래 깊이 위치하여 만져지지 않습니다1. 이 샘의 주된 기능은 점액을 분비하여 외음부와 질을 윤활하게 유지하는 것인데, 특히 성관계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

바르톨린샘이 피부 깊숙이 위치한다는 점은 낭종이나 농양이 발생했을 때 왜 표면적인 피부 문제가 아닌 질 입구 주변의 종괴(덩어리)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해 줍니다1. 이는 표피낭종과 같은 다른 외음부 병변과의 감별점이 되기도 합니다8. 또한, 바르톨린샘이 윤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한쪽 샘을 제거하더라도 다른 분비샘들이 기능을 보완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질 윤활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9. 이는 재발성 낭종이나 농양으로 인해 샘 절제술을 고려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B. 낭종과 농양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병태생리)

바르톨린 낭종은 바르톨린샘에서 분비된 점액이 배출되는 관(duct)이 막히면서 발생합니다1. 관이 막히면 점액이 배출되지 못하고 샘 내부에 축적되어 관이 늘어나면서 액체가 찬 주머니, 즉 낭종을 형성하게 됩니다1. 감염되지 않은 낭종 내부의 액체는 보통 멸균된 점액성 액체입니다2.

바르톨린 농양은 형성된 낭종이 세균에 감염되거나, 드물게는 낭종 형성 없이 바르톨린샘 자체에 직접적인 감염이 발생하여 형성됩니다1. 감염이 발생하면 염증 반응으로 인해 샘 내부에 고름(농)이 차게 되며, 이를 농양이라고 부릅니다1.

임상적으로 바르톨린샘 관련 문제로 병원을 찾는 경우, 단순 낭종보다는 감염이 동반된 농양 상태인 경우가 더 흔한 것으로 보고됩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농양이 낭종보다 약 3배가량 더 흔하게 발생한다고 합니다3. 이는 낭종이 형성되면 감염에 취약해지기 쉽거나, 혹은 샘 자체의 감염으로 바로 농양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증상을 동반한 바르톨린샘 문제는 감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치료 방침 결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C. 유병률 및 발생 대상 (역학)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여성의 약 2%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또한, 매년 전체 부인과 외래 방문의 약 2%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접하는 문제입니다2. 주로 가임기 여성, 특히 20대에서 30대(또는 20대에서 50대) 사이에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1. 발생 빈도는 사춘기 이후 증가하여 폐경 전까지 높게 유지되다가 폐경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1. 일부 연구에서는 히스패닉계 여성이 다른 인종에 비해 더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출산 횟수가 많을수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1,12.

발생 빈도가 가임기에 집중되는 현상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이나 성생활, 임신 및 출산과 같은 가임기 관련 요인들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1. 예를 들어, 가임기에는 샘의 활동이 더 활발할 수 있고, 성생활은 성병균 감염의 위험을 높이거나 윤활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1, 출산 과정에서의 회음부 손상이나 회음 절개술은 관 막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2. 비록 명확한 인과관계가 모든 경우에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역학적 패턴은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I. 원인 및 위험 요인

A. 바르톨린샘 관이 막히는 이유

바르톨린샘 관이 막히는 정확한 원인은 많은 경우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1. 하지만 몇 가지 알려진 유발 요인들이 있습니다. 외상, 예를 들어 출산 중 회음부 손상, 회음 절개술, 외음부 수술, 또는 드물게 여성 성기 절제술과 같은 물리적 손상이 관을 막히게 할 수 있습니다2. 또한,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나 부종이 관을 압박하여 막히게 하거나8, 분비되는 점액 자체가 너무 농축되어 끈적해지면서 관 입구를 막는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7.

결국 핵심 기전은 분비물이 나가는 ‘출구’가 막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샘 내부에 고이게 되는 것입니다3. 이러한 단순한 기계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낭종 형성 과정을 파악하는 데 기본이 됩니다.

