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강

흉부 엑스레이 결과, ‘폐결절’ 소견? 당황하지 마세요. 전문의가 설명하는 다음 단계 (A부터 Z까지)

건강검진 결과표에 적힌 ‘폐결절’이나 ‘추적 관찰 요망’ 같은 낯선 의학 용어 앞에서 가슴이 철렁 내려앉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수많은 걱정과 불안감에 휩싸여 인터넷을 헤매보지만, 명확한 해답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이 글은 바로 그런 당신을 위해 KRHOW 편집위원회가 국내외 최고의 의료 전문가 및 기관의 자문을 받아 준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내서입니다. 두려움을 명확한 정보로 바꾸고, 막연한 불안감을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전환하여 당신의 건강 주권을 되찾아 드리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대한흉부영상의학회(KSTR) 및 국립암센터: 이 기사의 ‘흉부 엑스레이 vs. 저선량 CT’ 비교 및 폐암 검진 권고 사항은 두 기관의 공식 가이드라인에 근거합니다.915
  • 질병관리청(KDCA): 방사선 안전성에 관한 내용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대한민국 공식 ‘진단참고수준(DRL)’ 데이터를 기준으로 합니다.10
  • 서울대학교병원(SNUH) 및 국제 의료기관(Mayo Clinic, Cleveland Clinic): 엑스레이의 기본 원리, 검사 과정 및 한계점에 대한 설명은 이들 기관이 제공하는 환자 교육 정보를 충실히 반영하였습니다.11419

핵심 요약

  • 흉부 엑스레이는 폐, 심장, 뼈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매우 유용한 기본 검사입니다.
  • ‘폐결절’과 같은 이상 소견의 95% 이상은 암이 아닌 양성 소견이지만4,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추가 검사나 전문의의 판단에 따른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엑스레이 방사선 노출량은 대한민국 정부(질병관리청)에 의해 엄격히 관리되며, 1회 검사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은 매우 낮아 안전한 검사로 간주됩니다.10
  • 이 안내서는 검사 결과에 대한 당신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의사와의 상담 시 자신감을 가지고 질문하며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서론: 건강검진 결과표 앞에서 작아지는 당신에게

매년 혹은 2년에 한 번씩 받는 건강검진. 늘 하던 대로지만 결과지를 받아 드는 순간은 언제나 긴장됩니다. 빼곡히 적힌 숫자와 용어들을 훑어 내리다, 유독 눈에 띄는 한 문장에 심장이 덜컥 내려앉습니다. “폐결절 소견, 추적 관찰 요망.” 순간 머릿속이 하얘지며 온갖 부정적인 시나리오가 스쳐 지나갑니다. ‘혹시 암은 아닐까?’,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지?’ 이러한 불안감은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당신은 중요한 건강 정보를 받았지만,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안내해 줄 친절한 동반자는 옆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바로 그 동반자가 되고자 합니다. 복잡한 의학 용어의 미로 속에서 길을 잃은 당신의 손을 잡고, 한 걸음씩 명확한 길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왜 우리는 엑스레이 결과에 불안해할까?

우리가 엑스레이 결과, 특히 ‘이상 소견’ 앞에서 극심한 불안을 느끼는 이유는 단순히 의학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이는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의 근본적인 문제, 즉 ‘정보의 공백’에서 비롯됩니다. 대부분의 의료 정보는 검사가 ‘무엇’인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만, 가장 중요한 ‘그래서 이 결과가 나에게 어떤 의미이며, 나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침묵합니다.6 이 공백 속에서 우리의 불안은 자라나고,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 속에서 길을 잃게 됩니다. 우리의 임무는 바로 이 공백을 메우는 것입니다. 모호함을 명확함으로, 불안을 확신으로 바꾸는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 KRHOW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제1원칙: 흉부 엑스레이란 무엇인가?

