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우리 아이, 정말 치료가 필요할까요?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최신 권고안 기반 부모님을 위한 종합 안내서)

자녀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균에 감염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많은 부모님들은 걱정부터 앞섭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 균을 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규정했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는 지극히 당연합니다.1 이 글은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로서,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의학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님들이 자녀의 건강 관리에 대해 종합적인 시각을 갖고 의사와 함께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및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이 기사의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권고 사항은 국내 최고 권위 기관들의 임상 진료지침에 근거합니다.45
  • 유럽/북미 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NASPGHAN): 국제적인 표준 치료 지침을 반영하여 최신 글로벌 동향과 비교 분석을 제공합니다.7

핵심 요약

  • 치료는 필수 아님: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모든 어린이가 치료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 결정은 증상과 특정 의학적 상태에 따라 신중하게 내려져야 합니다.1
  • 명확한 치료 적응증: 위·십이지장 궤양, 위 MALT 림프종, 치료 저항성 철결핍성 빈혈 등 명확한 의학적 문제가 있을 때 치료가 강력히 권고됩니다.812
  • 단순 복통은 치료 대상 아님: 궤양 없는 만성 재발성 복통은 헬리코박터균 치료의 적응증이 아닙니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 문제만 키울 수 있습니다.12
  • 항생제 내성 문제: 한국은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률이 높아 표준 3제 요법의 치료 성공률이 낮습니다. 치료 시 이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17
  • 부모와의 파트너십: 치료 결정은 의사와 정보를 충분히 숙지한 부모 간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서론: 부모님의 불안과 의학적 진실 사이

이 글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메시지는 바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모든 어린이가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점입니다.1 치료 결정은 이익과 위험 사이의 신중한 저울질이며, 각 어린이의 증상과 구체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본문에서는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4,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5와 같은 국내 최고 의료 기관의 임상 지침과 유럽 및 북미 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NASPGHAN)의 국제적 합의7를 바탕으로 이 균형점을 상세히 분석할 것입니다.

1부: 우리 아이 몸속의 ‘초대받지 않은 손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알아보기

1.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란 무엇인가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나선형 모양의 세균으로, 인간 위장의 혹독한 산성 환경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생존하고 번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 그 독특한 생존 메커니즘의 핵심은 ‘우레아제(urease)’라는 효소를 생산하는 데 있습니다. 이 효소는 위 속에 있는 요소를 분해하여 알칼리성 물질인 암모니아를 생성합니다. 이 암모니아가 세균 주변의 위산을 중화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층 내에 세균이 거주하고 성장할 수 있는 ‘안전지대’를 만들어 줍니다.4 바로 이 메커니즘이 요소호기검사(UBT)나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CLO test)와 같은 일부 진단 방법의 기본 원리가 되었습니다.

“스트레스나 매운 음식이 아닌 세균이 위염과 위·십이지장 궤양의 주된 원인임을 증명한 이 발견은 의학계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 배리 마셜과 로빈 워렌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두 과학자 배리 마셜(Barry Marshall)과 로빈 워렌(Robin Warren)에 의한 이 균의 발견은 그들에게 노벨 생리의학상을 안겨주었으며, 위염 및 위·십이지장 궤양의 주요 원인이 스트레스나 식습관이 아닌 세균이라는 것을 증명하여 이러한 질병에 대한 접근과 치료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4

1.2. 우리 아이는 어떻게 이 균에 감염되었을까요?