B. 감염의 역할 및 기타 유발 요인

바르톨린 농양은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종종 여러 종류의 세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균성 감염(polymicrobial infection)의 형태를 띱니다3.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원인균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포함),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등이 있으며,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와 같은 혐기성 세균도 흔히 관여합니다2.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이나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와 같은 성병균(STI)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모든 농양이 성병과 관련된 것은 아닙니다1.

낭종이나 농양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미산부) 또는 한 번 출산한 경우(초산부), 40세 미만의 성생활이 활발한 여성, 과거 외음부 수술이나 외상 경험,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 등이 언급되기도 합니다8. 또한, 외음부는 항문과 가깝고 음모, 질 분비물, 생리혈 등으로 인해 습한 환경이 유지되기 쉬워 위생 관리가 소홀해지면 세균 번식이 용이해져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5.

농양의 원인균이 다양하고 여러 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항생제 선택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3. 특정 균만 표적으로 하는 항생제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초기에는 다양한 균에 효과적인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4. 필요한 경우 배농 시 얻은 분비물이나 고름을 배양하여 원인균을 정확히 파악하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로 변경하기도 합니다1. 특히 MRSA 감염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어2,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III. 증상 인지하기

A. 증상이 없는 낭종

바르톨린 낭종은 크기가 작거나 감염되지 않은 경우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1. 이러한 낭종은 부인과 정기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거나, 환자 본인이 질 입구 근처에서 통증 없는 작은 덩어리(멍울)를 만져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1. 낭종이 있는 쪽의 외음부가 비대칭적으로 부어 보이거나 처져 보일 수도 있습니다1. 증상이 없다는 것은 낭종 발견 자체가 반드시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는 응급 상황은 아님을 의미하며, 환자를 안심시키는 데 중요한 정보입니다.

B. 크기가 큰 낭종의 증상

낭종의 크기가 커지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 입구 주변에 압박감이나 불편감, 이물감, 혹은 만져지는 덩어리를 느낄 수 있습니다1. 걷거나 앉을 때, 또는 성관계 시 낭종이 압박되거나 마찰을 일으켜 통증이나 불편함(성교통, dyspareunia)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1. 낭종의 크기는 완두콩만 한 것부터 골프공 크기, 혹은 그 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증상들은 낭종의 물리적인 크기와 위치로 인해 발생하는 기계적인 문제와 관련이 깊습니다.

C. 감염의 징후 (농양 형성) 및 연조직염

낭종이 감염되어 농양이 형성되면 증상은 확연히 달라지고 심해집니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심한 통증으로, 종종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1. 해당 부위를 만지면 매우 아프고(압통), 붓고(종창), 붉게 변하며(발적), 열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1. 통증 때문에 걷거나 앉는 것이 매우 힘들어집니다1. 발열과 같은 전신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1. 농양이 저절로 터지면 고름 같은 분비물이 나오면서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될 수 있습니다3. 감염이 주변 피부 조직으로 퍼지면 연조직염(cellulitis)이 발생하여 붓기와 발적이 더 넓게 나타나고 압통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1.

농양의 통증은 매우 급격하고 심해서 환자들이 응급으로 병원을 찾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됩니다1. 통증 때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5. 농양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통증이 발생하므로, 저절로 터지거나 시술을 통해 배농이 되면 압력이 해소되면서 통증이 급격히 좋아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3. 이는 농양이 단순 낭종과는 달리 급성 염증 상태이며 신속한 의학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IV. 진단: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 식별하기

A. 임상적 검사

바르톨린 낭종이나 농양의 진단은 대부분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특히 골반 검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1. 의사는 외음부를 시진하여 질 입구 주변의 특징적인 덩어리나 부종을 확인하고, 촉진을 통해 덩어리의 크기, 단단함, 압통 유무 등을 평가합니다1. 발적, 열감, 심한 압통 등은 농양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통증 없는 부드러운 덩어리는 단순 낭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1.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임상 소견만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B. 의사 진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질 입구 근처에서 통증이 있든 없든 덩어리가 만져질 때13.
  • 낭종이 통증을 유발하거나, 크기가 계속 커지거나, 좌욕 등 자가 관리에도 며칠 이상 지속될 때1.
  • 통증이 심해지거나, 붓거나, 붉어지거나, 열감이 느껴지거나, 고름이 나오거나, 열이 나는 등 감염의 징후가 있을 때1.
  • 덩어리 때문에 걷거나 앉는 것이 불편할 때1.
  • 증상이 빠르게 악화될 때13.

