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립슈츠 궤양은 주로 성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통증성 외음부 궤양이며, 성 매개 감염(STI)이 아닙니다.
-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나, 특정 감염 후 면역 반응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EBV 등의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 갑작스러운 발병, 심한 통증, 독감 유사 전구 증상이 특징이며, 진단은 다른 유사 질환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치료는 통증 조절, 국소 위생 관리 등 대증 요법이 중심이며,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나 재발 또는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1장: 급성 생식기 궤양 및 립슈츠 궤양의 이해
1.1. 립슈츠 궤양의 정의
립슈츠 궤양(Lipschütz ulcer)은 의학적으로 ‘급성 외음부 궤양(ulcus vulvae acutum)’ 또는 ‘반응성 비성병성 급성 생식기 궤양(Reactive Non-Sexually Related Acute Genital Ulcers, RNSRAGU)’ 등으로도 불립니다.2 이는 주로 성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청소년기 여성의 외음부에 갑자기 발생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통증성 궤양을 특징으로 하는 특발성 질환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 않는다는 점이 핵심입니다.3
1.2. 주요 특징 및 환자 인구 통계
립슈츠 궤양은 갑작스러운 발병과 함께 나타나는 심한 통증이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입니다.1 궤양은 깊이가 있으며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중심부는 회백색 또는 검은색의 괴사된 조직이나 가피(eschar)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3 특히 마주 보는 양쪽 음순에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입맞춤 병변(kissing lesions)”은 특징적인 소견 중 하나입니다.4
이 질환은 주로 20세 미만의 젊은 여성, 특히 평균 연령 15세 전후의 성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청소년에게서 호발합니다.1 남성에서의 발생은 극히 드뭅니다.3
1.3. 성 매개 감염(STI)과의 구별 중요성
립슈츠 궤양은 성 매개 감염(STI)이 아니라는 점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생식기 헤르페스, 매독 등 다른 STI로 인한 궤양과 반드시 감별 진단되어야 합니다.4 STI로 잘못 진단될 경우, 불필요한 치료와 함께 환자에게 상당한 정서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아동 학대에 대한 부당한 의심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1 립슈츠 궤양은 ‘배제 진단’으로 확진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이 기간 동안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료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1
제2장: 립슈츠 궤양의 원인 및 발생 기전
2.1. 현재까지 알려진 원인
립슈츠 궤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질환이나, 특정 감염에 대한 인체의 면역학적 반응의 결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집니다.1 한 연구에서는 약 63%의 사례에서 원인을 알 수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5
2.2. 관련 인자
여러 인자들이 립슈츠 궤양 발생과 관련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가 가장 흔하게 연관되며, 이 외에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1
- 세균 감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과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1
- 최근 감염력: 궤양 발병 수 주 전 상기도 감염, 위장염 등 선행 감염 병력이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간주됩니다.1
- COVID-19 백신/감염: 최근 COVID-19 감염 또는 백신 접종과 시간적으로 연관된 립슈츠 궤양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어 추가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6