헬리코박터균은 주로 사람 간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은 대개 아이의 면역 체계가 아직 미성숙하고 위산 농도가 낮은 유아기에 발생합니다.11 주요 전파 경로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 입-입 전파 (Oral-oral route): 가장 흔한 경로로, 감염자의 타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식기(그릇, 수저, 컵) 공동 사용, 아이에게 뽀뽀하기, 음식을 씹어서 아이에게 먹이는 행위 등이 해당됩니다.1
  • 분변-구강 전파 (Fecal-oral route): 감염자의 대변에 존재하는 균이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또는 화장실 사용 후 손을 깨끗이 씻지 않아 전파될 수 있습니다.1

가족 내 감염 환경은 매우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가족 단위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4 만약 한 아이가 감염되었다면, 부모나 형제자매 역시 균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초기 감염원을 설명할 뿐만 아니라 치료 후 재감염의 위험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찌개를 함께 떠먹는 한국의 독특한 ‘찌개 문화’는 지역 사회와 가정 내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1 따라서 개인 식기 사용과 개인위생 유지를 포함한 가족 내 전파 경로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예방 조치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의학 지침은 단지 아이의 재감염을 막기 위해 가족 전체를 치료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12

1.3. 한국 소아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한국의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은 연령에 따라 뚜렷한 증가세를 보입니다. 영유아기에는 감염률이 약 1.1%(5세 미만)로 상당히 낮지만,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증가하여 5-10세 사이에는 12.8%, 10-15세 사이에는 20.4%에 이르고, 성인이 되면서 급증합니다.4 한국 성인의 감염률은 약 50% 수준으로 선진국 중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이는 한국의 높은 위암 발병률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됩니다.13

하지만 위생 환경과 사회경제적 조건이 개선되면서 젊은 세대의 감염률은 점차 감소하는 긍정적인 추세도 있습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치는 여전히 서구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높아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예방 전략이 요구됩니다.


2부: 소아와 성인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무엇이 다른가?

2.1.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대다수의 어린이가 전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1 이 균은 평생 동안 위 속에서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가벼운 소화불량이나 상복부 불쾌감처럼 매우 모호하고 비특이적이어서, 다른 일반적인 소화기 문제와 혼동되기 쉽습니다.1

2.2. 논란의 중심: 만성 복통 및 성장 발달과의 연관성

이 영역은 부모님들에게 가장 많은 혼란과 걱정을 안겨주는 부분입니다. 불필요한 의료 개입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들을 명확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만성 복통: 많은 부모님들이 헬리코박터균이 아이의 반복적인 복통의 원인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유럽과 북미의 주요 소아과 지침 및 대규모 연구들은, 위·십이지장 궤양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헬리코박터균이 소아의 재발성 복통을 유발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12 따라서 단순히 복통 증상만으로는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가 증상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입증되지 않았습니다.12
  • 철결핍성 빈혈: 이것은 명확하게 확립된 연관성입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위 점막에 낮은 수준의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음식으로부터 철분을 흡수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구 철분제 보충에 반응하지 않거나 반응이 미미한 철결핍성 빈혈 상태를 초래합니다.8 이는 헬리코박터균 치료를 고려하는 중요한 적응증 중 하나입니다.
  • 성장 발달: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만성 염증, 복통으로 인한 식욕 부진, 또는 빈혈의 이차적인 결과로 아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11 그러나 현재 주요 의학 지침들은 다른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체 발달 지연을 제균 치료의 직접적인 적응증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12

2.3. 장기적 위험: 왜 어린 시절의 감염에 주목해야 하는가?

어린 시절의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만성적인 위염 상태를 만듭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십 년에 걸쳐 이 염증은 ‘코레아 연쇄 반응(Correa cascade)’이라 불리는 일련의 병리학적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성 위염 → 위축성 위염 → 장상피화생 → 이형성증 → 그리고 최종적으로 위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감염된 어린이가 위암으로 발전할 절대적 위험은 1% 미만으로 매우 낮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3 그러나 일부 선택된 경우에 균을 박멸하는 목표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병리학적 연쇄 반응을 초기 단계에서 차단하기 위한 장기적인 예방 조치이기도 합니다.


3부: 진단 – 중요하고 신중해야 할 첫걸음

3.1. 우리 아이는 언제 검사가 필요한가요?