이러한 상황들은 전문적인 평가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신호이므로,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C. 진단 검사 및 다른 질환 감별 (40세 이상 여성의 암 위험 포함)

일반적인 바르톨린 낭종이나 농양 진단을 위해 추가적인 영상 검사나 혈액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2. 하지만 질 분비물이 있거나 농양이 의심되는 경우,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분비물이나 고름을 채취하여 세균 배양 검사 및 성병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1.

특히 중요한 점은 40세 이상 여성에게서 새롭게 바르톨린샘 부위에 덩어리가 발견된 경우입니다. 비록 바르톨린샘암(선암 또는 편평상피세포암)은 매우 드물지만3, 이 연령대에서는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직 검사(biopsy)를 통해 암세포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강력히 권장됩니다1. 덩어리가 불규칙하거나 단단하게 만져지거나, 치료 후에도 지속되는 경우 더욱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1. 다만, 수년 동안 크기나 모양 변화 없이 존재해 온 낭종은 예외일 수 있습니다1.

40세 이상 여성에서 조직 검사를 권장하는 것은 연령에 따라 관리 방침이 달라지는 중요한 지점입니다. 이는 바르톨린샘암의 발생률이 낮기는 하지만 (전체 외음부암의 2-7% 차지)3, 낭종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 조기 진단을 놓치지 않기 위한 안전 조치입니다1. 다양한 의학 정보원(MSD 매뉴얼, NHS, PubMed 연구, 임상 정보 블로그 등)에서 일관되게 이 지침을 강조하는 것은 이것이 표준적인 임상 권고 사항임을 보여줍니다1.

감별해야 할 다른 질환으로는 표피낭종(epidermal inclusion cyst), 스킨샘 낭종(Skene’s duct cyst), 지방종(lipoma), 서혜부 탈장(inguinal hernia) 등이 있습니다3. 드물게 MRI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3.

V. 치료 옵션 종합 안내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유무와 심각도, 낭종/농양의 크기, 감염 여부, 재발 병력, 환자의 연령 및 선호도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6.

A. 경과 관찰 및 자가 관리 (보존적 치료)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낭종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많으며, 저절로 사라지기도 합니다1. 증상이 경미하거나 작은 낭종, 혹은 저절로 터질 가능성이 있는 작은 농양의 경우, 자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자연적인 배농을 도울 수 있습니다. 따뜻한 물에 하루 여러 번, 10-15분씩 좌욕을 하거나1, 따뜻한 물수건으로 온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8. 통증이 있다면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같은 일반의약품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2. 중요한 것은,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로 낭종이나 농양을 스스로 짜거나 터뜨리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13.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상당수(예: 85%)에서 수술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15.

B. 감염 치료를 위한 항생제 요법

낭종이 감염되어 농양이 형성되었거나 주변 조직에 연조직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1. 앞서 언급했듯이 원인균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대장균, 혐기성 세균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세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우선적으로 처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 MRSA나 성병균 감염 가능성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2. 항생제는 보통 1주일 정도 복용하지만, 감염의 정도나 다른 동반 감염 여부에 따라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1. 다만, 크기가 큰 농양의 경우 항생제만으로는 치료가 충분하지 않으며, 고름을 제거하기 위한 배농 시술이 함께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1.

C. 시술 및 수술적 치료

증상이 있는 낭종이나 농양은 시술이나 수술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과 적응증이 다릅니다.