두려움을 이기는 첫걸음은 상대를 제대로 아는 것입니다. 흉부 엑스레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불필요한 공포를 걷어내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엑스레이의 기본 원리: 흑백 사진 속의 비밀

엑스레이의 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마치 강한 손전등으로 물체를 비추는 것과 같습니다. 인체를 통과하는 방사선(X선)이 신체 내부 구조물의 밀도에 따라 다르게 흡수되고, 이를 필름이나 디지털 검출기에 기록하여 흑백의 그림자 이미지를 만드는 것입니다.14 뼈처럼 단단하고 밀도가 높은 조직은 X선을 많이 흡수하여 하얗게 보이고, 공기로 가득 찬 폐는 X선이 거의 그대로 통과하여 검게 보입니다. 심장이나 혈관 같은 연조직은 그 중간인 회색으로 나타납니다. 이 흑백의 미묘한 명암 차이를 통해 전문가는 폐, 심장, 혈관, 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엑스레이로 무엇을 볼 수 있고, 무엇을 볼 수 없나?

흉부 엑스레이는 매우 유용하지만 만능은 아닙니다. 그 능력과 한계를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SNUH)과 같은 주요 의료기관의 정보에 따르면1, 엑스레이는 다음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주로 확인할 수 있는 질환: 폐렴, 결핵, 폐부종, 기흉, 심장 크기 증가(심부전 의심), 흉수(늑막에 물이 차는 현상), 쇄골 및 늑골 골절 등19
  • 발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매우 작은 크기(통상 5mm 미만)의 초기 폐암이나 폐결절1, 심장이나 뼈, 다른 장기에 가려진 병변, 기관지 내부의 문제, 폐색전증 등.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5mm 미만의 작은 폐결절은 단순 X-선 촬영에서 발견하기 어렵습니다.”1

– 서울대학교병원(SNUH) 의료정보

방사선, 정말 괜찮을까? 대한민국 공식 데이터 공개

엑스레이 검사 시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방사선 노출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인 흉부 엑스레이 1회 촬영 시 노출되는 방사선량은 극히 미미하여 인체에 거의 해가 없는 수준입니다. 이는 감정에 기반한 위로가 아닌,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사실입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은 의료 방사선 피폭량을 관리하기 위해 ‘진단참고수준(Diagnostic Reference Levels, DRLs)’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10 2023년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성인 흉부 엑스레이(후전방향) 촬영의 진단참고수준은 0.3 mGy(밀리그레이)로, 이는 국제적으로도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10 이 정도의 양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며칠간 자연적으로 받는 자연 방사선량과 비슷하거나, 서울-뉴욕 간 왕복 비행 시 노출되는 우주 방사선량보다 훨씬 적은 양입니다.5

임신 중 엑스레이 촬영: 꼭 알아야 할 안전 수칙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엑스레이 촬영은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태아는 성인보다 방사선에 민감하기 때문입니다.29 하지만 의학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라면, 태아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는 안전 조치 하에 촬영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의료진에게 임신 사실이나 가능성을 반드시, 그리고 즉시 알리는 것입니다. 의사는 검사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신중히 평가하고, 꼭 필요한 경우 복부를 납으로 된 보호대로 가려 태아에게 방사선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등 최선의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5

결과 해석: 내 엑스레이 사진은 무엇을 말하고 있나?

결과지의 낯선 용어들은 더 이상 암호가 아닙니다. KRHOW가 당신의 해독 전문가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정상 소견’의 진짜 의미

결과지에 ‘정상’ 혹은 ‘특이 소견 없음’이라고 적혀 있다면 안심해도 좋습니다. 이는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에서 활동성 질병의 명백한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정상’이라는 결과가 ‘평생 건강 보증수표’는 아닙니다. 앞서 언급했듯 엑스레이에는 한계가 있으며, 아주 작은 초기 병변은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 소견을 받았다 하더라도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흔한 이상 소견 용어 풀이: 폐결절, 음영, 석회화 등