의학 지침은 어린이에게 헬리코박터균 검사가 필요한 시점에 대해 매우 명확한 적응증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적응증은 주로 위내시경과 같은 침습적 시술이 이미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절대적 적응증: 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이 확진된 경우.8
  • 강력히 고려해야 할 적응증:
    • 위 MALT 림프종(MALT lymphoma): 위에서 발생하는 드문 형태의 림프종.12
    • 원인 불명의 치료 저항성 철결핍성 빈혈: 철분제를 충분히 보충해도 빈혈이 개선되지 않는 상태.8
    •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Chronic ITP): 자가면역 혈액 질환.1

3.2. 때로는 ‘검사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인 이유

‘검사 후 치료(test-and-treat)’ 전략, 즉 내시경 없이 요소호기검사나 분변검사 같은 비침습적 검사로 진단하고 바로 치료하는 방식은, 단순히 복통 증상만 있는 어린이에게는 권장되지 않습니다.12 이러한 권고에는 명확한 이유가 있습니다:

  • 낮은 진단적 유용성: 어린이의 복통은 헬리코박터균이 원인인 경우가 드뭅니다.12
  • 치료의 위험성: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심각한 공중 보건 위협인 항생제 내성 증가에 기여하며, 아이에게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6
  • 위양성 가능성: 비침습적 검사는 어린 아이들에게서 신뢰도가 떨어져 위양성 결과를 초래하고 잘못된 치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1

가족력 문제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소아과 지침은 직계 가족(부모, 형제자매) 중에 위암 환자가 있더라도 증상이 없는 어린이에게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권장하지 않습니다.8 이는 잠재적 이익과 위험을 고려하여 전문의와 신중하게 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3.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 방법 총정리

적절한 진단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엄격한 의학 지침과 실제 임상 현장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국제 및 한국 지침 모두 주요 치료 적응증(위궤양)을 내시경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진단이 내시경과 연계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12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의사와 부모들이 편리성 때문에 비침습적 검사를 선호하며, 이는 ‘검사 후 치료’ 전략으로 이어집니다.16 이 차이를 이해하면 부모가 자녀의 진단 선택에 대해 의사와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후 치료’ 접근법은 불필요한 과잉 치료를 유발하고 항생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주요 진단 방법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1: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진단 방법 비교
검사명 방법 적합 연령 장점 단점 주요 목적
내시경 및 조직검사 부드러운 내시경 튜브를 입을 통해 위로 삽입하여 직접 관찰하고 조직 샘플을 채취. 모든 연령 (적응증 시). 표준검사(Gold Standard). 병변 직접 관찰, 궤양/염증 진단,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 조직검사, 배양검사 가능.21 침습적, 진정/마취 필요, 위험 부담. 최초 진단, 특히 기질적 질환(궤양 등) 의심 시.
요소호기검사 (UBT) 탄소 동위원소로 표지된 요소 용액을 마신 후, 주머니/튜브에 숨을 내쉬어 검사. 5세 이상에서 가장 신뢰도 높음.23 비침습적, 매우 높은 정확도, 편리함.1 아이의 협조 필요. 항생제나 위산억제제 복용 시 결과에 영향. 최초 진단(나이 든 아동) 및 치료 후 박멸 성공 여부 확인에 특히 유용.
분변 항원 검사 아이의 대변 샘플을 채취하여 균의 항원(단백질)을 검출. UBT 수행 어려운 영유아 포함 모든 연령에 적합.4 비침습적, 간단, 아이의 협조가 많이 필요 없음. UBT보다 정확도가 약간 낮을 수 있음. 영유아의 최초 진단 및 치료 후 확인.
혈액 항체 검사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균에 대항하기 위해 신체가 생성한 항체를 검출. 모든 연령. 간단하고 빠름. 가장 정확도 낮음. 현재 감염과 과거 감염을 구별 못함. 치료 후 확인용으로 부적합.3 주로 역학 연구에 사용, 개인의 임상 진단에는 가치 낮음.
자료 출처:1

4부: 치료 결정 – 이익과 위험 사이의 신중한 저울질

4.1.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경우

헬리코박터균 제균의 이점이 논란의 여지가 없고, 전 세계 모든 주요 의학 지침에서 동의하는 임상 상황들이 있습니다.