2.3. 추정되는 발생 기전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특정 감염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선행 감염으로 형성된 면역 복합체가 외음부 미세 혈관에 침착되어 염증 반응, 혈관 손상, 조직 괴사를 유발하여 궤양을 형성한다는 것입니다.1 이는 제3형 과민반응과 유사한 기전입니다. 최근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 사례는7 백신으로 유도된 강력한 면역 반응이 일부 개인에게서 궤양을 촉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제3장: 주요 증상 및 임상 양상
3.1. 전형적인 발병 양상 및 전구 증상
립슈츠 궤양은 갑자기 발생하지만, 궤양 발현 며칠 전부터 발열, 오한, 전신 권태감, 근육통 등 독감 유사 전구 증상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약 70%의 환자에서 이러한 전구 증상이 관찰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8
3.2. 궤양의 특징
- 통증: 매우 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앉거나 걷기 어렵고 배뇨 시 극심한 통증(배뇨통)을 호소합니다.1
- 크기 및 모양: 직경 1cm 미만부터 3cm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입니다.8 궤양은 깊고, 경계가 명확하며, 움푹 파인 양상을 보입니다.3
- 표면: 중심부는 회백색 또는 검은색의 괴사 조직, 가피로 덮여 있으며, 주변부는 붉거나 자줏빛의 홍반성 테두리와 부종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8
- 위치: 주로 소음순 내측 표면에 발생하나, 외음부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습니다.1
- “입맞춤 병변 (Kissing lesions)”: 마주 보는 양측 음순 접촉면에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적인 소견입니다.9
3.3. 동반되는 전신 증상
발열(때로는 39.7℃의 고열), 전신 권태감, 서혜부 림프절 종창 및 압통이 흔합니다.1 배뇨통 또는 급성 요폐가 발생할 수 있으며4, 일부 환자에서는 구강 아프타성 궤양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약 70%의 환자에서 구강 아프타가 동반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4
3.4. 임상적 변이형
- 괴저형 (Gangrenous type): 가장 흔한 형태로, 매우 급성으로 발병하며 궤양은 깊고 넓으며 괴사 조직으로 덮여 있습니다. 치유 후 흉터를 남길 수 있고 재발 경향이 있으며 심한 전신 증상을 동반합니다.4
- 속립형 (Miliary type): 궤양 크기가 작고 표재성이며 화농성 삼출물이 관찰됩니다. 전신 증상을 동반하지 않고 깨끗하게 치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4
- 만성 또는 재발형 (Chronic or relapsing type):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형태로, 베체트병 등 다른 만성 염증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살펴야 합니다.4
이러한 임상 변이형 파악은 예후 예측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합니다. 괴저형은 더 적극적인 관리와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6
제4장: 진단 방법 및 감별 진단
4.1. 진단 과정: 배제 진단
립슈츠 궤양의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양상과 병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핵심 원칙은 ‘배제 진단(diagnosis of exclusion)’입니다.1 즉, 유사 증상을 유발하는 다른 모든 가능한 원인들(특히 STI, 베체트병, 크론병 등)을 체계적으로 배제한 후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1
4.2.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상세한 병력 청취(성생활력, 최근 질병력, 동반 증상, 면역 상태, 약물 복용력10)와 철저한 신체 검진(외음부 궤양 관찰4, 전신 피부/점막 검진4, 림프절 촉진1)이 필수적입니다.
4.3. 진단 기준
국제적으로 통일된 단일 진단 기준은 없으나11, 여러 기준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젊은 연령(예: 20세 미만), 급성 생식기 궤양의 첫 발생, 최근 성 접촉 없음, 면역결핍 없음 등의 주요 기준과 함께, 통증성 궤양의 특징, “입맞춤 양상”, 선행 독감 유사 증상 등의 부차적 기준을 조합하여 진단합니다 (표 1 참조).4 다만, 실제 임상 양상의 다양성으로 인해 유연한 기준 적용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10
기준 제시자 | 주요 기준 (Major Criteria) | 부차적 기준 (Minor Criteria) | 비고 |
---|---|---|---|