주사기 흡인술 (Needle Aspiration)

주사기를 이용하여 낭종이나 농양 내부의 액체나 고름을 뽑아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2. 때로는 흡인 후 재발을 줄이기 위해 낭종강 내부에 알코올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알코올 경화요법(alcohol sclerotherapy)을 병행하기도 합니다2. 시술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낭종 벽이 그대로 남아있어 내용물이 다시 차오르기 쉽기 때문에 재발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1, 일반적으로 일차 치료법으로 권장되지는 않습니다9.

절개 및 배농술 (Incision and Drainage, I&D)

국소 마취 하에 피부나 점막을 작게 절개하여 낭종이나 농양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입니다1. 시술 중 배농된 액체나 고름을 채취하여 세균 배양 검사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2. 즉각적인 증상 완화 효과는 있지만, 절개 부위가 다시 막히기 쉬워 단순 절개 및 배농술만으로는 재발률이 높습니다1. 따라서 재발 방지를 위해 아래에 설명할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과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워드 카테터 삽입술 (Word Catheter Placement, Fistulization)

절개 및 배농 후, 끝에 작은 풍선이 달린 가느다란 관(워드 카테터)을 낭종강 안으로 삽입하는 방법입니다1. 삽입 후 풍선을 생리식염수로 부풀려 카테터가 빠지지 않게 고정합니다1. 카테터는 약 4주에서 6주 동안 유지하는데, 이 기간 동안 절개 부위 주변으로 새로운 배출로(누공, fistula)가 형성되고 상피화되어 영구적인 배출구가 만들어지도록 유도합니다1. 이 시술은 보통 외래에서 국소 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1. 단순 절개 배농술에 비해 재발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조대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합니다8.

조대술 (Marsupialization)

낭종이나 농양을 절개하여 배농시킨 후, 낭종 벽의 가장자리를 주변 피부나 질 점막에 봉합하여 영구적으로 열려 있는 주머니(pouch) 형태를 만들어주는 수술적 방법입니다1. 이를 통해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7. 조대술은 보통 외래 수술실이나 입원 수술실에서 시행하며, 국소 마취 또는 전신 마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 재발성 낭종이나 농양에 주로 권장됩니다6. 워드 카테터 삽입술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주요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크기가 크거나 재발한 경우, 또는 워드 카테터 삽입이 어렵거나 실패한 경우에 선호될 수 있습니다.

대체 요법 (덜 흔한 방법)

질산은 소작술 (Silver Nitrate Gland Ablation): 배농 후 질산은 막대를 낭종강에 삽입하여 낭종 벽을 화학적으로 파괴(소작)하는 방법입니다. 파괴된 조직은 며칠 후 제거되거나 저절로 떨어져 나옵니다2. 주변 피부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19.

이산화탄소 레이저 (CO2 Laser):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개 및 배농을 하거나, 낭종 벽을 파괴(기화)시키거나, 낭종 전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3. 흉터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3.

알코올 경화요법 (Alcohol Sclerotherapy): 주사기 흡인술 후 낭종강에 70% 농도의 알코올을 주입하여 낭종 벽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입니다2. 이러한 방법들은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에 비해 덜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바르톨린샘 절제술 (Gland Excision)

바르톨린샘 전체를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1. 다른 치료법들이 실패하고 낭종이나 농양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 마지막 수단으로 고려됩니다1. 수술실에서 전신 마취 하에 시행됩니다1. 출혈, 감염, 통증, 감각 이상, 외음부 건조감 등의 위험이 따를 수 있지만15, 앞서 언급했듯이 윤활 기능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9. 40세 이상 여성에서 암이 의심될 때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시행되기도 합니다1. 가장 확실한 재발 방지법이지만, 가장 침습적이고 합병증 위험이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됩니다.

D. 치료 효과 및 재발률 비교

치료법 선택에 있어 효과와 재발률은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단순 주사기 흡인술이나 절개 및 배농술은 시술이 간편하고 즉각적인 증상 완화 효과가 있지만, 재발률이 매우 높다는 명확한 단점이 있습니다1. 따라서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영구적인 배출구를 만들어주는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이 선호됩니다1.