  • 위·십이지장 궤양: 가장 명확하고 절대적인 적응증입니다. 균을 박멸하는 것은 궤양을 치료하고, 더 중요하게는 재발을 막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원인을 제거하지 않고 증상만 치료하면 재발은 거의 확실하기 때문입니다.1
  • 위 MALT 림프종: 이 형태의 림프종 초기 단계에서 헬리코박터균 제균은 최우선 치료법입니다. 많은 환자에서 균을 박멸하는 것만으로도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없이 종양의 완전한 관해를 이룰 수 있습니다.1
표 2: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 적응증 요약
질병 / 상황 치료 권고 수준 근거 및 핵심 사항
위·십이지장 궤양 필수 매우 강력한 근거. 치료 시 치유 및 재발 방지 효과가 거의 100%에 달함.17
위 MALT 림프종 필수 매우 강력한 근거. 1차 치료법이며 완치 가능.12
치료 저항성 철결핍성 빈혈 권고 강력한 근거. 제균 치료 시 철분 흡수 능력과 빈혈 상태 개선.8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ITP) 권고 강력한 근거. 일부 환자에서 제균 치료 시 혈소판 수치 증가 가능.1
위암 가족력 고려 가능 논란의 여지가 있는 근거. 장기적 이익과 단기적 위험에 대해 의사와 가족 간의 충분한 논의 후 결정.7
만성 복통 (궤양 없음) 권고하지 않음 명확한 이익이 없다는 근거. 항생제의 위험이 잠재적 이익보다 큼.12
무증상 감염 권고하지 않음 치료 적응증 아님. 항생제 및 내성균 발생 위험이 매우 큼.12
자료 출처:1

4.2. ‘고려해 볼 수 있는’ 치료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는 치료 결정이 절대적이지 않으며, 의사와 가족 간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개인화되어야 합니다.

  • 치료 저항성 철결핍성 빈혈: 앞서 언급했듯이, 이는 비교적 강력한 적응증입니다. 아이가 빈혈이 있고 철분 보충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헬리코박터균 검사를 하고 양성일 경우 치료하는 것이 합리적인 조치입니다.8
  •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빈혈과 마찬가지로, 이 또한 비교적 강력한 적응증입니다.1
  • 직계 가족의 위암 병력: 이 점이 가장 논란이 많습니다. 일부 오래된 지침에서는 이 적응증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8 그러나 최신 지침들은 소아에서 위암은 극히 드물고, 조기 예방 치료의 이점이 약물 내성 위험에 비해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소아의 정규 적응증 목록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6

4.3. 핵심 쟁점: 왜 모든 감염된 어린이를 치료하지 않는가?

이것은 부모님들이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입니다. 모든 감염된 어린이를 치료하지 않는 것은 방치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이유에 근거한 의도적인 공중 보건 전략입니다.

  • 항생제 내성 위험: 이것이 가장 큰 우려 사항입니다. 경미하거나 무증상 감염에 항생제를 남용하면 세균이 약물에 대한 내성 메커니즘을 개발할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이는 헬리코박터균 치료 실패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 박테리아’를 만들어내어 미래에 전체 지역 사회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6
  • 약물 부작용: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 요법은 보통 여러 종류의 고용량 항생제를 포함하여, 설사, 메스꺼움, 미각 이상과 같은 상당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아이를 불편하게 하고 치료 순응도를 떨어뜨려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
  • 재감염 가능성: 한국의 재감염률은 연간 약 2-4%로 비교적 낮지만, 서구 국가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습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 가족 환경(다른 가족 구성원도 감염된 경우)으로부터 재감염될 위험이 실재하며, 이는 치료의 이점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4
  • 장내 미생물 생태계 파괴: 광범위 항생제는 헬리코박터균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까지 쓸어버립니다. 이러한 미생물 생태계의 불균형은 아직 다 알려지지 않은 장기적인 건강상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부: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법 상세 안내