Fahri 등4 | 1. 20세 미만 2. 급성 생식기 궤양의 첫 발생 3. 최근 3개월 내 성 접촉 없음 4. 면역결핍 없음 5. 갑작스러운 발병 및 6주 이내 완전 치유 (모두 충족) |
1. 섬유소성 또는 괴사성 중심부를 가진 이산적인 통증성 궤양 2. “입맞춤 양상”, 대칭적인 외음부 병변 (1개 또는 2개 충족) |
3 등에서 인용 |
Sadoghi 등12 | 1. 외음부 부위에 하나 이상의 통증성 궤양성 병변의 급성 발병 2. 궤양의 감염성 및 기타 비감염성 원인 배제 (모두 충족) |
1. 질 전정 또는 소음순에 궤양 위치 2. 과거 또는 최근 3개월 내 성관계 경험 없음 3. 독감 유사 증상 4. 외음부 궤양 발병 2-4주 전 전신 감염 (최소 2개 충족) |
6 등에서 인용. 대한피부과학회지 게재 논문에서도 유사 기준 제시13 |
4.4. 필수 검사실 검사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다음 검사들이 시행됩니다:
- 궤양 부위 검체 검사: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PCR, 세균 배양 및 그람 염색, 필요시 매독균 PCR, 진균 검사.4
- 혈액 검사: 일반혈액검사(CBC), 염증 지표(ESR, CRP), 매독 혈청 검사8, HIV 항체 검사8, EBV/CMV 등 관련 감염 혈청 검사.1 베체트병 의심 시 ANA, HLA-B51 유전자형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4
- 소변 검사: 배뇨통 시 요로 감염 감별.4
- 조직 생검: 비전형적 궤양이나 악성 종양, 베체트병 등이 강력히 의심될 때 고려하나10, 립슈츠 궤양 자체에 특이적인 소견은 없습니다.8
4.5. 주요 감별 진단 질환
립슈츠 궤양과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참조):1
- 감염성 질환: 생식기 헤르페스1, 매독(1기 경성하감)1, 연성하감1, 성병성 림프육아종.6
- 비감염성 염증성 질환: 베체트병1, 크론병(외음부 침범)1, 복합 아프타증.4
- 기타: 외상성 궤양1, 고정 약진10, 악성 종양.10
특징 | 립슈츠 궤양 | 생식기 헤르페스 | 매독 (1기) | 연성하감 | 베체트병 | 크론병 (외음부) |
---|---|---|---|---|---|---|
원인 | 특발성 (감염 후 면역 반응 추정)1 | 단순포진 바이러스 (HSV)1 | 매독균14 | 헤모필루스 듀크레이균14 | 자가면역성 혈관염 추정4 | 만성 염증성 장질환1 |
주 발생 | 20세 미만 여성 (성적 비활동기)4 | 성적 활동기 모든 연령14 | 성적 활동기 모든 연령14 | 성적 활동기 (저개발국가 흔함)14 | 20-40대 (특정 지역/인종 호발)4 | 모든 연령 (주로 젊은 성인)15 |
통증 | 매우 심함4 | 통증, 작열감, 가려움14 | 일반적 무통성14 | 매우 심함14 | 통증성4 | 있을 수 있음1 |
궤양 모양 | 깊고 경계 명확, “입맞춤 병변”4 | 군집성 잔물집 후 미란/얕은 궤양14 | 단일, 경계 융기, 깨끗한 바닥14 | 다발성, 얕고 부드러움, 화농성 분비물14 | 원형/타원형, 명확한 경계, 반복적4 | 선형, 열구, 누공, “칼로 벤 듯한”1 |
전신 증상 | 독감 유사 증상 선행 흔함1 | 첫 감염 시 가능14 | 보통 없음 (1기)14 | 서혜부 림프절염 (통증성)14 | 구강/생식기 외 다기관 침범4 | 소화기 증상 주됨15 |
잦은 재발, 다른 점막 침범, 만성 경과 등 “붉은 깃발(red flag)” 증상 시에는 관련 분야 전문가 의뢰가 중요합니다.4
제5장: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전략
5.1. 치료의 주요 목표
5.2. 국소 치료 및 생활 관리
따뜻한 물 좌욕3, 통기성 좋은 면 속옷 착용3, 자극적인 세정제 사용 피하기16, 국소 위생 관리9, 냉찜질17, 보호 크림(산화아연 등) 사용17 등이 도움이 됩니다. 배뇨 시 통증 완화를 위해 미지근한 물을 흘려보내거나 욕조 안에서 배뇨하는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17
5.3. 통증 관리
-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 2% 또는 5% 젤/연고를 궤양 부위에 도포합니다.3
- 경구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을 사용하며4, 통증이 매우 심하면 단기간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4
5.4. 스테로이드 치료
- 국소 스테로이드: 중등도 이상 병변이나 염증이 심한 경우, 고효능 국소 스테로이드(예: 클로베타솔)를 단기간 사용합니다.1
- 전신 스테로이드: 통증이 극심하거나 중증인 경우, 경구 스테로이드(예: 프레드니솔론)를 단기간 고려할 수 있으나8,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의사의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9
5.5. 항생제 사용
일반적으로 항생제는 필요하지 않으나, 이차 세균 감염이 의심/확인되거나, 연관된 세균성 선행 감염이 있는 경우, 또는 이차 감염 위험이 높다고 판단될 때 고려합니다.1
5.6. 중증도에 따른 관리
- 경증: 국소 진통제, 생활 관리로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4
- 중등도: 경증 관리에 더해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을 고려합니다.4