최근의 여러 무작위 대조 연구들을 종합한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에 따르면, 현재까지는 워드 카테터 삽입술과 조대술 중 어느 한 방법이 재발률 측면에서 명백하게 우월하다는 강력한 근거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 두 방법 간의 재발 위험 비율(Risk Ratio)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21, 일부 분석에서는 두 방법을 포함한 질산은 소작술, 알코올 경화요법 등의 치료법 간에 치유율 및 재발률이 유사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2.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워드 카테터와 조대술이라는 두 가지 주요 치료법 사이에 효과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법 선택은 재발률 외에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워드 카테터는 외래에서 국소 마취로 비교적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8, 조대술은 수술실 환경과 마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 환자의 시술에 대한 수용도, 의료진의 숙련도, 의료기관의 시설 및 자원, 비용, 마취 선호도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개별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8.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 치료에서 재발이 흔하다는 사실 자체는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습니다. 단순 배농만으로는 근본적인 원인(관 막힘)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시사하며, 이것이 워드 카테터, 조대술, 절제술과 같이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고안된 시술들이 필요한 이유입니다1. 즉, 치료의 목표는 단순히 현재의 낭종이나 농양을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재발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E. 시술/수술적 치료법 비교표

치료법 간략 설명 일반적 시술 환경 마취 종류 주요 적응증 재발 위험 장점 단점/위험
주사기 흡인술 주사기로 내용물 흡인 외래 불필요/국소 진단 목적, 일시적 증상 완화 높음 가장 간단함 재발률 매우 높음
절개 및 배농술 (I&D) 절개하여 내용물 배농 외래/응급실 국소 농양의 즉각적 배농 높음 즉각적 증상 완화 단독 시행 시 재발률 높음
워드 카테터 삽입술 배농 후 카테터 삽입하여 4-6주간 유지, 영구 배출구 형성 유도 외래 국소 증상 있는 낭종/농양, 첫 발생 또는 재발 낮음-중등 외래 시술 가능, 재발률 낮춤, 덜 침습적 카테터 유지 기간 불편감, 카테터 이탈 가능성
조대술 절개 후 낭종 벽 가장자리를 피부/점막에 봉합하여 영구적 개구부 형성 외래 수술실/수술실 국소/전신 증상 있는 낭종/농양, 재발성, 큰 낭종/농양 낮음-중등 재발률 낮춤, 영구적 배출구 형성 수술적 절차 필요, 마취 필요 가능, 회복 기간 필요
질산은 소작술 배농 후 질산은으로 낭종 벽 파괴 외래 국소 재발성 낭종/농양 (대체 요법) 낮음-중등 수술 회피 가능 피부 화상 위험, 덜 보편적임
CO2 레이저 치료 레이저로 절개/배농, 낭종 벽 파괴 또는 제거 외래/수술실 국소/전신 재발성 낭종/농양 (대체 요법) 낮음-중등 정밀 시술 가능, 흉터 최소화 가능성 장비 필요, 덜 보편적임
바르톨린샘 절제술 바르톨린샘 전체를 수술적으로 제거 수술실 전신 다른 치료 실패한 반복적 재발, 암 의심 (>40세) 매우 낮음 가장 확실한 재발 방지 가장 침습적, 출혈/감염/통증/감각이상/건조감 위험, 윤활 감소 가능성(드묾)

참고: 재발 위험 및 장단점은 일반적인 경향이며, 개인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 1

VI. 재발 관리

A. 낭종/농양 재발 가능성

바르톨린 낭종이나 농양은 재발이 흔한 질환입니다. 특히, 주사기 흡인술이나 단순 절개 및 배농술만 시행한 경우에는 재발률이 상당히 높습니다1.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과 같이 영구적인 배출구를 만드는 시술을 받은 경우에도 재발 가능성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 빈도는 현저히 줄어듭니다1. 한 번 낭종이나 농양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향후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2.