5.1. 1차 치료: 표준 요법과 대안 선택

소아 헬리코박터균 감염의 1차 치료법 선택은 한국의 항생제 내성 상황을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세계적인 표준 요법은 보통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와 클라리트로마이신(clarithromycin), 아목시실린(amoxicillin)을 병용하는 3제 요법(OAC)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의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률이 20-30%를 넘는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17 내성률이 이처럼 높으면 OAC 요법의 효과는 현저히 감소하여, 성공률이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수준인 8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30

이러한 현실은 의사들이 처음부터 대안 요법을 고려하게 만듭니다. 한국 내 연구에 따르면 비스무스(bismuth)를 포함한 4제 요법과 같은 다른 치료법이 더 높은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8 따라서 OAC 요법을 ‘표준이지만 한국에서는 도전적인 선택’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장 정직하고 적절한 접근 방식입니다. 대안 요법은 단순히 예비 방안이 아니라 처음부터 더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주요 치료 요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표준 3제 요법 (Standard Triple Therapy):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아목시실린, 클라리트로마이신(OAC)을 14일간 복용합니다.8 고전적인 요법이지만 한국의 높은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률로 인해 효과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 비스무스 포함 4제 요법 (Bismuth-based Quadruple Therapy): PPI, 비스무스,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또는 아목시실린)을 포함합니다. 이는 한국에서 약물 내성이 확인되지 않았거나 높게 의심될 때 매우 효과적인 선택지로 간주됩니다.8
  • 순차 치료 (Sequential Therapy): 처음 5일간 PPI와 아목시실린을 복용한 후, 다음 5일간 PPI, 클라리트로마이신, 메트로니다졸을 복용합니다. 이는 한국 소아를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8

5.2. 약물 용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소아과에서 약물 용량은 항상 아이의 체중에 따라 계산된다는 것은 불변의 원칙입니다.17 이는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임의로 약을 사용하거나 성인 용량을 아이에게 적용하는 것은 극히 위험합니다.

표 3: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 약물 표준 용량
약물명 체중 기반 용량 최대 용량 (성인 용량 초과 금지) 치료 기간
PPI (에스오메프라졸/란소프라졸) 1–2 mg/kg/일, 2회 분복 20–40 mg/회 10-14일
아목시실린 (Amoxicillin) 50 mg/kg/일, 2회 분복 1000 mg/회 10-14일
클라리트로마이신 (Clarithromycin) 15 mg/kg/일, 2회 분복 500 mg/회 10-14일
메트로니다졸 (Metronidazole) 20 mg/kg/일, 2회 분복 500 mg/회 10-14일
비스무스 (Bismuth) 40-80 mg/kg/일 성인 용량에 따름 10-14일
참고: 이 표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용량은 각 어린이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처방해야 합니다. 자료 출처:8

5.3. 1차 치료 실패 시: 2차 치료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

만약 첫 번째 치료 요법이 균을 박멸하는 데 실패했다면, 다음 단계는 이전 요법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요법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7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요법에 비스무스가 포함되지 않았다면(예: OAC), 두 번째 요법은 보통 비스무스 포함 4제 요법입니다.
  • 반대로, 첫 요법에 비스무스가 포함되었다면, 두 번째 요법은 다른 종류의 항생제를 사용하는 비스무스 미포함 3제 또는 4제 요법이 됩니다.

치료 실패 시, 의사는 위 조직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다시 내시경을 시행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 조직 샘플은 배양하여 헬리코박터균이 어떤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사용됩니다. 이 결과는 다음 치료 요법을 가장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12


6부: 치료 과정에서 우리 아이와 함께하기

6.1. 흔한 부작용과 대처 방법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는 일부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들이 미리 알고 있으면 더 잘 대처하고 아이를 도울 수 있습니다.

  • 흔한 부작용: 미각 이상(입에서 쇠 맛이 남), 메스꺼움, 설사, 검은 변(비스무스 성분으로 인해).2
  • 대처 방법:
    • 가벼운 부작용의 경우, 임의로 약을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약을 계속 복용시키고 의사에게 알리십시오.
    • 혈변을 동반한 심한 설사, 광범위한 피부 발진과 같은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약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연락해야 합니다.20
    • 대부분의 부작용은 치료가 끝나면 사라집니다.