가장 큰 불안을 야기하는 것은 바로 이 ‘이상 소견’들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폐결절 (Pulmonary Nodule): 폐에 생긴 지름 3cm 이하의 둥근 그림자를 말합니다.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이상 소견 중 하나이지만, 우연히 발견된 폐결절의 95% 이상은 암이 아닌 양성(benign)입니다.4 과거에 앓았던 폐렴이나 결핵의 흔적(흉터), 혹은 단순 염증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전문가는 결절의 크기, 모양, 경계 등을 보고 추가 검사나 추적 관찰 여부를 결정합니다.
  • 음영 증가/감소 (Increased/Decreased Opacity): ‘음영’은 엑스레이 사진에서 회색이나 흰색으로 보이는 부분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음영이 증가했다는 것은 특정 부위가 주변보다 더 하얗게 보인다는 뜻으로, 염증, 흉수, 혹은 종양 등 다양한 가능성을 시사하는 비특이적인 소견입니다.
  • 석회화 (Calcification): 폐나 림프절 등에 칼슘이 침착되어 엑스레이 사진에서 매우 하얗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부분 과거에 앓았던 결핵이나 다른 감염이 치유되면서 남긴 ‘오래된 흉터’로,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흉부 엑스레이 vs. 저선량 CT: 언제, 누구에게 필요한가?

최근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LDCT, Low-Dose C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엑스레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두 검사는 목적과 역할이 다릅니다.

  • 흉부 엑스레이: 넓은 범위의 흉부 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1차적인 선별 검사(Screening test)입니다.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며 방사선 노출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저선량 흉부 CT: 엑스레이보다 훨씬 정밀한 단층 영상을 통해 엑스레이에서는 보이지 않는 작은 결절이나 초기 폐암을 발견하는 데 특화된 정밀 검사입니다.

그렇다면 누가 CT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대한흉부영상의학회(KSTR)와 국립암센터는 모든 사람이 아닌,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해 매년 저선량 흉부 CT를 통한 폐암 검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915 국가암검진 사업에 따른 고위험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 폐암 검진 권고 대상 (고위험군): 만 54세부터 만 74세까지의 남녀 중, 흡연력이 ’30갑년’ 이상인 현재 흡연자와 폐암 검진의 필요성이 높아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람.
* 30갑년: 매일 1갑씩 30년, 또는 매일 2갑씩 15년 동안 담배를 피운 경우17

– 국가암정보센터 폐암 검진 권고안

따라서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과 비용을 고려할 때 무조건 CT를 찍기보다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엑스레이 검사를 먼저 시행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단계별 행동 계획: ‘추적 관찰’ 통보를 받았다면?

결과지에 ‘추적 관찰’이라는 네 글자가 찍혔을 때, 막막함 대신 이 행동 계획을 꺼내보세요. 당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명확하게 알려줄 것입니다.

1단계: 심호흡하고 정보 정리하기

가장 먼저 할 일은 패닉에 빠져 검증되지 않은 인터넷 정보의 바다에서 허우적대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대신, 심호흡을 한번 크게 하고, 관련된 서류를 차분히 챙기세요. 이번 건강검진 결과지와 판독 소견서, 그리고 가능하다면 과거에 찍었던 흉부 엑스레이 결과나 필름을 함께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화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진단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2단계: 의사와의 상담을 위한 체크리스트

준비된 자만이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질문들을 스마트폰에 메모하거나 종이에 적어 의사에게 질문하세요. 이는 당신이 상황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제 엑스레이에서 발견된 소견(결절/음영)의 정확한 크기와 모양, 위치는 어디인가요?”
  • “과거에 찍은 엑스레이 사진과 비교했을 때 변화가 있나요? (크기, 모양 등)”
  • “이 소견이 악성(암)일 가능성은 어느 정도로 보시나요?”
  • “지금 당장 CT 같은 추가 정밀 검사를 하지 않고 추적 관찰을 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다음 추적 검사는 언제가 적절하며, 어떤 방법(엑스레이 또는 CT)으로 진행해야 하나요?”
  •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제가 주의해야 할 증상이나 생활 습관이 있을까요?”