B. 재발 시 치료 접근법

초기 치료 후 낭종이나 농양이 재발한 경우에는 이전 치료법과 재발 양상 등을 고려하여 다음 치료 단계를 결정합니다. 만약 이전에 단순 배농만 받았다면,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과 같이 재발 방지 효과가 더 큰 시술을 고려하게 됩니다1. 워드 카테터나 조대술 후에도 재발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가장 확실한 재발 방지책인 바르톨린샘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1.

VII. 특별 고려 사항

A. 임신 중 관리

임신 중에도 바르톨린 낭종이나 농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임신 여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12. 하지만 증상이 없거나 염증이 없는 단순 낭종의 경우에는 출산 후로 치료를 미루는 것이 권장되기도 합니다15. 바르톨린샘 절제술은 임신 중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임신 중에는 신중하게 접근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12.

B. 40세 이상 여성에 대한 고려 사항

앞서 강조했듯이, 40세 이상 여성에게서 새롭게 발견되거나 변화하는 바르톨린샘 부위의 덩어리는 악성 종양(암)의 가능성을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 따라서 이 연령대의 여성에서는 수년간 변화 없이 지내온 낭종이 아니라면, 조직 검사를 포함한 적극적인 평가나 진단 및 치료 목적의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1.

VIII. 예후, 예방 및 회복

A. 예상 결과 및 잠재적 합병증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의 예후는 전반적으로 매우 좋습니다2. 대부분의 여성은 심각한 합병증 없이 잘 회복합니다6. 하지만 재발은 흔한 문제입니다. 그 외 잠재적인 합병증으로는 시술 부위 감염, 출혈(혈종 형성), 지속적인 통증, 흉터 형성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8. 드물지만 감염이 전신으로 퍼져 패혈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나, 효과적인 항생제의 발달로 최근에는 이러한 심각한 합병증은 매우 드뭅니다6. 바르톨린샘 절제술의 경우, 드물게 외음부 건조감이나 감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15.

B. 예방 조치

바르톨린 낭종의 발생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아 완벽한 예방은 어렵습니다12. 하지만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외음부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5. 또한, 성병균이 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성생활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질염 등 다른 감염성 질환을 제때 치료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 치료 후 관리 및 회복

시술이나 수술 후에는 회복을 돕고 불편감을 줄이기 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좌욕은 통증 완화와 치유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 필요시 진통제를 복용합니다2.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 후에는 몇 주간 소량의 분비물이 나올 수 있으며, 팬티 라이너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1. 시술 종류에 따라 일정 기간(보통 2-4주) 동안 성관계, 탐폰 사용, 향이 강한 목욕 제품 사용 등을 피하도록 권고받을 수 있습니다8. 회복 중 악취 나는 분비물, 심해지는 통증, 발열 등 감염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2.