6.2. 성공의 열쇠: 치료 순응도

치료의 성공은 아이와 가족의 약물 복용 순응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약을 거르거나 조기에 중단하는 것은 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이자, 더 위험하게는 내성균을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20 부모님은 아이를 돕기 위해 다음 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복약 달력이나 알람을 사용하여 복용 시간을 잊지 않도록 합니다.
  • 나이가 있는 아이에게는 약을 완전히 복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해 줍니다.
  • 아이가 약을 더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의사의 허락 하에 아이가 좋아하는 소량의 음식이나 음료에 섞어 줍니다.

6.3. 치료 후: 제균 확인과 장기 추적

치료 기간이 끝난 후, 균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의사는 약물 중단 후 최소 4주에서 8주가 지난 시점에 다시 검사를 지시할 것이며, 보통 요소호기검사(UBT)나 분변 항원 검사가 사용됩니다.1

재감염 문제에 관해서는, 비록 발생할 수 있지만 그리 흔하지는 않습니다. 가장 좋은 예방책은 가족 내에서 좋은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특히 각 구성원의 식기를 따로 사용하고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11

6.4. 식단과 프로바이오틱스: 진실과 오해

  • 식단: 많은 사람들이 마늘, 브로콜리, 홍삼과 같은 식품이 헬리코박터균을 죽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이러한 식품들이 어느 정도 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약물 치료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2
  • 프로바이오틱스와 유산균 음료: 이는 광고의 영향으로 생긴 흔한 오해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한 유산균 음료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3 그러나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항생제 요법과 동시에 보충하면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제균 성공률을 약간 높일 수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습니다.10 프로바이오틱스는 주 치료법이 아닌 보조 요법으로만 간주되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아이는 모두 치료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모든 어린이가 치료 대상은 아닙니다. 치료는 위·십이지장 궤양, 위 MALT 림프종,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철결핍성 빈혈과 같이 명확한 의학적 문제가 있을 때만 권장됩니다.12 증상이 없는 대부분의 아이들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질문 2: 아이가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하는데, 헬리코박터균 때문일까요?

그럴 가능성은 낮습니다.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위궤양이 동반되지 않은 반복적인 복통은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뚜렷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 아이의 만성 복통은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헬리코박터균 검사나 치료를 서두르기보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 3: 유산균 음료나 프로바이오틱스가 헬리코박터균 치료에 도움이 되나요?

유산균 음료나 프로바이오틱스만으로는 헬리코박터균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3 다만, 일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항생제 치료와 병행할 때 설사 같은 부작용을 줄여주고 치료 성공률을 약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10 이는 보조적인 요법일 뿐, 주된 치료법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질문 4: 아이의 재감염을 막기 위해 온 가족이 함께 치료받아야 하나요?

아니요, 현재 의학 지침은 아이의 재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증상 없는 가족 구성원까지 치료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12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 위험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대신, 개인 식기 사용,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예방책입니다.

결론: 의사와의 현명한 파트너십 구축하기

소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 결정은 복잡하고 고도로 개인화되어야 하며,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문제입니다. 이는 충분한 정보로 무장한 부모와 경험 많은 전문의 사이의 깊은 이해와 합의를 바탕으로 내려져야 하는 공동의 결정입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지식을 통해 부모님들이 의사와 함께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데 더 큰 자신감을 느끼시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상담 시 구체적이고 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도구로 활용해 보십시오:

  • “의사 선생님, 우리 아이의 증상이 위궤양이나 빈혈과 같은 명확한 치료 적응증에 정말 부합하나요?”
  • “만약 우리 아이가 단순히 복통만 있다면, 항생제 사용의 위험이 잠재적 이익보다 더 크지 않을까요?”
  • “한국의 높은 항생제 내성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치료법이 우리 아이에게 최선의 첫 선택이 맞을까요?”