3단계: 일반적인 추적 관찰 시나리오

의사는 발견된 결절의 크기, 모양, 환자의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적 관찰 계획을 세웁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가이드라인(예: Lung-RADS)17에 따르면,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우 작은 결절 (수 mm 크기): 암 위험이 극히 낮다고 판단되면 12개월 후 엑스레이나 저선량 CT로 추적 관찰을 권고할 수 있습니다.
  • 중간 크기의 결절: 암 위험이 약간 있다고 판단되면 3개월 또는 6개월 후 단기 추적 검사를 통해 결절의 크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결절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면 이는 암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강력한 신호라는 점입니다. ‘기다림’은 방치가 아니라, 불필요한 검사나 시술을 피하기 위한 현명하고 중요한 진단 과정의 일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흉부 엑스레이 검사 비용은 얼마인가요?

의료기관의 종류나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의원급 기준으로 본인부담금은 보통 수천 원에서 1만 원 내외입니다. 국가 건강검진에 포함된 경우 본인부담금이 없거나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결과가 나오는 데 얼마나 걸리나요?

병원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촬영 후 수 시간에서 1~2일 이내에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판독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

흉부 엑스레이 촬영 전에 금식이 필요한가요?

아니요, 흉부 엑스레이 촬영 전에는 금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1 편안한 복장으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촬영 시 왜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참으라고 하나요?

숨을 깊게 들이마시면 폐가 최대로 팽창하여 더 넓은 폐 영역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숨을 참는 것은 촬영 중 움직임으로 인해 사진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선명한 고품질 이미지를 얻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14