IX. 결론: 바르톨린 낭종에 대한 핵심 요약

바르톨린 낭종 및 농양은 바르톨린샘 관이 막혀 발생하는 흔한 부인과 질환입니다. 낭종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크기가 커지거나 감염되어 농양이 되면 통증, 부종, 발적 등 불편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진단은 주로 임상 소견을 통해 이루어지며, 특히 40세 이상 여성에서는 악성 종양 가능성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증상 유무와 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증상이 없는 작은 낭종은 지켜볼 수 있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나 농양은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가 관리(좌욕, 온찜질), 항생제 치료, 그리고 다양한 시술 및 수술적 방법(주사기 흡인술, 절개 및 배농술, 워드 카테터 삽입술, 조대술, 샘 절제술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재발이 흔하기 때문에,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워드 카테터 삽입술이나 조대술이 널리 시행됩니다. 바르톨린 낭종이나 농양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과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효과적인 치료를 통해 잘 회복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의료적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MSD 매뉴얼. 바르톨린선 낭종 및 바르톨린선 농양 – 여성 건강 문제.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7%AC%EC%84%B1-%EA%B1%B4%EA%B0%95-%EB%AC%B8%EC%A0%9C/%EA%B8%B0%ED%83%80-%EB%B6%80%EC%9D%B8%EA%B3%BC-%EC%9D%B4%EC%83%81/%EB%B0%94%EB%A5%B4%ED%86%A8%EB%A6%B0%EC%84%A0-%EB%82%AD%EC%A2%85-%EB%B0%8F-%EB%B0%94%EB%A5%B4%ED%86%A8%EB%A6%B0%EC%84%A0-%EB%86%8D%EC%96%91
  2. Leung A, Tadi P. Bartholin Gland Cyst. StatPearls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5년 1월-.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2271/
  3. Lee MY, Dalpiaz A, Schwamb R, Miao Y, Waltzer W, Khan A. Clinical Pathology of Bartholin’s Glan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urr Urol. 2015년 5월;8(1):22-5. doi:10.1159/000365679. PMID: 26195958
  4. Omole F, Kelsey RC, Phillips K, Cunningham K. Management of Bartholin’s duct cyst and gland abscess. Am Fam Physician. 2003년 7월 1일;68(1):135-40. PMID: 12887119
  5. 미쓰엘라. 여자 생식기 뾰루지 바톨린(바르톨린)낭종의 정체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8월 1일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issella/222836438087?viewType=pc
  6. 서울아산병원. 바르톨린샘의 고름집. 질환백과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27
  7. 신상PD. 바르톨린 낭종이란? 바르톨린 낭종, 치료법 알아보기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9년 10월 29일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obgyshin1/221691380491
  8. Bati-Paracha K, Khaliq T. Management of Bartholin’s cyst and abscess. The Obstetrician & Gynaecologist. 2022;24(1):37-43. doi:10.1111/tog.12773. PDF 링크
  9. Lee WA, Lee M. Bartholin Duct Cyst and Gland Abscess: Office Management. J Am Board Fam Med. 2019년 5-6월;32(3):440-447. doi:10.3122/jabfm.2019.03.180312. PMID: 31194482
  10. DynaMed. Bartholin Gland Cyst and Abscess [인터넷]. Ipswich (MA): EBSCO Information Services. 1995년 – .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ynamed.com/condition/bartholin-gland-cyst-and-abscess
  11. 언니마음산부인과. 바르톨린 낭종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yoursisterclinic.com/perineum-lump-clinic/bartholins-cyst/
  12. 위키백과. Bartholin’s cyst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Bartholin%27s_cyst
  13. NHS. Bartholin’s cyst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nhs.uk/conditions/bartholins-cyst/
  14. 차케어스. 바르톨린관 낭종 – 건강정보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chamc.co.kr/health/dictionary/content.asp?ds_id=137&ds_word=&p_code=&search=&keyword=
  15. 미엔느여성의원. 바르톨린 낭종, 바르톨린 농양의 증상과 치료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6년 10월 13일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ienne9/220835534635?viewType=pc
  16. 하비오여성의원. 질 입구 부음 바르톨린낭종 치료하는 ‘플라즈마 우먼케어’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6월 19일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habiowoman/223484166916
  17. 닥터빙고. 바르톨린 낭종 샘 원인과 치료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3년 2월 24일 [2025년 5월 1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bingo4908/223026408284
  18. 김재훈, 안현영, 남주현, 김영탁, 김재욱, 김용만, 김동현, 김상운. 바르톨린선의 선양낭포성암 1예.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 2004년 6월;15(2):252-6. PDF 링크
  19. NHS. Bartholin’s cyst – Treatment [인터넷]. 2025년 5월 13일 접속. https://www.nhs.uk/conditions/bartholins-cyst/treatment/
  20. Yavuzcan A, Caglar M, Ustun Y, Dilbaz S, Ozdemir I, Yildiz E, Kumru S. Case Report of Bartholin’s Cyst: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Medula. 2013;3(3):15-8. 전문 링크
  21. Kroese JA, van der Velde M, Morssink LP, et al. Evaluation of treatments for Bartholin’s cyst or abscess: a systematic review. BJOG. 2020년 5월;127(6):668-676. doi:10.1111/1471-0528.16057. PMID: 31876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