자녀의 건강 관리에 있어 능동적이고 지식이 풍부한 파트너가 되는 것, 이것이야말로 모든 의료적 결정이 아이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내려지도록 보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헬리코박터균 감염(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00
  2.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오해와 진실 – 헬스경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64604
  3. 위내시경검사서 헬리코박터균…당장 치료해야하나요? – 헬스경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3325
  4.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pylori.or.kr/
  5.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 Korea Scienc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science.kr/publisher/kspghan.pub?&lang=ko&orgId=kspghan
  6.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spghan.or.kr/
  7. 우리나라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 제균 치료 경험: 파일럿 조사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licojournal.org/upload/pdf/kjhugr-17-4-195.pdf
  8. 소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licojournal.org/upload/pdf/kjhugr-17-1-16.pdf
  9.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 소화 장애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7%BC-%EB%B0%8F-%EC%86%8C%ED%99%94%EC%84%B1-%EA%B6%A4%EC%96%91-%EC%A7%88%ED%99%98/%ED%97%AC%EB%A6%AC%EC%BD%94%EB%B0%95%ED%84%B0-%ED%8C%8C%EC%9D%BC%EB%A1%9C%EB%A6%AC%EA%B7%A0-%EA%B0%90%EC%97%BC
  10. 위장 속 헬리코박터 없애는 6가지 식품 – 정책브리핑.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46947
  11. 헬리코박터균, 빈혈 일으켜 아이 성장 막아…개인식기 써라 – 국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qcenter.snu.ac.kr/archives/31286
  12.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진단과 치료 – EndoTODA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endotoday.com/endotoday/20181006_01.pdf
  13. 인식 높아진 헬리코박터균 치료…소화기 증상 도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48864813&menuId=MENU01816
  14. 가격 장벽 막힌 헬리코박터 치료…수가 개선 필요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48864791&menuId=MENU01816
  1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국내 및 국외의 진료 지침.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kjm.org/upload/kjm-89-2-157.pdf
  16. Clinical Dilemma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From Guideline to Practice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419790/
  17. 소아에서의 제균 치료 –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pylori.or.kr/pdf/2016_12/15.pdf
  18. 한국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임상 진료지침….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repository.hanyang.ac.kr/bitstream/20.500.11754/46706/1/kjg-62-3.pdf
  19. Prevalence, Management, and Outcomes of Non-Invasive Helicobacter pylori Testing in Children at a Tertiary Paediatric Hospital in Singapore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9563839/
  20.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 EndoTODA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endotoday.com/endotoday02/helicobacter_guide.pdf
  21. Updates on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942316/
  22. Association between Gastric pH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712537/
  2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 – KoreaMed Synaps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28kjg/kjg-54-269.pdf
  24. 우리나라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 제균 치료 경험: 파일럿 조사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dfs.semanticscholar.org/86b3/12fbef209d24bac591a1e412aa507c50c721.pdf
  25. 2세 미만 유아, 내성균 획득 위험 높아…감염관리 강화 시급 – 메디컬월드뉴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calworldnews.co.kr/skin/news/basic/view_pop.php?v_idx=1510966302
  26. Updated joint ESPGHAN/NASPGH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23)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9148213/
  27. Recent Changes in th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licojournal.org/DOIx.php?id=10.7704/kjhugr.2021.0025
  28. 한국인 소아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항균제 내성률 – Korea Scienc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1118747375203.pub?&lang=ko
  29. Korean Registry on the Current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K-Hp-Reg): Interim Analysis of Adherence to the Revised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First-Line Treatment – PMC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070206/
  30.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2020 – Gut and Liver.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gutnliver.org/journal/view.html?doi=10.5009/gnl20288
  31.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서 Clarithromycin 내성과 연관된 23S rRNA의 돌연변이 – KoreaMed Synaps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21kjpgn/kjpgn-7-137.pdf
  32. Treatment of Pediatric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219902/
  33. Changes in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751106/
  34.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반드시 제균 치료를 해야 하나요? 등록일 : 2024-03-12 – 건강이야기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okdong.eumc.ac.kr/hstory/nutrition/view.do?bbs_no=25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