결론: 두려움을 넘어 건강의 주인이 되는 법

흉부 엑스레이 검사 결과는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 글을 통해 당신은 엑스레이의 의미를 이해하고, 결과지의 용어를 해독하며, 다음 단계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까지 갖추게 되었습니다. 지식은 당신을 수동적인 환자에서 능동적인 건강 관리의 주체로 바꾸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이 글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두려움 없이 의사와 마주 앉아 당신의 건강에 대해 질문하고 논의하십시오. 당신의 건강은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당신의 손에 달려있습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서울대학교병원. 흉부 X선 촬영 [chest X-ray]. N의학정보. Available at: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 Accessed August 13, 2025.
  2. 삼성서울병원. 흉부 x-ray검사란?. 암교육센터. Available at: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4View.do?content_id=950&DP_CODE=CIC. Accessed August 13, 2025.
  3.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개인 건강검진. Available at: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210. Accessed August 13, 2025.
  4. 하이닥. 엑스레이 흉부 이상 소견. 건강Q&A. Available at: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890258. Accessed August 13, 2025.
  5. MSD 매뉴얼 일반인용. 방사선 의학 영상의 위험. Available at: https://www.msdmanuals.com/ko/home/특별-주제/일반적인-영상-검사/방사선-의학-영상의-위험. Accessed August 13, 2025.
  6. 네이버 검색: 폐결절 엑스레이 후기. Available at: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view&sm=tab_jum&query=%ED%8F%90%EA%B2%B0%EC%A0%88+%EC%97%91%EC%8A%A4%EB%A0%88%EC%9D%B4+%ED%9B%84%EA%B8%B0. Accessed August 13, 2025.
  7. 네이버 지식iN 검색: 건강검진 엑스레이 결과. Available at: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kin&sm=tab_jum&query=%EA%B1%B4%EA%B0%95%EA%B2%80%EC%A7%84+%EC%97%91%EC%8A%A4%EB%A0%88%EC%9D%B4+%EA%B2%B0%EA%B3%BC. Accessed August 13, 2025.
  8.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vailable at: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text=%ED%9D%89%EB%B6%80%20%EC%A6%9D%EC%83%81%EC%9D%B4%20%EC%9E%88%EC%9D%84%20%EC%8B%9C,%EA%B2%80%EC%A7%84%EC%9D%98%20%EA%B8%B0%EB%B3%B8%20%EA%B2%80%EC%82%AC%EC%97%90. Accessed August 13, 2025.
  9. Korean Society of Thoracic Radiology. 저선량 CT를 이용한 폐암검진: 대한흉부영상…. Semantic Scholar. Available at: https://pdfs.semanticscholar.org/52b2/e065186808db3daadca66dadc7a18c9466da.pdf. Accessed August 13, 2025.
  10. 질병관리청. 질병청, 「일반엑스선촬영 및 유방엑스선촬영 진단참고…. Available at: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15&list_no=722407&seq=2. Accessed August 13, 2025.
  11.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ACR–SPR–STR Practice Parameter for the Performance of Chest Radiography. Available at: https://gravitas.acr.org/PPTS/GetDocumentView?docId=129. Accessed August 13, 2025.
  12. 정책브리핑.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 발표. Available at: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38135. Accessed August 13, 2025.
  13.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3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Available at: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766&vmd=Full. Accessed August 13, 2025.
  14. Mayo Clinic. Chest X-rays. Available at: https://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chest-x-rays/about/pac-20393494. Accessed August 13, 2025.
  15. 국립암센터. 폐암 검진 권고안. Available at: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8-291.pdf. Accessed August 13, 2025.
  16.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vailable at: https://jkma.org/journal/Table.php?xn=jkma-58-6-523.xml&id=. Accessed August 13, 2025.
  17.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국가 폐암 검진. Available at: http://ekjm.org/upload/kjm-2020-95-2-95.pdf. Accessed August 13, 2025.
  18.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24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Available at: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pn=vol&uid=878&vmd=Full. Accessed August 13, 2025.
  19. Cleveland Clinic. Chest X-Ray (CXR): What It Is, What To Expect & Results. Available at: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agnostics/10228-chest-x-ray. Accessed August 13, 2025.
  20. 국가암정보센터. 통계로 보는 암 > 발생률.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0/contents.do. Accessed August 13, 2025.
  21. 코리아이슈저널. 질병관리청, 우리나라 결핵환자 13년 연속 감소 ′2024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발표′. Available at: https://koreaissuejournal.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4773301496. Accessed August 13, 2025.
  22. 대한흉부영상의학회. 임원진. Available at: https://kstr.radiology.or.kr/about/executives.php. Accessed August 13, 2025.
  23. YouTube. 호흡기내과 이세원교수. Available at: https://www.youtube.com/watch?v=ZccBzru92DM. Accessed August 13, 2025.
  24.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Available at: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BR&MENU_ID=001005. Accessed August 13, 2025.
  25. MedlinePlus. X-Rays. Available at: https://medlineplus.gov/xrays.html. Accessed August 13, 2025.
  26. Mayo Clinic. X-ray: Imaging test quickly helps find diagnosis. Available at: https://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x-ray/about/pac-20395303. Accessed August 13, 2025.
  27. Healthline. Chest X-Ray: Purpose, Procedure, and Risks. Available at: https://www.healthline.com/health/chest-x-ray. Accessed August 13, 2025.
  28. 국가암정보센터. 폐암 검사방법.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5/cancer/view.do?cancer_seq=5237&menu_seq=5249. Accessed August 13, 2025.
  29. Steemit. [의학] 저 임신했는데 X-ray 찍었어요, 괜찮아요? <임신과 방사선 검사>. Available at: https://steemit.com/kr/@radiologist/x-ray. Accessed August 13, 2025.
  30. 국가암정보센터. 폐암 검진 권고안.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download.do?uuid=884ef105-645e-41e7-88a2-30f85a022dd7.pdf. Accessed August 13, 2025.
  31. 국가암정보센터. 저선량흉부 CT 검사결과 판정 및 사후 관리.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download.do?uuid=9ae487ce-7c9d-46a3-bffb-0bf7c24d2972.pdf. Accessed August 13, 2025.