- 중증: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강력한 통증 조절, 전신 스테로이드, 수액 공급, 필요시 방광 도뇨관 삽입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4
5.7. 최신 치료법
드물게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사례에 대해, 야누스 키나아제(JAK) 억제제인 우파다시티닙(upadacitinib)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했다는 증례 보고가 있습니다.18 이는 향후 새로운 치료 옵션의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더 많은 임상 연구가 필요합니다.18
제6장: 예후, 재발 및 장기적 고려사항
6.1. 일반적인 치유 시간 및 예후
립슈츠 궤양의 예후는 일반적으로 매우 양호하여, 대부분 2주에서 6주 이내에 자연 치유됩니다.1 평균 치유 기간은 약 15일에서 21일이며1, 일반적으로 흉터를 남기지 않으나8, 크고 깊은 궤양이나 이차 감염 시 드물게 경미한 흉터나 색소 침착이 남을 수 있습니다.3
6.2. 재발률 및 재발 위험 요인
대부분 재발하지 않으나4, 일부 연구에서는 약 30%에서 재발이 보고되며, 대개 첫 발병 후 약 1년 정도 시점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4 괴저형 궤양이 속립형에 비해 재발 경향이 높을 수 있습니다.6 반복적인 외음부 궤양과 구강 아프타성 궤양 동반 시 복합 아프타증이나 베체트병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4
6.3. 장기적 고려사항: 복합 아프타증 및 베체트병과의 연관성
반복적인 립슈츠 궤양이나 구강 아프타성 궤양 동반 시 복합 아프타증일 수 있으며, 이는 베체트병 스펙트럼에 속하는 상태로 간주됩니다.4 복합 아프타증은 반복적인 구강/생식기 궤양이 있지만 베체트병의 다른 주요 기준은 충족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됩니다.4 일부 환자는 베체트병으로 진행할 수 있어4 주의 깊은 장기 추적 관찰과 필요시 다학제적 접근(피부과, 류마티스내과 등)이 중요합니다.4 HLA-B51 유전자형 검사가 위험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4
6.4. 크론병과의 연관성
크론병 환자의 약 20-30%에서 외음부 궤양, 열구 등 장관 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장 증상보다 먼저 발현되기도 합니다.1 반복적인 외음부 궤양이나 소화기 증상(만성 복통, 설사 등) 동반 시 크론병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1
6.5. 쇼그렌 증후군 등 기타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관성
드물지만, 립슈츠 궤양이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의 후속 발병과 관련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어6, 장기 추적 관찰 시 다른 자가면역 질환 발병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제7장: 예방 및 환자 교육
7.1. 현재까지 알려진 예방 방법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특정한 예방 방법은 없으나3, 균형 잡힌 영양 섭취,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와 청결한 생식기 위생 관리가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7.2. 환자 및 가족을 위한 주요 상담 포인트
- 비성병성 질환임을 강조: 성적 접촉으로 전염되지 않음을 명확히 설명하여 오해와 불안감을 해소합니다.8
- 양성 경과 및 자연 치유 가능성 설명: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는 양성 질환임을 알려 안심시킵니다.1
- 증상 관리 방법 교육: 자가 관리 방법(좌욕, 국소 마취제 사용 등)을 안내합니다.3
- 성적 학대 가능성과의 구별: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성적 학대의 직접적인 징후가 아님을 명확히 설명합니다.1
- 재발 가능성 및 추적 관찰 중요성 안내: 재발 가능성 및 다른 전신 증상 동반 시 추가 평가 필요성을 설명합니다.4
7.3. 의료기관 방문이 필요한 경우
- 생식기 통증성 궤양과 함께 독감 유사 증상이 나타날 때.3
- 최근 바이러스성/세균성 질환 후 위 증상이 나타날 때.3
- 궤양이 수 주간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될 때.
- 반복적인 구강 궤양, 눈 증상, 피부 발진, 만성 소화기 증상 등 다른 전신 증상 동반 시.
- 통증이 매우 심하거나 배뇨 곤란/요폐 증상 시.
환자 교육은 질환의 의학적 측면뿐 아니라 정서적 지원, 자가 관리 기술 향상, 의료 시스템 효과적 이용 능력 배양을 포괄적으로 다루어야 합니다.4 립슈츠 궤양이 성 매개 감염이 아니며 대부분 자연 치유되는 양성 질환이라는 점을3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에 필수적입니다.
결론
립슈츠 궤양은 주로 젊은 여성, 특히 성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급성 외음부 궤양으로, 성 매개 감염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질환은 갑작스러운 발병과 심한 통증을 특징으로 하며, 독감 유사 증상이 선행될 수 있습니다. 진단은 다른 유사 질환, 특히 성 매개 감염, 베체트병, 크론병 등을 배제한 후에 내려지는 배제 진단이 원칙입니다. 치료는 주로 통증 조절, 국소 위생 관리, 염증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에 중점을 둡니다. 대부분의 경우 예후는 양호하여 수 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치유되며 흉터를 남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환자와 가족에게 질환의 비성병적 특성을 설명하고 안심시키는 것이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드물지만 재발할 수 있으며, 특히 반복적인 구강 및 생식기 궤양은 복합 아프타증이나 베체트병과 같은 만성 전신 질환과의 연관성을 시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지속적인 립슈츠 궤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JAK 억제제 사용 가능성이 보고되기도 했으나,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궁극적으로 립슈츠 궤양의 정확한 원인과 발생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진단 기준 및 치료 지침을 개발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1 이를 통해 이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문헌
- Acute Vulvar Ulcer (Lipschutz Ulcer) in a Sexually Inactive 11-Year-Old Girl. [인터넷]. Ewha Medical Journal; 2021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146359
- Vismara SA, Lava SAG, Kottanattu L, Simonetti GD, Ramelli GP, Bianchetti MG. Recurrent reactive non-sexually related acute genital ulcers: a risk factor for Behcet’s disease? [인터넷]. Eur J Pediatr. 2022;181(12):4279-4283.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94183/
- Cleveland Clinic. Lipschütz Ulcer: Causes, Symptoms & Treatment. [인터넷]. Cleveland Clinic; 2022년 6월 28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lipschutz-ulcer
- Bazouti S, Achour K, Mernissi FZ. Lipschütz ulcer: a rare diagnosis to keep in mind. Our Dermatol Online. 2018;9(3):289-291. [인터넷].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odermatol.com/odermatology/20183/16.Lipschutz-BazoutiS.pdf
- Török L, Kádár L. Lipschütz Ulcer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79 Cases. [인터넷]. EMJ Repro Health. 2020;6(1):74-80.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mjreviews.com/reproductive-health/article/lipschutz-ulcers-a-literature-review-based-on-79-cases/
- Das S, Patro P. Lipschu¨tz´s Acute Vulvar Ulcer: A Case Report. [인터넷]. Clin Case Rep J. 2023;6(1):1000271.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linicalcasereportsjournal.com/article/1000271/lipschu-tz-s-acute-vulvar-ulcer-a-case-report
- Rosman IS, Berk DR, Bayliss SJ, White AJ, Merriman JA. Vulvar ulcerations in a pre-adolescent girl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인터넷]. Contemporary Pediatrics; 2022년 1월 10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ntemporarypediatrics.com/view/vulvar-ulcerations-in-a-pre-adolescent-girl-following-covid-19-vaccination
- Sadoghi B, Stary G, Wolf P, Komericki P. Ulcus vulvae acutum Lipschütz: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eries of 6 patients. [인터넷].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20;34(4):717-724.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1855308/
- Oakley A. Non-sexually acquired genital ulceration. Genital ulcers. [인터넷]. DermNet; 2016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ermnetnz.org/topics/non-sexually-acquired-genital-ulceration
- Ferreira R, Farias JP, Guedes M, Sanches M, Coutinho J, Pereira N. Lipschütz Ulcer: An Unusual Diagnosis that Should Not be Neglected. [인터넷]. Rev Bras Ginecol Obstet. 2023;45(7):e10302062.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02062/
- Di Lernia V, Mansouri Y. Lipschütz genital ulcer revisited: is juvenile gangrenous vasculitis of the scrotum the male counterpart? [인터넷]. Pediatr Dermatol. 2019;36(3):390-391.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0903712/
- Pardo J, Kuperman S, Ben-Amitai D. A Case Report of Genital Ulcer. [인터넷]. J Pediatr Adolesc Gynecol. 2014;27(5):e113-e115.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4167803_A_Case_Report_of_Genital_Ulcer
- Karadag AS, Parish LC. Erythema nodosum: A harbinger of Lipschutz ulceration? [인터넷]. J Skin Sex Transm Dis. 2020;2(2):114-115.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jsstd.org/erythema-nodosum-a-harbinger-of-lipschutz-ulceration/
- 네이버 블로그 (아이디: hidoctor-ulsan). 성기 궤양의 원인. [인터넷]. 2018년 8월 10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idoctor-ulsan/221338154781
- 네이버 블로그 (아이디: chagroup).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과 증상은?. [인터넷]. 2024년 4월 16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agroup/223753018312
- Aphthous Ulcers. [인터넷]. Vulvovaginal Disorders;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vulvovaginaldisorders.org/atlas_topic/aphthous-ulcers/
-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Melbour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Vulval ulcers. [인터넷].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ch.org.au/clinicalguide/guideline_index/vulval_ulcers/
- Al-Haseni K, Rosman IS, Nunley JR. Successful Treatment of Lipschütz Ulcer with a JAK Inhibitor, Upadacitinib. [인터넷]. SKIN The Journal of Cutaneous Medicine. 2024;8(1):s162.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kin.dermsquared.com/skin/article/download/2737/2219/18590
- Lehman JS, Dicaudo DJ, Wylam ME. Lipschutz ulcers: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ute genital ulcers in women. [인터넷]. J Am Acad Dermatol. 2010;63(4):738-739.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46424945_Lipschutz_ulcers_Evaluation_and_management_of_acute_genital_ulcers_in_women
- Pelletier F, Aubin F, Puzenat E, Muret P, Humbert P. Lipschütz ulcer and group A streptococcal tonsillitis. [인터넷]. CMAJ. 2018;190(24):E743.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011429/
- Queiroz N, Comarella L, Valiatti F, Leite G, Dias M. Lipschutz’s vulvar ulcer in an adolescent after Pifzer COVID-19 vaccine. [인터넷]. An Bras Dermatol. 2023;98(4):551-553.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anaisdedermatologia.org.br/en-lipschutzs-vulvar-ulcer-in-an-avance-S0365059623001903
- Gimeno-Mateos L, Bosch-Amate X, Velasco-Tamariz V, Riveira-FilipIz S, Figueras-Nart I, Corcuera-Elosegui P, et al. Lipschütz Ulcers After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인터넷]. Actas Dermosifiliogr. 2023;114(3):T268-T270.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ctasdermo.org/en-lipschutz-ulcers-after-astrazeneca-articulo-S0001731022008730?xhy=Dr56DrLjUdaMjzAgze452SzSInMN&rfr=truhgiz&y=kEzTXsahn8atJufRpNPuIGh67s1
- Vismara SA, Lava SAG, Simonetti GD, Ramelli GP, Bianchetti MG. Lipschütz’s acute vulvar ulcer: a systematic review. [인터넷]. Arch Dis Child. 2020;105(10):934-938.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Lipsch%C3%BCtz%E2%80%99s-acute-vulvar-ulcer%3A-a-systematic-review-Vismara-Lava/7d7c129302999782c236062feb5c7ee6d9e79b60
- Biggs TC, Williams HC. Ulcer of Lipschutz, a rare and unknown cause of genital ulceration. [인터넷]. BMJ Case Rep. 2018;2018:bcr2018225290.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260674/
- ISSVD. Genital Ulcers. [인터넷].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ssvd.org/application/files/1616/8123/9082/GenitalUlcersPPT-copy.pdf
- Patel R, Alderson S, Geretti A, Gkrania-Klotsas E, Gomaa A, Grieve A, et al. 2024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genital herpes. [인터넷]. Int J STD AIDS. 2024 (온라인 발행).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iusti.org/wp-content/uploads/2024/12/2024-European-guidelines-for-the-management-of-genital-herpes.pdf
- 서울아산병원. 무른 궤양. [인터넷]. 질환백과 | 의료정보;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93
- 24시간 후의 검사. [인터넷]. 녹십자의료재단;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gckorea.co.kr/column/cmjung/040330-1.htm
- 네이버 블로그 (아이디: soagga). 입병 – 구강의 급성 궤양. [인터넷]. 2009년 4월 10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oagga/80036871142
- Medicover Hospitals. Lipschutz Ulcer: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인터넷]. [날짜 정보 없음]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coverhospitals.in/diseases/lipschutz-ulcer/
- 세브란스병원. 입에 생긴 궤양이 잘 회복되지 않아요 – 구강암. [인터넷]. 건강정보; 2022년 8월 26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s-spine.severance.healthcare/health/media/card.do?mode=view&articleNo=68628&title=%EC%9E%85%EC%97%90+%EC%83%9D%EA%B8%B4+%EA%B6%A4%EC%96%91%EC%9D%B4+%EC%9E%98+%ED%9A%8C%EB%B3%B5%EB%90%98%EC%A7%80+%EC%95%8A%EC%95%84%EC%9A%94+-+%EA%B5%AC%EA%B0%95%EC%95%94
- [제목 정보 없음]. [인터넷]. [2010년경] [2025년 5월 10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1529-8019.2010.0135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